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024A -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63024A KR20070063024A KR1020077009866A KR20077009866A KR20070063024A KR 20070063024 A KR20070063024 A KR 20070063024A KR 1020077009866 A KR1020077009866 A KR 1020077009866A KR 20077009866 A KR20077009866 A KR 20077009866A KR 20070063024 A KR20070063024 A KR 20070063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ous support
- semipermeable membrane
- composite semipermeable
- amine
- polyfunc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695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4
- ZMANZCXQSJIPKH-UHFFFAOYSA-N Tri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C ZMANZCXQSJIP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WZCQRUWWHSTZEM-UHFFFAOYSA-N 1,3-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N)=C1 WZCQRUWWHSTZ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29940018564 m-phenylened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7
- MIOPJNTWMNEORI-GMSGAONNSA-N (S)-camphor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CS(O)(=O)=O)C(=O)C[C@@H]1C2(C)C MIOPJNTWMNEORI-GMSGAONNSA-N 0.000 description 6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UWCPYKQBIPYOLX-UHFFFAOYSA-N benzene-1,3,5-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l)=O)=CC(C(Cl)=O)=C1 UWCPYKQBIPYO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NHTMVDHEPJAVLT-UHFFFAOYSA-N Isooc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NHTMVDHEPJAV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1 aromatic acid hal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JVSWJIKNEAIKJW-UHFFFAOYSA-N dimethyl-hexane Natural products CCCCCC(C)C JVSWJIKNEAIK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33 sodium lauryl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LUUGHFHXGJENI-UHFFFAOYSA-N Piperazine Chemical compound C1CNCCN1 GLUUGHFHXGJE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982 aromatic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JSYBAZQQYCNZJE-UHFFFAOYSA-N benzene-1,2,4-tr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N)=C1 JSYBAZQQYCNZJ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BKIMMITUMNQMOS-UHFFFAOYSA-N non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 BKIMMITUMNQM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10 poly(aryl 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4 saturated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JDIZQLSFPQPEY-UHFFFAOYSA-N 1,1,2-Trichlorotrifluoroethane Chemical compound FC(F)(Cl)C(F)(Cl)Cl AJDIZQLSFPQP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EYOCULIXLDCMW-UHFFFAOYSA-N 1,2-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N GEYOCULIXLDCM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BCKQZAAMUWICA-UHFFFAOYSA-N 1,4-phen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C1 CBCKQZAAMUWI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QBNGMRDYGPUOO-UHFFFAOYSA-N 1-n,3-n-dimethylbenzene-1,3-diamine Chemical compound CNC1=CC=CC(NC)=C1 UQBNGMRDYGPU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AHPQISAXRFLCL-UHFFFAOYSA-N 2,4-Diaminoanisole Chemical compound COC1=CC=C(N)C=C1N BAHPQISAXRFL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PMMJSPGZSFEAH-UHFFFAOYSA-N 2,4-diaminophe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C1=CC=C(O)C([NH3+])=C1 VPMMJSPGZSFE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OZKAJLKRJDJLL-UHFFFAOYSA-N 2,4-diamino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N)C=C1N VOZKAJLKRJDJ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SMWYRLQHIXVAP-UHFFFAOYSA-N 2,5-dimethylpiperazine Chemical compound CC1CNC(C)CN1 NSMWYRLQHIXV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LYCRLGLCUXUPO-UHFFFAOYSA-N 2,6-diamino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N)C=CC=C1N RLYCRLGLCUXU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TTFEPALADGOBD-UHFFFAOYSA-N 2-butylpropanedioyl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C(C(Cl)=O)C(Cl)=O ITTFEPALADGO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POVOSHRRIJKBR-UHFFFAOYSA-N 2-ethylpropanedioyl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Cl)=O)C(Cl)=O IPOVOSHRRIJKB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LNSYGKGQFHSNI-UHFFFAOYSA-N 2-propylpropanedioyl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C(Cl)=O)C(Cl)=O MLNSYGKGQFHS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ENRXLSRMCSUSN-UHFFFAOYSA-N 3,5-diamino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NC1=CC(N)=CC(C(O)=O)=C1 UENRXLSRMCSUS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YJLAVGMVTXZQD-UHFFFAOYSA-N 3-chlorosulfonylbenzene-1,2-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S(Cl)(=O)=O)=C1C(Cl)=O TYJLAVGMVTXZ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NIZQCLFRCBEGE-UHFFFAOYSA-N 3-phenylbenzene-1,2-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C=2C=CC=CC=2)=C1C(Cl)=O GNIZQCLFRCBEG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PIICEJLVQHRZGT-UHFFFAOYSA-N Eth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CN PIICEJLVQHRZ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Mal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WAQJAXMDSEUJJ-UHFFFAOYSA-M Sodium bisulfite Chemical compound [Na+].OS([O-])=O DWAQJAXMDSEUJ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GKXVJHDEWHKBFH-UHFFFAOYSA-N [2-(aminomethyl)phen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C1=CC=CC=C1CN GKXVJHDEWHKB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933 ac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17 ac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277 amino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2 