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230A - 환기 장치 및 건물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및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230A
KR20070054230A KR1020077007116A KR20077007116A KR20070054230A KR 20070054230 A KR20070054230 A KR 20070054230A KR 1020077007116 A KR1020077007116 A KR 1020077007116A KR 20077007116 A KR20077007116 A KR 20077007116A KR 20070054230 A KR20070054230 A KR 20070054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exhaust
air suppl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야 이시다
다꾸미 하리가야
고오에쯔 우찌다
미쯔히또 고이께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Abstract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24시간 환기 기능을 구비하여 주택에의 설치가 가능한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기 장치(1D)는, 난방 운전시에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의 공급을 정지한다.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기된 외기(OA)는 열 교환 유닛(3l)에 의해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기된 환기(RA)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된다. 겨울철에는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높기 때문에, 외기(OA)는 온도가 올라간다. 그리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워킹 에어(WA)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냉각되고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열 교환 유닛(31)에서 가온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환기 장치, 외기 흡입구, 급기 취출구, 열 교환 유닛 급기 팬, 배기 팬

Description

환기 장치 및 건물 {VENTILATOR AND BUILDING}
본 발명은, 주택에 설치되어, 실내와 옥외에서 환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 및 이 환기 장치를 구비한 건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에어를 냉각하는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 및 건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물을 냉방하는 공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에어를 냉각하는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공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0907호 공보 참조). 간접 기화 냉각 장치는 격벽으로 구획된 유로 사이에서 현열(온도) 교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쪽 유로에서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에어를 냉각하는 동시에, 다른 쪽 유로와의 사이에서 냉열의 교환을 행하고, 다른 쪽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를 냉각하여 실내 등에 공급하는 것이다.
종래의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공조 장치는 오피스나 점포 등에 설치되어 있고, 주택에의 설치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공조 장치를 주택에 설치하는 경우, 온도 제어가 중요해지지만, 종래 장치에서는 주택에서의 사용에 요구되는 온도 제어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공조 장치를 포함하여, 실내와 옥외에서 환기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적다. 이로 인해,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기 위해서는 환기 장치와 공조 장치의 양방을 구비할 필요가 있지만,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비용도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공조 장치에서는, 난방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더욱 난방 장치의 설치도 필요해진다.
또한, 종래의 난방 장치는 전력 소비량이 많아 운전 비용이 높고, 에너지 부하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기 장치와 난방 장치를 병용하면, 따뜻해진 공기가 환기 장치에 의해 배출되어 버리므로 실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온도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난방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 및 이와 같은 환기 장치를 구비한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외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열 교환 유닛의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거나, 또는 열 교환 유닛의 상류측에서 제1 배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급배수 장치에 의한 물의 공급의 유무로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물의 공급의 유무를 제어함으로써, 외기의 온도가 낮고, 실내의 온도가 높은 겨울철에는 열 교환 유닛에서 가온된 외기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서 냉각되지 않고 실내에 급기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습 유로 및 재생 유로에 걸쳐서 회전 구동되는 제습 로터를 갖는 제습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의 제습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의 재생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제습 유닛의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거나, 또는 제습 유닛의 상류측에서 제1 배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급배수 장치에 의한 물의 공급의 유무로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물의 공급의 유무를 제어함으로써, 외기의 온도가 낮고, 실내의 온도가 높은 겨울철에는, 제습 유닛에서 가습 및 가온된 외기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서 냉각되지 않고 실내에 급기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이와 같은 환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이다.
본 발명의 환기 장치에 따르면, 실내의 에어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 등을 절환함으로써, 가온된 외기, 또는 가온 및 가습된 외기를 급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여 난방 기능과 환기 기능을 갖는 환기 장치를 난방기로서도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 등을 이용함으로써 가습을 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 실내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유량과 급기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환기 대상으로 되어 있는 건물 내의 공기의 교체를 행할 수 있으므로, 건축 기준법에서 요구되는 환기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주택에의 설치에 요구되는 성능을 갖는 간접 기화 냉각 기능과, 24시간 환기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를 소형이면서 또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기 장치를 구비한 건물에서는 외기와 건물 내의 공기의 환기를 행하면서 공조가 행해지므로,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물을 이용하여 공조를 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한 환기 장치(1A)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B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C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A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8B는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한 구성과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의 비교예이다.
도9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0은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1A는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1B는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2A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2B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구성의 효과의 일례이다.
