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948A - 유로블록 - Google Patents

유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948A
KR20070057948A KR1020077008572A KR20077008572A KR20070057948A KR 20070057948 A KR20070057948 A KR 20070057948A KR 1020077008572 A KR1020077008572 A KR 1020077008572A KR 20077008572 A KR20077008572 A KR 20077008572A KR 20070057948 A KR20070057948 A KR 2007005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block
groove
hole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야 오쿠무라
히로시 이타후지
히로키 도이
야스노리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오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오크테크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574Bypass or relief controlled by main line fluid condition
    • Y10T137/2579Flow rate responsive
    • Y10T137/2587Bypass or relief valve biased op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5Valve or chok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고,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복잡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경량화가 실현될 수 있는 유로블록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1)은 관통공(21)과 관통공에 연통되는 홈(22)이 형성된 블록본체(11)와 홈(22)을 덮는 뚜껑부재(12)를 포함함으로써, 절삭공구로 홈(22)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해 홈(22)을 길게 형성하고 뚜껑부재(12)로 홈(22)을 덮는 것에 의해 최장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절삭공구로 홈(22)을 길게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유로블록, 압력손실, 홈

Description

유로블록{FLOW PATH BLOCK}
본 발명은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도 18,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로블록(101)이 있다. 도 18은 상면도이고, 도 19는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 유로블록(101)은, 블록체(111)에 절삭공구(예를 들면, 드릴 등)를 사용하여 V자의 유로(121)를 가공한 것이다. 또한, 유닛을 접속하는 부분에는 밀봉면(121a)이 가공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1)에는 도 21 내지 도 24와 같은 유로블록(201)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유로블록(201)의 제조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에 있어서, 블록본체(211)의 상면으로부터 제1 개구통로(221)를 관통시키는 것과 함께, 측면으로부터 보조통로(223)와 연통로(222)를 제 1개구통로(221)의 하단부에 연통하도록 관통시킨다. 이 때, 측면에서는 다음의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큰 직경의 개구부(225)도 관통시킨다.
다음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정에 있어서, 보조통로(223)에 얇은 원반모양의 패색부재(224)를 삽입한다. 이 때, 패색부재(224)는 후술하는 바와 같 이 제2 개구통로(226)를 형성하는 때에 절삭되는 위치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공정에 있어서, 보조통로(223)에 패색부재(224)를 용접하여, 용접부(W)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공정에 있어서, 패색부재(224) 및 용접부(W)의 일부를 절삭하도록 제2개구통로(226)를 관통시키며, 용접부의 잔부(W1)에 의해 보조통로(223)를 폐색한다.
이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 1개구통로(221), 연통로(222), 제 2개구통로(226)로부터 만들어진 U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된 유로블록(201)이 제조된다.
특허 문헌 1 : JP-A-2003-097752 (제 45 문단과 도 2)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도 18,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V자의 유로를 가지는 유로블록(101)은, 임의의 판 두께에 대하여 필요한 V자 경사각과 밀봉면(121a)의 공경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V자 경사각을 고려하면서 드릴을 삽입할 필요가 있으며 드릴의 직경 크기가 제약되기 때문에, 유로(121)의 직경 크기가 제약된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밀봉면(121a)의 공경(D)을 확보하기 위하여 삽입가능한 드릴직경(d)은 기하학적으로 명확하도록, 공차와 가공정밀도를 고려하면 d ≤ (D × cosθ)이고, 드릴 직경(d)으로부터 정해지는 유로(121)의 직경은 밀봉면(121a)의 공경(D)보다 작게 된다. 게다가, V자 경사각 θ을 변경시키려면 판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유로블록(101)의 중량이 크게 되기 때문에, 임의로 V자 경사각 θ을 변경하여 유로(121)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공급되는 유량에 대하여 충분한 유로의 유효 단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압력 손실도 커지게 된다.
또한, 임의의 V자 경사각 θ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판 두께가 없으면 유로가 형성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관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보통, 유로를 관통시키기 위한 공구(예를 들면, 드릴) 칼날의 형상, 직경, 길이는 어느 정도 한정된다. 일반적으로 공구의 단면 형상은 거의 원형이기 때문에, 유로블록(201)에서는 유로단면의 형상도 거의 원형에 한정된다. 또한, 공구 단면직경의 크기는 어느 정도 한정되기 때문에, 유로 단면적의 크기도 한정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유량에 대하여 충분한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 통로에 다량의 유체를 흘리는 경우에는 압력 손실이 크게 되며, 유량이 제한된다.
또한, V자와 U자와 같은 간단한 형상의 통로 밖에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유체제어장치 유닛의 설치 상황의 경우, 복잡한 형상의 유로를 준비한 유로블록(예를 들면, 퍼지 가스와 프로세스 가스의 공급부에 있어서의 유로블록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도, 이것에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고, 유로단면의 크기가 한정되지 않고,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복잡한 유로의 형성이 가능하며, 경량화가 가능한 유로블록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 또는 공정을 포함한다.
