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951A -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951A
KR20070065951A KR1020050113400A KR20050113400A KR20070065951A KR 20070065951 A KR20070065951 A KR 20070065951A KR 1020050113400 A KR1020050113400 A KR 1020050113400A KR 20050113400 A KR20050113400 A KR 20050113400A KR 20070065951 A KR20070065951 A KR 2007006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weight
geumchocho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019B1 (ko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김학철
정의수
오좌섭
강세찬
지옥표
최한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더마랩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0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 금전초(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및 반지련(Portulaca grandiflora Hooker)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전초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건조시키어 제조되며 자유라디칼 소거, 세포내 자유라디칼 소거, 지질과산화 억제, UV 저항성증진 등과 같은 항산화 효과와 히알루로니디아제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등과 같은 항염효과가 있어 기미, 주근깨, 여드름, 피부암 및 주름 생성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싸리, 금전초, 반지련, 화장료, 항산화, 항염

Description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Lespedeza bicolor Turcz.,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and Portulaca grandiflora Hooker for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도 1은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 그래프이고,
도 2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그래프이고,
도 3은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세포내 자유라디칼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 사진이고,
도 4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5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UV 저항성 증진효과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6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리폭시게나이제 활성억제 효과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7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히알루로니디아제 활성억제 효 과에 관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 금전초(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및 반지련(Portulaca grandiflora Hooker)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인체에서 히알루로니디아제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을 억제뿐만 아니라 세포내 자유라디칼 생성, 지질과산화 또는 기타 라디칼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자외선 등에 대한 피부세포의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항산화 효과 및 항염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유라디칼 이론은 1950년대 중반 디 하만(D. Harman)에 의해서 제시되었으며, 최근에 들어와서는 학회와 관련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라디칼이 인체에 존재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데, 이 라디칼은 세포를 파괴하거나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하거나 또는 교차 결합을 일으키므로 주름형성, 피부암, 세포살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라디칼이 생성되는 원인으로는 백혈구의 식작용,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 생산과정 중 전자 전달계, 미엘로퍼 옥사이드(Myeloper Oxide, MPO)의 작용, 자외 선, 담배, 정상적인 대사 과정, 스트레스, 공해 물질, 세균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인체에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 비타민 E, 비타민 C, 우비퀴놀 (Uviquinol)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라디칼 소거제)들이 있다. 그러나 점차적으로 항산화 체계는 나이,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 등에 의해 깨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항산화 체계가 무력화되고, 라디칼이 점차로 증가하게 된다.
이 증가된 라디칼은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ic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 현상(주름)을 일으키며 또한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 (도파퀴논 → 멜라닌)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 화장품학회지, 23권 1호, P. 75~132)
염증은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고, 이들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한다. 엘라스타제(Elastase),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및 리폭시게나제와 같은 효소들은 염증시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 분해 효소들로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이들의 작용은 때로는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게도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따라서 적절한 조건하에서는 염증은 초기 상태가지난 후에는 정상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지면 결과적으로 만성염증이 일어나게 되어서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처럼 과다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들에 의해 세포 및 결합조직이 손상을 입고 결합 조직의 손상은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나아가 세포의 재생 및 증식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빠른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피부에 있어서 염증은 국소적인 홍반과 부풀음에 의해 특정지어 지며, 손상이 보다 커지게 되면 정상조직은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결합조직 단백질의 축적의 결과로 나타나는 흉터조직에 의한 소산단계에 있어서 복원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조직이 보다 심각하게 손상되고 염증반응이 지속된다면 정상적인 조직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일은 훨씬 어렵게 된다.
