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4229A - 환기 장치 및 건물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및 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4229A
KR20070054229A KR1020077007115A KR20077007115A KR20070054229A KR 20070054229 A KR20070054229 A KR 20070054229A KR 1020077007115 A KR1020077007115 A KR 1020077007115A KR 20077007115 A KR20077007115 A KR 20077007115A KR 20070054229 A KR20070054229 A KR 2007005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air supply
indirect vaporization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야 이시다
다꾸미 하리가야
고오에쯔 우찌다
미쯔히또 고이께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Abstract

주택에의 설치가 가능한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기 장치(1A)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간접 냉각 유닛(4)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급기 유로(9A)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배기 유로(10A)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A)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하고, 배기 유로(10A)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하고,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여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한다.
환기 장치, 환기 흡입구, 급기 팬, 배기 유로, 급기 유로, 배기 유량 조정 필터, 급기 유량 조정 필터

Description

환기 장치 및 건물 {VENTILATOR AND BUILDING}
본 발명은, 주택에 설치되어 실내와 옥외에서 환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 및 이 환기 장치를 구비한 건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에어를 냉각하는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물을 냉방하는 공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에어를 냉각하는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공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0907호 공보 참조). 간접 기화 냉각 장치는 격벽으로 구획된 유로 사이에서 현열(온도) 교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쪽 유로에서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에어를 냉각하는 동시에, 다른 쪽 유로와의 사이에서 냉열의 교환을 행하고, 다른 쪽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를 냉각하여 실내 등에 공급하는 것이다.
종래의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공조 장치는 오피스나 점포 등에 설치되어 있고, 주택에의 설치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간접 기화 냉각 장치를 구비한 공조 장치를 주택에 설치하는 경우, 온도 제어가 중요해지지만, 종래 장치에서는 주택에서의 사용에 요구되는 온도 제어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공조 장치를 포함하여, 실내와 옥외에서 환기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는 적다. 이로 인해,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기 위해서는 환기 장치와 공조 장치의 양방을 구비할 필요가 있지만,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비용도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주택에의 설치가 가능한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 및 이와 같은 환기 장치를 구비한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 유로의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외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공기 조화된 실내 온도는 낮기 때문에, 워킹 에어로서 냉각된 환기를 이용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와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공기 조화된 실내 온도는 낮기 때문에, 워킹 에어로서 냉각된 환기를 이용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외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열 교환 유닛에서 냉각되고, 공기 조화된 실내로부터의 환기도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열 교환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와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열 교환 유닛에서 냉각되어 있으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열 교환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열 교환 유닛에서 냉각되고, 공기 조화된 실내로부터의 환기도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제습 유닛에서 제습되고, 공기 조화된 실내로부터의 환기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와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제습 유닛에서 제습되어 있으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습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제습 유닛에서 제습되고, 공기 조화된 실내로부터의 환기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열 교환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제습 유닛에서 제습 및 열 교환 유닛에서 냉각되고, 공기 조화된 실내로부터의 환기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열 교환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와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제습 유닛에서 제습 및 열 교환 유닛에서 냉각되어 있으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열 교환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 열 교환 유닛의 제1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유닛의 제2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외기를 프로덕트 에어로 하고,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워킹 에어로 하여 프로덕트 에어의 냉각이 행해진다. 외기는 제습 유닛에서 제습 및 열 교환 유닛에서 냉각되고, 공기 조화된 실내로부터의 환기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가 낮아져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상술한 배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경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2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0 및 청구항 22의 발명에서는, 급기 팬 혹은 배기 팬을 탑재하지 않음으로써 비용 저하가 도모된다.
청구항 24의 발명은, 급기 취출구와 환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한쪽을 복수 구비하는 동시에,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고, 또한 외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제1 유량 제어 수단과, 급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의 유량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2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각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유량 혹은 각 환기 흡입구로부터의 흡기 유량 중 적어도 한쪽을 개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4의 발명에서는, 복수의 급기 취출구를 구비하는 경우, 각 급기 취출구에서 급기 유량을 바꿈으로써 급기처에 적합한 유량으로 급기가 행해진다. 또한, 복수의 환기 흡입구를 구비하는 경우, 각 환기 흡입구에서 흡기 유량을 바꿈으로써 방마다의 환기의 유무 등의 절환이 행해진다.
청구항 27의 발명은, 상술한 급기 팬과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의 제습 유로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와, 환기 흡입구로부터 제습 유닛의 재생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제습 유닛의 제습량을 제어하는 제습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공급되는 에어의 습도를 제어하여,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7의 발명에서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입력 습도를 변화시켜 급기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유량(풍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온도 제어가 행해진다.
청구항 60의 발명은, 각 청구항에 관한 환기 장치의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이다.
본 발명의 환기 장치에 따르면,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 프로덕트 에어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조정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급기 온도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장치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에어를 흡입하여 배기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실내로부터의 환기를 이용하여 프로덕트 에어를 냉각함으로써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유닛이나 제습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전단에서 입력 온도나 습도를 조정할 수 있어 냉각 능력이 한층 더 향상되는 동시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있어서의 물의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주택에의 설치에 요구되는 성능을 갖는 간접 기화 냉각 기능을 구비한 환기 장치를 소형이면서 또한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기 장치를 구비한 건물에서는 외기와 실내 공기의 환기를 행하면서 공조가 행해지므로,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물을 이용하여 공조를 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B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C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은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 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9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0A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0B는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한 구성과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의 비교예이다.
도11은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2는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3A는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3B는 제습 유닛을 구비한 구성의 효과의 일례이다.
도14는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5는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6은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7은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8은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9는 제습 로터의 회전 속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20은 제1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M)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1은 제1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N)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2는 제1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P)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3은 제1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Q)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4는 제1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R)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5는 제1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S)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6A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6B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7은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28은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다른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29A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29B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29C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다른 구성도이다.
도30은 본 실시 형태의 건물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31은 급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32는 제1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T)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33은 환기 장치의 제어 기능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34는 온도 센서에 의한 냉각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5는 온도 센서에 의한 냉각 제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6은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냉각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7은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환기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8은 수동에 의한 기동ㆍ정지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39는 자동에 의한 기동ㆍ정지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환기 장치 및 건물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의 구성>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A)는 옥외로부터의 외기(OA)(Outside Air)를 흡입하는 외기 흡입구(5)와, 급기(SA)(Supply Air)를 실내로 불어내는 급기 취출구(6)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A)는 실내로부터의 환기(RA)(Return Air)를 흡입하는 환기 흡입구(7)와, 배기(EA)(Exhaust Air)를 옥외로 불어내는 배기 취출구(8)를 구비한다. 또한, 각 취출구 및 각 흡입구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덕트 등을 통해 실내 및 옥외와 접속된다.
급기 팬(2) 및 배기 팬(3)은 예를 들어 시로코 팬(sirocco fan)으로, 급기 팬(2)은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급기 유로(9A)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을 생성한다. 또한, 배기 팬(3)은 환기 흡입구(7)로부터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배기 유로(10A)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을 생성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와, 급배수 장치(12)와 드레인 팬(drain pan)(13) 등을 구비한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는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는 워킹 에어(WA)가 통과하는 워킹 에어 유로(11a)와, 워킹 에어(WA)와의 사이에서 현열(온도) 교환이 행해지는 프로덕트 에어(PA)가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구비한다.
급배수 장치(12)는 예를 들어 전자기 밸브로 구성되는 급수 밸브(12a)를 구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대한 급수를 행한다. 드레인 팬(13)은 급배수 장치(12)에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공급된 물을 받는다. 또한, 급배수 장치(12)는 예를 들어 전자기 밸브로 구성되는 배수 밸브(12b)를 구비하여 드레인 팬(13)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급배수 장치(12)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상측으로부터 물을 적하 또는 살수하여 드레인 팬(13)으로 받는 구성이다.
급기 유로(9A)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배기 유로(10A)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개폐에 의해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댐퍼와, 댐퍼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A)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배기 유로(10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개폐에 의해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댐퍼와, 댐퍼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배기 유로(10A)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장치로서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A)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함으로써, 외기(OA)로부터 분진 등이 제거된 급기(SA)가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공기 청정 필터(16)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A)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구성>
도2A 내지 도2C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2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전체 구성, 도2B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주요부 구성, 도2C는 냉각 원리를 나타낸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는,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부(21a)로 구획된 복수의 제1 유로(21b)를 갖는 건조 셀(21)과, 구획부(22a)로 구획된 복수의 제2 유로(22b)를 갖는 습윤 셀(22)과, 건조 셀(21)과 습윤 셀(22)을 구획하는 격벽(23)을 구비한다.
건조 셀(21)과 습윤 셀(22)은 제1 유로(21b)와 제2 유로(22b)가 직교하는 배향으로, 격벽(23)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다.
격벽(23)은,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형성된 방습 필름(23a)과, 펄프 등으로 형성된 습윤층(23b)을 구비하여, 방습 필름(23a)이 건조 셀(21)에 면하고, 습윤층(23b)이 습윤 셀(22)에 면한다.
또한, 격벽(23)은,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의 제1 유로(21b)와 제2 유로(22b)를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23c)이 형성된다. 또한,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23c)이 형성된 제1 유로(21b)의 출구에는 폐색부(24)가 형성되어 에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 워킹 에어 유로(11a)는 통기 구멍(23c)이 형성된 제1 유로(21b)의 입구로부터 제1 유로(21b), 통기 구멍(23c) 및 제2 유로(22b)를 지나 제2 유로(22b)의 출구로 연통한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는 통기 구멍(23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1 유로(21b)의 입구로부터 제1 유로(21b)를 지나 이 제1 유로(21b)의 출구로 연통한다.