도13은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4A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4B는 제습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5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환기 장치(1G-1)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6은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7A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17B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8은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9는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20은 본 실시 형태의 건물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환기 장치 및 건물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한 환기 장치(1A)의 기본 구성>
도1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한 환기 장치(1A)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환기 장치(1A)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A)는 옥외로부터의 외기(OA)(Outside Air)를 흡입하는 외기 흡입구(5)와, 급기(SA)(Supply Air)를 실내로 불어내는 급기 취출구(6)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A)는 실내로부터의 환기(RA)(Return Air)를 흡입하는 환기 흡입구(7)와, 배기(EA)(Exhaust Air)를 옥외로 불어내는 배기 취출구(8)를 구비한다. 또한, 각 취출구 및 각 흡입구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덕트 등을 통해 실내 및 옥외와 접속된다.
급기 팬(2) 및 배기 팬(3)은 예를 들어 시로코 팬(sirocco fan)으로, 급기 팬(2)은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급기 유로(9A)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을 생성한다. 또한, 배기 팬(3)은 환기 흡입구(7)로부터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배기 유로(10A)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을 생성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와, 급배수 장치(12)와 드레인 팬(drain pan)(13) 등을 구비한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는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는 워킹 에어(WA)가 통과하는 워킹 에어 유로(11a)와, 워킹 에어(WA)와의 사이에서 현열(온도) 교환이 행해지는 프로덕트 에어(PA)가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구비한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단열재로 둘러싸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급배수 장치(12)는 예를 들어 전자기 밸브로 구성되는 급수 밸브(12a)를 구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대한 급수를 행한다. 드레인 팬(13)은 급배수 장치(12)에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공급된 물을 받는다. 또한, 급배수 장치(12)는 예를 들어 전자기 밸브로 구성되는 배수 밸브(12b)를 구비하여 드레인 팬(13)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급배수 장치(12)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적하 또는 살수하여 드레인 팬(13)으로 받는 구성이다.
급기 유로(9A)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배기 유로(10A)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엘리먼트(11)의 전방의 급기 유로(9A)에 에어를 교반하는 확산판을 구비해도 좋다.
급기 유로(9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개폐에 의해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댐퍼와, 댐퍼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A)를 흐르는 에 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배기 유로(10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개폐에 의해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댐퍼와, 댐퍼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배기 유로(10A)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장치로서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A)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함으로써, 외기(OA)로부터 분진 등이 제거된 급기(SA)가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공기 청정 필터(16)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A)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또한, 급기 팬(2) 및 배기 팬(3)은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하류측에 구비해도 좋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구성>
도2A 내지 도2C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2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전체 구성, 도2B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주요부 구성, 도2C는 냉각 원리를 나타낸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부(21a)로 구획된 복수의 제1 유로(21b)를 갖는 건조 셀(21)과, 구획부(22a)로 구획된 복수의 제2 유로(22b)를 갖는 습윤 셀(22)과, 건조 셀(21)과 습윤 셀(22)을 구획하는 격벽(23)을 구비한다.
건조 셀(21)과 습윤 셀(22)은 제1 유로(21b)와 제2 유로(22b)가 직교하는 배향으로, 격벽(23)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다.
격벽(23)은,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형성된 방습 필름(23a)과, 펄프 등으로 형성된 습윤층(23b)을 구비하여, 방습 필름(23a)이 건조 셀(21)에 면하고, 습윤층(23b)이 습윤 셀(22)에 면한다.
또한, 격벽(23)은,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의 제1 유로(21b)와 제2 유로(22b)를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23c)이 형성된다. 또한,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23c)이 형성된 제1 유로(21b)의 출구에는 폐색부(24)가 형성되어 에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 워킹 에어 유로(11a)는 통기 구멍(23c)이 형성된 제1 유로(21b)의 입구로부터 제1 유로(21b), 통기 구멍(23c) 및 제2 유로(22b)를 지나 제2 유로(22b)의 출구로 연통한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는 통기 구멍(23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유로(21b)의 입구로부터 제1 유로(21b)를 지나 이 제1 유로(21b)의 출구로 연통한다.
도2C를 참조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의한 냉각 원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여기서,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는 직교하는 배향으로 흐르지만, 도2C에서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가 흐르는 배향을 평행하게 도시하고 있다.
워킹 에어 유로(11a)에 면한 습윤층(23b)은 도1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에 의해 물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와 습윤층(23b)의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기화하여 워킹 에어(WA)가 냉각된다.
워킹 에어(WA)가 냉각되면, 워킹 에어 유로(11a)와 격벽(23)으로 구획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격벽(23)을 통해 냉열을 받아 냉각된다.
여기서, 격벽(23)을 구성하는 방습 필름(23a)은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프로덕트 에어(PA)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해도 절대 습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워킹 에어(WA)는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면 고습도가 된다.