aqueous-organic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YARQLHBOIGUVQM-UHFFFAOYSA-N benzene-1,2,3-trisulf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S(=O)(=O)C1=CC=CC(S(Cl)(=O)=O)=C1S(Cl)(=O)=O YARQLHBOIGUVQ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BGQXNZTVFEKEN-UHFFFAOYSA-N benzene-1,2-disulf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S(=O)(=O)C1=CC=CC=C1S(Cl)(=O)=O YBGQXNZTVFEKE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PHKINMPYFJSCF-UHFFFAOYSA-N benzene-1,3,5-tr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N)=CC(N)=C1 RPHKINMPYFJSC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DQSRULYDNDXQB-UHFFFAOYSA-N benzene-1,3-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C(Cl)=O)=C1 FDQSRULYDNDXQ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ZFATHSFIGBGOT-UHFFFAOYSA-N butane-1,1,1-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C(Cl)=O)(C(Cl)=O)C(Cl)=O BZFATHSFIGBG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915 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2]C([*:1])=O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XLCHRQXLFIZNP-UHFFFAOYSA-N cyclobutane-1,1-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l)=O)CCC1 LXLCHRQXLFIZ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URBACXRQKTCKZ-UHFFFAOYSA-N cyclobutane-1,2,3,4-tetra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O)C(C(O)=O)C1C(O)=O CURBACXRQKTC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BWUKDMYLKXAIP-UHFFFAOYSA-N cyclohexane-1,1,2-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C1(C(Cl)=O)C(Cl)=O PBWUKDMYLKXA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LCGVCXKDYTMRG-UHFFFAOYSA-N cyclohexane-1,1-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l)=O)CCCCC1 MLCGVCXKDYTMR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SJXIUAHEKJCMH-UHFFFAOYSA-N cyclohexane-1,2-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C1N SSJXIUAHEKJC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EQHKFFSPGPGLN-UHFFFAOYSA-N cyclohexane-1,3-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C(N)C1 GEQHKFFSPGPG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KIRRGRTJUUZHS-UHFFFAOYSA-N cyclohexa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CCC(N)CC1 VKIRRGRTJUUZ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TZIXLPVKZUAMV-UHFFFAOYSA-N cyclopentane-1,1,2,2-tetra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O)=O)CCCC1(C(O)=O)C(O)=O STZIXLPVKZUA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REFGECMMPJUHM-UHFFFAOYSA-N cyclopentane-1,1,2-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1(C(Cl)=O)C(Cl)=O JREFGECMMPJU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YLFLXVROAGUFH-UHFFFAOYSA-N cyclopentane-1,1-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l)=O)CCCC1 YYLFLXVROAGU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RMQURWQJQPUMY-UHFFFAOYSA-N cyclopropane-1,1,2-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1(C(Cl)=O)C(Cl)=O CRMQURWQJQPU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VGUFUZHNYFZLC-UHFFFAOYSA-N dodecyl benzenesulfonate;sodium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C1=CC=CC=C1 GVGUFUZHNYFZ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01 film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33 hydrogen hal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9 hydrogen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2 minera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CIDXARMXNJACB-UHFFFAOYSA-N n'-phenylethane-1,2-diamine Chemical compound NCCNC1=CC=CC=C1 OCIDXARMXNJA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UQGUKHJXFDUQF-UHFFFAOYSA-N naphthalene-1,2-d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1=CC=CC2=C(C(Cl)=O)C(C(=O)Cl)=CC=C21 WUQGUKHJXFDU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3 nox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TVMXDCGIABBOFY-UHFFFAOYSA-N oc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 TVMXDCGIABBO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TAAPVANJNSBGV-UHFFFAOYSA-N pentane-1,1,1-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C(C(Cl)=O)(C(Cl)=O)C(Cl)=O MTAAPVANJNSB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HAIYFTVRRTBNG-UHFFFAOYSA-N piperazin-1-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N1CCNCC1 GHAIYFTVRRTB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LRIRAGKJXODNO-UHFFFAOYSA-N propane-1,1,1-tricarb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Cl)=O)(C(Cl)=O)C(Cl)=O VLRIRAGKJXOD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OHJOMMDDJHIJH-UHFFFAOYSA-N prop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CC(N)CN AOHJOMMDDJHI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0264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67 sodium hydrogen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88 sod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XEJRKJRKIFVNY-UHFFFAOYSA-N terephthalo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1=CC=C(C(Cl)=O)C=C1 LXEJRKJRKIFVN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BYLVOKEDDQJDY-UHFFFAOYSA-N tris(2-aminoethyl)amine Chemical compound NCCN(CCN)CCN MBYLVOKEDDQJD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FMWSXOAZQYPI-UHFFFAOYSA-K tri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O RYFMWSXOAZQYPI-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06 tri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1 trisod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2 ultra pure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98 ultrapur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70 ultraviolet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5—Support pre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01D69/1251—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by