도2C를 참조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의한 냉각 원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여기서,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는 직교하는 배향으로 흐르지만, 도2C에서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가 흐르는 배향을 평행하게 도시하고 있다.
워킹 에어 유로(11a)에 면한 습윤층(23b)은 도1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에 의해 물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와 습윤층(23b)의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기화하여 워킹 에어(WA)가 냉각된다.
워킹 에어(WA)가 냉각되면, 워킹 에어 유로(11a)와 격벽(23)으로 구획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는 격벽(23)을 통해 냉열을 받아 냉각된다.
여기서, 격벽(23)을 구성하는 방습 필름(23a)은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프로덕트 에어(PA)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해도 절대 습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워킹 에어(WA)는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면 고습도가 된다.
일례로서,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를 30 ℃, 절대 습도를 10 g/㎏(DA : 드라이 에어), 상대 습도를 약 40 %RH로 한 경우,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는 20 ℃로 내려간다. 또 상대 습도는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약 70 %RH로 올라가지만, 절대 습도는 10 g/㎏(DA)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출구 온도는 23 ℃로 내려간다. 단, 절대 습도는 16 g/㎏(DA)으로 올라간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냉각 원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냉각 원리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온도(Td), 절대 습도(Xd), 풍량(Gd), 워킹 에어(WA)의 온도(Tw), 절대 습도(Xw), 풍량(Gw), 그 밖의 매개 변수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부터
[수1]
Figure 112007024468926-PCT00001
(2) 질량 보존 법칙으로부터
[수2]
Figure 112007024468926-PCT00002
Gd : 프로덕트 에어 유량[㎏'/s]
Gw: 워킹 에어 유량[㎏'/s]
hd : 프로덕트 에어 비엔탈피[J/㎏']
hw : 워킹 에어 비엔탈피[J/㎏']
hdi : 입구에서의 프로덕트 에어 비엔탈피[J/㎏']
hwi : 입구에서의 워킹 에어 비엔탈피[J/㎏']
Vd : 프로덕트 에어의 1 셀분의 에어량[㎏']
Vw : 워킹 에어의 1 셀분의 에어량[㎏']
Td : 프로덕트 에어의 온도[℃]
Tw : 워킹 에어의 온도[℃]
Xd : 프로덕트 에어의 절대 습도[㎏/㎏']
Xw : 워킹 에어의 절대 습도[㎏/㎏']
Xdi : 입구에서의 프로덕트 에어의 절대 습도[㎏/㎏']
Xwi : 입구에서의 워킹 에어의 절대 습도[㎏/㎏']
Xk : 습윤층 근방의 절대 습도[㎏/㎏']
αd : 프로덕트 에어측 열전도율[J/(㎡ㆍKㆍs)]
αw : 워킹 에어측 열전도율[J/(㎡ㆍKㆍs)]
αG : 증발의 물질 전달 속도[m/s](정수가 아닌, 풍속에 의존하는 함수로서 정의)
ρa : 건조 공기 밀도[㎏'/㎥]
Cpw : 물의 비열[J/(㎏ㆍK)]
W : 1 셀의 습윤수의 중량[㎏]
γ : 물의 증발 잠열[J/㎏]
ΔA : 1 셀분의 면적[㎡]
(3)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3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3은 워킹 에어(W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 드라이 에어), 입구 온도 30 ℃ 고정,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3으로부터,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높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 냉각 된 에어에는 온도 분포가 있지만, 각 예의 온도 데이터는 최저 온도로 기재하고 있다.
(4)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4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4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과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입구 온도 30 ℃ 고정, 워킹 에어(WA)의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4로부터,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낮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5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5는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유량 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5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가 높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6)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를 구하여 도6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6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와 물의 소비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절대 습도 5.26 g/㎏(DA),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6으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가 높을수록 냉각에 사용하는 물의 소비량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도5 및 도6으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를 낮추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고, 또한 물의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7)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
상술한 식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구하여 도7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7은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입력되는 워킹 에어(WA)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조건은 온도 30 ℃, 유량은 50 ㎥/시간 고정으로 한다.
도7로부터, 워킹 에어(WA) 및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가 낮을수록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의 유량,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워킹 에어(WA)의 입구 온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온도, 워킹 에어(WA)의 입구 습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입구 습도 등을 제어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의 동작>
다음에, 도1 등을 참조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A)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A)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A)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 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A)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도2A 내지 도2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워킹 에어(WA)가 냉각되면,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가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된다.
그리고, 워킹 에어 유로(11a)와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사이에서는 습도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A)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 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즉,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 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으로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의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상술한 온도 제어는 후술하는 설정 스위치로 수동으로 행할 수도 있고, 온도 센서(17) 등을 이용하여 온도에 맞추어 자동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A)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 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A)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최근, 건축 기준법에 의해 건물의 24 시간 환기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팬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환기를 행할 수 있도록 한 환기 장치 등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에 건물의 공기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예의 환기 장치(1A)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건물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의 구성>
도8은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에 외기(OA)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B)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B)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B)는 급기 팬(2)으로부터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B)와 분 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10B)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10C)를 구비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C)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급기 유로(9B)와 독립하도록 예를 들어 케이스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다.
급기 유로(9B)는 제1 배기 유로(10B)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B)는 급기 유로(9B)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B)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B)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B)는 예를 들어 제1 배기 유로(10B)와의 분기 위치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유로(9B)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의 동작>
다음에, 도8 등을 참조로 제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B)의 동작에 대해 설 명한다. 환기 장치(1B)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B)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B) 및 제2 배기 유로(10C)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배기 유로(10B)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C)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B)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B)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마찬가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 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B)는 환기(RA)를 옥외로 배기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고, 환기 장치(1B)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의 구성>
도9는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는 급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C)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C)를 구비한다. 배기 유로(10A)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환기 장치(1C)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보다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9C)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10D)를 구비한다.
바이패스 유로(10D)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 정 댐퍼(18)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개폐에 의해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댐퍼와, 댐퍼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D)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C)는 예를 들어 바이패스 유로(10D)와의 분기 위치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의 동작>
다음에, 도9 등을 참조로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C)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C)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C)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A)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C)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 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환기 장치(1C)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D)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로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따라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작동시켜 바이패스 유로(10D)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통해 냉각된 에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냉각되어 있지 않은 에어의 혼합 비율이 제어되어,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C)는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C)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구성>
도10A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부가하여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열 교환 유닛(31)은 열 교환 엘리먼트(32)와 도시하지 않은 필터 등을 구비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는 제1 유로(32a)가 형성된 열 교환 소자재와 제2 유로(32b)가 형성된 열 교환 소자재를, 제1 유로(32a)와 제2 유로(32b)가 직교하는 배향으로 적층된 직교류식 열 교환기이다. 제1 유로(32a)와 제2 유로(32b)는 도시하지 않은 격벽으로 구획되고, 제1 유로(32a)와 제2 유로(32b)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현열 교환이 행해진다.
급기 유로(9D)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열 교환 유닛(31)을 구성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제1 배기 유로(10E)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F)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D)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 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D)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제1 배기 유로(10E)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E)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D)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공기 청정 필터(16)를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열 교환 엘리먼트(3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로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D)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동작>
다음에, 도10A 등을 참조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D)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D)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E) 및 제2 배기 유로(10F)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D)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D)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前段)의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또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가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D)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D)에서도, 급기 유량 조 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구성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의 비교예를 도10B에 나타내면, 우선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에서는 40 ℃의 외기(OA)를 취입하여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냉각하면, 도5에 나타내는 그래프로부터 21 ℃의 급기(SA)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지만, 동시에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0.48 ㎏/시간의 물을 소비한다.
그래서, 취입한 외기(OA)의 온도를 낮추는 열 교환 유닛(31)을 조립하는 것으로 하였다. 열 교환 유닛(31)을 구성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는, 일반적으로 70 % 정도의 열 교환율을 갖고 있고, 40 ℃의 외기(OA)와 25 ℃의 환기(RA)(실내 공기)에서 열 교환하면, 열 교환 효율 70 %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29.5 ℃의 에어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조건에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로서 공급하면, 17 ℃의 급기(SA)를 생성할 수 있고, 물의 소비량도 0.32 ㎏/시간 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의해, 환기 장치(1D)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물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고, 환기 장치(1D)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구성>
도11은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E)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에 외기(OA)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에 있어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E)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E)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E)는 열 교환 유닛(31)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E)와 분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10G)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10H)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E)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G)는 급기 유로(9E)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E)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G)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E)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유로(9E)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한다.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동작>
다음에, 도11 등을 참조로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E)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E)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 구(5)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G) 및 제2 배기 유로(10H)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배기 유로(10G)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H)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E)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E)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된 외기(OA)의 일부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또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가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E)에서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마찬가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E)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열 교환 유닛(31)에서 환기(RA)를 이용하고,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된 O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E)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의 구성>
도12는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F)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는 급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에 있어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F)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F)를 구비한다. 제1 배기 유로(10E) 및 제2 배기 유로(10F)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환기 장치(1F)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보다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9F)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10I)를 구비한다.
