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754A -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 Google Patents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754A
KR20070064754A KR1020050125196A KR20050125196A KR20070064754A KR 20070064754 A KR20070064754 A KR 20070064754A KR 1020050125196 A KR1020050125196 A KR 1020050125196A KR 20050125196 A KR20050125196 A KR 20050125196A KR 20070064754 A KR20070064754 A KR 2007006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gridiron
plate
perforation
fl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규영
Original Assignee
남궁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규영 filed Critical 남궁규영
Priority to KR102005012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4754A/ko
Publication of KR2007006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형태의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판상재로 되는 순동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테두리를 따라서 일측으로 요입(凹入)되는 비드(Bead)상의 보강부와, 천공을 가지는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판상재로 되는 순동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비드상의 보강부와 천공을 가지는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단계; 살부에 주변부보다 상부로 올라가는 돌출부를 추가로 성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의 제작법으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석쇠는 제작이 손쉬워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고기를 신속하고도 골고루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울 때 기름이 줄줄이 흐름으로서 그 연소 연기가 고기에 눌어붙어서 시컴은 고기로 구워지는 것을 지양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특히 사용 후 눌어붙은 찌꺼기의 제거가 손쉬우면서 완벽하게 되는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석쇠, 판상 석쇠, 석쇠 제작법

Description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Gridiron by using fla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ridir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석쇠의 구성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석쇠의 다른 구성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작 순서도이다.
도 6은 종래 발명의 구성상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다른 발명의 구성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석쇠
11. 보강부 12. 살부 13. 천공
14. 돌출부 15. 고정손잡이 16. 착탈손잡이
610. 테두리 부재 620. 망 621. 모서리부위
630. 강선 631. 양측 끝 640. 봉부재
71. 망 72. 보강결착테 73. 손잡이
본 발명은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형태의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쇠는 소고기, 돼지고기나 물고기 등을 구울 때 불과 직접 접촉되어 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전체적으로 고루 익을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최초에는 철사를 엮어서 사각 또는 원형으로 하는 구조로 출발되어 현재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석쇠가 개발되었는데, 예컨대, 도 6에 부분 사시도로 도시된 석쇠는 이러한 전형적인 구조를 가지는 석쇠로서, 이는 사각 모양의 테두리 부재(610);마름모 모양으로 엮어진 망(620);상기 테두리 부재(610)의 각 변에 감기면서 망의 둘레에 위치한 마름모 모양의 모서리부위(621)에 차례로 끼워진 상태에서 양측 끝(631)이 테두리 부재(610)에 용접되는 스프링 형태의 강선(630);상기 테두리 부재(610)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양쪽 끝이 용접되어 상기 망(620)을 받쳐주는 봉부재(640)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는 공지된 자동화 설비에 의해 생산되는 마름모 모양으로 엮어진 망(620)을 스프링 형태의 강선(630)을 이용하여 사각 테두리 부재(6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석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구조자체는 구태의연한 구조를 그대로 채택하여, 구울 때 기름이 줄줄이 떨어져서 그을음이 고기에 눌어붙는다던가 석쇠를 이루는 철망(620)의 사이에 눌어붙은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의 개선은 전혀 되지 않고 있 으며, 특히 소재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사각 테두리 부재(61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하고 망(620)을 순동으로 하는 경우 일정기간 사용하여 패기 시킬 때에 일일이 분리하여야 수거가 가능하여 자원 재활용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보다 진보된 석쇠로는 도 7에 사시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재를 절개하여 펼친 망(71)의 외연에 보강결착테(72)로 결합하고, 손잡이(73)의 연부를 망의 통공에 끼우고 이를 보강결착테 외연으로 접어 결합 구성된 것이 있다.