일례로서,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를 30 ℃, 절대 습도를 10 g/㎏(DA : 드라이 에어), 상대 습도를 약 40 %RH로 한 경우,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는 20 ℃로 내려간다. 또 상대 습도는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약 70 %RH로 올라가지만, 절대 습도는 10 g/㎏(DA)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출구 온도는 23 ℃로 내려간다. 단, 절대 습도는 16 g/㎏(DA)으로 올라간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냉각 원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냉각 원리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온도(Td), 절대 습도(Xd), 풍량(Gd), 워킹 에어(WA)의 온도(Tw), 절대 습도(Xw), 풍량(Gw), 그 밖의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부터
[수1]
Figure 112007024469073-PCT00001
(2) 질량 보존 법칙으로부터
[수2]
Figure 112007024469073-PCT00002
Gd : 프로덕트 에어 유량[㎏'/s]
Gw: 워킹 에어 유량[㎏'/s]
hd : 프로덕트 에어 비엔탈피[J/㎏']
hw : 워킹 에어 비엔탈피[J/㎏']
hdi : 입구에서의 프로덕트 에어 비엔탈피[J/㎏']
hwi : 입구에서의 워킹 에어 비엔탈피[J/㎏']
Vd : 프로덕트 에어의 1 셀분의 에어량[㎏']
Vw : 워킹 에어의 1 셀분의 에어량[㎏']
Td : 프로덕트 에어의 온도[℃]
Tw : 워킹 에어의 온도[℃]
Xd : 프로덕트 에어의 절대 습도[㎏/㎏']
Xw : 워킹 에어의 절대 습도[㎏/㎏']
Xdi : 입구에서의 프로덕트 에어의 절대 습도[㎏/㎏']
Xwi : 입구에서의 워킹 에어의 절대 습도[㎏/㎏']
Xk : 습윤층 근방의 절대 습도[㎏/㎏']
αd : 프로덕트 에어측 열전도율[J/(㎡ㆍKㆍs)]
αw : 워킹 에어측 열전도율[J/(㎡ㆍKㆍs)]
αG : 증발의 물질 전달 속도[m/s](정수가 아닌, 풍속에 의존하는 함수로서 정의)
ρa : 건조 공기 밀도[㎏'/㎥]
Cpw : 물의 비열[J/(㎏ㆍK)]
W : 1 셀의 습윤수의 중량[㎏]
γ : 물의 증발 잠열[J/㎏]
ΔA : 1 셀분의 면적[㎡]
(3)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3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3은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 드라이 에어), 입구 온도 30 ℃ 고정,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3으로부터,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높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 냉각된 에어에는 온도 분포가 있지만, 각 예의 온도 데이터는 최저 온도로 기재하고 있다.
(4)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4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4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입구 온도 30 ℃ 고정, 워킹 에어(WA)의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4로부터,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낮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5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5는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5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가 높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6)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를 구하여 도6의 그래프에 나 타낸다.
도6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6으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가 높을수록 냉각에 사용하는 물의 소비량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도5 및 도6으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를 낮추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고, 또한 물의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7)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7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7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온도 30 ℃,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7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가 낮을수록 프 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의 유량,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워킹 에어(WA)의 입구 온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 워킹 에어(WA)의 입구 습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한 환기 장치(1A)의 동작>
다음에, 도1 등을 참조로 환기 장치(1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A)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A)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A)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A)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도2A 내지 도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워킹 에어(WA)가 냉각되면,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가 워 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된다.
그리고, 워킹 에어 유로(11a)와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사이에서는 습도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A)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즉,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의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상술한 온도 제어는 후술하는 설정 스위치로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 온도 센서(17) 등을 이용하여 온도에 맞추어 자동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A)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A)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를 순환 RA로서 급기측에서 이용하기 위해, 환기(RA)를 외기 흡입구(5)와 연통시켜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RA)는 여름철에는 공기 조화되어 냉각되어 있으므로, 환기(RA)의 일부를 급기로 하여 이용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있어서 프로덕트 에어(PA) 등의 입력 온도, 또는 입력 습도가 내려가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구성>
도8A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에 있어서,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열 교환 유닛(31)은 열 교환 엘리먼트(32)와 도시하지 않은 필터 등을 구비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는 제1 유로(32a)가 형성된 열 교환 소자재와 제2 유로(32b)가 형성된 열 교환 소자재를, 제1 유로(32a)와 제2 유로(32b)가 직교하는 배향으로 적층된 직교류식 열 교환기이다. 제1 유로(32a)와 제2 유로(32b)는 도시하지 않은 격벽으로 구획되고, 제1 유로(32a)와 제2 유로(32b)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현열 교환이 행해진다. 또한, 열 교환 유닛(31)을 단열재로 둘러싸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과, 열 교환 유닛(31)을 독립한 단열재로 둘러쌈으로써 유지 보수성 등이 향상된다.
