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287A - 차체에 접합된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체에 접합된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287A
KR20070091287A KR1020077013520A KR20077013520A KR20070091287A KR 20070091287 A KR20070091287 A KR 20070091287A KR 1020077013520 A KR1020077013520 A KR 1020077013520A KR 20077013520 A KR20077013520 A KR 20077013520A KR 20070091287 A KR20070091287 A KR 2007009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elastic material
windshield
vehicle
lay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루이 바로지
마크 카프데푸이
레기 도네즈
로렌트 미로
필립 버던
찰스 장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에스.아. 아르떽 아에로스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에스.아. 아르떽 아에로스파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9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3Rear seat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plast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8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discrete fixing elements, e.g. glazing clips, glazier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유리창(2), 하나의 차체(4), 및 이들 유리창과 차체 사이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점탄성재 층(10)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체에 접합된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VEHICLE COMPRISING A PANE BONDED TO THE BODYWORK}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유리창과 차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와 차도의 접촉 및 엔진에 의해 발생하는 여기(勵起)의 영향 하에서, 자동차의 윈드실드 및 후방 유리창은 주파수가 800 Hz 미만인 상당한 소음 발생원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윈드실드가 그 기계적인 지지부 또는 입사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경우, 승객실을 통해 전달되어 승객의 안락함을 저해하는 압력파를 생성한다.
자동차의 방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특히 이들 2개의 패널의 진동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많은 연구의 대상이다. 현재, 2가지 타입의 해결책이 채택되고 있다.
첫번째 해결책은 이들 패널을 향한 진동 에너지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차체 구조체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해결책의 효율성은 구조적 제약에 의해 제한된다. 이 해결책은 또한 차체의 중량 및 가격의 증가를 초래한다.
다른 해결책은 폴리비닐 부티랄(PVB) 타입의 감쇠 재료로 이루어진다. 사실상, 오늘 날 윈드실드는, 유리 천이 온도를 15 ℃로 변경하도록 개발된 이러한 재 료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특징에 의해, 윈드실드는 실온에서 높은 감쇠율을 갖는다. 이에 반해서, 이러한 해결책은 2가지 결점을 갖는다. 한편으로는, 단지 PVB의 진동-감쇠 효과가 150 Hz보다 높은 경우에만 두드러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 주파수 미만에서는 윈드실드의 변형이 PVB가 더욱 그 진동-감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감쇠 재료는 종래의 윈드실드에 비해 현저한 초과 비용(10 유로를 넘음)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안락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유리창 및 차체와, 이들 유리창과 차체 사이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점탄성재 층을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입사파 또는 여기가 윈드실드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이 진동은 이러한 파동의 일부를 기계적인 변형 에너지 및 열 에너지로 전환하는 점탄성재 층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윈드실드의 진동은 현저히 감쇠되고, 이로 인해 승객의 안락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또한 다음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도 있다.
- 점탄성재는 유리창의 둘레 중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연속적로 연장된다.
- 점탄성재는 유리창의 둘레 중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불연속적로 연장된다.
- 유리창의 둘레 중 하나 이상의 변에는 점탄성재가 없다.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유리창과 차체 사이에 삽입된 하나 이상에 접착재 층을 더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접착재 층과 점탄성재 층이 중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접착재 층과 점탄성재 층이 중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이 영역은 중첩된 층들과 병치되는 점탄성재 층이나 접착재 층을 더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중첩된 층들 사이에 삽입된 필름을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점탄성재 층과 접착재 층이 병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한다.
- 점탄성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10 내지 40 ℃의 온도 범위와 20 내지 500 Hz의 진동 여기 하에서
- 손실 계수(loss factor)가 0.7 이상이고,
- 전단 탄성 계수가 3 Mpa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하나의 점탄성재 층이 유리창과 차체 사이에 삽입되는, 차량의 차체에 하나 이상의 유리창을 부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이하의 여러 실시예를 읽어보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윈드실드와 이 윈드실드를 차체에 부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 II-II를 따른 차량의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며,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의 면 X-X 내지 면 XII-XII를 따른 차량의 단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5의 구성의 면 XIV-XIV를 따른 단면을 이루는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16은 면 XVI-XVI를 따른 도 15의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7 내지 도 1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은 윈드실드(2)를 비롯한 복수 개의 유리창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윈드실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후방 유리창과 같은 다른 유리창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차량은, 윈드실드(2)가 부착되는 특히 금속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2개의 스트럿(6)을 구비하는 차체(4)를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HV3로 알려지고 GURITE라는 상표로 판매중인 접착제와 같은 표준 접착재 층(8)이 마련되는데, 이 접착재 층은 통상 윈드실드가 차체에 접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접착재 층(8)의 횡단면은, 예컨대 두께가 4 mm이고, 폭이 6 mm이며, 탄성 계수가 30 내지 50 MPa이다.
