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497B1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0497B1 KR101520497B1 KR1020090031529A KR20090031529A KR101520497B1 KR 101520497 B1 KR101520497 B1 KR 101520497B1 KR 1020090031529 A KR1020090031529 A KR 1020090031529A KR 20090031529 A KR20090031529 A KR 20090031529A KR 101520497 B1 KR101520497 B1 KR 101520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water
- heating space
- water supply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조리실로 공급되어 조리물의 조리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을 사용한 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스팀발생장치, 가열챔버, 스팀히터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란, 전기나 가스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보충 또는/및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조리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기능이 추가되는 조리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스팀을 사용한 조리가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용수가 가열되는 가열공간; 상기 가열공간에 스팀용수를 공급하며,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최대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급수구; 상기 가열공간에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 및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에 열을 제공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구를 통해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방향과,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는 방향은 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는, 챔버본체 및 상기 챔버본체에 체결되는 챔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가열공간,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구, 및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가 구비되는 가열챔버;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밀착리브; 및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중 나머지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가 체결되면 상기 밀착리브가 삽입되는 밀착홈을 포함하는 누설방지부재; 및 상기 가열챔버에 인서트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가열공간, 상기 가열공간의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구, 및 상기 급수구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일면에 고정되는 가열챔버; 적어도 상기 급수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가열챔버에 인서트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1개의 스팀히터; 및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최대수위가 상기 급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열공간에 스팀용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으로 공급되어 낙하하는 스팀용수가 상기 가열공간의 일측에 부딪혀서 튀어올라서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베리어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을 사용한 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캐비티(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01)은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상기 조리실(101)은 도어(미도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00)는, 어퍼플레이트(110), 바텀플레이트(120), 리어플 레이트(130) 및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10) 및 바텀플레이트(120)는 각각 상기 캐비티(100)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130)는 상기 캐비티(100)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는 상기 캐비티(10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티(100)는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어퍼플레이트(110) 및 바텀플레이트(120)는 각각 상기 조리실(101)의 천장 및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플레이트(130) 및 사이드플레이트(140)는, 상기 조리실(101)의 후면 및 양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어퍼플레이트(110) 및 사이드플레이트(140)를 아웃케이스가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케이스는 대략 ㄷ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것이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에는 조사개구(미도시) 및 다공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조사개구는 후술할 마그네트론(210)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조사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부(111)는 후술할 할로겐히터(260)의 에너지, 즉 빛 및 열을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어플레이트(130)에는 다수개의 흡입공(미도시) 및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은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에서 후술할 컨벡션챔버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고, 상기 배출공은 컨벡션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곳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101) 및 컨벡션챔버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 중 어느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면상 우측의 사이드플레이트(140)에는 다수개의 조리실배기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배기공(141)은 상기 조사개구를 통하여 마이크로웨이브와 함께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 중 어느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의 사이드플레이트(140)에는 스팀분사공(143)(도 6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분사공(143)은 후술할 스팀발생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캐비티(100)의 전단 및 후면에는 각각 프론트플레이트(150) 및 백플레이트(160)가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50)는, 상기 어퍼플레이트(110), 바텀플레이트(120) 및 사이드플레이트(140)의 전단에 그 이면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백플레이트(160)는 그 전면 일부가 상기 리어플레이트(130)의 후면 일부에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50) 및 백플레이트(160)는, 상하좌우방향으로 상기 캐비티(100)의 외측으로 더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상단부에는 연통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개구(161)는 상기 캐비티(100)의 상부와 후술할 전장실을 연통시킨다.