또한, 열 교환 유닛(31)으로서, 현열(온도)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현열 교환에 부가하여 잠열(습도) 교환을 행하는 이른바 전열(全熱) 교환 엘리먼트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급기 유로(9D)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열 교환 유닛(31)을 구성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제2 배기 유로(10E)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F)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D)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D)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제2 배기 유로(10E)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2 배기 유로(10E)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D)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공기 청정 필터(16)를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열 교환 엘리먼트(3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로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D)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동작>
다음에, 도8A 등을 참조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냉방 동작부터 설명하면, 환기 장치(1D)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D)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2 배기 유로(10E) 및 제1 배기 유로(10F)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D)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 치(1D)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前段)의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또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가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D)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D)에서도,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구성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의 비교예를 도8B에 나타내면, 우선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40 ℃의 외기(OA)를 취입하여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냉각하면, 도5에 나타내는 그래프로부터 21 ℃의 급기(SA)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동시에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48 ㎏/시간의 물을 소비한다.
그래서, 취입한 외기(OA)의 온도를 낮추는 열 교환 유닛(31)을 조립하는 것으로 하였다. 열 교환 유닛(31)을 구성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는, 일반적으로 70 % 정도의 열 교환율을 갖고 있고, 40 ℃의 외기(OA)와 25 ℃의 환기(RA)(실내 공기)에서 열 교환하면, 열 교환 효율 70 %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29.5 ℃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조건에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로서 공급하면, 17 ℃의 급기(SA)를 생성할 수 있고, 물의 소비량도 0.32 ㎏/시간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의해, 환기 장치(1D)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물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고, 환기 장치(1D)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건축 기준법에 의해, 주택의 공기를 소정 시간에 교체할 수 있는 환기 설비의 설치가 필요해지고, 팬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환기를 행할 수 있도록 한 환기 장치 등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예의 환기 장치(1D)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다른 환기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해, 24시간 환기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기 장치(1D)에서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나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으로 온도 제어를 행하므로, 원하는 냉각 온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기 동작과 냉각 동작을 연동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24시간 환기 기능은, 건물 내의 환기 대상 영역의 소정 횟수 환기(예를 들어 0.5 회/시간)를 충족시키는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상시 환기를 하는 기능이다. 이는, 환기 장치(1)만으로 소정 환기 횟수를 충족시켜도 좋고, 다른 환기 장치의 환기량을 합하여 소정 횟수 환기를 충족시키록 해도 좋다. 또한, 겨울철 등에 소정 환기 횟수를 적게 하기 위해, 조작 수단의 스위치나 온도를 검출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여 24시간 환기 풍량을 작아지도록 해도 좋다.
도9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 다음에 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 동작시에는,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폐쇄하여 제2 배기 유로(10E)에 의한 워킹 에어(W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D)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F)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겨울에 환기 장치(1D)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높아져,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높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올라간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워킹 에어(WA)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냉각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열 교환 유닛(31)에서 가온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난방 운전시에서도,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가온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D)는 환기를 행하면서 난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 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해, 24시간 환기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구성>
도10은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E)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에 외기(OA)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E)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E)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E)는 열 교환 유닛(31)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E)와 분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10G)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10H)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E)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G)는 급기 유로(9E)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 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E)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2 배기 유로(10G)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E)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유로(9E)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동작>
다음에, 도10 등을 참조로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냉방 동작부터 설명하면, 환기 장치(1E)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E)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2 배기 유로(10G) 및 제1 배기 유로(10H)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2 배기 유로(10G)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 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H)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E)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E)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 기(OA)는 전단의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된 외기(OA)의 일부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또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가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E)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마찬가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 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E)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열 교환 유닛(31)에서 환기(RA)를 이용하고,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된 O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E)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환기 장치(1E)에서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나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으로 온도 제어를 행하므로, 원하는 냉각 온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기 동작과 냉각 동작을 연동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도11A 및 도11B는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 다음에 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1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난방 동작시에는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폐쇄하고, 제2 배기 유로(10G)에 의한 워킹 에어(W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E)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H)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겨울에 환기 장 치(1E)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올라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높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올라간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워킹 에어(WA)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냉각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열 교환 유닛(31)에서 가온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도11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하류에서 제2 배기 유로(10G)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하류에서 급기 유로(9E)와 연통된 가습 급기 유로(9E-1)를 구비한다.
