KR20070096719A -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719A
KR20070096719A KR1020060034323A KR20060034323A KR20070096719A KR 20070096719 A KR20070096719 A KR 20070096719A KR 1020060034323 A KR1020060034323 A KR 1020060034323A KR 20060034323 A KR20060034323 A KR 20060034323A KR 20070096719 A KR20070096719 A KR 2007009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agnetic
sensors
magnetic sca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시코기껜
Publication of KR2007009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Lens Barrel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이동체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도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구동장치(5)에 이용되는 위치검출장치(1)에 있어서, 이동체(9)에 고정한 2개의 자기스케일(27a, 27b)은 이동체(9)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자극 S, N을 서로 번갈아 착자(着磁)한 착자면을 가지고 있고, 2개의 MR센서(29a, 29b)는 대치하는 자기스케일(27a, 27b)의 자기(磁氣)를 검지해서 출력신호를 발함으로써 기체(4)에 대한 이동체(9)의 직선 이동변위를 검출하고 있고, 2개의 MR센서(29a, 29b)는 이동체(9)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어, 이동체(9)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하나의 자기스케일(27a)이 하나의 MR센서(29a)에 대치한 후에, 다른 자기스케일(27b)이 다른 MR센서(29b)에 대치한다.

Description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LENS DRIV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구동장치를 탑재한 소형 카메라의 세로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소형 카메라의 A-A선 단면도.
도 3은 MR센서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자기스케일의 자극면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렌즈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제2이동체를 뽑아서 나타내고, 제2이동체의 이동 시점 (a)와 종점 (e)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 세로단면도.
도 5는 제2이동체의 이동 시점 (a)로부터 종점 (e)까지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설명한 개략의 구성도.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관한 렌즈구동장치에 있어서, 제2이동체의 이동 시점 (a)로부터 종점 (e)까지를 자기스케일과 MR센서와의 관계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관한 제2이동체(포커스렌즈의 이동체)의 이동 시점 (a)로부터 종점 (e)까지를 자기스케일과 MR센서와의 관계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위치검출장치 4: 기체(상자체)
5: 렌즈구동장치 7: 제1이동체
7a: 제1렌즈 9: 제2이동체(이동체)
9a: 제2렌즈 11: 제3이동체
11a: 제3렌즈 15: 전자코일
17: 제1마그넷 19: 제1요크
21: 제2요크 23: 제2마그넷
27a, 27b: 자기스케일 29a, 29b: MR센서
35: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 E: 자극 폭
m: 검지위치(중간위치) T: 기체 길이
W: 가드 영역 X: 이동방향
Y: 자기스케일 길이
본 발명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의 위치검출장치 및 그 위치검출장치를 구비하는 렌즈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평11-352384호 공보 및 특허공개 2003-177298호 공보에는, 기체(상자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이동체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 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위치검출장치에 있어서는, 기체에 MR센서를 설치하고, 기체에 대하여 회전 이동하는 이동체에 자기스케일을 설치하고, 기체에 대한 이동체의 회전위치나 변위를 검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상자체)(4)에 대하여 이동체(9)가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 자기스케일(27)과 MR센서(29)로 이동체의 위치검지를 행할 때에는, MR센서(29)는 자기스케일의 이동방향 길이 P의 거의 중앙에 판독 포인트 m이 있기 (도 7(a), (b) 참조) 때문에, 자기스케일(27)의 이동방향의 한 끝부(31)(도 7(a))와 다른 끝부(33)(도 7(e) 참조)를 검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9)에 대하여 기체(4)의 길이를 길게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기체의 길이 T는, 자기스케일(27)에 있어서의 이동방향 길이 Y의 2배의 길이로부터, 자기스케일의 끝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guard) 영역(클리어런스 영역)의 치수 W의 2배를 뺀 치수가 필요하게 된다(도 7(a), (e) 참조). 즉, T>2×(Y-W)이며, W는 일반적으로 0.5 mm 정도의 극히 작은 치수이기 때문에, 기체의 길이 T는 자기스케일 길이 Y의 약 2배가 필요하게 된다. 기체의 길이 T가, 자기스케일 길이 Y의 2배 이하인 경우에는, 도 7(a),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스케일(27)의 비어져 나온 부분이 생긴다고 하는 불합리가 일어난다.
