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901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901A
KR20070093901A KR20070025059A KR20070025059A KR20070093901A KR 20070093901 A KR20070093901 A KR 20070093901A KR 20070025059 A KR20070025059 A KR 20070025059A KR 20070025059 A KR20070025059 A KR 20070025059A KR 20070093901 A KR20070093901 A KR 20070093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riginal image
irreversible
code imag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188B1 (ko
Inventor
마사히로 다까야나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3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7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mbedded information being invisible, e.g. waterm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8Processing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83Compression

Abstract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면, 코드 화상의 화질이 열화된다. 따라서, 코드 화상의 화질이 열화하기 때문에, 코드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그러므로, 코드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은 불가역압축되지 않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코드 화상에 대응하는 부분이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원고 화상, 코드 화상, 불가역압축, 기억 수단, 화상 처리 장치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b는 종래 기술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원고 화상을 나타낸다.
도 2b는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원고 화상을 나타낸다.
도 3은 코드 화상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 후에 JPEG 처리를 행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원고 화상에 대하여 JPEG 처리를 행하면서 코드 화상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지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JPEG 화상 및 코드 화상이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b는 JPEG 화상과 코드 화상에 포함된 정보가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c는 JPEG 화상과 새롭게 생성된 코드 화상이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d는 코드 화상과, 상기 코드 화상 이외의 영역의 JPEG 화상이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e는 코드 화상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코드 화상 이외의 영역의 JPEG 화상이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5f는 코드 화상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과, 상기 코드 화상 이외의 영역의 JPEG 화상이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a는 코드 화상이 추출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b는 코드 화상으로부터 취득한 정보가 기억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c는 정보가 코드 화상으로부터 취득되고, 이 정보로부터 새로운 코드 화상이 생성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신장 수단(decompression unit)과 출력 수단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설명>
401 : 코드 화상 판정 수단
402 : 처리 수단
403 : JPEG 처리 수단
404 : 기억 처리 수단
일본 특개평 제10-224540호
일본 특개평 제2001-344588호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흑백 화상인 바코드 화상 및 이차원 코드 화상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코드 화상 및 이차원 코드 화상은 정보를 코드화함으로써 생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정보를 코드화함으로써 생성된 화상을 코드 화상이라 칭한다.
또한,코드 화상에 리더(reader)를 가까이 가져옴으로써 코드 화상을 스캔하고, 상기 스캔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이러한 코드화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원고 화상(original image; 1)은 코드 화상, “타이틀”이라고 하는 문자 화상, 및 흑선 화상을 포함한다. 이 원고 화상(1)은 디지털 데이터가 아니라 종이(sheet)이다. 참조 번호 2는 복합기(multifunction machine)를 나타낸다.
유저가 이 원고 화상(1)을 복합기(2)의 스캔대에 놓고 스캔을 지시하면,복합기(2)는 이 원고 화상(1)의 스캔을 행하고, 스캔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다. 또한,이 복합기(2)는, 디지털 데이터 내에 코드 화상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 을 인식하고, 이 코드 화상을 추출한다. 또한, 복합기(2)는 추출된 코드 화상을 디코드해서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정보가 문자 정보인 경우에, 복합기(2)는 그 문자 정보를 문자 화상으로 변환해서 인쇄 출력한다. 종이(3)가 인쇄 출력된다. 이 종이(3)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금년의 A사의 성적”이라는 문자 화상을 포함한다. 즉, 원고 화상(1)에 포함된 코드 화상은, “금년의 A사의 성적”이라고 하는 문자 정보를 코드화함으로써 생성된 화상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한편,취득한 정보가 화상 정보인 경우에는, 그 화상 정보가 인쇄 출력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이(13)가 인쇄 출력된다. 이 종이(13)는 불꽃의 그림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한다. 즉, 원고 화상(11)에 포함된 코드 화상은 불꽃의 그림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코드화함으로써 생성된 화상이다.
