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473B1 -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473B1
KR102132473B1 KR1020130114895A KR20130114895A KR102132473B1 KR 102132473 B1 KR102132473 B1 KR 102132473B1 KR 1020130114895 A KR1020130114895 A KR 1020130114895A KR 20130114895 A KR20130114895 A KR 20130114895A KR 102132473 B1 KR102132473 B1 KR 10213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pace
chamber
inter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618A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473B1/ko
Priority to CN201410497683.6A priority patent/CN104515122B/zh
Priority to US14/499,448 priority patent/US10047961B2/en
Publication of KR2015003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618A/ko
Priority to US15/921,824 priority patent/US108304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473B1/ko
Priority to US17/063,854 priority patent/US11739949B2/en
Priority to US18/219,299 priority patent/US2023034956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스팀의 생성을 위한 용수의 튀어 오름 현상과 끓어 넘침 현상이 방지되면서,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가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케이스와 스팀커버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에 장착되어 스팀 생성을 위하여 용수를 가열하는 스팀히터;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용수와 스팀의 상방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재;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용수의 공급 통로를 제공하는 급수구; 및 상기 스팀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일측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오염이 방지되면서, 청소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스팀의 생성을 위한 용수의 튀어 오름 현상과 끓어 넘침 현상이 방지되면서,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가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섭취 가능한 상태로 요리하는 주방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기조리기기와 가스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조리기기에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기를 열원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장착되며, 상기 가스조리기기에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형태에 따라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가열하는 오븐의 형태와,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이 담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레인지의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복합적인 형태를 가지는 조리기기 즉, 오븐의 형태와 레인지의 형태가 결합된 오븐레인지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가열원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열원으로는 마이크로파를 수납된 음식물에 조사하여 가열하는 마그네트론 또는 공급되는 전원의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하는 히터 또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생성되는 화염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근래에는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상기 가열원이 둘 이상 장착되는 형태의 조리기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마그네트론과 히터가 장착되는 형태 또는 히터와 버너가 장착되는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요리 시간의 단축과 요리 공간의 청소 등을 위한 스팀이 공급되는 조리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스팀은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될 때, 음식물을 가열하는 기능과, 음식물의 건조를 방지하는 기능과, 음식물이 요리될 때 오염되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스팀용수가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으로 끓어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조리실의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청소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2966호에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상기 공개특허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스팀을 사용한 조리가 가능한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구성이 개시된다.
상기 공개특허에는 스팀용수가 저장되는 가열공간;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가 공급되고,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되는 스팀용수의 최대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급수구;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스팀용수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스팀이 배출되고, 상기 급수구의 상방에 위치되는 스팀배출구; 및 상기 가열공간에 저장된 상기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발생시키는 1개의 스팀히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구성이 개시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특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보충 또는/및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음식물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기능이 효율적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스팀은 음식물을 요리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의 상태의 만족도 향상과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의 청소성 향상 및 오염 방지와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스팀의 구성이 중요한 사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팀용수의 끓어 넘침과 조리실의 오염이 방지되는 스팀발생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가열면적이 증가하면서 효율적인 스팀의 생성이 가능한 스팀발생장치가 장착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케이스와 스팀커버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에 장착되어 스팀 생성을 위하여 용수를 가열하는 스팀히터;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구;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재; 및 상기 스팀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은,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가열되는 용수가열공간; 상기 용수가열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수가열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가열되는 스팀가열공간; 및 상기 스팀가열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팀가열공간을 통과하는 스팀을 과열하는 스팀과열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는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용수가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스팀가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간섭부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팀 또는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와, 상기 간섭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수와 스팀의 유동을 안내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일측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용수가 가열되는 공간에 스팀 또는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구역에 상기 스팀용수가 공급되는 급수구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배출구를 통해 스팀용수의 끓어 넘침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출구를 통한 스팀용수의 끓어 넘침이 방지됨으로써 스팀용수의 끓어 넘침에 의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리실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조리실의 청소를 위한 사용자의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시간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조리실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조리실의 오염이 방지됨으로써 요리되는 음식물의 오염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 위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전방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후방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커버를 나타낸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를 나타낸 반투명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에서 스팀의 유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를 첨부되는 예시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에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될 수는 없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한 용어이므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첨부되는 도면의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부분 확대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조리기기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사각상자 형태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구(球)의 형태로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나, 안전성 및 기능성을 위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을 직접 조작하거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30)에 의해 외관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플레이트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면서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와, 상기 하면플레이트와 하단부가 결합되면서 전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 및 상면과 양 측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하단부가 상기 하면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외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중앙 부분에는 외부 공간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투시창(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전면 상반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핸들(22)이 장착되고, 상기 도어핸들(22)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도어(20)의 상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가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직접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31)과,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창(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회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40)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40)의 외측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실(40)의 외측에는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복사열을 발산하는 히터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함께 장착되면서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이다.