한편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후면에는 컨벡션커버(163) 및 인슐레이터(165)가 구비된다. 상기 컨벡션커버(163)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30)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130)의 후면과의 그 전면 사이에 컨벡션챔버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165)는 상기 컨벡션커버(163)를 차폐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130)의 후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후면에는 백커버(170)가 구비된다. 상기 백커버(170)는 적어도 상기 연통개구(161)를 포함하는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양측면 하단부에는 각각 다수개의 흡기구(171)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71)는 후술할 냉각팬(230)의 구동에 의하여 조리기기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8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는 그 상면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50), 백플레이트(160) 및 백커버(170)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내부에는 배기구(181)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181)는 냉각팬(230)의 구동에 의하여 조리기기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구(181)는, 예를 들면, 전체적으로 좌우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8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배기공(14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스팀이 응축되어 형성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기도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저면 모서리에는 레그(미도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에는 하우징장착부(183)가 형성된다. 상기 하 우징장착부(183)는, 상기 배기구(181)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일부가 상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장착부(183)에는, 후술할 탱크하우징(4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장착부(183)의 후단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백플레이트(160)의 후면, 상기 백커버(170)의 전면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상면 사이에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에는 다수개의 전장부품(210)(220)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230)이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에는 마그네트론(210)이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트론(210)은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조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킨다. 또한 상기 전장실에는 고압트랜스(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고압트랜스는 상기 마그네트론(210)으로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100)의 상면, 즉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에는 상기 마그네트론(21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웨이브가이드(2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230)은, 상기 마그네트론(210) 및 고압트랜스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230)은 조리실의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팬(230)은 2개의 팬 및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1개의 팬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팬으로는 그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출하는 시로코팬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은, 그 축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흡기부는 각각 상기 흡기구(171)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그 원주 일 부에 형성되는 배기부는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230)은 상기 냉각팬(230)은 상기 흡기구(17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 즉 상기 전장실을 향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에는 상기 냉각팬(2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냉각팬(230)으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베리어(231)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베리어(231)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장실을 상기 마그네트론(210) 및 고압트랜스를 포함하는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영역과 상기 냉각팬(230)이 설치되는 영역으로 구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베리어(231)에는 상기 냉각팬(230)의 배기부에 대응하는 배출개구(23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101)의 상부에는 어퍼히터(240)가 설치된다. 상기 어퍼히터(240)는 상기 조리실(101)에서의 조리물을 복사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한다. 상기 어퍼히터(240)로는 시즈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챔버의 내부에는 컨벡션히터(251) 및 컨벡션팬(253)이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히터(251)는 상기 조리실(101)에서의 조리물을 대류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한다. 상기 컨벡션팬(253)은 상기 조리실(101) 및 컨벡션챔버를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벡션팬이 구동하면, 상기 흡입공 및 배출공을 공기가 통하여 상기 조리실(101) 및 컨벡션챔버를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팬(253)에 의하여 상기 컨벡션히터(251)의 열이 상기 조리실(101)로 대류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팬(253)은 상기 컨벡션히터(251)의 동작과 별개로 스팀발생장치(300)의 동작여부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 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의 내부에는 컨벡션모터(255)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모터(255)는 상기 컨벡션팬(253)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컨벡션모터(255)도 상기 냉각팬(230)에 의하여 냉각된다.
한편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할로겐히터(260)가 설치된다. 상기 할로겐히터(260)는, 상기 다공부(11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빛 및 열을 제공한다. 상기 할로겐히터(260)는 히터서포터(261)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할로겐히터(260)에서 발생되는 빛 및 열을 상기 다공부(111)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63)가 상기 할로겐히터(260)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263)를 포함하는 상기 할로겐히터(260)는 히터커버(263)에 의하여 차폐된다.
또한 상기 어퍼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램프(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배기공(141)이 형성되는 도 1에서 도면상 우측의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는 배기덕트(27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덕트(270)는 상기 조리실배기공(14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즉 상기 조리실(101)을 순환하고 상기 조리실(101)의 외부로 공기를 상기 배기구(18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270)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배기공(141)을 차폐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270)의 저면에는 배출구(27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270)는 상기 조리실(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스팀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270)는, 상기 조리실(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배출구(271) 일부가 차폐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동단면적의 감소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덕트(270)에, 상기 배출구(271)의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리브(273)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리브(273)는, 상기 배출구(271) 상에 해당하는 상기 배기덕트(270)의 일측에서 상기 배기구(181)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저면에는 가이드덕트(28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덕트(280)는 상기 배기구(181)를 통하여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덕트(280)가 대략 상면 및 양측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18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조리기기의 양측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덕트(280)에는, 상기 조리실(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덕트(270)를 유동하면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덕트(280)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상기 배기구(181)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증발되거나, 상기 가이드덕트(280)의 양측단부를 통하여 흘러내릴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27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의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는 스팀발생장치(300)가 설치된다. 상기 스팀발생장 치(300)는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하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장착부(183)에는 탱크하우징(400)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하우징(400)은 적어도 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탱크하우징(400)이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급수탱크(50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탱크(500)의 내부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300)로 공급되는 스팀용수가 저장된다.