정보를 코드화하고,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기술은 일본 특개평 제10-224540호 및 제2001-34458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원고 화상이 복합기 내에서 불가역압축(lossy compression)되면, 코드 화상의 화질이 열화된다. 따라서, 코드 화상의 화질 열화 때문에, 코드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는, 이후에 정보가 정확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기억 처리를 행하고, 원고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삭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정보가 열화되지 않도록 코드 화상 내에 포함된 정보를 기억 수단(storage unit)에 기억시킴으로써 이후에 정보가 정확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기억 처리가 행 해지고, 원고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며, 첨부한 도면에서 같은 참조 문자는 도면을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을 복합기(즉, 복사기, 인쇄기, FAX 등의 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 OA 기기)에 적용한 제1 실시예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이 복합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및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기억 수단을 포함한다. 이 복합기는 또한 스캐너부, 프린터부, 조작부, 및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 복합기는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화상 판정 수단, 처리 수단, JPEG 처리 수단, 및 기억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CPU는 CPU 이외의 하드웨어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RAM은 CPU의 작업 영역(work area)으로서 기능한다. RAM은 또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ROM 및 HDD는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스캐너부는 문서대(document plate)에 놓인 원고 화상을 스캔(판독)해서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다. 프린터부는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화상을 종이 위에 형성한다. CPU를 포함하고,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장치는, 예를 들어, 복합기이며, 화상 처리 장치로 칭한다. 또한,종이 위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를 화상 형성 장치로 칭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원고 화상(2000)은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 참조 번호 2001은 그래프 화상(즉, 통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화상)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2002는 문자 화상(즉, “2005년의 A사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문자 화상)을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원고 화상(2010)은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 참조 번호 2011은 그래프 화상(즉, 통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화상)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2012는 코드 화상을 나타낸다. 이 코드 화상은, 예를 들어 “2005년의 A사의 데이터”라는 정보를 코드화함으로써 생성된 화상이다.
도 3은, 스캐너부에서 획득한 디지털 데이터의 원고 화상을 처리하는 처리 블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참조 번호 301은 코드 화상 판정 수단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302는 처리 수단을 나타낸다. 처리 수단(302)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는 후술될 것이다. 참조 번호 303은 JPEG 처리 수단을 나타낸다. JPEG 처리 수단(303)은 공지의 JPEG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을 압축한다. 본 발명에서, JPEG 처리 수단(303)은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삭감하기 위해 화상을 불가역압축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압축 수단이어도 좋다. 이것은 다른 경우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다. 참조 번호 304는 기억 처리 수단을 나타낸다.
판독된 원고 화상은, 먼저 코드 화상 판정 수단(301)에 입력된다. 코드 화상 판정 수단(301)은 수신된 원고 화상에 코드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코드 화상이 수신된 원고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에는, 원고 화상은 코드 화상 판정 수단(301)으로부터 JPEG 처리 수단(303)으로 보내진다. JPEG 처리 수단(303)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여,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이 기억 처리 수단(304)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 기억 수단은 복합기 내에 포함된 기억 수단이어도 좋다. 대안으로, 기억 수단은 LAN과 같은 통신 수단에 의해 상술한 복합기와 연결된 장치(예를 들어, 서버나 다른 복합기)에 포함된 기억 수단이어도 좋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다른 경우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다.
코드 화상이 수신된 원고 화상 내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원고 화상은 코드 화상 판정 수단(301)으로부터 처리 수단(302)으로 보내진다.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기억 처리 수단(304)으로 보낸다. 이 기억 처리 수단(304)은,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상기 상세 설명에서,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처리하지 않고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그러나, 예를 들어,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가역압축(lossless compression)할 수도 있고, 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낼 수도 있다. 가역압축하면, 처리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억 수단의 필요 용량에 있어서의 삭감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예를 들면, 이 처리 수단(302)은,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되는 처리를 행할 수 있어도 좋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여도 되고, 원고 화상에 포함된 코드 화상을 추출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처리 수단(302)은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추출된 코드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서 이들이 서로 관련된다. 기억 처리 수단(304)은 서로 관련된 수신된 화상들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화상들이 서로 관련된다. 이것은, 다른 경우나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다. 도 5a에서는, 전술한 예들과는 달리,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된다. 따라서, 원고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의 삭감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여도 되고 수신된 원고 화상에 포함된 코드 화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2005년의 A사의 데이터”라고 하는 문자 정보)를 취득해도 좋다. 이 경우에, 처리 수단(302)은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취득 정보를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며, 이들은 서로 관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 수단(302)이 취득 정보를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면, 데이터 사이즈가 더욱 삭감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코드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정보량이 코드 화상의 정보량보다 작기 때문이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여도 되고, 원고 화상에 포함된 코드 화상을 추출하여 추출된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코드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코드 화상을 생성하여도 된다.