상기 조리실(40)의 일면 상세하게는, 상기 마그네트론과 히터 등이 장착되는 공간과 다른 공간에는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은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요리되는 음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상기 조리실(40)의 외 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위치에 장착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상기 조리실(40)과 다소 멀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조리실(40) 가까이 위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스팀의 생성에 필요한 스팀용수가 수용되는 스팀탱크(미도시)는 상기 조리실(40)의 하면 또는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팀탱크는 열과 습기에 강한 소재로 형성되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스팀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탱크가 상기 스팀발생장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스팀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팀용수펌프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팀탱크가 별도로 장착되지 않고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스팀용수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와 급수장치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급수장치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조리기기의 설치 위치가 제한될 수 있어, 스팀탱크를 장착하는 구성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전방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후방 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케이스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커버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반투명도가 도시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케이스(60)와 결합하여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스팀커버(70)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스팀챔버(50)라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는 구성을 스팀챔버(50)라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의 사이에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용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개방된 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며, 상기 스팀케이스(60)의 개방된 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패킹부재홈(미도시)에 안착되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물의 누설이 방지되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케이스(60)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다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면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개방되고, 개방되는 일면에 상기 스팀커버(70)가 결합되면서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여,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팀커버(70)가 상기 스팀케이스(6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차폐되면서 스팀의 생성을 위한 공간 즉,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물론, 상기 스팀케이스(6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스팀커버(70)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스팀케이스(60)는 그 형상 또는 크기에 제한이 없으나,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좌우 방향의 단면적에 비하여 상하 방향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다음에 설명하는 스팀히터(64)에 의해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의 재가열 효율을 증진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스팀챔버(5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스팀케이스(6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되는 다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일면에는 상기 스팀커버(70)가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적어도 두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두 공간은 스팀의 발생을 위한 스팀용수가 수용되어 가열되는 용수가열공간(61)과,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가열된 스팀용수가 스팀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되는 스팀가열공간(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은 포화 증기 형태의 스팀이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가열되는 스팀가열공간(62)과, 포화 증기 형태의 스팀이 가열되면서 과열 증기 형태로 형성되는 스팀과열공간(6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 가장 하반부에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상측에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의 상측에 상기 스팀과열공간(63)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장 하반부에 위치하는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스팀용수가 가열되면서 스팀이 생성되고, 생성된 스팀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계속 가열되며, 가열된 상태의 스팀은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상기 스팀용수가 가열되면서 생성되는 포화 증기의 형태로 유동하게 되고, 계속 가열되면서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가열된 상태에서 더 가열되면서 과열 증기의 형태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되면서, 공급되는 스팀용수를 고온의 과열증기 형태의 과열스팀을 생성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용수가열공간(61)과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내부에서 스팀이 발생되면서 스팀의 유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스팀을 계속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나, 과열 증기 형태의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세 공간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은 적어도 두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이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의 구성은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람직한 구성인 세 공간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팀챔버(50)에는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터(64)가 장착된다. 상기 스팀히터(64)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시키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용수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스팀용수는 상기 스팀히터(64)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증기의 형태로 상 변화된다.
