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239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239A
KR20070065239A KR1020060129899A KR20060129899A KR20070065239A KR 20070065239 A KR20070065239 A KR 20070065239A KR 1020060129899 A KR1020060129899 A KR 1020060129899A KR 20060129899 A KR20060129899 A KR 20060129899A KR 20070065239 A KR20070065239 A KR 20070065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support
seat cush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350B1 (ko
Inventor
미쯔요시 다까하나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the locking mechanism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을 갖고, 상기 시트 쿠션은 패드와, 상기 시트 쿠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드의 형상을 유지하는 환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시트 쿠션의 시트면의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차체에 상기 시트 쿠션을 장착하는 후크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후크보다도 시트 쿠션의 횡단면으로부터 보아 후방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를 구비한다.
시트, 쿠션, 패드, 후크, 서포트

Description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A)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1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1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A)의 시트 쿠션 프레임(30) 및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A)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B)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4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4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C)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5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5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4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D)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6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6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5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E)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7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7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6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F)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8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8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7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G)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9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9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10의 (a)는 측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10의 (b)는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방부 플로어 패널(차체)
2 : 지지용 플로어(차체)
3 : 결합 수단
4 : 시트 쿠션
5 : 시트 쿠션 프레임
6 : 패널(차체)
52, 552 : 전방 후크 부재
52a : 후크부
50, 250, 350, 450 : 지지용 프레임
50a, 250a, 350a, 450a, 550a, 650a, : 지지점 단부(지지점부)
552a : 후크부(지지점부)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5-1347호 공보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시트 쿠션과 차체와의 결합을 해제할 때의 시트 쿠션의 프레임에 생기는 휨을 저감할 수 있는 차체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은 차량에 고정하여 사용되는 일이 많지만, 차량의 정비나 수리시 등에 차체로부터 제거하거나, 차체 바닥면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시트 쿠션 부분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로서, 미리 차체에 설치한 결합 수단에 의해 시트 쿠션에 설치된 후크부를 결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이 결합 수단은, 후크부에 대해 적어도 차량 전후 방향으로 결합하고, 또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는 소정 범위 내의 하중에서는 결합하고, 소정 이상의 하중에서 결합이 해제되는 구조이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5-134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의 후크부와 차체의 결합 수단과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 시트 쿠션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가해진 하중이 프레임을 절곡하는 힘으로 되고, 시트 쿠션에 가한 하중이 후크부까지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설치한 후크부와 차체측의 고정부와의 결합을 해제할 때의 프레임의 휨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시트 쿠션을 갖는 차량용 시트이며, 상기 시트 쿠션은 패드, 환형 프레임, 후크 및 서포트를 구비합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시트(1)는, 시트 쿠션(10)을 갖고, 패드(20)의 내부에 형상 유지용 프레임(30)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30)에는 후크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크(33)의 장착 단부(33a)가, 차체에 설치된 핀치(103)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시트 쿠션(10)을 차체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 시트 쿠션(10)의 일단부측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것에 의해 후크(33)에 핀치(103)의 결합력을 넘는 하중이 입력되면, 장착 단부(33a)가 핀치(103)로부터 벗어나 시트 쿠션(10)이 차체로부터 제거 가능해진다. 또한, 프레임(30)에는, 시트 쿠션(10)의 일단부측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에, 차체에 접촉하여 프레임(30)의 회전 지지점으로 되어 장착 단부(33a)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모멘트를 발생시 키는 서포트(5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3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는, 도시하지 않은 운전석 및 조수석의 차량 후방 위치에 배치된 차량의 후방 시트로서 설치된 것으로, 도1에 도시하는 차체의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101a)의 후단부의 위치에서 직립된 전방 벽부(101b)와 이 전방 벽부(101b)의 상단부에 연속하여 차량 후방(화살표 FR이 차량 전방을, 화살표 RR이 차량 후방을 나타냄)으로 연장하는 상부 벽부(101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벽부(101c)의 전방부에는,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에 용착 등에 의해 고정된 모자형 단면 형상의 지지용 플로어(102)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삽입 구멍(102b, 102b)이 개방되고, 이 삽입 구멍(102b)의 차량 하방에 후술하는 결합 수단으로서의 핀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00)의 시트 쿠션(10)에는, 탄성을 가진 패드(20)를 지지하여 시트 쿠션(10)의 형상을 유지하는, 강선으로 형성된 시트 쿠션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시트 쿠션 프레임(30)은 주 프레임(31)과, 주 프레임(31)의 차폭 방향으로 가교된 부 프레임(32)과, 이 부 프레임(32)에 고정된 한 쌍 전방 후크(33) 및 주 프레임(31)에 고정된 1개의 후방 후크(34)를 구비하고 있다.