염증과 함께 백혈구의 이주를 촉진시키는 매개체의 생성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통한 과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 경로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에 의한 과정과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한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효소에 의해 생성된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 염증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리폭시게나제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의 저해제는 염증유발물질의 생성 억제뿐만 아니라 염증시 생성되는 활 성산소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들을 억제함으로써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라디칼과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의 개선을 위해서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은 종래에는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SOD, 쿠에르세틴(Quercetin) 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가지는 물질로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함으로써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합시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안정한 천연식물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4-67043호는 당귀, 산수유, 녹용, 사향초의 생약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갖는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구입이 용이하지 않고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한편,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는 콩과(Leguminosae)의 식물로서 한국, 일본, 중국,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하며,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는 높이 2~3m의 관목이다. 생약명으로는 호지자(胡枝子)라 하고 이명으로는 싸리나무, 소형(小荊), 모형(牡荊), 형조(荊條), 녹명화(鹿鳴花), 야합초(野合草), 과산룡(過山龍), 야화생(野花生)이라고도 불린다.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인 쿠에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트리폴린(Trifolin), 아피제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이소쿠에르세틴(Isoquercitrin), 오리엔틴(Orientin),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호모오리엔틴(Homo orientin),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등이 있다. 싸리나무의 이용으로는 무좀, 습진, 마른버짐, 갖가지 피부병, 기침, 폐열로 인한 기침, 두통, 고혈압, 동맥경화, 부종, 양기부족 등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싸리나무껍질을 달여서 피부염 또는 각종 피부질환에 사용하면 그 효과가 우수하다고 하여 민간에서 자주 애용되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편, 일월서각, 1994; 중약대사전,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도서출판 정담, 1997)
금전초(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는 꿀풀(Labiatae)과의 식물로서 우리말로는 긴병꽃풀이라 하며,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자라는데 대개 물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드는 양지쪽에 흔한 식물로서, 활혈단, 연전초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성분으로는 알파피넨(Alpha pinene), 알파터피네올(Alpha terpineol), 베타피넨(Beta pinene), 베타시토스테롤(Beta sitosterol), 콜린(Choline), 푸마릭산(Fumaric acid), 이소멘톤(Isomenthone), 리모넨(Limonene), 리나룰(Linalool), 멘톨(Menthol), 팔미트산(Palmitic acid), 피노캄폰(Pinocamphone), 피노카본 (Pinocarvone), 스타키오스(Stachyose) 등이 알려져 있다. 금전초는 소변을 잘 보게 하고 황달을 고치며 몸이 붓는 것을 낫게 하는 작용,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삭이고 어혈을 없애는 효과 및 방광, 요도, 담낭의 결석을 녹이는 효과가 있으며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과 및 습진, 종기 같은 피부병에도 날 것을 짓찧어 붙이면 치료가 잘 되는 효과가 있어 전초(全草)를 민간 및 한방에서 사용하는 약재이다. (중약대사전,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도서출판 정담, 1997)
반지련(Portulaca grandiflora Hooker)은 쇠비름과(Portulacaceae)의 식물로서 남아메리카가 원산이며, 일반적으로 채송화라 불린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는20cm 내외이고 잎은 육질로서 어긋나고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잎겨드랑이에 흰색 털이 있다. 성분으로 전초에 알칼로이드(Alkalo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으로는 포츌랄(Portulal), 베타닌(Betanin), 베타시아닌(Betacyanin), 베타니딘(Betanidin)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포츌랄(Portulal)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반지련은 청열작용이 있으므로 인후염 및 뜨거운 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 소염효과를 얻고, 타박상과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에도 사용되었으며, 주로 외용약으로 사용하였다.(중약대사전,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도서출판 정담, 1997)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는 천연식물을 연구하는 중에 아직까지 항산화효과가 알려지지 아니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추출물 혼합추출물이 항염효과 뿐만 아니라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으며, 피부 자극시험에서도 부작용이 없어 안전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또한 구입사용이 용이함으로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의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내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 금전초(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및 반지련(Portulaca grandiflora Hooker)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며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 금전초(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및 반지련(Portulaca grandiflora Hooker)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싸리 20~60 중량%, 금전초 20~60 중량%, 반지련 2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싸리 50~60 중량%, 금전초 20~30 중량%, 반지련 20~30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이 항염 효과에 대한 시너지효과를 갖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전초를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전체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배의 부피량을 가하고,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추출하거나,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3~48시간 동안 가열 추출 또는 추가로 5~30℃로 유지하면서 1~5일간 침적시켜 더 추출하는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공정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 제거를 위하여, 상기 혼합 한약재 또는 농축액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혼합한 후 상하층으로 분리하고 하층인 수층을 회수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이다.