새로운 코드 화상은, 취득한 정보에 따라서, 프린터부의 화상 형성 능력을 고려해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프린터부가 단지 600 DPI의 해상도로만 도트를 형성할 수 있는 환경에서 처리 수단(302)이 1200선이나 2400선을 사용하여 바코드 화상을 생성한다면, 생성된 바코드 화상의 화상 형성이 정확하게 달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5c에 도시한 경우에는, 새로운 코드 화상이 반드시 프린터부의 화상 형성 능력을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바코드 화상이 1200선 또는 2400선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생성된 바코드 화상이 외부의 고정밀 복합기에 보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든지, 도 5c에 도시한 예에서는, 새로운 코드 화상이 미리 생성되어 기억되었기 때문에, 화상 형성의 처리가 빠르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도 5d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즉,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에 포함된 코드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이 처리 수단(302)은 또한 코드 화상 이외의 원고 화상의 영역을 잘라내고, 원고 화상의 잘라진 영역을 불가역압축해서,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된 영역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추출된 코드 화상이 불가역압축되지 않아야 하지만, 처리 수단(302)은 추출된 코드 화상을 가역압축하고, 가역압축된 코드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도 된다. 전체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는 도 5a에 도시한 처리와 달리, 도 5d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코드 화상 이외의 원고 화상의 영역이 불가역압축되고,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된 영역이 기억 처리 수 단(304)에 보내진다. 따라서, 데이터 사이즈가 더욱 삭감될 수 있다.
또한,도 5e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즉,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 내에 포함된 코드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 정보를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이 처리 수단(302)은, 또한 코드 화상 이외의 원고 화상의 영역을 잘라내고, 원고 화상의 잘라낸 영역을 불가역압축하여,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된 영역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취득 정보가 불가역압축되지 않아야 하지만, 처리 수단(302)은 취득 정보를 가역압축하고, 가역압축된 정보를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도 된다. 전체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는 도 5b에 도시한 처리와 달리, 도 5e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코드 화상 이외의 원고 화상의 영역이 불가역압축되고, 원고 화상의 불가역 압축된 영역이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진다. 따라서, 데이터 사이즈가 더욱 삭감될 수 있다.
또한, 도 5f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져도 된다. 즉, 처리 수단(3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에 포함된 코드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코드 화상을 생성하여,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이 처리 수단(302)은, 또한 코드 화상 이외의 원고 화상의 영역을 잘라내고, 원고 화상의 잘라낸 영역을 불가역압축하고,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된 영역을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낸다.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이 불가역압축되지 않아야 하지만, 처리 수단(302)은 새로운 코드 화상을 가역압축하고, 가역 압축된 새로운 코드를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도 된다. 전체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는 도 5c에 도시한 처리와 달리, 도 5f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코드 화상 이외의 원고 화상의 영역이 불가역압축되고,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된 영역이 기억 처리 수단(304)에 보내진다. 따라서, 데이터 사이즈가 더욱 삭감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구성에서는,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원고 화상에 대해서, 코드 정보의 정보 누락(missing)(즉, 코드 화상의 화상 품질의 열화)이 방지된다. 또한,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원고 화상에 대해서는,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된 후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이후에 코드 정보가 정확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화상이 기억될 수 있어 원고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가 삭감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원고 화상을 복사하기 위해서 원고 화상이 기억 수단에 기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복합기에서,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원고 화상의 복사(copying)가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원고 화상의 복사보다 자주 행해진다. 따라서,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원고 화상의 복사에 대한 지시가 주어지는 경우에는, 원고 화상의 복사물이 더욱 빠르게 출력될 필요가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불가역압축은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판정에 따라서 행해지거나 행해지지 않는다. 즉, 불가역압축은, 코드 화상의 존재 판정이 완료된 후 행해진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판독된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과 함께,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다시 말하면, 판독된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의 판정과 함께, 판독된 원고 화상의 불가역압축이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불가역압축은, 코드 화상의 존재의 판정이 완료된 후 불가역압축이 시작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코드 화상의 존재의 판정이 완료되기 전에 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불가역압축은 보다 빨리 시작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빨리 종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이 기억 수단에 보다 빠르게 기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원고 화상의 복사물이 더욱 빨리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신장(decompression) 수단 및 출력 수단을 나타낸다.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이 압축되는 경우에, 신장 수단은 화상을 신장하여 신장된 화상을 출력 수단에 출력한다.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이 압축되지 않았다면, 신장 수단은 화상을 신장하지 않고 출력 수단에 출력한다.