한편, 이동체가 직선 이동하는 위치검출장치에 있어서 소형화의 요청이 매우 높지만, 기체의 길이는 자기스케일에 있어서의 이동방향 길이의 약 2배의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체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도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기체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고정한 자기스케일과, 기체에 고정한 복수의 MR센서를 구비하고, 자기스케일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자극을 서로 번갈아 착자한 착자면을 가지고 있고, 복수의 MR센서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하고 있어, 이동체가 이동하면 복수의 MR센서가 대치하는 자기스케일의 자극을 차례로 검지해서 출력신호를 발함으로써 기체에 대한 이동체의 직선 이동변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기체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고정한 복수의 자기스케일과, 기체에 고정한 복수의 MR센서를 구비하고, 각 자기스케일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자극을 서로 번갈아 착자한 착자면을 가지고 있고, MR센서는 대치하는 자기스케일의 자기를 검지해서 출력신호를 발함으로써 기체에 대한 이동체의 직선 이동변위를 검출하고 있으며, 복수의 MR센서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어, 이동체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하나의 자기스케일이 하나의 MR센서에 대치한 후에, 다른 자기스케일이 다른 MR센서에 대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자기 스케일 및 복수의 MR센서가, 각각 이동체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설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MR센서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일부가 겹쳐져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하나의 자기스케일의 한 끝부가 하나의 MR센서의 검지위치에 있을 때, 다른 자기 스케일의 다른 끝부는 다른 MR센서의 검지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한 위치검출장치의 이동체는 렌즈를 보유함과 동시에 코일을 가지고, 기체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배치한 마그넷 및 요크를 가지고, 코일은 마그넷 및 요크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어, 코일에 통전해서 생기는 전자력에 의하여 이동체를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광학 줌용의 제1렌즈를 보유하는 제1이동체와, 포커스렌즈를 보유하는 제2이동체와, 광학 줌용의 제3렌즈를 보유하는 제3이동체를 구비하고, 이들 이동체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직렬로 배치해 있어, 기체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평행으로 배치한 2조의 마그넷 및 요크를 가지고, 제1이동체와 제3이동체가 각각 한쪽의 조(組)의 마그넷 및 요크에 대향해서 배치한 코일을 가지고, 제2이동체가 다른쪽의 조의 마그넷 및 요크에 대향해서 배치한 코일을 가지고, 각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각 이동체를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고, 제2이동체와 기체에 청구항 4에 기재한 위치검출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렌즈구동장치를 탑재한 소형 카메라의 세로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소형 카메라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MR센서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자기스케일의 자극면의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렌즈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제2이동체를 뽑아서 나타내고, 제2이동체의 이동 시점 (a)와 종점 (e)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한 세로단면도이며, 도 5는 제2이동체의 이동 시점 (a)로부터 종점 (e)까지의 움직임을 모식적(模式的)으로 설명한 개략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소형화 카메라(1)는, 휴대전화에 조립되는 줌 부착 오토포커스 카메라이며, 촬상소자(撮像素子) 기판(3)과 렌즈구동장치(5)를 구비하고 있어, 렌즈구동장치(5)의 렌즈를 통과한 화상을 촬상소자(3a)에 결상(結像)하도록 되어 있다.
렌즈구동장치(5)는, 광학 줌용의 제1렌즈(7a)를 보유하는 제1이동체(7)와, 포커스 렌즈(9a)를 보유하는 제2이동체(9), 광학 줌용의 제3렌즈(11a)를 보유하는 제3이동체(11)를, 촬상소자 기판(3)쪽으로부터 피사체쪽으로 향해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제1∼제3이동체(7, 9, 11)에는, 각각 렌즈(7a, 9a, 11a)를 보유하는 홀더(13)에 전자코일(15)이 부착되어 있고, 제1 및 제3이동체(7, 11)는, 기체(상자체)(4)에 설치한 제1마그넷(17)과 제1요크(19)에 대하여 각각 전자코일(15)에 통전하였을 때의 전자력으로 이동방향 X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이동체(9) 는 제1요크(19)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제2요크(21) 및 제2마그넷(23)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이며, 전자코일(15)에 통전하였을 때의 전자력으로 이동방향 X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이동체(7, 9, 11)의 홀더(13)는, 이동방향 X에 따라서 설치한 가이드(25)(도 2 참조)에 맞물려서 이동이 안내를 받고 있다.