상기 바텀플레이트(120) 및 베이스플레이트(180) 사이에는 급수펌프(600)가 위치된다. 상기 급수펌프(600)는 상기 급수탱크(500)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상기 스팀발생장치(300)로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80)의 저면 전단부에는 응축수트레이(70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트레이(700)는 상기 캐비티(100)의 전면, 즉 상기 프론트플레이트(150)의 전면 및 후술할 도어(800)의 이면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응축수의 집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응축수트레이(700)의 전면은, 도어(800)가 상기 조리실(101)을 차폐한 상태에서, 도어(80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트레이(700)의 전면에는,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상기 급수탱크(500)가 통과하는 관통개구(701)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가 캐비티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팀발생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101)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팀발생장치(300)는, 가열챔버(310), 스팀히터(360), 온도센서(370) 및 과열방지부(38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챔버(310)에는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가열공간(301)이 구비된다. 상기 가열챔버(310)는 상기 캐비티(100)의 일측, 즉 도 1에서 도면상 좌측의 사이드플레이트(140)에 고정된다. 상기 가열챔버(310)는 챔버본체(320) 및 챔버커버(33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공간(301)은 상기 챔버본체(320) 및 챔버커버(33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열공간(301)의 형상 및 크기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가열공간(301)은 수평방향의 단면적에 비하여 수직방향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팀히터(360)에 의하여 가열되어 발생되는 스팀의 재가열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스팀히터(360)에 대한 설명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상기 챔버본체(320)는, 예를 들면, 일면의 일부가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챔버본체(32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챔버본체(320)는, 상기 챔버커버(330)와 함께 상기 가열공간(301)을 형성할 수만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본체(320)에는 다수개의 스팀배출구(321)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배출구(321)는 스팀이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배출구(321)를 통하여 스팀이 수평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된다. 상기 스팀배출구(321)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개구되는 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타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공간(301)과 연통된다. 상기 스팀배출구(321)가 반드시 상기 챔버본체(320)의 타면 상단부에 위치될 필요는 없으나, 적어도 후술할 급수구(331)에 비하여 상방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스팀배출구(321)는, 상기 가열챔버(310)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스팀분사공(143)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스팀배출구(321)가 형성되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타면에는 제2패킹안착리브(322) 및 스팀안내리브(3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패킹안착리브(322)는, 적어도 상기 스팀배출구(321)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폐곡선형상으로 상기 챔버본체(320)의 타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팀안내리브(323)는, 상기 스팀배출구(321)의 외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제2패킹안착홈(324)의 내면에서 돌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팀안내리브(323)는, 상기 가열챔버(310)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분사공(143)의 외주연에 인접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에 밀착될 것이다. 한편 실질적으로, 상기 제2패킹안착리브(322) 및 스팀안내리브(323) 사이에는 제2패킹안착홈(3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패킹안착 홈(324)에는 후술할 제2패킹부재(35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챔버본체(320)에는 다수개의 유동간섭부(325)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간섭부(325)는 상기 스팀배출구(321)를 통한 스팀의 배출을 간섭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간섭부(325)에 의하여 상기 스팀배출구(321)로의 배출이 간섭되는 스팀은 상기 스팀히터(360)에 의하여 재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간섭부(325)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공간(301)의 일부를 수평방향으로 차폐하는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간섭부(325)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부(325A) 및 상기 안내부(325A)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간섭부(325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유동간섭부(325)는 전체적으로 T자 또는 ┌ 또는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상기 챔버본체(320)의 내면에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간섭부(325)는 상기 스팀배출구(32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내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간섭부(325)가 상기 스팀배출구(321)의 하방에 상하2열로 배치된다. 이때 상하열을 각각 구성하는 상기 유동간섭부(325)의 안내부(325A)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되고, 동일한 열을 구성하는 상기 유동간섭부(325)의 간섭부(325B)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공간(301)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일면에는 밀착리브(326)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리브(326)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일면 일부가 전체적으로 폐곡선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리브(326)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일면에는 제1패킹안착홈(327)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패킹안착홈(327)은 후술할 제1패킹부재(340)가 안착되는 곳이다. 