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742B1 -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742B1
KR100799742B1 KR1020060136901A KR20060136901A KR100799742B1 KR 100799742 B1 KR100799742 B1 KR 100799742B1 KR 1020060136901 A KR1020060136901 A KR 1020060136901A KR 20060136901 A KR20060136901 A KR 20060136901A KR 100799742 B1 KR100799742 B1 KR 10079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er container
manufacturing
kitchen
bottom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환
Original Assignee
조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철환 filed Critical 조철환
Priority to KR102006013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용기의 바닥면에 엠보싱가공을 통해 내부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돌기가 형성된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열전도성 분말을 돌기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삽착가능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 내부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용기의 돌기가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서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고압의 전류를 도입하고 통전시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전기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용접에 의해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일체화되어 이중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상단을 연삭의 가공을 통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로 구성된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주방용기는 그 재질로서 강판을 사용하여 가스 렌지의 불꽃에 대해서 열전도성을 가짐은 물론 인덕션 렌지의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종래 철재용기가 갖는 부분연화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내부에는 축열성을 갖는 열전도성 물질이 충진되어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강판을 사용함에 따라 용기의 중량감을 현저하게 줄여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다.
용기부, 용기본체, 고정턱, 탄소성형체, 통공, 삽입공, 절단부, 고정구

Description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kitchen utensils of having a double steel sheet }
도 1은 본 발명의 후라이팬에 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후라이팬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용기부
10 : 외부용기
11 : 돌기
20 : 열전도성 분말
30 : 내부용기
2 : 손잡이
본 발명은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의 구분없이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 니라, 바닥면의 두께 증강없이 축열성을 향상시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밥솥류, 냄비류, 고기구이판, 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들은 그 용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상을 갖기는 하나 내용물을 담아 조리하기 위한 용기부를 갖고 있다.
최초 주방용기는 그 재료로서 철재용기를 사용하였으나, 철재용기의 경우 비교적 중량이 무거워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고 열전도율은 좋으나 전단율이 낮기 때문에 조리시 조리물의 부분탄화가 발생하게 되며, 장시간 사용시 부분연화가 일어나 바닥면의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최근에는 내열성 및 내구성이 좋고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 또는 세라믹을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주방용기는 가스 렌지에 사용되는 용기와 인덕션 렌지에 사용되는 용기가 그 구성에서 차이가 있는데, 가스 렌지용 주방용기의 경우 용기부가 가스렌지의 불꽃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내열성과 열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는 반면에,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는 유도가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인덕션 렌지의 그릴에 닿는 부분, 즉 밑바닥에 자성을 갖는 철(Fe)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비된 렌지에 따라 그에 맞는 주방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렌지(예를 들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모두 사용하는 경 우에는 그에 따른 주방용기를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주방용기들은 렌지에 놓고 조리하는 과정에서 열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는 그 가열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용기부의 바닥면을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하여 열이 용기바닥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전도되는 동안 충분한 확산이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용기부의 바닥부를 필요 이상보다 두껍게 형성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용기의 무게를 증강시켜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불필요한 원료 낭비로 인한 재료비용 및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특히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경우 바닥 부분이 도금강판 등이 적층되어 있어 가스 렌지용 주방용기에 비하여 중량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 심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의 구분없이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두께 증강없이 축열성을 향상시켜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내부용기 및 외부용기가 이중으로 구성된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용기의 바닥면에 엠보싱가공을 통해 내부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돌기가 형성된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열전도성 분말을 돌기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삽착가능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 내부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용기의 돌기가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서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고압의 전류를 도입하고 통전시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전기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용접에 의해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일체화되어 이중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상단을 연삭의 가공을 통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적용대상인 주방용기 중 대표적으로 후라이팬을 대상으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는 하나, 다만 본 발명의 적용이 후라이팬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밥솥류, 냄비류, 고기구이판 등과 같은 다른 주방용기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후라이팬에 대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된 후라이팬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라이팬을 제작하기 위하여, 먼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서로 그 내부에 삽착가능한 강판 재질의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30)를 준비한다. 이러한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30)는 강판을 프레스성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준비된 외부부용기(10)를 (a)와 같이 엠보싱가공에 의한 압력을 가하여 내부방향으로 (b)와 같이 다수의 엠보싱형 돌기(11)를 형성시킨다.
그 다음 단계로 (c)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11)가 형성된 외부용기(10)의 내부 바닥면에 열전도성 분말(20)을 돌기(11)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충진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돌기(11)의 높이에 1.2배의 높도록 열전도성 분말(20)을 충진시킨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열전도성 분말(20)은 열전도성이 높고 축열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분말체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그 예로서 나노 은이 함유된 세라믹 분말체, 나노 은이 함유된 탄소 분말체, 탄소나노튜브, 구리가 함유된 탄소나노튜브, 질화규소와 탄소 혼합 분말체, 세라믹과 탄소 혼합 분말체, 결정형태의 그라 파이트, 세라믹이 혼합된 그라파이트, 나노 금이 혼합된 그라파이트, 나노 은이 혼합된 그라파이트, 구리가 혼합된 그라파이트, 인조 다이아몬드 파우더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열전도성 분말(20)이 충진된 외부용기(10)의 내부에 전술한 내부용기(30)를 안착시킨 다음, (d)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0)의 돌기(11)가 내부용기(30)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서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고압의 전류를 도입하고 통전시켜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30)를 전기용접한다.
상기한 전기용접을 통하여 외부용기(10)의 내측면과 내부용기(30)의 외측면은 몰론, 외부용기(10)의 돌기(11)가 내부용기(30)의 외부 바닥면과 접촉되어 일체화됨에 따라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전기용접에 의해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30)가 일체화되어 이중 구조를 갖는 용기부(1)의 상단을 (e)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연삭의 가공을 통하여 마무리함으로써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를 완성하게 된다.
미설명부호인 (2)은 손잡이(2)로서 제작하고자 하는 주방용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며, 그 갯수와 모양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는 그 재질로서 강판을 사용하여 열원으로서 가스 렌지의 불꽃 뿐만 아니라 인덕션 렌지의 전열선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두 렌지와 겸용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용기를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문 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방용기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종래 철재용기가 부분연화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중구조의 용기 내부에는 축열성을 갖는 열전도성 물질이 충진되어 있어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강판과 열전도성 분말체가 구성요소로 사용됨에 따라 용기의 중량감을 현저하게 줄여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는 그 재질로서 강판을 사용하여 가스 렌지의 불꽃에 대해서 열전도성을 가짐은 물론 인덕션 렌지의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에 대해서도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용기를 종류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철재용기가 갖는 부분연화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의 내부에는 축열성을 갖는 열전도성 물질이 충진되어 조리물이 국부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강판을 사용함에 따라 용기의 중량감을 현저하게 줄여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강판으로 이루어진 내부용기 및 외부용기가 이중으로 구성된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용기의 바닥면에 엠보싱가공을 통해 내부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돌기가 형성된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면에 열전도성 분말을 돌기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삽착가능한 내부용기를 외부용기 내부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용기의 돌기가 내부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게 서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고압의 전류를 도입하고 통전시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전기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용접에 의해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일체화되어 이중 구조를 갖는 용기부의 상단을 연삭의 가공을 통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분말은 나노 은이 함유된 세라믹 분말체, 나노 은이 함유된 탄소 분말체, 탄소나노튜브, 구리가 함유된 탄소나노튜브, 질화 규소와 탄소 혼합 분말체, 세라믹과 탄소 혼합 분말체, 결정형태의 그라파이트, 세라믹이 혼합된 그라파이트, 나노 금이 혼합된 그라파이트, 나노 은이 혼합된 그라파이트, 구리가 혼합된 그라파이트, 인조 다이아몬드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가스 렌지의 불꽃과 인덕션 렌지의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에 대해서 모두 열전도성을 갖고 있어 가스 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겸용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
KR1020060136901A 2006-12-28 2006-12-28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079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901A KR100799742B1 (ko) 2006-12-28 2006-12-28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901A KR100799742B1 (ko) 2006-12-28 2006-12-28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742B1 true KR100799742B1 (ko) 2008-02-01

