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581A - 롤 커버 - Google Patents

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581A
KR20070062581A KR1020077009358A KR20077009358A KR20070062581A KR 20070062581 A KR20070062581 A KR 20070062581A KR 1020077009358 A KR1020077009358 A KR 1020077009358A KR 20077009358 A KR20077009358 A KR 20077009358A KR 20070062581 A KR20070062581 A KR 2007006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 cover
fluoropolymer
cov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고 고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ublication of KR2007006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03G15/2057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relat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heat element and lay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Structural details or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essure elements and laye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 커버는 환봉상 또는 원통상의 롤 본체를 피복하고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관상의 롤 커버로서,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므로 본 발명의 롤 커버는 필요한 도전성을 확보하고, 환언하면 정전기의 대전성이 낮아 양호한 제전성을 확보하여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불소 폴리머가 갖는 유연성, 이형성, 표면 클리닝성 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롤 커버{ROLL COVER}
본 발명은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서 예를 들면, 열정착 롤이나 가압 롤 등으로서 사용되는 롤에 이용되는 롤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는 토너의 가열 정착을 행하는 열 롤형 정착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정착 장치에는 예를 들면, 열정착 롤이나 그 열정착 롤에 가압되는 가압 롤 등(이하, 「롤」이라고 한다)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롤은 환봉상의 롤 본체와 그 외주면을 피복하는 관상의 롤 커버로 대략 구성되고 그 롤 커버는 롤 본체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롤 커버의 외주면은 토너 혹은 용지 등의 기록 매체와의 비점착성이 요구되므로 상기 롤 커버의 재료로서는 내열성, 비점착성 등의 특성을 갖는 불소 폴리머가 적합하여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관체가 롤 커버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불소 폴리머는 도전성이 낮으므로 통상의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롤 커버를 복사기나 프린터 등에 사용하면 후속의 화상을 더럽히는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불소 폴리머에 도전성 필러를 함유시킨 도전성을 갖는 불소 폴리머(이하, 「도전성 불소 폴리머」라고 한다)를 사용하는 일이 있고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208033호 공보에는 도전성 불소 폴리머 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상 부재(롤)가 개시되어 있다.
도전성 불소 폴리머를 얻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카본 블랙과 같은 도전성 필러를 불소 폴리머에 함유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상술한 롤 커버에 적합한 도전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킨 불소 폴리머를 롤 커버에 사용하면 롤 커버는 단단해지고, 또한, 롤 커버의 표면이 카본 블랙으로 덮이므로 통상의 불소 폴리머가 갖는 이형성(離型性)이나 표면 클리닝성이 손상되어 버려 롤 커버로서 적합함이 없어진다. 또한, 최근 프린터나 복사기의 컬러화나 고속화가 진행되어 정착 롤과 가압 롤의 닙 폭을 넓힐 필요성이 높아져 롤의 유연성이 요구되게 되고 있지만, 롤 커버가 단단하면 롤의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충분한 닙 폭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2003-208033호 공보에 기재된 원통형상 부재는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전성 탄성층과 이 도전성 탄성층 상에 형성된 표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층은 도전성 수지로 미리 성형된 슬리브 부재(롤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저경도와 고치수 정밀도이며 체적 저항값의 조정도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원통형상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2003-208033호 공보에 기재된 원통형상 부재에서는 도전성 탄성층과 표층(슬리브 부재)으로 도전성을 확보(또한, 표층의 체적 저항값이 도전성 탄성층의 체적 저항값보다 크다)하고 있지만, 슬리브 부재로 도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면 다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킬 필요가 있어 슬리브 부재는 더욱 경화되고 또한, 슬리브 부재의 표면이 카본 블랙으로 덮여 버린다. 이 때문에 원통형상 부재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고 또한, 표층의 이형성이나 표면 클리닝성도 손상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불소 폴리머가 갖는 유연성, 이형성, 표면 클리닝성 등을 유지하면서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롤 커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의 롤 커버는 환봉상 또는 원통상의 롤 본체를 피복하고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관상의 롤 커버로서, 상기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므로 본 발명의 롤 커버는 필요한 도전성을 확보하고, 환언하면 정전기의 대전성이 낮아 양호한 제전성(除電性)을 확보하여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불소 폴리머가 갖는 유연성, 이형성, 표면 클리닝성 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롤 커버는 상기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비점착성, 내열성이 더욱 우수한 롤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를 포함한 롤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5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비교예2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처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30)를 사용한 롤(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그 개략을 나타내는 롤(100)은 예를 들면,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기록 장치의 열정착 롤이나 그 열정착 롤에 가압되는 가압 롤 등에 이용되는 롤로서, 롤 본체(20)에 롤 커버(30)를 피복시킨 것이다.