제1이동체(1) 및 제3이동체(7, 11)에는 1개의 자기스케일(27)이 고정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이동체(9)에는 좌우에 1개씩 합계 2개의 자기스케일(27a, 27b)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자체(4)에는, 제1 및 제3이동체(7, 11)의 위치를 검지하는 MR센서(29)가, 각각 제1 및 제3이동체(7, 11)에 고정한 각 자기스케일(27)의 이동 범위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4)에는,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이동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병렬한 위치에서 또한 이동체(9)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1개씩 합계 2개의 MR센서(29a, 29b)가 고정되어 있고, 제2이동체(9)의 자기스케일(27a, 27b)도 2개의 MR센서(29a, 29b)에 대응해서 홀더(13)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자기스케일(27, 27a, 27b)과 MR센서(29, 29a, 29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자기스케일(27, 27a, 27b)에는,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있어, 각각 N극, S극의 자극이 폭 E로 서로 번갈아 착자(着磁)되어 있고, 끝(端)까지 착자되어 있지만, 끝부는 규정한 착자 폭을 취할 수 없으므로, 가드 영역(클리어런스) W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각 MR센서(29, 29a, 29b)는, 2개의 검지 회로를 구비하고 있어, 자기스케일의 자극이 이동하면 각 회로의 전압이 변화함으로써, 이동한 자극의 전압변화를 사인파형과 코사인파형으로 출력하고, 이들 파형을 비교함으로써, 자기스케일의 이동량과 이동방향(왕복)을 검지하는 것이다. MR센서(29, 29a, 29b)의 회로는 일정한 폭 P를 필요로 하고 또한 검지부 m은 그 중앙부분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제1∼제3이동체(7, 9, 11) 중에서 가장 이동량이 많은 제2이동체(9)의 위치검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이동체(9)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위치에 2개의 자기스케일(27a, 27b)을 부착하고 있어, 자기스케일(27a, 27b)은, 홀더(13)와 마주 대하는 한편쪽과 다른편쪽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4)에는, 각 자기스케일(27a, 27b)에 대향하는 MR센서(29a, 29b)가 고정되어 있다. MR센서(29a, 29b)는,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 X(도 1 참조) 방향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제2이동체(9)가 한 방향(촬상소자쪽)에 있을 때 한쪽의 MR센서(29a)는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에 대치해서 이동하고,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이 한쪽의 MR센서(29a)를 통과해서 다른쪽(피사체쪽)으로 이동하면, 다른쪽의 MR센서(29b)에 다른쪽의 자기스케일(27b)이 대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MR센서(29a)와 다른쪽의 MR센서(29b)는,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평행으로 위치하는 동시에, 한쪽의 MR센서(29a)의 한 끝부(31)와 다른쪽의 MR센서(29b)의 다른 끝부(33)는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일부가 겹쳐져 연속하고 있다(도 4 및 도 5(c) 참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4)와 제2이동체(9)는 플렉시블 배선 케이 블(35)로 접속되어 있고,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35)은 제2이동체(9)에 설치한 전자코일(15)로 통전이나 제어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35)이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4)가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 X에 있어서의 길이(이하 「길이」라고 할 때는 X 방향의 치수를 말한다) T가 8.5 mm이고, MR센서(29a, 29b)는 길이 P의 중간위치 m에 검지부가 있으며, 길이 P는 약 3.5 mm이다(도 5(a) 참조). 또한, 각 자기스케일(27a, 27b)의 길이 Y는 6 mm이며, 하나의 자극 N(또는 S)의 착자 길이(착자 폭) E는 0.4mm로 가드영역 W는 0.5mm이었다(도 3 참조).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주로, 본 발명의 특징부분인 제2이동체(9)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a)는 제2이동체(9)가 가장 촬상소자쪽에 있는 시점에 위치하고, (e)는 제2이동체(9)가 가장 피사체쪽에 있는 종점에 위치하고 있다. 제2이동체(9)는 (a)의 시점과 (e)의 종점 사이를 왕복 이동이 가능하지만, (a)의 시점으로부터 (e)의 종점까지의 이동을 설명한다. (a)의 시점에서는,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의 한 끝부(41)가 한쪽의 MR센서(29a)의 검지부(중간점) m을 다른편쪽을 넘어서 위치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MR센서(29a)는 자기스케일(27a)을 검지하고 있다.
