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1379A -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1379A
KR20080081379A KR1020070021239A KR20070021239A KR20080081379A KR 20080081379 A KR20080081379 A KR 20080081379A KR 1020070021239 A KR1020070021239 A KR 1020070021239A KR 20070021239 A KR20070021239 A KR 20070021239A KR 20080081379 A KR20080081379 A KR 2008008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brake
shaft
motor
rod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애
Original Assignee
김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애 filed Critical 김은애
Priority to KR102007002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1379A/ko
Publication of KR2008008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8Disposition of hand control with mechanisms to take up slack in the linkage to the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부의 당김 레버를 사용하는 종래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전동식 모터와 기어박스 및 자동차 내부의 버튼부로 구성되는 전동식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효율적인 자동차 내부의 공간활용과 조작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는 작동버튼, 웜 샤프트 및 웜 휠을 포함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출력으로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를 감기 위한 토크를 얻기 위한 기어박스, 동력부의 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타임 릴레이부로 이루어진다.
모터,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 이퀄라이저, 웜 기어, 타임 릴레이

Description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ELECTRIC SYSTEM FOR SIDE BRAKE OF A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6 내지 도 7 각각은 종래의 사이드 브레이크 시스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
100 : 작동버튼 200 : 동력부
210 : 모터 215 : 회전자
220 : 웜 샤프트 230 : 웜 휠
235 : 출력 샤프트
300 : 기어박스 310 : 선 기어
320 : 내접 기어 330 : 위성 기어
340 : 암부 345 : 위성 기어의 회전축
346 : 로드 샤프트
400 : 압력센서 500 : 타임 릴레이부
a : 기어박스의 입력단 b : 기어박스의 출력단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소62-198159호, 공개번호 실1998-022563
본 발명은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버튼과 웜 샤프트 및 웜 휠로 구성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의 출력으로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를 감기 위한 토크를 얻기 위한 기어박스, 동력부의 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타임 릴레이부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사이드 브레이크 구동장치는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자동차 내부의 당김 레버(100)와 양 방향의 브레이크를 균형있게 잡아주기 위해 부수적인 수단인 이퀄라이저(500)와 플렉시블 와이어(6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 레버(100)는 통상 자동차의 좁은 공간인 콘솔박스 등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중 차량속도의 변화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변속기어 레버와 상기 당김 레버(100)가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는 주차나 정차할 시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변속기어 레버와 적지않은 접촉을 가져오게 되고, 또한 당김 레버(100)를 완전히 위로 당겨야하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마다 당기는 힘의 차이에 따라 브레이크가 체결이 완전히 안되는 문제점과, 위로 올라온 당김 레버(100)를 운전자나 탑승자의 실수로 건드렸을 경우 브레이크가 풀리는 문제 등이 있었다.
이에,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소62-198159호에는 수동스위치에 의해서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가 도시되는데 모터가 구동되면 웜이 구동하며 웜에 치합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너트가 설치되고, 너트의 이동에 따라 브레이크 케이블을 밀어대는 케이블 롤러는 케이블을 변형되게 압압하여 결과적으로 케이블이 당겨저서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조작이 불편하고 더우기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번호 실1998-022563의 "원터치 버튼 사이드브레이크"의 기술은 도 6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차량의 전면부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정부위에 위치한 원터치 버튼과 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정,역회전하는 래크 기어(2)와 상기 래크 기어(2)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피니언 기어(3)로 구성되는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제안된 기술은 원터치 버튼 수단을 좁은 콘솔박스 주위 공간을 피해 운전자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적정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 치하고 상기의 버튼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 모터(1)가 작동되어 래크(rack) 기어(2)가 회전운동을 하면 여기에 맞물려있는 피니언(pinion) 기어(3)가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로드(4)(이하, 이퀄라이저(5)와 로드, 플렉시블 와이어 등을 통칭하여 로드라 한다.)를 밀고 당기며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은 운전자가 사이드 브레이크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차동차 내에 설치된 원터치 버튼을 작동함으로 여기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받아 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정,역회전을 하는 래크 기어가 회전운동을 함으로 상기 래크 기어와 맞물려 작동하는 피니언 기어가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의 동작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한다.