상기 제1패킹안착홈(327)은 상기 밀착리브(326)를 둘러싸도록 상기 챔버본체(320)의 일면 일부가 전체적으로 폐곡선형상을 이루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챔버본체(320)의 테두리면 일측에는 장착플랜지(328)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플랜지(328)는 상기 챔버본체(320)의 테두리면 일측에서 상기 챔버본체(32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장착플랜지(328)는 상기 과열방지부(380)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챔버본체(320)의 내면에는, 접촉부(326)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26)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와 상기 챔버본체(32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스팀히터(360)의 열이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부(326)가 상기 챔버본체(320)의 내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접촉부(326)는,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챔버커버(330)는 상기 챔버본체(32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이 상기 챔버본체(320)의 개구되는 일면에 밀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공간(30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최대수위는, 상기 급수구(301)의 하방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최대수위란, 상 기 스팀히터(360) 및 급수펌프(600)의 정상동작 하에서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수위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팀히터(360) 및 급수펌프(600)가 정삭적으로 동작한다면,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수위는, 상기 최대수위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최대수위값이 결정되는 것은,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상기 급수구(301)를 통하여 역류하거나 상기 가열공간(301)으로 스팀용수를 공급하는 상기 급수펌프(600)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챔버커버(330)에는 급수구(331)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구(331)가 상기 챔버커버(330)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 급수구(331)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 및 상기 스팀배출구(32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커버(330)의 어디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급수구(331)는, 상기 스팀배출구(321)를 통하여 스팀이 배출되는 방향과 적어도 교차되지 않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로 스팀용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커버(330)에는 급수관(332)이 구비된다. 상기 급수관(332)은 상기 가열공간(301)으로 스팀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관(332)이 대략 ㄱ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332)은, 상기 급수구(301)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유동방향이,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에서의 스팀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스팀배출구(321)를 통한 스팀의 배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향되도록 안내한다. 따라 서 상기 가열공간(301)을 유동하는 스팀이 상기 급수구(301)를 통하여 역류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332)은, 상기 스팀배출구(32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커버(330)의 일측, 예를 들면, 상기 챔버커버(330)의 중앙부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급수관(332)의 일단부는, 상기 챔버커버(330)가 상기 챔버본체(3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구(331)를 관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로 노출된다.(실질적으로는, 상기 급수관(332)의 일단부가 상기 급수구(331)를 형성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332)의 타단부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외부로 연장되어 후술할 제2급수튜브(603)의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로 스팀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관(332)이 사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챔버커버(330)에는 상기 급수구(331)만 형성되고, 상기 급수구에 급수를 위한 급수튜브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에는 베리어부(333)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부(333)는 상기 급수관(332)을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로 공급되어 중력에 의하여 낙하하는 스팀용수가 상기 가열공간(301)의 일측, 즉 상기 챔버본체(320) 또는/및 챔버커버(330)의 일측에 부딪혀서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리어부(333)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급수관(332)의 일단부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에서 상기 챔버본체(320)의 내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수평방향으로 상기 가열공간(301)의 일부를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332)을 통하여 상기 가열공 간(301)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용수의 낙하거리가 상기 베리어부(333)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됨으로써, 낙하하는 스팀용수가 튀어오르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에는 넘침방지부(334)가 구비된다. 상기 넘침방지부(334)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상기 스팀배출구(321)를 통하여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넘침방지부(334)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로 노출되는 상기 급수관(332)의 일단부 및 상기 유동간섭부(325)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내부를 일부를 차폐한다.
상기 넘침방지부(334)는 실질적으로 상기 가열공간(301)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넘침방지부(334)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일부를 포화영역(301A), 상기 넘침방지부(334)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일부를 과열영역(301B)이라 칭한다. 상기 포화영역(301A) 및 과열영역(301B)에 대해서는 상기 스팀히터(360)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에는 밀착홈(335)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홈(335)은 상기 밀착리브(326)에 형합되도록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커버(330)가 상기 챔버본체(3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홈(335)에는 상기 밀착리브(326)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챔버커버(330)의 전면에는 센서장착부(336)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장착부(336)가 상기 챔버본체(320)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332)이 상기 센서장착부(336)를 관통하지만, 상기 센서장착부(336)의 형상 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장착부(336)에는 상기 온도센서(370)가 삽입되는 센서삽입홀(337)이 형성된다.