제2 배기 유로(10G)와 가습 급기 유로(9E-1)의 분기 위치에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방향을 절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환 댐퍼를 구비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WA)의 유로를 제2 배기 유로(10G)로부터 가습 급기 유로(9E-1)로 절환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폐쇄하여 급기 유로(9E)에 의한 프로덕트 에어(P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행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E)로부터 가습 급기 유로(9E-1)를 지나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H)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겨울에 환기 장치(1E)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올라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높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올라간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급수가 행해지고 있음으로써 가습된다. 이에 의해, 열 교환 유닛(31)에서 가온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가습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므로, 도11A에 나타내는 예에 비교하면, 급기(SA)의 온도는 내려간다. 단, 가습됨으로써 실내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난방 운전시에도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에 배기하면서 외기를 가온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E)는 환기를 행하면서 난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해, 24시간 환기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구성>
도12A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부가하여 제습 유닛(33)을 구비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에 있어서,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습 유닛(33)은, 격벽(34)으로 구획된 제습 유로(35a) 및 재생 유로(35b)와, 제습 유로(35a)와 재생 유로(35b)에 걸쳐서 회전 구동되는 제습 로터(36)와,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를 가열하는 히터(37)와, 제습 로터(36)를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제습 로터(36)는, 실리카겔 등의 흡착재를 갖는 벌집형 구조의 부재가 축 방향으로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습 로터(36)는 제습 유로(35a)와 재생 유로(35b)에 걸쳐서 배치되고,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 및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는 각각 제습 로터(36)를 통과한다.
또한, 제습 로터(36)에 있어서 제습 유로(35a)와 재생 유로(35b)는 격벽(34) 으로 구획되고,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와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가 혼합되는 일은 없다.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는 수분이 제습 로터(36)에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 로터(36)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한다.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는 히터(37)로 가열됨으로써,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로 제습 로터(36)가 가열되어 수분이 증발하고, 다시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상태로 재생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는 재생된 부분이 제습 유로(35a)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은 제습 로터(36)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수분의 흡착과 재생을 반복하면서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가 제습된다.
급기 유로(9G)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제2 배기 유로(10J)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K)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G)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G)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제2 배기 유로(10J)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2 배기 유로(10J)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G)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공기 청정 필터(16)를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제습 로터(36)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G)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동작>
다음에, 도12A 등을 참조로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냉방 동작부터 설명하면, 환기 장치(1G)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G)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2 배기 유로(10J) 및 제1 배기 유로(10K)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 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G)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G)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G)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환기 장치(1G)라도,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구성의 효과를 도12B에 나타내면, 예를 들어 온도 30 ℃, 절대 습도 10 g/㎏(DA), 상대 습도 약 40 %RH의 외기(QA)가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함으로써, 온도 40 ℃, 절대 습도 5 g/㎏(DA), 상대 습도 약 10 %RH의 입력 에어가 된다.
여기서, 입력 에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로터(36)가 재생 유로(35b)측에서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이다.
이 조건의 입력 에어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로 하면, 입력 습도(절대 습도)가 낮기 때문에,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는 20 ℃로 내려간다. 또한, 절대 습도가 5 g/㎏(DA)로 낮기 때문에, 출구 온도는 더욱 내려갈 여지가 있다.
이에 의해, 환기 장치(1G)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고, 환기 장치(1G)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환기 장치(1G)에서는 워키 에어(WA)의 유량이나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으로 온도 제어를 행하므로, 원하는 냉각 온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기 동작과 냉각 동작을 연동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도13은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 다음에 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 동작시에는,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폐쇄하고, 제2 배기 유로(l0J)에 의한 워킹 에어(W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고,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또한, 제습 유닛(33)의 히터(37)를 급기 유로(9)와 배기 유로(10)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히터(37)를 급기 유로(9)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재생 유로(35b)가 형성되어 급기 유로(9G)와 연통되는 동시에, 제1 배기 유로(10K)가 제습 유로(35a)와 연통하게 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G)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K)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에 있어서 환기(RA)가 제습됨으로써 제습 로터(36)에 수분이 흡착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가 회전하여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37)로 가온된 외기(OA)가 제습 로터(36)를 통과하여 제습 로터(36)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을 통과한 외기(OA)는 가온 및 가습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워킹 에어(WA)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냉각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에서 가온 및 가습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난방 운전시에도,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가온하여 취입할 수 있고, 환기 장치(1G)는 환기를 행하면서 난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해, 24시간 환기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변형예>
도14A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14A에 도시하는 환기 장치(1G-1)는 제2 배기 유로(10J)를,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시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와 연통시킨 것이다.
