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9523A - 전기 주차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기 주차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9523A
KR20070059523A KR1020050118466A KR20050118466A KR20070059523A KR 20070059523 A KR20070059523 A KR 20070059523A KR 1020050118466 A KR1020050118466 A KR 1020050118466A KR 20050118466 A KR20050118466 A KR 20050118466A KR 20070059523 A KR20070059523 A KR 20070059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brake
spindle
electric parking
emergency releas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971B1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11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971B1/ko
Priority to US11/523,861 priority patent/US7757823B2/en
Priority to JP2006254479A priority patent/JP4601593B2/ja
Priority to EP06254944A priority patent/EP1795411B1/en
Priority to CNB2006101406107A priority patent/CN100500488C/zh
Publication of KR2007005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전기 주차브레이크에 있어서, 하우징과; 액추에이터와; 기어박스 어셈블리와; 종동기어와; 스핀들과; 스크루 너트와; 스핀들이 관통하며 스크루 너트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이퀄라이저와; 이퀄라이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선단에 체결편이 구비되며 타단이 각각의 휠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케이블; 및 캠부와 작동레버를 구비하며 비상해제시 브레이크케이블을 이완시켜 주차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하는 비상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방전이나 주차 브레이크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케이블을 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운전자가 차량의 하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위험이 방지되고, 운전석 등 케이블이 연결된 곳이라면 어디서나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 주차브레이크{Electric Parking Brake}
도 1은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 비상해제장치의 기어박스 및 힘 센서의 내부와 이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중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비상해제장치가 비상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액추에이터
30 : 기어박스 어셈블리 31 : 종동기어
40 : 비상해제장치 41 : 캠부
42 : 회전축 43 : 작동레버
44 :작동홀 45 : 동작축
50 : 힘 센서 51 : 케이싱
52 : 판부재 53 : 탄성부재
54 : 돌기부 60 : 스핀들
70 : 이퀄라이저 71 : 스크루 너트
72 : 삽입공 73, 74 : 브레이크케이블
80 ; 비상해제장치의 케이블
본 발명은 전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브레이크의 고장 또는 견인과 같은 비상시 주차브레이크를 간단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비상해제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작동시스템 또는 제어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차량을 효과적으로 구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들 중 하나로서, 차량을 주차상태 또는 정지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주차브레이크 장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주차브레이크 장치로서 케이블식 주차브레이크 장치가 있다. 이러한 주차브레이크는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 그립(1)과, 그 그립(1)내에 버튼(2)에 의해 연결되는 이동로드(3)와, 이동로드(3)의 종단에 연결되며 힌지 고정되는 포올(4)과, 그 포올(4)에 의해 고정되며 차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 쪽에 연결된 케이블(5)과, 그 케이블을 감아 그립(1)의 상방향 조작시 당겨진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래치어셈블리(6)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그립(1)을 잡아 상방으로 올리면 래치어셈블리(6)가 케이블(5)을 당겨 차륜의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게 되며, 그립(1)의 이동을 멈추게 되면 포올(4)의 일단이 래치어셈블리에 치합되어 케이블(5)을 당겨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차량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그립(1)을 잡고 버튼(2)을 누르고 그립(1)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버튼(2)의 이동에 따라 이동로드(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끝단에 결합 고정된 포올(4)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케이블(5)이 이완되어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브레이크 케이블(5)의 선단은 이퀄라이저(7)에 연결되어 양측 후륜에 동일한 제동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하는 불편함을 극복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모터를 채용하는 전기 브레이크가 제공되어 있다. 이 같은 전기 브레이크로는 예컨대, 특허출원 제10-1995-39669호, 특허출원 제10-2002-70530호, 실용출원 제20-2002-1538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 주차브레이크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주차브레이크가 고장 나거나 견인과 같은 비상시에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로 들어가 이를 해제해야 하므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뿐 아니라 그 작업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 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차브레이크의 고장 또는 견인시 주차브레이크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비상해제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주차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주차브레이크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기어들이 구비된 기어박스 어셈블리와;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박스 어셈블리 내부에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연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스크루 너트와; 상기 스핀들이 관통하며 상기 스크루 너트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이퀄라이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선단에 체결편이 구비되며 타단이 각각의 휠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케이블과; 캠부; 및 작동레버를 구비하며 비상해제시 상기 브레이크케이블을 이완시켜 주차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하는 비상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전기 주차브레이크는 상기 기어박스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전기 주차브레이크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상기 스핀들이 관통되는 힘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힘 센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스핀들의 외부에 감 겨서 구비되며 상기 스핀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전달된 회전력을 직선변위로 변환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비상해제장치는 상기 힘 센서의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부와, 평상시에는 상기 돌기부에 걸려 상기 힘 센서를 정위치에 지지하다가 비상 해제시에는 회전하여 상기 돌기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에 형성된 홀들과 축결합되어 비상 해제시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작동레버의 상기 캠부와 연결되지 않는 타단에는 작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홀의 내부에는 동작축이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 만을 움직여도 쌍을 이루는 다른 작동레버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레버의 작동홀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상기 전기 주차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내부 사시도이다.