하지만, 상기 제안된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먼저, 동력원인 모터의 회전자 축에 직접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래크 기어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과 동일하다. 이는 상기 래크 기어에 연결되는 로드를 당기기 위한 토크를 감당하기에 매우 부족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되는 모터의 크기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둔 상태 즉, 상기 로드가 당겨져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야 하지만 상기의 기술로는 로드가 다시 풀리려는 힘을 온전히 상기 모터가 감당하여야 하는 구조기 때문에 상태 유지를 위한 부가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이드 브레이크의 감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토크는 상기 모터에 매우 큰 부하를 주며 이는 모터가 감기고 있는 도중에도 작용 하여 모터의 손상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를 완전히 당겨 브레이크가 걸린 후, 상기 모터의 동력이 중단되었을 경우 외부에 대한 저항 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질 않기 때문에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 둔 후 예기치 못하게 브레이크가 풀려버리는 큰 문제점 등이 존재하였다.
한편, 일단 사용자에 의해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두면 계속 당겨지거나 감긴 로드가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오랜 시간 동안 매우 빈번하게 사용하는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는 시간의 경과나 온도의 변화 등에 따라 그 길이가 늘어나기도 한다.
상기 제안된 기술 및 종래의 당김 레버를 사용하는 기술 모두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거나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가 예기치 않게 풀리는 경우에 이를 보완할 수 없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동력을 웜 기어와 웜 휠의 기어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전력의 감속으로 인한 토크의 증대와 동력이 중단되었을 경우, 일 방향으로 저항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겸하도록 동력부를 마련하며, 상기 동력부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보다 큰 토크의 힘으로 전환하기 위한 감속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의 감김 상태에 따라 모터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여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예상치 않은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의 풀림이 있는 경우, 즉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자 축으로 부터 연장된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와 직교하도록 치합되며 출력 샤프트가 축설된 웜 휠을 포함하는 동력부와; 입력단은 상기 웜 휠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출력단에는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저속으로 감속시켜 큰 토크로써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를 감거나 풀 수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웜 샤프트 말단에 근접하도록 이격 설치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웜 샤프트의 말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력센서와 맞닿는 경우에 상기 모터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는, 윔 휠의 출력 샤프트 말단에 마련되는 선 기어와; 내면에 이가 구성되는 내접 기어와; 상기 선 기어 및 내접 기어 사이에 동시 잇물림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다수의 위성기어와; 상면에는 상기 위성기어들의 각 회전축들이 설치되고 배면에는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의 말단과 연결 고정되는 로드 샤프트가 축설되는 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 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에는, 작동버튼과 연결되는 타임 릴레이부를 더욱 포함하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작동버튼에 따른 모터의 구동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대한 구성요소 간의 관계 등에 따른 설명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4 내지 도 5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를 보여준다.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사용자가 사이드 브레이크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버튼(100), 상기 작동버튼(100)에 의해 구동하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100), 상기 동력부(10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이를 감속시켜 보다 큰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어박스(300)로 이루어지되,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 즉,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이하,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단에 연결 구성되는 이퀄라이저, 플렉시블 와이어 등의 구성을 통칭하여 로드라 한다.)가 지속적으로 감긴 상태를 항시 유지하기 위한 압력센서(400)가 더욱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동력부(100)의 구동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속하여 사이드 브레이크를 감거나 푸는 경우, 동력부(100)에 예상치 못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로드(10)가 풀어진 후 다시 역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타임 릴레이(time relay)부(500)가 더욱 구비된다.
상기 작동버튼(100)은 통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되, 전자식 푸쉬 버튼(push button) 등으로 전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연결과 단속할 수 있으며 전기신호의 결속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발광부가 더욱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버튼(100)은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데, 콘솔박스의 일 측면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중 센터페시아 등에 그 위치를 선정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버튼(100)에 의해 운전되는 동력부(200)는 웜 기어가 구성되는 모터로 이루어지며 더욱 자세히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210), 상기 모터(210)에 축이 외부로 연장된 웜 샤프트(220), 상기 웜 샤프트(220)와 직교하도록 치합된 웜 휠(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210)는 시동 토크가 크고 광범위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역률이 좋은 정류자전동기이면 충분하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제어가 쉽게 가능한 DC 모터(2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일 실시예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모터(210)는 통상 회전자(215)(회전코일, 아마추어)와 고정자(고정자석)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자(215)의 축에는 나사 형상의 웜 샤프트(220)가 연장되어 설치 구성된다.