상기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인체에서 지질과산화, 세포내 자 유라디칼 생성, 기타 라디칼 반응 등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액상으로서 0.1~10중량%, 분말로서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재상으로부터 구입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전초를 세절한 후, 추출용매로서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가하고,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추출을 하고,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또 다른 추출 방법으로는, 싸리, 금전초 또는 반지련 전초를 세절한 후, 추출용매로서 건조 중량의 1~15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되,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에서 30~100℃로 3~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때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는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공정의 수행 전 또는 수행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 제거 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데, 추출공정의 수행 후를 예로 들면, 농축액에 물을 가하고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혼합한 후 상하층으로 분리하고 하층인 수층을 회수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싸리 20~60 중량%, 금전초 20~60 중량%, 및 반지련 20~60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혼합추출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싸리 50~60 중량%, 금전초 20~30 중량%, 및 반지련 20~30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혼합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은 항염 효과에 대하여 단일추출물에 비해 시너지효과를 가지므로 본 발명은 항염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액상으로서 총중량의 0.1~10중량% 함유할 수 있고, 또한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여 건조된 분말로서는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의 양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항염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각 제형의 항산화 화장료 조성에 있어서, 상기의 혼합추출물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은 국내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구입비용이 적게 들며 수급이 용이할 것이므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처방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싸리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시중에서 구입한 싸리나무 100g을 메틸알코올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7.5g을 얻었다.
실시예 2 ~ 4
하기 표 1의 용매로 하여 싸리나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용 매 수득량(g)
실시예 2 20.3
실시예 3 30% 에틸알콜 21.8
실시예 4 70% 에틸알콜 25.6
금전초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5
시중에서 구입한 금전초 100g을 메틸알코올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8.8g을 얻었다.
실시예 6 ~ 8
하기 표 2의 용매로 하여 금전초를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용 매 수득량(g)
실시예 6 23.5
실시예 7 30% 에틸알콜 25.7
실시예 8 70% 에틸알콜 28.1
반지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9
시중에서 구입한 반지련 100g을 메틸알콜 1㎏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 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 중량 25.4g을 얻었다.
실시예 10~ 12
하기 표 3의 용매로 하여 반지련을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용 매 수득량(g)
실시예 10 23.6
실시예 11 30% 에틸알콜 23.1
실시예 12 70% 에틸알콜 24.2
싸리, 금전초 , 반지련 혼합 비율에 따른 혼합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3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전초를 세절하여 각각 중량 1:1:1 비율로, 즉 각각 100g 씩 혼합한 시료를 메탄올 5㎏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하여 건조중량 89.7g을 얻었다.
실시예 14~ 19
하기 표 4의 시료 혼합 비율(싸리: 금전초: 반지련)로 하여 용매는 메탄올을 사용하고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
시료 혼합 비율 (싸리: 금전초: 반지련) 수득량(g)
실시예 14 2:3:5 (60g:90g:150g) 88.5
실시예 15 2:5:3 (60g:150g:90g) 90.1
실시예 16 3:2:5 (90g:60g:150g) 85.3
실시예 17 3:5:2 (90g:150g:60g) 89.5
실시예 18 5:3:2 (150g:90g:60g) 98.7
실시예 19 5:2:3 (150g:60g:90g) 97.3
싸리, 금전초 , 반지련 혼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0 ~ 22
실시예 13~19를 근거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의 조성 비율을 5:2:3 즉, 150g:60g:90g으로 하여 하기 표 5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표 5>
용 매 수득량(g)
실시예 20 88.0
실시예 21 30% 함수 에탄올 90.4
실시예 22 70% 함수 에탄올 95.2
실시예 23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을 세절하여 각각 중량이 150g:60g:90g이 되게 하여 메틸알코올 5㎏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0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47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완전히 농축한 후 이 농축액에 물 1㎏를 가하고 다시 디에틸에테르 1㎏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하층인 수층에 다시 1㎏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잘 섞어준 후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로 완전히 농축하고 건조 중량 31.5g를 얻었다.