하우징(10)은 장방형의 상자로서 차체 또는 차량의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설치된다. 하우징(10)의 전방벽에는 브레이크케이블이 관통되는 2개의 관통공(11, 12)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후방벽에는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20)가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액추에이터(20)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장착된다. 액츄에이터(2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액추에이터(2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액추에이터(20)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전달되는 기어박스 어셈블리(30)가 연결된다. 기어박스 어셈블리(30)는 액추에이터(2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한 속도를 감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어박스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들이 설치되어 서로 치합되며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기어박스 어셈블리(30)의 하부에는 비상시 주자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비상 해제장치(40)가 구비된다. 비상해제장치(40)의 외부에는 케이블을 연결하여 비상시 전기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작동레버(43)가 장착된다.
이러한 비상해제장치(40)의 하단에는 주차 브레이크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박스 형상의 힘 센서(50)가 설치된다. 이러한 힘 센서(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와 반드시 함께 설치될 필요는 없다. 힘 센서(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가 종래의 핸들식 주차 브레이크와는 달리 전기식으로서 사용자가 버튼만 누르면 노면 상황이나 각도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에 걸리는 힘을 조절하여 주차시켜야 하므로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것이다.
비상해제장치(40)는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하여 당기는 케이블을 차 량의 운전석이나 트렁크 내부 등 사용자가 원하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라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설치된 케이블을 당겨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와 캠 등의 메커니즘을 가지는 케이블 풀러 타입(cable puller type)으로 구비된다.
스핀들(6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로드 형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나선(6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60)의 선단에는 후부(6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비상해제장치를 이탈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핀들(60)에는 스크루 너트(71)가 나사 결합된다. 즉, 스크루 너트(71)에는 스핀들(60)이 삽입되며, 스크루 너트(71)의 내부에는 스핀들(60)의 나선(61)과 체결되는 나선이 구비된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 스핀들(60)이 회전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나선(61)과 스크루 너트(71)의 결합공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스크루 너트(71)가 전진하거나 후퇴하게 된다. 이는 액추에이터(20)의 정, 역회전에 의한 것이다.
한편, 이퀄라이저(70)에는 브레이크케이블(73, 74)이 연결된다. 각 브레이크케이블(73, 74)의 선단에는 원주형의 체결편(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편(미도시)은 이퀄라이저(7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72)의 내부에 결합되어 이퀄라이저(70)가 당겨지면 그 이퀄라이저(70)에 연결된 브레이크케이블(73,74)이 당겨져 결국 각각의 휠에 구비된 주차브레이크장치가 작동되어 각각의 휠을 제동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주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 비상해제장치의 기어박 스 및 힘 센서의 내부와 이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기어박스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복수의 기어가 하우징(도1의 10 참조)의 외부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기어박스 어셈블리(30) 내부에는 특히 액추에이터(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종동기어(31)가 연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종동기어(31)는 스핀들(60)과 축결합된다.