제습 유닛(33)은 도14B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로터(36)에 있어서 제습 유로(35a)가 격벽(34a)으로 2 분할되어, 급기 유로(9G)와 연통된 제습 유로(35a)와, 배기 유로(10J)와 연통된 제습 유로(35a)는 독립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하는 환기(RA)도 제습됨으로써 워킹 에어(WA)의 입구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도15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환기 장치(1G-1)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 다음에 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난방 동작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 유량 조정 댐퍼를 폐쇄하여 제2 배기 유로(10J)에 의한 워킹 에어(W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는 히터(37)를 급기 유로(9)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재생 유로(35b)가 형성되어, 급기 유로(9G)와 연통되는 동시에, 제1 배기 유로(10K)가 제습 유로(35a)와 연통하게 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G)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K)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에 있어서 환기(RA)가 제습됨으로써, 제습 로터(36)에 수분이 흡착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가 회전하여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37)로 가온된 외기(OA)가 제습 로터(36)를 통과하여 제습 로터(36)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을 통과한 외기(OA)는 가온 및 가습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워킹 에어(WA)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냉각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에서 가온 및 가습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구성>
도16은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환기 장치(1H)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에 외기(OA)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H)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H)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H)는 제습 유닛(33)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H)와 분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10L)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10M)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H)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L)는 급기 유로(9H)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H)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2 배기 유로(10L)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H)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유로(9H)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한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동작>
다음에, 도16 등을 참조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냉방 동작부터 설명하면, 환기 장치(1H)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H)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2 배기 유로(10L) 및 제1 배기 유로(10M)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2 배기 유로(10L)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M)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H)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및 워킹 에어 유로(11a)에는 모두 외기(OA)가 공급되고,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 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H)에서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마찬가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 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H)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하고,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제습 유닛(33)에서 재생 공기로서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H)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환기 장치(1H)에서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나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으로 온도 제어를 행하므로, 원하는 냉각 온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환기 동작과 냉각 동작을 연동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
도17A 및 도17B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 다음에 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7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난방 동작시에는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폐쇄하여 제2 배기 유로(10L)에 의한 워킹 에어(W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 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또한, 제습 유닛(33)의 히터(37)를 급기 유로(9)와 배기 유로(10)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여, 난방 운전시에는 히터(37)를 급기 유로(9)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재생 유로(35b)가 형성되어 급기 유로(9H)와 연통되는 동시에, 제1 배기 유로(10M)가 제습 유로(35a)와 연통하게 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H)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M)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에 있어서 환기(RA)가 제습됨으로써 제습 로터(36)에 수분이 흡착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가 회전하여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37)로 가온된 외기(OA)가 제습 로터(36)를 통과하여 제습 로터(36)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을 통과한 외기(OA)는 가온 및 가습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워킹 에어(WA)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냉각되지 않는다. 이에 의 해, 제습 유닛(33)에서 가온 및 가습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도17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하류에서 제2 배기 유로(10L)로부터 분기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하류에서 급기 유로(9H)와 연통된 가습 급기 유로(9H-1)를 구비한다.
제2 배기 유로(10L)와 가습 급기 유로(9H-1)의 분기 위치에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방향을 절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환 댐퍼를 구비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WA)의 유로를 제2 배기 유로(10L)로부터 가습 급기 유로(9H-1)로 절환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폐쇄하여 급기 유로(9H)에 의한 프로덕트 에어(PA)의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행한다.
또한, 제습 유닛(33)의 히터(37)를 급기 유로(9)와 배기 유로(10)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히터(37)를 급기 유로(9)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재생 유로(35b)가 형성되어 급기 유로(9H)와 연통되는 동시에, 제1 배기 유로(10M)가 제습 유로(35a)와 연통하게 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H)로부터 가습 급기 유로(9H-1)를 지나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M)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에 있어서 환기(RA)가 제습됨으로써 제습 로터(36)에 수분이 흡착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가 회전하여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37)로 가온된 외기(OA)가 제습 로터(36)를 통과하여 제습 로터(36)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을 통과한 외기(OA)는 가온 및 가습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급수가 행해지고 있음으로써 가습된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에서 가온 및 가습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더욱 가습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된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므로, 도17A에 나타내는 예에 비교하면, 급기(SA)의 온도는 내려간다. 단, 가습됨으로써 실내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난방 운전시에서도,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가온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H)는 환기를 행하면서 난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해, 24시간 환기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각 예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과, 급기 팬(2)과 배기 팬(3), 열 교환 유닛(31) 또는 제습 유닛(33)은 동일 하우징 내에 없어도 좋고, 팬은 다른 기기와 겸용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구성>
도18은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다.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는 독립된 배기 팬(3A)과의 조합하여 사용되는 환기 장치이며, 급기 팬(2)과 제습 유닛(3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다.
환기 장치(1J)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에 연통하는 급기 유로(9J)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J)는 제습 유닛(33)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J)와 분기되고,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10N)와, 제습 유닛(33)보다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9J)와 분기되고,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10P)를 구비한다.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동작>
다음에, 도18 등을 참조로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냉방 동작부터 설명하면, 환기 장치(1J)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J)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급기 팬(2)이 구동되면, 제2 배기 유로(10N) 및 제1 배기 유로(10P)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2 배기 유로(10N)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P)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J)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및 워킹 에어 유로(11a)에는 동시에 외기(OA)가 공급되고,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독립된 배기 팬(3A)의 환기(RA)의 환기량은 환기 장치(1J)의 급기량에 맞추어 제어된다.
