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2185A -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 Google Patents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2185A
KR20070062185A KR1020050121959A KR20050121959A KR20070062185A KR 20070062185 A KR20070062185 A KR 20070062185A KR 1020050121959 A KR1020050121959 A KR 1020050121959A KR 20050121959 A KR20050121959 A KR 20050121959A KR 20070062185 A KR20070062185 A KR 20070062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late
bent portion
til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원
Original Assignee
서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원 filed Critical 서준원
Priority to KR102005012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2185A/ko
Publication of KR2007006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2003/3617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locking or snapping edges locat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or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진 지붕패널에 관한 것으로 기와의 형태처럼 다단으로 이루어진 기와판재와 스티로폴을 합지토록 하고, 상기 스티로폴의 하단에 금속의 평 판재를 합지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샌드위치 패널을 사용하여 시공되어지는 조립식 건물에서의 문제점은 기와의 형태로 시공되어지는 지붕에 단열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는 조립식패널로 건축되어진 건물에 샌드위치 패널로 지붕을 형성할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로 지붕을 시공할 경우에는 건물의 외관을 해치게 됨으로 통상 기와를 얹지게 되나 이럴 경우에는 많은 시공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와형태로 가공된 금속판재를 덮어준 후 그 하단에서 단열시공을 하고 마감처리를 하거나 또는 지붕공사를 한 이후에 또 한 번의 기와형태의 금속판재를 덮어주는 형태의 시공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도 결국에는 단열시공에 많은 문제점의 노출은 물론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기와형태로 가공되어진 기와 판재에 스티로폴을 합지토록 한 후 그 이면에는 평판재가 합지토록 함으로서 시공의 편의성을 준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샌드위치 패널 형태의 기와.
샌드위치패널, 기와, 스티로폴, 동일한 두께

Description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A sandwich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1A는 도1의 가 부분의 확대 단면사시도
도1B는 도1의 나 부분의 확대단면사시도
도1C는 도1의 다부분의 확대단면사기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첩부의 중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의 분해사시도.
도3A는 도3의 가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3B는 도3의 나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3C는 도3의 다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기와판재 20: 평판재
30: 단열판재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진 지붕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 로, 특히 빗물의 흘러내림이 용이하도록 기와 형태의 다단으로 이루어진 기와판재에 스티로폴 등의 단열판재를 밀착되게 합지시키고, 그 하단에는 금속의 평판재를 합지토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특히 다단으로 이루어짐에도 스티로폴 등의 단열판재의 두께나 전체적인 샌드위치 패널의 두께가 균일한 형태를 갖도록 된 기와 형태의 샌드위치 지붕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샌드위치 패널은 표면이 일방향으로 연속되게 굴곡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평 철판을 포밍기에서 굴곡지게 가공할 경우에 평철판이 이동되면서 굴곡지게 됨으로 일방향으로 굴곡되어진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형태이기 때문에 스티로폴 등 단열판재의 합지가 용이한 것이다.
그러나 굴곡지면서 일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적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기와 형태로 포밍기에서 가공할 경우에는 평철판이 굴곡을 만들면서 이동될 경우에 단의 형성시에는 순간적으로 정지하면서 프레스로 가압하게 되면서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평철판은 다단의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나 이러한 부분에 접착되어지는 스티로폴 등 단열판재를 일측방향으로 굴곡지면서 다단으로 가공한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대부분의 단열판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폴이 블록의 형태로 성형된 것을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절단하여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상태에서는 기와형태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패널을 가공한다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와형태로 가공되어진 기와판재에 합지되어지도록 스티로폴 등의 단열판재의 상면을 다단으로 성형할 경우에 각각의 단이 형성되어지는 부분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은 형태로 경사지게 가공하고 하면은 평면으로 가공토록 함으로서 기와 판재와의 합지는 물론 평판재와의 이면합지도 용이하게 하면서 전체적인 샌드위치 패널의 형태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은 기와 형태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다단으로 층이지게 가공되어진 기와 판재(10)와 이와 맞물리게 상면이 가공되고 이면은 평판재(20)와 밀착되도록 평면의 형태로 가공되어진 단열판재(30)와 상기 단열판재(30)의 평면으로는 평판재(20)가 합지되면서 기와 판재의 중첩부가 중첩되어지면서 기와형태로의 지붕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일방향으로 굴곡부(11)를 갖는 기와판재(10)는 상하로 연속되는 단턱부(12)가 형성되고 일측변은 굴곡부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절단면(13)을 갖고 타측변은 굴곡부가 종료된 부분에서 절단면(14)을 갖게 되며, 상기 기와 판재(10)와 밀착되어지는 단열판재(30)의 상면은 일방향으로는 굴곡부(31)와 상하로는 연속되는 단턱부(32)가 형성되며 각각의 단턱부의 선단부(32a)에서 하단부(32b)로 점차로 얇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경사면 (32c)으로 형성토록 하고 하면은 평면(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판(30)의 평면에 밀착되어지는 평판재(20)는 일측변으로는 상측으로 말리면서 절곡되는 절곡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의 선단변(21a)이 기와판재(10)의 타측변의 절단면(14)과 거의 맞닿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절곡부(21)의 상면으로는 일정한 폭의 후렌지(22)를 형성하는 것이고, 또한 평판재의 타측변은 내측으로 단이지게 단턱(23)이 형성되면서 절곡부(2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단열재판(30)에도 단턱(34)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단열판재(30)는 가능하면 스티로폴로 성형토록 하는 것이 가장저렴하지만 사용용도에 따라 우레탄에 의한 발포 폼을 사용하거나 또는 유리섬유나 석면섬유를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와판재(10)와 단열판재(30) 및 평판재(20)를 조립토록 하면 그 조립된 상태에서 일측으로는 평판재(20)로 이루어진 절곡부(21)의 후렌지(22)만이 평평한 상태로 돌출되어지고, 타측으로는 상하로 다단으로 단턱부(12)를 갖는 굴곡부(11)가 단열판재(30)가 합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부(15)가 형성되고 그 하단의 단열판재(30)와 평판재(20)는 상기 절곡부(21)의 후렌지(22)가 내입되면서 중첩될 수 있도록 절곡부(24)에 의한 단턱(23)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연속으로 기와를 형성할 경우에는 기와판재의 일측변에 형성된 중첩부(15)가 타측의 후렌지가 형성된 기와판재의 굴곡부의 부분에 상측으로 덮여지는 형태로 중첩되어지면서 조립되면 중첩부(15)가 타측의 굴곡부(11)와 단턱부(12)에 긴밀하게 결합되어지게 되고 그 상태에서 절곡부(21)에 의한 후렌지 (22)는 중첩부(15)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23)에 내입되어지면서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평판재(20)의 후렌지(22)와 평판재(20)의 단턱(23)은 서로 지그재그로 중첩되어지면서 합지되어진 기와판재(10)나 단열판재(30)에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게 됨으로 합지되어진 상태에서 분리되어지려는 어떠한 힘도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다양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절곡부(21)의 절곡되어진 부분의 완충력과 단턱(23)을 구현하는 절곡되어진 부분이 서로 완충되어지면서 조립고정할 경우에 적당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면 기와판재의 단턱부에 단열재가 긴밀되면서 합지되어짐으로 단열이 우수하게 되고 또한 강도가 우수하게 되며 특히 이러한 샌드위치 형태로 사용됨으로 길이가 긴 상태에서 시공을 할 경우에도 간단하게 시공되어진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기와판재와 단열판재 및 평판재가 합지된 상태에서 일측으로는 평판재의 절곡부의 후렌지가 돌출되어지고, 타측으로는 기와판재가 상하로 다단으로 단턱부를 갖는 굴곡부가 단열재가 합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부가 노출토록 되고 그 하단의 단열재와 평판재는 상기 평판재의 절곡부의 후렌지가 내입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어지게 합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와판재는 일측변은 굴곡부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절단면을 갖고 타측변은 굴곡부가 종료된 부분에서 절단면을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와 판재와 밀착되는 단열판의 각각의 단턱부의 선단부에서 하단부로 점차로 얇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경사면으로 형성토록 하고 하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의 평면에 밀착되어지는 평판재는 일측변으로는 상측으로 말리면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선단변이 기와판재의 타측변의 절단면과 거의 맞닿게 되면서 절곡부의 상면으로는 일정 한 폭의 후렌지를 형성하고, 또한 평판재의 타측변은 내측으로 단이지게 단턱이 형성되면서 절곡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KR1020050121959A 2005-12-12 2005-12-12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KR20070062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59A KR20070062185A (ko) 2005-12-12 2005-12-12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959A KR20070062185A (ko) 2005-12-12 2005-12-12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185A true KR20070062185A (ko) 2007-06-15

