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323B1 -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323B1
KR100507323B1 KR10-2003-0032377A KR20030032377A KR100507323B1 KR 100507323 B1 KR100507323 B1 KR 100507323B1 KR 20030032377 A KR20030032377 A KR 20030032377A KR 100507323 B1 KR100507323 B1 KR 10050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fruit
cosmetic composi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943A (ko
Inventor
구본열
김동진
채희남
조민구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코스
Priority to KR10-2003-0032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엣센스, 팩 및 유화형 화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 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완전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하여 부피비로 1∼20 배를 가한 다음,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0 ℃를 유지하면서 4∼2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37 ℃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1∼15 일간 침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Melilotus officinalis Desr. an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염, 보습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자극 완화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일반적으로 화장료란 약사법의 정의에 따르면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기 위하여 도찰(塗擦), 살포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적은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화장료에 여러 가지 기능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인체를 청결 및 미화시키는 화장료의 기본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항염기능, 영양공급, 미백, 주름방지, 자외선 차단 등의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에 대한 상품이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능성 화합물에 첨가되는 물질은 대부분 화학합성 물질이 사용되었으나, 합성 물질은 독성이 강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제조 설비 및 생산 비용이 많이 들며, 정제과정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몇 년간 천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물질을 사용한 화장료가 출시되었고, 다양한 기능과 부작용이 거의 없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많은 기업들이 연구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전동싸리와 과루근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고 항염, 보습, 자극 완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염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보습기능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자극완화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엣센스, 팩 및 유화형 화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 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완전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하여 부피비로 1∼20 배를 가한 다음,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0 ℃를 유지하면서 4∼20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37 ℃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1∼15 일간 침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전동싸리(Melilotus officinalis)는 높이가 50∼100 cm 정도인 두해살이 풀이다. 잎은 3개의 쪽잎으로 된 겹잎이며 가지 끝에 노란 꽃이 이삭처럼 모여 피는데, 주로 집짐승먹이로 사용하기 위해 심는다. 전초와 꽃에 쿠마린(coumar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신선한 식물에도 포도당과 결합된 쿠마르산(coumaric acid)의 배당체인 멜릴로토시드(가 있어서 약하게 냄새가 나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전동싸리를 건조시키면 쿠마린과 멜릴로틴이 생성되어 향기로운 냄새가 난다.
건조된 약전동싸리에 함유된 쿠마린은 중추신경계통을 억제하며 진경작용, 마취작용이 있다. 방사선 치료를 할 때에 발생하는 백혈구 감소증에 쿠마린을 사용하면 과립구(granulocyte)와 약간의 림프구(lymphocyte)에 의하여 백혈구가 늘어난다. 민간요법에도 사용되기도 하는데, 전초의 알콜추출물을 졸여 고약을 만들어 종처에서 고름을 빨아내고 굳은살과 종양 등을 연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 밖에 푸린염기로 알란토인, 알란토인산이 있고 콜린,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 많은 연구에서 쿠마린의 항염작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염증반응은 외부 자극에 의한 동통, 발열, 발적, 종창, 기능상실 등을 특징으로 하는데, 조직학적으로는 소동맥, 모세혈관 및 소정맥의 투과성과 혈류증가를 동반한 확장, 혈장단백을 함유한 혈장의 삼출, 백혈구의 염증부위로의 이동 등을 포함한 복잡한 증상이 관찰된다. 쿠마린은 식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시트룰린 생성을 낮춤으로써 항염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과루근(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瓜蔞根)은 하늘타리 뿌리의 약명으로 하늘타리는 외과의 다년생 덩굴성 초본이며, 길이 5m 쯤 뻗어나가며 단풍잎처럼 5∼7 개로 갈라지는 데, 각 절편에 톱니가 있다. 잎의 표면에는 짧은 털이 많이 돋아 있다. 7월경에 꽃이 피는데, 꽃은 흰색이며 5개의 꽃잎이 달려 있고 각 꽃잎은 실같이 가늘게 갈라진다. 대개는 우리나라의 중남부 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땅속의 괴근이 비대하여 전분을 만들어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하늘타리의 뿌리를 토과근 또는 천화분이라 하고, 과루근열매를 토과실, 과루종자를 과루인이라고 한다. 과루인을 달여 마시면 기침, 천식을 치유하며 젖이 잘 나오게 한다.
