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550A -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550A
KR20070095550A KR1020060025825A KR20060025825A KR20070095550A KR 20070095550 A KR20070095550 A KR 20070095550A KR 1020060025825 A KR1020060025825 A KR 1020060025825A KR 20060025825 A KR20060025825 A KR 20060025825A KR 20070095550 A KR20070095550 A KR 2007009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ontainer
molded body
mol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114B1 (ko
Inventor
조철환
Original Assignee
조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환 filed Critical 조철환
Priority to KR102006002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1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58Mechanical joint or hinge made up of seve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재(숯)를 압축성형하여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판형의 탄소성형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탄소성형체를 주방용기용 금형 중 내측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금형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남은 반대쪽 탄소성형체의 통공에 제조하고자 하는 용기본체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는 지지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탄소성형체에 삽입된 지지구의 끝단이 상부금형에 밀착되도록 주방용기용 금형을 모두 조립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용기부가 제조된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주방용기는 열원으로서 가스 렌지의 불꽃 뿐만 아니라 인덕션 렌지의 전열선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두 렌지와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탄소성형체를 통해 열원에 대한 축열성을 향상시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탄소성형체를 사용함에 따라 용기의 중량감을 현저하게 줄여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다.
용기부, 용기본체, 고정턱, 탄소성형체, 통공, 삽입공, 절단부, 고정구

Description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A kitchen utensils of having a carbon form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후라이팬에 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a와 1b를 통해 제조된 후라이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라이팬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용기부
11 : 용기본체 12 : 고정턱
15 : 탄소성형체 16 : 통공
17 : 삽입공 18 : 절단부
20 : 고정구
21 : 삽입부 22 : 걸림부
23 : 밀착부
30 : 손잡이
100 : 하부금형
101 : 걸림돌기
200 : 측면금형
201 : 주입구
300 : 상부금형
본 발명은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탄소재(숯)를 압축성형하여 제작된 탄소성형체가 장착되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의 구분없이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밥솥류, 냄비류, 고기구이판, 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들은 그 기능상 내열성 및 내구성을 요구하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 또는 세라믹을 재질로 제작되며, 그 용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상을 갖기는 하나 내용물을 담아 조리하기 위한 용기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주방용기는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용기와 인덕션 렌지에 사용되는 용기가 그 구성에서 차이가 있는데, 가스 렌지용 주방용기의 경우 용기부가 가스렌지의 불꽃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내열성과 열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는 반면에,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는 최소한 인덕션 렌지의 그릴에 닿는 부분, 즉 밑바닥에 자성을 갖는 철(Fe)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비된 렌지에 따라 그에 맞는 주방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렌지(예를 들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주방용기를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주방용기들은 가스 렌지나 인덕션 렌지에 놓고 조리하는 과정에서 열원인 불꽃 또는 코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는 그 가열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부의 바닥면을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열이 용기바닥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전도되는 동안 충분한 확산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용기부의 바닥부를 필요 이상보다 두껍게 형성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용기의 무게를 증강시켜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불필요한 원료 낭비로 인한 재료비용 및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경우 바닥 부분이 알루미늄제 보강판을 비롯하여 도금강판 등이 적층되어 있어 가스 렌지용 주방용기에 비하여 중량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 심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 탄소재(숯)를 압축성형하여 제작된 탄소성형체가 장착되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의 구분없이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열성을 향상시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벌 또는 세벌로 구성된 주방용기용 금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탄소재(숯)를 압축성형하여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판형의 탄소성형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탄소성형체를 주방용기용 금형 중 내측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금형에 밀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하부금형의 고정돌기는 탄소성형체의 통공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있어 통공 내에 여유공간을 두고 끼워지도록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남은 반대쪽 탄소성형체의 통공에 제조하고자 하는 용기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는 지지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탄소성형체에 삽입된 지지구의 끝단이 상부금형에 밀착되도록 주방용기용 금형을 모두 조립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용기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적용대상인 주방용기 중 대표적으로 후라이팬을 대상으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는 하나, 다만 본 발명의 적용이 후라이팬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밥솥류, 냄비류, 고기구이판 등과 같은 다른 주방용기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후파이팬에 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a와 1b를 통해 제조된 후라이팬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라이팬을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탄소재(숯)를 압축성형하여 판형의 탄소성형체(15)를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탄소성형체(15)를 압축성형한 후 그 중앙부에는 그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16)을 천공작업을 통해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탄성성형체(15)를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주방용기에 장착하기 위하여 주방용기용 금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방용기용 금형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두벌 또는 세벌로 구성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다.