바이패스 유로(10I)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I)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F)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의 동작>
다음에, 도12 등을 참조로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F)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F)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F)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E) 및 제2 배기 유로(10F)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F)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 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F)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고,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환기 장치(1F)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I)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따라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작동시켜 바이패스 유로(10I)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통해 냉각된 에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는 냉각되어 있지 않은 에어의 혼합 비율이 제어되어,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F)는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고,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F)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구성>
도13A는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 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부가하여 제습 유닛(33)을 구비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습 유닛(33)은, 격벽(34)으로 구획된 제습 유로(35a) 및 재생 유로(35b)와, 제습 유로(35a)와 재생 유로(35b)에 걸쳐서 회전 구동되는 제습 로터(36)와,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를 가열하는 히터(37)와, 제습 로터(36)를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제습 로터(36)는, 실리카겔 등의 흡착재를 갖는 벌집형 구조의 부재가, 축 방향으로 연통된 유로가 형성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습 로터(36)는 제습 유로(35a)와 재생 유로(35b)에 걸쳐서 배치되고,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 및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는 각각 제습 로터(36)를 통과한다.
또한, 제습 로터(36)에 있어서 제습 유로(35a)와 재생 유로(35b)는 격벽(34)으로 구획되고,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와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가 혼합되는 일은 없다.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는 수분이 제습 로터(36)에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 로터(36)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수분을 흡착한 부분이 재생 유로(35b)측으로 이동한다.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는 히터(37)로 가열됨으로써,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로 제습 로터(36)가 가열되어 수분이 증발하고, 다시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상태로 재생한다.
그리고, 제습 로터(36)는 재생된 부분이 제습 유로(35a)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은 제습 로터(36)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수분의 흡착과 재생을 반복하면서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에어가 제습된다.
급기 유로(9G)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제1 배기 유로(10J)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K)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G)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G)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제1 배기 유로(10J)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J)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G)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공기 청정 필터(16)를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 써, 제습 로터(36)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G)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동작>
다음에, 도13A 등을 참조로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G)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G)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J) 및 제2 배기 유로(10K)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G)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G)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G)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환기 장치(1G)라도,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 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구성의 효과를 도13B에 나타내면, 예를 들어 온도 30 ℃, 절대 습도 10 g/㎏(DA), 상대 습도 약 40 %RH의 외기(QA)가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함으로써, 온도 40 ℃, 절대 습도 5 g/㎏(DA), 상대 습도 약 10 %RH의 입력 에어가 된다.
여기서, 입력 에어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로터(36)가 재생 유로(35b)측에서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이다.
이 조건의 입력 에어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로 하면, 입력 습도(절대 습도)가 낮기 때문에,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는 20 ℃로 내려간다. 또한, 절대 습도가 5 g/㎏(DA)로 낮기 때문에, 출구 온도는 더욱 내려갈 여지가 있다.
이에 의해, 환기 장치(1G)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고, 환기 장치(1G)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구성>
도14는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환기 장치(1H)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에 외기(OA)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에 있어서,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H)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H)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H)는 제습 유닛(33)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H)와 분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10L)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10M)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H)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L)는 급기 유로(9H)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H)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L)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H)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유로(9H)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한다.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동작>
다음에, 도14 등을 참조로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H)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H)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 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L) 및 제2 배기 유로(10M)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배기 유로(10L)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M)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H)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및 워킹 에어 유로(11a)에는 모두 외기(OA)가 공급되고,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H)에서는,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마찬가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H)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하고,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제습 유닛(33)에서 재생 공기로서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H)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의 구성>
도15는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환기 장치(1I)에 있어서 간 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는 급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에 있어서,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I)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I)를 구비한다. 제1 배기 유로(10J) 및 제2 배기 유로(10K)는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환기 장치(1I)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보다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9I)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10N)를 구비한다.
바이패스 유로(10N)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N)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I)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의 동작>
다음에, 도15 등을 참조로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I)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I)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I)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 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J) 및 제2 배기 유로(10K)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I)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I)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환기 장치(1I)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N)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따라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작동시켜 바이패스 유로(10N)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통해 냉각된 에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냉각되어 있지 않은 에어의 혼합 비율이 제어되어,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한 에어[외기(OA)]는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되어 있으므로, 급기(SA)의 습도가 올라가는 일은 없다.
환기 장치(1I)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하고,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환 기(RA)를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I)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구성>
도16은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부가하여, 열 교환 유닛(31)과 제습 유닛(33)을 구비한다. 또한,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 등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급기 유로(9J)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또한, 열 교환 유닛(31)은 제습 유닛(32)의 상류측에 있어도 좋고, 급기 유로(9)에 설치된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의 순번을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배기 유로(10P)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Q)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제 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J)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J)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제1 배기 유로(10P)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P)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J)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공기 청정 필터(16)를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제습 로터(36), 열 교환 엘리먼트(32)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분진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급기 유로(9J)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온도가 검출된다.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동작>
다음에, 도16 등을 참조로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J)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J)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P) 및 제2 배기 유로(10Q)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J)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외기(OA)가 제습된다. 단, 제습 로터(36)가 재생 유로(35b)측에서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된 재생 공기로 가열되므로, 제습 유로(35a)를 통과한 외기(OA)의 온도는 상승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의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J)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함으로써 제습되고 또한 가열된 외기(OA)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함으로써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가 내려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에 의해 습도가 내려가 있다. 또한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 및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 및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 및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J)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환기(RA)를 워킹 에 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 및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와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J)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J)에서도,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 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 중 어느 한쪽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한쪽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J)는 제습 유닛(33)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여, 제습 유 닛(33)에서 제습되고, 열 교환 유닛(4)에서 냉각된 외기(OA)와 실내의 냉각된 환기(R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J)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의 구성>
도17은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는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K)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에 외기(OA)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에 있어서,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K)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K)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K)는 열 교환 유닛(31)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K)와 분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10R)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10S)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K)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배기 유로(10R)는 급기 유로(9K)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K)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1 배기 유로(10R)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K)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유로(9K)는 급기 취출구(6)에 온도 센서(17)를 구비한다.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의 동작>
다음에, 도17 등을 참조로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K)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K)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R) 및 제2 배기 유로(10S)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배기 유로(10R)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2 배기 유로(10S)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K)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외기(OA)가 제습된다. 단, 제습 로터(36)가 재생 유로(35b)측에서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된 재생 공기로 가열되므로, 제습 유로(35a)를 통과한 외기(OA)의 온도는 상승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K)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함으로써 제습되고 또한 가열된 외기(OA)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함으로써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가 내려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및 워킹 에어 유로(11a)에는 모두 외기(OA)가 공급되고,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습도와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 및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 및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 및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 및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와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b)를 통과 한 환기(RA)는 고습도의 에어가 되므로,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배출한다.
환기 장치(1K)에서는,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와 마찬가지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 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환기 장치(1K)는 제습 유닛(33)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여,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되고, 열 교환 유닛(4)에서 냉각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제습 유닛(33)과 열 교환 유닛(31)에서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K)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의 구성>
도18은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는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한 환기 장치(1L)에 있어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는 급기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에 있어서,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L)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L)를 구비 한다. 제1 배기 유로(10P) 및 제2 배기 유로(10Q)는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환기 장치(1L)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보다 상류측에서 급기 유로(9L)로부터 분기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10T)를 구비한다.
바이패스 유로(10T)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T)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급기 유로(9L)는 예를 들어 제습 유닛(33)보다 상류측에 공기 청정 필터(16)를 구비한다.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의 동작>
다음에, 도18 등을 참조로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L)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L)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L)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P) 및 제2 배기 유로(10Q)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 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제습 유닛(33)의 재생 유로(35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L)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제습 유닛(33)에서는, 제습 유로(35a)를 통과하는 외기(OA)가 제습된다. 단, 제습 로터(36)가 재생 유로(35b)측에서는 히터(37)에 의해 가열된 재생 공기로 가열되므로, 제습 유로(35a)를 통과한 외기(OA)의 온도는 상승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L)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이에 의해, 제습 유닛(33)의 제습 유로(35a)를 통과함으로써 제습되고 또한 가열된 외기(OA)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함으로써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가 내려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외기(OA)는 전단의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습도 및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도5 및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 및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제습 유닛(33) 및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여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 및 입력 온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에 환기 장치(1L)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환기(RA)의 온도도 낮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낮기 때문에,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환기 장치(1L)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10T)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급기 취출구(6)에 공급 되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따라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8)를 작동시켜 바이패스 유로(10T)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통해 냉각된 에어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하여 냉각되지 않은 에어의 혼합 비율이 제어되어,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바이패스한 에어[외기(OA)]는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되고,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되어 있으므로, 급기(SA)의 습도가 올라가는 일은 없다.
