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3758A - 다원색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다원색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3758A
KR20070053758A KR1020077006098A KR20077006098A KR20070053758A KR 20070053758 A KR20070053758 A KR 20070053758A KR 1020077006098 A KR1020077006098 A KR 1020077006098A KR 20077006098 A KR20077006098 A KR 20077006098A KR 20070053758 A KR20070053758 A KR 2007005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bpixels
pixel
pixels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346B1 (ko
Inventor
요시히로 오까다
가즈나리 도미자와
겐지 나까무라
쇼지 오까자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45Subdivided pixels, e.g. for grey scale or redundanc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원색을 이용한 화상 표시에 의해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는 데 있어서,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 사이의 색 분리가 인식되기 어려워져, 백선 표시 시에 1개의 선으로서 인식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해서 표시 품위를 향상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를 주체로 하는 것이다.
Figure 112007021259213-PCT00001
서브 픽셀, 주사 신호 회로, 데이터 구동 회로

Description

다원색 표시 장치{MULTIPLE PRIMARY COLOR DISPLAY}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에 의해 표시 화면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원색에 의해 화상을 구성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 EL(Electroluminescent),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원색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로서는, 화소(픽셀)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각종 디스플레이가 정보나 영상의 표시 수단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데, 1개의 화소가 RGB로 이루어지는 3원색의 서브 픽셀에 의해 구성되고, 이에 의해 컬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컬러 표시의 기술에서, 최근에는 표시 품위를 향상하기 위해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RGB의 3원색의 색 순도를 짙게 하면, 색도도에서 색 재현 범위가 확장되게 되는데, 이 경우, 색이 짙어지는 것에 기인해서 휘도가 저하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서브 픽셀 수를 늘려서 다원색화하여, 4색 또는 그 이상으로 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색 재현 범위의 확대에 관련된 기술로서는, 행 방향 에는 적색, 청색, 녹색 및 백색의 각 화소가 배치되어 있고, 열 방향에는 동일한 한 색의 화소만이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4-102292호 공보(제1, 2, 22 페이지) 참조).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RGB의 3원색에 W를 추가함으로써, 휘도와 색 재현 범위를 향상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스트라이프 배열과 매트릭스 배열의 2개의 색 배열이 제안되어 있지만, 텔레비전 등의 대형 디스플레이의 어플리케이션에는, 화상과의 매칭성으로부터 스트라이프 배열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스트라이프 배열의 실시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R, G, B, W의 순으로 배열되어 1개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색 재현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지만, 어두운 배경 내에 백선을 1개 표시했을 때에, G와 W가 분리되어 인식되게 된다. 또한, 컬러 필터를 형성하는 미세 필터가 R-G축과 B-Y축에 대응한 4색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209047호 공보(제1, 2, 6 페이지) 참조). 그러나,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4색의 배열을 스트라이프 배열로 하는 것의 개시가 없다. 또한 색 재현 범위를 보다 향상하기 위해, 서브 픽셀 수를 5개, 6개로 늘리고, 색 수를 늘리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열로 5색 서브 픽셀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03/088203호 팜플렛(제1, 도면 10 페이지) 참조). 여기에서는 색상 순으로 RYGCB의 순으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이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색 재현은 크게 할 수 있지만, 어두운 배경 내에 백선을 1개 표시했을 때에, B/C와 Y가 분리되어 인식되기 때문에, 색 재현 범위의 확대와 휘도 저하의 억제를 양립하면서 표시 품위를 향상하기 위한 연구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적어도 4개의 원색의 서브 픽셀을 이용해서 컬러 표시를 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RGYBC의 5개의 원색을 순서대로 4개의 서브 픽셀에 RGYB, CRGY, BCRG, YBCR, GYBC로 배열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02/101644호 팜플렛(제1, 2, 도면 9 페이지) 참조). 또한, 4원색을 적색, 녹색, 청색 및 청록색의 방전 셀로 화소를 구성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4-152737호 공보(제1, 2 페이지) 참조)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픽셀이 2×3 배열의 6색에 의해 구성된 액정 패널(예를 들면, 'SID 속보', 'online', 2004년 5월 26일 닛케이 비지니스 퍼블리케이션, [2004년 8월 4일 검색], 인터넷<URL:http//ne.nikkeibp.co.jp/members/NEWS/20040526/103584/>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표시 장치에도, 백선 표시에서의 색 분리 현상 등을 충분히 억제하여, 우수한 표시 품위가 요구되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에서 기본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여지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원색을 이용한 화상 표시에 의해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함에 있어서,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 사이의 색 분리가 인식되기 어려워져, 백선 표시 시에 1개의 선으로서 인식되기 쉬워진다는 작용 효과를 발휘해서 표시 품위를 향상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것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표시 