상기 스팀히터(64)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스팀챔버(50)에 전달하여,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스팀용수와 증기 형태의 스팀을 가열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는 상기 스팀히터(64)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스팀챔버(50)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의 형태로 변환된다.
상기 스팀히터(64)는 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장착되면서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용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팀히터(64)는 상기 스팀챔버(50)의 양 측면과 바닥 부분에 인접되도록 장착되면서 상기 스팀챔버(50)의 외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히터(64)에서 발산되는 열은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로 전달되면서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용수로 전달되므로,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는 열 전도율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스팀히터(64)가 상기 스팀챔버(50)의 양 측면과 바닥 부분에 인접되도록 장착되면서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스팀용수를 가열하여 포화 증기 형태의 스팀을 생성하고, 상방으로 유동하는 포화 증기 형태의 스팀을 더 가열하여 과열 증기 형태의 과열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의 양이나 상기 스팀히터(64)의 출력 등에 따라 상기 스팀히터(64)에 의해 가열되면서 생성되는 스팀은 포화 증기 상태의 스팀으로 상기 조리실(40)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포화 증기 상태의 스팀이 더 가열되어 과열 증기 상태의 스팀으로 상기 조리실(4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40)의 일 측면 상세하게는 상기 스팀챔버(50)가 장착되는 측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팀챔버(50)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스팀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스팀홀을 통해 상기 스팀챔버(50)에서 생성되는 스팀은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챔버(50)에는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상기 조리실(40)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케이스(60)가 상기 조리실(40)의 외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4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기 스팀홀과 연통되도록 배출구(도 4의 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65)는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을 상기 스팀홀을 통해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65)를 통과하는 스팀은 수평 방향으로 배출되면서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65)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상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스팀과열공간(63)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구(65)는 상기 조리실(40)의 외면과 접하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외면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외면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입되는 과열 증기 형태의 스팀이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스팀히터(64)에 의해 더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65)를 통해 상기 조리실(4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과열공간(6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65)는 적어도 다음에 설명할 급수구(74)보다는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유입되는 스팀용수가 가열되면서 스팀을 생성하고, 포화 증기 형태의 스팀을 더 가열하여 과열 증기 형태의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급수구(74)보다 더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65)가 형성되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일면에는 상기 배출구(65)에서 배출되는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착부재가 더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밀착부재의 지지를 위한 지지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65)가 형성되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일면에는 상기 스팀케이스(60)를 상기 조리실(40)의 외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미도시)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상기 용수와 스팀의 유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스팀가열공간과 상기 스팀과열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팀가열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케이스(60)에 형성되는 구획부재(6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커버(70)에 형성되는 안내부재(73)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구획부재(66)와 상기 안내부재(73) 모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구획부재(66)와 상기 안내부재(73)는 다음에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한부재에는 상기 스팀의 유동을 위한 유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를 향하여 상기 스팀의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통로는 상기 제한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홀을 형성하여 상기 스팀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이격 형성되어 상기 스팀의 상하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스팀챔버(50)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경우, 일정 부분에 홀을 형성하여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스팀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스팀케이스(60) 또는 상기 스팀커버(7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스팀커버(70) 