이 제2이동체(9)의 자기스케일(27a, 27b)의 움직임과 MR센서(29a, 29b)의 위치 검지와의 관계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2이동체(9)에 설치한 2개의 자기스케일(27a, 27b)과, 2개의 MR센서(29a, 29b) 및 코일(15)과의 관계를 모 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5의 (a)는 도 4의 (a)에 대응하고 있으며, 도 5의 (e)는 도 4의 (e)에 대응하고 있다.
시점 (a)에서는, 한쪽의 MR센서(29a)만이 자기스케일(27a)의 한 끝부(41)를 검지하고 있으나, 다른쪽의 MR센서(29b)는 자기스케일(27b)을 검지하고 있지 않다. 이 시점 (a)로부터 제2이동체(9)가 종점방향(피사체쪽)으로 이동하면, (b)에서는, 다른쪽의 MR센서(29b)에 다른쪽의 자기스케일(27b)이 일부 겹쳐져 대치하고 있지만, 다른쪽의 MR센서(29b)의 검지부 m으로까지 자기스케일(27b)이 도달하고 있지 않음으로, (b)에서도 한쪽의 MR센서(29a)만이 제2이동체(9)의 위치를 검지한다.
중간위치의 (c)에서는, 한쪽의 MR센서(29a)에서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의 다른 끝부(43)를 검지하고 있는 동시에 다른쪽의 MR센서(29b)에서도 다른쪽의 자기스케일(27b)의 한 끝부(45)의 검지를 개시(開始)하므로, 양쪽의 MR센서(29a, 29b)로 제2이동체(9)의 위치를 검지한다.
(d)에서는, 한쪽의 MR센서(29a)가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을 검지하지 못하고, 다른쪽의 MR센서(29b)만이 다른쪽의 자기스케일(27b)을 검지하게 되므로, 다른쪽의 MR센서(29a)만이 위치 검지를 하게 된다.
(e)는 (d)의 상태인 채로 제2이동체(9)가 종점에 도달한다.
또한, 제1이동체(7) 및 제3이동체(11)는, 이동 거리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MR센서(29)와 대응하는 하나의 자기스케일(27)로 각각 위치 검지를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MR센서(29a, 29b)는,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 X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병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자기스케일(27a, 27b)은 다른 MR센서(29a, 29b)에서 차례로 검지된다. 따라서,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의 시점에 있는 MR센서(29a)에서는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의 한 끝부(41)를 검지하고, 종점쪽에 있는 MR센서(29b)에서는 다른쪽의 자기스케일(27b)의 다른 끝부(47)를 검지하므로, MR센서와 자기스케일이 각각 한 개로 위치 검지를 하는 경우(도 7)와 비교해서, 자기스케일(27a, 27b)의 각 길이 Y를 짧게 할 수 있고, 시점 위치와 종점 위치에 있는 자기스케일의 MR센서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 H가 짧아지므로, 기체(4)의 길이 치수 T를 짧게 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이동체(9)의 위치를 검지하는 2개의 MR센서(29a, 29b)는,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일부가 겹쳐져 연속되고 또한 한쪽의 자기스케일(27a)의 다른 끝부(43)가 한쪽의 MR센서(29a)의 검지 위치에 있을 때, 다른쪽의 자기스케일(27b)의 한끝(45)은 다른쪽의 MR센서(29b)의 검지 위치에 있으므로(도 5(c) 참조), 자기스케일(27a, 27b)의 위치 검지를 중단하는 일이 없이 연속적으로 할 수 있고, 위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1∼제3이동체(7, 9, 11)의 직선 이동은 마그넷(17, 23) 및 요크(19, 21)와, 코일(15)로 생기는 자력으로 이동하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또한 소형의 렌즈구동장치(5)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이동체(7)와 제3이동체(11)의 2개의 이동체의 조합에 의하여 광학 줌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한 개의 광학 렌즈를 보유하는 이동체의 이동으로 줌을 실행할 경우와 비교해서, 같은 배율을 얻을 경우에 각 이동체(7, 11)의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광학 줌 부착 오토포커스 카메라에 있어서의 렌즈구동장치(5)를 작게 할 수 있다.