도19는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난방 동작시의 에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로, 다음에 난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환기 장치(1J)는 제습 유닛(33)의 상류에서 급기 유로(9J)와 분기되고,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와 연통된 가습 배기 유로(10Q)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J)와 가습 배기 유로(10Q)의 분기 위치에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방향을 절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환 댐퍼를 구비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외기(OA)의 유로를 급기 유로(9J)로부터 가습 배기 유로(10Q)로 절환한다.
또한, 환기 장치(1J)는 제2 배기 유로(10N)로부터 분기되어 급기 유로(9J)와 연통된 가습 급기 유로(9K)를 구비한다. 제2 배기 유로(10N)와 가습 급기 유로(9K)의 분기 위치 및 제2 배기 유로(10N)와 제1 배기 유로(10P)의 분기 위치에는, 에어를 통과시키는 방향을 절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환 댐퍼를 구비하고, 난 방 운전시에는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의 유로를 가습 급기 유로(9K)로 절환한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는,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행한다.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가습 배기 유로(10Q)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기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급수가 행해지고 있음으로써 가습된다. 그리고,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함으로써 제습 로터(36)에 수분이 흡착된다.
또한,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가습 급기 유로(9K)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유로(11a)에서 가습된 외기(OA)가 제습 유로(35a)에 있어서 제습됨으로써, 제습 로터(36)에 수분이 흡착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가 회전하여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히터(37)로 가온된 외기(OA)가 제습 로터(36)를 통과하여 제습 로터(36)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 과한 외기(OA)는 가온 및 가습된다. 이에 의해, 급기 취출구(6)로부터 가습 및 가온된 외기(OA)가 급기(SA)로서 급기된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도, 독립된 배기 팬(3A)의 환기(RA)의 환기량은 환기 장치(1J)의 급기량에 맞추어 제어된다.
<환기 장치의 설치예>
도20은 본 실시 형태의 건물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로, 환기 장치(1)의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8A 및 도8B 등에서 설명한 환기 장치(1)는 건물(101)의 천장 이면 등에 설치된다. 건물(101)은 복수의 거실(102)과 화장실(103), 세면실(104a), 욕실(104b) 등을 구비하고, 환기 장치(1)의 도1 등에 도시하는 급기 취출구(6)는 각 거실(102)의 천장 등에 설치한 급기구(105)에 덕트(106)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도8A 및 도8B 등에서는 급기 취출구(6)를 1개 구비한 구성이지만, 복수의 거실(102)에 급기(SA)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덕트(106)의 도중에 분기 챔버(106a)를 설치하여 1개의 덕트(106)를 복수개의 덕트(106)로 분기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한, 환기 장치(1)에 복수의 급기 취출구(6)를 구비해도 좋고, 복수의 급기 취출구(6)를 구비한 환기 장치(1)와 분기 챔버(106a)를 조합해도 좋다.
환기 장치(1)의 도8A 및 도8B 등에 도시하는 환기 흡입구(8)는 예를 들어 화장실(103)의 천장 등에 설치한 흡입구(107)에 덕트(107a) 등을 통해 접속된다. 거실(105) 내에 급기된 공기는 도어의 언더컷부, 방충망부 등을 통해 흡입구(107)에 모이고, 환기 흡입구(8)로부터 흡입된 환기(RA)는 도8A 및 도8B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 등으로서 이용하여 배기하므로, 거실로는 복귀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악취를 배기할 수 있다. 흡입구(107)는 도8A 및 도8B와 같은 환기 장치(1)의 본체 하면에 설치한 환기 흡입구(7)라도 좋고, 또한 환기 흡입구(7)를 복수 마련해도 좋고, 또한 급기구(105)를 마련한 거실(102) 내에 각각 흡입구(107)를 마련해도 좋다.
환기 장치(1)의 도8A 및 도8B 등에 도시하는 외기 흡입구(5)는 베란다(108) 등의 벽면에 구비한 흡입구(109)에 덕트(109a)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배기 취출구(8)는 베란다(108) 등의 벽면에 구비한 배기구(110)에 덕트(110a)를 통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환기 장치(1)는 외기(OA)를 옥외로부터 취입하는 동시에, 화장실(103) 등으로부터의 환기(RA)를 옥외로 배기(EA)로서 배기할 수 있다.
환기 장치(1)는 도8A 및 도8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급배수 장치(12)와 드레인 팬(13)을 구비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WA)를 냉각하기 위해 급배수 장치(12)에 의해 물이 공급되고, 소비되지 않은 물은 드레인 팬(13)에 저수된다. 그리고, 드레인 팬(13)과, 베란다(108) 등에 설치한 드레인 배수구(111)가 호스(111a)로 접속되어, 드레인 팬(13)의 물을 급배수 장치(12) 등에서 장치 밖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주택에 설치되어, 복수의 방의 환기 및 공조를 행하는 환기 장치에 적용된다.