제조예 1
실시예 18의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 추출물 분말 (실시예18)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6,7,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예 2
실시예 18의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분말 (실시예18)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0, 11, 13, 16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을 80 ~ 85℃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예 3
실시예 18의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분말 (실시예18) 1.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2, 13, 14, 16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번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킨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조예 4.
실시예 18의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분말 (실시예18) 1.0
2 시토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에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잔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 3, 4, 5 및 6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번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 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5, 9, 18, 20, 21, 22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 3T3)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가 각각 0.01, 0.05, 0.1, 0.5, 1.0% (W/V)로 투여하여 72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계산식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도 1의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계산식 1>
세포증식효과(%) = (혼합추출물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대조군의 흡광도 × 100
<표 6>
추출물농도(%) 세포증식율(%)
단일추출물 혼합추출물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18 실시예 20 실시예 21 실시예 22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0.01 106.5 104.6 106.9 106.3 105.5 104.7 106.6
0.05 110.9 108.8 109.6 113.4 112.3 112.9 111.2
0.1 118.7 115.0 118.4 125.2 123.2 123.6 125.8
0.5 129.6 128.1 131.5 135.7 136.3 135.1 136.9
1.0 144.3 143.8 143.2 158.3 154.8 156.2 157.1
본 실험은 싸리, 금전초, 반지련 각각의 단일추출물과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의 독성 및 증식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추출물농도가 낮은 0.01%에서는 단일추출물의 세포증식율은 104.6~106.9% 이었으며 혼합추출물에서는 104.7~106.6%로서 단일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추출물농도가 높은 1.0%에서는 단일추출물이 143.2~144.3%이었으며 혼합추출물은 154.8~158.3%로서 단일추출물의 경우보다 약 10~15%가 더 높아 혼합추출물의 세포증식율이 훨씬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표 6 및 도 1에 의하여 다른 농도에서도 이와 같은 추세임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단일추출물보다 우수한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바, 세포 증식 효과가 있다는 것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포 증식효과 실험으로부터 본 발명의 싸리, 금전초, 반지련 혼합추출물이 우수한 세포증식 효과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5, 9, 18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서 항산화제인 쿠에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1)실험방법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쿠에르세틴은 시그마(SIGMA)사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0.2mM DPPH 메탄올용액 1ml에 여러 농도(1, 5, 10, 20, 30, 40ppm)의 실시예 1, 5, 9, 18 그리고 대조물인 쿠에르세틴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용액 2ml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다. 그리고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기재하였으며 이를 도식화 하여 도 2에 도시하였다.
<계산식 2>
Figure 112005068275715-PAT00001
2) 실험결과
<표 7>
농도 (ppm)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실시예1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18 쿠에르세틴
0 0 0 0 0 0
1 7.1 6.8 5.3 8.8 9.4
5 23.6 21.2 16.7 27.7 28.5
10 45.1 43.8 39.5 49.5 53.6
20 76.6 77.2 72.3 93.9 94.8
30 92.1 92.6 85.7
40 95.6
실시예 1의 SC50 : 14.0ppm
실시예 5의 SC50 : 14.1ppm
실시예 9의 SC50 : 17.1ppm
실시예 18의 SC50 : 9.9ppm
쿠에르세틴의 SC50 : 9.9ppm
표 7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는 싸리 단일추출물인 실시예 1은 14.0ppm, 금전초 단일추출물인 실시예 5는 14.1ppm, 반지련 단일추출물인 실시예 9는 17.1ppm이나,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18은 9.9ppm로서 본 발명의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이 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또한, 실시예 18의 자유라디칼 50% 소거 농도(SC50)는 9.9ppm이고 쿠에르세틴도 9.9ppm으로 동일한 효과가 있으나 쿠에르세틴은 단일 물질임이므로 순수 물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 등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이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의 실험예 1, 2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실시예 18의 세포내 자유 라디칼 생성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1) 실험방법
DCFDA 법을 변형한 실험으로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농도별(0.001, 0.01, 0.1, 1.0 mg/mL)로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수를 주입하였을 때 발생하는 세포내 자유라디칼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공시험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동일하게 실시한다.