(1)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에 있어서, 관통공과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홈을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한다.
(2)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 본체와, 관통공을 서로 연통시키고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한다.
(3)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에 있어서, 관통공와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홈을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한다.
(4) 위의 (1)에 기재된 유로블록에 있어서, 홈의 단면은, U 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5) 위의 (2) 또는 (3)에 기재된 유로블록에 있어서,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6)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홈을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한다.
(7)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을 서로 연통시키고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한다.
(8)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홈을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한다.
(9) 위의 (6)에 기재된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홈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10) 위의 (7) 또는 (8)의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은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은, 관통공와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홈을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절삭공구로 홈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는 것으로 유효단면적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길게 형성하고 뚜껑부재에 의하여 홈을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가능하고, 또한, 블록본체의 판 두께을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은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관통공 서로를 연통시키는 오목형상을 포함하는 뚜껑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여 유효단면적을 조정하고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한 뚜껑부재로 블록본체를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에는 관통공만을 형성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블록본체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은, 관통공과 관통공에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홈을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함으로써 유효단면적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길게 형성하고 또한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하는 뚜껑부재에 의하여 블록본체를 덮는 것에 의해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홈을 그다지 깊게 형성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블록본체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은, 홈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의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은,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서는,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홈을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절삭공구로 홈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는 것으로 유효단면적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길게 형성하고 뚜껑부재로 홈을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가능하고, 또한, 블록본체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서는,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을 서로 연통시키고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여 유효단면적을 조정하고 압력손실을 작게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한 뚜껑부재로 블록본체를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에는 관통공만을 형성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블록본체의 판 두께을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서는,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에 연통하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홈을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함으로써 유효단면적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길게 형성하고 또한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하는 뚜껑부재로 블록본체를 덮는 것에 의해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홈은 그다지 깊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블록본체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서는, 홈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서는, 본 발명의 유로블록은,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의 외관도(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의 단면도(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의 하면도이고,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블록본체의 단면도(도 4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뚜껑부재의 외관 상면도이고,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뚜껑부재의 외관 측면도이고,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9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극단적으로 긴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블록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잡한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블록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다중 유로가 형성되는 유로블록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홈의 단면형상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홈의 단면형상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의 구성 개요도이고,
도 18은 종래기술에 따른 V자 유로를 포함하는 유체블록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종래기술에 따른 의 V자 유로를 포함하는 유체블록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20은 종래기술에 따른 V자 유로를 포함하는 유체블록의 밀봉면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21은 특허 문헌 1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요도이고,
도 22은 특허 문헌 1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요도이고,
도 23은 특허 문헌 1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요도이고,
도 24는 특허 문헌 1에 따른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요도이다.
부호 설명
1 : 유로블록 11 : 블록본체
12 : 뚜껑부재 13 : 뚜껑부재
21 : 관통공 22 : 홈
22a : 뚜껑부재 수납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먼저,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1)을 설명한다. 도 1은 유로블록(1)의 구성에 대한 외관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블록(1)은 블록본체(11)와 뚜껑부재(12)로 구성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5는 블록본체(11)의 구조에 대해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상면도, 도 3은 A-A 단면도, 도 4는 하면도, 도 5는 B-B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1)에는, 관통공(21)과 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블록(1)은,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뚜껑부재(12)로 홈(22)을 덮어 밀폐한다. 더구나, 뚜껑부재(12)는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고, 용접(예를 들면, TIG 용접 및 레이저 용접)에 의해 블록본체(11)에 설치된다.
여기서, 유로블록(1)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주로 블록본체(11)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공정에 있어서, 재질은 SUS316 등의 블록본체(11)에 드릴 등으로 관통공(21)을 2개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공정에 있어서,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로 2개의 관통공(21)이 서로 연통하도록 홈(22)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공정에 있어서, 블록본체(11)의 하단측에, 후술하는 뚜껑부재(12)를 설치하기 위한 뚜껑부재 수납부(22a)를 형성한다. 한편, 블록본체(11)의 상면측에는, 탑재하는 유닛과 밀봉면(21a)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공정에 있어서, 홈(22)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이 형성된 뚜껑부재(12)를 홈(22)에 덮어서, 뚜껑부재 수납부(22a)에 뚜껑부재(12)를 끼워 넣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블록본체(11)에 용접한다. 더구나, 홈(22)을 완전히 밀폐상태로 하기 위해, 용접하는 사이에는 용접부분의 주위(도 11에 도시된 α부분)까지 비드를 형성한다.