Claims (9)

  1.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열 교환 유닛의 하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거나, 또는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 배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상기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상기 급배수 장치에 의한 물의 공급의 유무로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닛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현열, 또는 현열과 잠열의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엘리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하류에서 상기 제2 배기 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하류에서 상기 급기 유로와 연통된 가습 급기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의 유로를 상기 제2 배기 유로로부터 상기 가습 급기 유로로 절환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습 유로 및 재생 유로에 걸쳐서 회전 구동되는 제습 로터를 갖는 제습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제습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재생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제습 유닛의 하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거나, 또는 상기 제습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제1 배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상기 워킹 에어의 공급의 유무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의 상기 급배수 장치에 의한 물의 공급의 유무로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하류에서 상기 제2 배기 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하류에서 상기 급기 유로와 연통된 가습 급기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의 유로를 상기 제2 배기 유로로부터 상기 가습 급기 유로로 절환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유로를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재생 유로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1 배기 유로를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제습 유로와 연통시켜, 상기 제습 로터에 환기의 수분을 흡착시키고 상기 급기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를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유로를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제습 유로와 연통시키고, 상기 제습 로터에 워킹 에어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에 건물 내의 공기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의 환기 유량과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유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KR1020077007116A 2004-09-30 2005-09-28 환기 장치 및 건물 KR20070054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9314 2004-09-30
JP2004289314A JP2006105426A (ja) 2004-09-30 2004-09-30 換気装置及び建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230A true KR20070054230A (ko) 2007-05-28

Family

ID=3611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116A KR20070054230A (ko) 2004-09-30 2005-09-28 환기 장치 및 건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6105426A (ko)
KR (1) KR20070054230A (ko)
CN (1) CN101031755A (ko)
TW (1) TW200617328A (ko)
WO (1) WO2006035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7830B2 (ja) * 2006-05-26 2012-08-08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JP4816252B2 (ja) * 2006-05-26 2011-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JP4816253B2 (ja) * 2006-05-26 2011-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JP4816251B2 (ja) * 2006-05-26 2011-11-16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装置及び建物
KR100859774B1 (ko) 2006-12-22 2008-09-23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초박형 열교환기
JP5261988B2 (ja) * 2007-05-31 2013-08-14 マックス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JP5099095B2 (ja) * 2009-09-25 2012-12-12 マックス株式会社 送風装置
JP5925004B2 (ja) * 2012-03-23 2016-05-25 大阪瓦斯株式会社 空調換気システム
JP5660075B2 (ja) * 2012-04-20 2015-01-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換気装置
JP6514922B2 (ja) * 2015-03-17 2019-05-15 株式会社長府製作所 デシカント換気扇
CN110709643B (zh) * 2017-06-02 2022-02-18 大金工业株式会社 换气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500A (ja) * 1997-10-24 1999-05-21 Ebara Corp 除湿空調装置
JP3635295B2 (ja) * 1997-12-01 2005-04-06 株式会社西部技研 空気調和装置
JP4607356B2 (ja) * 2000-09-04 2011-01-05 株式会社西部技研 除湿空調装置
JP2002349905A (ja) * 2001-05-23 2002-12-04 Ohbayashi Corp 暖房対応型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4069222A (ja) * 2002-08-08 2004-03-04 Matsushita Ecology Systems Co Ltd 換気調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7328A (en) 2006-06-01
CN101031755A (zh) 2007-09-05
JP2006105426A (ja) 2006-04-20
WO2006035824A1 (ja)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4230A (ko) 환기 장치 및 건물
JP4816251B2 (ja) 空調装置及び建物
KR101269287B1 (ko) 열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
JP5261988B2 (ja) 換気空調装置
JP2006105423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20070054229A (ko) 환기 장치 및 건물
KR101436613B1 (ko)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
JP4647503B2 (ja) 空調システム
JP5050687B2 (ja) 換気空調装置
JP2007139333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WO2006035826A1 (ja) 換気装置、空調システム、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JP4524348B1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
JP2010181096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KR20070054227A (ko) 환기 장치 및 건물
WO2007058260A1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JPWO2009011362A1 (ja) 除加湿換気システム
JP4230038B2 (ja) 除湿空調装置
JP2018123999A (ja) 風路切替ダンパ、ファン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4997830B2 (ja) 空調装置及び建物
JP2007139336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4816252B2 (ja) 空調装置及び建物
JP5040464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JP685839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568697B2 (ja) 空調換気給湯装置
JP2007139332A (ja) 換気装置、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