각 MR센서(29, 29a, 29b)는 기체(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MR센서의 신호를 기체(4)로부터 도출할 수 있고, 각 이동체(7, 9, 11)와 기체(4)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35)에 MR센서용 배선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35)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35)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그 부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의 (a)∼(e)는, 도 5의 (a)∼(e)에 나타내는 이동체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어,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2이동체(9)에 고정하는 자기스케일(27)을 한 개로 하고, 2개의 MR센서(29a, 29b)를 제2이동체(9)의 이동방향에 인접 배치해서 병렬하고 있는 점이,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자기스케일(27)이 한 개로 족하므로 구성이 간이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실시형태에 관한 제2이동체(9)의 위치 검지에 있어서, 자기스케일을 3개를 설치하는 동시에 한쪽 및 다른쪽의 MR센서(29a, 29b)와의 사이에 또 하나의 MR센서를 설치하여 합계 3개로 하여도 좋고, 자기스케일 및 MR센서의 수는 2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이동체(9)는, 렌즈구동장치에 있어서의 포커스렌즈를 지지하는 제2이동체의 위치 검지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광학 줌렌즈를 지지하는 제1이동체의 위치 검지에 사용하여도 좋으며, 또는 카메라에 한정하지 않고 리니어 이동하는 공작 기계의 이동체의 위치 검지에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MR센서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동체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체에 고정한 자기스케일은 다른 MR센서에서 차례로 검지된다. 따라서, 도 5 (a) 및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9)가 이동방향의 가장 한편쪽에 위치할 때에는, 이동방향 한편쪽에 있는 MR센서(29a)에서는 자기스케일(27a)(27)의 한 끝부(41)를 검지하고, 도 5 (e) 및 도 6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체(9)가 이동방향의 가장 다른편쪽에 위치할 때에는, 이동방향 다른편쪽에 있는 MR센서(29b)에서 자기스케일(27b)(27)의 다른 끝부(47)를 검지하므로, MR센서가 하나인 경우에 비교해서, 거의 MR센서 길이(이동체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P분(分)만큼 자기스케일의 길이 Y를 짧게 할 수 있고, 위치검지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자기스케일(27a, 27b)(27)이 비어져 나오는 일 없이 기체의 길이 치수 T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MR센서는, 인접 배치하지 않고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므로, 부착 위치의 자유도가 높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MR센서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일부가 겹쳐져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자기스케일의 위치 검지를 도중에 중단하는 일 없이 연속적으로 할 수 있고, 위치 검지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이동체의 직선 이동을 마그넷 및 요크와, 코일에서 생기는 전자력으로 이동하는 렌즈구동장치에 있어서, MR센서를 기체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기체와 이동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에 MR센서용의 배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렉시블 배선 케이블을 얇게 또한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제1이동체와 제3이동체의 2개의 이동체에 의하여 광학 줌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광학 줌렌즈를 보유하는 이동체의 이동으로 줌을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같은 배율을 얻는 경우에 각 이동체의 이동량을 적게 하여, 광학 줌 부착 오토포커스 카메라에 있어서의 렌즈구동장치를 작게 할 수 있다.
포커스 렌즈를 보유하는 제2이동체의 이동량이 제1 및 제3이동체와 비교해서 크기 때문에, 이동량이 큰 제2이동체에만 청구항 4에 기재한 위치검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기체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고정한 자기스케일과, 기체에 고정한 복수의 MR센서를 구비하고, 자기스케일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자극을 서로 번갈아 착자한 착자면을 가지고 있고, 복수의 MR센서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하고 있으며, 이동체가 이동하면 복수의 MR센서가 대치하는 자기스케일의 자극을 차례로 검지해서 출력신호를 발함으로써 기체에 대한 이동체의 직선 이동변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장치.
  2. 기체와,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고정한 복수의 자기스케일과, 기체에 고정한 복수의 MR센서를 구비하고, 각 자기스케일은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이한 자극을 서로 번갈아 착자한 착자면을 가지고 있고, MR센서는 대치하는 자기스케일의 자기를 검지해서 출력신호를 발함으로써 기체에 대한 이동체의 직선 이동변위를 검출하고 있으며, 복수의 MR센서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 병렬해서 배치해 있고, 이동체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하나의 자기스케일이 하나의 MR센서에 대치한 후에, 다른 자기스케일이 다른 MR센서에 대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자기스케일 및 복수의 MR센서는, 각각 이동체를 사이에 두고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MR센서는, 이동체의 이동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일부가 겹쳐져 이웃해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하나의 자기스케일의 한 끝부가 하나의 MR센서의 검지 위치에 있을 때, 다른 자기스케일의 다른 끝부는 다른 MR센서의 검지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검출장치.
