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232A -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232A
KR20070095232A KR1020070026988A KR20070026988A KR20070095232A KR 20070095232 A KR20070095232 A KR 20070095232A KR 1020070026988 A KR1020070026988 A KR 1020070026988A KR 20070026988 A KR20070026988 A KR 20070026988A KR 20070095232 A KR20070095232 A KR 2007009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cover member
type cover
pushbutton module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오쿠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2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allowing an additional lateral movement, e.g. for 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0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 E05Y2900/2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for metal cabinets
    • E05Y299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는 소정의 부품을 지지하는 오목부와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와, 스루홀을 구비하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에 관통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한다.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를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할 수 있고,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상에서 회동 가능하다.
스윙형 덮개부재

Description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SWING LID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선의 실시예에서 스틸 카메라를 슬라이드 커버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의 슬라이드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의 확대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6은 스트랩의 일단부가 스트랩 감김부에 휘감긴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가 충전전지를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틸 카메라를 제 1의 지지법으로 손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스틸카메라를 제 2의 지지법으로 손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버튼 배치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 제 2의 누름버튼 모듈 및 버튼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버튼 배치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 제 2의 누름버튼 모듈 및 버튼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3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4는 제 1의 누름버튼 모듈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을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도 15는 제 1의 누름버튼 모듈의 계합 핀을 제 2의 누름버튼 모듈의 계합 구멍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의 제 1의 누름버튼 모듈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6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17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의 계합 핀을 제 2의 누름버튼 모듈의 계합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8은 지지 프레임, 스윙형 덮개부재, 지지 샤프트 및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규제부에 접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21은 스윙형 덮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불가능한 제 2의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2는 스윙형 덮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2의 위치로부터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가능한 제 1의 위치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3은 스윙형 덮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1의 위치에서 회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4는 스윙형 덮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본체에서 회동되어 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5는 스윙형 덮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6은 스윙형 덮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중인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27은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중에 발생되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8은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중에 발생되는 힘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9는 규제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스윙형 덮개부재 가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로 이동중에 발생하는 힘을 도시하는 개념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본 특허출원 JP2006-076545(2006.03.20)을 기초로 우선권 주장하여 출원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에 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 및 회동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전자기기에는,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수상기, 휴대 전화, 음향 기기 등의 각종의 장치가 존재하고,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는, 몸체에 소정의 부품, 예를 들면, 충전전지 등이 수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JP-UM-A-2-113895에 기재된 전자기기에 포함된 몸체내에 있는 오목부는 스윙형 덮개체에 의해 덮여진다. 스윙형 덮개체는 몸체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슬라이드되고, 계속해서 스윙형 덮개체가 몸체에 대해 회동되어 개방된다. JP-UM-A-2-113895에 기재된 전자기기의 스윙형 덮개체는 스윙형 덮개 본체와 금속판이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연결부재가 몸체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연결부재에 스윙형 덮개본체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 지되어 있다. 따라서, 개방되기 위해서는, 우선, 연결부재에 대해 스윙형 덮개 본체가 슬라이드되고, 뒤이어, 스윙형 덮개 본체와 연결부재가 일체로 몸체에 대해 회동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전자기기에서는, 스윙형 덮개체가 스윙형 덮개 본체와 연결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스윙형 덮개 본체가 연결부재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연결부재가 몸체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체 및 몸체를 포함하는 기구는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하여 연결부재를 형성하여야 하여 가공이 번거롭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는, 소정의 부품을 유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와; 스루홀을 갖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며,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를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고,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에서 회동 가능한 스윙형 덮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는 소정의 부품을 유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와; 스루홀을 갖 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며,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를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고,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에서 회동 가능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 각각에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지지 샤프트과 일체로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된다.