환기 장치(1L)는 제습 유닛(33)과 열 교환 유닛(31)을 구비하여,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되고, 열 교환 유닛(4)에서 냉각된 외기(OA)와 실내의 냉각된 환기(RA)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환기(RA)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에어를 옥외로 배기하면서 외기를 냉각하여 취입할 수 있어, 환기 장치(1L)는 환기를 행하면서 냉방을 행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환기(RA)의 유량과, 급기(SA)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소정 시간에 방의 공기를 교체하는 환기 동작이 가능하다.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변형예>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 및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치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하류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환기(RA)의 일부를 순환 RA로서 급기측에서 이용하기 위해, 환기(RA) 를 외기 흡입구(5)와 연통시켜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RA)는 여름철에는 공기 조화되어 냉각되어 있으므로, 환기(RA)의 일부를 급기로서 이용함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있어서 프로덕트 에어(PA) 등의 입력 온도 또는 입력 습도가 내려가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공기 청정 필터(16) 이외에, 공기 청정 장치로서 이온 발생기나 오존 발생기를 구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고, 대략 동일 수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공급하는 동시에, 마이너스 이온만 또는 마이너스 이온을 플러스 이온보다 많이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이온 발생기를 급기 취출구(6)에 구비하면, 대략 동일 수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포함하는 급기(SA)가 거실 등에 공급되어,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이온을 공급하면, 릴랙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기를 간접 기화 유닛(4)의 상류측 등 급기 유로(9)의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거실뿐만 아니라 장치 내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과 급기 팬(2), 배기 팬(3), 열 교환 유닛(31) 및 제습 유닛(33)은 각각이 동일 하우징 내에 없어도 좋고, 또한 팬은 다른 기기의 팬과 겸용해도 좋다.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한 환기 장치의 변형예>
상술한 제4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와, 제10 내지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에서는, 열 교환 유닛(31)으로서 현열(온도)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현열 교환에 부가하여 잠열(습도) 교환을 행하는 소위 전열(全熱) 교환 엘리먼트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외기(OA)와 환기(RA) 사이에서 전열 교환을 행하는 경우, 여름철에는 환기(RA)의 온도 및 습도가 외기(OA)의 온도 및 습도보다도 낮기 때문에, 외기(OA)는 온도 및 습도가 내려가고, 환기(RA)는 온도 및 습도가 올라간다.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 및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 등과 같이,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로서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전열 교환 엘리먼트를 이용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를 낮출 수 있고,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SA)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 및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 등과 같이, 열 교환 유닛(31)에서 냉각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전열 교환 엘리먼트를 이용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양방의 입력 온도 및 입력 습도를 낮출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SA)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제습 유닛을 구비한 환기 장치의 변형예>
상술한 제7 내지 제1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습 유닛(33)을 구비한 환기 장치에서는,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습 유닛(33)을 통과한 에어의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19는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와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가 높아지면 제습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습 유닛(33)으로부터 출력되는 에어의 습도가 제어된다.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 교환 엘리먼트(11)에 있어서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가 저하되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간다.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 및 제10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J) 등과 같이,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로서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를 높게 하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가 내려가므로,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급기(SA)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를 낮게 하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습도가 올라가므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급기(SA)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H) 및 제1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K) 등과 같이, 제습 유닛(33)에서 제습된 외기(OA)를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입력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양방의 입력 습도를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의 출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습 로터(36)의 회전 제어에 의한 급기 온도의 제어와, 댐퍼 등에 의한 유량 제어에 의한 급기 온도의 제어를 조합해도 좋다.
또한, 제습 로터(36)의 재생용 히터(37)의 온도 조정에 의해 제습 로터(36)의 제습량을 제어하는 제습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공급되는 에어의 습도를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환기 장치의 다른 변형예>
도20은 제1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M)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제1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M)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M)는 급기 팬(2)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하고,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M)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M)는 급기 팬(2)보다 하류측에서 급기 유로(9M)와 분기되 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배기 유로(10U)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M)는 배기 유로(10U)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 유로(10U)는 급기 유로(9M)와의 분기 위치보다 하류측에서,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M)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배기 유로(10U)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다음에, 제1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M)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M)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M)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M)로부터 분기된 배기 유로(10U)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의 일부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 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M)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환기 장치(1M)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팬(2)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도21은 제1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N)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제1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N)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N)는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하고,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N)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N)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배기 유로(10V)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9N)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 유로(10V)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급기 유로(9N)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 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배기 유로(10V)를 흐르는 에어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환기 장치(1N)는 급기 취출구(6)에 도시하지 않은 덕트 등을 통해 급기 장치(41) 등이 접속된다. 급기 장치(41)는 예를 들어 외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실내에 급기하는 장치로, 급기 장치(41)의 흡입구(41a)에 환기 장치(1N)의 급기 분출구(6)가 접속된다.
다음에, 제1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N)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N)는 급기 장치(41)가 구동되면, 급기 유로(9N)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 장치(41)를 통해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V)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환기(RA)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N)에서는 환기(R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환기(R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환기(R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환기 장치(1N)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나 워킹 에어(WA)의 유량 혹은 양방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배기 팬(3)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 가능하다.
따라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배기 팬(3)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 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도22는 제1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P)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제1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P)에 있어서,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환기 장치(1P)는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하고, 외기 흡입구(5)로부터 열 교환 유닛(31)을 구성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9P)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P)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1 배기 유로(10W)와,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하는 제2 배기 유로(10X)를 구비한다.
환기 장치(1P)는 급기 취출구(6)에 도시하지 않은 덕트 등을 통해 급기 장치(41) 등이 접속된다. 또한, 환기 흡입구(7)에 도시하지 않은 덕트 등을 통해 배기 장치(42) 등이 접속된다. 배기 장치(42)는 예를 들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옥외로 배기하는 장치로, 배기 장치(42)의 취출구(42a)에 환기 장치(1P)의 환기 흡입구(7)가 접속된다.
다음에, 제1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P)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P)는 급기 장치(41)가 구동되면, 급기 유로(9P)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 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 장치(41)를 통해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장치(42)가 구동되면, 제1 배기 유로(10W) 및 제2 배기 유로(10X)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환기(RA)가 배기 장치(42)를 통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또한, 환기(RA)의 일부가 배기 장치(42)를 통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P)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환기 장치(1P)에서는, 급기 장치(41)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 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장치(42)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장치(41)와 배기 장치(42)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에서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축 기준법에 의해 건물의 환기가 의무화됨으로써, 1대로 급기와 배기를 행할 수 있는 환기 장치(24시간 환기 장치 등이라 불리움)나, 배기만, 혹은 급기만을 행할 수 있는 환기 장치(중간 덕트 팬 등이라 불리움)가 건물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다른 환기 장치와 접속함으로써, 환기 장치(1N)와 같이 팬으로서 배기 팬(3)만을 구비하는 구성이나, 환기 장치(1P)와 같이 급기 팬과 배기 팬을 모두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팬을 탑재하지 않는 것으로 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워킹 에어를 재이용한 환기 장치의 구성예>
도23은 제1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Q)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환기 장치(1Q)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를, 열 교환 유닛(31)을 통해 배기하는 것이다. 또한, 환기 장치의 전체 구성으로서는, 제4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D)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환기 장치(1Q)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하고, 외기(OA)를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로서 이용하고, 환기(RA)를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한다.
급기 유로(9D)는 급기 팬(2)으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환기 유로(10Y)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또한, 배기 유로(10Y)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급기 유로(9D) 등과 독립되도록, 예를 들어 케이스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다.
급기 유로(9D)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하고,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배기 유로(10Y)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하고,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다음에, 환기 장치(1Q)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Q)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D)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Y)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Q)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가 되고, 환기(RA)가 워킹 에어(W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또한,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는, 습도는 올라가지만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환기(RA)는 간접 기 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함으로써 온도가 내려가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간다. 여기서, 환기(RA)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함으로써 고습도가 되지만, 열 교환 엘리먼트(32)는 현열 교환을 행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이므로, 외기(OA)의 습도는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를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통과시킴으로써,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서 외기(OA)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낮으면,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내려가므로,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단에 열 교환 유닛(31)을 배치하는 동시에, 워킹 에어(WA)를 열 교환 유닛(31)에 통과시킴으로써, 프로덕트 에어(PA)의 입력 온도가 효율적으로 내려가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환기 장치(1Q)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 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어느 하나, 혹은 급기 팬(2)과 배기 팬(3)의 양방의 풍량을 제어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적어도 한쪽의 개방도의 제어와, 급기 팬(2)과 배기 팬(3)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제어되고,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가 제어된다.
도24는 제1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R)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환기 장치(1R)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WA)를 급기(SA)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환기 장치의 전체 구성으로서는 제5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E)를 예로 설명한다.
환기 장치(1R)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엘리먼트(4)를 구비하고, 외기(OA)를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PA)와 워킹 에어(WA)로서 이용한다.
제1 급기 유로(9R)는 외기 흡입구(5)로부터 급기 팬(2), 열 교환 엘리먼 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제2 급기 유로(9S)는 열 교환 유닛(31)보다 하류측에서 제1 급기 유로(9R)와 분기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제습 장치(44)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 연통한다.
배기 유로(10H)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제습 장치(44)는 투과막 필터 등을 구비하여 물과 공기를 분리하고, 제2 급기 유로(9S)를 통과하는 에어를 제습한다.
제1 급기 유로(9R)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하고,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흐르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제2 급기 유로(9S)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하고,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흐르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다음에, 제1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R)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R)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제1 급기 유로(9R) 및 제2 급기 유로(9S)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6)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 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 및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열 교환 유닛(31)을 통과한 외기(OA)의 일부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제습 장치(44)를 지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H)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구(7)로부터 흡입되어,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2 유로(32b)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환기 장치(1R)에서는 외기(OA)가 프로덕트 에어(PA) 및 워킹 에어(WA)가 된다.
열 교환 엘리먼트(32)에서는, 제1 유로(32a)를 통과하는 외기(OA)와, 제2 유로(32b)를 통과하는 환기(RA)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진다. 여름철에 환기 장치(1R)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가 내려가, 환기(RA)의 온도는 외기(OA)의 온도보다도 낮다.
따라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를 통과한 외기(OA)는 온도가 내려가고, 제2 유로(32b)를 통과한 환기(RA)는 온도가 올라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또한,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는 올라가지만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외기(OA)는 고습도가 되지만, 제습 장치(44)를 통해 제습함으로써 급기(SA)로서 이용 가능해지고,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와 함께 급기 취출구(6)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높이지 않고 낮출 수 있다.
