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791A -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791A
KR20070083791A KR1020077009353A KR20077009353A KR20070083791A KR 20070083791 A KR20070083791 A KR 20070083791A KR 1020077009353 A KR1020077009353 A KR 1020077009353A KR 20077009353 A KR20077009353 A KR 20077009353A KR 20070083791 A KR20070083791 A KR 20070083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assembly
assembly device
actua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672B1 (ko
Inventor
헤인즈 보스
토비아스 에발트
울리히 레만
아쳐 코메인다
라이너 메써슈미트
그리트 숄츠
안드레아스 노르비스라쓰
위르겐 슈테머
Original Assignee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8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시트용 조립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제 1 조립부(11), 제 1 조립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조립부(12), 주로 조립 장치(10)를 록킹하기 위해 제공되는 록킹 편심기, 주로 조립 장치(10)를 조정하기 위해 제 1 조립부(11) 상에 제 2 조립부(12)의 상대적인 롤링 운동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작동 편심기(131) 및 조정 운동 동안 록킹 효과를 상쇄하도록 조정 운동의 초기에 록킹 편심기를 제어하여 적어도 작동 편심기(31)를 구동하는 캐치(121)를 포함한다. 회전하는 캐치(21)는 어떠한 측방향력 없이 회전하는 작동 편심기(31)에 충돌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FITTING FOR THE SEA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구비한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 장치는 DE 39 41 215 A1호로부터 공개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차량 시트의 등받이는 경사가 조정되는 방식으로 차량 시트의 시트 부분에 부착된다. 이러한 조립 장치에서,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록킹 편심기 및 낫 형상(sickle-shaped)의 중앙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작동 편심기는 제 1 조립부의 칼라에 위치한다. 록킹 세그먼트는 조립 장치의 록킹을 위해 기능하는 반면, 조정 운동 동안, 작동 편심기는 홀로 조립부의 장착 및 구동을 담당한다. 부품의 재료 및 형상의 선택에 의해, 증가된 마찰은 조정 운동 동안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한 작동력을 증가시킨다. 로딩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 즉 등받이 상의 이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등받이의 중량의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운동 조정은, 로딩 방향에서보다 상당히 더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타입의 조립 장치를 개선, 특히 로딩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작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한 조립 장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용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요 구성을 형성한다.
회전하는 구동기가 측방향력(회전의 공통 축선에 대해) 없이 회전가능한 작동 편심기 상에 충돌(impinge)할 때, 구동기의 구동 토크가 작동 편심기로 동축으로 인가되어, 동일한 마찰 조건 하에서 이동될 수 있다. 마찰의 국부적인 증가를 초래하여 작동력을 증가시키는, 측방향력에 의해 촉발되는 순간적인 회전 중심에 대해 기울어지고 상기 회전을 상쇄하는 운동이 회피된다. 따라서 측방향력으로부터 요구되는 자유는 측방향력이 실질적으로 마찰을 변경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부품 허용오차에 의해 요구되는 최소 측방향력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측방향력이 없는 충돌은 예를 들면 구동기와 작동 편심기 사이의 접촉점에 의해 달성되어 주변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구동기와 작동 편심기의 공통 회전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게 된다. 록킹 편심기와 작동 편심기의 제어의 시간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아이들 운동의 장점을 제공하는 슬롯-핀-가이드를 구비한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두 개의 핀 및 두 개의 긴 구멍이 구동기 및 작동 편심기의 회전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적인 지점에 배치하며, 한편으로는 구동기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작동 편심기로 핀 및 긴 구멍의 소정의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핀 및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지점에 의해, 움직임 없이 구성되는 구동기와 작동 편심기 사이의 회전이 고정되는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전이 고정되는 연결은 구동기와 작동 편심기가 단일 부품을 형성하도록, 즉 구동기가 작동 편심기로서 구성되도록 개선된다.
작동 편심기가 하나의 각각의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평면 베어링 부시에 의해 장착될 때, 제 1 조립부에 대해 그리고 제 2 조립부에 대해 둘다, 작은 양의 마찰이 작동 편심기 및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평면 베어링 부시 사이(또는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와 관련 조립부 사이에)에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은 조립 장치를 록킹하기 위해 요구되는, 록킹 편심기와 상기 조립부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마찰 보다 작다. 이는 작동력을 감소시킨다. 록킹 편심기는 움직임(play) 없는 조립 및 위치설정을 록킹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기하학적 형상과 관련하여,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에 대한 작동 편심기의 베어링은 회전 축선에 대해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두 개의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 각각은 관련된 조립 장치에 대해 회전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 예를 들면 통공 또는 칼라로 가압되거나 칼라로 가압된다. 대안적으로, 두 개의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들 중 하나(또는 둘다)가 작동 편심기에 대한 회전이 고정되게 연결, 예를 들면 작동 편심기 내로 또는 작동 편심기 상으로 가압된다.