상기 챔버본체(320) 및 챔버커버(330) 사이에는 제1패킹부재(3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패킹부재(340)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패킹부재(340)는, 상기 제1패킹안착홈(327)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챔버커버(330)의 이면이 상기 챔버본체(320)의 일면에 밀착되면, 상기 챔버본체(320)의 이면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제2패킹안착홈(324)에는 제2패킹부재(350)가 안착된다. 상기 제2패킹부재(350)는, 상기 스팀배출구(321) 및 스팀분사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되는 포화스팀 또는 과열스팀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0) 및 챔버본체(32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패킹부재(350)는, 상기 제2패킹안착홈(324)에 대응하는 형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패킹부재(350)에는, 상기 스팀안내리브(323)에 대응하는 연통홀(35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패킹부재(350)가 상기 제2패킹안착홈(3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패킹부재(350)의 테두리는 상기 제2패킹안착리브(322)에 밀착되고, 상기 연통홀(351)에는 상기 스팀안내리브(323)가 삽입된다.
상기 스팀히터(360)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상기 조리실(101)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를 위하여 상기 스팀히터(360)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양측단부 및 바닥부에 인접되게 위치되 도록 상기 챔버본체(320)에 인서트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히터(360)의 열은 상기 가열챔버(310), 즉 상기 챔버본체(320) 및 챔버커버(330)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스팀히터(360)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포화스팀을 형성하고, 포화스팀을 가열하여 과열스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화영역(301A)에 인접되는 상기 스팀히터(360)의 일부는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포화스팀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과열영역(301B)에 인접되는 상기 스팀히터(360)의 일부는 발생된 포화스팀을 재가열하여 과열스팀을 발생시킨다. 물론,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양이나 상기 스팀히터(360)의 출력 등에 따라서 상기 스팀히터(360)에 의하여 발생되는 (포화)스팀이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되거나 포화스팀이 재가열되어 발생되는 과열스팀이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370)는 상기 센서장착부(336),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삽입홀(337)에 삽입된다. 상기 온도센서(370)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온도, 실질적으로는, 상기 가열챔버(310)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센서(370)로는, 예를 들면, 써미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열방지부(380)는 상기 장착플랜지(328)에 장착된다. 상기 과열방지부(380)는, 상기 스팀히터(360)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과열방지부(380)는, 상기 온도센서(370)가 감지한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이면, 상기 스팀히터(360)로 공급되 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스팀히터(360)의 과열을 방지한다. 상기 과열방지부(380)로는, 예를 들면, 써모스텟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 급수탱크 및 급수펌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 급수탱크 및 급수펌프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탱크하우징(400), 급수탱크(500) 및 급수펌프(600)는, 가열챔버(310)로 스팀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급수탱크(500)가 스팀용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급수펌프(600)에 의하여 상기 급수탱크(500)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상기 가열챔버(310)의 가열공간(301)으로 공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후면에는 관통홀(40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401)은 후술할 탱크파이프(425)가 관통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401)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후면에는 연결관(403) 및 제3패킹부재(405)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403)은 탱크파이프(425)와 제1급수튜브(601)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관(403)은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장착부(183)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텀플레이트(120)와 베이스플레이트(180)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패킹부재(405)는, 탱크파이프(425) 및 상기 연결관(403) 사이의 틈새를 통한 스팀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탱크(500)는, 탱크본체(410), 탱크캡(420) 및 탱크핸들(430)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본체(410) 및 탱크캡(420)에 의하여 상기 가열챔버(310)로 공급되는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저수공간(401)이 형성된다.
상기 탱크본체(410)는 대략 상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탱크본체(410)가 상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상기 탱크본체(4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탱크본체(410)는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탱크캡(420)은, 상기 탱크본체(4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탱크본체(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탱크캡(420)에는, 상기 저수공간(401)으로 스팀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공(421)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공(421)은 급수캡(42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탱크캡(420)에는 탱크파이프(425)가 구비된다. 상기 탱크파이프(425)의 일단부는 상기 탱크본체(4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저수공간(401)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파이프(425)의 타단부는 상기 탱크캡(42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탱크파이프(425)는, 상기 급수탱크(500)가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401)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관(403)에 삽입된다.