출력 수단은 신장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화상을 종이에 형성하여 화상을 (예를 들어, 팩스 송신 등으로) 보낼 수 있다.
도 4는 스캐너부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의 원고 화상을 처리하는 처리 블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참조 번호 401은 코드 화상 판정 수단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2는 처리 수단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3은 JPEG 처리 수단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404는 기억 처리 수단을 나타낸다.
판독된 원고 화상은 JPEC 처리 수단(403)과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에 동 시에 입력된다. JPEG 처리 수단(403)은 수신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고,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404)에 보낸다. 한편,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은 수신된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JPEG 처리 수단(403)과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 각각은 원고 화상이 수신될 때 상응하는 처리를 시작한다. 따라서, JPEG 처리 수단(403)에 의해 행해지는 불가역압축과,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 여부에 대해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에 의해 행해지는 판정은 서로 동시에 행해진다.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이,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은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기억 처리 수단(404)은 JPEG 처리 수단(403)으로부터 수신된 원고 화상만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이,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원고 화상은 코드 화상 판정 수단(401)으로부터 처리 수단(402)으로 보내진다.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한 처리는 처리 수단(402)에 의해 행해진다.
도 6a에 도시한 처리에서, 처리 수단(4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으로부터 코드 화상을 추출한다. 처리 수단(402)은 추출된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기억 처리 수단(404)으로 보낸다. 기억 처리 수단(404)은 JPEG 처리 수단(403)으로부터 수신된 원고 화상과, 처리 수단(402)으로부터 수신된 코드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원고 화상과 코드 화상이 서로 관련된다. 그러나, JPEG 처리 수 단(403)에 의해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이 기억 수단에 빠르게 기억되어야 한다면(예를 들어, 원고 화상의 복사물의 빠른 출력에 대한 지시가 주어진 경우, 빠른 송신에 대한 지시가 주어진 경우 등), 기억 처리 수단(404)은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수신하자마자 기억 수단에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시킨다. 즉, 코드 화상의 추출이 완료되기 전에,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이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또한,코드 화상의 추출이 완료되기 전에, 신장 수단이 불가역압축된 화상을 신장해서 출력 수단(예를 들면, 프린터부나 송신부)에 신장된 화상을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드 화상의 추출 완료를 대기하지 않고, JPEG 처리 수단(403)로부터 수신된 원고 화상에 대한 처리를 진행시키면, 원고 화상의 복사물의 보다 빠른 출력 및 보다 빠른 송신이 달성될 수 있다.
처리 수단(402)이 추출된 화상을 처리하지 않고 기억 처리 수단(404)에 보내는 경우를 전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처리 수단(402)은 추출된 코드 화상을 가역압축하고, 가역압축된 코드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404)에 보내도 좋다. 코드 화상이 가역 압축되면, 코드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는 더욱 삭감된다. 따라서, 기억 수단의 필요 용량에 대한 삭감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처리 수단(4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으로부터 코드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이 경우에, 처리 수단(402)은 취득 정보를 기억 처리 수단(404)에 보낸다. 기억 처리 수단(404)은 JPEG 처리 수단(403)으로부터 수신된 원고 화상과, 처리 수단(402)으로부터 수 신된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원고 화상과 정보가 서로 관련된다. 코드 화상이 기억 처리 수단(404)으로 보내지는 도 6a에 도시한 처리와는 달리, 도 6b에 도시한 처리에서는 코드 정보가 기억 처리 수단(404)으로 보내진다. 일반적으로, 코드 화상에 포함된 정보의 정보량이 코드 화상의 정보량보다 작기 때문에, 도 6b에 도시한 처리에서 달성된 데이터 사이즈의 삭감은 도 6a에 도시한 처리에서 달성된 데이터 사이즈의 삭감보다 더 크다. 또한, JPEG 처리 수단(403)에 의해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이 기억 수단에 빨리 기억되어야 한다면, 도 6a에 도시한 경우와 유사한 처리가 행해진다.