작동 편심기는 낫 형상일 수 있으며 주변 방향으로, 예를 들면 180°이상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편심기가 고리형 형상, 즉 주변 방향으로 완전히 폐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와 관련된 조립부 및 낫 형상 작동 편심기 사이의 저 마찰 상대 운동을 하는 변형예에서,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만이 작동 편심기에 적용되는 주변부의 일 부분 위에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즉 낫 형상 롤링 접촉 베어링 세그먼트 또는 플레인 베어링 세그먼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록킹 편심기와 작동 편심기 사이의 정밀한 기능적 분리는 모든 상황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록킹 조립으로, 록킹 편심기는 연속적으로 록킹 기능, 움직임 없는 위치설정 및 대체로 서로 위로 조립부의 장착도 수행한다. 그러나, 작동 편심기는 또한 조립부의 장착에 기여할 수 있다. 로딩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조정 운동 동안, 작동 편심기 홀로 정상적으로 조립부의 장착 및 롤링 운동의 구동을 수행한다. 로딩 방향은 조립에 의해 인가되는 시트 부품 상으로 이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 또는 시트 부품의 중력 방향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로딩 방향으로의 조정 운동 동안, 작동 편심기는 주로 조립부의 장착 및 롤링 운동의 구동을 수행하지만, 상황 및 경계 조건에 따라, 록킹 편심기 또는 록킹 편심기의 부품이 장착 및 구동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록킹 편심기의 제어는 구동기의 구동 세그먼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웨지 세그먼트가 서로 접근하여 록킹 효과를 해제하도록 하여, 접근 양이 일반적으로 변동되고 국부 마찰 상태 및 부품 허용오차에 종속된다. 작동 편심기의 구동은 또한 예를 들면 리세스 내부의 구동 세그먼트에 의해 가능하여, 이는 고리형 작동 편심기가 효과적이다.
구동기가 웨지 세그먼트들을 가져와서, 즉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로딩 방향에 대해 단지 하나의 웨지 세그먼트, 예를 들면 적게 로딩되는 웨지 세그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서로 지지하도록 수행할 수도 있다. 웨지 세그먼트를 가압하여 분리하기 위한 초기 록킹 위치에 제공되는, 고리형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웨지 세그먼트가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는 웨지 세그먼트에 맞물리는, 예를 들면 구멍 내의 고리형 스프링의 단부 핑거 하나 또는 둘다에 충돌된다. 효과는 예를 들면, 구동기에 결합되는 피봇가능한 연결 링크 상에, 제공되는 적절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링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작동 편심기가 구동기와 록킹 편심기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작동 편심기를 통과하는 슬롯이 제공되어, 고리형 스프링의 단부 핑거가 웨지 세그먼트의 방해받지 않는 통과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로, 예를 들면, 등받이의 경사의 조정이 수행된다. 차량 시트의 추가의 피봇가능한 영역을 조정하기 위해 연장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는 수동 구동부용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동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른 기어형 조립 장치에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변형예와 함께 도면에 도시된 3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아래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차량 시트의 개략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도이며,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도이며,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도이며,
도 7은 제 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제 2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9는 제 3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도이며,
도 10은 제 3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자동차용 차량 시트(1)는 시트부(3) 및 경사가 시트부(3)에 대해 수동으로 조정될 수 있는 등받이(4)를 포함한다. 등받이(4)의 경사 조정은 측부에 제공되는 핸드 휠 및 두 개의 조립 장치(10)를 함께 구동하는 구동 샤프트에 의해 수행되며, 두 개의 조립 장치(10)가 차량 시트(1)의 두 개의 측부들 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어 등받이(4)를 지지한다.