상기 구성은 또한 탄성재 층 또는 점탄성재 층(10)도 포함한다. 이러한 특별한 경우에 이 층은 두께가 1 내지 2 mm이다. "점탄성재"라는 용어는 탄성 계수가 1 내지 3 MPa이고, 손실 계수가 0.7을 넘는, 예컨대 10 정도인 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부틸 고무 등의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접착재 층(8)과 탄성재 층 또는 점탄성재 층(10)이 중첩되어, 차체를 형성하는 2개의 박판 층 및 윈드실드(2)와 함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5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재 층(8)의 상면은 윈드실드(2)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퍼진다. 접착재 층(8)의 하면은 점탄성재 층(10)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로 퍼진다. 점탄성재 층은 그 하면을 매개로 차체(4)와 접촉한 상태로 퍼진다. 립형 시일(12)이 한편으로는 차체까지 연장하였을 윈드실드(2)의 엣지를 덮고, 다른 한편으로는 차체에 있는 스트럿의 엣지를 덮도록 마련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층을 중첩함으로써 형성되는 조립체는 윈드실드(2)의 둘레를 이루는 4변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부분을 이룬다. 각 변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은 각 변의 중앙 영역에서는 그 변의 대부분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접착재 층(8)은 차체에 윈드실드가 접합되는 것을 보 장하고, 점탄성재 층(10)은 차체와 윈드실드 사이에서 전달되는 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다. 최대량의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위해서, 접착재 층과 점탄성재 층의 탄성 계수의 비는 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단 손실 계수(shear loss factor)가 고려되어야 한다. 강성인 경우의 이러한 진동은 에너지가 점탄성재 층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고, 점탄성재 층이 특히 전단 작용을 겪게 할 수 있다. 중요할 수 있는 다른 인자는, 전술한 부분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윈드실드 둘레의 점탄성재 층의 배치의 불연속성이다. 사실상, 이러한 불연속성은 재료의 소산 효과를 증대시키는 국부적인 변형을 인공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도 3에서와 같이 각 부분이 점탄성재 층의 불연속 섹션을 덮는 연속적인 접착재 층(8)으로 형성되는 변형예로서 제공되는 것에 의해 두드러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의 점탄성재 층(10)은 불연속적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지 윈드실드(2)의 길이 방향 윗변 및 밑변에 의해 윈드실드(2)가 차체에 부착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층(8, 10)을 윈드실드의 전체 둘레에 걸쳐 중첩하여 이중 두께의 연속적인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계획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윈드실드와 차체 사이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고, 선택적으로 특히 그러한 목적을 위한 시일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필름이나 호일이 층들(8, 10)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필름(20)은 층들(8, 10)간의 접 착력을 강화하고 점탄성재(10)의 전단 변형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제시된 구성에서는, 호일(20)의 예로서, 클립 또는 클램프(26)가 사용되는데, 이들 클립 또는 클램프의 일부분은 층들(8, 10) 사이에서 연장되고, 클립 또는 클램프는 층(10)에 대향하는 차체의 부분들의 일면과 대향하는 측면을 통해 부착되도록 차체를 형성하는 부분의 엣지(28)를 덮는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중첩되는 층의 개수를 증대시키는 것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추가의 점탄성재(22) 층이 접착재 층(8)의 상면과 윈드실드의 하면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접착재 층(8)은 2개의 점탄성재 층 사이에 삽입된다. 반대로, 도 8에 제공된 실시예에서는, 추가의 접착재 층(24)이 점탄성재 층(10)의 하면과 차체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이 때 점탄성재 층(10)은 2개의 접착재 층 사이에 삽입된다. 중첩되는 층들의 개수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도 또한 예상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영역(40)과 영역(42) 각각에 해당하는 2개의 상이한 방식으로 차체(4)에 대한 윈드실드(2)의 부착이 실시된다. 제1 영역(40)은 대략적으로 이 예에서는 길이 방향 윗변 및 밑변을 약간 덮는 윈드실드의 좌우 측면에 해당한다. 제2 영역(42)은 길이 방향 윗변 및 밑변 대부분에 해당한다. 제1 영역(40)의 구조는 도 11에 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영역에서, 윈드실드는 단일 접착재 층(8)에 의해 차체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접착재 층은 윈드실드의 하면 및 차체와 직접 접촉한다. 제2 영역(42)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탄성재 층이 접착재 층(8) 위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를 참고하여 이미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에 의해 윈드실드가 차체에 부착된다.
