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669A -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669A
KR20070049669A KR1020077006041A KR20077006041A KR20070049669A KR 20070049669 A KR20070049669 A KR 20070049669A KR 1020077006041 A KR1020077006041 A KR 1020077006041A KR 20077006041 A KR20077006041 A KR 20077006041A KR 20070049669 A KR20070049669 A KR 2007004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roadcasting station
station
digital broadcast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700B1 (ko
Inventor
사다토시 쵸즈이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1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Abstract

방송국의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도록 된 경우에, 재차 채널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즉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제공된다. 이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방송국의 정보를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정보에 근거해서 선국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DIGITAL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현재 수신 가능한 방송국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취득하여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52578호나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1-285101호에 기재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모든 방송국 정보를 미리 보존하고 있다. 이 2개의 공개 특허 공보에 기재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을 종래예로 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 방송국 정보란, 예컨대, 선국 정보(물리 채널, 방송국을 특정하는 ID, 영역 코드 등), 서비스 정보(서비스 구성, 서비스 명칭, 로고 데이터 등), 프로그램 정보(프로그램명, 영상·음성 종별 등) 등이 포함된다.
도 14의 디지털 수신 단말(100)은 수신 가능한 방송국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취득하여 보존할 수 있다. 이 디지털 수신 단말(100)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3-152578호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도 이다. 도 14에서, 디지털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와, 제어부(102)와, 영상 표시부(104)와, 음성 출력부(105)와, 입력부(106)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현재 수신 가능한 방송국을 조사하기 위해 채널을 스캔한다. 그 때에 수신할 수 있었던 방송국의 디지털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에 입력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수신할 수 있었던 방송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오류 정정하며, 트랜스포트 디코딩한다. 트랜스포트 디코딩된 정보로부터 방송국 정보가 추출되어, 제어부(102)를 통해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된다. 채널 스캔 완료 후에는, 제어부(102)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된 방송국 정보 중에서 선국 정보를 판독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를 제어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제어부(102)로 제어되어, 희망하는 방송국을 선국하고, 복조하고, 오류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디코딩하며, 영상·음성 디코딩 처리를 한다. 디코딩된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부(104)에 표시되고, 디코딩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05)로부터 출력되며, 시청자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방송국 정보 중에서 서비스 정보와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에서 프로그램표를 구성하여, 영상 출력부(104)로부터 프로그램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그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재차 채널 스캔이 행해진다. 그래도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제어부(102)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로부터 그 방송국 정보를 소 거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를 소거한다. 따라서, 다시 그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 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재차 채널 스캔을 하여 방송국 정보를 다시 취득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 15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모든 방송국 정보를 미리 보존하고 있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285101호에 기재된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5에서, 위치 정보 수신부(108) 이외에는 도 14와 공통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위치 정보 수신부(108)에서 수신한 위치 정보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국 정보만을 선택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어, 방송국을 선국하고, 복조하고, 오류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디코딩하며, 영상·음성 디코딩 처리를 한다. 디코딩된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부(104)에 표시되고, 디코딩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05)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시청자는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신부(108)를 사용하지 않고, 시청자가 입력부(106)로부터 입력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방송국 정보 중에서도 서비스 정보는 방송국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보이며, 프로그램 정보는 날마다 시시각각 변화되는 정보이다. 그 때문에, 이들은 미리 보존해 둘 수는 없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는, 제어부(102)가 방송 국 정보 축적부(107)로부터 그 방송국 정보 중,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소거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도 15의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보존할 수 없는 방송국 정보에 대해서는,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소거한다. 따라서, 다시 그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도, 재차 방송국 정보를 취득하여 갱신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선국 정보를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선국을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서비스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정보의 적어도 한쪽을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정보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선국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선국을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보존하고 있는 정보 중, 아직 미래의 프로그램 정보가 보존되어 있으면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고, 프로그램 정보가 모두 과거의 것이 되면 정보는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소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을 이용한 이동 수신의 이미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에 있어서의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 수신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 6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8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및 네비게이션 단말의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 흐름도,
도 14는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블럭도,
도 15는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블럭도이다.