또는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접하지 않도록 이격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상기 스팀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스팀가열공간(62)과 상기 스팀과열공간(63)을 구획하는 구획부재(66)와, 상기 스팀가열공간(62)에서 상기 스팀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73)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구획부재(66) 또는 상기 안내부재(73)로만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스팀과열공간(63)을 정의하는 구획부재(66)가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재(66)에 의해 상기 스팀과열공간(63)은 상기 스팀가열공간(62)과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획부재(66)에 의해 상기 스팀과열공간(63)의 하면이 정의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구획부재(66)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재(66)는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부터 스팀이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동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스팀커버(70)와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부재(66)는 상기 스팀케이스(60)와 상기 스팀커버(70)가 결합될 때 상기 스팀커버(70)와 접하지 않도록 그 끝 부분과 상기 스팀커버(70)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구획부재(66)가 상기 스팀커버(70)의 일면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팀커버(70)와 상기 구획부재(66)의 간격 사이로 상기 스팀가열공간(62)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스팀가열공간(62)에서 생성되는 스팀은 상기 구획부재(66)의 하면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상기 스팀이 안내되면서 상기 통로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재(66)와 상기 안내부재(73)에 형성되는 상기 스팀의 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팀의 유동 경로가 연장되고, 이에 따라, 스팀의 가열 시간이 증가하면서 효율적인 포화증기 형태의 과열증기 생성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통로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됨으로써 스팀용수가 공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용수의 튀어 오름 또는 끓어 넘침이 더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는 간섭부재(67)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부재(67)는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다수 형성되면서 상기 스팀용수와 스팀의 유동을 간섭하여 유동 시간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67)에 의해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급수되는 상기 스팀용수가 끓어 넘치는 형상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급수구(74)가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간섭부재(67)가 상기 급수구(74)와 이격 형성되는 경우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급수되는 상기 스팀용수가 급수될 때 상기 스팀히터(64)에 의해 가열되고 있는 경우 스팀용수가 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간섭부재(67)가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급수되는 스팀용수가 상방으로 튀어오르는 현상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구(74)는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간섭부재(67)에 의해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급수되는 스팀용수의 튀어오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섭부재(67)는 상기 스팀 또는 스팀용수의 상방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671)와, 상기 스팀 또는 스팀용수의 상방 또는 하방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부(6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부(671)는 일정 정도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전후 방향 즉, 상기 스팀커버(70)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부(671)는 도면에서 볼 때 우측방에서 보면, 대략 "-"의 형태를 가지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672)는 대략 "|" 의 형태를 가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가열되는 용수와 용수의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은 상기 안내부(672)에 의해 상방 유동이 안내되면서, 상기 간섭부(671)에 의해 상방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 간섭부(671)에 의해 상방 유동이 제한되는 상기 용수와 스팀은 상기 안내부(672)에 의해 하방 유동이 안내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672)에 의해 상방 유동이 안내되는 스팀용수와 스팀은 상기 간섭부(671)의 면적에 의해 상방 유동이 제한되고, 상방 유동이 제한되는 스팀용수와 스팀은 상기 안내부(672)에 의해 다시 하방 유동이 안내되면서 상기 간섭부(671)의 하면과 상기 안내부(672)의 측면 사이에는 스팀용수와 스팀의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와류에 의해 스팀용수와 스팀은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위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스팀히터(64)에 의해 더욱 가열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간섭부재(67)에 의해 상방 유동 제한과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스팀용수와 스팀이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위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팀용수와 스팀은 더욱 가열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간섭부재(67)는 다수 형성되고,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는 서로 다른 간섭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상기 간섭부재(67)가 다수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고,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기 간섭부재(67)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유로를 따라 스팀용수와 스팀이 상방 유동함으로써 일정한 유동 거리를 가지게 된다.