interfacial polyme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6—Specific viscosities of materials involv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50—Control of the membrane prepar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투과 성능 및 염 저지율이 우수하고, 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막 세정 처리가 불필요한 타입의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계면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이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합 반투막에 있어서, 스킨층의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세정 제거함이 없이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반투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과 이것을 지지하는 다공성 지지체로 이루어진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복합 반투막은, 초순수(超純水)의 제조, 염수 또는 해수의 탈염 등에 바람직하며, 또한 염색 배수나 전착 도료 배수 등의 공해 발생 원인인 오염물 등으로부터, 그 속에 포함되는 오염원 혹은 유효 물질을 제거·회수하여, 배수의 클로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용도 등으로 유효 성분의 농축, 정수나 하수 용도 등으로의 유해 성분의 제거 등의 고도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복합 반투막으로서는, 다작용 방향족 아민과 다작용 방향족 산할로젠화물의 계면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스킨층이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된 것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4). 또한, 다작용 방향족 아민과 다작용 지환식 산할로젠화물의 계면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마이드로 이루어진 스킨층이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된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그러나, 종래의 반투막을 사용하여, 실제로 투과액 혹은 비투과액으로서 농축 또는 정제된 목적 물질을 얻고자 하면, 막 또는 막 모듈을 구성하는 부재로부터 용출, 유출되는 미반응 성분에 의해 목적 물질의 순도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이들 반투막 및 막 모듈은 사용에 앞서 충분한 세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세정 조작은 일반적으로 장시간 혹은 고에너지를 필요로 하거나, 막의 투과 유속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등, 막 성능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반투막으로부터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막을 0.01 내지 5중량%의 아황산수소나트륨 용액에 의해, 약 2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60분 동안 처리하는 방법(특허문헌 6), 복합 반투막에 대하여 유기물 수용액을 접촉시켜 미반응 잔존물을 제거하는 방법(특허문헌 7), 및 기재(基材)에 남은 과잉 성분을 시트르산, 표백제 등의 후속 욕(浴)에 의해 추출하는 방법(특허문헌 8)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막 엘리먼트의 막면에 부착된 떨어지기 어려운 고형물이나 세공(細孔) 내의 오염물을 박리 제거하거나, 막면에 고형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막 엘리먼트를 초음파 세정하면서 피처리물을 여과하는 막 분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9).
또한, 미반응의 방향족계 모노머를 온도 50℃ 이상의 세정액으로 세정 제거하는 유체 분리막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0).
그러나, 상기 방법이라 할지라도 미반응 성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어, 목적으로 하는 고순도의 투과액 등을 얻을 수가 없다. 또한, 미반응 성분을 충분히 제거하고자 하면, 장시간의 처리가 필요하고, 막 성능의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9에 기재된 방법은, 막 분리 운전 중에 막 엘리먼트의 막면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지, 막 엘리먼트 내의 미반응 잔존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아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1980-147106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1987-121603 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 1988-218208 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187135 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 1986-42308 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 제 2947291 호 명세서
특허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4470 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 공표 제 2002-516743 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319517 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 특허 제 3525759 호 명세서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투과 성능 및 염 저지율이 우수하고, 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막 세정 처리가 불필요한 타입의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계면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이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합 반투막에 있어서, 스킨층의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세정 제거함이 없이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반투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계면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작용 아민 성분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용액 피복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하기 전에 다공성 지지체에 아민 불침투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스킨층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제거하는 막 세정 처리 공정을 생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공성 지지체에 아민 불침투 처리를 실시해 둠으로써,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킨층 형성 후에 있어서의 다공성 지지체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그 후의 막 세정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막 세정 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막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고, 생산 효율도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합 반투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mg/㎡ 이하이다. 복합 반투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을 200mg/㎡ 이하로 하여 둠으로써, 막 세정 처리 공정을 생략한 경우에도 투과액 또는 농축된 목적 물질의 순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민 불침투 처리가,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含水量)을 20g/㎡ 이하로 줄이는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은 10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g/㎡ 이하이다. 다작용 아민 성분은 물에 용해시켜 다공성 지지체 상에 도포하기 때문에,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을 20g/㎡ 이하로 저감시켜 놓음으로써,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침투,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 수용액의 점도는 7m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Pa·s 이상이다.
또한, 상기 아민 수용액은, 다공성 지지체에 상압(常壓)에서 접촉시켰을 때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다공성 지지체 중에서의 이동 속도가 0.3㎎/㎡·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sec 이하이다.