2) 실험결과
본 실험은 섬유아세포에 과산화수소를 주입하여 인위적으로 자유라디칼을 생성시켜 생성된 자유라디칼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으로 시료를 처리함에 따라 어느 정도 자유라디칼의 발생이 억제되어짐을 확인하는 실험이다.
도 3에 의하여 섬유아세포에 생성된 자유라디칼을 확인해 보면,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8의 혼합추출물을 0.001 mg/mL 처리한 경우 자유라디칼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고, 0.01mg/mL 처리한 경우는 0.001 mg/mL보다 자유라디칼이 역시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혼합추출물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세포내 자유 라디칼 생성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8에 대하여 지질과산화(Lipid peroxydation)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1)실험방법
8%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수용액에 리놀렌산(linolenic acid)을 0.1%가 되게 용해하여 3.9ml을 취해서 여기에 농도별(0.5, 1, 3, 5, 10%)로 시료를 0.1ml씩 첨가한 후 자외선을 1시간 조사하였다. 그리고 1 ml를 취해서 0.8% TBA 수용액 1.5ml와 20% 초산(pH 3.5) 1.5ml를 첨가하고 1시간동안 중탕하여 냉각한 후 정제수 1ml와 부탄올:피리딘(n-BuOH:Pyridine)(15:1) 5ml를 가하여 진탕하고 원심분리 후 부탄올(n-BuOH)층을 취해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으며 하기 계산식 3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기재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3>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100-(각시료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 100)
2) 실험결과
<표 8>
농도 (%) Inhibition (%)
실시예1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18 녹차추출물
0 0 0 0 0 0
0.5 2.7 3.4 2.1 5.9 6.8
1.0 9.9 13.6 8.3 18.5 20.1
3.0 26.8 30.6 24.1 47.3 50.6
5.0 49.3 60.2 48.6 68.2 71.4
10 90.1 90.8 89.6 98.3 98.5
실시예 1의 IC50 : 5.5%
실시예 5의 IC50 : 5.1%
실시예 9의 IC50 : 5.6%
실시예 18의 IC50 : 4.3%
녹차추출물의 IC50 : 4.1%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질과산화 50% 억제 농도(IC50)가 실시예 1은 5.5%, 실시예 5는 5.1%, 실시예 9는 5.6%이나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18은 4.3%으로서, 단일추출물보다 혼합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녹차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50% 억제 농도(IC50)는 4.1%로 비슷한 효과가 있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혼합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자외선에 대한 피 부 세포의 저항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섬유아세포에 싸리, 반지련 및 금전초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고 세포수 측정을 하여 생존한 세포를 측정 하였다. 비교시료로서는 비타민 C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본 실험은 세포에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인위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포의 저항성 및 생존성을 측정한 것으로서, 자외선에 대한 피부 세포의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이다.
도 5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섬유아세포의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혼합추출물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효과가 높아지며 특히 혼합추출물이 1mg/ml의 농도에서는 비타민 C보다 우수한 세포 생존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이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의 저항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18에 대하여 리폭시게나제(L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 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쿠에르세틴을 사용하였다.