주 프레임(31)은 시트 쿠션(10)의 외주 근방을 따라 배치된 전방 프레임(31a)과 횡 프레임(31b)과 후방 프레임(31c)에 의해 대략 장방형의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후크(33)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부 프레임(32)의 차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차량 후방 또한 경사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후방 후크(34)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프레임(31c)의 차폭 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차량 후방 또한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후방 후크(34)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에 연속하는 패널(106)에 설치된 결합 브래킷(106a)에 결합된다. 즉,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후방 후크(34)를 결합 브래킷(106a)에 삽입한다. 또한, 시트 쿠션(10)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그 전단부를 내려 시트 쿠션(10)을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에 적재한 상태로서, 후방 후크(34)와 결합 브래킷(106a)을 결합시킨다. 이 결합 상태에서는, 양자(34, 106a)는 차량 전후 방향ㆍ차폭 방향ㆍ차량 전후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로 된다.
전방 후크(33)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후단부에 차량 하방으로 수직 하강된 대략 U자 형상의 장착 단부(3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단부(33a)는, 후방 후크(34)와 결합 브래킷(106a)을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시켰을 때 에, 지지용 플로어(102)의 삽입 구멍(102b)에 삽입되어 핀치(103)에 결합된다.
핀치(103)는 장착 단부(33a)를 소정의 결합력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지지용 플로어(10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단부(33a)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는 전후방 한 쌍의 갈고리부(103a)를 갖고 있다. 즉,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단부(33a)는 삽입 구멍(102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갈고리부(103a)와 상하 방향에서 결합함으로써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결합은 장착 단부(33a)에 소정 이상의 힘, 즉, 갈고리부(103a)가 탄성 변형하는 하중 이상의 힘을 차량 상방향에 가함으로써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착 단부(33a)는 핀치(103) 및 삽입 구멍(102b)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으로는 소정 이상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전방 후크부(33)에는,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대략 모자형의 서포트(50)가, 장착 단부(33a)의 위치보다도 시트 쿠션의 횡단면으로부터 보아 히프 포인트측, 즉 차량 후방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서포트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へ자 형상으로 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고, 차량 후방측의 단부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점부로서의 지지점 단부(50a)가, 서포트(50)의 다른 부위보다도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지지점 단부(50a)는,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에,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점 단부(50a)는 장착 단부(33a)와 차량 전후 방향에 중첩되는 위치에서 장착 단부(33a)보다도 차량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으로부터 차량 상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점 단부(20a)와 상면(102a)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도시하는 높이(h1)와 높이(h2)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높이(h1)는,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승객의 하중 등에 의해 시트 쿠션 프레임(30)이 상하 방향으로 휘어졌을 때에, 지지점 단부(50a)와 상면(102a)이 접촉하지 않는 치수이다. 또한, 높이(h2)는 후술하는 시트 쿠션(10)의 제거시에, 후술하는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이 조기에 확실히 얻어지는 치수이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시트 쿠션(30)을 후방부 플로어 패널(101)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전방 후크(33)의 장착 단부(33a)를 핀치(103)의 갈고리부(103a) 결합으로부터 해제하고, 그 후 차량 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후방 후크(34)와 결합 브래킷(106)의 결합을 해제한다.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제거하여 하중을 가했을 때에는,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강성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후단부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에서 장착 단부(33a)가 들어올려지는 핀치(103)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강성이 부족한 경우에, 시트 쿠션 프레임(5)에, 결합 수단(3)에 의해 결합된 후크부(52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변형이 생길 때에는, 서포트(50)의 지지점 단부(50a)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지지용 플로 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한다. 