여기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및 워킹 에어 유로(11a)에는 모두 외기(OA)가 공급되고, 외기(OA)는 전단의 열 교환 유닛(31)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 있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를 낮추어 급기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냉각된 워킹 에어(WA)를 제습하여 급기(SA)로서 이용함으로써 냉각 능력이 향상된다.
환기 장치(1R)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 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저하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감소시키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의 프로덕트 에어(PA)의 출구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급기 취출구(6)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제습 유닛에 배열을 이용한 환기 장치의 구성예>
도25는 제18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S)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환기 장치(1S)는 재생 공기의 열원에 배열(排熱)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환기 장치의 전체 구성으로서는,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환기 장치(1S)는 제습 유닛(33)을 구비한다. 제습 유닛(33)은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에어(재생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7)를 구비하지만, 히터(37)의 열원에 배열을 이용한다.
배열의 발생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컨의 실외기(38)를 이용한다. 실외기(38)에 온풍의 수집기(38a)를 설치하고, 덕트(39a) 등을 통해 히터(37)에 온풍을 보낸다.
히터(37)는 예를 들어 코일 형상으로 권취한 파이프 중에 실외기(38)로부터의 온풍을 통과시켜 재생 유로(35b)를 통과하는 재생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37)를 통과한 온풍은 덕트(39b) 등을 통해 배기 장치(42)에서 배기된다.
환기 장치(1S)의 동작은 제7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G)와 마찬가지이다. 환기(RA)의 일부를 재생 공기로서 이용하지만, 재생 공기의 가열에 실외기(38)의 배열을 이용함으로써 히터(37)의 구동원을 환기 장치(1S)에 구비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어 히터(37)에 전기 히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히터(37)의 열원으로서는, 실외기의 배열 외에, 가스나 전기로 물을 끓이는 급탕기에 있어서 물을 끓이기 위한 열에 의한 온풍이나 온수를 이용해도 좋다.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
도26A 및 도26B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10A 및 도10B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제4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에 있어서, 열 교환 유닛(31)을 단열재(51a)로 둘러싸는 동시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단열재(51b)로 둘러싼다.
단열재(51a) 및 단열재(51b)는 예를 들어 발포 스티롤 등으로 구성되고, 유로가 개방되는 형상을 갖고, 열 교환 유닛(31)이나 간접 기화 냉각 유닛(4) 등을 둘러싼다. 열 교환 유닛(31)이나 간접 기화 냉각 유닛(41)을 단열재로 둘러쌈으로써 장치 밖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독립된 형태의 단열재를 둘러쌈으로써, 유닛 교환시 등의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유닛을 1개의 단열재로 둘러싸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단열재로 둘러싸는 유닛으로서는,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 이외에, 에어가 통과하는 유로에 배치되는 공기 청정 필터 등의 공기 청정 장치라도 좋다. 공기 청정 장치로서는, 공기 청정 필터 외에, 이온 발생기나 오존 발생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도26A 및 도26B에서는,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제4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나, 제습 유닛(3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제7 내지 제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 또한 제습 유닛(33)과 열 교환 유닛(4)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제10 내지 제12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라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도27은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도10A 및 도10B에서 설명한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환기 장치(1D)에 있어서,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 사이의 급기 유로(9D)에 확산판(52)을 구비한다. 확산판(52)은 급기 유로(9D)를 통과하는 에어를 교반한다.
열 교환 유닛(31)이나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유입하는 에어는 흐름이 중앙으로 치우쳐, 간접 기화 엘리먼트(11) 등의 각 유로에 대해 균일한 흐름이 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전방 등에 확산판(52)을 구비함으로써 에어를 교반하고, 각 유로에 대해 대략 균일한 흐름으로 함으로써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판(52)은 열 교환 유닛(31)의 전방에 구비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7 등에서 설명한 제습 유닛(3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환기 장치(1G)에서는, 제습 유닛(3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 사이의 급기 유로(9G)에 확산판(52)을 구비해도 좋고, 또는 제습 유닛(33)의 앞에 확산판(52)을 구비해도 좋고, 다른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28은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다른 주요부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도10A 및 도10B에서 설명한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한 환기 장치(1D)에 있어서,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근접 배치하여 열 교환 유닛(31)을 구성하는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의 출구와,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성하는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의 입구와의 사이의 간극을 최대한 적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28에서는, 예를 들어 열 교환 유닛(31)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와,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배기 유량 조정 댐퍼 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 사이의 간격이 넓으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유입하는 에어는 흐름이 중앙으로 치우쳐,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각 유로에 대해 균일한 흐름이 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근접 배치하여 각 유로에 대해 대략 균일한 흐름으로 함으로써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유닛(31)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 사이의 간극은 5 ㎝ 정도 혹은 그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가 연통하도록 열 교환 엘리먼트(32)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를 일체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열 교환 엘리먼트(32)의 제1 유로(32a)의 출구와,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의 입구의 면적을 동일하게 하면, 에어의 흐름이 효율적으로 된다. 또한, 각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29A 내지 도29C는 각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2A 내지 도2C의 간접 기화 엘리먼트의 다른 구성도이다. 또한, 도29A는 외관 사시도, 도29B는 분해 사시도, 도29C는 단면도이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는 도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부(21a)로 구획된 복수의 제1 유로(21b)를 갖는 건조 셀(21)과, 구획부(22a)로 구획된 복수의 제2 유로(22b)를 갖는 습윤 셀(22)과, 건조 셀(21)과 습윤 셀(22)을 구획하는 격벽(23)을 구비하고, 각 유로의 출입구는 다른 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제1 유로(21b)와 제2 유로(22b)의 일부가 평행이 되도록 구성된다.
격벽(23)은, 도2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형성된 방습 필름(23a)과, 펄프 등으로 형성된 습윤층(23b)을 구비하여, 방습 필름(23a)이 건조 셀(21)에 면하고, 습윤층(23b)이 습윤 셀(22)에 면한다.
이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 제2 유로(22b)가 도1 등에 도시하는 워킹 에어 유로(11a)가 되고, 제2 유로(21b)가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 가 된다.
간접 기화 냉각 엘리먼트(11')에 있어서, 워킹 에어 유로(11a)와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의 일부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워킹 에어 유로(11a)와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의 격벽(23)을 통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길어지므로, 기화열로 냉각된 워킹 에어(WA)의 냉열이 프로덕트 에어(PA)에 효율적으로 전해져 냉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환기 장치의 설치예>
도30은 본 실시 형태의 건물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로, 환기 장치(1)의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1 등에서 설명한 환기 장치(1)는 건물(101)의 천장 이면 등에 설치된다. 건물(101)은 복수의 거실(102)과 화장실(103), 세면실(104a), 욕실(104b) 등을 구비하고, 환기 장치(1)의 도1 등에 나타내는 급기 취출구(6)는 각 거실(102)의 천장 등에 설치한 급기구(105)에 덕트(106)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도1 등에서는 급기 취출구(6)를 1개 구비한 구성이지만, 복수의 거실(102)에 급기(SA)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덕트(106)의 도중에 분기 챔버(106a)를 설치하여 1개의 덕트(106)를 복수개의 덕트(106)로 분기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한, 환기 장치(1)에 복수의 급기 취출구(6)를 구비해도 좋고, 복수의 급기 취출구(6)를 구비한 환기 장치(1)와 분기 챔버(106a)를 조합해도 좋다.
환기 장치(1)의 도1 등에 도시하는 환기 흡입구(8)는 예를 들어 화장실(103)의 천장 등에 설치한 흡입구(107)에 덕트(107a) 등을 통해 접속된다. 거실(105) 내에 급기된 공기는 도어의 언더컷부, 방충망부 등을 통해 흡입구(107)에 모이고, 환기 흡입구(8)로부터 흡입된 환기(RA)는 도1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워킹 에어(WA) 등으로서 이용하여 배기하므로 거실로는 복귀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악취를 배기할 수 있다. 흡입구(107)는 도1과 같은 환기 장치(1)의 본체 하면에 설치한 환기 흡입구(7)라도 좋고, 또한 환기 흡입구(7)를 복수 마련해도 좋다. 또한, 급기구(105)를 마련한 거실(102) 내에 각각 흡입구(107)를 마련해도 좋다.
환기 장치(1)의 도1 등에 도시하는 외기 흡입구(5)는 베란다(108) 등의 벽면에 구비한 흡입구(109)에 덕트(109a)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배기 취출구(8)는 베란다(108) 등의 벽면에 구비한 배기구(110)에 덕트(110a)를 통해 접속된다. 이에 의해, 환기 장치(1)는 외기(OA)를 옥외로부터 취입하는 동시에, 화장실(103) 등으로부터의 환기(RA)를 옥외로 배기(EA)로서 배기할 수 있다.
환기 장치(1)는 도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급배수 장치(12)와 드레인 팬(13)을 구비한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WA)를 냉각하기 위해 급배수 장치(12)에 의해 물이 공급되고, 소비되지 않은 물은 드레인 팬(13)에 저수된다. 그리고, 드레인 팬(13)과, 베란다(108) 등에 설치한 드레인 배수구(111)가 호스(111a)로 접속되어, 드레인 팬(13)의 물을 급배수 장치(12) 등에서 장치 밖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21에서 설명한 환기 장치(1N)에 접속되는 급기 장치(41)는, 예를 들어 환기 장치(1)와 급기구(105)를 접속하는 덕트(106)에 구비한다. 또한, 도22에서 설명한 환기 장치(1P)에 접속되는 배기 장치(42)는, 예를 들어 환기 장치(1) 와 흡입구(107)를 접속하는 덕트(107a)에 구비한다.