상기와 같이, 아민 수용액의 점도나 다공성 지지체 중에서의 이동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은, 다공성 지지체 상에 공급되는 다작용 아민 성분의 양이 200 내지 600㎎/㎡로 되도록 아민 수용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작용 아민 성분의 양은 400 내지 6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작용 아민 성분의 양이 200㎎/㎡ 미만인 경우에는, 스킨층에 핀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쉬워져서, 고성능의 스킨층을 균일하게 형성하기 어렵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600㎎/㎡를 넘는 경우에는, 다공성 지지체 상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서, 다작용 아민 성분이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 침투하기 쉽게 되거나, 성막의 물 투과성이 낮아지거나 염 저지성이 나빠지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복합 반투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은, 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이 적고, 또한 막 세정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막 성능의 저하가 없고, 물 투과 성능 및 염 저지율이 우수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은,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계면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이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스킨층의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세정 제거함이 없이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반투막은, 예컨대 다작용 아민 성분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용액 피복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하기 전에 다공성 지지체에 아민 불침투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작용 아민 성분이란, 2 이상의 반응성 아미노기를 갖는 다작용 아민이며,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식의 다작용 아민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다작용 아민으로서는, 예컨대, m-페닐렌다이아민, p-페닐렌다이아민, o-페닐렌다이아민, 1,3,5-트라이아미노벤젠, 1,2,4-트라이아미노벤젠, 3,5-다이아미노벤조산, 2,4-다이아미노톨루엔, 2,6-다이아미노톨루엔, N,N'-다이메틸-m-페닐렌다이아민, 2,4-다이아미노아니솔, 아미돌, 자일릴렌다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작용 아민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다이아민, 프로필렌다이아민,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n-페닐-에틸렌다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다작용 아민으로서는, 예컨대, 1,3-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세인, 1,2-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세인, 1,4-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세인, 피페라진, 2,5-다이메틸피페라진, 4-아미노메틸피페라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작용 아민은 1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고염 저지 성능의 스킨층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 다작용 아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이란, 반응성 카보닐기를 2개 이상 갖는 다작용 산할라이드이다.
다작용 산할라이드로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지환식의 다작용 산할라이드를 들 수 있다.
방향족 다작용 산할라이드로서는, 예컨대, 트라이메신산트라이클로라이드, 테레프탈산다이클로라이드, 아이소프탈산다이클로라이드, 바이페닐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벤젠트라이설폰산트라이클로라이드, 벤젠다이설폰산다이클로라이드, 클로로설폰일벤젠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다작용 산할라이드로서는, 예컨대, 프로페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뷰테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펜테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프로페인트라이카복실산트라이클로라이드, 뷰테인트라이카복실산트라이클로라이드, 펜테인트라이카복실산트라이클로라이드, 글루타릴할라이드, 아디포일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다작용 산할라이드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페인트라이카복실산트라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뷰테인테트라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펜테인트라이카복실산트라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펜테인테트라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세인트라이카복실산트라이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테트라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 사이클로펜테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뷰테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사이클로헥세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다이카복실산다이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작용 산할라이드는 1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고염 저지 성능의 스킨층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 다작용 산할라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의 적어도 일부에 3가 이상의 다작용 산할라이드를 이용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등의 폴리머, 소르비톨,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공중합시켜도 좋다.
스킨층을 지지하는 다공성 지지체는, 스킨층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평균 구멍 직경 10 내지 500Å 정도의 미세 구멍을 갖는 한외 여과막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다공성 지지체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과 같은 폴리아릴에터설폰, 폴리이미드, 폴리불화바이닐리덴 등 여러 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화학적, 기계적, 열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폴리설폰, 폴리아릴에터설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통상 약 25 내지 125㎛,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75㎛이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다공성 지지체는 직포, 부직포 등에 의한 뒷바침으로써 보강되어 있더라도 좋다.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든 공지된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계면 축합법, 상(相) 분리법, 박막 도포법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축합법이란, 구체적으로, 다작용 아민 성분을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유기 용액을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스킨층을 형성하여, 해당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탑재하는 방법이나, 다공성 지지체 상에서의 상기 계면 중합에 의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의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직접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계면 축합법의 조건 등의 상세한 것은, 일본 특허 공개 제 1983-24303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89-180208 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들의 공지 기술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아민 수용액의 도포 전에 다공성 지지체에 아민 불침투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다작용 아민 성분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용액 피복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하고, 이어서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유기 용액과 수용액 피복층을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스킨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아민 불침투 처리로서는, 예컨대, 1) 건조하는 것에 의해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을 20g/㎡ 이하로 줄이는 처리, 2) 다작용 아민 성분을 실질적으로 용해하지 않고, 또한 아민 수용액과 실질적으로 혼화하지 않는, 탄화수소계 용매나 나프텐계 용매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 상을 피복하거나, 다공성 지지체 중에 함침시키는 처리, 3) 무기산이나 유기산 수용액(pH4 이하가 바람직함)을 이용하여 다공성 지지체 상을 피복하거나, 다공성 지지체 중에 함침시키는 처리, 4) 글리세린, 에틸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또는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점도 10m㎩·s 이상의 수용액으로 다공성 지지체 상을 피복하거나, 다공성 지지체 중에 함침시키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을 20g/㎡ 이하로 줄이는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민 수용액의 점도를 7m㎩·s 이상으로 조정하거나, 다공성 지지체에 상압에서 접촉시켰을 때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다공성 지지체 중에서의 이동 속도가 0.3㎎/㎡·sec 이하로 되도록 상기 아민 수용액을 조정함으로써,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침투, 확산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아민 수용액의 점도를 7m㎩·s 이상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를 수용액에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작용 아민 성분의 다공성 지지체 중에서의 이동 속도가 0.3㎎/㎡·sec 이하로 되도록 아민 수용액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아민 수용액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키는 방법, 예컨대,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을 첨가하지 않는 것, 아민 수용액의 조성에 따라 pH를 중성 부근으로 조정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 중합법에 있어서, 아민 수용액 중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이다. 다작용 아민 성분의 농도가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스킨층에 핀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쉽게 되고, 또한 염 저지 성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다작용 아민 성분의 농도가 5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다작용 아민 성분이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 침투하기 쉽게 되거나,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게 되어 투과 저항이 커져서 투과 유속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유기 용액 중의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중량%이다.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의 농도가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이 잔류하기 쉬워지거나, 스킨층에 핀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쉽게 되어 염 저지 성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의 농도가 5중량%를 넘는 경우에는, 미반응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이 잔류하기 쉬워지거나,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게 되어 투과 저항이 커져서, 투과 유속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유기 용액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다공성 지지체를 열화시키지 않으며,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이클로헥세인, 헵테인, 옥테인 및 노네인 등의 포화 탄화수소, 1,1,2-트라이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테인 등의 할로젠 치환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점이 3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점이 200℃ 이하인 포화 탄화수소이다.