다만, 본 발명의 후라이팬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방용기용 금형은 용기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금형(100)과, 용기의 둘레를 형성하는 측면금형(200), 용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금형(300)으로 구성된 세벌 금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탄소성형체(15)를 상기한 세벌 금형 중 하부금형(100)에 밀착되게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하부금형(100)의 내측 바닥면 중앙부에는 소정에 고정돌기(10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101)에 탄소성형체(15)의 통공(16)을 삽입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금형(100)에 구비된 고정돌기(101)는 삽입되는 통공(16)의 내부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고 있어, 통공(16) 내에 고정돌기(101)가 끼워진 후에도 그 반대쪽에는 소정의 여유공간이 남아있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101)가 삽입되고 남은 반대쪽 탄소성형체(15)의 통공(16)에 제조하고자 하는 용기본체(11)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는 지지구(20)를 삽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구(20)는 탄소성형체(15)의 통공(16)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통공(16) 상단에 걸려지도록 확장된 넓이를 갖는 걸림부(22), 원뿔형을 이루며 그 끝단이 상부금형(300)과 밀착되는 밀착부(23)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15)으로 부터 돌출된 걸림부(22)와 밀착부(23)의 전체 길이는 제 조하고자 하는 용기본체(11)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하나, 지지구(20)의 밀착부(23)를 원뿔형으로 형성하여 상부금형(300)의 압착에 의해 그 끝단이 찌그러지도록 함으로서 고정구(20)의 돌출길이를 제조하고자 하는 용기본체(11)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구(20)가 탄소성형체(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00)과 측면금형(200), 상부금형(300)을 조립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구(201)를 통하여 주입하고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용기본체(11)를 주조한다.
이와 같이 모든 금형이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금형(100)에 장착된 탄소성형체(15)는 지지구(20)의 끝단이 상부금형(300)에 밀착됨에 따라 단단하게 고정이 되며, 따라서 금형 내에 용융금속이 주입시 탄소성형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소성형체와 하부금형 사이에 용융금속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 정확한 치수의 제품제작이 가능하고 불량품의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성형체(15)의 무게 또는 크기를 고려하여 금형 내에 좀 더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구(20)의 갯수를 늘릴 수 있으며, 이에 탄소성형체(15)의 상단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셋 이상의 삽입공(17)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7)에 전술한 것과 동일한 지지구(20)를 삽입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탄소성형체(15)의 통공(16)에는 지지구(20)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탄소성형체(15)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게 절단된 절단부(18)를 형성하고 다이캐스팅 공법을 통해 용기로 제작하게 되면, 상기 절단부(18)에 용융금속이 채워져 용기본체(11)에 탄소성형체(15)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턱(12)을 고정수단으로 제공하여 더욱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후라이팬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계를 거쳐 제작된 본 발명의 주방용기는 조리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1)가 있고, 상기 용기본체(11)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턱(12)에 의해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용기부(10)를 포함하고 있다.
미설명부호인 (30)은 손잡이(30)로서 제작하고자 하는 주방용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며, 그 갯수와 모양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는 열원으로서 가스 렌지의 불꽃 뿐만 아니라 인덕션 렌지의 전열선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두 렌지와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용기를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비용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인덕션 렌지에 대한 열전도성을 높이기 위하여 탄소성형체를 제작시 철 성분을 추가적으로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방용기는 탄소성형체를 통해 열원에 대한 축열성을 향상시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탄소성형체를 사용함에 따라 용기의 중량감을 현저하게 줄여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다.