각각의 조립 장치(10)는 제 1 조립부(11) 및 제 2 조립부(12)가 록킹 및 조정용 기어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기어형 조립 장치로서 구성된다. 두 개의 조립부(11 및 12)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강철로 이루어진다. 제 1 조립부(11)는 등받이(4)의 구조물(등받이에 고정된)에 주로 연결되며 따라서 도면의 상부에 도시된다. 따라서, 본 케이스에서, 제 2 조립부(12)는 시트부에 주로 고정되며 도면에서 바닥에 도시된다. 조립부(11 및 12)의 위치는 또한 상호 교환되어, 서로에 대한 부품의 이동 및 지지가 개념적으로 항상 조립 장치(10)의 상대적인 시스템 내에서 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기어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 치형부를 구비한 치형 휠(16)은 제 2 조립부(12)에 형성되고 내부 치형부를 구비한 치형 링(17)은 제 1 조립부(11)에 형성되며, 이들은 서로 맞물린다. 치형 휠(16)의 외부 치형부의 추가물의 직경은 치형 링(17)의 내부 치형부의 추가 원의 직경 보다 하나 이상의 치형 높이 만큼 작다. 치형 휠(16) 및 치형 링(17)의 치형부의 개수 사이의 대응하는 차이는 치형 휠(16) 상의 치형 링(17)의 롤링 운동을 허용한다. 제 1 치형부(11)는 치형 링(17)의 내부 치형부에 대해 동심으로, 치형 휠(16) 쪽의 측부 상에 형성되는 칼라(19)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방향 정보는 원통형 좌표계에서 중심을 지칭한다.
도면 부호 "21"에 의해 제 1 실시예에서 표시되는 구동기는 중앙 허브(22)에 의해 제 1 조립부(11)의 칼라(19)에 움직임을 가지고 장착된다. 구동기(2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구동기(21)에는 허브(22)를 관통하여 구동 샤프트의 외부 스플라인 프로파일에 적용되도록 프로파일링되는 중앙 축방향 수용기(23)가 제공된다. 허브(22)로부터 반대쪽에 있는 구동기(21)의 전방면에, 커버 디스크는 구동기(21) 상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21)는 클립되는 유지 링(24)에 의해 제 1 조립부(11)의 외측면에 축선방향으로 고정된다. 축방향 작용력을 수용하기 위해, 하나의 각각의 유지판(25)은 조정 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각각의 다른 조립부와 겹치는, 두 개의 조립부(11 및 12) 상으로 용접된다. 명료성을 위해, 이러한 유지판(25)들 중 단지 하나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 다.
바람직하게는 강철(특히, 소결된 재료) 또는 상이한 금속 재료로 생산되고 구동기(21)와 제 1 조립부(11)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27)는 록킹 편심기를 형성한다. 웨지 세그먼트(27)는 칼라(19) 상의 원형-아크 형상으로 만곡된 내부면에 의해 지지된다. 내부면에 대해 편심되는, 유사한 원형-아크 형상으로 만곡된 외부면으로, 웨지 세그먼트(27)는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의 장착을 위해 기능하며, 플레인 베어링 부시는 본 명세서에서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로 지칭된다.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는 제 2 조립부(12)내로 회전이 고정되게(fixedly in terms of rotation) 가압된다.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와 웨지 세그먼트(27) 사이의 마찰은 웨지 세그먼트(27)와 칼라(19) 사이의 마찰 보다 상당히 작다. 웨지 세그먼트(27)의 서로 마주하는 넓은 측부는 각각 하나의 구멍(29)(또는 주변 방향 내의 죠오(jaw) 개구)으로 예비인장되는 고리형 스프링(30)의 각각 하나의 구부러진 단부 핑거를 수용하며, 예비 인장되는 고리형 스프링(30)의 각각 하나의 구부러진 단부 핑거는 초기 위치에서 조립 장치(10)를 록킹하기 위해, 웨지 세그먼트(27) 상에 작용하여 상기 웨지 세그먼트를 가압하여 주변 방향으로 이격한다.
작동 편심기는 제 1 실시예에서 도면부호 "31"로 표시된, 웨지 세그먼트(27)에 인접하게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작동 편심기(3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작동 편심기(31)는 원통 아크형 만곡 외측면으로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에 대해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지지하고 또한 제 1 플레인 부 시의 장착을 위해 기능한다. 작동 편심기(31)는 외측면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는 유사한 원통 아크형 만곡 외측면으로 추가의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33)로서 지칭되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를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지지한다.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33)는 작동 편심기(31) 내로 회전이 고정되게 삽입되며(그리고 작은 힘으로 칼라(19)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칼라(19) 상에 회전이 고정되게 위치설정된다(작동 편심기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33)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한편으로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및 33)와 다른 한편으로는 칼라(19) 상의 작동 편심기(31) 사이의 마찰은 또한 웨지 세그먼트(27)와 칼라(19) 사이의 마찰 보다 상당히 작다.