상기 아민 수용액이나 유기 용액에는, 제막을 용이하게 하거나, 얻어지는 복합 반투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첨가제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도데실황산나트륨 및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계면 활성제, 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할로젠화 수소를 제거하는 수산화나트륨, 인산삼나트륨 및 트라이에틸아민 등의 염기성 화합물, 아실화 촉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224452 호 공보에 기재된 용해도 파라미터가 8 내지 14(㎈/㎤)1/2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공성 지지체 상에 상기 아민 수용액을 도포하고 나서 상기 유기 용액을 도포하기까지의 시간은, 아민 수용액의 조성, 점도 및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층의 구멍 직경에도 의존하지만, 15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 이하이다. 상기 용액의 도포 간격이 15초를 넘는 경우에는, 아민 수용액이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 깊숙이까지 침투·확산되어,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이 다공성 지지체 중에 대량으로 잔존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상기 아민 수용액을 피복한 후, 여분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민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용액 피복층과 유기 용액과의 접촉 후, 다공성 지지체 상의 과잉 유기 용액을 제거하고, 다공성 지지체 상의 형성막을 70℃ 이상에서 가열 건조하여 스킨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막을 가열 처리하는 것에 의해, 그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 등을 높일 수 있다. 가열 온도는 70 내지 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50℃이다. 가열 시간은 30초 내지 10분 정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초 내지 7분 정도이다.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한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5 내지 2㎛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이다.
이렇게 하여 제작된 복합 반투막은, 스킨층의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세정 제거함이 없이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 이하로 조정되어 있고, 별도 막 세정 처리를 실시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복합 반투막은 그 형상에 하등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다. 즉, 평막상 또는 스파이럴 엘리먼트상 등, 생각되는 모든 막 형상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 반투막의 염 저지성, 투수성 및 내산화제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 공지된 각종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복합 반투막은,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해당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된 투과액 또는 농축된 목적 물질은 불순물이 매우 적고 고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및 측정 방법〕
(투과 유속 및 염 저지율의 측정)
제작한 평막상의 복합 반투막을 소정의 형상, 사이즈로 절단하여, 평막 평가용 셀에 세팅한다. 약 1500㎎/L의 NaCl을 포함하고, 또한 NaOH를 이용하여 pH6.5 내지 7.5로 조정한 수용액을 25℃에서 막의 공급 측과 투과 측에 1.5㎫의 차압(差壓)을 주어 막에 접촉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얻어진 투과수의 투과 속도 및 전도도(電導度)를 측정하여, 투과 유속(㎥/㎡·d) 및 염 저지율(%)을 산출하였다. 염 저지율은, NaCl 농도와 수용액 전도도의 상관(검량선)을 사전에 작성하고, 그들을 이용해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염 저지율(%)={1-(투과액 중의 NaCl 농도[㎎/L])/(공급액 중의 NaCl 농도[㎎/L])}×100
(다작용 아민 성분의 다공성 지지체 중에서의 이동 속도 측정)
사용하는 다공성 지지체의 편면에 아민 수용액을 상압에서 접촉시키고, 다른 면에 순수를 상압에서 접촉시켰다. 이 조작에 의해 순수 측은 접촉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아민이 검출되기 시작하고, 그 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그 농도가 증가한다. 시간에 대한 농도의 기울기가 안정된 곳에서 그 기울기를 아민 성분의 이동 속도(㎎/㎡·sec)라고 정의하였다. 순수 측의 아민 성분의 농도 측정은,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UV-2450"(시마즈 제작소 제품)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아민 수용액의 점도 측정)
아민 수용액의 점도는, BL형 점도계(도쿄계기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 측정)
다공성 지지체의 함수량은, 소정 면적의 지지체 샘플을 소정 온도로 건조시켜, 그 전후의 중량 변화로부터 산출했다.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 측정)
에탄올 50중량%를 함유하는 수용액(25℃) 중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작한 복합 반투막(φ25㎜)을 침지하고, 약 8시간 정치시켜 복합 반투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의 210㎚에서의 UV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50중량% 에탄올 수용액 중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농도와, 그 수용액의 210㎚ 흡광도와의 상관(검량선)을 사전에 작성하여, 그들을 이용해 복합 반투막 중에 포함되는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다공성 지지체의 제작)
폴리설폰(Solvay사 제품, P-3500) 18중량%를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용해한 제막 도핑을 부직포 기재 상에 웨트 두께 200㎛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그 후, 곧바로 40 내지 50℃의 물 속에 침지시킴으로써 응고시키고, 또한 용매인 DMF를 완전히 추출 세정함으로써, 부직포 기재 상에 폴리설폰 미다공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제작한 다공성 지지체를 40℃에서 가열 건조시켰다. 가열 건조 후의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은 1g/㎡이었다.