도31은 급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급기구(105)는 급기(SA)를 불어내는 급기 그릴(61)과, 급기구(105)가 설치된 거실(102)에 있어서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인체 감지 센서(62)와, 급기구(105)가 설치된 거실(10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63)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구(105)는 이온 발생기(64)를 구비해도 좋다. 이온 발생기(64)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하고, 급기(SA)에 공급한다. 여기서,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대략 동일 수 발생함으로써, 대략 동일 수의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포함하는 급기(SA)가 거실(10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거실(102)에 있어서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이너스 이온만 혹은 플러스 이온보다 마이너스 이온을 많이 발생함으로써 마이너스 이온이 거실(10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거실(102)에 있어서 릴랙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급기를 분기하는 환기 장치의 구성예>
도32는 제19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T)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환기 장치(1T)는 급기 취출구(6)를 복수 구비하는 동시에, 각 급기 취출구(6)에서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환기 장치의 전체 구성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1A)를 예로 설명한다.
환기 장치(1T)는 급기 취출구로서 본 예에서는 제1 급기 취출구(6a)와 제2 급기 취출구(6b)를 구비한다. 또한, 환기 장치(1T)는 급기 팬(2)과 배기 팬(3)과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구비하고, 급기 유로(9A)는 급기 팬(2)으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제1 급기 취출구(6a) 및 제2 급기 취출구(6b)로 연통한다.
환기 유로(10A)는 환기 흡입구(7)로부터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 및 배기 팬(3)을 지나 배기 취출구(8)로 연통한다.
급기 유로(9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 유로(10A)는 예를 들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상류측에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를 구비한다.
또한, 제1 급기 취출구(6a)와 제2 급기 취출구(6b) 중 적어도 한쪽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9)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제2 급기 취출구(6b)에 급기 유량 조정 댐퍼(19)를 구비한다. 급기 유량 조정 댐퍼(19)의 개방도를 조정함으로써, 제2 급기 취출구(6b)를 흐르는 급기(SA)의 유량이 조정된다.
다음에, 환기 장치(1T)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환기 장치(1T)는 급기 팬(2)이 구동되면, 급기 유로(9A)에 있어서 제1 급기 취출구(6a) 및 제2 급기 취출구(6b)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외기(OA)가 외기 흡입구(5)로부터 흡입되어, 공기 청정 필터(16),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지나 제1 급기 취출구(6a) 및 제2 급기 취출구(6b)로부터 급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또한, 배기 팬(3)이 구동되면, 배기 유로(10B)에 있어서 배기 취출구(8)를 향하는 에어의 흐름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실내로부터의 환기(RA)가 환기 흡입 구(7)로부터 흡입되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지나 배기 취출구(8)로부터 배기(EA)로서 옥외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서는 워킹 에어(WA)가 물의 기화열로 냉각되고, 프로덕트 에어(PA)는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냉각되므로,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는, 습도(절대 습도)는 변화하지 않고 온도는 내려간다. 또한,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한 환기(RA)는, 습도는 올라가지만 온도는 내려간다.
따라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한 외기(OA)를 제1 급기 취출구(6a) 및 제2 급기 취출구(6b)로부터 급기(SA)로서 불어냄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환기 장치(1T)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프로덕트 에어 유로(11b)를 통과하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유량이 조정된다. 또한,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에 의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의 워킹 에어 유로(11a)를 통과하는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와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방을 작동시켜 제1 급기 취출구(6a) 및 제2 급기 취출구(6b)로부터 불어내는 급기(SA)의 온도가 제어된다.
또한, 환기 장치(1T)에서는 급기 유량 조정 댐퍼(19)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 급기 취출구(6a)로부터 불어내는 급기(SA)의 유량과, 제2 급기 취출구(6b)로부터 불어내는 급기(SA)의 유량이 제어된다.
예를 들어, 급기 유량 조정 댐퍼(19)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제2 급기 취출구(6b)로부터 불어내는 급기(SA)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급기 유량 조정 댐퍼(19)의 개방도를 작게 함으로써 제2 급기 취출구(6b)로부터 불어내는 급기(SA)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1)로부터 복수의 거실(102)에 급기하는 경우, 환기 장치(1)로부터 각 거실(102)까지의 거리가 균등하지 않으므로, 각 덕트(106)의 길이가 다른 경우가 많다.
급기(SA)를 동일한 유량으로 하여, 길이가 다른 덕트(106)에서 각 거실(102)에 급기하면, 거실(102)에서는 냉각 온도가 다르다. 또한, 거실(102)의 넓이의 차이에 따라서도 냉각 온도가 다르다. 이로 인해,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급기 취출구(6)에서 유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덕트(106)의 길이 등에 따라서 풍량을 제어하면, 각 거실(102)의 냉각 온도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32에서는 급기 취출구는 2개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2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유량의 조정은 댐퍼로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급기 취출구(6)의 직경을 가변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도30에 도시하는 분기 챔버(106a)에 동등한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또한,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RA)를 하나의 방(화장실)으로부터 행하는 경우,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흡입구(7)는 1개이지만, 환기(RA)를 복수의 방(거실)으로부터 행하는 경우, 환기 흡입구(7)를 복수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1개의 환기 흡입구(7)에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환기(RA)의 유량이 조정 되어 방마다의 환기류 유량을 조정하고, 예를 들어 임의의 방으로부터의 환기는 정지하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환기 장치의 제어예>
도33은 환기 장치의 제어 기능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환기 장치로서는, 제습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예로 한다. 환기 장치(1)는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CPU(71)에, 급기 팬(2) 및 배기 팬(3)을 구동하는 팬 모터(72)와, 급기 유량 조정 댐퍼(14)나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 등의 댐퍼 모터(73)와, 제습 유닛(33)의 제습 로터(36)를 구동하는 제습 로터 모터(74)가 접속되고, CPU(71)가 이들 구동원을 제어함으로써 급기(SA)의 온도 제어 등이 행해진다.
또한, CPU(71)에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와 배수 밸브(12b)가 접속되어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있어서의 급배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CPU(71)에 급기 취출구(6) 등에 구비한 온도 센서(17)와, 도30에 도시하는 급기구(105) 등에 구비한 인체 감지 센서(62)와 온도 센서(63)가 접속되어, 각종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기(SA)의 온도 제어 등이 행해진다.
또한, CPU(71)에, 설정 수단을 구성하여 각종 조작 등을 행하는 설정 스위치(75)와, 냉각 동작 정지 스위치(76)와,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77)가 접속되어, 각종 조작과 설정을 기초로 하여 급기(SA)의 온도 제어나 운전 정지의 제어 등이 행해진다.
또한, 환기 장치(1) 등에 이온 발생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CPU(71)에 이온 발생기가 접속되어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의 발생이 제어된다.
<온도 센서에 의한 제어>
도34는 온도 센서에 의한 냉각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로, 도32 등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제어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메모리(77)에는 미리 원하는 설정 온도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팬 모터(72) 등이 구동되어 냉각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A1 : CPU(71)는 온도 센서(17)로부터 급기(SA)의 온도를 판독한다. 또는, 온도 센서(63)로부터 거실(102)의 온도를 판독한다.
스텝 SA2 : CPU(71)는 메모리(77)로부터 설정 온도치를 판독한다.
스텝 SA3 : CPU(71)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17)로부터 판독한 급기(SA)의 온도와, 메모리(77)로부터 판독한 설정 온도치를 비교한다. 급기(SA)의 온도가 설정 온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팬 회전수나 댐퍼 개방도 등을 변경하지 않고 현상의 제어를 유지하고 스텝 SA1로 복귀된다.
스텝 SA4 :스텝 SA3의 비교에서, 급기(SA)의 온도가 설정 온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CPU(71)는 급기(SA)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예를 들어 도1 등에 도시하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의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CPU(71)는 댐퍼 모터(73)를 제어하여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를 크게 함으로써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있어서 워킹 에어(WA)의 유량이 증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덕트 에어(PA)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급기(SA)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급기(SA)의 온도 제어는 배기 유량 조정 댐퍼(15)의 개방도 제어 이외에, 팬 풍량의 제어나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 제어 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스텝 SA3에서 급기(SA)의 온도가 설정 온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현상의 제어를 유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워킹 에어 유량(WA)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등에 의해 급기(SA)의 온도를 높이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한, 메모리(77)에 원하는 설정 온도치에서 운전을 행하는 일시나 기간 등의 설정 날짜 데이터를 등록해 놓고, 현재의 일시가 메모리(77)에 등록된 설정 날짜 데이터로 지정된 일시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하는 설정 온도를 얻을 수 있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또한, 온도 제어뿐만 아니라, 환기 유량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여기서, 메모리(77)는 수정 가능한 메모리이며, 설정 스위치(75)의 조작으로 설정 온도치의 수정이 가능하다. 설정 스위치(75)로서는, 환기 장치(1)에 구비한 오퍼레이션 패널이나, 유선, 무선, 적외선 등으로 접속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등이 사용된다.
메모리(77)에 등록된 설정 온도치를 수정함으로써 원하는 급기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메모리(77)에 등록되는 설정 온도치는, 온도 데이터라도 좋고, 팬 모터(72)의 회전수, 팬 모터(72)의 구동 전압, 댐퍼 모터(73)에 의한 댐퍼 개방도, 댐퍼 모터(73)의 구동 전압 등이라도 좋다.