톡킹된 초기 위치에서, 편심 방향으로 연장하는 록킹 편심기가 치형 링(17) 내로 형성된 결합 지점에서 치형 휠(16)을 가압한다. 작동 편심기(31)는 로킹 편심기의 편심도에 따라 정렬되어, 두 개의 편심기가 서로에 대해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한다. 록킹 편심기는 주로, 즉 정상적으로 홀로, 서로 상으로의 두 개의 조립부(11 및 12)의 장착 및 움직임 및 이에 따른 록킹 효과 없이 위치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작동 편심기(31)는 또한 장착에 대해 비례적으로 기여한다. 구동기(21)가 구동될 때, 웨지 세그먼트(27)는 고리형 스프링(30)의 힘에 대해 역으로 서로 접근하여 록킹 효과가 상쇄된다. 작동 편심기(31)는 주로, 즉 정상적으로 홀로, 두 개의 조립부(11 및 12)(그리고 따라서 롤링 운동의 구동)의 장착을 담당한다. 특히 로딩 방향으로 조정 운동 동안, 때때로 혼합된 상태가 발생하여 하나 또는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27)가 장착 및 구동에 기여할 수 있다. 제 1 조립부(11)의 칼라 (19)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작동 편심기(31)는 편심 방향으로 변위하여 흔들거리는 롤링 운동으로서 나타나는 치형 링(17) 내의 치형 휠(16)의 결합 지점을 변위함으로써 제 2 조립부(12)를 따라 미끄러진다.
구동기(21), 록킹 편심기 및 작동 편심기(31)의 상술된 구성은 모든 실시예 및 이들의 변형예에 대해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들 및 추가 성분의 더 상세한 구성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제 1 실시예에서, 구동 세그먼트(35)는 허브(22)를 구비하는 전방면 상의 구동기(21) 상에 형성되며, 각각 하나의 구동 러그(36)에 의해 구동기(21)의 주변 방향으로 한정된다. 구동 세그먼트(35)는 웨지 세그먼트(27)의 작동 편심기(31)들 사이의 구동 러그(36)와 움직임을 가지고 파지된다. 작동 편심기(31)는 낫형 구성이며 구동기(21)와 웨지 세그먼트(27)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주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작동 편심기(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슬롯(37)은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가 간섭하지 않고 갭을 가지고 작동 편심기(31)로 웨지 세그먼트(27)를 결합하지 않고 웨지 세그먼트(27)의 구멍(29)을 관통한다.
두 개의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핀(38)은 구동기(21) 쪽 정면 상의 작동 편심기(31) 상에 형성되며, 이들은 서로 반지름방향으로 대향된다. 각각의 핀(38)은 주변 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구멍(39) 내에 결합된다. 초기 위치에서, 핀(38)은 대략적으로 긴 구멍(39)의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핀(38)이 관련된 긴 구멍(39)의 구동 세그먼트(35)에 더 근접하게 지지할 때(도 1 및 도 3의 하단부), 작동 편심기(31)가 여전히 구동 러그(36)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도록, 핀(38) 및 긴 구멍 (39)이 배치된다.
구동하는 동안, 토크는 1차적으로 구동기(21) 내로 도입되고나서 관련된 웨지 세그먼트(27) 상에 충돌하여 웨지 세그먼트(27)를 함께 가압하는 구동 러그(36)들 중 하나에 의해 록킹 편심기로 전달된다. 구동기(21)의 추가 회전으로, 긴 구멍(39)에 의해 예비 결정되는 아이들 운동이 관통하는 경우, 작동 편심기(31)는 핀(38) 상에 충돌하여 구동된다.
서로 반지름방향으로 대향되는 핀(38) 및 긴 구멍(39)의 두 개의 시스템이 제공될 때, 작동 편심기(31)의 충돌 및 구동은 측방향력 없이 구동기(21)에 의해 수행된다, 즉 토크가 구동기(21)의 회전의 중앙에 배치되는 축선에 대해 (점) 대칭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작동 편심기(31)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및 33)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낮은) 마찰로 미끄러진다. 측방향력, 즉 대칭으로 작용하는 토크로, 작동 편심기(31)의 기울어짐에 의해 순간적인 회전 축선에 대해 발생하며(구동기(21)와 작동 편심기(31) 사이의 접촉 지점에서)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상으로의 작동 편심기(31)의 정상 힘으로 약간의 국부적인 증가를 초래하여 마찰이 약간 증가된다.
웨지 세그먼트(27)의 제어 또는 장착이 상이한, 측방향력을 구비하지 않은 공개된 제 1 실시예에 대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는 고리형 스프링(30)에 의해 수행되어 구동 세그먼트(35)를 생략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제 1 변형예에서, 상이하게 설명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되며 유사하게 작용하는 구 성은 아포스트로피가 표시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두 개의 링크(41')가 구동기(21') 상에 대칭으로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차례로 연결 링크(43') 상에 대칭으로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연결 링크(43')는, 예를 들면, 완전한 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작동 편심기(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결 링크(43') 내의 두 개의 슬라이딩 링크(45')는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가 웨지 세그먼트(27)의 구멍(29)으로 작동 편심기(31)의 슬롯(37)을 관통하도록 한다.