종동기어(31)의 하측에는 스핀들(60)이 관통하는 힘 센서(50)가 구비된다. 힘 센서(50)는 상자형상의 케이싱(51) 내부에 구비되는 판부재(52)와, 상기 케이싱(51)을 관통하는 스핀들(60)의 외주부를 감싸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51)의 기어박스 어셈블리(30) 측에는 후부(62)가 구비되어 스핀들(60)이 회전을 하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힘 센서(50) 케이싱(51)의 기어박스 어셈블리(30) 측에는 케이싱(51)에서 연장 돌출된 돌기부(54)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비상해제장치(40)를 구성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돌기부(54)의 양측에는 복수의 캠을 가지는 캠부(41)가 구비되어 케이싱(51)이 돌기부(54)에 걸려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캠부(41)의 일단부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회전축(42)이 끼워져 이에 의해 캠부(41)가 지지되며 회전하게 된다. 캠부(41)의 타단부는 케이싱(51)의 돌기부(54)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캠부(41)는 케이싱(51)의 상방 양측으로 구성된 돌기부(54)에 걸리도록 좌, 우측에 각각 두개씩 모두 4개의 캠이 구비되고 있으나, 그 수는 몇 개라도 무관하다.
또한, 캠(41)의 회전축(42)에는 작동레버(43)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작동레버(43)의 타단부에는 세로로 긴 작동홀(44)이 형성된다. 작동레버(43)는 좌측에 구비된 두 개의 캠을 관통하는 회전축(42)과 우측에 구비된 두 개의 캠을 관통하는 회전축(42)에 결합되도록 각각 하나씩 2개가 구비된다. 작동레버(43)는 작동홀(44)에서 교차되며, 교차되는 두개의 작동홀(44)을 관통하도록 동작축(45)이 설치된다.
도4, 도5 및 도6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주행 중인 경우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20)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핀들(60)도 회전하지 않으므로 힘 센서(5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비상해제장치(40)의 캠부(41)도 힘 센서(50)의 돌기부(54)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작동 중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주차버튼을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액츄에이터(20)가 회전하게 된다. 액추에이터(20)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박스 어셈블리(30) 내부의 기어들도 회전하기 시작하며 종동기어(31)도 이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31)가 회전하면 종동기어(31)의 회전축과 연결된 스핀들(60)도 회전하기 시작하며 힘 센서(50) 내부의 판부재(52)는 힘 센서 케이싱(51)의 내 부 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어 판부재(52)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부재(53)가 압축되며 힘 센서(50)가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이퀄라이저(70)는 스핀들(60)의 회전에 의해 힘 센서(50) 측으로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케이블(73, 74)이 당겨져서 주차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해제 시에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동작이 반대로 일어나 주차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의 비상해제장치가 비상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기 주차브레이크는 버튼만 누르면 주차가 되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차량의 전원이 방전되거나 주차 브레이크가 고장 나는 경우 등의 비상시에는 운전석 등에서는 주차상태를 해제할 수 없어 사람이 차량의 하부로 들어가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해야 하므로 위험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비상해제장치(40)를 구비하고 비상해제장치의 작동레버(43)에 별도의 케이블(80)을 연결하여 이를 운전석이나 트렁크 등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전기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동레버(43)의 작동홀(44)의 단부에 케이블(80)을 연결하고 사용자가 어느 한쪽 작동레버(43)라도 당기면 동작축(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작동레버(43)는 모두 전방으로 이동한다. 작동레버(43)가 이동하게 되면 작동레버(43)의 타단에 연결된 회전축(42)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42)에 끼워져 있는 캠부(41)가 회전하게 된다. 캠부(41)가 회전하게 되면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고 있다 가 수직방향으로 펴지게 된다. 힘 센서(50)의 상방에 형성된 돌기부(54)를 지지하고 있던 캠부(41)의 지지가 풀리므로 힘 센서(50)는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튕겨져 후퇴하게 된다. 힘 센서(50)가 후퇴하면 스핀들(60)의 회전에 의해 이퀄라이저(7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당겨져 있던 브레이크케이블(73, 74)이 느슨해지면서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주차브레이크는 간편하게 주차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방전이나 주차 브레이크 고장과 같은 비상시에 케이블을 당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의하여 차량의 하부에 들어갈 필요가 없으므로 운전자의 위험이 방지되며, 운전석 등 케이블이 연결된 곳이라면 어디서나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기 주차브레이크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기어들이 구비된 기어박스 어셈블리와;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박스 어셈블리 내부에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연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스크루 너트와; 상기 스핀들이 관통하며 상기 스크루 