제 1의 양상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는, 소정의 부품을 지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와, 스루홀을 갖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며,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됨과 함께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에서 회동 가능하다.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및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스윙형 덮개부재가 지지 샤프트에 의해 몸체에 지지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의 양상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에서, 스윙형 덮개부재는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제 1의 위치 및 스윙형 덮개부재를 몸체에 대해 회동 불가능한 제 2의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코일 스프링 본체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 1 및 제 2의 암과 코일을 갖는 코일 스프링은 지지 샤프트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윙형 덮개부재는 코일 스프링의 제 1의 암부가 가압되는 스프링 지지부를 마련하고, 몸체는 스윙형 덮개부재가 적어도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가압되는 제 1의 유지면와,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에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1의 위치를 향해 가압되도록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을 가압하는 제 2의 유지면을 포함하는 정지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가능한 제 1의 위치로부터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불가능한 제 2의 위치까지 스윙형 덮개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윙형 덮개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의 전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에서, 몸체의 정지 돌출부는 제 2의 위치레서 스윙형 덮개부재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면을 가질 수 있고, 제 1 및 제 2의 유지면은 정지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면 및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을 받기 위한 유지면을 각각 형성할 필요가 없어,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가 간소하게 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에서, 상기 제 1의 유지면와 제 2의 유지면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제 1의 유지면와 제 2의 유지면 사이에 양자에 대해 경사하고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될 때에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활주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를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킬 때에는 작은 힘으로 스윙형 덮개부재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스윙형 덮개부재를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킬 때에는 스윙형 덮개부재에 대한 이동력을 슬라이드 시작 후의 초기 단계에서 부여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을 구비한 몸체; 스루홀을 구비한 스윙형 덮개부재 및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됨과 함께,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서 지지 사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및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로서 스틸 카메라를 들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스틸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나 다른 장치 등의 각종의 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스틸 카메라의 촬영시에 있어서 촬영자가 본 방향에서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사체측이 전방이 되고, 촬영자측이 후방이 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전후 상하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의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에 관해서는, 이들의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틸 카메라(1)는 몸체(2) 내에 소요되는 각 부분이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몸체(2)는 예를 들면, 가로로 길고 직사각형의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2)는 앞벽(2a), 뒷벽(2b), 윗벽(2c), 아랫벽(2d), 좌측벽(2e) 및 우측벽(2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단부(4)를 제외한 앞벽(2a)의 면이 지지 오목부(3)로서 형성된다. 지지 오목부(3) 및 우단부(4)의 각 면은 비스듬히 좌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늘어나는 단차부(5)에 의해 접속된다. 지지 오목부(3)의 상단부에는 촬영 렌즈(6), 플래시(7) 및 셀프타이머 렌즈(8)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 오목부(3)의 면에는 슬라이드 커버(9)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9)는 그 높이가 몸체(2)의 높이보다 짧고, 폭이 지지 오목부(3)의 폭과 같다. 슬라이드 커버(9)는 전방으로 볼록하며, 완만하게 굴곡된 앞면(9a), 평평한 상단면(9b)과 하단면(9c)을 갖는다. 우단부(4)는 전방으로 볼록하며,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과 같은 곡률의 완만하게 굴곡된 앞면(4a)을 갖는다. 따라서 우단부(4)의 앞면(4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9)의 전면(9a)과 완만하게 연속한다.
슬라이드 커버(9)의 상단면(9b)은, 렌즈(6), 플레시(7), 및 셀프타이머 렌즈(8)를 닫기 위해 슬라이드 커버가 도 1에 도시된 상단 폐색 위치에 위치될 때 몸체(2)의 윗벽(2c)과 평평하게 된다. 슬라이드 커버(9)의 하단면(9c)은, 슬라이드 커버(9)가 렌즈(6), 플레시(7), 및 셀프타이머 렌즈(8)를 닫지 않도록 하부 개방 위치에 위치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의 아랫벽(2d)과 평평하게 된다. 스틸 카메라(1)에 포함되는 전기 회로는, 슬라이드 커버(9)가 폐색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슬라이드될 때 전원에 접속된다. 스틸 카메라(1)의 전기 회로는 슬라이드 커버(9)가 개방위치에서 폐색위치로 슬라이드될 때 전원으로부터 절단된다. 몸체(2)의 수직으로 긴 단차부(5)의, 손가락 지지부(5a)로서 기능하는 상부는 슬라이 드 커버(9)가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은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스틸 카메라(1)를 쥘 때 손가락 지지부(5a)에 놓여진다.
스트랩 부착부(10)는 우단부(4)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부착부(10)는 우단부(4)의 좌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0a)와, 우단부(4)의 우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스트랩 감김부(10b)와, 돌출부(10a)의 전단과 스트랩 감김부(10b)의 전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스토퍼부(10c)를 포함한다. 돌출부(10a), 스트랩 감김부(10b) 및 스토퍼(10c)는 일체로 형성된다. 스토퍼(10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스트랩 감김부(10b)를 덮고 있다. 스트랩(100)의 일단부(101)가 스트랩 감김부(10b)에휘감긴다. 스트랩 감김부(10b)의 전체가 스토퍼부(10c)에 전방에서 덮여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감김부(10b)에 감겨있는 일단부(101)가 스토퍼의 뒤에 지지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11)이 몸체(2)의 뒷벽(2b)의 좌측부에 고정된다. 줌버튼(12)은 뒷벽(2b)의 우단부의 상단부 부근 위치에 배치된다. 뒷벽(2b)의 우단부의 하단 부근 위치에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배치된다. 조작 버튼(15)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주위에 배치된다. 줌버튼(12)의 우측부는 광각 촬영을 위한 것이고, 좌측부는 망원 촬영을 위한 것이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은 환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을 상하 좌우 부분을 가압 조작함에 의해, 예를 들 면, 플래시 촬영, 셀프타이머 촬영, 촬영한 화상의 재생, 피사체의 근접 촬영(매크로 촬영) 등의 각종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중앙 개구에 고정된다.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가압하여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을 가압 조작함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실행한다. 조작 버튼(15)을 조작함에 의해, 각종 메뉴의 표시, 표시 패널(11)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를 전환하고, 촬영한 화상 및 슬라이드 쇼의 삭제를 수행한다.