도 6c에 도시한 처리에서, 처리 수단(402)은 수신된 원고 화상으로부터 코드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코드 화상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처리 수단(402)은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기억 처리 수단(404)에 보낸다. 기억 처리 수단(404)은 JPEG 처리 수단(403)으로부터 수신된 원고 화상과, 처리 수단(402)으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원고 화상과 새로운 코드 화상이 서로 관련된다. 새로운 코드 화상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린터부의 화상 형성 능력을 고려하여, 취득 정보에 따라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JPEG 처리 수단(403)에 의해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이 빠르게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야 한다면, 도 6a에 도시한 경우와 유사한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이후에 정보가 정확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기억 처리가 행해지며, 원고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가 삭감될 수 있다. 또한, 원고 화상이 기억 수단에 빠르게 기억될 수 있다. 따라서, 코드 화상을 포함하지 않은 원고 화상을 복사하기만을 원하는 유저는 원고 화상의 복사물을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유저로부터 원고 화상의 복사 출력이나 화상 데이터 송신 등이 지시되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 원고 화상(및/또는 코드 화상 및 코드 정보)이 출력될 필요가 있다면, 후술되는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고 화상만을 빠르게 출력하는 처리가 행해질 것이다. 이 경우에, 원고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화상(도 6a에 도시한 경우), 코드 화상으로부터 취득 정보(도 6b에 도시한 경우), 및 새롭게 생성된 코드 화상(도 6c에 도시한 경우)은 더 늦게 출력될 것이다.
대안으로, 종이의 앞뒷면에 인쇄될 원고 화상과 코드 화상(또는 코드 정보)을 출력하는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원고 화상에 삽입(embedding)하고,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이 삽입된 원고 화상을 출력하는 처리, 예를 들어 원래 코드 화상에 대응하는 원고 화상의 영역(501)에 새로운 코드 화상(504)를 이중 인화(superimposing)하는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한편, 유저로부터 조작부 등을 사용하여 기억 지시가 주어지면,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순서로 처리가 행해진다. 기억 수단에 기억된 원고 화상에 대해서는, 조작부 등을 통해 새로운 지시, 예를 들어, 송신 지시 또는 화상 형성 지시가 주어질 수 있다. 새로운 지시가 주어지면, 주어진 지시에 따라서 제어가 행해진다.
<그 밖의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 각각에서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드 화상이 그 밖의 화상과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원고 화상의 예가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코드 화상 및 그 밖의 화상(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한 통계 데이터인 그래프 화상)이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 각각에서는, 코드 화상 판정 수단, 처리 수단, JPEG 처리 수단, 신장 수단, 및 기억 처리 수단이 CPU에 의해 하드웨어 제어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수단이, CPU가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때 얻어질 수 있는 기능들이라고 해도, 본 발명을 또한 실현할 수 있다.
각종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양상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 등에 로드(load)하고, CPU에 의해 로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이 허용된다.
정보가 열화되지 않도록 코드 화상 내에 포함된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킴으로써 이후에 정보가 정확하게 취득될 수 있도록 기억 처리가 행해지고, 원고 화상의 데이터 사이즈를 삭감할 수 있다.