구동기(21')가 구동될 때, 링크(41')에 의해 연결 링크(3')가 피봇된다. 슬라이딩 링크(45')의 형상의 결과로서, 웨지 세그먼트(27)가 서로를 지지할 때까지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여, 록킹 효과가 상쇄되도록 한다. 작동 편심기(31)는 이중으로 존재하는 핀(38) 및 긴 구멍(39)에 의해 측방향력없이 회전한다.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는 제 1 변형예 및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이하게 설명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되며 유사하게 작용하는 구성은 두 개의 아포스트로피가 표시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작동 편심기(3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기(21") 및 연결 링크(43")는 나선형 치형부(47")에 의해 슬라이딩 링크(45")에 결합된다. 구동기(21")가 구동될 때, 나선 치형부(47")에 의해 연결 링크(43")가 피봇한다. 슬라이딩 링크(45")의 형상의 결과로서, 웨지 세그먼트(27)가 서로를 지지할 때까지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여, 록킹 효과가 상쇄된다. 차례로 작동 편심기(31)는 측방향력 없이 회전한다.
제 1 실시예의 제 3 변형예는 상기 변형예들 및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상이하게 설명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되며 유사하게 작용하는 구성은 세 개의 아포스트로피가 표시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로딩 방향으로 등받이(4)의 로딩에 의해,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27)들 중 하나는 적게 로딩되며 하나는 더 많이 로딩된다. 구동기(21''')는 연결 링크(4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링크(41''')로 결합 지점(48''')에서 링크된다. 연결 링크(43''')는 약간 비대칭으로 구성되며 단지 하나의 슬라이딩 링크(45''')를 즉 적게 로딩되는 웨지 세그먼트(27)의 측부 상에 포함하며 반면 다른 측부 상에, 연결 링크(43''')는 더 많이 로딩되는 웨지 세그먼트(27)에 고리형 스프링(30)의 관련 단부 핑거에 의해(도면에서 좌측으로) 장착된다.
구동기(21''')가 구동되는 경우, 나선형 치형부(47''') 및 링크(41''')에 의해 연결 링크(43''')가 피봇한다. 단일 슬라이딩 링크(45''')의 형상의 결과로서, 고리형 스프링(30)의 관련 단부 핑거(도면의 우측으로)는 적게 로딩되는 웨지 세그먼트(27)를 당겨서 더 많이 로딩되는 웨지 세그먼트(27)를 지지하여 록킹 효과가 상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동 편심기(31)는 측방향력 없이 회전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유사하게 작용하는 구성은 200 만큼 높은 도면부호를 가진다. 구동 요소(221) 상에, 구동 세그먼트(235)는, 하나의 각각의 구동 러그(236)에 의해 구동기(221)의 주변 방향으로 한정되는, 허브(222)를 구비한 정면 상에 형성된다. 구동 세그먼트(235)는 웨지 세그먼트(227)의 좁은 측부들 사이에 움직임을 가지고 구동 러그(236)를 파지한다. 웨지 세그먼트(227)는 제 1 조립부의 칼라(19) 상에 직접 위치하는 반면,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는 차례로 제 2 조립부(12)로 가압된다.
작동 편심기(231)는 고리형 형상이며 구동기(221)와 웨지 세그먼트(227)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주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작동 편심기(231)를 축선방향으로 통과하는 두 개의 슬롯(237)은 웨지 세그먼트(227)가 작동 편심기(231)에 결합하지 않고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가 방해받지 않고 움직임을 가지고 웨지 세그먼트(227)의 구멍 대신 제공되는 개구 죠오(229)를 관통하도록 한다. 작동 편심기(231) 상에, 두 개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핀(238)은 서로 대향되게 반지름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기(221) 쪽 정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핀(238)은 주변 방향으로 배열되는 구멍(239)으로 포지티브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기(221) 및 작동 편심기(231)는 회전 면에서 서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즉 회전 고정 록킹을 위해 결합된다.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233)는 작동 편심기(231)의 허브형 축방향 돌출부(231b)로 가압되어 칼라(19) 내부에 배치된다, 즉 칼라(19)에 장착된다. 구동기(221)의 허브(222)는 차례로 작동 편심기(231) 내부에 배치된다, 즉 구동기(221)는 제 1 조립 장치(11) 상으로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233)와 작동 편심기(231)의 삽입에 의해 장착된다.