몸체(2)의 윗벽(2c)에는, 그 우단 근처의 위치에, 셔터 버튼(16)이 배치되어 있다. 셔터 버튼(16)은 정지화 촬영 또는 동화 촬영을 행할 때에 가압 조작된다. 몸체(2)의 윗벽(2c)에는, 셔터 버튼(16)의 좌측에 메인 스위치 버튼(17)이 배치되고 셔터 버튼(16)의 우측에 손떨림 방지 버튼(18)이 배치된다. 메인 스위치 버튼(17)을 가압 조작함에 의해 스틸 카메라(1)에 전원의 투입 또는 투입되어 있던 전원의 절단을 수행한다. 손떨림 방지 버튼(18)을 가압 조작하면, 손떨림 방지 기능이 실행된다.
슬라이드 커버(9)를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슬라이드함에 의해서도 전원이 투입되고, 슬라이드 커버(9)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색 위치로 슬라이드함에 의해서도 전원이 절단된다.
윗벽(2c)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 키(19)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키(19)는, 정지화 촬영 모드, 동화 촬영 모드 및 화상 재생 모드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2)의 아랫벽(2d)에는, 삼각대용 구멍(20)과 접속 커넥터(21)가 마련되어 있다. 삼각대용 구멍(20)은 삼각대를 부착하기 위한 구멍이고, 접속 커넥터(21)는, 예를 들면, 프린터 등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2)의 우측벽(2f)에서 개구된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에는 충전전지(23)가 수납되고, 오목부(22)는 스윙형 덮개부재(24)에 의해 개폐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촬영시에 스틸 카메라(1)를, 예를 들면, 왼손(200) 및 오른손(300)의 양손으로 지지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시에, 예를 들면, 오른손(300)만에 의해 지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300)만의 지지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 커버(9)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301)을 뒷벽(2b) 또는 아랫벽(2d)에 대고, 검지손가락(302)을 셔터 버튼(16)에 대고, 중지손가락(303)을 손가락 지지부(5a)와 슬라이드 커버(9)의 상단부(9b)에 걸치도록 대고, 새끼손가락(304)을 상방에서 스트랩 부착부(10)에 대고, 새끼손가락(305)을 앞벽(2a) 또는 아랫벽(2d)에 대는 방법이 있다. 또한, 오른손(300)만의 다른 지지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9)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301)을 뒷벽(2b) 또는 아랫벽(2d)에 대고, 검지손가락(302)을 셔터 버튼(16)에 대고, 중지손가락(303)을 손가락 지지부(5a)와 슬라이드 커버(9)의 상단부(9b)에 걸치도록 대고, 새끼손가락(304)을 절곡하여 상방에서 스트랩 부착부(10)에 대고, 새끼손가락(305)을 절곡하여 앞벽(2a) 또는 아랫벽(2d)에 대는 방법도 있다. 이때 스트랩(100)이 스트랩 부착부(1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랩(100)의 일단부(101)가 스토퍼부(10c) 뒤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사용자가 스틸 카메라(1)를 편안하게 쥘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 부착부(10)도 손가락 받침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스틸 카메라(1)에서는, 단차 또는 돌기형상의 손가락 지지부(5a), 슬라이드 커버(9)의 상단부(9b) 및 스트랩 부착부(1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시에 스틸 카메라(1)의 각 부분에 대여진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어렵고, 스틸 카메라(1)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스틸 카메라(1)를 다루기 쉽다.
몇몇 경우, 사용자가 스틸 카메라(1)를 지지한 상태에서, 중지손가락(303)이 몸체(2)의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에 걸친 상태로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은 연속한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몸체(2)의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에 걸쳐 중지손가락(303)을 위화감 없이 댈 수 있다.
상기에서 몸체(2)의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을 연속한 완만한 곡면으로 한 예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몸체(2)의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을 연속한 평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몸체(2)의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을 연속한 평면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몸체(2)의 우단부(4)의 앞면(4a)과 슬라이드 커버(9)의 앞면(9a)에 걸쳐 중지손가락(303)을 위화감 없이 댈 수 있다.
스틸 카메라(1)에서, 몸체(2)의 뒷벽(2b)에 표시 패널(11)이 마련되고, 윗벽(2c)에 셔터 버튼(16)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 카메라(1)를 손으로 지지한 때에 표시 패널(11)에 표시되는 화상을 시인하기 용이하며 셔터 버튼(16)에 손가락을 대기 쉽고, 화상의 양호한 시인성 및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카메라(1)에서는, 촬영시에 손가락이 대여지는 손가락 받침대로서 기능하는 스트랩 부착부(10)를 몸체(2)의 앞벽(2a)의 우단부(4)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커버(9)의 이동에 수반하여 스트랩 부착부(10)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아서, 스틸 카메라(1)를 안정하게 쥘 수 있다.