m-페닐렌다이아민 1중량%, 트라이에틸아민 3중량% 및 캠포설폰산 6중량%를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아민 성분의 이동 속도: 0.02㎎/㎡·sec)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그 후 여분의 아민 수용액을 와이핑 제거함으로써 수용액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수용액 피복층의 표면에 트라이메신산클로라이드 0.2중량%를 함유하는 아이소옥테인 용액을 도포하였다. 그 후, 여분의 용액을 제거하고, 또한 120℃의 열풍 건조기 속에서 3분간 유지하여, 다공성 지지체 상에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형성시켜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제작한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투과 시험을 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 타낸다.
실시예
2 내지 15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공성 지지체의 건조 온도, 아민 수용액의 조성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복합 반투막을 제작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2
다공성 지지체에 건조 처리를 하지 않고, 아민 수용액의 조성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복합 반투막을 제작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실용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실시예
16
제작한 다공성 지지체를 실온에서 에어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은 1g/㎡이었다.
m-페닐렌다이아민 1.5중량%, 트라이에틸아민 3중량% 및 캠포설폰산 6중량%를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아민 성분의 이동 속도: 0.02㎎/㎡·sec)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그 후 여분의 아민 수용액을 와이핑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용액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수용액 피복층의 표면에 트라이메신산클로라이드 0.25중량%를 함유하는 아이소옥테인 용액을 도포하였다. 그 후, 여분의 용액을 제거하고, 또한 120℃의 열풍 건조기 속에서 3분간 유지하여, 다공성 지지체 상에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형성시켜 복합 반투막을 얻었 다. 제작한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m-페닐렌다이아민 1.5중량%, 트라이에틸아민 4중량% 및 캠포설폰산 8중량%를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아민 성분의 이동 속도: 0.03㎎/㎡·sec)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복합 반투막을 제작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다공성 지지체의 함수량을 30g/㎡, m-페닐렌다이아민 3중량%, 트라이에틸아민 3중량%, 캠포설폰산 6중량% 및 라우릴황산나트륨 0.15중량%를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아민 성분의 이동 속도: 2.7㎎/㎡·sec)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복합 반투막을 제작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실용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실시예
18
제작한 다공성 지지체를 60℃에서 가열 건조시켰다. 가열 건조 후의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은 1g/㎡이었다.
m-페닐렌다이아민 1중량%, 트라이에틸아민 3중량% 및 캠포설폰산 6중량%를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60g/㎡(m-페닐렌다이아민: 600㎎/㎡) 도포하고, 그 후 여분의 아민 수용액을 와이핑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용 액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수용액 피복층의 표면에 트라이메신산클로라이드 0.25중량%를 함유하는 아이소옥테인 용액을 도포하였다. 그 후, 여분의 용액을 제거하고, 또한 120℃의 열풍 건조기 속에서 3분간 유지하여, 다공성 지지체 상에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형성시켜 복합 반투막을 얻었다. 제작한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9 내지 22 및
비교예
4 내지 6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공성 지지체의 함수량, 아민 수용액의 조성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8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복합 반투막을 제작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제작한 다공성 지지체를 실온에서 에어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은 1g/㎡이었다.
m-페닐렌다이아민 1.5중량%, 트라이에틸아민 3중량%, 캠포설폰산 6중량% 및 에틸렌글라이콜 50중량%를 함유하는 아민 수용액(점도: 7mPa·s)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그 후 여분의 아민 수용액을 와이핑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용액 피복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수용액 피복층의 표면에 트라이메신산클로라이드 0.2중량%를 함유하는 아이소옥테인 용액을 도포하였다. 그 후, 여분의 용액을 제거하고, 또한 120℃의 열풍 건조기 속에서 3분간 유지하여, 다공성 지지체 상에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형성시켜 복합 반투막을 얻었 다. 제작한 복합 반투막을 이용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25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에틸렌글라이콜의 첨가량을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복합 반투막을 제작하여, 투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과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1 내지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다공성 지지체에 아민 불침투 처리를 실시해 둠으로써, 다공성 지지체 속으로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킨층 형성 후에 있어서의 다공성 지지체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그 후의 막 세정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막 세정 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막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고, 생산 효율도 향상된다.