장치의 색 재현 범위의 확대에 대해서 다양하게 검토한 바,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 수를 늘려서 다원색화하여, 4색 또는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는데 유효한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종래에는, 서브 픽셀을 색상 순으로 배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이 배열된 화소에서, Y값(휘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Y값이 높은 서브 픽셀일수록 화소의 중앙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1픽셀 내에서의 색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상기 과제를 훌륭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에 상도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를 주체로 하는 표시 장치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의 '이상', '이하'는, 해당 수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서 서브 픽셀의 배열 방법에는, 스트라이프 배열과 매트릭스 배열이 있지만, 실제로 액정 텔레비전 등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구동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의미에서 스트라이프 배열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장치는, Y값을 우선하여, 휘도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일수록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백선 표시 시의 색의 분리를 방지한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휘도값이 높은 것부터 낮은 순 으로 화소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끝의 영역을 향해서 서브 픽셀을 배치한 화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의 폭은, 다른 서브 픽셀보다도 넓은 것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높이기 때문에 유효하다.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가 2종류 이상의 화소를 갖는 경우의 배치 상태로서는, 격자 형상(바둑판 무늬 형상)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표시 장치가,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가 적어도 2종류의 배열을 갖는 경우에는, 이 2종류의 배열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구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서브 픽셀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원색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들 표시 장치에서도,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를 갖고, 이와 같은 화소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픽셀당 5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Y(황), C(시안), B(청) 또는 R(적), C(시안), Y(황), G(녹),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Y가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서브 픽셀 Y의 폭은, 다른 4개의 서브 픽셀보다도 넓은 것에 의해,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의 폭이 다른 서브 픽셀보다도 넓은 형태로 할 수 있다.
1픽셀당 5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W(백), Y(황), B(청) 또 는 R(적), Y(황), W(백), G(녹),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W가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백선 표시 시의 색의 분리를 방지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1픽셀당 4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Y(황), B(청) 또는 R(적), Y(황), G(녹),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Y가 4색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는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다음으로 휘도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G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R(적), G(녹), Y(황), B(청)의 배열과 R(적), Y(황), G(녹), B(청)의 배열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구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1픽셀당 4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W(백), G(녹), B(청) 또는 R(적), G(녹), W(백),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W가 4색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는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다음으로 휘도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G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R(적), W(백), G(녹), B(청)의 배열과 R(적), G(녹), W(백), B(청)의 배열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구성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1픽셀당 6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B(청) 또는 B(청), G(녹), R(적)의 순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과, M(마젠타), Y(황), C(시안) 또는 C(시안), Y(황), M(마젠타)의 순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표시 장치에서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Y가, 매트릭스 배열에 의해 서브 픽셀이 구성되는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다음으로 휘도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G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예를 들면, 매트릭스 배열이 열 방향(세로)으로 2열이고 행 방향(가로)으로 3열인 2×3 배열인 경우, 2개의 행 방향의 배열 중 하나를 R(적), G(녹), B(청) 또는 B(청), G(녹), R(적)의 순으로 행 방향으로 배치하고, 다른 쪽을 M(마젠타), Y(황), C(시안) 또는 C(시안), Y(황), M(마젠타)의 순으로 행 방향으로 배치하면 된다. 또한, 매트릭스 배열이 열 방향(세로)으로 3열이고 행 방향(가로)으로 2열인 3×2 배열인 경우, 2개의 열 방향의 배열 중 하나를 R(적), G(녹), B(청) 또는 B(청), G(녹), R(적)의 순으로 열 방향으로 배치하고, 다른 쪽을 M(마젠타), Y(황), C(시안) 또는 C(시안), Y(황), M(마젠타)의 순으로 열 방향으로 배치하면 된다.