그리고, 지지점 단부(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한 시점으로부터, 시트 쿠션 프레임(30)에는 지지점 단부(50a)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작용하고, 이 지지점 단부(50a)보다도 차량 전방에 배치된 전방 후크(33)에는 상향의 하중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 장착 단부(33a)는, 제거 하중이 입력되는 시트 쿠션(10)의 전단부와, 회전 중심으로 되는 지지점 단부(50a)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지레비(leverage-ratio)가 얻어져 장착 단부(33a)가 핀치(103)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A)에서는, 시트 쿠션(10)의 제거시에,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강성 부족으로 시트 쿠션 프레임(10)이 탄성 변형한 경우라도, 장착 단부(33a)에 대해, 지지점 단부(50a)를 지지점으로 하여 핀치(103)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강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차체로부터 시트 쿠션을 제거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효과는, 시트 쿠션 프레임(30)에 서포트(50)를 부가한 것만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저렴하면서 경량으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품에 서포트(50)를 추가하는 것뿐이므로, 기존품의 성형형 등에 변경이 불필요한 동시에 다른 차종에도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이 높고, 부품 비용이나 형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지지점 단부(50a)는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으로부터 높이(h1)를 넘어 배치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승객의 하중 등에 의해 시트 쿠션 프레임(30)이 상하 방향으로 휘어져도 지지점 단부(50a)와 상면(102a)이 충돌하여 노이즈가 생기는 문제가 없다. 또한, 지지점 단부(50a)의 상면(2a)으로부터의 거리를 높이(h2) 미만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점 단부(50a)가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변형시에 지지점으로서 작용하는 효과가 조기에 확실히 얻어진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4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00)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는 서포트(150)의 형상이 다르다. 즉, 서포트(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 단부(150a)가 장착 단부(33a)에 대해 차폭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는, 시트 쿠션(30)을 들어올릴 때에 하중을 입력하는 위치와, 장착 단부(33a)를 연결하는 직선의 연장선 근방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포트(150)가 차량 전후 방향의 도중에서 절곡되고, 서포트(150)의 다른 부위보다도 지지점 단부(1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 및 지지점 단부(150a)가 장착 단부(33a)보다도 차량 후 방의 위치이며,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점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에 있어서도, 시트 쿠션 프레임(10)의 강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제거 성능이 향상한다는 효과, 저렴하면서 경량으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다른 차종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의 효과,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을 조기에 확실히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5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3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2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3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200)도, 제1 실시예와는 서포트(250)의 형상이 다르다. 즉, 서포트(250)는 측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의 지지점 단부(250a)는,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이나 승객의 하중 등에 의해 시트 쿠션 프레임(30)이 상하 방향으로 휘어져도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h1)의 매우 가까운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제3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200)에서는, 제거시에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들어올렸을 때에는, 보다 조기에 지지점 단부(250a)가 지지용 플로 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하고, 장착 단부(33a)가 핀치(103)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시트 쿠션 프레임(10)의 강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제거 성능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렴하면서 경량으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다른 차종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의 효과,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을 조기에 확실히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실시예)
다음에, 도6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4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4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300)도, 제1 실시예와는 서포트(350)의 형상이 다르다. 즉, 서포트(350)는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지 않고, 측방으로부터 보면 대략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의 지지점 단부(350a)는 서포트(35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높이, 즉 시트 쿠션(10)의 제거시에,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이 조기에 확실히 얻어지는 높이(h2)의 상한의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제4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300)에서는, 지지점 단부(3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닿아 노이즈가 생기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면서도, 시트 쿠션(10)의 제거시에, 지지점 단부(3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에 접 촉하여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강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제거 성능이 향상한다는 효과, 저렴하면서 경량으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다른 차종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의 효과,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을 조기에 확실히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도7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5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4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5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400)는, 지지점으로서의 지지점 단부(450a)를 전방 후크(433)와 일체로 형성한 예이다.