아울러, 탄소성형체의 구성성형분인 탄소재(숯)은 탈취, 살균, 항미, 원적외선 효과, 적당한 온·습도 유지, 악취의 제거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 여러 논문과 종래기술에서 입증된 바, 이러한 효과도 함께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는 열원으로서 가스 렌지의 불꽃 뿐만 아니라 인덕션 렌지의 전열선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두 렌지와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용기를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비용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성형체를 통해 열원에 대한 축열성을 향상시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탄소성형체를 사용함에 따라 용기의 중량감을 현저하게 줄여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5)

  1. 두벌 또는 세벌로 구성된 주방용기용 금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탄소재(숯)를 압축성형하여 중앙부에 통공을 갖는 판형의 탄소성형체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탄소성형체를 주방용기용 금형 중 내측 바닥면 중앙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금형에 밀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하부금형의 고정돌기는 탄소성형체의 통공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있어 통공 내에 여유공간을 두고 끼워지도록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고 남은 반대쪽 탄소성형체의 통공에 제조하고자 하는 용기본체의 두께와 동일한 돌출길이를 갖는 지지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탄소성형체에 삽입된 지지구의 끝단이 상부금형에 밀착되도록 주방용기용 금형을 모두 조립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다이캐스팅 공법에 의해 용기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탄소성형체의 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통공 상단에 걸려지도록 확장된 넓이를 갖는 걸림부, 원뿔형을 이루며 그 끝단이 상부금형과 밀착되는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성형체가 장착 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소성형체의 상단에 대칭을 이루는 셋 이상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에 지지구가 추가적으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소성형체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되게 절단된 절단부를 형성하여 제작된 용기부에 탄소성형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5. 조리물을 담아 조리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가 있고,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고정턱에 의해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KR1020060025825A 2006-03-21 2006-03-21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6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825A KR100764114B1 (ko) 2006-03-21 2006-03-21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825A KR100764114B1 (ko) 2006-03-21 2006-03-21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550A true KR20070095550A (ko) 2007-10-01
KR100764114B1 KR100764114B1 (ko) 2007-10-08

Family

ID=3880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825A KR100764114B1 (ko) 2006-03-21 2006-03-21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19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서전테크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297048B1 (ko) * 2021-03-22 2021-09-02 윤병찬 인덕션 레인지용 도자기 용기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823A (ja) * 1994-10-11 1996-04-30 Toyo Tanso Kk な べ
KR20000067365A (ko) * 1999-04-23 2000-11-15 노병오 탄소판을 밑판으로 이용한 솥남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19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서전테크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297048B1 (ko) * 2021-03-22 2021-09-02 윤병찬 인덕션 레인지용 도자기 용기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114B1 (ko) 200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200487910Y1 (ko) 구이불판 지지용 언더렌지 겸용 인덕션 조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
KR100764114B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97287Y1 (ko) 구이용 불판
JP2006204907A (ja) 型成形された塩を用いた調理用具
KR200422604Y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KR20090006658U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주방용기
KR200422826Y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고기구이판
JP3126629U (ja) 炭素成型体が装着されたセラミック調理器具
KR200422603Y1 (ko) 인덕션 렌지 겸용 주방용기
JP3125898U (ja) 炭素成型体が装着された調理器具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0413993Y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3126625U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兼用調理器具
KR200264170Y1 (ko) 붕어빵 구이판을 겸비한 후라이팬
KR200423000Y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세라믹 주방용기
KR200448036Y1 (ko) 조리기구용 덮개
JPH03176006A (ja) 調理器具
KR200191921Y1 (ko) 고기구이판
KR100799742B1 (ko)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20120008594U (ko) 부침개 틀
KR200179561Y1 (ko) 이중 구이판
CN210354309U (zh) 一种晾置食材的涮烤火锅
KR200248113Y1 (ko) 조리용기
CN101474035B (zh) 防油烟炊具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