구동하는 동안, 토크는 관련된 웨지 세그먼트(227) 상으로 충돌되어 함께 웨 지 세그먼트(227)를 가압하는 구동 러그(236)들 중 하나에 의해 첫번째로 구동기(221) 내로 도입되고나서 록킹 편심기로 전달된다. 구멍(239) 및 핀(238)에 의해, 작동 편심기(231)는 충돌하고, 즉 대칭에 의해, 측방향력 없이 구동된다. 그리고 작동 편심기(231)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및 233)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낮은) 마찰을 가지고 미끄러져서, 서로에 대한 조립부(11 및 12)의 롤링 운동을 초래한다.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며, 상이하게 설명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유사하게 작용하는 구성은 300 및/또는 100 만큼 더 높은 도면부호를 가진다. 제 3 실시예의 구동기(321)는 동시에 작동 편심기로서 구성되어 이들, 즉 구동기 및 작동 편심기의 작동을 수행하며, 구동기 및 작동 편심기는 서로 및/또는 동일한 구성의 단지 상이한 영역을 가지고 일체로 구성된다. 구동 세그먼트(335)는 구동기(321) 상의, 허브(322)를 구비한 정면에 형성되어 각각 하나의 구동 러그(336)에 의해 구동기(321)의 주변 방향으로 제한된다. 구동기 세그먼트(335)는 웨지 세그먼트(227)의 좁은 측부들 사이에 움직임을 가지고 구동 러그(336)를 파지한다.
웨지 세그먼트(227)는 제 1 조립부의 칼라(19) 상에 직접 위치하는 반면, 차례로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는 제 2 조립부(12)로 가압된다.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233)는 구동기(321)의 허브(322) 상으로 가압되어 칼라(19) 내부에 배치된다, 즉 칼라(19)에 장착된다. 주변 방향으로 연장하고 구동기(32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슬롯(337)은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가 이 지점에서 구동기(321)에 웨지 세그먼트(227)를 결합하지 않고, 웨지 세그먼트(227)의, 구멍 대신에 제공된, 개구 죠오(229)를 움직임을 가지고 간섭하지 않고 관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변형된 일 실시예에서, 정확하게 이는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슬롯(337)이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를 위한 슬라이딩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개선되어 구동 세그먼트 및 웨지 세그먼트에 제공된 구멍이 필요없다.
구동하는 동안, 토크가 구동기(321) 내로 도입되고나서 관련된 웨지 세그먼트(227) 상에 충돌하고 함께 웨지 세그먼트(227)를 가압하는 구동 러그(336)들 중 하나에 의해 록킹 편심기로 전달된다. 일체형 설계에 의해, 구동기(321)는 측방향력 없이 회전한다.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및 233)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낮은) 마찰로 미끄러져, 서로에 대한 조립부(11 및 12)의 롤링 운동을 초래한다.
도면부호 리스트
1 차량 시트
3 시트 부분
4 등받이
10 조립부
11 제 1 조립부
12 제 2 조립부
16 치형 휠
17 치형 링
19 칼라
21, 21', 21", 21''', 221, 321 구동기
22, 222, 322 허브
23 수용기
24 지지 링
25 지지판
27, 227 웨지 세그먼트
28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
29 구멍
30 고리형 스프링
31, 131, 231 작동 편심기
33, 233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
35, 235, 335 구동 세그먼트
36, 236, 336 구동 러그
37, 237, 337 슬롯
38, 238 핀
39 긴 구멍
41', 41''' 링크
43', 43", 43''' 연결 링크
45', 45", 45''' 슬라이딩 링크
47" 나선형 치형부
48''' 결합 지점
229 죠오
231b 돌출부
239 구멍

Claims (17)

  1.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용 조립 장치로서,
    제 1 조립부(11), 상기 제 1 조립부(11)와 기어 연결되는 제 2 조립부(12), 주로 상기 조립 장치(10)를 록킹하기 위해 제공되는 록킹 편심기, 주로 상기 조립 장치(10)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조립부(11) 상의 상기 제 2 조립부(12)의 상대적인 롤링 운동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작동 편심기(31, 231), 및 상기 조정 운동을 시작할 때, 록킹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상기 록킹 편심기를 제어하여 상기 조정 운동 동안 적어도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를 구동시키는 구동기(21, 21', 21", 21''', 221, 321)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구동기(21, 21', 21", 21''', 221, 321)는 측방향력 없이 상기 회전가능한 작동 편심기(31, 231)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21) 및 상기 작동 편심기(231)는 회전이 고정되게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1, 21', 21", 21''', 221)는 주변부에 걸쳐 불균일하게 분배되는 두 개 이상의 지점에서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 상에 충돌하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지점은 상기 구동기(21, 21', 21", 21''', 221) 및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의 공통 회전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1, 21', 21", 21''', 221)는, 상기 구동기(21, 21', 21", 21''', 221)의 회전 축선에 대해 서로 대칭인 지점에 배치되는, 두 개의 핀(38) 및 두 개의 구멍(239) 또는 긴 구멍(39)에 의해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에 충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321)는 작동 편심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6.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용 조립 장치로서,