상기 과루근의 주요 성분으로는 녹말,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사포닌, 염기성 단백질인 트리코산틴을 들 수 있다. 과루근에서 추출한 전분을 한방에서는 특히 천화분이라 하는데, 매우 좋은 약재로 어린이의 땀띠, 습진, 부스럼에 바르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을 건조시켜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혼합추출액을 얻은 다음, 이를 감압 농축시켜 얻은 혼합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001∼10 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한다.
상기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에 함유된 풍부한 단백질과 당 성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보습력을 높여 탄력성있는 피부를 유지시켜주며 나아가 노화를 방지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자극완화효과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조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을 일정량 준비하여 이들의 혼합추출물을 얻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건조중량에 대하여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를 완전 건조시킨다. 다음, 전체 건조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를 부피비로 1∼20배의 양을 가한다. 추출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용액을 사용한다.
이렇게 혼합된 용액을 추출기에 투입하는데, 추출기에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어 용매가 공기 중으로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추출기를 50∼95 ℃의 온도 하에서 4∼20 시간동안 가열하여 액상의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액상 추출물을 여과시킨 후 감압 농축한 뒤 건조시켜 분말상 혼합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추출기를 5∼37 ℃의 온도 하에서 1∼15 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혼합추출물의 함량은 0.1∼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는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엣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항염, 보습, 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혼합추출액을 하기의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18에서는 추출액을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로 제조하였고, 실시예 19∼22에서는 혼합추출액을 건조시켜 분말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및 19∼22에서는 추출기에서 혼합물을 침적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고, 실시예 9∼18에서는 추출기에서 혼합물을 가열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을 각각 500g 씩, 총 1 kg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9에서는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건조혼합물 1 kg을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하기 표 1의 용매 6 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5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의 필터로 여과하여 액상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용 매 수득량(kg)
1 30%함수 에탄올 4.8
2 정제수 4.6
3 95% 에탄올 5.2
4 글리세린 4.8
5 부틸렌글리콜 4.8
6 프로필렌글리콜 4.8
7 30%함수 프로필렌글리콜 4.6
8 30%함수 부틸렌글리콜 4.7
9 30%함수 글리세린 4.7
실시예 10∼18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건조혼합물 1 kg을 하기 표 2의 용매 6 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의 온도 하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뒤,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 ㎛의 필터로 여과하여 액상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용 매 수득량(kg)
10 30%함수 에탄올 5.3
11 정제수 5.1
12 95% 에탄올 5.3
13 글리세린 5.2
14 부틸렌글리콜 5.2
15 프로필렌글리콜 5.2
16 30%함수 프로필렌글리콜 5.3
17 30%함수 부틸렌글리콜 5.1
18 30%함수 글리세린 5.1
실시예 19∼22
정제수로 세척한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1 kg을 하기 표 3의 용매 6 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6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뒤, 0.45 ㎛의 필터로 여과하였다. 여과되어 나온 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건조시켜 분말상태의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용 매 고형분(g)
19 30%함수 에탄올 32
20 정제수 38
21 95% 에탄올 30
22 50% 에탄올 32
실시예 1a∼22a 및 비교실시예 1a∼2a: 항염증 실험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항염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18의 액상 혼합추출물과 실시예 19∼22의 분말상 혼합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a∼18a에서는 실험쥐의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하기 전에 에탄올로 양쪽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실시예 1∼18의 액상 혼합추출물 시료 20 ㎕를 시험부위에 각각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후 1시간이 지난 다음에 대조부위 및 시험부위에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 mg/ear를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에 대해 3회씩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a∼18a에서의 혼합추출물 시료는 에탄올 용매에 5% 농도의 혼합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래의 식 1에 의한 억제율(%)로 판정하였다.
[식 1]
상기 식에서, A는 대조부위의 평균두께로 아라키돈산 처리 후의 귀의 두께에서 처리 전의 귀의 두께를 뺀 값이며, B는 시험부위의 두께로 아라키돈산 처리 후의 귀의 두께에서 처리 전의 귀의 두께를 뺀 값이다.