1)실험방법
TBAS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는 리놀렌산, 리폭시게나제, 티오바비투르산(Thiobarbituric acid), 쿠에르세틴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1mM 리놀렌산 1ml에 여러 농도(1, 5, 10, 20, 30ppm)의 실시예 18, 그리고 쿠에르세틴을 0.05ml를 첨가하고 리폭시게나제 0.95ml를 투여 후 잘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다. 그리고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0.5ml 투여하고 티오바비투르산 1ml를 첨가한 후 10분간 가열을 하고 얼음물에서 2~3분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킨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액에 부탄올 2ml를 넣고 4000g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는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 4를 이용하여 리폭시게나제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9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4>
리폭시게나제 활성억제 효과(%)=100-(각 시료의 반응흡광도/ 대조군의 반응흡광도×100)
2) 실험결과
<표 9>
농도 (ppm) Inhibition (%)
실시예1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18 쿠에르세틴
0 0 0 0 0 0
1.0 3.3 2.4 3.1 6.11 9.21
5.0 16.4 13.2 14.8 22.62 28.64
10.0 38.7 35.3 36.2 56.71 61.49
20 75.8 70.9 73.2 92.48 94.64
30 90.3 89.3 90.1 98.79 98.97
실시예 1의 IC50 : 14.95ppm
실시예 5의 IC50 : 15.72ppm
실시예 9의 IC50 : 15.35ppm
실시예 18의 IC50 : 12.11ppm
쿠에르세틴 IC50 : 11.34ppm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리폭시게나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12.11ppm 이고, 비교예인 쿠에르세틴은 11.34ppm으로 실시예 12인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보다는 약간 효과가 좋다. 그러나 쿠에르세틴이 단일물질이며 이를 추출하여 그 순수 물질의 수득과 사용상의 안정성 및 비용을 고려한다면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리폭시게나제 활성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며, 사용 및 생산 비용적인 면에서도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싸리 단일추출물의 14.95ppm, 금전초 단일추출물의 15.72ppm, 반지련 단일추출물의 15.35ppm보다 리폭시게나제 활 성 억제 효과가 훨씬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어,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시너지효과에 의해 리폭시게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상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의 혼합추출물의 리폭시게나제 활성억제 효과를 도식화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7.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추출물 건조분말에 대하여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비교 물질로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1) 실험방법
모르간-엘손(Morgan-Elson)법을 응용한 방법이다. 히알루로니다제의 최종 효소 활성을 400NF unit/㎖, HA의 최종 농도를 0.4㎎/㎖로 하고 게다가 활성제인 Compound 48/80 완충(buffer) 용액 (0.1㎎/㎖)을 사용하여 불활성형 히알루로니다제의 활성화 단계의 저해작용을 중심으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는 완충용액(buffer)에 용해하여 시료 용액으로 하고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에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blank로는 효소용액 대신에 완충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하기 계산식 5를 이용하여 히알루로니다제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0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5>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
=100-(각시료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100)
2) 실험결과
<표 10>
농도 (%)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
실시예1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18 녹차추출물
0 0 0 0 0 0
0.5 5.6 5.1 3.2 8.6 8.1
1.0 13.7 15.7 9.5 22.5 19.6
3.0 37.0 40.1 28.2 48..7 44.9
5.0 68.2 72.4 63.9 89.1 88.3
10 88.5 90.2 87.2
실시예 1의 IC50 : 4.82%
실시예 5의 IC50 : 4.60%
실시예 9의 IC50 : 5.20%
실시예 18의 IC50 : 2.75%
녹차추출물의 IC50 : 2.94%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히알루로니다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2.75%이고 녹차추출물은 2.94%로 비슷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18이 2.75%인데 비해, 싸리 단일추출물인 실시예 1은 4.82%, 금전초 단일추출물인 실시예 5는 4.60%, 반지련 단일추출물인 실시예 9는 5.20%로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이 각각의 단일추출물보다 히알 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가 훨씬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으므로, 혼합추출물은 리폭시게나제 활성 억제에 시너지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효과를 도식화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반지련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자유라디칼 생성 억제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의 저항성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알루로니디아제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를 나타내는 항염효과에 시너지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고 생약을 어디서든 쉽게 입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생산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용이함으로써 기미, 주근깨, 여드름, 피부암 및 주름 생성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 금전초(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akai) 및 반지련(Portulaca grandiflora Hooker)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은 싸리 20~60중량%, 금전초 20~60 중량% 및 반지련 20~60 중량%의 조성비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추출물이 건조분말로서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의 전초를 건조시킨 후, 물,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용매로 하여 건조중량의 1~15배를 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구비된 추출기에서 30~100℃로 하여 3~48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추가로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더 추출하고, 농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추출 전 또는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7.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혼합물을 건조시킨 후, 물,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용매로 하여 건조중량의 1~15배를 가한 다음, 4~30℃에서 3~20일간 가열하여 추출하고, 농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추출 전 또는 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하여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50113400A 2005-11-25 2005-11-25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9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400A KR100793019B1 (ko) 2005-11-25 2005-11-25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400A KR100793019B1 (ko) 2005-11-25 2005-11-25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951A true KR20070065951A (ko) 2007-06-27