Claims (8)
-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계면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이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합 반투막에 있어서,스킨층의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세정 제거함이 없이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반투막.
- 다작용 아민 성분과 다작용 산할라이드 성분을 계면 중합하여 이루어진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포함하는 스킨층을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다작용 아민 성분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용액 피복층을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하기 전에 다공성 지지체에 아민 불침투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스킨층 형성 후에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을 제거하는 막 세정 처리 공정을 생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복합 반투막 중의 미반응 다작용 아민 성분의 함유량이 200mg/㎡ 이하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아민 불침투 처리가, 다공성 지지체 중의 함수량을 20g/㎡ 이하로 줄이는 처리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아민 수용액의 점도가 7mPa·s 이상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아민 수용액은, 다공성 지지체에 상압(常壓)에서 접촉시켰을 때의 다작용 아민 성분의 다공성 지지체 중에서의 이동 속도가 0.3㎎/㎡·sec 이하인 것인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다공성 지지체 상에 공급되는 다작용 아민 성분의 양이 200 내지 600㎎/㎡로 되도록 아민 수용액을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 반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90391A JP2006102594A (ja) | 2004-10-01 | 2004-10-01 |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JPJP-P-2004-00290391 | 2004-10-01 | ||
PCT/JP2005/016247 WO2006038409A1 (ja) | 2004-10-01 | 2005-09-05 |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63024A true KR20070063024A (ko) | 2007-06-18 |
KR100882985B1 KR100882985B1 (ko) | 2009-02-12 |
Family
ID=3614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9866A KR100882985B1 (ko) | 2004-10-01 | 2005-09-05 |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80277334A1 (ko) |
EP (1) | EP1806174B1 (ko) |
JP (1) | JP2006102594A (ko) |
KR (1) | KR100882985B1 (ko) |
CN (1) | CN100558451C (ko) |
WO (1) | WO200603840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56503B2 (ja) * | 2004-10-01 | 2011-03-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4656502B2 (ja) * | 2004-10-01 | 2011-03-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4656511B2 (ja) * | 2004-10-04 | 2011-03-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
JP4936438B2 (ja) * | 2006-10-10 | 2012-05-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JP2008093544A (ja) * | 2006-10-10 | 2008-04-24 | Nitto Denko Corp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8246419A (ja) * | 2007-03-30 | 2008-10-16 | Nitto Denko Corp |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US20100216967A1 (en) * | 2009-02-20 | 2010-08-2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s for making fluoroalcohol-containing polyamides |
US8754139B2 (en) * | 2009-02-20 | 2014-06-1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olyamide membranes with fluoroalcohol functionality |
SG183398A1 (en) * | 2010-02-23 | 2012-09-27 | Toray Industries |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
JP5837480B2 (ja) * | 2010-04-28 | 2015-12-24 |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 複合半透膜 |
KR101450723B1 (ko) * | 2013-02-21 | 2014-10-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유기 단량체 간의 가교를 이용한 다층 박막 기반의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CN111841346B (zh) * | 2020-07-21 | 2023-04-14 | 浙江奥氏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反渗透膜的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27087A (en) * | 1952-04-18 | 1955-12-13 | Gen Electric | Armored oil well cable |
US3023300A (en) * | 1959-08-10 | 1962-02-27 | Hackethal Draht & Kabelwerk Ag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able sheath |
US3133137A (en) * | 1960-11-29 | 1964-05-12 | Univ California | High flow porous membranes for separating water from saline solutions |
NL271831A (ko) * | 1960-11-29 | |||
US3567632A (en) * | 1968-09-04 | 1971-03-02 | Du Pont | Permselective,aromatic,nitrogen-containing polymeric membranes |
US3744642A (en) * | 1970-12-30 | 1973-07-10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Interface condensation desalination membranes |
US4005012A (en) * | 1975-09-22 | 1977-01-25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 Semipermeable membranes and the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JPS6038166B2 (ja) * | 1976-07-30 | 1985-08-30 | 東ソー株式会社 | 複合膜の製造方法 |
US4277344A (en) * | 1979-02-22 | 1981-07-07 | Filmtec Corporation |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 |
JPS58180206A (ja) * | 1982-04-15 | 1983-10-21 | Toray Ind Inc | 選択透過膜の製造方法 |
US4520044A (en) * | 1984-07-30 | 1985-05-28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Production of composite membranes |
JPS6146207A (ja) * | 1984-08-09 | 1986-03-06 | Nitto Electric Ind Co Ltd |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JPS6146206A (ja) * | 1984-08-09 | 1986-03-06 | Nitto Electric Ind Co Ltd | 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US4761234A (en) * | 1985-08-05 | 1988-08-02 | Toray Industries, Inc. |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 |