또한, 점탄성재는 차체와 윈드실드 사이에서 전달되는 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양호한 방음 성능을 보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윈드실드를 지지하는 리베이트(rebate)의 평탄성의 결여로 인해 차체에 대한 유리창의 양호한 접합 품질이 반드시 보장되지는 않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평상시보다 두께가 얇게 통상의 접착제 상에 추가로 호일을 중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호일은 점탄성재와 이 접착제 사이의 계면에서 충분한 접착을 보장한다. 점탄성재가 인터페이스에서 적절한 적절한 접착제와 친화성이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별도의 호일이 불필요할 것이다. 제2 영역(42)에서는, 접착제가 특히 차체의 기하학적인 불균일성을 만회하는 역할을 하여, 권장 사항에 따르는 접합과 시일을 보장한다. 차체와 윈드실드 사이에서 전달되는 최대량의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점탄성재는 관련 주파수 대역에서 손실 계수가 크고 전단 탄성 계수가 낮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기준값으로서 이하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 온도 범위 : 10 ℃ 내지 40 ℃
- 주파수 : 20 내지 500 Hz
- 손실 계수 : 0.7보다 큼
- 전단 탄성 계수 : 3 MPa 미만(106 N/m2)
예로서, 아크릴 발포체가 이들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방음 성능 이외에도, 점탄성재는 충돌시의 기계적인 강도의 기준을 충족시켜 야 한다. 특히 정면 충돌시에는 운전자와 승객의 에어백이 전개되어 윈드실드의 저부에 큰 힘을 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충돌시의 윈드실드의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점탄성재가 반드시 3 Mpa을 넘어야 한다는 파괴 응력에 대한 사양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실상, 에어백의 전개 시간은 십분의 수초 정도이며, 이 때 탄성재는 약 1 mm로 변형된다. 따라서, 충돌 속도는 1000 Hz 넘는 진동 주파수와 동등하다. 점탄성재는 높은 점도로 인해 급속한 변형에 대해 매우 높은 저항을 갖는다. 예컨대, SCOTCHDAMP SJ-2001 5X 점탄성 중합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중인 재료에 있어서, 20 ℃에서의 전단 탄성 계수는 20 MPa이고, 1000 Hz에서는 5 MPa보다 크다. 그 결과, 이러한 타입의 재료는 진동에 대한 요구 사항과 소극적인 안전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윈드실드의 적절한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1 영역(40)과 제2 영역(42) 사이의 결합부에서의 급작스러운 불연속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점탄성재 층(10)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접착재 층(8)의 두께가 점차 증가하고, 이것이 제1 영역(40)과 제2 영역(42)의 경계로의 선형 진행에 후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점탄성재를 위치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축 장치는 제품의 단부가 도 12의 단부에 근사하는 테이퍼진 형상을 갖도록 제품을 성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의 테이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재료와의 결합 지점에 과량의 접착제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량은 가능하다면 취약한 영역에서의 시일을 보장하기 위해, 이 영역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증가된 양으로 도포 하도록 장치의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것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타입 DOW HV3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특정 영역(52)[예컨대, 영역(42)에 대응함]에서는 접착재 층(8)과 점탄성재 층(10)에 의해 윈드실드(2)가 차체(4)에 부착되고, 다른 영역(50)에서는 단지 접착재 층에 의해서만 윈드실드가 차체에 부착된다. 도 9의 실시예와는 달리, 영역(52)에는 이 때 2개의 층들(8, 10)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병치된다. 이들 2개의 층은 윈드실드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들 층은 또한 각각이 차체와 접촉하고, 점탄성재 층(10)의 두께가 접착재 층(8)의 두께보다 작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리베이트에 견부(54)(肩部)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윈드실드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인 접착제 루프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접착제의 전단 탄성 계수가 점탄성재의 전단 탄성 계수보다 높기 때문에, 점탄성재의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역(50)에 비해 영역(52)에서 접착재 층의 두께를 증대시키고 그 폭은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탄성재의 전단 변형 에너지가 최대로 될 수 있게 하는 접착재 층 및 점탄성재 층의 두께 및 폭은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각 영역(52)에서는, 접합 라인이 보다 좁거나 보다 두껍다. 따라서, 조립 라인에서 윈드실드의 접합을 실시하는 로봇은 동일한 속도 및 동일한 접착제 이송 유량을 유지하여,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의 시일(12)은 접착재 층과 점탄성재 층을 위해 채택된 구성에 상관없이 윈드실드와 차체 사이를 시일할 수 있는 시일로 대체될 수 있 다. 그러한 구성은 2개의 영역(50, 52) 사이의 결합부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쇠 기구를 최적화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자유도를 남길 수 있다.