이 경우에도, 서로 다른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에 의해 구성되는 2종류 이상의 화소를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릭스 배열에 의해 구성되는 화소를 갖는 형태에서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이 매트릭스 배열에 의해 구성되는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도록, 2×3 배열이나 3×2 배열 등에서 배열 패턴을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상 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으로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는, 색 재현 범위를 확장하면서, 휘도나 표시 품위에서 우수한 기본 성능을 갖게 되고,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액정 텔레비전 등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즉,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전술한 특징을 필수로 하여 표시 장치가 통상 갖는 구성 요소를 구비한 것이면 되고, 그 밖의 구성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4색 이상의 다원색을 이용한 화상 표시에 의해 색 재현 범위를 확대하면서 휘도도 우수한 것으로 함에 있어서,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 사이의 색 분리가 인식되기 어려워져, 백선 표시 시에 1개의 선으로서 인식되기 쉬워진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발휘해서 표시 품위를 향상할 수가 있어, 다원색 표시 장치로서 액정 텔레비전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로서 표시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장치에 구현화시킨 예를 들고, 도면을 참조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 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5원색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픽셀이 R, Y, G, B, C의 5색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고, 5개의 서브 픽셀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로서, R, G, Y, C, B 또는 R, C, Y, G, B의 순으로 서브 픽셀을 배치하는 형태이다.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5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 및, 이 경우의 Y값과 서브 픽셀의 배열의 관계를 도 1a와 b, 및, 도 1c와 d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픽셀 Y의 폭이 다른 4개의 서브 픽셀보다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5원색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실시예로서는, 1픽셀이 R, Y, G, B, W의 5색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고, 5개의 서브 픽셀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서, R, G, W, Y, B 또는 R, Y, W, G, B의 순으로 서브 픽셀을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의 서브 픽셀의 배치를 도 2a 및 b에 나타낸다.
도 1a와 b, 및, 도1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Y값(휘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서브 픽셀을 배열하고, Y값이 높은 서브 픽셀일수록 화소의 중앙 부근에 배치한다. 이 경우, Y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Y를 5개의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의 중앙에 배치하고, Y값이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5개의 서브 픽셀의 중앙으로부터 끝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1픽셀 내에서의 색의 분리를 방지한다고 하는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을 색상 순으로 배열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경우, 어두운 배경 내에 백선을 1개 표시했을 때에, B/C와 Y가 분리되어 인식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5색의 경우에는, 색상 순으로 RYGCB로 하는 것이 아니라, RGYCB 또는 RCYGB로 배열함으로써, 백선 표시에서의 색 분리를 해소해서 표시 품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5원색(RGY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경우, 기판(1) 상에 화소가 설치되고, 주사 신호 회로(2)와 데이터 구동 회로(3)에 의해 화상 표시하기 위한 신호가 각 화소에 전달되게 된다. 도 3a, b에서는, 행 방향(가로)으로 4개, 열 방향(세로)으로 3개의 화소가 배치되고, 각각의 화소는 RGYCB의 서브 픽셀의 배치 패턴으로 이루어진다(좌측 위의 화소만 RGYCB를 표기하고 있지만, 다른 화소도 마찬가지다.).
도 3a는 백 베타 표시의 경우로서, 각 화소가 백색 표시의 상태에 있고, 도 3b는 백선 표시의 경우로서, 열 방향(세로)으로 한 개의 백선이 표시되도록 열 방향(세로)의 일렬의 화소만 백색 표시의 상태에 있다. 도면 중에는, 백선이 표시되는 상태에는 없는 화소가 음영 표기로 개념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c는 도 3b의 경우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흑의 배경에 백선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 1개의 화소는 RGYCB의 배열의 서브 픽셀에 의해 구성되고, 이와 같은 화소에 의해 기판 (1) 상의 모든 화소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Y값이 높은 서브 픽셀을 화소 중앙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색의 분리가 일어나기 어려워, 백선이 한 개의 선으로 인식되기 쉬워진다.