상기 간섭부재(67)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팀용수와 스팀의 상방 유동거리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고,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위치하는 시간 동안 더 가열되어 스팀의 생성과 공급이 더 효율적으로 진행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부재(67)는 다수 개가 상대적으로 상측 열과 하측 열로 형성되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용수가열공간(61)과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되는 공간을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이라 할 수 있고,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을 그 외 공간 상세하게는,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다수 형성되는 상기 간섭부재(67)는 서로 다른 간섭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과 용수의 상방 유동을 간섭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고, 서로 다른 간섭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과 용수가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면서 스팀과 용수의 상방 유동이 불균일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스팀과 용수가 불균일하게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면, 용수와 스팀이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보다 더 오랜 시간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열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간섭부재(67)에 의해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오랜 시간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간섭부재(67)와 접촉 면적과 시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기 간섭부재(67)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더욱 가열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됨으로써 스팀용수 또는 스팀의 가열 면적이 증가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상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하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는 양측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여 상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의 상호 간격이 1.0밀리미터로 형성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의 상호 간격이 1.2밀리미터로 형성되어, 상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의 상호 간격과, 하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의 상호 간격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의 상호 간격과, 하측 열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67) 상호 간격이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방으로 유동하는 상기 스팀과 용수의 유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팀과 용수의 유로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팀과 용수의 가열 시간과 가열 면적이 증가하는 장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간섭부재(67)가 상하 2열로 배치되면서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2열이 아닌 3열 또는 4열로 배치되면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간섭부재(67)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상기 스팀케이스(60)의 개방된 면에는 상기 스팀커버(70)가 결합된다. 상기 스팀커버(7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와 결합하여 상기 스팀케이스(60)의 개방된 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스팀커버(70)에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7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71)는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위치되는 상기 스팀커버(70)의 외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온도센서(71)가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외측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수용되는 스팀용수의 온도, 실질적으로는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71)는 서미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커버(70)에는 상기 온도센서(71)의 장착을 위한 센서장착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72)는 상기 용수가열공간(61)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장착부(72)에 장착되는 상기 온도센서(7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서장착부(72)는 상기 온도센서(71)를 지지하면서 다음에 설명할 급수구(도 4의 74)를 보호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장착부(72)는 상기 스팀커버(70)의 외면에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71)가 지지되는 부분과, 상기 급수구(74)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센서장착부(72)가 상기 온도센서(71)와 상기 급수구(74)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구(74)는 상기 스팀탱크와 연결되는 급수호스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급수구(74)가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도록 파이프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급수구(74)가 파이프 형태가 아닌 홀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급수호스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급수구(74)는 상기 급수호스와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할 것이므로, 그 형태와 크기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두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케이스(60) 또는 상기 스팀커버(70)에는 과열방지부(미도시)가 더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과열방지부는 상기 스팀히터(64)의 과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과열방지부는 상기 온도센서(71)가 감지한 온도가 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이면, 상기 스팀히터(6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스팀히터(64)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열방지부는 써모스탯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커버(70)에는 상기 안내부재(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73)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73)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의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의 끝 부분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가열공간(62)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스팀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73)에 의해 하방에서 유동하는 스팀이 안내되면서 유로가 전환된 다음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안내부재(73)의 하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안내부재(73)와 상기 스팀가열공간(62) 사이 간격 즉, 상기 통로 방향으로 유로가 전환된다.
상기 안내부재(73)와 상기 스팀가열공간(62) 사이 간격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상기 구획부재(66)에 의해 다시 한번 유동이 제한되면서 유동 방향이 전환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73)에 의해 상기 스팀의 상방 유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스팀가열공간(62)에서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하는 스팀의 유동 속도가 느려져 스팀의 가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73)에 의해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상기 스팀가열공간(62)을 통과할 때, 유로가 전환되어 유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스팀의 유동 거리 증가로 인해 스팀의 가열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스팀용수가 공급되면서 튀어 오르는 스팀용수가 상기 안내부재(73)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스팀용수가 튀어 오르거나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스팀커버(70)의 하측에는 상기 급수구(7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급수구(7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급수호스와 체결되어 스팀용수를 상기 용수가열공간(61)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급수구(74)는 상기 스팀커버(70)가 상기 스팀케이스(60)에 체결될 때,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되는 범위 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팀커버(70)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급수구(74)는 급수되는 용수의 유동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용수가열공간(61)으로 용수가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급수구(74)가 상기 용수가열공간(61)으로 용수를 안내하게 됨으로써, 용수는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유동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구(74)가 상기 용수가열공간(61)으로 용수의 유입을 안내하면서,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에서 용수의 유동 거리가 최소화되고, 상기 급수구(74)가 상기 간섭부재(67)가 형성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급수되는 스팀용수가 상기 스팀히터(64)의 가열에 의해 튀어 오르는 현상이 1차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73) 및 상기 구획부재(66)에 의해 스팀용수의 끓어 넘침과 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배출구(65)를 통해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스팀발생장치에서 생성되는 스팀의 유동 경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된다.