또한 스트랩 부착부(10)가 손가락 받침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스트랩 부착부(10) 외에 전용의 손가락 받침대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부품 갯수의 삭감 및 스틸 카메라(1)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2)는 프런트 패널(25), 프런트 패널(25)과 결합된 리어 패널(26), 및 프런트 패널(25)과 리어 패널(26) 사이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27)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26)의 우단부는 버튼 배치부(26a)로서 기능하고, 해당 버튼 배치부(26a)는 버튼을 수납하기 위한 개구(26b)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 배치부(26a)의 앞면에 버튼 유닛(28)이, 예를 들면,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버튼 유닛(28)은 세로로 길다란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29)과, 해당 프레임(29)의 좌우에 위치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30)와, 해 당 연결부(30)의 중앙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돌출된 탄성 변형부(31)와, 해당 탄성 변형부(31)의 상단부에 마련된 줌버튼(12)와, 연결부(30)의 중앙부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부착부(32)와, 프레임(29)의 소정의 각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암(33)과, 해당 탄성암(33)의 각 일단부에 마련된 버튼(15)과, 프레임(29)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하단 부착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버튼 유닛은 수지 성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버튼 유닛(28)의 외측 표면에는 도금 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부착부(32, 34)에는 각각 부착 구멍(32a, 3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 결합 누름버튼이 프레임(29)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고리형상 조작 버튼(35)과, 고리형상 조작 버튼(35)의 외주면에서의 등간격의 위치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돌출부(36)와, 해당 돌출부(36)로부터 각각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굴절부(37)와, 해당 굴절부(37)의 선단부에 마련된 장착부(38)를 포함하고, 이들 구성요소를 갖는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은 수지 성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외측 표면에는 도금 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고리형상 조작 버튼(35)은 중심 구멍(35a)을 갖는다.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2개의 돌출부(36)는 각각 후방으로 돌출된 핀(36a)이 마련되어 있다. 굴절부(37)는 각각 고리형상 조작 버튼(35)의 외주면에 따라 연장한 원호형상부(37a)와 해당 원호형상부(37a)에 연속 하여 상하로 늘어나는 직선부(37b)로 이루어지고, 인접 굴절부(37)의 직선부(37b)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같은 직선부(37b)의 선단부는 장착부(38)에 접속된다. 장착부(38)는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핀(38a)이 마련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은, 센터 조작 버튼(39)과, 센터 조작 버튼(39)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굴절 다리부(40)와, 그 굴절 다리부(40)의 각 선단부에 마련된 결합부(41)를 포함하고, 이들을 포함하는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은 수지 성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외측 표면에는 도금 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 센터 조작 버튼(39)은 조작부(39a)와 해당 조작부(39a)의 내단부에 접속된 플랜지부(39b)로 이루어진다. 굴절 다리부(40)는 플랜지부(39b)로부터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반대측으로 대향하는 베이스부(40a)와, 플랜지부(39b)의 외주면에 따라 베이스부(40a)의 선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개략 원형상 곡선부(40b)와, 곡선부(40b)로부터 대향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단부(40c)로 이루어진다. 결합부(41)는 개구(41a)을 각각 마련한다. 결합부(41)는 선단부(40c)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각각 돌출한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은, 이하와 같이 하여 결합된다. 우선,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고리형상 조작 버튼(35)에 형성된 중심 구멍(35a)에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조작부(39a)를 고정한다. 그 다음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1)가 핀(36a)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센터 조작 버튼(39)의 축에 대해 회전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누름버튼 모 듈(14)이 더 회전되고, 굴절 다리부(40)가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굴곡되며, 결합부(41)가 각각 핀(36a)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굴절 다리부(40)를 탄성적으로 구부리기 위해 굴절 다리부(40)에 가해지는 외력을 해제하고, 결합부(41)의 개구(41a)에 각각 핀(36a)을 삽입한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핀(36a)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개구(41a)는, 서로 계합되는 제 1의 계합부와 제 2의 계합부로서 기능한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결합 누름버튼에서,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결합부(4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누릅버튼 모듈(14)의 굴절 다리부(40)의 탄성에 의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방사상 돌출부(36)에 가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결합된 후,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장착부(38)의 핀(38a)을 부착부(32, 34)의 후방으로부터 버튼 유닛(28)의 부착부(32, 34)에 형성된 부착 구멍(32a, 34a)에 고정한다. 따라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결합 누름버튼이 버튼 유닛(28)에 부착된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결합 누름버튼을 버튼 유닛(28)에 부착한 후, 버튼 유닛(28)은 접착 등에 의해 버튼 배치부(26a)의 앞면에 고정된다. 버튼 배치부(26a)의 앞면에 버튼 유닛(28)을 고정한 후,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장착부는 버튼 유닛(28)의 부착부(32)와 버튼 배치부(26a)의 사이, 및 버튼 유닛(28)의 부착부(34)와 버튼 배치부(26a)의 사이에 지지되어, 버튼 배치부(26a) 상에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지지한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결합 누른버튼이 버튼 배치부(26a)에 배치되면, 줌버튼(12),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고리형상 조작 버튼(35),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센터 조작 버튼(39) 및 조작 버튼(15)이 각각 버튼 배치부(26a)의 개구(26b)에 수납되어, 버튼 배치부(26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는 배선 보드가 몸체(2)에서 버튼 유닛(28)의 앞의 위치에 배치된다. 배선 보드는 줌버튼(12),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 및 조작 버튼(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줌버튼(12)를 가압 조작하면, 버튼 유닛(28)의 탄성 변형부(31)가 탄성 변형되어, 줌 스위치가 줌 기능을 실행한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고리형상 조작 버튼(35)를 가압 조작하면, 굴절부(37)가 탄성 변형되고 고리형상 조작 버튼(35)의 가압부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가압되어 플래시 촬영 기능 등의 소망의 기능을 실행한다.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센터 조작 버튼(39)를 가압 조작하면, 굴절 다리부(40)가 탄성 변형되어 센터 조작 버튼(39)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가압되어 중앙 조작 버튼(39)에 할당된 소정의 기능이 실행된다. 각 조작 버튼(15)을 조작하면, 조작 버튼(15)에 할당된, 메뉴 표시 기능과 같은 소정의 기능이 실행된다.