한편, 도 4내지 도 5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회전자(215)는 모터(210)의 길이방향, 즉 웜 샤프트(220)의 길이방향으로 미소한 간격만큼 인장,인출이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간격을 모터의 축방향에 대한 백레쉬(backlash)로 불리는데, 이와 같은 상기 모터(210)에 있어, 웜 샤프트(220)(또는 회전자(215))의 길이방향에 대한 유격은 후술하는 압력센서(400)와의 연동시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미소 간격(백레쉬)은 해당 모터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그 간격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웜 샤프트(220)에는 직교하도록 치합되는 평평한 톱니바퀴 모양의 웜 휠(230)이 구성되되, 상기 웜 휠(230)은 그 배면부 회전 중심축에 출력 샤프트(235)가 더욱 축설되어 구성된다. 웜 휠(230)의 출력 샤프트(235)는 상기 모터(21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되되, 상기 웜 샤프트(220)와 웜 휠(230)의 기어 조합이 웜 기어(worm gear)로 구성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 웜 기어 특성은 웜 샤프트(웜) 및 웜 휠(또는 헬리컬 기어)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웜 샤프트의 구동축은 웜 휠의 회전축과 직교하도록 조합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웜 샤프트(220)의 이(齒) 방향은 구동축과 직각에 가까운 각을 이루고 있어 웜 휠(230)로 상기 웜 샤프트(220)를 돌릴 수 없으며 오로지 웜 샤프트(220)로만 상기 웜 휠(230)이 구동되는 역전(逆轉)이 불가능한 특성이 있다.
이런 특성은 웜 샤프트(220)에서 웜 휠(230)로만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므로 웜 휠(230) 쪽의 변동이 웜 샤프트(220) 쪽으로 전달되지 않아 동력장치에 이상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력이 중단되었을 때 외부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하는 브레이크의 역할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상기 웜 휠(230)이 후술 될 기어박스(300)를 거쳐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를 감거나 풀거나 하는 구동축으로 사용되어짐에 있어, 상기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브레이크 로드(10)가 감겨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웜 샤프트(220)가 1회전 할 때 웜 휠(230)은 이 몇 개 정도의 움직임밖에 없기 때문에 기어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회전비 차이에 따른 감속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를 감기 위한 충분한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또는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동력부(20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보다 큰 토크를 가지도록 감속시키기 위한 기어박스(300)가 구성 되되, 입력단(a)은 상기 동력부(200)의 출력 샤프트(235)에 연동되고 출력단(b)은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어박스(300)는 입력과 출력의 회전비를 기어의 조합에 따라 변동시켜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큰 토크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증속시켜 적은 토크를 발생시키는 원동절(driver)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감속하여 큰 토크를 발생시키는 통상의 감속 기어장치이면 충분하다.