    제 1 조립부(11), 상기 제 1 조립부(11)와 기어 연결되는 제 2 조립부(12), 주로 상기 조립 장치(10)를 록킹하기 위해 제공되는 록킹 편심기, 주로 상기 조립 장치(10)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조립부(11) 상의 상기 제 2 조립부(12)의 상대적인 롤링 운동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작동 편심기, 및 상기 조정 운동을 시작할 때, 록킹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상기 록킹 편심기를 제어하며 특히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청구된 구동기(321)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321)가 작동 편심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는 각각 하나의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33, 233)에 의해, 상기 제 1 조립부(11) 및 상기 제 2 조립부(12)에 대해 장착되고,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와 상기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33, 233) 사이 또는 하나 이상의 롤링 접촉 베어링 부시 또는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33, 233)와 관련된 조립부(11, 12) 사이의 마찰은 상기 록킹 편심기와 상기 조립부들(11, 12) 중 하나 이상 사이의 마찰 보다 작 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작동 편심기(31, 231)는 회전 축선에 대해 제 1 플레인 베어링 부시(28)를 반지름 외측방향으로 지지하고 제 2 플레인 베어링 부시(33, 233)를 반지름 내측방향으로 추가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플레인 베어링 부시(28, 33, 233) 각각은 관련되는 상기 조립부(12, 11) 또는 상기 작동 편심기(31, 131, 231)에 대한 회전이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는 고리 또는 낫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1, 21', 21", 21''', 221, 321)는 구동 세그먼트(35, 235, 335)에 의해 또는 고리형 스프링(30)에 의해 두 개의 웨지 세그먼트(27, 227)로 이루어지는 상기 록킹 편심기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 세그먼트 또는 고리형 스프링은 각각 상기 웨지 세그먼트(27, 227) 상에 작용하여 특히 서로 지지하도록 상기 웨지 세그먼트를 서로 근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1, 21', 21", 21''')는 상기 웨지 세그먼트(27)들 중 하나와 결합하는 상기 고리형 스프링(30)의 하나 이상의 단부 핑거를 이동시키는, 피봇가능한 연결 링크(43', 43", 4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1, 21', 21", 21''')는 링크(41', 41''') 및/또는 나선형 치형부(47") 및/또는 결합 지점(48''')에 의해 결합 링크(43', 43", 43''')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43', 43", 43''')는 상기 작동 편심기(31) 또는 상기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들 중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는 상기 구동기(21, 21', 21", 21''', 221)와 상기 록킹 편심기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를 관통하는 슬롯(37, 237)은 상기 고리형 스프링(30)의 단부 핑거가 상기 웨지 세그먼트(27)를 방해 받지 않고 관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편심기(31, 231)는 상기 제 1 조립부(11)의 칼라(19) 내 또는 위에 플레인 베어링 부시(33, 233)의 삽입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17. 시트부(3) 및 등받이(4)를 가지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대한 상기 등받이(4)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각각 하나의 조립 장치(10)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077009353A 2004-12-23 2005-12-14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KR10115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2049A DE102004062049A1 (de) 2004-12-23 2004-12-23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04062049.0 2004-12-23
PCT/EP2005/013428 WO2006069630A2 (de) 2004-12-23 2005-12-14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791A true KR20070083791A (ko) 2007-08-24
KR101155672B1 KR101155672B1 (ko) 2012-06-13

Family

ID=3659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53A KR101155672B1 (ko) 2004-12-23 2005-12-14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98891A1 (ko)
EP (1) EP1827895B1 (ko)
JP (1) JP4568762B2 (ko)
KR (1) KR101155672B1 (ko)
CN (1) CN101087706B (ko)
DE (2) DE102004062049A1 (ko)
PL (1) PL1827895T3 (ko)
WO (1) WO200606963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86B1 (ko) * 2011-12-21 2013-07-05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660B2 (ja) * 2006-07-13 2011-07-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連結装置
DE102007039024B4 (de) * 2007-01-04 2016-11-10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DE102009053250B4 (de) * 2009-11-10 2013-04-04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10023966A1 (de) * 2010-06-09 2011-12-15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1113747A1 (de) 2011-09-14 2013-03-14 Keiper Gmbh & Co. Kg Beschla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5217246B4 (de) 2015-09-09 2018-09-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US11845367B2 (en) 2019-04-18 2023-12-1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having lubricant member
US11766957B2 (en) 2021-02-16 2023-09-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lease mechanism for seat recliner assembly
US11897372B2 (en) * 2021-05-06 2024-02-1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heart having biasing members
US11850975B2 (en) 2021-06-11 2023-12-2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Vehicle seat recliner mechanism with welded spring