심금(10)은 예를 들면, 금속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중공 또는 중실의 환봉 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지만, 롤(100)을 지지하는 심부가 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여도 좋다.
롤 본체(20)는 심금(10)의 외주면에 접착해서 형성된 원통상의 탄성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롤 본체(20)는 탄성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형태에서 는 롤 본체(20)와 심금(10)이 각각 구성되어 있지만 심금(10)을 롤 본체(20)로서 이용하는 롤이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 본체(20)[심금(10)을 롤 본체(20)로서 이용하는 롤의 경우에는 심금(10)이 롤 본체(20)가 된다]의 둘레에 형성된 관체로서 롤 본체(20)의 외주면과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심금(10), 롤 본체(20), 롤 커버(30)는 결합되어 롤(100)을 형성한다.
롤(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기록 장치의 열정착 롤이나 그 열정착 롤에 가압되는 가압 롤로서 이용되고 롤(100)[롤 커버(30)]은 용지, 시트 등의 기록 매체와 접촉한다. 즉, 롤 커버(30)의 외주면이 기록 매체와 접촉한 상태로 기록 장치의 열정착 처리가 고온 하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롤 커버(30)의 바람직한 재료로서 내열성, 비점착성 등의 특성을 갖는 각종 불소 수지(이하, 「불소 폴리머」라고 한다)가 사용되어 왔다. 한편, 통상의 불소 폴리머는 도전성이 낮으므로 통상의 불소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롤 커버를 기록 장치에 사용하면 상술한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의 문제가 발생되어 있었으므로 도전성을 갖는 롤 커버가 요구되고 있었다.
도전성 불소 폴리머로서 카본 블랙과 같은 도전성 필러를 불소 폴리머에 함유시킨 것이 있지만, 롤 커버(30)로서 바람직한 도전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킬 필요가 있었다. 다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시킨 불소 폴리머를 롤 커버(30)에 사용하면 롤 커버(30)는 경화되어 롤(100)의 유연성이 손상되고 또한, 롤 커버(30)의 표면이 카본 블랙으로 덮여 버리므로 롤 커버(30)로서 중요한 이형성이나 표면 클리닝성도 손상되어 버리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카본 나노 튜브를 0.5~5% 혼합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롤 커버(30)가 통상의 불소 폴리머가 갖는 유연성과 이형성을 유지하고 정전기의 대전성이 더욱 낮아 제전성에도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로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내구성의 관점에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또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가 바람직하고, 비점착성, 내열성의 관점을 더 가미하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카본 나노 튜브로서는 특별히 합성법에 제한은 없고 기상 성장법, 아크 방전법, 레이저 증발법 등으로 합성된 단층 카본 나노 튜브(SWCNT) 또는 다층 카본 나노 튜브(MWCNT)를 들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의 직경(섬유 직경)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섬유 직경 1.5~2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의 길이(섬유 길이)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에스펙트비가 5 이상인 카본 나노 튜브가 본 발명의 특징을 얻는데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본 나노 튜브를 상술한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혼합하는 비율(혼합 비율)은 중량비 0.5~5%가 바람직하다. 혼합 비율이 0.5% 이하인 경우는 정전기 의 대전성이나 제전성이 통상의 무첨가의 불소 폴리머와 동일하며, 혼합 비율이 5% 이상인 경우는 혼합된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는 단단해져 롤의 유연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를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혼합하는 방법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의 가루나 펠릿과 카본 나노 튜브를 섞은 후에 단축 압출기나 2축 압출기로 혼련하는 방법이나, 인텐시브 믹서, 반바리 믹서 내에서 양자를 혼련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 튜브를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혼합할 때에 분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본 나노 튜브를 불소계의 계면 활성제로 처리함으로써 불소 폴리머로의 혼합 분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첨가제나 필러를 병용 혼합해도 지장이 없다.
이렇게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카본 나노 튜브를 혼합시켜 얻어진 재료를 관상으로 성형해서 롤 커버(30)를 얻을 때는 통상의 압출 성형법을 사용하지만, 그 이외의 방법이여도 좋다.