상기 급수구(74)를 통해 상기 스팀용수가 상기 용수가열공간(61)으로 공급되면, 상기 스팀히터(6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서 스팀용수의 가열에 의해 포화 증기 형태의 스팀이 생성되고, 생성된 스팀은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수가열공간(61)으로 공급되는 스팀용수는 상기 간섭부재(67)에 의해 끓어 오름 또는 튀어 오름 현상이 1차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간섭부재(67)의 면적만큼 상기 스팀케이스(6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상기 스팀히터(64)에서 전달되는 열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방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상기 간섭부재(67)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면서, 상기 용수가열공간(61)에 위치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계속적으로 가열된다.
상기 스팀가열공간(62)으로 유동하면서 계속 가열되는 스팀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안내부재(73)에 의해 다시 한번 그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안내부재(73)와 상기 스팀케이스(60) 사이 간격인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안내부재(73)와 상기 구획부재(66)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73)와 상기 구획부재(66)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는 상기 스팀은 상기 구획부재(66)의 하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구획부재(66)와 상기 스팀커버(70) 사이 간격인 상기 통로를 통해 상기 스팀과열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스팀은 상기 안내부재(73)에 의해 유로가 한번 전환되고, 상기 구획부재(66)에 의해 한번 더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은 유로의 전환에 의해 유동 속도의 저하와 유동 거리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더 가열되어 과열 증기의 형태로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부재(73)와 상기 스팀케이스(60)의 내부 공간 사이를 통과한 스팀은 상기 구획부재(66)와 상기 스팀커버(70) 사이 공간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스팀은 과열 증기의 형태로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스팀과열공간(63)으로 유동되는 스팀은 상기 배출구(65)를 통해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65)를 통과하는 스팀은 그 유동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유동 속도가 빨라지는 스팀은 상기 배출구(65)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실(4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때 더욱 넓은 범위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스팀용수의 끓어 넘침 현상과 튀어 오름 현상에 의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스팀용수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의 생산 및 제조, 판매를 위한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케이스 20. 도어
21. 투시창 22. 도어핸들
30. 디스플레이부 31. 버튼
32. 디스플레이창 40. 조리실
50. 스팀챔버 60. 스팀케이스
61. 용수가열공간 62. 스팀가열공간
63. 스팀과열공간 64. 스팀히터
65. 배출구 66. 구획부재
67. 간섭부재 70. 스팀커버
71. 온도센서 72. 센서장착부
73. 안내부재 74. 급수부

Claims (18)

  1. 스팀케이스와 스팀커버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에 장착되어 스팀 생성을 위하여 용수를 가열하는 스팀히터;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구;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재; 및
    상기 스팀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은,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용수가 가열되는 용수가열공간;
    상기 용수가열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용수가열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이 가열되는 스팀가열공간; 및
    상기 스팀가열공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팀가열공간을 통과하는 스팀을 과열하는 스팀과열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구는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용수가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스팀가열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간섭부재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팀 또는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와, 상기 간섭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수와 스팀의 유동을 안내하여 와류를 형성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스팀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재는 다수 개로 제공되는 스팀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간섭부재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다수 개의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범위 내에 위치되는 스팀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가열공간에서 생성되는 스팀은 상기 스팀가열공간에서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스팀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는 상기 용수가열공간으로 상기 용수의 유입을 안내하는 스팀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간섭부재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용수와 스팀의 유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부재가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가열공간과, 상기 스팀과열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의 유동을 위한 유동 통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케이스 및 상기 스팀커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팀케이스 및 상기 스팀커버 중 다른 하나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와 이격되는 스팀발생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가열공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스팀가열공간과 상기 스팀과열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스팀가열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스팀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팀발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스팀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는 스팀발생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스팀의 유동 통로를 제공하면서 다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통로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하는 스팀발생장치.