이는 철사를 접어서 석쇠결착테를 구성하고 이에 망이 구성되도록 철사를 종횡으로 교접시켜서 제조하는 구조의 석쇠에 비해서는 양산이 가능하다는 점과 또 철사의 이동으로 망의 간격이 변화되고 산화가 생겨 장구히 사용되지 못하는 결점을 해소하였다는 점에서는 강점을 가지지만, 철판재를 절개하여 펼친 망(71)은 절개선을 따라 버(Burr)가 생겨서 취급자에게 상처를 주기 쉬우며, 따라서 샌드브라스트나 샌드페이퍼질이라는 2차가공이 필요하며, 절개하여 펼친 망(71)은 마름모를 이루는데, 예각이 60°이하라서 이 부분에 끼는 찌꺼기 및 망(71)과 보강결착테(72)사이에 끼는 찌꺼기는 제거가 불가능한 구조라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손쉬워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고기를 신속하고도 골고루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울 때 기름이 줄줄이 흐름으로서 그 연소 연기가 고기에 눌어붙어서 시컴은 고기로 구워지는 것을 지양(止揚)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일정기간 사용하여 패기 시킬 경우 석쇠판을 그대로 용해하면 소재를 50% 이상 수거할 수 있어서 자원 재활용률이 높으며, 특히 사용 후 눌어붙은 찌꺼기의 제거가 손쉬우면서 완벽하게 되는 구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석쇠는 판상재로 되는 순동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테두리를 따라서 일측으로 요입(凹入)되는 비드(Bead)상의 보강부와, 천공을 가지는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부에는 주변부보다 상부로 올라가는 돌출부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석쇠의 제조법은 판상재로 되는 순동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비드상의 보강부와 천공을 가지는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단계; 살부에 주변부보다 상부로 올라가는 돌출부를 추가로 성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와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단계는 작은 다이(Small die)로 분할된 영역만큼씩 반복하여 찍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고, 첨부된 도면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석쇠의 구성상태 사시도로서, 도 1a는 사각형상의 석쇠(1)이고, 도 1b는 원형상의 석쇠(1)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쇠(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도 1a) 또는 원형(도 1b)의 평판형으로 되고, 그 안에 원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천공(13)을 가지며, 천공(13)과 천공(13)사이의 살부(12)는 최소 3∼4㎜의 폭을 가지며, 테두리를 따라서 단면이 반원형의 비드(bead)상을 이루는 보강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석쇠의 다른 구성상태 사시도로서, 도 3a는 천공(13)을 사각형으로 하고 돌출부(14)를 가로방향 한쪽으로 한 것을, 도 3b는 사각 천공(13)에 돌출부(14)를 가로 세로 양쪽으로 한 것을, 그리고 도 3c는 육각 천공(13)에 가로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부(14)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각 도면의 B선, C선 및 D선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석쇠(1)는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살부(12)에는 주변부보다 상부로 올라가는 돌출부(14)를 더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14)는 천공(13)이 사각형인 경우 가로(도 3a)나 세로 방향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시킬 수 있으며(도 3b), 천공(13)이 원형, 육각형 및 팔각형인 경우에는 가로, 세로 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도 형성시킬 수 있으며(도 3c), 이들 돌출부(14)는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한 줄 걸러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너무 많 은 돌출부(14)는 석쇠(1)의 수명단축 뿐만 아니라 고기 익는 시간을 연장하고, 세척 시에는 찌꺼기의 보류 개소로 작용되어 세척에 문제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천공(13)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는데, 가급적 천공(13)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미감적인 면에서는 우월하지만, 예컨대 천공(13)을 팔각형으로 하는 경우, 팔각형 4개의 천공(13, 13, 13, 13)사이에 사각형 천공(13)을 배치하면 살부(12)의 폭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15는 고정손잡이 이고, 도면 부호 16은 착탈손잡이로서, 고정손잡이(15)는 석쇠(1)의 테두리의 양측에 2개를 부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부위라도 부착이 가능하며, 또한 착탈손잡이(16)는 삽입/탈락이 가능한 것으로, 천공(13)을 통해 착탈손잡이(16)의 첨부{천공(13)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함}를 끼워서 하단 후부까지 밀어 넣고 수평상태에서 다시 후면으로 약간 당기면 중간 연결부가 천공(13)의 벽면에 막히면서 고정되어 착설이 완료되는데, 이 상태에서 착탈손잡이(16)의 그립을 잡고 들어올리는 경우 석쇠(1)가 손쉽게 들리게 되며, 그 역순으로 하면 착탈손잡이(16)이 분리가 되어 취급이 용이하며, 이렇게 착탈손잡이(16)를 사용하면, 석쇠(1)를 사용하여 고기를 구울 시에는 분리 상태임으로 걸려서 불편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천공(13)이라도 착탈손잡이(16)를 걸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렇게 손잡이(15, 16)를 추가하는 구성일지라도 본 발명의 설계변경 내지는 이용발명에 불과함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은 명백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5인 본 발명의 제작 순서도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두께 2㎜에 가로×세로가 40×40㎝의 평판형으로 순도가 99.7%의 순동판(도 5a 상태)을 프레스에 걸어서 직경 14.5㎜인 원형 천공(13)과 테두리를 따라서 단면이 반원형을 이루는 최대 심도 5㎜의 보강부(11)를 함께 성형하였다(도 5c 상태).
금형을 교체하여 상기 천공(13)과 천공(13) 사이의 살부(12) 중 절반이 돌출되는 돌출부(14)를 재성형하여 완료하였다(도 5d 상태).
제작된 석쇠(1)에 소고기 등심(1.5인분 300g)을 올려놓고 숯불에 올려서 고기가 완전히 구워지면, 새로운 고기를 바꾸어 굽기 2회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천공(13)이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되는 석쇠(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기 굽기를 하였다.
실시예 5∼8
실시예 1과 동일한 소재를 프레스에 걸어서 가로×세로가 22×22㎝인 작은 다이로 4회 프레스한 후(도 5b를 거쳐 도 5c 상태로 됨), 돌출부를 재성형하여 천공(13)이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되는 석쇠(1)를 제작하였다. 이때, 석쇠(1)의 테두리 부분에 성형되는 보강부(11)는 중간에 이어지는 부분에서 약 4㎝가 중첩되어 프레스 되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기 굽기를 하였다.
비교예 1
직경 8㎜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사각형으로 구부려 테두리(610)를 만들고, 직경 2.3㎜의 순동선으로 역어서 살부인 망(620)을 만들어 석쇠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기 굽기를 하였다.