상기 탱크핸들(430)은 상기 탱크본체(410)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탱크핸들(430)은 상기 급수탱크(500)를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외부로 출납하기 위하 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급수탱크(500)가 상기 탱크하우징(4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핸들(430)의 전면은, 상기 응축수트레이(700) 및 도어(80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600)는, 상기 연결관(403)과 제1급수튜브(601)에 의하여 연결되고, 급수관(332)과 제2급수튜브(603)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펌프(600)가 동작하면, 상기 급수탱크(500)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펌핑되어 가열챔버(3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펌프(600)는, 상기 스팀히터(360)의 출력을 고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최대수위가 상기 급수구(301)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열공간(301)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의 양을 조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리실(101)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하여 제어가능한 구성요소로는, 어퍼히터(240), 할로겐히터(260), 컨벡션히터(251), 컨벡션팬(253), 마그네트론(210), 스팀히터(360), 급수펌프(600) 및 램프(미도시)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히터(36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370) 및 과열방지부(380)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각종 구성요소는 제어부(C)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어퍼히터(240), 할로겐히터(260), 컨벡션히터(251) 및 마그네트론(210) 등이 단독으로 사용되어 상기 조리실(10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 즉 상기 조리 실(101)로 스팀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본 발명의 관심대상이 아니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조리실(101)로 스팀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C)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히터(360)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101)로 스팀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퍼히터(240) 및 할로겐히터(260) 중 적어도 1개를 동작시킨다. 이는,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된 스팀이 상기 할로겐히터(260)의 빛 및 열을 상기 조리실(101)로 전달하기 위한 다공부(111)를 통하여 상기 할로겐히터(260), 특히 상기 할로겐히터(260)의 봉지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어퍼히터(240) 및 할로겐히터(260) 중 적어도 1개의 동작시간은, 적어도 상기 스팀히터(360)의 동작시간과 일부가 중첩된다. 또한 상기 어퍼히터(240) 및 할로겐히터(260) 중 적어도 1개는, 적어도 상기 스팀히터(360)의 동작의 종료와 동시 또는 종료된 후 종료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히터(240) 및 할로겐히터(260) 중 적어도 1개의 동작에 의하여 스팀이 증발됨으로써, 상기 다공부(111)를 통하여 스팀이 상기 할로겐히터(260)로 전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스팀히터(360)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101)로 스팀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벡션히터(251)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상기 컨벡션모터(255)를 동작시킨다. 이는,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101)을 고르게 순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컨벡션모터(255)에 의하여 컨벡션팬(253)이 동작됨으로써, 상기 조리실(101)에서 공기가 순환하여 실질적으로 스팀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컨벡션모터(255)의 동작시간은, 적어도 상기 스팀히터(360)의 동작시간과 일부가 중첩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모터(255)는, 적어도 상기 스팀히터(360)의 동작의 종료와 동시 또는 종료된 후 종료된다. 물론, 상기 조리실(101)에서의 조리물의 조리에 상기 컨벡션히터(251)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벡션히터(251)도 동작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에서 스팀을 사용한 조리물의 조리를 설명한다.