비교실시예 1a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귀 두께(㎛) 억제율(%)
아라키돈산 처리전 아라키돈산 처리후
실시예 1a 265 531 9.2
2a 275 532 12.3
3a 290 556 9.2
4a 301 569 8.5
5a 257 521 9.9
6a 245 507 10.6
7a 275 543 8.5
8a 258 509 14.3
9a 292 563 7.5
10a 275 542 8.9
11a 274 538 9.9
12a 265 530 9.6
13a 254 519 9.6
14a 275 533 11.9
15a 292 558 9.2
16a 245 499 13.3
17a 285 544 11.6
18a 258 518 11.3
비교실시예 1a 277 570 0
실시예 19a∼22a에서는 분말상태의 혼합추출물 0.5 g을 에탄올 용매에 녹여 0.5 % 농도의 혼합용액으로 시료를 만들어 적용하였다. 실험과정은 상기 실시예 1a∼18a와 동일하며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2a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다.
귀 두께(㎛) 억제율(%)
아라키돈산 처리전 아라키돈산 처리후
실시예 19a 276 539 10.2
20a 265 525 11.3
21a 273 539 9.2
22a 273 540 8.9
비교실시예 2a 277 570 0
실시예 1b 및 비교실시예 1b∼2b: 보습실험 1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보습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b는 상기 실시예 8의 혼합추출물 용액을 사용한 것이고, 비교실시예 1b 및 2b는 각각 정제수 및 30%함수 부틸렌글리콜을 적용하였다.
실시예 1b, 비교실시예 1b 및 2b의 용액을 각각의 플레이트(plate)에 적정한 후, 완전 건조된 염화칼슘(CaCl2)를 흡습제로 사용하여 상대습도 40 %, 온도 35 ℃로 조절한 데시게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하면서 각 시료의 무게를 6회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흡습율은 하기 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식 2]
상기 식에서, W a 는 방치 전의 시료의 무게이고, W b 는 방치 후의 시료의 무게이다.
시료측정시간 실시예 비교실시예
1b 1b 2b
0 100.00 100.00 100.00
2 92.34 88.73 90.22
4 83.99 81.68 82.70
19 55.76 35.23 48.56
21 46.18 25.62 41.19
24 40.61 15.91 34.76
실시예 1c∼2c 및 비교실시예 1c: 보습실험 2
실시예 1c 및 2c에서는 상기 실시예 8의 액상 혼합추출물 에탄올 용매에 각각 0.5% 및 1% 농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Courage+Khazaka사의 피부수분측정기(corneometer) CM 825를 사용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에 2×2 ㎠ 크기로 8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비교실시예 1c에서는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5분 경과 후에 실시예 1c 및 2c와 비교실시예 1c의 용액을 각각 2구획에 대하여 10 ㎕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한다. 도포 후 10분 뒤에 피부수분측정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구획 당 5회씩 측정한다. 실내온도는 20℃, 상대습도는 20% 였다. 흡습율을 하기 식 3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20명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3]
시료시간(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1c 2c 1c
10 23.8 29.5 15.2
15 12.5 18.7 10.4
20 9.8 15.9 4.2
25 7.6 13.1 3.5
30 6.9 11.8 1.9
35 5.5 8.9 0.6
40 5.2 7.7 0.0
실시예 1d∼22d 및 비교실시예 1d: 피부자극성 실험
본 발명에 의한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폐쇄 첩포실험(patch test)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d∼18d에서는 상기 실시예 1∼18의 혼합추출물을 각각 1.0% 또는 3.0% 수용액으로 만든 뒤,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0.08% 수용액 혼합하였다. 이들 혼합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혼합용액 0.2g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뒤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이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의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9d∼22d에서는 분말상태의 추출물 0.5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비교실시예 1d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SLS 0.08%용액을 사용하였다. 피부자극도는 표 8의 기준에 따라 아래 식 4에 의하여 판정하였다. 피시험자수는 모두 20이다.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식 4]
판정 결과 (명) 자극도
++ + +- -
실시예 1d 0 1 1 18 0.15
2d 0 2 0 18 0.2
3d 0 2 1 17 0.25
4d 0 1 3 16 0.25
5d 0 2 3 15 0.35
6d 1 0 2 17 0.25
7d 0 1 4 15 0.3
8d 0 0 2 18 0.1
9d 0 1 2 17 0.25
10d 0 2 3 15 0.35
11d 1 1 1 17 0.3
12d 0 0 3 17 0.15
13d 1 1 2 17 0.35
14d 0 2 0 18 0.2
15d 0 2 2 16 0.3
16d 0 0 4 16 0.2
17d 1 2 0 17 0.35
18d 0 3 0 17 0.3
19d 0 0 3 17 0.15
20d 0 2 2 16 0.3
21d 1 1 0 18 0.25
22d 0 0 4 16 0.2
비교실시예 1d 1 1 3 16 0.4
실시예 1e∼3e 및 비교실시예 1e∼3e: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성실험
본 발명에 따른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피부자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e 및 비교실시예 1e에서는 화장료중 화장수(스킨로션)을 하기 표 10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번호 원 료 실시예 1e 비교실시예 1e
1 실시예 8의 혼합추출물 용액 10.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실시예 1e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11에 성분 2, 3, 4 및 8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성분 5를 60℃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성분 10을 투입, 교반하여 성분 11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성분 1, 6, 7 및 9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실시예 1e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11에 성분 2, 3, 4 및 8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성분 5를 60℃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성분 10을 투입, 교반하여 성분 11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성분 6, 7 및 9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실시예 2e 및 비교실시예 2e에서는 화장료중 화장수(영양로션)을 하기 표 11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번호 원 료 실시예 2e 비교실시예 2e
1 실시예 8의 혼합추출물 용액 10.0 -
2 시토스테롤 1.7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1.5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1.2 1.2