스틸 카메라(1)에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 은,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굴절 다리부(40)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센터 조작 버튼(39)의 중심 구멍(35a)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휘도록 탄성 변형하고,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방사상 돌출부(36)의 핀(36a)이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결합부(41)의 개구(41a)에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용착에 의해 결합할 필요가 없고, 결합 작업을 간단하고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결합 작업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에 도금 처리를 시행한 경우에는,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피복하는 금속막이 용융하지 않기 때문에 용착에 의해 접속할 수 없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제 2의 누름버튼(14)의 결합부(41)의 개구(41a)에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방사상 돌출부(36)의 핀(36a)을 고정함으로써 결합될 때,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표면을 도금처리에 의해 완성할 수 있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 및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도금할 때, 미세한 원환 형상 그루브(S)가 스핀 패터닝 처리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의 센터 조작 버튼(39) 및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고리형상 조작 버튼(35)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장식적인 외향을 갖는 표면을 제공한다.
스틸 카메라(1)에서, 핀(36a)은 제 1의 계합부이고, 개구(41a)를 구비하는 결합부(41)는 제 2의 계합부이며, 핀(36a)을 개구(41a)에 고정함으로써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결합한다. 따라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굴절 다리부(40)의 탄성에 의해 결합부(41)가 각각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의 돌출부(36)에 가압된다. 따라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은 흔들리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스틸 카메라(1)에서,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은 핀(36a)을 마련하고,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은 개구(41a)을 형성한 결합부(41)를 구비한다. 개구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에 형성되고, 핀이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에 형성되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틸 카메라(1)에서는, 핀과 개구가 마련된 결합부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돌출부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제 2의 누름버튼 모듈)에 형성될 수 있고, 오목부가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제 1의 누름버튼 모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돌출부를 오목부에 고정함으로써 결합될 수있다. 후크가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에 형성될 수 있고, 후크가 계합되어 제 1의 누름버튼 모듈(13)과 제 2의 누름버튼 모듈(14)이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몸체(2)는 몸체(2)의 우측벽(2f)에 개구된 오목부(22)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22)의 개구단에서 전지 로크 부재(42)가 몸체(2)의 지지 프레임(27)의 하위 연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두개의 로크 돌출부(27a)가 오목부(22)의 개구단에서 지지 프레임(27)전면측 부재와 배면측 부재의 양측에서 상하 위치에 형성된다. 수직으로 긴 슬롯(43)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22)의 개구단위에, 각각 지지 프레임(27)의 전면 및 배면측부재의 상부에 형성된다. 슬롯(43)은 스틸 카메라(1)의 광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면 및 배면측 부재를 관통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긴 정지 돌출부(44)가 지지 프레임(27)의 우단부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정지 돌출부(44)는 정지면(44a)으로서 기능하는 하단면, 제 1의 유지면(44b)으로 기능하는 좌측면, 및 제 2의 유지면(44c)으로 기능하는 상단면을 갖는다. 오른쪽으로 경사하도록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경사한 경사면(44d)이 정지 돌출부(44)의 제 1의 유지면(44b) 및 제 2의 유지면(44c) 사이에서 연장한다. 지지 프레임(27)에서 오목부(22)의 개구단과 정지 돌출부(44) 사이에 수직 스루홀(4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의 개구단을 덮는 스윙형 덮개부재(24)는 도 3, 5,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 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몸체(2)에 접속된 상단부를 갖는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형 덮개부재(24)는 단일부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는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와 돌출부(47)를 포함한다. 두개의 L자형 캐치부(46a)는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의 전면측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고, 수직으로 이격한다. 두개의 L자형 캐치부(46a)는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의 배면측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고, 수직으로 이격한다.