  5. 청구항4 에 기재한 위치검출장치의 이동체는 렌즈를 보유함과 동시에 코일을 가지며, 기체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배치한 마그넷 및 요크를 가지고, 코일은 마그넷 및 요크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코일에 통전해서 생기는 전자력에 의하여 이동체를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6. 광학 줌용의 제1렌즈를 보유하는 제1이동체와, 포커스 렌즈를 보유하는 제2이동체와, 광학 줌용의 제3렌즈를 보유하는 제3이동체를 구비하고, 이들 이동체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직렬로 배치되어 있고, 기체는 이동방향에 따라서 평행으로 배치한 2조의 마그넷 및 요크를 가지고, 제1이동체와 제3이동체가 각각 한쪽의 조의 마그넷 및 요크에 대향해서 배치한 코일을 가지고, 제2이동체가 다른쪽의 조의 마그넷 및 요크에 대향해서 배치한 코일을 가지고, 각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각 이동체를 기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고, 제2이동체와 기체에 청구항 4에 기재한 위치검출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KR1020060034323A 2006-03-24 2006-04-15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20070096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2460A JP2007256144A (ja) 2006-03-24 2006-03-24 位置検出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JPJP-P-2006-00082460 2006-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19A true KR20070096719A (ko) 2007-10-02

Family

ID=3863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323A KR20070096719A (ko) 2006-03-24 2006-04-15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256144A (ko)
KR (1) KR20070096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42A1 (ko) * 2020-12-07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식 줌을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2878A (ja) * 2008-03-14 2009-10-01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757B2 (ja) * 1991-10-01 2001-05-08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カメラのレンズ位置検出装置
JP3511817B2 (ja) * 1996-10-29 2004-03-29 ソニー・プレシジョ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JPH10170211A (ja) * 1996-12-13 1998-06-26 Canon Inc 位置検出装置及びレンズ位置制御装置
JPH10239105A (ja) * 1997-02-28 1998-09-11 Sony Precision Technol Inc 磁気スケール装置
JPH10318791A (ja) * 1997-05-14 1998-12-04 Sony Precision Technol Inc スケール装置
JPH11352384A (ja) * 1998-06-12 1999-12-24 Minolta Co Ltd レンズ制御装置
JP2000039303A (ja) * 1998-07-23 2000-02-08 Canon Inc 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方法
JP2000266984A (ja) * 1999-03-17 2000-09-29 Sony Corp カメラのレンズ移動装置
JP2000356733A (ja) * 1999-06-15 2000-12-26 Sony Corp カメラ装置
JP2003177298A (ja) * 2001-12-12 2003-06-27 Canon Inc 変位検出装置、該変位検出装置を用いた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525081B2 (ja) * 2004-01-16 2010-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リニアエンコーダを用いたタンデム装置
JP2006010568A (ja) * 2004-06-28 2006-01-12 Canon Inc 位置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642A1 (ko) * 2020-12-07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식 줌을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56144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65876B (zh) 驱动设备、图像模糊校正设备以及摄像设备
US20050232094A1 (en) Driving device and an optical apparatus
JP2007128072A (ja) 光学装置
US11029480B2 (en) Lens guide device, lens mov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EP1942317A1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KR20190076541A (ko)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KR20070121522A (ko) 위치 결정 장치, 떨림 보정 장치 및 전자 기기
JP3750251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12208063A (ja) 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US8830604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JPH08275500A (ja) リニアモータ
JP448395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573361B2 (en) Solenoid actuator and biaxial actuator
JP2011237507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KR20070096719A (ko) 위치검출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100306448B1 (ko) 리니어액추에이터와이것을사용한광학기기
JP2009230025A (ja) コイル駆動ユニット、ブレ補正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7009167B2 (ja) 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る光学機器及びレンズ鏡筒
JP2010191331A (ja) レンズ駆動装置
US20230209197A1 (en) Sensor shifting actuator
JP5078840B2 (ja) レンズ位置検出装置及びレンズ装置
CN114244980B (zh) 摄像模组与长行程摄像结构
US7480449B2 (en) Image detection module
JP6368185B2 (ja) 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センサ及びその位置センサを用いた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制御装置
JP3488845B2 (ja) リニア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