롤 커버(30)의 직경은 롤 본체(20)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롤 커버(30)의 두께는 롤(100)의 사용 방법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0~300㎛가 바람직하고, 또한 20~1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롤 커버(30)는 열에 의해 직경 방향이나 축 방향으로 수축되지 않는 타입이여도 수축되는 타입이여도 좋다. 또한, 롤 본체(20)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롤 커버의 내면 처리를 행해도 좋고 행하지 않아도 좋다.
이 롤 커버(30)를 사용한 롤(100)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여러가지 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지만 기록 장치의 가열, 가압 정착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롤이나 종이 이송부의 롤 등으로의 이용이 가장 적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1~7, 비교예1~3의 재료를 제작했다.
[실시예1] 카본 나노 튜브(직경 100㎚) 0.5% 함유 혼합 재료
5그램의 카본 나노 튜브[VGCF-S(등록 상표), 튜브 직경 100㎚, 쇼와덴코(주)제]와 995그램의 과립상 불소 폴리머[테프론(등록 상표) PFA 9738J, 미츠이듀폰프로로케미컬(주)제]를 스테인레스 용기 내에서 충분히 혼합시키고 2축 압출기[KZW20-25G, 테크노벨(주)제]로 스트랜드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한 것을 수조에서 냉각시키고 펠레타이저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을 제작했다. 또한, 2축 압출기는 실린더 온도를 350℃, 다이 온도를 350℃, 스크류 회전수를 70rpm으로 설정했다.
[실시예2] 카본 나노 튜브(직경 100㎚) 1% 함유 혼합 재료
실시예1과 동일한 카본 나노 튜브 10그램과, 실시예1과 동일한 과립상 불소 폴리머 990그램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을 제작했다.
[실시예3] 카본 나노 튜브(직경 100㎚) 1.5% 함유 혼합 재료
실시예1과 동일한 카본 나노 튜브 15그램과, 실시예1과 동일한 과립상 불소 폴리머 985그램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을 제작했다.
[실시예4] 카본 나노 튜브(직경 100㎚) 2% 함유 혼합 재료
실시예1과 동일한 카본 나노 튜브 20그램과, 실시예1과 동일한 과립상 불소 폴리머 980그램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을 제작했다.
[실시예5] 카본 나노 튜브(직경 100㎚) 3% 함유 혼합 재료
실시예1과 동일한 카본 나노 튜브 30그램과, 실시예1과 동일한 과립상 불소 폴리머 970그램을 이용하여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 및 조건으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을 제작했다.
[실시예6] 카본 나노 튜브(직경 20㎚) 1% 함유 혼합 재료
0.9 그램의 카본 나노 튜브[CNT20, 튜브 직경 20㎚, (주)카본 나노테크 리서치 인스티튜트제]와 89.1그램의 펠릿상 불소 폴리머[테프론(등록 상표) PFA 451HPJ, 미츠이듀폰프로로케미컬(주)제]를 라보프라스트밀[(주)도요세이키세이사쿠쇼제]의 60cc 믹서에 넣고 350℃, 20rpm으로 20분간 혼합하여 취출한 후, 열 프레스로 판상으로 가공하고 분쇄기로 사방 약 2㎜의 펠릿을 제작했다. 이상의 조작을 10회 반복하여 900그램의 혼합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7] 카본 나노 튜브(직경 150㎚) 5% 함유 혼합 재료
50그램의 카본 나노 튜브[VGCF(등록 상표), 튜브 직경 150㎚, 쇼와덴코(주)제]와 카본 나노 튜브당 5%(2.5그램)의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칼륨을 메탄올 중에서 혼합한 후 110℃에서 건조시켰다. 계속해서, 947.5그램의 과립상 불소 폴리머[테프 론(등록 상표) PFA 9738J, 미츠이듀폰프로로케미컬(주)제]와 스테인레스 용기 내에서 충분히 혼합시키고 2축 압출기[KZW20-25G, 테크노벨(주)제]로 스트랜드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한 것을 수조에서 냉각시키고 펠레타이저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을 제작했다. 또한, 2축 압출기는 실린더 온도를 370℃, 다이 온도를 370℃, 스크류 회전수를 50rpm으로 설정했다.