Family

ID=3934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901A KR100799742B1 (ko) 2006-12-28 2006-12-28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7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57A (ko) * 2002-03-23 2003-09-29 박종도 이중 구조의 냄비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0585A (ko) * 2003-11-07 2003-11-28 백봉기 인덕션 레인지 겸용 주방용기
JP2008004033A (ja) * 2006-06-26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住宅用火災警報器、ワイヤレス住宅用火災警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57A (ko) * 2002-03-23 2003-09-29 박종도 이중 구조의 냄비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0585A (ko) * 2003-11-07 2003-11-28 백봉기 인덕션 레인지 겸용 주방용기
JP2008004033A (ja) * 2006-06-26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住宅用火災警報器、ワイヤレス住宅用火災警報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196B2 (en) Food cooking or warming apparatus with self-regulating inductor
CN201504978U (zh) 一种多功能节能锅
US20010005523A1 (en)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heating an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TWI466650B (zh) 鍋具及其製造方法
CN101233996A (zh) 电磁炉伴侣铁锅及其制造方法
JP2020531148A (ja) 誘導加熱可能な多層加熱調理支持体
KR20050053550A (ko) 주방용기
KR100799742B1 (ko) 강판 이중구조를 갖는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CN201899346U (zh) 一种电磁感应陶瓷炊具
KR20090006658U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주방용기
CN102415822A (zh) 两用厨具盖
JP2003250698A (ja) 電磁調理用容器
KR100764114B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7428916U (zh) 电磁炉用陶瓷锅
JP2003125928A (ja) 電磁調理器用調理容器
KR200422603Y1 (ko) 인덕션 렌지 겸용 주방용기
CN2712038Y (zh) 一种电磁炉陶瓷炊具
KR20100011345A (ko) 구이판 및 그 제조방법
JPH09140593A (ja) 調理用具
CN201019521Y (zh) 一种电压力锅
JP3126629U (ja) 炭素成型体が装着されたセラミック調理器具
CN218922288U (zh) 一种通过锅盖控制l底锅具平衡的可翘动的锅具
CN219396909U (zh) 一种石锅具电热锅
CN211883370U (zh) 一种饭煲套装
KR101307451B1 (ko) 경량 전기밥솥용 내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