특히,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 구성되는 기어박스(300)는 유성 기어(Planetary Gea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자세히는 상기 웜 휠(230)의 출력 샤프트(235) 말단에 마련되는 선 기어(310), 내면에 이가 구성되는 내접(outer ring) 기어(320), 상기 선 기어(310) 및 내접 기어(320) 사이에 동시 잇물림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다수의 위성기어(330), 그리고 상면에는 상기 위성기어(330)들의 각 회전축(345)들이 설치되고 배면에는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의 말단과 연결 고정되는 로드 샤프트(346)가 축설되는 암(arm)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는 통상의 구성이면 충분하므로 그 구성과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300)는 그 입력단(a)을 상기 선 기어(310)로 하고 출력단(b)을 상기 암부(340)의 로드 샤프트(346)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부(200)의 모터(21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선 기어(310)로 입력받아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로드 샤프 트(346)를 회전시켜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충분한 토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최대한 감긴 상태 즉,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가 되면, 웜 휠(230)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210)가 계속 작동이 되면 회전이 고정된 웜 휠(230)의 기어 치를 따라 상기 웜 샤프트(220)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웜 샤프트(220)가 전진하는 길이는 상술한 것과 같이 미소한 거리로서 통상의 모터의 구성에 있어 회전자가 가지는 길이방향의 유격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체결된 사이드 브레이크를 가지는 상태에 있어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정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려는 모터(210)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웜 샤프트(220)의 말단에 근접하여 이격 설치되는 압력센서(400)를 구비하여, 상기 웜 샤프트(220)의 말단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아 이에 인지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모터(210)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압력센서(400)는 상기 웜 샤프트(220)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따라 모터(210)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압력센서(400) 및 웜 샤프트(220)의 구성은, 사용자가 사이드 브레이크를 체결하고자 하여 작동 버튼(100)을 조작하는 상황뿐만 아니라,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된 후 예기치 않게 또는 여름철의 온도 등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사 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늘어나 사이드 브레이크가 풀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된 상태에는 상기 압력센서(400)와 맞닿아 있는 상태로 웜 샤프트(220)가 구성되어 있으며 모터(210)는 압력센서(400)로 인해 그 동작이 멈춰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 있어,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느슨해 지면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에 연장 연결되어 있는 웜 휠(230)에 작용하고 있던 저항력이 사라지고 이는 웜 샤프트(220)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웜 샤프트(220)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압력센서(400)와 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압력센서(400)는 다시 모터(2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느슨해진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를 감게 되고 다시 상기 압력센서(400)에 웜 샤프트(220)가 닿게 되면서 상기 모터(210)의 구동이 단속된다.
한편, 상술된 웜 기어의 역전 불가능 성질은 웜 휠(230)에 회전함에 의한 웜 샤프트(220)의 회전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며,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최대한 감겨진 상태와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느슨해짐에 따른 웜 휠(230)에 가해지는 저항력의 존재 유무는 분명한 차이를 가진다.
또한, 체결된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기 위하여 사용자가 작동버튼(100)을 작동시 모터(210)는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로드 샤프트(346)에 감긴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풀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기 위해 모터(2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작동버튼에 따른 모터의 구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버튼(100)과 연결되는 타임 릴레이(time relay)부(50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들어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정차한 다음 사이드 브레이크 체결을 위해 작동버튼(100)을 동작시킨다. 도 4에서와 같이, 모터(210)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웜 샤프트(220)가 구동하여 웜 휠(230)을 회전시킨다. 이후, 기어박스(300)를 거쳐 토크가 증가된 회전력은 로드 샤프트(346)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를 감기 시작한다.
이후,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로드 샤프트(346)에 감겨짐에 따라 충분히 당겨지고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된다. 더 이상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10)가 감져지지 않으면 웜 휠(23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에 치합되어 있던 웜 샤프트(220)가 길이 방향으로 미소하게 일정간격(약 3mm 정도) 전진을 하게되어(도 5에서 보이는 회전자 부분에 표시된 점선의 회살표 참고)압력센서(400)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210)를 단속시킨다. 한편, 상기 웜 샤프트(220)의 이동되는 간격은 상기 모터(210)가 가지는 백레쉬에 따른 간격이다.