[비교예1]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지 않는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
내츄럴의 불소 폴리머[테프론(등록 상표) PFA 451HPJ, 미츠이듀폰프로로케미컬(주)제]를 그대로 롤 커버(30)의 재료로 했다.
[비교예2] 카본 블랙 8.5% 함유 혼합 재료
85그램의 카본 블랙[아세틸렌 블랙, 덴키카가쿠코교(주)제]과 915그램의 분말상 불소 폴리머[테프론(등록 상표) PFA 350J, 미츠이듀폰프로로케미컬(주)제]를 스테인레스 용기 내에서 충분히 혼합시키고 2축 압출기[KZW20-25G, 테크노벨(주)제]로 스트랜드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한 것을 수조에서 냉각시키고 펠레타이저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으로 가공했다. 또한, 2축 압출기는 실린더 온도를 365℃, 다이 온도를 365℃, 스크류 회전수를 80rpm으로 설정했다.
[비교예3] 카본 나노 튜브(직경 150㎚) 7% 함유 혼합 재료
70그램의 카본 나노 튜브[VGCF(등록 상표), 튜브 직경 150㎚, 쇼와덴코(주)제]와 930그램의 분말상 불소 폴리머[테프론(등록 상표) PFA 345J, 미츠이듀폰프로로케미컬(주)제]를 스테인레스 용기 내에서 충분히 혼합시키고 2축 압출기[KZW20-25G, 테크노벨(주)제]로 스트랜드상으로 용융 혼련 압출한 것을 수조에서 냉각시키 고 펠레타이저로 직경 1.5㎜, 길이 2㎜의 펠릿으로 가공했다. 또한, 2축 압출기는 실린더 온도를 370℃, 다이 온도를 370℃, 스크류 회전수를 50rpm으로 설정했다.
[롤 커버의 제작]
실시예1~7, 비교예1~3에서 얻어진 재료를 실린더 직경 30㎜인 단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직경 30㎜, 두께 50㎛의 롤 커버(관체)로 성형했다. 각각의 롤 커버(이하, 「시료 관체」라고 한다)에 관해서 이하의 평가 시험1~4를 행했다.
[평가 시험]
1. 정전기 대전 특성의 평가(평가1)
길이 550㎜의 각 시료 관체의 중앙부에 15kV, 30kV의 각 전압을 1초 간격으로 10회 인가하고 15초 후와 120초 후에 각 시료 관체의 인가부에 대전되어 있는 각 전압을 측정했다. 또한, 각 시료 관체로의 전압 인가는 시험기[Electrostatic Discharge Tester Model ESD-300, 산키덴시코교(주)제]를 사용하고, 대전되어 있는 전압의 측정은 측정기[정전 전위 측정기 STATIRON-DZ3, 시시드세이덴키(주)제]를 사용했다.
2. 정전기 대전 특성의 평가(평가2)
각 시료 관체를 40×40㎜의 시험편으로 절단하고 JIS L1094 반감기 측정법(단, 인가 전압은 +10kV가 아니라 -10kV로 했다)을 따라 초기 대전압과 반감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또한, 120초 경과해도 대전압이 반감되지 않는 시료 관체는 120초 후의 대전압을 측정했다.
3. 유연성의 평가(평가3)
각 시료 관체를 직경 방향으로 폭 5㎜, 길이 20㎜의 스트립상으로 절단하고 열분석기 TMA를 사용해서 척간 거리 15㎜, 230℃에서 변형 5%의 인장 할선 탄성률을 구하여 유연성의 지표로 했다.
4. 이형성의 평가(평가4)
각 시료 관체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표면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이형성의 평가를 행했다.