상기한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에서는, 방송국이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방송국 정보를 소거해 버린다. 따라서, 다시 그 방송국이 수신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재차 방송국 정보를 취득하여 갱신해야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국이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그것이 자택 부근의 방송국인지, 시청자가 정보 유지를 선택하고 있는지,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時刻)이 새로운지, 취득된 미래의 프로그램 정보가 있는지, 현재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인지, 현재 위치에 인접하는 지역의 방송국인지, 접속 또는 내장하고 있는 네비게이션 단말에서 목적지로서 등록하고 있는 지역 의 방송국인지, 등록되어 있는 경로상에서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인지 등의 조건으로부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방송국 정보는 소거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방송국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이 재차 수신가능하게 된 경우에, 재차 채널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즉시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와, 제어부(102)와,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103)와, 영상 표시부(104)와, 음성 출력부(105)와, 입력부(106)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을 이용한 이동 수신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방송국 A 수신 영역(202)은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다. 방송국 B 수신 영역(212)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동체(220)는 이들 영역을 이동한다.
방송국 A(201)와 방송국 B(211)는, 각각 특정한 영역의 방송을 담당하고 있고, 시간에 의해 공통의 프로그램을 방송하거나, 독자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계열국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의 수신 영역으로 다시 되돌아왔을 때의 흐름도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현재 수신 가능한 방송국을 조사하기 위해 채널을 스캔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그 때에 수신할 수 있었던 방송국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오류 정정하며, 트랜스포트 디코딩한다. 그와 같이 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방송국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방송국 정보는 제어부(102)를 통해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된다.
여기서, 방송국 정보란, 예컨대, 선국 정보(물리 채널, 방송국을 특정하는 ID, 영역 코드 등), 서비스 정보(서비스 구성, 서비스 명칭, 로고 데이터 등), 프로그램 정보(프로그램명, 영상·음성 종별 등) 등이 포함된다.
채널 스캔 완료 후에는, 제어부(102)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된 방송국 정보 중에서 선국 정보를 판독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를 제어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제어부(102)에 의해 제어되어, 희망하는 방송국을 선국하여, 복조하고, 오류 정정하고, 트랜스포트 디코딩하며, 영상·음성 디코딩 처리를 한다. 디코딩 처리된 영상 신호는 영상 표시부(104)에 표시되고, 디코딩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05)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시청자는 방송국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방송국 정보 중에서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판독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는 판독된 이들 정보를 근거 로 해서 프로그램표를 구성하여, 영상 표시부(104)에 표시할 수 있다.
당초,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하고 있었다고 한다. 도 3의 단계 301은 이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후의 각 흐름도의 설명에서는, 단계 nnn을 「(nnn)」으로 표기하고, 각 흐름도에서는 「nnn」으로 기재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을 가진 이동체(220)가 방송국 수신 영역(202) 내에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동체(220)가 방송국 A(201)의 수신 영역(202)으로부터 방송국 B(211)의 수신 영역(212)으로 이동하면,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302).
그래서, 재차 채널 스캔(303)이 행하여져,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304). 그래도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방송국 A(201)가 시청자의 자택 지역의 방송국인지 여부가 판정된다(305). 이 판정에는, 예컨대, 방송국 정보로서 보내지는 영역 코드와, 디지털 방송 단말(100)에 시청자가 자택 지역으로서 설정하는 영역 코드가 일치하는지가 이용된다. 이 설정은,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부(106)를 통해 입력한 정보에 근거한다.
여기서, 영역 코드란, 지역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할당된 각 지역 고유의 번호이며, 일본의 디지털 방송의 경우는 ARIB STD-B10 제2부 부록 D의 표 D-2에 있는 지역 부호가 이용되고 있지만, 우편 번호나 전화 번호의 시외 국번 등으로도 대용이 가능하다.
방송국 A(201)가 자택 지역의 방송국이라면 방송국 A(201)의 정보가 보존되고(307), 그렇지 않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소거된다(306). 또한,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재차 채널 스캔을 하 지 않고, 곧 보존/소거의 판정을 하는 경우도 있다.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103)는 이러한 방송국 정보의 보존이나 소거의 판정을 행한다. 방송국 정보의 보존이나 소거의 판정이 이루어진 후, 이동체(220)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한다(401).