예컨대,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은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에서는, 윈드실드의 길이 방향 밑변은 층들이 연속적이고 도 5의 구성을 갖는 영역(62)을 형성하는 반면, 윈드실드의 길이 방향 윗변(64)을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의 층들이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다. 윈드실드의 측방향 좌우변에는 층들이 없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윈드실드의 상측 및 하측의 길이 방향 두변에 2회의 불연속을 이루는 층이 마련된다.
최종적으로,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윈드실드의 전체 둘레에 대응하는 루프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점탄성재 층(10)에 의해 윈드실드가 차체에 부착된다. 측방향 좌우변에서 접착재 층(8)이 점탄성재 층(10)과 병치되고, 이 접착재 층은 또한 차체 및 윈드실드와 접촉한다. 점탄성재 층과 접착재 층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양호한 방음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점탄성재의 전단 탄성 계수가 비교적 작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2개의 표준 접착 스트립을 20 MPa을 넘는 높은 탄성 계수를 갖도록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차체가 비틀리는 동안에 최대 레벨의 부하를 경험하는 것은 측부 스트럿에 있는 접착재 층이다. 이것이, 접착재 층을 배치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이 제공되는 이유이다. 요약하자면, 완전한 점탄성재 루프는 방음 성능과 시일을 보장하며, 2개의 측방향 변으로 한정된 표 준 접착재 층은 기계적인 강도를 보장한다.
일반적으로, 점탄성재를 위치 설정하기 전에, 유리창을 그 둘레 전체에 걸쳐 공지된 방식으로 프라이머를 도포함으로써 접합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점탄성재는 비점착성 보호 스트립에 의해 일면이 보호되고 그 자체가 롤 형태로 권취된다. 릴 역할을 하고 보호 스트립을 벗겨내는 장치가 유리창 및/또는 차체를 접합하기 위한 홈의 전술한 영역에 제품을 위치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가압 롤러의 작용에 의해 점탄성재를 위치 설정하는 동시에 점탄성재를 압착하며, 압착력은 점탄성재의 권장 특징에 따라 산정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접착제는 점탄성재 층을 부착한 후에 도포된다.
점탄성재가 그레이징 접착제(grazing adhesive)와 친화성이 없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두께가 약 10 마이크로미터인 PET 재료 형태의 호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호일은, 글레이징 접착제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갖도록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Dow가 시판중인 BETAPRIME 5404와 같은 접착 프라이머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유리를 배치하기 위한 접착제는, 이것이 점탄성재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던지 이러한 영역 외측에 있던지 간에, 접착 홈의 특정된 총높이를 고려하여 접착 홈 전체에 걸쳐 도포된다. 영역에 따른 접착제 양의 조정은, 예컨대 접합 로봇 속도의 변화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은 입사 에너지를 보다 양호하게 소산시키기 위해서 입사 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집중시키는 특히 유리한 기하학적 형상 및 공정, 그리고 부착물로 인한 감쇠를 일으키는 것에 의해 윈드실드의 진동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접착제는 부착중의 제조 변화와 표면 불균일성을 보정한다.