[시험 결과]
평가 시험1~3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31173062-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1~7은 모두 비교예1(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지 않는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비해 초기 대전압이 낮고, 120초 후의 대전압도 낮아 제전하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있고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에 대해서 유효하다. 또한, 실시예1~7은 모두 비교예2(카본 블랙 8.5% 함유 혼합 재료), 비교예3(카본 나노 튜브(직경 150㎚) 7% 함유 혼합 재료)에 비해 230℃에서의 탄성률이 낮고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정착부 온도 부근에서의 유연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실시예5(카본 나노 튜브(직경 100㎚) 3% 함유 혼합 재료)와 비교예2(카본 블랙 8.5% 함유 혼합 재료)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참조해서 시료 관체의 표면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평가1,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5 및 비교예2의 시료 관체는 거의 동일한 정전기 대전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거의 동일한 정전기 대전 특성의 결과를 나타내는 실시예5의 시료 관체와 비교예2의 시료 관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각각 도 2,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비교예2의 시료 관체의 표면은 카본 블랙으로 덮여 불소 폴리머의 이형성이 손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요철부에 오염이 받아들여짐으로써 한층 더 인쇄 품질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5의 시료 관체의 표면은 대부분이 불소 폴리머로 점유되어 있어 불소 폴리머의 이형성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오염의 부착이 거의 없으므로 불소 폴리머가 본래 갖는 표면 클리닝성도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30)는 환봉상 또는 원통상의 롤 본체(20)를 피복하고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관상의 롤 커버(30)로서,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30)는 필요한 도전성을 확보하여 정전기에 의한 오프셋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불소 폴리머가 갖는 유연성, 이형성, 표면 클리닝성 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30)는 상기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비점착성, 내열성이 더욱 우수한 롤 커버(3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반하지 않는 한, 다른 여러가지 실시형태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30)는 도전성 및 정전기 특성 등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전기적 특성이 요구되는 예를 들면, 전자 전기 기기 등에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커버는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가열, 가압 정착부에서 사용되는 것 외 여러가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롤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환봉상 또는 원통상의 롤 본체를 피복하고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관상의 롤 커버로서, 상기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중량비 0.5~5%의 카본 나노 튜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불소 폴리머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커버.
KR1020077009358A 2004-10-29 2005-10-25 롤 커버 KR20070062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6126 2004-10-29
JP2004316126A JP4963008B2 (ja) 2004-10-29 2004-10-29 ロールカバ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581A true KR20070062581A (ko) 2007-06-15

Family

ID=3622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58A KR20070062581A (ko) 2004-10-29 2005-10-25 롤 커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17303A1 (ko)
JP (1) JP4963008B2 (ko)
KR (1) KR20070062581A (ko)
CN (1) CN101069136A (ko)
DE (1) DE112005002584T5 (ko)
TW (1) TW200619878A (ko)
WO (1) WO2006046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180B1 (ko) * 2005-06-23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자사진장치용 현상 롤러 및 그제조 방법
CN100365055C (zh) * 2006-05-11 2008-01-30 上海交通大学 稀土改性碳纳米管/聚四氟乙烯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07304374A (ja) * 2006-05-12 2007-11-22 Nagano Japan Radio Co 定着ローラ
US20080152896A1 (en) * 2006-12-22 2008-06-26 Carolyn Patricia Moorlag Process to prepare carbon nanotube-reinforced fluoropolymer coatings
US7732029B1 (en) 2006-12-22 2010-06-08 Xerox Corporation Compositions of carbon nanotubes
US7875802B2 (en) * 2009-01-05 2011-01-25 The Boeing Company Thermoplastic-based, carbon nanotube-enhanced, high-conductivity layered wire
US7875801B2 (en) * 2009-01-05 2011-01-25 The Boeing Company Thermoplastic-based, carbon nanotube-enhanced, high-conductivity wire
US9062219B2 (en) 2009-01-21 2015-06-23 Xerox Corporation Superhydrophobic nano-fabrics and coatings
US9217968B2 (en) 2009-01-21 2015-12-22 Xerox Corporation Fuser topcoats comprising superhydrophobic nano-fabric coatings
US8285184B2 (en) * 2009-01-21 2012-10-09 Xerox Corporation Nanocomposites with fluoropolymers and fluorinated carbon nanotubes
US8173337B2 (en) * 2009-01-28 2012-05-08 Xerox Corporation Fuser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of a polymer matrix with the addition of graphene-containing particles