스팀을 사용한 조리의 경우에는, 조리실(101)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하여 각종 가열원 중 적어도 1개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그리고 스팀발생장치(300)가 동작되어 상기 조리실(101)로 스팀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300)가 동작되면, 상기 가열원 중 적어도 어퍼히터(240) 및 할로겐히터(260) 중 1개가 동작된다. 이는 다공부(111)를 통하여 누설되는 스팀이 상기 할로겐히터(260)의 봉지부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컨벡션히터(251)의 동작과 무관하게 컨벡션팬(253)의 구동을 위한 컨벡션모터(255)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101)의 내부의 공기가 순환된다. 이는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되는 스팀이 상기 조리실(101)에 고르게 퍼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조리실(101)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급수펌프(600)가 동작되어 급수탱크(500)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챔버(310)의 내부, 즉 가열공 간(301)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탱크(500)에 저장된 스팀용수는, 상기 급수펌프(600)의 동작에 의하여 급수구(331)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급수구(331)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바닥면에 부딪히기 전에 상기 급수구(331)의 하방에 위치되는 베리어부(333)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구(331)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가 상기 가열공간(301)의 바닥면에 부딪혀서 과도하게 튀어오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펌프(600)에 의한 상기 가열공간(301)으로의 스팀용수의 공급과 동시에 스팀히터(360)가 동작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한다. 이때 상기 스팀히터(360)의 열은, 상기 가열챔버(310)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챔버(310)의 내면에 형성되는 접촉부(326)에 의하여 상기 가열챔버(310) 및 스팀용수의 접촉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스팀히터(360)의 열이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스팀히터(360)에 의하여 가열되는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끓어 넘쳐서 스팀배출구(321)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은 넘침방지부(334)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히터(360)가 동작하여 상기 가열공간(301)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포화스팀 및 과열스팀이 발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넘침방지부(334)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기 가열공간(301)의 하부, 즉 포화영역(301A)에서는 스팀용수의 가열에 의하여 포화스팀이 발생되고, 상기 가열공간(301)의 상부, 즉 과열영역(301B)에서는 상기 포화영역(301A)으로부터 전달된 포화스팀의 가열에 의하여 과열스팀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과열영역(301B)에서 포화스팀 또는 과열스팀은 유동간섭부(325)에 의하여 그 유동이 간섭받음으로써, 상기 스팀히터(360)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포화 및 과열)스팀은 상기 스팀배출구(321) 및 스팀분사공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101)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스팀배출구(321)를 통하여 배출되는 스팀은, 제2패킹부재(350)에 의하여 캐비티(100)의 측면 및 상기 가열챔버(310)의 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01)에서 스팀을 사용한 조리물의 효율적인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원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101)에서 조리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물이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건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사용하여 조리실에 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리과정에서 조리물 스팀이 공급됨으로써, 조리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조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포화스팀 및 과열스팀을 사용한 조리물의 조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포화스팀 뿐만 아니라 과열스팀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가열챔버에 저장된 스팀용수의 누수 및 상기 가열챔버에서 조리실로 공급되는 스팀의 누설이 패킹부재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스팀을 사용한 조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동작되면, 컨벡션히터와 별개 또는 함께 컨벡션팬이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보다 고르게 순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동작되면, 다공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누설되는 스팀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시즈히터 또는/및 할로겐히터가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다공부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스팀이 누설되어 각종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팀발생장치가 캐비티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 급수탱크 및 급수펌프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Claims (22)
- 스팀용수가 가열되는 가열공간;상기 가열공간에 스팀용수를 공급하며,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최대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급수구;상기 가열공간에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된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 및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에 열을 제공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며,상기 급수구를 통해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방향과,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는 방향은 서로 동일한 스팀발생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으로 공급되어 낙하하는 스팀용수가 상기 가열공간의 일측에 부딪혀서 튀어올라서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베리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팀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스팀용수가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하여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넘침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넘침방지부재는, 상기 가열공간에서 스팀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열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열공간을, 상기 스팀히터에 의하여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포화스팀이 발생되는 포화영역 및 상기 스팀히터에 의하여 상기 포화영역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포화스팀이 가열되어 과열스팀이 발생되는 과열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가열공간에서 스팀이 유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열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팀이 상기 스팀히터에 의하여 재가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한 상기 스팀의 배출을 간섭하는 적어도 1개의 간섭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 챔버본체 및 상기 챔버본체에 체결되는 챔버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사이에 형성되어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가열공간,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구, 및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가 구비되는 가열챔버;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중 어느 일방에 구비되는 밀착리브; 및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중 나머지 타방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가 체결되면 상기 밀착리브가 삽입되는 밀착홈을 포함하는 누설방지부재; 및상기 가열챔버에 인서트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 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구를 통해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방향과,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해 스팀이 배출되는 방향은 서로 동일한 스팀발생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누설방지부재는, 상기 챔버본체 및 챔버커버 사이에 위치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상기 조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가열공간, 상기 가열공간의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구, 및 상기 급수구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일면에 고정되는 가열챔버;적어도 상기 급수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가열챔버에 인서트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1개의 스팀히터; 및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최대수위가 상기 급수구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열공간에 스팀용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 를 포함하며,상기 급수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으로 공급되어 낙하하는 스팀용수가 상기 가열공간의 일측에 부딪혀서 튀어올라서 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베리어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구를 통하여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관은, 스팀용수의 유동방향이,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서의 스팀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한 스팀의 배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향되도록 안내하는 조리기기.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관은, 스팀용수의 유동방향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향되도록 안내하는 조리기기.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구 및 스팀배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스팀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스팀용수가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하여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넘침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구 및 스팀배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공간을 서로 일부가 연통되는 포화영역 및 과열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구 및 스팀배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가열공간의 내부에는, 스팀이 상기 스팀히터에 의하여 재가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배출구를 통한 스팀의 배출을 간섭하는 적어도 1개의 간섭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펌프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열챔버로 공급되는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급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도어의 여닫힘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티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기.