이동체(220)가 반대로 다시 자택 지역 주변으로 돌아와, 방송국 A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고 있는 방송국 A(201)를 선국하여(403), 수신 가능(404)이면 채널 스캔을 하지 않고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406). 방송국 A(201)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외에 수신할 수 있는 방송국을 찾기 위해 채널 스캔이 이루어진다(405).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그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자택 지역의 방송국 정보를 기억해 두는 것에 의해 메모리 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이용 빈도가 높은 방송국 정보를 기억해 둘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도 1, 도 2, 도 4는 실시예 1과 공통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서의 단계 501, 502, 503, 504, 506, 507, 508은 도 3에서의 단계 301, 302, 303, 304, 306, 307, 308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방송국 A(201)를 수신하고,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 국 정보를 소거하지 않은 방송국으로서 시청자가 설정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505). 방송국 A(201)가 소거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방송국 A(201)의 국 정보가 보존되고(507), 그렇지 않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소거된다(506). 또한, 그 시청자의 설정은,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부(106)를 통해 미리 설정하고 있다.
이동체(220)가 반대로 다시 방송국 A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국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하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를 시청할 수 있다(406).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이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시청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국 정보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시청자의 희망에 따른 방송국 정보를 기억해 둘 수 있 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도 1, 도 2, 도 4는 실시예 1과 공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의 단계 601, 602, 603, 604, 608은 도 3에서의 단계 301, 302, 303, 304, 308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3에서는,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있어서의 저장 영역이 가득한지 여부가 판정된다(605). 가득하지 않으면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과 동시에 방송국 A(201)의 정보가 보존된다(607). 가득하면,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이 가장 오래된 정보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소거되고(606), 그 후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과 동시에 방송국 A(201)의 정보가 보존된다(607).
이동체(220)가 짧은 기간 후에 다시 방송국 A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이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 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이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수신할 수 없었던 시각이 가장 오래된 정보로부터 소거해 가는 것에 의해 시청하는 빈도가 높은 방송국 정보를 기억해 둘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도 1, 도 2, 도 4는 실시예 1과 공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의 단계 701, 702, 703, 704는 도 3에서의 단계 301, 302, 303, 304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4에서는,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도 정보는 보존된다(705).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하는 상태로 이행되고(706), 그 후,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의 정보 중, 프로그램 정보가 전부 과거의 것으로 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707). 아직 미래의 프로그램 정보가 보존되어 있으면 정보는 그대로 보존되고, 프로그램 정보가 전부 과거의 것으로 되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소거된다(708).
이동체(220)가 짧은 기간의 후에 다시 방송국 A(201)의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하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를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이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미래의 프로그램 정보의 유무로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시청하는 빈도가 높은 방송국의 프로그램 정보를 유효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도 2, 도 4는 실시예 1과 공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8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와, 제어부(102)와,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103)와, 영상 표시부(104)와, 음성 출력부(105)와, 입력부(106)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와, 위치 정보 수신부(108)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위치 정보 수신부(108) 이외의 부분은 도 1과 동일하다. 위치 정보 수신부(108)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 위치 정보 수신부(108)는, 예컨대, GPS 정보 수신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의 단계 901, 902, 903, 904, 906, 907, 908은 도 3에서의 단계 301, 302, 303, 304, 306, 307, 308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5에서는,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는, 현재 위치가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인지가 판정된다(905).
이 판정에는, 예컨대, 방송국 정보로서 보내지는 영역 코드와, 디지털 방송 단말(100)의 위치 정보 수신부(108)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로부터 산출한 영역 코드가 일치하는지가 이용된다. 위치 정보 수신부(108)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로는, 예컨대, 내장 또는 외부에 접속된 GPS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위도와 경도, 휴대 전화부에서 수신한 기지국의 장소에 관한 정보 등이 적합하다. 또한, 현재 위치로부터 영역 코드를 산출하는 수단으로는, 예컨대, 위도와 경도, 휴대 전화의 기지국의 장소 정보를 영역 코드로 변환하는 테이블을 참조하는 수단 등이 있다. 이 테이블은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의 메모리상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신부(108)를 사용하지 않고, 현재 수신되는 방송국 A(201) 이외의 방송국의 영역 코드를 현재 위치로 하는 경우도 있다.
판정 결과, 현재 위치가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이라면 방송국 A(201)의 정보가 보존되고(907), 그렇지 않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소거된다(906). 그와 같이 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방송국 B(211)의 방 송을 수신한다.
이동체(220)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다시 방송국 A(201)의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하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를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이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인지 여부에 따라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터널이나 빌딩 등으로 인해 짧은 시간동안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방송국 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도 2, 도 4, 도 8은 실시예 5와 공통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서의 단계 1001, 1002, 1003, 1004, 1006, 1007, 1008은 도 9에서의 단계 901, 902, 903, 904, 906, 907, 908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 예 5와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6에서는,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는, 현재 위치가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인접하는 지역인지가 판정된다(1005).