이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밀봉면(21a)의 공경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공(21)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홈(22)은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로 깊이와 폭을 자유로 조정할 수 있어, 종래 기술의 유로블록(101)과 같이, 소정의 밀봉면(21a)의 공경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로 직경의 크기가 제약된다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유로블록(1)에 있어서는, 밀봉면(21a)의 공경과 동일한 직경의 관통공(21)을 형성하여, 밀봉면(21a)의 공경 이상의 깊이를 가진 홈(22)을 형성하는 것으로, 밀봉면(21a)의 공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직경으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로유효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체를 흘렸을 때의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유로블록(101) 및 유로블록(201)에서는, 유로를 드릴 등 의 절삭공구로 형성하기 위해, 유로의 단면형상과 유로직경은 절삭공구의 형상과 공구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엔드밀 등을 사용하여 홈(22)의 단면형상과 (폭, 깊이 등의) 단면치수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첨단부가 원형의 엔드밀을 사용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의 치수에 대해서 깊이의 치수가 큰 U자의 홈(22)의 단면형상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의 치수에 대해서 폭의 치수가 큰 U자의 홈(22) 단면형상을 의도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의 압력손실이 보다 작은 유로블록(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홀 가공에서는 유로 길이는 드릴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홈(22)이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로 형성된다면 충분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제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긴 유로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유로, 또는 도 14와 같이 다중 유로 구조를 포함하는 유로블록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유로블록(101)에 관한 V자 경사각 θ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판 두께는 유체블록(1)의 설치 상태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가능한 한 판 두께를 작게 하는 것으로 유체블록(1)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1실시예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1)은, 관통공(21)과 관통공(21)에 연통하는 홈(22)이 형 성되는 블록본체(11)와, 홈(22)을 덮는 뚜껑부재(12)를 포함함으로써, 절삭공구로 홈(22)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로 홈(22)을 길게 형성하고 뚜껑부재(12)로 홈(22)을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가능하고, 또한, 블록본체의 판 두께을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1)은, 홈(22)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1)의 제조방법에서는, 블록본체(11)에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21)에 연통하는 홈(22)을 형성하는 공정과, 홈(22)을 뚜껑부재(12)(12)로 덮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절삭공구로 홈(22)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는 것으로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을 길게 형성하고 뚜껑부재(12)에 의하여 홈(22)을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22)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가능하고, 또한,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1)의 제조방법에서는, 홈(22)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실시예
다음에,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로블록(2)을 설명한다. 도 17은 유로블록(2)의 구성에 대한 외관도이다.
제 1실시예와 다른 것은, 뚜껑부재(13)에 있어서 미리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유로(오목형상)를 형성하여 두는 점이다. 이에 의해, 블록본체(11)에 홈(22)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또는 블록본체(11)에 홈(22)을 형성한다고 해도 그 깊이가 작아도 필요한 유로직경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더욱 더 유로블록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밖에, 뚜껑부재(13)의 가공에 의해, 유체를 흘렸을 때의 압력손실을 작게하는 것, 및 상당히 긴 유로와 복잡한 형상의 유로, 다중의 유로구조를 포함하는 유로블록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은 제 1실시예와 같다.
이상과 같은 제 2실시예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2)은 관통공(21)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1)와 관통공(21) 서로를 연통시키는 오목형상을 포함하는 뚜껑부재(13)를 포함함으로써,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한 뚜껑부재(13)로 블록본체(11)를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11)에는 관통공(21)만을 형성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2)은, 관통공(21)과 관통공(21)에 연통하는 홈(22)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1)와,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홈(22)을 덮는 뚜껑부재(13)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22)을 길게 형성하고 또한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하는 뚜껑부재(13)로 블록본체(11)를 덮는 것에 의해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22)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11)에는 관통공(21)만을 형성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2)은,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2)의 제조방법에서는, 블록본체(11)에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21)을 서로 연통시키고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13)로 덮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하여 압력손실을 작게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한 뚜껑부재(13)로 블록본체(11)를 덮는 것에 의하여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11)에는 관통공(21)만을 형성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2)의 제조방법에서는, 블록본체(11)에 관통공(21)을 형성하는 공정과, 관통공(21)에 연통하는 홈(22)을 형성하는 공정과, 홈(22)을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13)로 덮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데, 가공에 의해 오목 형상의 깊이와 폭을 조정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작게 할 수 있고,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22)을 길게 형성하고 또한 가공에 의해 오목형상을 길게 형성하는 뚜껑부재(13)에 의하여 블록본체(11)를 덮는 것에 의해 최장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절삭공구에 의하여 홈(22)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상을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블록본체(11)에는 관통공(21)만을 형성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블록본체(11)의 판 두께를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로블록(2)의 제조방법에서는,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유로유효단면적을 확보하여 압력손실을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에 있어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홈을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
  2.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관통공을 서로 연통시키는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
  3.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에 있어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오목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홈을 덮는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단면은, U 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
  6.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홈을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로블록의 제조방법.