한편, 도 13은, 종래의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경우도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각 화소에 신호가 전달되게 되고, 도 13a에 백 베타 표시의 경우, 도 13b에 백선 표시의 경우, 도 13c에 도 13b의 경우의 화면 표시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3에서는, 1개의 화소는 RYGCB의 배열의 서브 픽셀에 의해 구성되고, 이와 같은 화소에 의해 기판(1') 상의 모든 화소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RYG에 의한 Y계와 CB에 의한 B계의 선 으로 분리하게 된다.
도 4는, 4원색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픽셀이 R, W, G, B의 4색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고, 4개의 서브 픽셀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서, R, W, G, B 또는 R, G, W, B의 순으로 서브 픽셀을 배치하는 형태이다.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4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 및, 이 경우의 Y값과 서브 픽셀의 배열의 관계를 도 4a와 b, 및, 도 4c와 d에 나타낸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4원색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실시예로서는, 1픽셀이 R, Y, G, B의 4색의 서브 픽셀로 구성되고, 4개의 서브 픽셀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서, R, G, Y, B 혹은, R, Y, G, B의 순으로 서브 픽셀을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4a와 b, 및, 도 4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Y값(휘도값)을 기준으로 하여 서브 픽셀을 배열하고, Y값이 높은 서브 픽셀일수록 화소의 중앙 부근에 배치한다. 이 경우, Y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인 W를 4개의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의 중앙 영역의 2개 중 어느 하나에 배치하고, 중앙 영역의 또 1 개의 서브 픽셀에 이어서 Y값이 높은 G를 배치함으로써, Y값이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4개의 서브 픽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끝을 향하여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1픽셀 내에서의 색의 분리를 방지한다고 하는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픽셀의 W의 위치에 대해서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두운 배경 내에 백선을 1개 표시했을 때에, 선이 분리되어 인식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4색의 경우에는, 색상 순으로 RGBW로 하는 것이 아니라, RWGB 또는 RGWB로 배열함으로써, 표시 품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브 픽셀이 6색의 경우도, 색상 순으로, RYGCBM로 하는 것이 아니라, 도 5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GYCB 또는 MRYGCB로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M은 마젠타이다. W를 이용한 6색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WCB로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1개의 화소에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이용하는 형태이면, Y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형태에서 화소의 중앙 영역이란, 서브 픽셀 수가 4개, 6개 등의 짝수인 경우에는, 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서브 픽셀 중 어느 하나에 Y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배치하면 되고, 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서브 픽셀의 나머지에 Y값이 다음으로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픽셀 수가 5개 등의 홀수인 경우에는, 화소의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서브 픽셀에 Y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배치하면 된다.
도 7에는,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4개의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고, RGYB 또는 RYGB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배치된 표시 장치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소의 배치 구성이 개념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에는, RGYB의 배열 화소와 RYGB의 배열 화소가 격자 형상 또는 바둑판 무늬 형상으로 종횡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RWGB 또는 RGWB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배치된 표시 장치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화소의 배치 구성이 개념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경우에는, RWGB의 배열 화소와 RGWB의 배열 화소가 격자 형상 또는 바둑판 무늬 형상으로 종횡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픽셀의 배열로 하여 2개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는 경우, 2종 이상의 화소를 격자 형상 또는 바둑판 무늬 형상으로 배치하고, 종횡 서로 이웃되게 배치되는 화소가 동일한 서브 픽셀의 배열로는 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표시 품위를 보다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브 픽셀의 휘도는, 탑콘사 제조 분광 방사계 SR―3을 이용하고, 암실 하에서, 기판 법선 방향으로부터, 2°시야, 측정 에리어 30㎜φ정도로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기판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서브 픽셀에 의해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경우, 1개의 서브 픽셀의 1변이 600㎛, 다른 1변이 150㎛이고, 240×240 화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판 구성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Y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Y값 기준 화소)에 의해 기판을 구성하게 되 고, 기판을 구성하는 화소의 전부를 이와 같은 Y값 기준 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백선 표시 시의 색 분리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는 한, 일부의 화소를 Y값 기준 화소로 하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일부의 화소를 Y값 기준 화소로 하지 않는 형태에서는, Y값 기준 화소를 주체로 하여 기판을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Y값을 고려하지 않고 서브 픽셀을 배열한 화소를 주체로 하는 것이 아니라, Y값을 고려해서 서브 픽셀을 배열한 화소를 대부분에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Y값 기준 화소에 의해 기판을 구성하는 화소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라이프 배열 이외의 형태로서는 매트릭스 배열을 예로 든다. 매트릭스 배열의 경우도, Y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하면 된다. 예를 들면, 6색의 서브 픽셀을 이용한 2×3 배열에서는, 상하 3열의 중앙에 있는 2개의 서브 픽셀 중 어느 하나에 Y를 배치하면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MYC의 6색의 서브 픽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Y값이 가장 높은 Y와 다음으로 높은 G를 상하 3열의 중앙에 각각 배치하는 형태를 예로 든다.