도 1 내지 도 10, 도 12, 도 17 및 도 18에서는, 예컨대 2면에 부착되는 스트립 형태의 점탄성재 층이 접착재 층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9, 도 14 및 도 15에서는, 점탄성재 층이 접착재 층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점탄성재는, 예컨대 페이스트 형태로 도포되어 표면 불균일성을 보다 쉽게 보상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층이 일렬 및 병렬로 조합되어 배치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없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윈드실드 둘레의 특정 영역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착재 층(또는 점탄성재 층)(70)을 접착재 층(8)과 점탄성재 층(10)이 중첩된 2개의 층과 병치시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유리창(2)과 차체(4)를 포함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유리창과 차체 사이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점탄성재 층(10; 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재 층(10; 22)은 유리창의 둘레의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재 층(10; 22)은 유리창의 둘레의 하나 이상의 변을 따라 불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2)은 하나 이상의 변에 점탄성재가 없는 둘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과 차체 사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재 층(8; 24; 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 층(8; 24)과 점탄성재 층(10; 22)이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재 층(8)과 점탄성재 층(10)이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이 영역은 중첩된 층들과 병치되는 접착재 층(70) 또는 점탄성재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중첩된 층들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20; 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재 층(10)과 접착재 층(70; 8)이 병치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재는 10 내지 40 ℃의 온도 범위와 20 내지 500 Hz의 진동 여기(勵起) 하에서, 0.7 이상의 손실 계수와, 3 MPa 이하의 전단 탄성 계수를 특성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하나 이상의 유리창을 하나의 차량의 차체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유리창(2)과 차체(4) 사이에 점탄성재 층(10)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13520A 2004-11-16 2005-11-16 차체에 접합된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KR20070091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2121 2004-11-16
FR0412121A FR2877881B1 (fr) 2004-11-16 2004-11-16 Vehicule comprenant une vitre collee a la carross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287A true KR20070091287A (ko) 2007-09-10

Family

ID=3495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520A KR20070091287A (ko) 2004-11-16 2005-11-16 차체에 접합된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28273B2 (ko)
EP (1) EP1815099B1 (ko)
JP (1) JP2008520479A (ko)
KR (1) KR20070091287A (ko)
CN (1) CN101137815B (ko)
FR (1) FR2877881B1 (ko)
WO (1) WO2006054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4589B1 (fr) * 2007-04-06 2009-09-04 Saint Gobain Vitrage a propriete d'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ameliore,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vitrage et procede de protection acoustique dans un habitacle de vehicule
JP2009073251A (ja) * 2007-09-19 2009-04-0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ガラス支持構造
FR2922937B1 (fr) * 2007-10-26 2009-11-20 Saint Gobain Vitrage a propriete d'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ameliore,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vitrage et procede de protection acoustique dans un habitacle de vehicule.
EP2167337B1 (en) * 2008-04-11 2013-08-28 Wabtec Holding Corp. Glazed transit vehicle door or window
EP2328771B1 (en) * 2008-09-05 2018-11-07 Henkel AG & Co. KGaA Edge-encapsulated panels using high damping foam
FR2938599B1 (fr) 2008-11-17 2010-12-17 Airbus France Dispositif de vitrage acoustiquement isolant notamment pour aeronef et procede d'isolation acoustique pour vitrage
FR2944471B1 (fr) * 2009-04-16 2011-05-06 Saint Gobain Vitrage a propriete d'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ameliore,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vitrage et procede de protection acoustique dans un habitacle de vehicule
WO2012051484A1 (en) * 2010-10-14 2012-04-19 Agc Automotive Americas Co. Adhesively bonded window and hardware assembly
CZ21992U1 (cs) * 2011-02-21 2011-03-24 Dfk Cab, S.R.O. Kabina vozidla
EP2667143B1 (en) * 2012-05-21 2015-03-18 ISOCLIMA S.p.A. Pane construction and corresponding bullet proof window
WO2013181484A1 (en) 2012-05-31 2013-12-05 Corning Incorporated Stiff interlayers for laminated glass structures
KR102466478B1 (ko) 2013-08-30 2022-11-1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경량, 고강성 유리 적층체 구조물
US9399385B2 (en) * 2014-12-11 2016-07-26 Honda Motor Co., Ltd. Rear window assembly
US10350861B2 (en) 2015-07-31 2019-07-16 Corning Incorporated Laminate structures with enhanced damping properties
JP6665618B2 (ja) * 2016-03-23 2020-03-13 Agc株式会社 車両用窓板
CN106050070A (zh) * 2016-07-28 2016-10-26 中国地震局地震研究所 基于粘弹性减振橡胶的减振玻璃窗
EP3530507B1 (en) 2016-10-19 2020-08-12 Nissan Motor Co., Ltd. Window glass supporting structure
JP2021098468A (ja) * 2019-12-23 2021-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固定窓
FR3123041B1 (fr) 2021-05-19 2023-08-25 Cie Plastic Omnium Se Panneau de carrosserie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1916A1 (de) * 1985-01-22 1986-07-24 Daimler Benz Ag Elastisches abdeckprofil
DE3632472A1 (de) * 1986-09-24 1988-03-31 Flachglas Ag Kraftfahrzeugscheibe
CA2008787C (en) * 1988-12-08 2002-03-19 Frederic De Moncuit Composite glazing panel
JPH0616039A (ja) * 1992-06-30 1994-01-25 Nishikawa Rubber Co Ltd ダムラバー
FR2698059B1 (fr) * 1992-11-17 1995-01-27 Olin Garniture composite pour carrosseries, carcasses et structures diverses.