너트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이퀄라이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선단에 체결편이 구비되며 타단이 각각의 휠 브레이크 장치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케이블과; 캠부; 및 작동레버를 구비하며 비상해제시 상기 브레이크케이블을 이완시켜 주차브레이크가 해제되도록 하는 비상해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차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주차브레이크는 상기 기어박스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전기 주차브레이크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상기 스핀들이 관통되는 힘 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힘 센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스핀들의 외부에 감겨서 구비되며 상기 스핀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전달된 회전력을 직선변위로 변환하는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차브레이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해제장치는 상기 힘 센서의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돌기부와, 평상시에는 상기 돌기부에 걸려 상기 힘 센서를 정위치에 지지하다가 비상 해제시에는 회전하여 상기 돌기부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에 형성된 홀들과 축결합되어 비상 해제시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차브레이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작동레버의 상기 캠부와 연결되지 않는 타단에는 작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홀의 내부에는 동작축이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 중 어느 하나 만을 움직여도 쌍을 이루는 다른 작동레버도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차브레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홀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상기 전기 주차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차브레이크.
KR1020050118466A 2005-12-07 2005-12-07 전기 주차브레이크 KR10105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466A KR101055971B1 (ko) 2005-12-07 2005-12-07 전기 주차브레이크
US11/523,861 US7757823B2 (en) 2005-12-07 2006-09-19 Electric parking brake
JP2006254479A JP4601593B2 (ja) 2005-12-07 2006-09-20 電気駐車ブレーキ
EP06254944A EP1795411B1 (en) 2005-12-07 2006-09-25 Electric parking brake
CNB2006101406107A CN100500488C (zh) 2005-12-07 2006-09-29 电动驻车制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466A KR101055971B1 (ko) 2005-12-07 2005-12-07 전기 주차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523A true KR20070059523A (ko) 2007-06-12
KR101055971B1 KR101055971B1 (ko) 2011-08-11

Family

ID=3787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466A KR101055971B1 (ko) 2005-12-07 2005-12-07 전기 주차브레이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7823B2 (ko)
EP (1) EP1795411B1 (ko)
JP (1) JP4601593B2 (ko)
KR (1) KR101055971B1 (ko)
CN (1) CN10050048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72B1 (ko) * 2007-06-21 2008-08-2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용 엑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7242A1 (de) * 2006-08-09 2008-02-14 Siemens Ag Verfahren zum Lösen einer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es
DE202007006998U1 (de) 2007-05-15 2008-09-18 Al-Ko Kober Ag Seilzug mit Löseeinrichtung
DE202008007719U1 (de) * 2007-12-03 2009-04-16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chließhilfs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schloß
CN102166964B (zh) * 2011-03-31 2012-10-1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驻车装置
ITTO20110956A1 (it) * 2011-10-21 2013-04-22 Sila Holding Industriale Spa Sistema di comando a cavo flessibile, particolarmente per il comando del freno di stazionamento di un autoveicolo
CN102431461A (zh) * 2011-10-21 2012-05-02 上海中科深江电动车辆有限公司 电动汽车驻车用的电磁执行机构和相关电磁机构
CN102501842A (zh) * 2011-11-10 2012-06-20 南京理工大学 汽车电子驻车制动系统的机械解锁装置
WO2015006859A1 (en) * 2013-07-17 2015-01-22 Magna Closures Inc. Dual motor device with application to power cinch and latch mechanism
CN103401585B (zh) * 2013-08-16 2015-09-23 卞以勤 一种旋转式步进均衡器及其制备工艺
KR101562911B1 (ko) * 2013-12-10 2015-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10208858B2 (en) * 2016-04-25 2019-02-1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Internal electronic park actuator
US11821510B1 (en) 2016-09-02 2023-11-21 Eskridge, Inc. Gearbox torque sensor
CN107399310B (zh) * 2017-07-04 2019-11-26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驻车机构及汽车