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Y값이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이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게 되고,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고, 다원색을 이용해서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로서, 1개의 화소가 복수의 서브 픽셀(회소)에 의해 구성되게 되는 다원색 표시 장치에서의 컬러 표시 기술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액정 텔레비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PDP, 유기 EL, FED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2004년 8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4-240020호를 기초로 하여, (합중국 법전 35권 제119조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 중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5원색(RGYC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5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의 5원색(RGYC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Y값과 서브 픽셀의 배열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1c는 본 발명의 5원색(RCYG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5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d는 본 발명의 5원색(RCYG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Y값과 서브 픽셀의 배열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의 5원색(RGWY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5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b는 본 발명의 5원색(RYWG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5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5원색(RGY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백 베타 표시의 경우의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5원색(RGY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백선 표시의 경우의 개념도.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5원색(RGY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b의 경우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a는 본 발명의 4원색(RWG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4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b는 본 발명의 4원색(RWG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Y값과 서브 픽셀의 배열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4c는 본 발명의 4원색(RGW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4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d는 본 발명의 4원색(RGW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Y값과 서브 픽셀의 배열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5a는 본 발명의 6원색(MRGYC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6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의 6원색(MRYGC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6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6원색(MGWC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6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4원색(RGYB 및 RYG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배치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격자 형상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4원색(RWGB 및 RGW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배치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격자 형상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실시예에서의 기판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6원색(RGBMYC)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1은 종래의 4원색(RGBW)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형태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4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2는 종래의 5원색(RYGCB)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형태로서, 1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5개의 서브 픽셀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a는 종래의 5원색(RYG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백 베타 표시의 경우의 개념도.
도 13b는 종래의 5원색(RYG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백선 표시의 경우의 개념도.
도 13c는 종래의 5원색(RYGCB)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b의 경우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4는 종래의 6원색(RGBCMY)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 형태로서,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개념도.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판
1': 종래의 실시예에서의 기판
2: 주사 신호 회로
3: 데이터 구동 회로

Claims (19)

  1. 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를 주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 픽셀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휘도값이 높은 것부터 낮은 순으로 화소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끝의 영역을 향해서 서브 픽셀을 배치한 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의 폭은, 다른 서브 픽셀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휘도값이 가장 높은 색의 서브 픽셀을 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한 화소가 적어도 2종류의 배열을 갖는 경우에는, 그 2종류의 배열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1픽셀당 5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Y(황), C(시안), B(청) 또는 R(적), C(시안), Y(황), G(녹),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셀 Y의 폭은 다른 4개의 서브 픽셀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1픽셀당 5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W(백), Y(황), B(청) 또는 R(적), Y(황), W(백), G(녹),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1픽셀당 4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Y(황), B(청) 또는 R(적), Y(황), G(녹),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R(적), G(녹), Y(황), B(청)의 배열과 R(적), Y(황), G(녹), B(청)의 배열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1픽셀당 4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W(백), G(녹), B(청) 또는 R(적), G(녹), W(백), B(청)의 순으로 서브 픽셀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R(적), W(백), G(녹), B(청)의 배열과 R(적), G(녹), W(백), B(청)의 배열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1픽셀당 