스윙형 덮개부재(24)의 길이 방향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고 가정한다. 돌출부(47)는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의 상단면에서의 좌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의 상단면(46b)은 정지면이다. 돌출부(47)는 전방 및 후방 암(48)을 갖는다. 암(48)은 스루홀(48a)에 각각 마련된다. 스루홀(48a)은 스틸 카메라(1)의 광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몸체(2)의 좌측벽(2f)에 대면하는 돌출부(47)의 면은 코일 스프링(49)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47a)를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49)은 첨단부(48)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49)은 코일부(50)와 해당 코일부(50)의 양단중 하나에서 연장된 제 1의 암(51), 및 해당 코일부(50)의 양단중 다른 하나에서 연장된 제 2의 암(52)로 이루어진다. 제 1의 암(51)와 제 2의 암(52)의 선단부(51a, 52a)는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스윙형 덮개부재(24)는 지지 샤프트(53)에 의해 몸체(2)에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샤프트(53)는, 지지 프레임(27)의 후측에 위치하는 슬롯(43), 스윙형 덮개부재(24)의 후측에 위치하는 스루홀(48a), 코일 스프링(49)의 코일부(50),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앞측에 위치하는 스루홀(48a) 및 지지 프레임(27)의 앞측에 위치하는 슬롯(43)에 차례로 삽통된다. 지지 샤프트(53)는 슬롯(43)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있다. 스윙형 덮개부재(24)는 지지 샤프트(53)에서 회동가능하다. 지지 샤프트(53)가 슬롯(43)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때, 스윙형 덮개부재(24)는 지지 샤프트(53)와 일체로 몸체(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한다. 몸체(2)에서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이동범위의 상한위치는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할 수 없는 회동불가능 위치이고, 몸체(2)에서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이동범위의 하한위치는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가능 위치이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에 지지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49)의 제 1의 암(51)는 돌출부(46)의 스프링 지지부(47a)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탄성 가압되고,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은 몸체(2)에 대해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위치에 따라 정지 돌출부(44)의 제 2의 유지면(44c), 경사면(44d) 또는 제 1의 유지면(44b)에 탄성 가압된다.
제 2의 암(52)은 몸체(2) 변화에 따른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위치에 따라 제 2의 유지면(44c)와 제 1의 유지면(44b) 사이에서 정지 돌출부(44)에 슬라이드한다. 제 2의 암(52)의 선단부(52a)의 전면부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돌출부(44)로부터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구부러진다. 따라서, 제 2의 암(52)이 제 2의 유지면(44c)와 제 1의 유지면(44b) 사이에서 슬라이드될 때에, 제 2의 암(52)의 선단과 정지 돌출부(44)가 접촉되지 않아, 정지 돌출부(4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스윙형 덮개부재(24)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 불가능 위치에 있는 상태,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이동 범위의 상한 위치일 때, 돌출부(47)가 지지 프레임(27)의 스루홀(45) 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이 정지 돌출부(44)의 제 2의 유지면(44c)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하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크일 스프링(49)은 스윙형 덮개부재(24)에 상 방으로의 이동력(Fu)을 부여하고,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의 상단면(46b)이 정지 돌출부(44)의 정지면(44a)에 가압되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오목부(22)의 개구단에 마련된 로크 돌출부(27a)는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캐치부(46a)와 계합되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에 로크된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 불가능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이 정지 돌출부(44)의 제 2의 유지면(44c)으로부터 경사면(44d)을 경유하여 제 1의 유지면(44b)까지 슬라이드된다. 코일 스프링(49)의 제 1의 암(52)의 상기 이동 동안, 스윙형 덮개부재(24)를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53)는 슬롯(43) 내에서 아래로 슬라이드한다. 최종적으로,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하한 위치인 회동 가능 위치에 도달한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 가능 위치에 도달할 때,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캐치부(46a)는 로크 돌출부(27a)와 결합 해제되고, 코일 스프링(49)의 제 1의 암(51)은 도 22에서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오른쪽 방향 가세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윙형 덮개부재(24)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9)의 탄성에 의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에 대해 지지 샤프트(53)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된다. 스윙형 덮개부재(24)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7)가 정지 돌출부(44)의 정지면(44a)에 접할 때까지 들어온다. 따라서 오목부(22)가 개구되고 충전전지(23)가 오목부(22)롤부터 취출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오목부(22) 내에 지지된 충전전지(23)는 전지 로크 부재(42)에 의해 로크되 어 있다. 전지 로크 부재(42)를 회전함에 의해 충전전지(23)에 대한 로크가 해제되고, 충전전지(23)를 오목부(22)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충전전지(23)를 오목부(22)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전지 로크 부재(42)를 충전전지(23)를 오목부(22)로부터 취출할 때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충전전지(23)가 오목부(22)에 수납된 후 전지 로크 부재(4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충전 배터리(23)가 오목부(22) 내에서 로크된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 위치에 가까운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스윙형 덮개부재(24)는 몸체(2)에 대해 밀어올려서 도 26에 도시된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그 결과, 암(52)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유지면(44b)으로부터 정지 돌출부(44) 상의 경사면(44d)으로 이동하고, 제 2의 암(52)이 코일 스프링(49)의 탄성에 의해 경사면(44d)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제 2의 암(52)이 정지 돌출부(44)에 힘(P)을 가한다. 힘(P)은 도 27에서 화살표로 나탄나 바와 같이 비스듬한 아래방향으로 작용한다. 힘(P)은 수평분력과 수직분력(Pd)으로 나뉠 수 있다. 수직 분력(Pd)과 같은 반력에 대응하는 상향 힘(Fu) 이 제 2의 암(52)에 작용한다. 제 2의 암(52)은 상향 힘(Fu)에 의해 윗쪽으로 밀어올려진다. 그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윙형 덮개부재(24)로부터 제거된 후 상향 힘(Fu)에 의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자동적으로 위쪽으로 이동된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상향 힘(Fu)에 의해 더 위쪽으로 이동되면, 제 2의 암(52)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4d)과 제 2의 유지면(44c) 사이의 경계에 접촉한다. 그리고, 수직 분력(Pd)이 증가하고, 따라서 상향 힘(Fu)도 증가한다. 증가된 상향 힘(Fu)이 도 21에 도시된 회동불가능 위치로 스윙 형 덮개부재(24)를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이 정지 돌출부(44)의 제 2의 유지면(44d)에 가압되고, 스윙형 덮개 본체부(46)의 상단면(46b)이 정지 돌출부(44)의 정지면(44a)에 접하고,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에 대해 회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닫혀진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27)의 로크 돌출부(27a)가 스윙형 덮개부재(24)의 캐치부(46a)와 계합되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 불가능 위치에 고정된다.