Family

ID=3835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959A KR20070062185A (ko) 2005-12-12 2005-12-12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21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83A1 (ko) * 2016-08-31 2018-03-08 유한회사 중앙강재 단열부가 구비된 금속기와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83A1 (ko) * 2016-08-31 2018-03-08 유한회사 중앙강재 단열부가 구비된 금속기와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804B2 (en) Siding board for clapboard boarding and a clapboard boarding structure
CA2481430C (en) Fastening member and siding boards attachment structure using the fastening member
KR100547567B1 (ko) 고강도 벽 및 덮개 조립체용 고강도 건설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JP2006326114A (ja) 風呂蓋
JP5993129B2 (ja) 建築用パネルの下地材への取付構造
KR20070062185A (ko) 동일한 두께를 갖는 샌드위치 기와 패널
TWI276726B (en) A ceramic element for floors and/or coverings
US6574938B1 (en) Constructional sandwich panel for high strength wall and covering assemblies, and method for making said panel
JP2007191992A (ja) 建築用外装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接続構造
KR100666845B1 (ko) 디프 드로잉 가공 심재 및 그것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CN213973540U (zh) 天窗加强框及车辆
JP2004003254A (ja) 縁材およびその取り付け施工方法
JP2004356954A (ja) 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
KR20130016595A (ko) 하이팩 우드보드
JP4990409B1 (ja) 複合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モルタル外壁通気構造
JP6698605B2 (ja) 金属屋根材の製造方法
JP2009263957A (ja) 断熱屋根用パネル
CN213626450U (zh) 地板块和地板系统
JP6787230B2 (ja) 金属屋根材
JP3138346U (ja) 補助胴縁
JP3027979U (ja) アルミ屋根材用裏打材
JP3307833B2 (ja) ハニカムパネル
JPH063047Y2 (ja) 壁パネルおよび該壁パネルの保温材
JP2017133259A (ja) けらばカバー、けらば構造、けらばカバーの製造方法
JP2010001605A (ja) 外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