- 제 20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캐비티의 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탱크하우징의 내외부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1529A KR101520497B1 (ko) | 2009-04-10 | 2009-04-10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1529A KR101520497B1 (ko) | 2009-04-10 | 2009-04-10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2966A KR20100112966A (ko) | 2010-10-20 |
KR101520497B1 true KR101520497B1 (ko) | 2015-05-14 |
Family
ID=4313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1529A KR101520497B1 (ko) | 2009-04-10 | 2009-04-10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049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7027A1 (en) * | 2017-05-25 | 2018-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team cooker |
CN110944549A (zh) * | 2017-05-25 | 2020-03-31 | 三星电子株式会社 | 蒸汽烹调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47961B2 (en) | 2013-09-27 | 2018-08-14 | Lg Electronics Inc. |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
KR102132473B1 (ko) * | 2013-09-27 | 2020-07-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
KR102132480B1 (ko) * | 2013-09-27 | 2020-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조리기기 |
CN104739231B (zh) * | 2015-03-31 | 2017-01-18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蒸箱的水箱结构 |
CN106580111B (zh) * | 2016-12-29 | 2023-09-15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水箱及应用有该水箱的蒸制烹饪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0244Y1 (ko) * | 2006-04-07 | 2006-07-03 | (주)한국하비비 | 스팀 발생 장치 |
KR100610670B1 (ko) * | 2005-05-13 | 2006-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열조리장치 |
KR100824006B1 (ko) * | 2006-12-29 | 2008-04-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
-
2009
- 2009-04-10 KR KR1020090031529A patent/KR1015204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670B1 (ko) * | 2005-05-13 | 2006-08-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열조리장치 |
KR200420244Y1 (ko) * | 2006-04-07 | 2006-07-03 | (주)한국하비비 | 스팀 발생 장치 |
KR100824006B1 (ko) * | 2006-12-29 | 2008-04-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7027A1 (en) * | 2017-05-25 | 2018-11-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team cooker |
CN110944549A (zh) * | 2017-05-25 | 2020-03-31 | 三星电子株式会社 | 蒸汽烹调器 |
US11149962B2 (en) | 2017-05-25 | 2021-10-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team cooker |
US11846430B2 (en) | 2017-05-25 | 2023-12-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team coo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2966A (ko) | 2010-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36198B1 (en) | Steam generator for cooker | |
KR101520497B1 (ko)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2362013B1 (ko)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 |
KR101206657B1 (ko)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136697B1 (ko) | 조리기기 | |
US20110147376A1 (en) | Cooking device | |
RU2566892C2 (ru) | Ва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20060006472A (ko) | 가열조리장치 | |
KR101593229B1 (ko) |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1307659B1 (ko) |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 |
KR101724696B1 (ko) |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
KR100802019B1 (ko) |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 |
KR102512751B1 (ko) | 조리기기 | |
KR100633173B1 (ko) |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 |
KR100819080B1 (ko) | 가열조리장치 | |
KR20100112338A (ko) | 스팀조리기기 | |
JP2010038374A (ja) | 加熱調理器 | |
KR100780335B1 (ko) | 가열조리장치 | |
KR20110020597A (ko) | 컨벡션 전자레인지 | |
KR20040053891A (ko) | 전기 오븐 레인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