6색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화소는, R(적), G(녹), B(청) 또는 B(청), G(녹), R(적)의 순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과, M(마젠타), Y(황), C(시안) 또는 C(시안), Y(황), M(마젠타)의 순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항의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6항의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8항의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9항의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1항의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1픽셀당 4색 이상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화소에 의해 화상이 구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3항의 표시 장치에서의 서브 픽셀의 배열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7006098A 2004-08-19 2005-06-07 다원색 표시 장치 KR100849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0020 2004-08-19
JPJP-P-2004-00240020 2004-08-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452A Division KR100866236B1 (ko) 2004-08-19 2005-06-07 다원색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758A true KR20070053758A (ko) 2007-05-25
KR100849346B1 KR100849346B1 (ko) 2008-07-29

Family

ID=359073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098A KR100849346B1 (ko) 2004-08-19 2005-06-07 다원색 표시 장치
KR1020087015452A KR100866236B1 (ko) 2004-08-19 2005-06-07 다원색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452A KR100866236B1 (ko) 2004-08-19 2005-06-07 다원색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948507B2 (ko)
JP (2) JP4675325B2 (ko)
KR (2) KR100849346B1 (ko)
CN (1) CN100480807C (ko)
WO (1) WO2006018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6977B2 (ja) 2005-04-05 2011-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及び表示装置
JP2007240658A (ja) * 2006-03-06 2007-09-20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US7889216B2 (en) * 2005-10-13 2011-02-15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ixel location determining method
JP4626478B2 (ja) * 2005-10-13 2011-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TWI381742B (zh) * 2005-10-13 2013-01-01 Seiko Epson Corp 影像顯示裝置、電子機器及畫素配置設計方法
JP2007133347A (ja) * 2005-10-13 2007-05-31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素配置設計方法
JP4805339B2 (ja) * 2006-02-27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200828203A (en) * 2006-12-29 2008-07-01 Innolux Display Corp Six primary-color display
JP4913161B2 (ja) * 2007-01-25 2012-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多原色表示装置
JP2008233803A (ja) * 2007-03-23 2008-10-02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KR100892225B1 (ko) 2007-04-16 2009-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30604A1 (ja) 2009-09-09 2011-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液晶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1083784A1 (ja) 2010-01-08 2011-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12176800A1 (ja) 2011-06-22 2012-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13008887A1 (ja) 2011-07-13 2013-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多原色表示装置
US9311841B2 (en) 2011-09-07 2016-04-12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rimary colour display device
KR20140026114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화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US9208731B2 (en) 2012-10-30 2015-12-08 Pixtronix, Inc. Display apparatus employing frame specific composite contributing colors
WO2014077179A1 (ja) * 2012-11-14 2014-05-22 シャープ株式会社 多原色表示装置
KR102141542B1 (ko) * 2013-12-31 2020-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159749B1 (ko) * 2014-01-27 2020-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3886808B (zh) * 2014-02-21 2016-02-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和显示装置
CN103886807B (zh) * 2014-03-26 2016-05-11 河北工业大学 五种颜色激光色域扩展显示装置及其显示颜色的方法
JP6462259B2 (ja) 2014-07-22 2019-0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CN104299557B (zh) 2014-10-20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结构、显示基板和显示装置
JP6474232B2 (ja) * 2014-11-05 2019-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499511B2 (ja) * 2015-05-19 2019-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6154629B (zh) * 2016-08-31 2019-05-2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TWI606275B (zh) 2016-12-29 2017-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矩陣及其顯示方法
US10768469B2 (en) * 2017-04-28 2020-09-08 Japan Display Inc.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CN107578758A (zh) * 2017-10-31 2018-01-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提高液晶显示器亮度的方法及液晶显示器