US4872984A (en) * | 1988-09-28 | 1989-10-10 | Hydranautics Corporation |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 containing an amine salt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
US4938872A (en) * | 1989-06-07 | 1990-07-03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Treatment for reverse osmosis membranes |
US4950404A (en) * | 1989-08-30 | 1990-08-21 | Allied-Signal Inc. | High flux semipermeable membranes |
US4983291A (en) * | 1989-12-14 | 1991-01-08 | Allied-Signal Inc. | Dry high flux semipermeable membranes |
JPH0523558A (ja) * | 1989-12-19 | 1993-02-02 | Exxon Res & Eng Co | 支持薄層膜の製造 |
US5173335A (en) * | 1990-07-31 | 1992-12-22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ethod of producing multilayer reverse osmosis membrane of polyamide-urea |
US5152901A (en) * | 1990-09-14 | 1992-10-06 | Ionics, Incorporated | Polyamine-polyamide composite nanofiltration membrane for water softening |
US5254261A (en) * | 1991-08-12 | 1993-10-19 | Hydranautics | Interfacially synthesized reverse osmosis membran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
US5234598A (en) * | 1992-05-13 | 1993-08-10 | Allied-Signal Inc. | Thin-film composite membrane |
US5746916A (en) * | 1994-01-26 | 1998-05-05 | Mitsubishi Rayon Co., Ltd. | Microporous membrane made of non-crystalline polymer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US5783079A (en) * | 1994-08-29 | 1998-07-21 |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 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US5693227A (en) * | 1994-11-17 | 1997-12-02 | Ionics, Incorporated | Catalyst mediated method of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a microporous support, and polymers, fibers, films and membranes made by such method |
DE69736172T2 (de) * | 1996-03-18 | 2007-04-26 | Nitto Denko Corporation, Ibaraki | Verbundmembran fur umkehrosmose und methode zur wasserbehandlung mit umkehrosmose mit hilfe derselben |
US6132804A (en) * | 1997-06-06 | 2000-10-17 | Koch Membrane Systems, Inc. | High performance composite membrane |
US6536605B2 (en) * | 1997-06-06 | 2003-03-25 | Koch Membrane Systems, Inc. | High performance composite membrane |
US6015495A (en) | 1998-02-18 | 2000-01-18 | Saehan Industries Incorporation | Composite polyamide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JPH11319517A (ja) | 1998-05-08 | 1999-11-24 | Sumitomo Heavy Ind Ltd | 膜分離装置及び方法並びに膜分離装置の洗浄方法 |
JP3525759B2 (ja) * | 1998-09-24 | 2004-05-10 | 東レ株式会社 | 流体分離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0153137A (ja) * | 1998-11-20 | 2000-06-06 | Nitto Denko Corp | 複合逆浸透膜 |
EP1283068A1 (en) * | 2001-07-30 | 2003-02-12 | Saehan Industries, Inc. |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excellent anti-foul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4500002B2 (ja) * | 2003-05-06 | 2010-07-14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4656502B2 (ja) * | 2004-10-01 | 2011-03-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4656511B2 (ja) * | 2004-10-04 | 2011-03-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
JP2008093544A (ja) * | 2006-10-10 | 2008-04-24 | Nitto Denko Corp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4936438B2 (ja) * | 2006-10-10 | 2012-05-23 | 日東電工株式会社 |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2004
- 2004-10-01 JP JP2004290391A patent/JP2006102594A/ja active Pending
-
2005
- 2005-09-05 KR KR1020077009866A patent/KR1008829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9-05 CN CNB2005800323628A patent/CN10055845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05 WO PCT/JP2005/016247 patent/WO200603840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9-05 US US11/664,254 patent/US2008027733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5-09-05 EP EP05781415A patent/EP1806174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806174A1 (en) | 2007-07-11 |
JP2006102594A (ja) | 2006-04-20 |
CN100558451C (zh) | 2009-11-11 |
EP1806174A4 (en) | 2008-05-07 |
US20080277334A1 (en) | 2008-11-13 |
EP1806174B1 (en) | 2012-02-22 |
KR100882985B1 (ko) | 2009-02-12 |
WO2006038409A1 (ja) | 2006-04-13 |
CN101027115A (zh) | 2007-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2985B1 (ko) |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
KR100884154B1 (ko) |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406661B1 (ko) | 건조 복합 반투막의 제조방법 | |
KR100969049B1 (ko) |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2008093544A (ja) | 複合半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 |
EP1500425B1 (en) |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1114668B1 (ko) |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 | |
KR20090127186A (ko) | 복합 반투막의 제조 방법 | |
CN100569351C (zh) | 复合半透膜及其制造方法 | |
US20160339396A1 (en) |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 |
JPH10165789A (ja) | 乾燥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 |
JPH10165790A (ja) | 複合逆浸透膜の製造方法 | |
JP2007253109A (ja) |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JP4793978B2 (ja) |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 |
JP2005137964A (ja) | 液体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5021807A (ja) | 液体分離膜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10077776A (ko) | 고염배제율의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