Claims (13)

  1. 원고 화상(original image)을 불가역압축(lossy-comress)하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제어 수단; 및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으로부터 상기 코드 화상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판정과 동시에,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관련하여 상기 추출된 코드 화상을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3.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제어 수단; 및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한 정보를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판정과 동시에,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관련하여, 상기 취득한 정보를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5.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1 제어 수단; 및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 우에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코드 화상을 디코드함으로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코드 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구성된 제2 제어 수단
    을 포함하며,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기 제2 제어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판정과 동시에,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관련하여, 상기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7.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제1 제어 단계; 및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으로부터 상기 코드 화상을 추출하며, 상 기 추출된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며,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기 제2 제어 단계에서 행해지는 상기 판정과 동시에, 상기 제1 제어 단계에서 상기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관련하여, 상기 추출된 코드 화상이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9.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제1 제어 단계; 및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코드 화상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한 정보를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며,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기 제2 제어 단계에서 행해지는 판정과 동시에, 제1 제어 단계에서 상기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관련하여, 상기 취득한 정보를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1.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원고 화상을 불가역압축하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을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제1 제어 단계; 및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코드 화상을 디코드함으로써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정보에 따라서 새로운 코드 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며,
    불가역압축되지 않은 상기 원고 화상이 코드 화상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대해 상기 제2 제어 단계에서 행해지는 판정과 동시에, 제1 제어 단계에서 상기 원고 화상이 불가역압축되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될 상기 불가역압축된 원고 화상과 관련하여, 상기 생성된 새로운 코드 화상을 불가역압축하지 않고 상기 기억 단계에서 기억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3. 컴퓨터로 하여금, 제7항에 기재된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20070025059A 2006-03-15 2007-03-14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0889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1125 2006-03-15
JP2006071125A JP2007251521A (ja) 2006-03-15 2006-03-15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901A true KR20070093901A (ko) 2007-09-19
KR100889188B1 KR100889188B1 (ko) 2009-03-17

Family

ID=3826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5059A KR100889188B1 (ko) 2006-03-15 2007-03-14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139876B2 (ko)
EP (1) EP1835719B1 (ko)
JP (1) JP2007251521A (ko)
KR (1) KR100889188B1 (ko)
CN (1) CN101039375B (ko)
DE (1) DE60200700026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1841B2 (ja) 2007-11-08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5843565A (zh) * 2016-03-21 2016-08-10 西安航天动力试验技术研究所 一种条形码打印管理系统以及方法
JP6907880B2 (ja) * 2017-10-24 2021-07-21 オムロ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7570A (ja) * 1990-06-27 1992-02-2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処理装置
JPH0730759A (ja) * 1993-07-06 1995-01-31 Mega Chips:Kk 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受信装置
US5748780A (en) * 1994-04-07 1998-05-05 Stolfo; Salvatore J.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image processing and data compression
US5552898A (en) 1994-07-06 1996-09-03 Agfa-Gevaert Lossy and lossless compression in raster image processor
US5610995A (en) * 1995-06-06 1997-03-11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images containing optical symbols
JPH10224540A (ja) 1997-02-05 1998-08-21 Fuji Xerox Co Ltd デジタル複写機
US6097845A (en) * 1997-10-21 2000-08-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criminator
US6198850B1 (en) 1998-06-12 2001-03-06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gmentation dependent lossy and lossless compression for higher quality
JP2001344588A (ja) 2000-03-31 2001-12-14 Ricoh Co Ltd データシートとデータシート生成装置、情報印刷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944357B2 (en) * 2001-05-24 2005-09-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optimal image compression methods for reducing file size
EP1292153B1 (en) * 2001-08-29 2015-08-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3977216B2 (ja) 2001-09-27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7006656B2 (en) 2001-10-15 2006-02-28 The Research Foundation Of Suny Lossless embedding of data in digital objects
JP3959610B2 (ja) 2001-12-13 2007-08-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66461B2 (ja) 2002-08-0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カメラ装置
JP4420207B2 (ja) * 2004-03-23 2010-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ホストベースプリンタ、ホスト装置、印刷制御方法
JP4533035B2 (ja) * 2004-08-02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4345623B2 (ja) 2004-09-17 2009-10-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5719B1 (en) 2008-11-26
DE602007000268D1 (de) 2009-01-08
EP1835719A3 (en) 2007-10-17
CN101039375B (zh) 2010-05-26
US8300957B2 (en) 2012-10-30
CN101039375A (zh) 2007-09-19
US20070217697A1 (en) 2007-09-20
KR100889188B1 (ko) 2009-03-17
US8139876B2 (en) 2012-03-20
US20070217696A1 (en) 2007-09-20
EP1835719A2 (en) 2007-09-19
JP2007251521A (ja) 200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104B1 (ko) 복합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019215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20081936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US832261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14725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889188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77421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d rotating image data
JP200726692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175397B2 (en) Device adaptively switching image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 of object included in image
JP4089670B2 (ja) 文書管理装置
US10142520B1 (en) Single color background mixed raster content (MRC)
JP200728221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865440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mory medium
JP4792835B2 (ja) 画像処理装置
US202101121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mixed raster content (mrc) file
JP2000307818A (ja) スキャナおよびスキャナの解像度選択方法
JP4556582B2 (ja) 画像印刷装置
JP2008258930A (ja) 画像処理装置
US802312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80256043A1 (en) Accumulation control device
US764369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8257611A (ja) 画像処理装置
US2011027987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and program
JP200723384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829470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