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994A - 가열조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994A
KR20070054994A KR1020050113168A KR20050113168A KR20070054994A KR 20070054994 A KR20070054994 A KR 20070054994A KR 1020050113168 A KR1020050113168 A KR 1020050113168A KR 20050113168 A KR20050113168 A KR 20050113168A KR 20070054994 A KR20070054994 A KR 20070054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chamber
cooking
plate
in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철
백상훈
권순기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4994A/ko
Publication of KR20070054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실로 공급되는 증기가 조리실 내측면에 닿아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조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과 조리실로 공급될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조리실의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증기를 조리실 내로 분사하는 증기분사유닛;을 포함한다. 특히 증기분사유닛은 분사되는 증기가 그 주위의 조리실 내측면과 닿지 않도록 조리실 내에서 조리실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증기의 응축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 응축수가 흘러내리면서 조리실 내측면에 설치된 히터케이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열조리장치{HEATING COO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를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에서 증기분사유닛이 조리실 상면판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Ⅰ-Ⅰ 방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조리실 11 : 상면판
13 : 측면판 20 : 급수장치
30 : 증기발생장치 40 : 과열증기 공급장치
50 : 증기분사유닛 51 : 연장부
본 발명은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 리하는 가열조리장치에서 조리실로 공급되는 증기가 조리실 내측면에 닿아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조리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가스오븐, 전기오븐이 있다. 이 중 전자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맛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가스오븐과 전기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증기를 통해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조리장치(이하 '스팀오븐'이라 함)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팀오븐을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맛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조리실 내에 가득 찬 증기가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스팀오븐은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생성,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와, 증기발생장치의 증기를 조리실 쪽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증기발생장치와 조리실을 연결하는 증기공급관을 구비한다.
이러한 증기공급관은 조리실의 상면판 중앙부분, 측면판 중앙부분 등 임의의 위치에서 조리실과 연통될 수 있으나, 설계 상의 필요에 의하여 증기공급관이 조리실의 모서리 부분과 인접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조리실 내로 공급되는 증기가 주위의 조리실 내측면과 닿아 냉각됨으로써 응축수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되는 증기는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열을 잃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이 된다.
또 스팀오븐에서 조리실의 일측면에는 조리실 내의 증기를 재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설치되기도 하는데, 조리실의 내측면에 맺힌 응축수가 흘러내리다가 위와 같은 가열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면 가열장치 내의 히터나 팬이 구동하는데 있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리실 내측면에 맺힌 응축수가 팬에 의해 음식물 쪽으로 분산되는 때에는 음식물에 과도한 습기가 공급되어 음식물의 조리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 내로 공급되는 증기가 음식물을 조리하기 전에 조리실 내측면과 닿아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조리실의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 내로 분사하는 증기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분사유닛은, 분사되는 증기가 상기 증기분사유닛 주위의 조리실 내측면과 닿지 않도록 상기 조리실 내에서 상기 조리 실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은 상면판과 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분사유닛은 상기 상면판과 측면판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판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조리실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의 측면판에는 상기 조리실 내의 증기를 재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과열증기 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과열증기 공급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고정되는 히터케이스와, 증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히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과열증기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상면판, 바닥판, 측면판 및 후면판을 가지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증기공급관;과 상기 상면판이 상기 측면판 또는 후면판과 만나는 모서리나 상기 바닥판이 상기 측면판 또는 후면판과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증기공급관에 의해 안내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 내로 분사하는 증기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분사유닛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중앙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를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에서 증기분사유닛이 조리실 상면판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하우징(1)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10)과, 개방된 조리실(10)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2)와,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해 조리실(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3)을 구비한다. 조리실(10)은 상면판(11), 바닥판(12), 양 측면판(13) 및 후면판(14)에 의해 한정되는 조리공간으로서, 조리실(10)과 하우징(1) 사이의 공간에는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된다.
본 발명에서의 가열조리장치는 증기를 이용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급수장치(20)와, 조리실(10)로 공급될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장치(30)와, 조리실(10) 내의 증기를 재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과열증기 공급장치(40)를 구비한다.
급수장치(20)는 조리실 상면판(11)에 고정되는 물통케이스(21)와, 이 물통케이스(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통(22)과, 물통(22)의 물을 증기발생장치(3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3)과, 급수관(23)에 설치되는 급수펌프(24)로 구성된다.
증기발생장치(30)는 급수장치(2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조리실 상면판(11)에 설치되는 스팀용기(31)와, 저장된 물을 증기로 증발시키기 위해 스팀용기(31) 내부에 마련되는 스팀히터(32, 도 4 참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 상면판(11)과 측면판(13)이 만나는 모서리(15)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증기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증기를 조리실(10) 내로 분사하는 증기분사유닛(50)을 구비한다. 특히 증기분사유닛(50)은 분사되는 증기가 그 주위의 조리실 내측면과 닿지 않도록 조리실(10) 내에서 조리실(10)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51)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분사유닛(50)이 조리실 상면판(11)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조리실 측면판(13)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증기분사유닛이 상면판(11)과 후면판(14)이 만나는 모서리 또는 바닥판(12)과 측면판(13)이 만나는 모서리 또는 바닥판(12)과 후면판(14)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연장부의 방향을 결정하여 분사되는 증기가 그 주위에 인접한 조리실 내측면과 닿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분사유닛(50)은 조리실 상면판(11) 외측 모서리 부근에 고정된다. 이 때 연장부(51)는 조리실(10) 내에서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조리실(10)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다. 즉 연장부(51)는 조리실(10) 중앙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51)는 말단에는 조리실(10) 내로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증기분사유닛(50)에서 분사되는 증기는 조리실 측면판(13)에 닿아 응축되는 일 없이 조리실(10) 중앙부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향해 공급된다.
스팀용기(31)와 증기분사유닛(50) 사이에는 증기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증 기를 조리실(10) 쪽으로 안내하는 증기공급관(33)이 배치된다. 증기공급관(33)의 일단은 스팀용기(31)에 연통되고, 타단은 증기분사유닛(50)의 연결부(53)와 결합된다.
한편 스팀용기(31)의 하부에는 스팀용기(31) 내부의 물을 조리실(10) 내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34)이 연결된다.
도 4는 도 2에서 Ⅰ-Ⅰ 방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열증기 공급장치(40)는 조리실의 양 측면판(13) 외측에 설치되는 히터케이스(41)와, 증기의 내부 순환을 위해 히터케이스(41)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42)과, 순환팬(42)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포화증기를 과열증기로 변화시키는 과열증기 히터(43)를 구비한다. 순환팬(42)은 복수의 날개를 가진 원심팬으로서 그 중심부근의 흡입측에서 증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을 배출하는데, 이와 같이 배출된 증기는 과열증기 히터(43)를 지나면서 열을 공급받아 과열증기로 변화된다.
조리실의 양 측면판(13)에는 조리실 내부 증기의 순환을 위한 다수의 유입공(13a)과 유출공(13b)이 구비된다. 유입공(13a)은 측면판(13)의 중심 부근, 다시 말해 순환팬(42)의 흡입측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유출공(13b)은 측면판(13)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10)의 내부로 고주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61)과 마그네트론(61)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62)를 구비하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가열조리장치를 작동시키면, 급수펌프(24)가 동작하여 물통(22)의 물이 급수관(23)을 통해 스팀용기(31)로 공급된다. 스팀용기(31)로 공급된 물은 스팀히터(32)에 의해 증발되어 증기가 되고, 이러한 증기는 증기공급관(33)을 통해 조리실(10) 쪽으로 안내된다. 조리실(10) 쪽으로 안내된 증기는 증기분사유닛(50)을 통해 조리실(10)내로 공급된다. 이 때 증기분사유닛(50)은 조리실(10) 중앙부를 향하는 연장부(51)에 의해 조리실(10) 중앙부 쪽으로 증기를 공급하므로 분사되는 증기가 음식물에 에너지를 전달하기 전에 그 주위에 위치된 조리실 측면판(13)과 닿아 응축되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조리실(10)로 공급된 증기를 더욱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순환팬(42)이 동작하여 조리실(10) 내의 증기를 히터케이스(41) 내로 흡입하여 과열증기 히터(43)로 가열한 후 다시 조리실(10)로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조리실 내로 공급되는 증기가 그 공급 과정에서 조리실 내측면과 닿아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증기의 응축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또 응축수가 흘러내리면서 조리실 내측면에 설치된 히터케이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조리실의 모서리 부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 내로 분사하는 증기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분사유닛은, 분사되는 증기가 상기 증기분사유닛 주위의 조리실 내측면과 닿지 않도록 상기 조리실 내에서 상기 조리실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상면판과 측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분사유닛은 상기 상면판과 측면판이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여 상기 상면판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조리실의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측면판에는 상기 조리실 내의 증기를 재가열하여 공급하기 위한 과열증기 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과열증기 공급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고정되는 히터케이스와, 증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히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순환팬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과열증기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5. 상면판, 바닥판, 측면판 및 후면판을 가지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로 공급될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장치;와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증기공급관;과
    상기 상면판이 상기 측면판 또는 후면판과 만나는 모서리나 상기 바닥판이 상기 측면판 또는 후면판과 만나는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증기공급관에 의해 안내된 증기를 상기 조리실 내로 분사하는 증기분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분사유닛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의 중앙부를 향해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KR1020050113168A 2005-11-24 2005-11-24 가열조리장치 KR20070054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68A KR20070054994A (ko) 2005-11-24 2005-11-24 가열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168A KR20070054994A (ko) 2005-11-24 2005-11-24 가열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994A true KR20070054994A (ko) 2007-05-30