GB9324069D0 (en) * 1993-11-23 1994-01-12 Glaverbel A glazing unit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H10287127A (ja) * 1997-04-16 1998-10-27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窓ガラスの制振装置
US6284360B1 (en) * 1997-09-30 2001-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ant composition, article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CN2334617Y (zh) * 1998-05-22 1999-08-25 刘兴海 车用挡风玻璃
FR2809075B1 (fr) * 2000-05-18 2004-04-02 Norton Sa Performance Plastics Procede de fabrication d'un element modulaire pret a etre colle et procede de montage
CN101380885B (zh) * 2000-10-10 2013-01-16 法国圣戈班玻璃厂 包括用来将玻璃安装在窗洞中的成型带的窗玻璃的应用
JP3849453B2 (ja) * 2001-04-26 2006-11-2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ガラス構造
JP3883832B2 (ja) * 2001-10-02 2007-02-21 セメダインヘンケル株式会社 制振材付車体パネル及び制振材塗布装置
JP2004009966A (ja) * 2002-06-10 2004-01-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ウインドシールド取付構造
FR2843227B1 (fr) * 2002-07-31 2006-07-28 Saint Gobain Profile a propriete d'amortissement acoustique.
JP2005297581A (ja) * 2002-08-15 2005-10-27 Asahi Glass Co Ltd 枠材付き窓用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1097B2 (ja) * 2003-03-31 2008-06-1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キャブのリヤウィンドウの透過音防止構造
US20060008625A1 (en) * 2004-07-12 2006-01-12 Guardian Industries Corp. Vehicle window unit with foam based seal and correspon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28273B2 (en) 2012-12-11
CN101137815A (zh) 2008-03-05
EP1815099A1 (fr) 2007-08-08
EP1815099B1 (fr) 2013-05-22
JP2008520479A (ja) 2008-06-19
CN101137815B (zh) 2011-08-10
FR2877881B1 (fr) 2009-10-02
US20120133179A1 (en) 2012-05-31
WO2006054020A1 (fr) 2006-05-26
FR2877881A1 (fr)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1287A (ko) 차체에 접합된 유리창을 포함하는 차량
KR100910482B1 (ko) 차량용 창유리 장치
US4857376A (en) Motor vehicle glass pane
US5796055A (en) Sound absorbing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598640B1 (ko) 개선된 진동-음향 댐핑 거동을 갖는 글레이징, 이러한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및 차량 객실 내의 방음 방법
US7931117B2 (en) Glazing unit with improved vibro-acoustic damping properties, method for making such glazing unit and method for acoustic protection in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H0324557B2 (ko)
US20190299765A1 (en) Window glass with seal member
JP7145240B2 (ja) 複合ガラスペイン
US10583634B2 (en) Laminated substrate for window, laminated substrate for window with frame body, automobile with laminated substrate for window, and intermediate layer structure for laminated substrate for window
EP1371481B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windshield
KR102003587B1 (ko) 수송 기기용 부품 및 패널 부재
AU2010238404B2 (en) Glass panel with improved vibroacoustic damping properties,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glass panel, and method for acoustic protection in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3135197B2 (ja) ガラス樹脂複合板
CN110785283A (zh) 用于运输装置紧急出口的具有缩进的外玻璃的侧面玻璃单元
JP5167691B2 (ja) 車両用パネル装置
JP2885505B2 (ja) 車輌用積層ガラス
JP2000343939A (ja) 車両用窓構造および車両用窓の取り付け構造
JP2023123028A (ja) パネル
CN210310217U (zh) 一种高连接强度的车身钣金空腔隔音块
JP2008213539A (ja) 車体制振構造
CN110895123A (zh) 一种防弹玻璃窗格
JP2000001345A (ja) 異層合せガラス板
JPH02258413A (ja) 金具の取付け方法
GB1593506A (en) Glazing trim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