지지 샤프트(53)에 의해 스윙형 덮개부재(24)가 몸체(2)에 지지되어 몸체(2)에 대해 슬라이드 및 회동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 카메라(1)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는 간소화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49)은, 스윙형 덮개부재(24)를 회동 가능 위치로부터 회동불가능 위치로 슬라이드되도록 스윙형 덮개부재(24)에 상향 힘(Fu)을 가한다. 사용자는 스윙형 덮개부재(24)를 회동가능 위치로부터 회동불가능 위치로 수동조작하여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스틸 카메라(1)의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49)이 회동가능 위치로부터 회동불가능 위치로 스윙형 덮개부재(24)를 이동하도록 상향힘(Fu)을 가하므로,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가 간소하고 스틸 카메라(1)의 기구가 간소하며. 스틸 카메라(1)의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스틸 카메라(1)에서, 스윙형 덮개부재(24)의 회동 불가능 위치에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정지 돌출부(44)는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를 유지하는 제 1의 유지면(44b)와 제 2의 유지면(44c)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 구 조는, 스윙형 덮개부재(24)가 회동불가능 위치에서 회동하고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52)을 유지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각각 두개의 별도의 부품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윙형 덮개구조가 간소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정지 돌출부(44)에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이 활주되는 경사면(44d)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윙형 덮개는 작은 힘으로 회동 불가능 위치로부터 회동 가능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고, 스윙형 덮개부재(24)를 회동 가능 위치로부터 회동 불가능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키는 초기 단계에서 스윙형 덮개부재(24)에 상향 힘(Fu)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에는, 정지 돌출부(44) 상에 경사면(44d)를 형성하여 스윙형 덮개부재(24)에 이동력(Fu)을 부여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정지 돌출부(44)에 경사면(44d)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윙형 덮개부재(24)에 대해 이동력(Fu)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유지면(44b)와 제 2의 유지면(44c)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제 1의 유지면(44b)와 제 2의 유지면(44c)의 연속 부분을 넘어 코일 스프링(49)의 제 2의 암(52)의 단부(52a)의 상승에 따라 하강 분력(Pd)에 대응하는 상향 힘(Fu)이 스윙형 덮개부재(24)에 작용하기 시작한다.
상기 최선의 형태에서 나타낸 각 부분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화의 한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본질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되고 구체화될 수 있다.
제 1의 양상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는, 소정의 부품을 지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와, 스루홀을 갖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며,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됨과 함께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에서 회동 가능하다.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및 회동 가능하게 되도록 스윙형 덮개부재가 지지 샤프트에 의해 몸체에 지지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의 양상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에서, 스윙형 덮개부재는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제 1의 위치 및 스윙형 덮개부재를 몸체에 대해 회동 불가능한 제 2의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고,
코일 스프링 본체의 양 단으로부터 연장된 제 1 및 제 2의 암과 코일을 갖는 코일 스프링은 지지 샤프트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윙형 덮개부재는 코일 스프링의 제 1의 암부가 가압되는 스프링 지지부를 마련하고, 몸체는 스윙형 덮개부재가 적어도 제 1의 위치에 있을 때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가압되는 제 1의 유지면와,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2의 위치에 있을 때에 스윙형 덮개부재가 제 1의 위치를 향해 가압되도록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을 가압하는 제 2의 유지면을 포함하는 정지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가능한 제 1의 위 치로부터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불가능한 제 2의 위치까지 스윙형 덮개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윙형 덮개부재의 슬라이드 동작의 전체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행할 필요가 없고,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에서, 몸체의 정지 돌출부는 제 2의 위치레서 스윙형 덮개부재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면을 가질 수 있고, 제 1 및 제 2의 유지면은 정지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면 및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을 받기 위한 유지면을 각각 형성할 필요가 없어,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가 간소하게 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에서, 상기 제 1의 유지면와 제 2의 유지면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제 1의 유지면와 제 2의 유지면 사이에 양자에 대해 경사하고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될 때에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활주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스윙형 덮개부재를 제 2의 위치로부터 제 1의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킬 때에는 작은 힘으로 스윙형 덮개부재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스윙형 덮개부재를 제 1의 위치로부터 제 2의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드시킬 때에는 스윙형 덮개부재에 대한 이동력을 슬라이드 시작 후의 초기 단계에서 부여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소정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롯을 구비한 몸체; 스루홀을 구비한 스윙형 덮개부재 및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됨 과 함께,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가 회동 가능하게 된다.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서 지지 사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및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부품을 지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몸체와,
    스루홀을 갖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을 수 있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며,