도35는 온도 센서에 의한 냉각 제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메모리(77)에는 미리 원하는 설정 온도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한, 팬 모터(72) 등이 구동되어 냉각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B1 : CPU(71)는 온도 센서(17)로부터 급기(SA)의 온도를 판독한다. 또는, 온도 센서(63)로부터 거실(102)의 온도를 판독한다.
스텝 SB2 : CPU(71)는 메모리(77)로부터 설정 온도치를 판독한다.
스텝 SB3 : CPU(71)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17)로부터 판독한 급기(SA)의 온도와, 메모리(77)로부터 판독한 설정 온도치를 비교한다. 급기(SA)의 온도가 설정 온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팬 회전수나 댐퍼 개방도 등을 변경하지 않고 현상의 제어를 유지하고 스텝 SA1로 복귀된다.
스텝 SB4 : 스텝 SB3의 비교에서, 급기(SA)의 온도가 설정 온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CPU(71)는 급기(SA)의 온도를 낮추므로, 예를 들어 도1 등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의 개방도를 증가시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량을 증가시킨다.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있어서 물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워킹 에어(WA)를 냉각하고 있으므로,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량이 증가하면, 워킹 에어(WA)의 온도가 내려가고,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는 프로덕트 에어(PA)의 온도가 내려간다. 따라서, 급기(SA)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7)에 등록된 설정 온도치는 수정 가능하다. 또한, 도34에서 설명한 에어의 유량 제어와, 급수량의 제어를 조합해도 좋다.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제어>
도36는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냉각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메모리(77)에는 사람의 유무에 따라서 절환되는 원하는 설정 온도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팬 모터(72) 등이 구동되어, 냉각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C1 : CPU(71)는 인체 감지 센서(62)로부터 도30에 도시하는 거실(102)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를 판독한다.
스텝 SC2 : CPU(71)는 메모리(77)로부터 제1 설정 온도치와 제2 설정 온도치를 판독한다. 여기서, 제1 설정 온도치는 사람이 있는 경우의 냉각 온도, 제2 설정 온도치는 사람이 없는 경우의 냉각 온도로 한다.
스텝 SC3 : CPU(71)는 인체 감지 센서(62)의 출력으로부터 사람의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 SC4 : 스텝 SC3의 판단에서, 거실(102)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CPU(71)는 급기(SA)의 온도를 제1 설정 온도치로 하기 위해, 팬 모터(72)에 의한 팬 회전수나 댐퍼 모터(73)에 의한 댐퍼 개방도, 제습 로터(36)의 회전 속도 제어 등을 제어하여,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하여 급기(SA)의 온도를 제1 설정 온도치로 한다.
스텝 SC5 : 스텝 SC3의 판단에서, 거실(102)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CPU(71)는 급기(SA)의 온도를 제2 설정 온도치로 하기 위해, 팬 모터(72)에 의한 팬 회전수나 댐퍼 모터(73)에 의한 댐퍼 개방도 등을 제어하여, 예를 들어 워킹 에어(WA)의 유량을 조정하여 급기(SA)의 온도를 제2 설정 온도치로 한다.
이와 같이, 사람의 유무로 냉각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냉각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등에 의해 소비 전력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7)에 등록된 제1 설정 온도치와 제2 설정 온도치는 설정 스위치(75)의 조작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원하는 급기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도37은 인체 감지 센서에 의한 환기량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메모리(77)에는 사람의 유무에 따라서 절환되는 원하는 환기 유량치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팬 모터(72) 등이 구동되어 냉각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D1 : CPU(71)는 인체 감지 센서(62)로부터 도30에 도시하는 거실(102)에 있어서의 사람의 유무를 판독한다.
스텝 SD2 : CPU(71)는 메모리(77)로부터 제1 설정 환기 유량치와 제2 설정 환기 유량치를 판독한다. 여기서, 제1 설정 환기 유량치는 사람이 있는 경우의 환기 유량, 제2 설정 환기 유량치는 사람이 없는 경우의 환기 유량으로 한다.
스텝 SD3 : CPU(71)는 인체 감지 센서(62)의 출력으로부터 사람의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 SD4 : 스텝 SD3의 판단에서, 거실(102)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CPU(71)는 환기 유량을 제1 설정 환기 유량치로 하기 위해, 팬 모터(72)에 의한 팬 회전수나 댐퍼 모터(73)에 의한 댐퍼 개방도 등을 제어하여 급기(SA)의 불어내는 유량이나 환기(RA)의 흡입하는 유량을 조정하여 환기 유량을 제1 설정 환기 유량치로 한다.
스텝 SD5 : 스텝 SD3의 판단에서, 거실(102)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CPU(71)는 환기 유량을 제2 설정 환기 유량치로 하기 위해, 팬 모터(72)에 의한 팬 회전수나 댐퍼 모터(73)에 의한 댐퍼 개방도 등을 제어하여 급기(SA)의 불어내는 유량이나 환기(RA)의 흡입하는 유량을 조정하여 환기 유량을 제2 설정 환기 유량치로 한다.
이와 같이, 사람의 유무로 환기 유량을 변경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환기 유량을 적게 설정하는 등에 의해 소비 전력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77)에 등록된 제1 설정 환기 유량치와 제2 설정 환기 유량치는 설정 스위치(75)의 조작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원하는 환기 유량을 얻을 수 있다.
<기동ㆍ정지 제어>
도1 등에 도시하는 환기 장치(1)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을 이용함으로써 거실의 온도 제어를 행하는 공조기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의한 냉각 기능을 정지함으로써 온도 제어를 수반하지 않고, 거실의 환기(換氣)[외기와 환기(還氣)의 교체]를 행하는 환기 장치(換氣裝置)로서 기능한다.
도38은 수동에 의한 기동ㆍ정지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로, 우선 수동에 의한 냉각 기능의 정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E1 : CPU(71)는 냉각 동작 정지 스위치(76)의 출력을 판독한다.
스텝 SE2 : CPU(71)는 냉각 동작 정지 스위치(76)의 출력으로부터 냉각 정지가 지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E3 : 스텝 SE2의 판단에서 냉각 정지가 지시되어 있으면, CPU(71)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가 정지하면, 물의 증발에 의한 워킹 에어(WA)의 냉각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프로덕트 에어(PA)가 냉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급기(SA)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의한 온도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냉각 기능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CPU(71)는,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하면, 배수 밸브(12b)를 개방하여 드레인 팬(13)의 물을 배수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겨울철 등 냉각 기능을 장기간 정지하는 경우에는, 드레인 팬(13)에 물이 남아 있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스텝 SE4 : 스텝 SE2의 판단에서 냉각 기능의 기동이 지시되어 있으면, CPU(71)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로 급수를 행한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급수가 행해지면, 물의 증발에 의해 워킹 에어(WA)가 냉각되고, 워킹 에어(WA)의 냉열을 받아 프로덕트 에어(PA)가 냉각된다. 따라서, 급기(SA)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4)에 의한 온도 제어는 행해지고, 이에 의해 냉각 기능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CPU(71)는,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배수 밸브(12b)를 폐 쇄하여 드레인 팬(13)에 저수할 수 있도록 한다.
도39는 자동에 의한 기동ㆍ정지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로, 다음에, 자동에 의한 냉각 기능의 정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메모리(77)에는 냉각 기능을 정지시키는 일시, 기간 등의 설정 날짜 데이터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스텝 SF1 : CPU(71)는 도시하지 않은 캘린더 기능 등으로부터 현재의 날짜 데이터를 판독한다.
스텝 SF2 : CPU(71)는 메모리(77)로부터 냉각 정지 기간의 설정 날짜 데이터를 판독한다.
스텝 SF3 : CPU(71)는 현재의 날짜 데이터와 메모리(77)로부터 판독한 설정 날짜 데이터를 비교한다.
스텝 SF4 : 스텝 SF3의 비교에서, 현재의 날짜가 냉각 정지 기간에 들어가 있으면, CPU(71)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한다.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가 정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 기능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CPU(71)는 급수 밸브(12a)를 폐쇄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의 급수를 정지하면, 배수 밸브(12b)를 개방하여 드레인 팬(13)의 물을 배수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 SF5 : 스텝 SF3의 비교에서, 현재의 날짜가 냉각 정지 기간에 들어가 있지 않으면, CPU(71)는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하는 급배수 장치(12)의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여 간접 기화 엘리먼트(11)에 급수를 행하고, 냉각 기능을 기동한 다.
또한, CPU(71)는 급수 밸브(12a)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배수 밸브(12b)를 폐쇄하여 드레인 팬(13)에 저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39의 흐름도에서는, 냉각 기능의 정지와 기동을 날짜를 기초로 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냉각 기능을 정지하는 설정 온도치를 메모리(77)에 등록해 두고, 도시하지 않은 외기 온도 센서에서 검출되는 옥외 온도와 설정 온도치를 비교하여, 옥외 온도가 설정 온도치 이하가 되면 냉각 기능을 정지하고, 옥외 온도가 설정 온도치를 초과하면 냉각 기능을 기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메모리(77)에 등록한 설정 날짜 데이터나 설정 온도치는 설정 스위치(75)의 조작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원하는 기간, 냉각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주택에 설치되어, 복수의 방의 환기 및 공조를 행하는 환기 장치에 적용된다.

Claims (60)

  1.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7.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8.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 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9.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0.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 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1.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2.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공급된 에어를 제습하는 제습 유닛과,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서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1 배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제2 배기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공급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 기 장치.