  15. 삭제
  16. 스팀케이스와 스팀커버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에 장착되어 스팀 생성을 위하여 용수를 가열하는 스팀히터;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구;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재; 및
    상기 스팀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구는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스팀의 유동 방향으로 다수의 층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의 간격과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기 간섭부재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위치되는 스팀발생장치.
  17. 스팀케이스와 스팀커버의 결합에 의해 스팀의 생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스팀챔버;
    상기 스팀챔버에 장착되어 스팀 생성을 위하여 용수를 가열하는 스팀히터;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용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구;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용수의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재; 및
    상기 스팀의 배출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구는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간섭부재는,
    상기 스팀의 유동 방향으로 다수의 층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간섭부재의 사이 간격의 하측에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간섭부재가 형성되는 스팀발생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4항, 제 16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팀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의 일측에 장착되는 조리기기.
KR1020130114895A 2013-09-27 2013-09-27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KR10213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895A KR102132473B1 (ko) 2013-09-27 2013-09-27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CN201410497683.6A CN104515122B (zh) 2013-09-27 2014-09-25 蒸汽发生装置及烹饪设备
US14/499,448 US10047961B2 (en) 2013-09-27 2014-09-29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US15/921,824 US10830456B2 (en) 2013-09-27 2018-03-15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US17/063,854 US11739949B2 (en) 2013-09-27 2020-10-06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US18/219,299 US20230349560A1 (en) 2013-09-27 2023-07-07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895A KR102132473B1 (ko) 2013-09-27 2013-09-27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618A KR20150035618A (ko) 2015-04-07
KR102132473B1 true KR102132473B1 (ko) 2020-07-10

Family

ID=5279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895A KR102132473B1 (ko) 2013-09-27 2013-09-27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2473B1 (ko)
CN (1) CN104515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850B1 (ko) * 2017-02-01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7997610B (zh) * 2017-06-30 2023-09-1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箱过温系统及其工作控制方法
CN114636143B (zh) * 2020-12-16 2024-06-1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装置及其蒸汽发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391Y1 (ko) 2006-06-19 2006-09-01 동양매직 주식회사 오버히트 방지부가 구비된 스팀 발생기
CN102188154A (zh) * 2010-03-03 2011-09-21 三洋电机株式会社 加热烹调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1974B1 (fr) * 2003-11-06 2006-02-10 Brandt Ind Procede et four de cuisson a la vapeur ayant une alimentation en eau perfectionnee
CN101006896B (zh) * 2006-01-24 2010-12-15 海尔集团公司 一种利用光波过热蒸汽混合能进行烹调的装置
EP3536198B1 (en) * 2009-04-06 2021-11-24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for cooker
KR101520497B1 (ko) * 2009-04-10 2015-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10082794A (ko)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발생장치
CN202328131U (zh) * 2011-11-18 2012-07-1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薄型蒸汽发生器及其蒸汽地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391Y1 (ko) 2006-06-19 2006-09-01 동양매직 주식회사 오버히트 방지부가 구비된 스팀 발생기
CN102188154A (zh) * 2010-03-03 2011-09-21 三洋电机株式会社 加热烹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618A (ko) 2015-04-07
CN104515122B (zh) 2016-09-28
CN104515122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949B2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1620101B1 (ko) 조리기기
JP4051384B2 (ja) 過熱蒸気調理器
KR20100122018A (ko) 조리기기
KR102514099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32473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조리기기
JP2005083740A (ja) 過熱蒸気調理装置
KR20190018945A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94530B1 (ko) 가스오븐
KR20100112966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132480B1 (ko) 조리기기
KR101724696B1 (ko)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10079007A (ko) 조리기기
KR102611409B1 (ko) 펌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20170325295A1 (en) Heat-cooking apparatus
KR101014436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조리기기
KR20100119142A (ko)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JP2011043277A (ja) 調理網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240039396A (ko) 조리 기기
JP2023028543A (ja) 加熱調理器
KR20100119141A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JP2022086713A (ja) 加熱調理器
JP2010255987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