  7.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공을 서로 연통시키는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
  8. 유체제어장치 유닛에 사용되는 유로블록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블록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관통공과 연통하는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홈을 오목형상이 형성되는 뚜껑부재로 덮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의 단면은, U자 형상이고, 임의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77008572A 2004-09-17 2005-09-05 유로블록 KR20070057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71946 2004-09-17
JP2004271946A JP2006084002A (ja) 2004-09-17 2004-09-17 流路ブロ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948A true KR20070057948A (ko) 2007-06-07

Family

ID=3605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572A KR20070057948A (ko) 2004-09-17 2005-09-05 유로블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95401A1 (ko)
JP (1) JP2006084002A (ko)
KR (1) KR20070057948A (ko)
CN (1) CN101023290A (ko)
TW (1) TW200622130A (ko)
WO (1) WO2006030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424B2 (ja) * 2006-10-10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制御弁装置
DE102014008648A1 (de) 2014-06-13 2015-12-17 Hydac Technology Gmbh Anschlussvorrichtung
SG11201808788PA (en) * 2016-04-04 2018-11-29 Ichor Systems Inc Liquid delivery system
JP2018110533A (ja) * 2017-01-06 2018-07-19 ジェックス株式会社 水槽設備
JP6897962B2 (ja) * 2017-07-28 2021-07-07 株式会社パロマ ガスコンロのガス分配装置、ガバナ装置及びガスコンロ
JP7221888B2 (ja) * 2020-01-20 2023-02-14 株式会社不動テトラ 地盤改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651B1 (ko) * 1967-07-28 1974-04-02
DE1917727C3 (de) * 1969-04-05 1974-08-01 Samson Apparatebau Ag, 6000 Frankfurt Leitungssystem für hydraulisch oder pneumatisch arbeitende Schalt-, Steuer- oder Regeleinrichtungen
JPS4916690U (ko) * 1972-05-18 1974-02-12
JPS5234118Y2 (ko) * 1972-11-16 1977-08-04
JPS5273754U (ko) * 1975-11-29 1977-06-02
JPS5548806Y2 (ko) * 1975-12-13 1980-11-14
JPS52117788U (ko) * 1976-03-05 1977-09-07
FR2661214B1 (fr) * 1990-04-19 1992-07-03 Snecma Plaque de raccordement electrohydraulique pour regulateur de turbomachine.
JPH0415390A (ja) * 1990-05-08 1992-01-20 Sumitomo Heavy Ind Ltd 集中配管構造物の製造方法
US5341841A (en) * 1993-10-19 1994-08-30 Acute Ideas, Inc. Fluid distribution device
JP4737891B2 (ja) * 2001-09-04 2011-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ジックプレート
JP2006009969A (ja) * 2004-06-25 2006-01-12 Kitz Sct:Kk 集積化ガス制御装置用流路ブロック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集積化ガス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95401A1 (en) 2007-12-27
WO2006030657A1 (ja) 2006-03-23
TW200622130A (en) 2006-07-01
CN101023290A (zh) 2007-08-22
JP2006084002A (ja)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948A (ko) 유로블록
WO2006086165A3 (en) Flow valve and method
JPWO2017221893A1 (ja) 流体制御装置
WO2018047907A1 (ja) 流体制御装置、これに用いるベースブロックおよび流体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6154202B2 (ja) 穿孔治具、穿孔ユニット及び穿孔方法
EP1535676B1 (en) Die
ITTO20000589A1 (it) Ugelli ad orientamento variabile per punte per la perforazione del terreno, punte da perforazione dotate di tali ugelli e procedimenti di or
US8070132B2 (en) Fluid control device with a non-circular flow area
JP6681630B2 (ja) 流体制御装置
US20080080939A1 (en) Cutting tool and processing method by the same
CA2289276C (en) Coupling member for use in flui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EP1354663B1 (en) Nozzle for lasercutting
JP4803712B2 (ja) ガス切断機の火炎安定器
JP4616059B2 (ja) 流体制御弁
JP2005090555A (ja) 減圧調節弁
CN214350250U (zh) 激光焊接装置
KR20080009197A (ko) 기판 지지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5537144A5 (ko)
JP4283653B2 (ja) ガス供給ユニット用ブロック
JPH07314230A (ja) ガンドリル
JP2007271069A (ja) 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整圧器
JP2006200278A (ja) 天井覗き穴ゲージ及びそのゲージを用いた覗き穴施行方法
JP3082989B2 (ja) 多連装バルブ装置
JP2002323152A (ja) 減圧弁型パイロット弁
JP2005112295A (ja) ステアリングダ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