Family

ID=3827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168A KR20070054994A (ko) 2005-11-24 2005-11-24 가열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49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355A (zh) * 2018-11-01 2019-02-15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烹饪装置的水循环结构
CN112704389A (zh) * 2021-01-28 2021-04-2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烤一体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355A (zh) * 2018-11-01 2019-02-15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烹饪装置的水循环结构
CN109330355B (zh) * 2018-11-01 2023-11-10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烹饪装置的水循环结构
CN112704389A (zh) * 2021-01-28 2021-04-2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烤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7092A1 (en) Overheated steam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KR20060006472A (ko) 가열조리장치
US7341055B2 (en) Overheated steam oven
JP4334201B2 (ja) 加熱調理器
KR100610670B1 (ko) 가열조리장치
KR101206657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715042B1 (ko) 가열조리장치
KR101136697B1 (ko) 조리기기
KR101520497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2022107A (ja) 過熱蒸気発生装置と該装置を利用した加熱装置、炭化乾留装置、過熱蒸気噴射装置及び調理器
KR100624080B1 (ko) 가열조리장치
KR100634795B1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KR20060129118A (ko) 가열조리장치
KR20070054994A (ko) 가열조리장치
CN114731743A (zh) 食品加热机
KR20110082794A (ko) 스팀발생장치
KR101593229B1 (ko)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JP4825743B2 (ja) 加熱調理器
KR100819080B1 (ko) 가열조리장치
JPH06272866A (ja) 複合型加熱装置
CN107374335B (zh) 一种电蒸锅
KR101668457B1 (ko) 전자레인지
JP200425147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29

Effective date: 2009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