JP2018081311A (ja) * 2017-12-12 2018-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11341890B2 (en) 2018-10-25 2022-05-24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0997896B2 (en) 2018-10-25 2021-05-04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six-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373575B2 (en) 2018-10-25 2022-06-28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475819B2 (en) 2018-10-25 2022-10-18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030934B2 (en) 2018-10-25 2021-06-08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0950162B2 (en) 2018-10-25 2021-03-16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six-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403987B2 (en) 2018-10-25 2022-08-02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587491B1 (en) 2018-10-25 2023-02-21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410593B2 (en) 2018-10-25 2022-08-09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0607527B1 (en) 2018-10-25 2020-03-31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six-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037481B1 (en) 2018-10-25 2021-06-15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0950161B2 (en) 2018-10-25 2021-03-16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six-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043157B2 (en) 2018-10-25 2021-06-22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six-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488510B2 (en) 2018-10-25 2022-11-01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069280B2 (en) 2018-10-25 2021-07-20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189210B2 (en) 2018-10-25 2021-11-30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069279B2 (en) 2018-10-25 2021-07-20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062638B2 (en) 2018-10-25 2021-07-13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289000B2 (en) 2018-10-25 2022-03-29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289003B2 (en) 2018-10-25 2022-03-29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315467B1 (en) 2018-10-25 2022-04-26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532261B1 (en) 2018-10-25 2022-12-20 Baylor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primary wide gamut color system
US11410591B2 (en) 2019-08-01 2022-08-09 Google Llc Pixel arrangement for multi-resolution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375A (en) * 1986-10-24 1989-01-24 Honeywell Inc. Four color repetitive sequence matrix array for flat panel displays
JP3362758B2 (ja) 1996-03-15 2003-01-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反射型カラー表示装置
JP3902691B2 (ja) 1997-05-05 2007-04-11 共同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34022B2 (ja) 2000-01-25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306023A (ja) 2000-04-18 2001-11-0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US6570584B1 (en) * 2000-05-15 2003-05-27 Eastman Kodak Company Broad color gamut display
JP2001343636A (ja) * 2000-05-31 2001-12-14 Sharp Corp マトリクス型カラー表示装置
US7268757B2 (en) 2001-06-11 2007-09-11 Genoa Color Technologi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lor display
US7492379B2 (en) * 2002-01-07 2009-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flat panel display sub-pixel arrangements and layouts for sub-pixel rendering with increase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response
JP3999081B2 (ja) * 2002-01-30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631727B2 (ja) * 2002-03-28 2005-03-23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659620B (zh) 2002-04-11 2010-04-28 格诺色彩技术有限公司 具有增强的属性的彩色显示装置和方法
CN1324363C (zh) * 2002-05-04 2007-07-04 三星电子株式会社 液晶显示器及其滤色片阵列板
US7365722B2 (en) * 2002-09-11 2008-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ur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4152737A (ja) 2002-11-01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KR100475115B1 (ko) * 2003-02-07 2005-03-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6917368B2 (en) * 2003-03-04 2005-07-12 Clairvoyante, Inc. Sub-pixel render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isplay viewing angles
US6919681B2 (en) * 2003-04-30 2005-07-19 Eastman Kodak Company Color OLED display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US7084923B2 (en) * 2003-10-28 2006-08-01 Clairvoyante, Inc Display system having improved multiple modes for displaying image data from multiple input source formats
EP2423911A3 (en) * 2003-12-15 2012-04-04 Genoa Color Technologies Ltd. Multi-primary liquid crystal display
US7515122B2 (en) * 2004-06-02 2009-04-07 Eastman Kodak Company Color display device with enhanced pixel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0807C (zh) 2009-04-22
US20110187628A1 (en) 2011-08-04
JP4675325B2 (ja) 2011-04-20
US8339344B2 (en) 2012-12-25
JP4781480B2 (ja) 2011-09-28
US7948507B2 (en) 2011-05-24
WO2006018926A1 (ja) 2006-02-23
JPWO2006018926A1 (ja) 2008-05-01
CN101002135A (zh) 2007-07-18
KR20080065008A (ko) 2008-07-10
KR100866236B1 (ko) 2008-10-30
KR100849346B1 (ko) 2008-07-29
JP2011076100A (ja) 2011-04-14
US20070268208A1 (en)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346B1 (ko) 다원색 표시 장치
KR100883734B1 (ko) 다원색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CN110310576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8451405B2 (en) Multi-color liquid crystal display
JP457891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液晶表示パネル
US890214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EP1927969A1 (en) Display device and color filter substrate
US20070109468A1 (en) Systems with reduced color lines at edges of associated display devices
EP2128844A1 (en) Display device
WO2007013210A1 (ja) 表示装置
JP4615244B2 (ja) カラー画像表示装置
WO2007034618A1 (ja) デュアルビューディスプレイ
KR20070103616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JP2008089631A (ja) 画像表示装置
JP4476076B2 (ja) 多原色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11432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164101A (ja) 表示装置
JPS63282718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