6 콜레스테롤 1.5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워오일 10.0 10.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1 산탄검 0.3 0.3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표 11의 원료물질 중 성분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것을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하는데, 이러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 후, 성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한 다음 숙성시켜 실시예 2e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 후, 성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한 다음 숙성시켜 비교실시예 2e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e 및 비교실시예 3e에서는 화장료중 영양크림을 하기 표 1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번호 원 료 실시예 3e 비교실시예 3e
1 실시예 8의 혼합추출물 용액 10.0 -
2 시토스테롤 4.0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3.0
4 세라마이드 0.7 0.7
5 세테아레스-4 2.0 2.0
6 콜레스테롤 3.0 3.0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8 농글리세린 5.0 5.0
9 선플라워오일 22.0 22.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0.5
11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향료 미량 미량
14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표 12의 원료물질 중 성분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한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 후, 성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한 다음 숙성시켜 실시예 3e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성분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 한 후 성분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다. 그 후, 성분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한 다음 숙성시켜 비교실시예 3e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e∼3e 및 비교실시예 1e∼3e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자극완화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e∼3e 및 비교실시예 1e∼3e의 화장료 조성물에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8% 수용액 혼합하였다. 이들 혼합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등부위에 각 혼합용액 0.2g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뒤 핀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이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의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도는 상기 표 8의 기준에 따라 상기 식 4에 의하여 판정하였다. 피시험자수는 모두 20이다.
판정 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1e 0 2 2 16 0.3
2e 0 1 2 17 0.2
3e 0 2 1 17 0.25
비교실시예 1e 1 1 3 15 0.4
2e 2 0 1 17 0.35
3e 1 2 0 17 0.35
표 11에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 보다 자극완화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염기능, 보습기능 및 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혼합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추출물 0.1∼10 중량%; 및 화장료 90∼99.9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엣센스, 팩 및 유화형 화운데이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완전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하여 부피비로 1∼20 배를 가한 다음,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0 ℃를 유지하면서 4∼20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추출방법.
  4. 약전동싸리 40∼60 중량% 및 과루근 60∼4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완전 건조시킨 후, 용매를 전체 건조 중량에 대하여 부피비로 1∼20 배를 가한 다음,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37 ℃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1∼15 일간 침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추출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2003-0032377A 2003-05-21 2003-05-21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0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377A KR100507323B1 (ko) 2003-05-21 2003-05-21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377A KR100507323B1 (ko) 2003-05-21 2003-05-21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43A KR20030047943A (ko) 2003-06-18
KR100507323B1 true KR100507323B1 (ko) 2005-08-08

Family

ID=2957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377A KR100507323B1 (ko) 2003-05-21 2003-05-21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19B1 (ko) * 2005-11-25 2008-01-08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싸리, 금전초 및 반지련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317691A (zh) * 2020-02-12 2020-06-23 南京中医药大学 一种具有美白效果的栝楼果瓤总黄色素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197800B (zh) * 2021-04-21 2022-09-09 宁波久瑞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抗敏组合物、抗敏精华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43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KR20010000396A (ko) 미백 화장료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48405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및 편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275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07323B1 (ko) 약전동싸리 및 과루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248406B1 (ko)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413489C (zh) 平衡调理修复霜
KR10209598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보라색 화장료 조성물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KR1011843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1170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