또한, 상기 도 4 내지 도 5 각각은 운전자가 사이드 브레이크를 체결하는 과 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상 작동버튼을 조작후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은 대략 3초 정도로 설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는, 자동차 내의 좁은 공간을 넓게 그리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협소함으로 인해서 운전자나 탑승자가 느꼈던 행동의 불편함이 해소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의 감김 상태에 따라 모터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여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예상치 않는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의 풀림이 있는 경우, 즉시 자동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여 안전한 자동차의 브레이크 체결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자 축으로 부터 연장된 웜 샤프트와, 상기 웜 샤프트와 직교하도록 치합되며 출력 샤프트가 축설된 웜 휠을 포함하는 동력부와;
    입력단은 상기 웜 휠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출력단에는 자동차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저속으로 감속시켜 큰 토크로써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의 로드를 감거나 풀 수 있는 기어박스와;
    상기 웜 샤프트 말단에 근접하도록 이격 설치되는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웜 샤프트의 말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압력센서와 맞닿는 경우에 상기 모터의 동작을 단속할 수 있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윔 휠의 출력 샤프트 말단에 마련되는 선 기어와;
    내면에 이가 구성되는 내접(outer ring) 기어와;
    상기 선 기어 및 내접 기어 사이에 동시 잇물림되어 자전 및 공전하는 다수의 위성기어와;
    상면에는 상기 위성기어들의 각 회전축들이 설치되고 배면에는 사이드 브레이크 로드의 말단과 연결 고정되는 로드 샤프트가 축설되는 암(arm)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에는,
    작동버튼과 연결되는 타임 릴레이(time relay)부를 더욱 포함하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작동버튼에 따른 모터의 구동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KR1020070021239A 2007-03-05 2007-03-05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KR20080081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239A KR20080081379A (ko) 2007-03-05 2007-03-05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239A KR20080081379A (ko) 2007-03-05 2007-03-05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379A true KR20080081379A (ko) 2008-09-10

Family

ID=4002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239A KR20080081379A (ko) 2007-03-05 2007-03-05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13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8458A (zh) * 2014-08-20 2015-01-28 塞里姆株式会社 利用侧方挤压方式冷锻的电子停车制动系统用螺旋承载架的制造方法
CN111319591A (zh) * 2018-12-13 2020-06-23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用于无人驾驶车辆的驻车制动装置、控制方法和车辆
IT201900025723A1 (it) * 2019-12-30 2021-06-30 Piaggio & C Spa Sistema di bloccaggio per un veicolo comprendente un motoriduttore atto ad azionare un dispositivo di bloccaggi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8458A (zh) * 2014-08-20 2015-01-28 塞里姆株式会社 利用侧方挤压方式冷锻的电子停车制动系统用螺旋承载架的制造方法
CN111319591A (zh) * 2018-12-13 2020-06-23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用于无人驾驶车辆的驻车制动装置、控制方法和车辆
IT201900025723A1 (it) * 2019-12-30 2021-06-30 Piaggio & C Spa Sistema di bloccaggio per un veicolo comprendente un motoriduttore atto ad azionare un dispositivo di bloccaggio
WO2021137153A1 (en) * 2019-12-30 2021-07-08 Piaggio & C. Spa Leaning vehicle locking system comprising a gear motor
CN114761314A (zh) * 2019-12-30 2022-07-15 比亚乔及C.股份公司 包括齿轮马达的倾斜式车辆锁定系统
US11891144B2 (en) 2019-12-30 2024-02-06 Piaggio & C. S.P.A. Leaning vehicle locking system comprising a gear m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971B1 (ko) 전기 주차브레이크
JP3132117U (ja) 車両のための駐車ブレーキ装置
KR101055975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US20110278114A1 (en) Electric parking brake
JP3692791B2 (ja)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JP2002071020A (ja) 自動車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シャフト用アクチュエータ
US8186485B2 (en) Electric parking brake
JP488566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US20080006804A1 (en) Cable Drive
JP6173503B1 (ja) レンジ切替装置
KR20080081379A (ko) 전동식 자동차용 사이드 브레이크의 구동장치
KR20110051323A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KR101575371B1 (ko) 차량의 쉬프트 바이 와이어 변속 조작장치
KR100893031B1 (ko) 수동 제어 가능한 주차 브레이크
JP2010064569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412967B1 (ko) 캡스턴 호이스트
JP2010132128A (ja) 車載用画像表示装置
KR20100039075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
JP2006021764A (ja) 自動車の安全ベルト装置及び安全ベルト装置内の電気モータを制御する方法
JP2005534570A (ja) 駐車ブレーキ用の作動機構
KR20080078098A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JP2012096627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
KR100928220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070120332A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20070119860A (ko) 전자석 타입 수동해제장치를 갖춘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