JP5414450B2 (ja) * 2009-10-19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加圧部材、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471019B2 (en) 2010-01-25 2016-10-18 Xerox Corporation Polymer-based long life fusers
US9329544B2 (en) 2010-01-25 2016-05-03 Xerox Corporation Polymer-based long life fusers and their methods of making
US10571053B2 (en) 2012-12-28 2020-02-25 Agc Chemicals Americas, Inc. Layered tube for a hose assembly
CN105263995B (zh) 2013-06-20 2019-05-28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表面改性方法和表面改性体
JP6613692B2 (ja) * 2015-08-03 2019-12-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表面改質方法及び表面改質弾性体
CA3008657C (en) * 2015-12-15 2023-12-19 Agc Chemicals Americas Inc. A layered tube and layer for use in same
JP6622127B2 (ja) * 2016-03-25 2019-12-18 住友理工株式会社 電子写真機器用帯電ロール
BE1023869B1 (nl) * 2016-06-30 2017-08-24 Hannecard N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een elektrisch geleidende rol
JP2018031996A (ja) * 2016-08-26 2018-03-01 Mc山三ポリマーズ株式会社 高導電性・高離型性・高耐磨耗性部材及び定着装置
KR102104297B1 (ko) * 2016-11-30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정 롤이 구비되어 있는 전지셀 제조용 보호 필름의 세정 장치
CN111684008A (zh) * 2018-02-09 2020-09-18 东邦化成株式会社 导电性熔接材料及其制造方法
JPWO2019163871A1 (ja) 2018-02-21 2021-02-18 味の素株式会社 融合タンパク質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3181A (ja) * 1982-11-04 1984-05-14 Minolta Camera Co Ltd 熱ロ−ラ定着装置
JP4406782B2 (ja) * 1999-08-12 2010-02-03 グンゼ株式会社 無端管状半導電性芳香族ポリイミドフイ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2214927A (ja) * 2001-01-18 2002-07-31 Canon Inc 中間転写体及び転写部材、中間転写体及び転写部材の製造方法、中間転写体及び転写部材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587152B2 (ja) * 2001-03-05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加圧ローラ、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012828A (ja) * 2001-06-27 2003-01-1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3021930A (ja) * 2001-07-06 2003-01-24 Canon Inc 電子写真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192988A (ja) * 2001-12-25 2003-07-09 Akurosu Kk 撥記録材料性塗料組成物
JP2004149641A (ja) * 2002-10-29 2004-05-27 Daikin Ind Ltd 炭素フィブリル−フッ素ポリマー粒子及び炭素フィブリル−フッ素ポリマー粒子製造方法
JP4266752B2 (ja) * 2002-11-01 2009-05-2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含有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またそれを用いた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7309727B2 (en) * 2003-09-29 2007-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derived from such compositions
JP2005144751A (ja) * 2003-11-12 2005-06-09 Ricoh Co Ltd 表面離型性部材、表面離型性加熱部材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加熱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9878A (en) 2006-06-16
WO2006046727A1 (ja) 2006-05-04
JP2006126595A (ja) 2006-05-18
US20090117303A1 (en) 2009-05-07
DE112005002584T5 (de) 2007-09-06
CN101069136A (zh) 2007-11-07
JP4963008B2 (ja)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581A (ko) 롤 커버
US8247066B2 (en) Teflon fuser member containing fluorinated nano diamonds
US8173337B2 (en) Fuser ma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of a polymer matrix with the addition of graphene-containing particles
US8426026B2 (e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comprising a toughened fluoroplastic composite surface layer
US20140183420A1 (en) Seamless bel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136862B2 (ja) 帯電部材、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13080793A1 (ja) ポリイミドチューブ、その製造方法、及び定着ベルト
JP2003156902A (ja)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スリーブ又はチューブ
US20120163888A1 (en) Fluoroelastomer nanocomposites comprising cnt inorganic nano-fillers
JP4156350B2 (ja) 電子写真装置用現像ローラーの製造方法
US20220206426A1 (en) Electrophotographic electro-conductive membe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07077551A (ja) 導電性繊維、導電性ブラシ用起毛布、及び導電性ブラシ
JP3685641B2 (ja) シームレスベルト及び半導電性部材
JP2006069046A (ja) 半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電荷制御部材
JP5747466B2 (ja) 帯電部材、プロセス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42026B2 (ja) 接触式帯電/除電用導電シート
JP6808418B2 (ja) 半導電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体及び電子写真用シームレスベルト
JP2006276424A (ja) 半導電性シームレス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945175B2 (ja) 接触式帯電/除電用導電シート
JP2002196590A (ja) エンドレスベルト、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01158A (ja) 電子写真用の導電性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6212413A (ja) 導電性部材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0293047A (ja) シームレスベルト及び半導電性部材
JPH10228156A (ja) 帯電ローラ、該帯電ローラの製造方法及び該帯電ローラを有する帯電装置
JP2023027848A (ja) 半導電性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半導電性ベルト、画像形成装置、及び導電性ベル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