즉, 전방 후크(433)에는, 장착 단부(433a)보다도 차량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연장부(4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착 단부(433a)는, 이 후방 연장부(450)의 차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절첩되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 하강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연장부(450)의 후단부에 있어서, 높이(h2)의 약간 하방 위치에 지지점 단부(450)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제5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400)에서는, 시트 쿠션(10)의 제거시에는,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면 전방 후크부(433)가 장착 단부(433a)를 중심으 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지지점 단부(4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한 시점에서 장착 단부(433a)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핀치(103)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5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400)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 쿠션 프레임(30)의 강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제거 성능이 향상한다는 효과, 저렴하면서 경량으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을 조기에 확실히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5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1)에서는, 지지점 단부(450a)를 전방 후크(433)와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 및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다음에, 도8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6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5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6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500)는,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점으로서의 지지점 단부(550a)를 전방 후크부(533)와 일체로 형성한 예이고, 전방 후크(533)의 형상이 제5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즉, 전방 후크(533)는, 도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단부(533a)보 다도 차량 우측의 부분(도에서는 좌측)의 부분에만 후방 연장부(5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후방 연장부(550)의 후단부 부분에서는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에 지지점 단부(550a)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점 단부(550a)는 제5 실시예의 지지점 단부(450a)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6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500)에 있어서도, 시트 쿠션(10)의 제거시에는 시트 쿠션(10)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면 전방 후크(533)가 장착 단부(533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회전에 의해 지지점 단부(5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한 시점(제5 실시예보다도 이른 시점)에서, 장착 단부(533a)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면, 핀치(103)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6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500)에 있어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트 쿠션 프레임(10)의 강성을 향상시키지 않고 제거 성능이 향상한다는 효과, 저렴하면서 경량으로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상기 지지점으로서의 작용을 조기에 확실히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6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500)에서는,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점 단부(550a)를 전방 후크(533)와 일체로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하여 제조 비용 및 중량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에, 도9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제7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6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 내지 균등한 부분에 대 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제7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600)는,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점으로서의 지지점 단부(650a)를 전방 후크(633)와 일체로 형성한 예이고, 전방 후크(633)의 형상이 제5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즉, 전방 후크 부재(633)는, 도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단부(633a)의 차폭 방향 양측에 후방 연장부(6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 연장부(650)에서는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내려간 위치에 지지점 로드(650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7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G)에 있어서도, 시트 쿠션(4)의 제거시에는 지지점 단부(650a)가 지지용 플로어(102)의 상면(102a)에 접촉한 시점에서, 장착단부(633a)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결합 수단(3)에 의한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지지점 단부(650a)의 접촉 타이밍은 제6 실시예와 같은 조기이고, 또한 장착단부(633a)의 양측에서 지지점 단부(650a)가 접촉함으로써 결합 해제를 보다 조기에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제1 내지 제7 실시예를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 형태 및 제1 내지 제7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정도의 설계적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시트를 승용차의 뒷 좌석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앞 좌석에 적용할 수도 있고, 승용차 이외의 차량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시트 쿠션을 차폭 방향으로 연장시킨 것을 나타냈지만, 차량 전후 방향 등 다른 방향으로 연장시켜도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지지점부[지지점 단부(50a) 등]를 차체로서의 지지용 플로어(2)로부터 이격하여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차체에 접촉시켜도 좋다. 이 경우, 노이즈가 발생하면 양자 사이에 완충재를 개재시켜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지지점부가 접촉하는 차체로서, 지지용 플로어(2)를 도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후방부 플로어 패널(1) 등의 차체의 다른 부분에 접촉시켜도 좋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결합 수단으로서 갈고리부(3a)에 의해 후크부(52a 등)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3)을 도시했지만, 이 결합 수단은 소정의 결합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어 스프링이나 래치를 이용하는 것 등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지지점부로서 지지점 단부(50a)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10에 도시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점용 판(750)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 혹은 1매 설치해도 좋다. 이 도면의 예에서는, 이 지지점용 판(750)의 선단부(750a)가 지지점부로 된다. 또한, 이 지지점용 판(750)은, 이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시트 쿠션의 결합을 해제한 후 차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트 쿠션과 차체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시트 쿠션을 올릴 수 있는 등 실시예에 나타낸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과 차체와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 프레임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2)

  1. 차체에 장착되는 차량용 시트이며,
    상기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을 갖고,
    상기 시트 쿠션은,
    패드와,