비교예 2
직경 8㎜의 순동선으로 사각형으로 구부려 테두리(610)를 만들고, 직경 2.3㎜의 순동선으로 역어서 살부인 망(620)을 만들어 석쇠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고기 굽기를 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구분 1회에 고기 익는 시간 그을음 상태 세척 후 상태 평 가
실시예 1∼4 평균267초 중간부분에 다수 발생 그을음 완전 제거됨 고기가 빨리 익고, 청소가 극히 용이함
실시예 5∼8 평균284초 중간부분에 일부 발생 뒷면에만 1∼2개소에 남음 고기가 빨리 익고, 청소가 용이함
비교예 1 평균312초 중간부분이 완전히 새까맘 앞뒷면에 다수 남음 고기 늦게 익고, 청소가 어려움
비교예 2 평균304초 중간부분이 완전히 새까맘 앞뒷면에 다수 남음 고기 늦게 익고, 청소가 어려움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4)가 있는 것보다 없는 것이 고기 익는 시간은 적게 걸렸으나, 익은 고기의 맛에서는 떨어지게 되는데, 익은 고기 내의 수분 함도가 떨어져서 부드러움이 적어지기 때문으로 판명되며, 비교예들에 비해서는 가열전 석쇠(1)를 사용하는 경우 모두 1회 고기 익는 시간이 짧으며, 2회 사용한 석쇠(1)를 락스를 묻힌 철솔로 문질러 세척하는 경우 세척상태도 양호하였다.
또한, 고기 구울 시에 본 발명의 석쇠(1)가 비교예의 석쇠(620)보다 그을음이 적게 발생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석쇠(1)는 살부(12)가 모서리를 가지는 평판형이라서, 기름이 모였다 떨어짐으로 숯불에 의하여 발화되지 않지만, 단면이 원형인 구리선으로 살부에 상응하는 망(620)으로 제작한 비교예에서는 기름이 발생되는 즉시 계속하여 미세한 방울상태로 떨어짐으로 발화가 쉬워서 숯불에 의하여 타면서 그을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석쇠는 제작이 손쉬워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고기를 신속하고도 골고루 구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울 때 기름이 줄줄 이 흐름으로서 그 연소 연기가 고기에 눌어붙어서 시컴은 고기로 구워지는 것을 지양(止揚)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일정기간 사용하여 패기 시킬 경우 석쇠판을 그대로 용해하면 소재를 50% 이상 수거할 수 있어서 자원 재활용률이 높으며, 특히 사용 후 눌어붙은 찌꺼기의 제거가 손쉬우면서 완벽하게 되는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석쇠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 중 일부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판상재로 되는 순동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테투리를 따라서 일측으로 요입(凹入)되는 비드(Bead)상의 보강부와, 천공을 가지는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부에는 주변부보다 상부로 올라가는 돌출부를 더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4. 판상재로 되는 순동판을 프레스로 찍어서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는 비드상의 보강부와 천공을 가지는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단계;
    살부에 주변부보다 상부로 올라가는 돌출부를 추가로 성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의 제작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살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단계는 작은 다이(Small die)로 분할된 영역만큼씩 반복하여 찍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의 제작법.
KR1020050125196A 2005-12-19 2005-12-19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KR20070064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196A KR20070064754A (ko) 2005-12-19 2005-12-19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196A KR20070064754A (ko) 2005-12-19 2005-12-19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592U Division KR200409899Y1 (ko) 2005-12-19 2005-12-19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754A true KR20070064754A (ko) 2007-06-22

Family

ID=3836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196A KR20070064754A (ko) 2005-12-19 2005-12-19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4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333A (zh) * 2019-08-26 2019-11-29 格力电器(中山)小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出风装置保护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333A (zh) * 2019-08-26 2019-11-29 格力电器(中山)小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出风装置保护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00617A (ja) 食肉支持具および食肉支持方法
KR200409899Y1 (ko)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KR20070064754A (ko) 판상부재로 되는 석쇠 및 그 제작법
KR101489893B1 (ko) 석쇠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석쇠살 고정지그
KR200473536Y1 (ko) 숯불구이용 석쇠
KR20100098772A (ko) 처마형불판
KR200481195Y1 (ko) 숯불구이판
JP2002306348A (ja) 焼き網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348791Y1 (ko) 구이용 석쇠
KR20100059121A (ko) 숯불구이용 석쇠
KR100684652B1 (ko) 구이판
KR200230487Y1 (ko) 일회용 구멍난 호일
KR19990035336U (ko) 석쇠
KR200463758Y1 (ko) 불판
KR200330196Y1 (ko) 구이용 석쇠
KR200409879Y1 (ko) 구이판
CN210611902U (zh) 一种滤烟效果好的食物处理机
CN210227862U (zh) 一种结构紧凑的食物处理机
CN209360432U (zh) 集油式烧烤炉栅组件
JP2007159721A (ja) 加熱調理用の網
KR100514058B1 (ko) 불구이판
KR910006975Y1 (ko) 야외용 구이판
KR200351720Y1 (ko) 석쇠
JP3184721U (ja) 焼き網
KR200196889Y1 (ko)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