KR102542569B1 (ko) * 2021-08-10 2023-06-1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4084A1 (de) * 1989-04-28 1990-10-31 Keiper Recaro Gmbh Co Uebertragungswelle fuer auf beiden seiten eines sitzes angeordnete gelenkbeschlaege
US5277672A (en) * 1989-06-30 1994-01-11 Ets. Cousin Freres Clearance take up device for so-called continuous epicycloidal train articulations, and its mounting mode
DE3941215C2 (de) 1989-12-14 1995-07-20 Keiper Recaro Gmbh Co Rücklehnenverstell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4138420C2 (de) * 1991-09-05 2001-03-08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e
JP3477747B2 (ja) * 1993-07-13 2003-12-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噛合継手
US5524970A (en) * 1994-08-10 1996-06-11 Hoover Universal, Inc. Rotary recliner
DE19517441C1 (de) * 1995-05-12 1996-10-02 Keiper Recaro Gmbh Co Gelenkbeschlag für Sitze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19548809C1 (de) * 1995-12-27 1997-05-22 Keiper Recaro Gmbh Co Ver- und Feststelleinrichtung für Sitze, wie Kraftfahrzeugsitze, zur Verstellung der Rückenlehne
JP3540952B2 (ja) * 1998-12-21 2004-07-0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座席装置の調節及び固定装置
DE19938666C5 (de) * 1999-08-14 2008-01-03 Keiper Gmbh & Co.Kg Verstellbeschlag für Sitze mit neigungseinstellbarer Lehne, insbesondere für Kraftfahzeugsitze
JP2002010851A (ja) 2000-06-29 2002-01-1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6830298B2 (en) * 2001-02-21 2004-12-14 Faurecia Autositze Gmbh & Co. Adjustment-locking mechanism for an automobile seat back
JP4766765B2 (ja) 2001-03-30 2011-09-0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09978A (ja) 2001-04-23 2003-01-14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03024740A1 (de) * 2001-09-06 2003-03-27 Keiper Gmbh & Co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JP3936227B2 (ja) * 2002-04-11 2007-06-2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4336503B2 (ja) * 2003-01-31 2009-09-30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0328300B4 (de) * 2003-06-23 2006-09-21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Verstellbeschlag für Kraftfahrzeugsitz
KR100549199B1 (ko) * 2003-11-26 2006-02-02 주식회사다스 컨티뉴즐리타입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US7086699B1 (en) * 2004-12-21 2006-08-0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Recliner assembly for vehicle sea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86B1 (ko) * 2011-12-21 2013-07-05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7895A2 (de) 2007-09-05
WO2006069630A3 (de) 2007-05-10
JP2008525065A (ja) 2008-07-17
DE502005010497D1 (de) 2010-12-16
CN101087706A (zh) 2007-12-12
CN101087706B (zh) 2011-05-25
WO2006069630A2 (de) 2006-07-06
US20070298891A1 (en) 2007-12-27
PL1827895T3 (pl) 2011-03-31
EP1827895B1 (de) 2010-11-03
DE102004062049A1 (de) 2006-07-06
KR101155672B1 (ko) 2012-06-13
JP4568762B2 (ja)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670B1 (ko)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KR101155672B1 (ko) 차량 시트용 조립 장치
KR101279425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US7390061B2 (en) Device for adjustment of level of inclination of back part of motor vehicle seat
US9033418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EP2836392B1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EP2054264B1 (en) Fitt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EP2753494B1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KR101685336B1 (ko) 차량 좌석용 피팅
JP4170906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座席
EP1322491B1 (en) Planocentric disc recliner
JP2008525064A5 (ko)
US20060290187A1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US7484806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050000316A (ko) 자동차 시트용 조정구
JP2008516651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2008525065A5 (ko)
JP2008543456A5 (ko)
JP5865518B2 (ja) 車両シート用継手及び車両シート
KR101354593B1 (ko) 차량용 피팅 시스템
US6533356B2 (en) Gear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adjuster
EP3315352B1 (en) Vehicle seat recliner
WO2006088896A1 (en) Seat rec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