  13. 제1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수단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와 연통된 상기 급기 유로와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연통된 상기 배기 유로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댐퍼의 개방도, 혹은 상기 급기 팬과 상기 배기 팬 중 적어도 한쪽의 풍량의 제어, 혹은 댐퍼 개방도와 팬 풍량의 양방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로덕트 에어와 상기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4. 제2항, 제5항, 제8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수단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와 연통된 상기 급기 유로와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연통된 상기 배기 유로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댐퍼의 개방도, 혹은 상기 급기 팬의 풍량의 제어, 혹은 댐퍼 개방도와 팬 풍량의 양방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로덕트 에어와 상기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5. 제3항, 제6항, 제9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한 댐퍼의 개방도 혹은 상기 급기 팬의 풍량의 제어, 혹은 댐퍼 개방도와 팬 풍량의 양방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바이패스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6. 제4항, 제5항, 제6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닛은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현열, 또는 현열과 잠열의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엘리먼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7.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유닛은 격벽으로 구획된 제습 유로 및 재생 유로와, 상기 제습 유로와 재생 유로에 걸쳐서 회전 구동되는 제습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습 유로는 상기 급기 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재생 유로는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의 배기 유로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의 출구와 연통된 제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습 수단을 상기 급기 취출구와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19. 제4항, 제5항, 제6항,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의 출구와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의 입구를 연통시켜 배기 유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0.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경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수단은 상기 급기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댐퍼의 개방도 혹은 상기 배기 팬의 풍량의 제어, 혹은 댐퍼 개방도와 팬 풍량의 양방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로덕트 에어 및 상기 워킹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2.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수단은 상기 급기 유로와 상기 배기 유로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댐퍼의 개방도 혹은 상기 급기 팬의 풍량의 제어, 혹은 댐퍼 개방도와 팬 풍량의 양방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프로덕트 에어 및 상기 워킹 에어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4. 급기 취출구와 환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한쪽을 복수 구비하는 동시에,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된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워킹 에어 혹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에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제1 유량 제어 수단과,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의 유량과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에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2 유량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각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유량 혹은 각 환기 흡입구로부터의 흡기 유량 중 적어도 한쪽을 개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류측에 제습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7. 외기 흡입구로부터 급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급기 팬과,
    환기 흡입구로부터 배기 취출구로의 에어의 흐름을 생성하는 배기 팬과,
    제습 유닛과,
    워킹 에어가 공급되는 워킹 에어 유로와 프로덕트 에어가 공급되는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갖고, 물의 기화열로 워킹 에어가 냉각되어, 격벽으로 구획된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 사이에서 워킹 에어와 프로덕트 에어와의 현열 교환이 행해지는 간접 기화 냉각 유닛과,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설치되어 급배수를 행하는 급배수 장치와,
    상기 외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제습 유로 및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를 지나 상기 급기 취출구로 연통하는 급기 유로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재생 유로를 지나 상기 배기 취출구로 연통된 배기 유로와,
    상기 제습 유닛의 제습량을 제어하는 제습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에 공급되는 에어의 습도를 제어하여,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흡입구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유로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유로를 상기 제습 유닛보다 하류측에서 분기하여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워킹 에어 유로와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벽으로 구획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에 공급된 에어 사이에서 열 교환이 행해지는 열 교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급기 유로는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제습 유로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를 지나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로 연통하고,
    상기 배기 유로는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2 유로를 지나 상기 제습 유닛의 상기 재생 유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1. 제17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유로를 통과하는 에어를 가열하는 재생 열원에 배열을 이용한 가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열원으로서 공조기 혹은 급탕기의 배열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3. 제1항 내지 제21항,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흡입구를 상기 외기 흡입구와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유로에 공기 청정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공기 청정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생성하여 상기 급기 유로에 이온을 방출하는 이온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오존을 생성하여 상기 급기 유로에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 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을 둘러싸는 단열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각 유닛마다 독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전방의 급기 유로에 에어를 교반하는 확산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은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와 상기 워킹 에어 유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2. 제4항, 제5항, 제6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또는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닛의 상기 제1 유로의 출구와, 상기 간접 기화 냉각 유닛의 상기 프로덕트 에어 유로의 입구를 근접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3.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의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서 검출되는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4.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의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에서 검출되는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급배수 장치에 의한 급수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설정 온도를 기억하는 수정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는 설정 온도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설정 시간 정보에 따라서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설정 시간 정보에 따라서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급배수 장치에 의한 급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설정 온도 및 설정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수정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는 설정 온도 및 설정 시간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9.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가 제1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고,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급기 온도 혹은 실내 온도가 제2 설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제1 설정 온도와 제2 설정 온도를 기억하는 수정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는 설정 온도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1. 제1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의 유무를 검출하는 인체 감지 센서와,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 유량이 제1 설정 유량이 되도록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고,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환기 유량이 제2 설정 유량이 되도록 상기 프로덕트 에어 혹은 워킹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제1 설정 유량과 제2 설정 유량을 기억하는 수정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는 설정 유량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3. 제43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급배수 장치에 의한 급수를 정지하여 냉각 운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급배수 장치에 의한 급수를 행함으로써 냉각 운전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설정 시간 정보에 따라서 냉각 운전의 정지 및 기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설정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수정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는 설정 시간 정보를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6. 제53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외기 온도에 따라서 냉각 운전의 정지 및 기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7. 제53항에 있어서, 이용자의 조작으로 냉각 운전의 정지 및 기동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8.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기 취출구와 환기 흡입구 중 적어도 한쪽을 복수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급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에어와 상기 환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에어 중 적어도 한쪽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각 급기 취출구로부터의 급기 유량 혹은 각 환기 흡입구로부터의 급기 유량 중 적어도 한쪽을 개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9. 제7항 내지 제12항, 제17항 또는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사 람의 존재의 유무, 설정 시간 정보 등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습 유닛의 제습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0. 제1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환기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KR1020077007115A 2004-09-30 2005-09-28 환기 장치 및 건물 KR20070054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9310 2004-09-30
JP2004289310A JP4466306B2 (ja) 2004-09-30 2004-09-30 換気装置及び建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229A true KR20070054229A (ko) 2007-05-28

Family

ID=3611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115A KR20070054229A (ko) 2004-09-30 2005-09-28 환기 장치 및 건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66306B2 (ko)
KR (1) KR20070054229A (ko)
CN (1) CN101031756A (ko)
TW (1) TW200622160A (ko)
WO (1) WO2006035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792A (ja) * 2007-01-30 2008-08-14 Daiwa House Ind Co Ltd 基礎断熱住宅の床下換気構造
NL1037125C2 (nl) * 2009-07-16 2011-01-20 J C A Van De Pas Holding B V Luchtbehandelingskast, de toepassing ervan voor het koelen van een ruimte en een werkwijze voor het daarmee koelen van een ruimte.
AU2011235604B2 (en) * 2010-03-31 2015-09-17 Sisacs Holdings Ltd Super integrated security and air cleansing systems (SISACS)
CN102563795A (zh) * 2010-12-15 2012-07-11 上海龙胜实业有限公司 一种集成式加热排气装置
CN103492812B (zh) * 2011-04-08 2016-10-19 开利公司 气候梁空气调节系统
CN104541108B (zh) * 2012-06-04 2017-04-05 蒙特斯公司 直接蒸发式空气处理器
CN104976693A (zh) * 2014-04-03 2015-10-14 杭州品悦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壁挂式暖风机
CN107477802B (zh) * 2017-09-11 2020-04-03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室内机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9323427B (zh) * 2018-11-02 2023-08-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3777B (sv) * 1973-07-18 1976-03-29 Munters Ab Carl Sett och anordning for kylning av luft
JP3635295B2 (ja) * 1997-12-01 2005-04-06 株式会社西部技研 空気調和装置
JP2002061894A (ja) * 2000-08-22 2002-02-28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4607356B2 (ja) * 2000-09-04 2011-01-05 株式会社西部技研 除湿空調装置
JP2003139350A (ja) * 2001-10-31 2003-05-14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3979218B2 (ja) * 2002-08-05 2007-09-19 マックス株式会社 建物用換気装置
JP2004177010A (ja) * 2002-11-27 2004-06-24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3835413B2 (ja) * 2003-02-24 2006-10-18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除湿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5825A1 (ja) 2006-04-06
CN101031756A (zh) 2007-09-05
JP2006105422A (ja) 2006-04-20
TW200622160A (en) 2006-07-01
JP4466306B2 (ja)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05423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20070054229A (ko) 환기 장치 및 건물
JP4816251B2 (ja) 空調装置及び建物
KR20070054230A (ko) 환기 장치 및 건물
JP5261988B2 (ja) 換気空調装置
JP5862266B2 (ja) 換気システム
KR20070054228A (ko) 환기 장치, 공조 시스템, 환기 시스템 및 건물
KR101436613B1 (ko)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
JP5050687B2 (ja) 換気空調装置
JP2007139333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KR20070054227A (ko) 환기 장치 및 건물
JP4524348B1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
JP2010181096A (ja)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WO2007058260A1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JP2007139336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4230038B2 (ja) 除湿空調装置
JPWO2009011362A1 (ja) 除加湿換気システム
JP3731113B2 (ja) 空気調和機
JP2000257911A (ja) 除湿空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139335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2007139338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JP2007139337A (ja) 換気空調装置、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5040464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JP2006145145A (ja) 換気空調装置、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2007139332A (ja) 換気装置、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