CN107435690B (zh) * 2017-09-25 2019-01-11 高邮市高农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基于摩擦传递的变速离合器
CN107448493B (zh) * 2017-09-25 2019-08-09 墙煌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摩擦传递的离合器
CN111469819B (zh) * 2018-06-06 2021-03-19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快速刹车设备
CN110748583B (zh) * 2018-10-25 2021-03-26 王茜 一种用于汽车的快速刹车机构
CN110792703B (zh) * 2018-10-25 2021-02-12 项炳海 一种用于汽车的刹车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564U (ko) * 1988-08-19 1990-02-27
US5257673A (en) * 1991-01-31 1993-11-02 Kubota Corporation Braking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US6390247B1 (en) * 1999-11-24 2002-05-21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 caliper with eccentric lever drive
IT249271Y1 (it) * 2000-08-30 2003-04-08 Sila Holding Ind S R L Gruppo attuatore di un dispositivo di frenatura particolarmente del freno di stazionamento di un veicolo.
KR200284896Y1 (ko) 2002-05-16 2002-08-07 백정호 전기 주차 브레이크.
JP3901627B2 (ja) 2002-10-22 2007-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KR20040039153A (ko) 2002-11-11 2004-05-10 에스디주식회사 전기 주차 브레이크.
JP2004161101A (ja) 2002-11-12 2004-06-10 Advics:Kk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4161192A (ja) * 2002-11-15 2004-06-10 Advics:Kk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5205975A (ja) 2004-01-21 2005-08-04 Honda Motor Co Ltd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4512868B2 (ja) * 2004-03-31 2010-07-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JP4928080B2 (ja) 2004-06-30 2012-05-09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電動式のケーブル駆動装置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JP4928089B2 (ja) 2004-06-30 2012-05-09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電動式のケーブル駆動装置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JP2006044632A (ja) 2004-06-30 2006-02-16 Nippon Cable Syst Inc 電動式のケーブル駆動装置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KR101274150B1 (ko) * 2004-06-30 2013-06-13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렉스 코포레이션 전동식의 케이블 구동 장치 및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72B1 (ko) * 2007-06-21 2008-08-2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용 엑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5411A3 (en) 2009-05-06
JP2007153313A (ja) 2007-06-21
EP1795411A2 (en) 2007-06-13
JP4601593B2 (ja) 2010-12-22
EP1795411B1 (en) 2011-06-01
CN100500488C (zh) 2009-06-17
US7757823B2 (en) 2010-07-20
US20070125605A1 (en) 2007-06-07
KR101055971B1 (ko) 2011-08-11
CN1978259A (zh)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971B1 (ko) 전기 주차브레이크
JP3132117U (ja) 車両のための駐車ブレーキ装置
US8186485B2 (en) Electric parking brake
US20150152928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US20130105256A1 (en) Electric parking brake
US8051956B2 (en) Driving device for a parking brake system
US6848545B2 (en) Brake actuation assembly for a vehicle
JP2010064569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176469B1 (ko)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의 액추에이터
KR101056085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70065716A (ko) 케이블 타입 해제 장치를 갖는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KR20100039075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KR100633689B1 (ko) 케이블 타입 해제 장치를 갖는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KR101055967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589195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070119860A (ko) 전자석 타입 수동해제장치를 갖춘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KR20080081379A (ko)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KR101055966B1 (ko)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KR100736989B1 (ko) 전동식 주차브레이크
KR20110057761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01064133B1 (ko) 전기식 주차브레이크
KR20080078098A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1047431B1 (ko) 전기식 주차브레이크
KR100380933B1 (ko) 차량용 전동식 파킹브레이크 장치
KR20070031561A (ko) 기구 타입 작동 해제 장치를 갖는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