    상기 시트 쿠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드의 형상을 유지하는 환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시트 쿠션의 시트면의 반대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차체에 상기 시트 쿠션을 장착하는 후크와,
    상기 프레임의 상기 후크보다도 시트 쿠션의 횡단면으로부터 보아 후방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를 갖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 단부는, 상기 서포트의 차체에 접촉하는 지지점 단부보다도 시트 쿠션의 전방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차량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차체와 이격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시트 쿠션의 시트면의 반대측의 단부보 다도 차체 근방에 배치하는 차량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가 상기 프레임과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후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단면이 대략 직선 형상인 차량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후크를 차체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차체와 면접촉하는 차량용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시트 쿠션의 좌우에 접속된 부 프레임을 갖고, 상기 후크는 상기 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후크와 상기 시트 쿠션의 전방 단부를 연결한 직선의 연장선 상의 근방에 배열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2.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의 차체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이며,
    차체용 시트의 전방 단부에 차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입력하고,
    상기 차체용 시트의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이며 상기 차체와 장착하고 있는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서 차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프레임을 회전할 때에,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서포트가 차체에 접촉하여 상기 하중을 상기 프레임으로 전달하는 지지점으로 되어 회전하여, 차체와 차량용 시트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
KR1020060129899A 2005-12-19 2006-12-19 차량용 시트 및 차체와 차량용 시트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 KR100907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64711 2005-12-19
JP2005364711 2005-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239A true KR20070065239A (ko) 2007-06-22
KR100907350B1 KR100907350B1 (ko) 2009-07-10

Family

ID=3786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899A KR100907350B1 (ko) 2005-12-19 2006-12-19 차량용 시트 및 차체와 차량용 시트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7488B2 (ko)
EP (1) EP1798101B1 (ko)
KR (1) KR100907350B1 (ko)
CN (2) CN100509477C (ko)
DE (1) DE60200600639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874A (zh) * 2022-01-26 2022-04-15 北汽瑞翔汽车有限公司 一种座椅地锁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0165B1 (fr) * 2012-05-04 2014-05-09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Clip de fixation
US9914382B2 (en) * 2016-02-16 2018-03-13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structural foam with intergrated fram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7323320A (zh) * 2017-06-30 2017-11-0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下潜的后排坐垫总成
US10596940B2 (en) * 2018-07-26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p-loaded seat cushion system
USD955952S1 (en) 2019-07-25 2022-06-28 Polaris Industries Inc. Door for a utility vehicle
US11447040B2 (en) * 2019-07-26 2022-09-20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D942344S1 (en) 2019-07-26 2022-02-01 Polaris Industries Inc. Set of vehicle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032U (ko) * 1989-11-17 1991-07-22
JPH051347A (ja) 1991-06-21 1993-01-08 Furukawa Alum Co Ltd 軽量のv溝プーリー
JP2554397Y2 (ja) * 1991-06-29 1997-11-17 株式会社タチエス 自動車用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体
JP3692716B2 (ja) 1997-07-23 2005-09-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輌用リヤシート
US5947562A (en) * 1997-09-19 1999-09-07 Sunrise Medical Hhg Inc. Quick release seat
US6361098B1 (en) * 1999-03-17 2002-03-2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at riser fold and tumble mechanism
US6161891A (en) * 1999-10-21 2000-12-19 Cts Corporation Vehicle seat weight sensor
DE10027063C2 (de) * 2000-05-26 2002-08-29 Brose Fahrzeugteile Sitzmodul
JP3672251B2 (ja) 2001-10-19 2005-07-20 日本発条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
FR2832105B1 (fr) 2001-11-09 2004-01-30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dispositif d'assistance et vehicule equipe d'un tel siege
US6695378B2 (en) * 2002-04-22 2004-02-24 Corbin Pacific, Inc. Vehicle seat with movable backrest
US6817646B2 (en) * 2002-08-26 2004-11-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CA2454590C (en) * 2003-01-06 2007-07-0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Stowable rear seat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874A (zh) * 2022-01-26 2022-04-15 北汽瑞翔汽车有限公司 一种座椅地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8101A2 (en) 2007-06-20
DE602006006398D1 (de) 2009-06-04
US7717488B2 (en) 2010-05-18
EP1798101A3 (en) 2007-11-14
KR100907350B1 (ko) 2009-07-10
CN100509477C (zh) 2009-07-08
EP1798101B1 (en) 2009-04-22
CN1986280A (zh) 2007-06-27
CN201086647Y (zh) 2008-07-16
US20080012380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350B1 (ko) 차량용 시트 및 차체와 차량용 시트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
JP4178479B2 (ja) 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
KR20090035148A (ko) 소형 프레임 차량의 트레일링 암 마운팅 장치
WO2015044753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for vehicle
JP5794923B2 (ja) 車両用ブラケット
JP6420066B2 (ja)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
JP2010023663A (ja) 車体前部構造
JP2008081041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5061604B2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車両用シートの車体との係合を解除する方法
JP7257603B2 (ja) 車両の前部構造
CN202400054U (zh) 一种汽车乘员安全气囊与仪表板的连接结构
US10576845B2 (en) Vehicle seat
CN107097601A (zh) 一种拖曳臂安装支座结构
KR20100005826A (ko) 캐리어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JP2008149822A (ja) 車両のリヤフロア構造
JP4811096B2 (ja) 車体後部構造
KR100890139B1 (ko) 자동차용 퓨얼 넥의 마운팅 장치
CN101446095B (zh) 举升缸托架组件及制造方法
JP2009298186A (ja) 自動車の車体後部の床下構造
CN219856782U (zh) 固定蓄电池后置的托盘支架及电动汽车
CN210363368U (zh) 一种消声器安装支架组件
CN112789213B (zh) 副车架构造
CN210011597U (zh) 一种油门踏板骨架
KR20070110679A (ko) 자동차용 리어쇽업소버의 차체 결합구조
JP2005081954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