KR100793019B1 KR100793019B1 (ko) 2008-01-08

Family

ID=3836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400A KR100793019B1 (ko) 2005-11-25 2005-11-25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0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177B1 (ko) * 2008-11-28 2015-01-09 (주)아모레퍼시픽 자극완화복합물을 함유하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032250A1 (ko) * 2014-08-27 2016-03-03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채송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27160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피코스텍 반지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습진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203515A1 (ko) * 2018-04-18 2019-10-24 경기도 긴병꽃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벌레물림 치료제
IT201900021324A1 (it) 2019-11-15 2021-05-15 Vitalab S R L Uso cosmetico di un estratto derivato da colture cellulari di Portulaca grandiflora per il trattamento di inestetismi cutanei dovuti all’invecchiamento della pel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346B1 (ko) * 2010-01-29 2012-07-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에 유효한 싸리나무 성분의 추출방법
JP6651498B2 (ja) * 2014-03-17 2020-02-19 シャンハイ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マテリア メディカ、チャイニーズ アカデミー オブ サイエンスィズShanghai Institute Of Materia Medica,Chinese Academy Of Sciences Glechoma longituba (Nakai) Kupr.抽出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血糖の低下、体重の減量または血液脂質の低下におけるその使用
KR102462080B1 (ko) * 2022-03-31 2022-11-03 (주)바이오코스텍 하스카프를 포함하는 천연물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379B1 (ko) * 1999-03-29 2001-12-12 신민규 암치료용 한방 조성물
KR100507323B1 (ko) * 2003-05-21 2005-08-08 주식회사 에버코스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5269B1 (ko) * 2003-08-27 2005-12-09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과 동맥경화 예방 및치료용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177B1 (ko) * 2008-11-28 2015-01-09 (주)아모레퍼시픽 자극완화복합물을 함유하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6032250A1 (ko) * 2014-08-27 2016-03-03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채송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406187B2 (en) 2014-08-27 2019-09-10 Research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Method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rtulaca grandiflora hook.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180027160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피코스텍 반지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습진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65542B1 (ko) * 2016-09-06 2018-06-08 주식회사 피코스텍 반지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습진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203515A1 (ko) * 2018-04-18 2019-10-24 경기도 긴병꽃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벌레물림 치료제
IT201900021324A1 (it) 2019-11-15 2021-05-15 Vitalab S R L Uso cosmetico di un estratto derivato da colture cellulari di Portulaca grandiflora per il trattamento di inestetismi cutanei dovuti all’invecchiamento della p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019B1 (ko) 200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019B1 (ko)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4723B1 (ko)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666151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조밥나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조밥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7601B1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모링가잎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2960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0657A (ko) 합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150132754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초임계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9009209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0670238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0580858B1 (ko)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월귤나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2972B1 (ko) 해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효과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6182A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753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엽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020047762A (ko)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자유라디칼 소거) 화장료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9658B1 (ko)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2B1 (ko) 블루 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3035B1 (ko) 선학초로부터 여드름 개선 유효성분물질의 추출분리방법과이로부터 얻어지는 유효성분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0950B1 (ko)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