    스윙형 덮개부재는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몸체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 상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코일을 갖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의 대향단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제 1의 암, 및 상기 코일의 다른 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의 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윙형 덮개부재는,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회동불가능한 회동불가능 위치와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한 회동가능 위치 사이의 몸체상에서 슬라이드하며,
    상기 스윙형 덮개부재는 코일 스프링의 제 1의 암이 가압되는 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는, 스윙형 덮개부재가 적어도 회동 가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코 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가압되는 제 1의 유지면와, 스윙형 덮개부재가 회동 불가능 위치에 있을 때에 코일 스프링의 제 2의 암부가 회동 불가능 위치에서 회동 가능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 2의 유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유지면 및 제 2의 유지면을 갖는 정지 돌출부는 스윙형 덮개 부재가 회동 불가능 위치에서 몸체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정지면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유지면와 상기 제 2의 유지면을 서로 직교하도록 연장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유지면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유지면에 경사된 경사면에 의해 접속되어, 상기 스윙형 덮개부재가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할 때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제 2의 암이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5. 소정의 부품을 지지하는 오목부를 갖고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몸체와,
    스루홀을 갖고 몸체의 오목부를 덮을 수 있는 스윙형 덮개부재와,
    몸체의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형 덮개부재의 스루홀을 통과하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윙형 덮개부재는 지지 샤프트의 슬롯에서의 이동에 따라 몸체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몸체에 대해 지지 샤프트 상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70026988A 2006-03-20 2007-03-20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 KR200700952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6545A JP2007258198A (ja) 2006-03-20 2006-03-20 蓋部材の支持構造及び電子機器
JPJP-P-2006-00076545 2006-03-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232A true KR20070095232A (ko) 2007-09-28

Family

ID=3813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988A KR20070095232A (ko) 2006-03-20 2007-03-20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84373A1 (ko)
EP (1) EP1837933A1 (ko)
JP (1) JP2007258198A (ko)
KR (1) KR20070095232A (ko)
CN (1) CN100473117C (ko)
TW (1) TWI323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91882A3 (en) * 2006-04-05 2008-12-31 Arthrex, Inc. Deflectable tip videoarthroscope
JP2009098415A (ja) * 2007-10-17 2009-05-07 Sony Corp 電子機器
JP5094632B2 (ja) * 2008-08-18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666955B (zh) * 2008-09-05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头保护模组
JP5570286B2 (ja) * 2010-04-22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5631119B2 (ja) * 2010-08-26 2014-11-2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携帯型プリンタ
JP2013033234A (ja) * 2011-07-01 2013-02-14 Panasonic Corp 筐体構造及び撮像装置
CN103246127B (zh) * 2013-04-15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遮挡盖滑动结构及具有该遮挡盖滑动结构的视讯设备
KR102661767B1 (ko) 2022-12-02 2024-04-30 주식회사 오성전자 2중 잠금구조를 갖는 전자제품용 리모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806A (en) * 1988-05-09 1992-09-29 The Heil Co. Refuse container with two-position lid
JPH07295081A (ja) * 1994-04-21 1995-11-10 Canon Inc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4026260B2 (ja) * 1998-12-29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蓋開閉装置
JP3293817B2 (ja) * 2000-05-09 2002-06-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用筐体および電子機器
US7021728B2 (en) * 2002-09-04 2006-04-04 Lear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a monitor of an overhead console
DE202004009292U1 (de) * 2004-06-11 2004-09-02 In Win Development, Inc., Gueishan Herausziehbares Festplattengehä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3584A (zh) 2007-09-26
US20070284373A1 (en) 2007-12-13
CN100473117C (zh) 2009-03-25
TW200746977A (en) 2007-12-16
TWI323147B (en) 2010-04-01
JP2007258198A (ja) 2007-10-04
EP1837933A1 (en)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5232A (ko) 스윙형 덮개부재 구조 및 전자기기
TWI529474B (zh) 影像拾取裝置
US7778014B2 (en) Electronic equipment
TWI602011B (zh) 成像單元及安裝裝置
TWI480619B (zh) 成像裝置
JP4488088B2 (ja) スチルカメラ
KR100488425B1 (ko)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TWI793335B (zh) 成像裝置
US7833652B2 (en) Battery loa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4126582A (ja) 電子機器
JP2008198806A (ja) 電子機器
JP6265762B2 (ja) 電子機器
JP2008166140A (ja) 蓋部材及び電子機器
JP4640027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6238773B2 (ja) 電子機器
JP2007257844A (ja) 押釦構造
JP2008164971A (ja) 羽根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WO2023233908A1 (ja) 電子機器
JP2007256302A (ja) 撮像装置
JP7098410B2 (ja) 電子機器
JP2023104712A (ja) ファインダユニット、撮像装置
JP3204898B2 (ja) ズーム操作装置
JP2017103166A (ja) 回転揺動式操作ダイヤ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3270710A (ja) 接写用凸レンズを具えた撮像機器
JP200816720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