이 판정에는, 예컨대, 방송국 정보로서 보내지는 영역 코드와, 디지털 방송 단말(100)의 위치 정보 수신부(108)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로부터 산출한 영역 코드가 이용된다. 영역 코드로부터 인접하는 지역인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영역 코드마다 인접하는 영역 코드를 배열로서 기록한 테이블을 참조하는 수단이 있다. 이 테이블은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의 메모리상에 보존되어 있다.
판정 결과, 현재 위치가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인접하는 지역이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보존되고(1007), 그렇지 않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소거된다(1006). 그와 같이 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한다.
이동체(220)가 인접하는 지역으로부터 다시 방송국 A(201)의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이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이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의 인접 지역인지 여부로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곧 수신 재개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은 방송국 정보를 보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도 2, 도 4는 실시예 1과 공통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및 네비게이션 단말의 블럭도이다. 도 11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101)와, 제어부(102)와,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103)와, 영상 표시부(104)와, 음성 출력부(105)와, 입력부(106)와,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와, 외부 인터페이스(109)를 구비하고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110)은 위치 정보 수신부(111)와, 제어부(112)와, 영상 표시부(113)와 등록 정보 축적부(114)와, 지도 정보 축적부(115)와, 외부 인터페이스(116)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11)는, 예컨대, GPS 정보 수신부로 구성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은 외부 인터페이스(109) 이외의 부분은 도 1과 동일하다. 외부 인터페이스(109)는 네비게이션 단말(110)의 외부 인터페이스(116)와 접속되어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11)는 제어부(112)로 제어되어 현재 위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제어부(112)에 제공한다. 등록 정보 축적부(114)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여러 가지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지도 정보 축적부(115)는 지도 정보를 축적하고 있고, 제어부(112)에 의해 제어되어 소망의 지도 정보를 제어 부(112)에 제공한다. 영상 표시부(113)는 제어부(112)에 의해 제어되어 소망의 지도나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서의 단계 1201, 1202, 1203, 1204, 1206, 1207, 1208은 도 3에서의 단계 301, 302, 303, 304, 306, 307, 308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7에서는,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는,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에, 네비게이션 단말(110)의 등록 정보 축적부(114)에 등록되어 있는 목적지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1205).
이 판정에는, 예컨대, 방송국 정보로서 보내지는 영역 코드와, 네비게이션 단말(110)에 등록되어 있는 목적지의 위치 정보로부터 산출한 영역 코드가 일치하는지를 이용한다. 목적지의 위치 정보로는, 네비게이션 단말의 메모리상에, 예컨대, 위도나 경도로서 기억되어 있다.
판정 결과,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가 보존되고(1207), 그렇지 않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소거된다(1206).
이동체(220)가 등록되어 있는 목적지를 향할 때에 다시 방송국 A(201)의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하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의 방송이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그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방송국의 지역에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방문하는 빈도가 높은 지역의 방송국 정보를 우선하여 보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도 2, 도 4, 도 11은 실시예 7과 공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있어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100)이,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 정보의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서의 단계 1301, 1302, 1303, 1304, 1306, 1307, 1308은 도 12에서의 단계 1201, 1202, 1203, 1204, 1206, 1207, 1208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7과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실시예 8에서는,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는,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를, 네비게이션 단말(110)의 등록 정보 축적부(114)에 등록되어 있는 경로가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1305). 경로 정보란, 네비게이션 단말(110)의 메모리상에, 예컨대, 출발지와 목적지와 복수의 주요한 통과점의 위도, 경도로서 기억되어 있다.
이 판정에는, 예컨대, 방송국 정보로서 보내지는 영역 코드와, 네비게이션 단말(110)에 등록되어 있는 경로상에 있는 주요한 통과점의 위치 정보로부터 산출한 영역 코드가 일치하는지가 이용된다.
판정 결과, 방송국 A(201)를 수신할 수 있는 지역을 통과하는 경로가 등록되어 있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가 보존되고(1307), 그렇지 않으면 방송국 A(201)의 정보는 소거된다(1306).
이동체(220)가 등록되어 있는 경로를 지날 때에 다시 방송국 A 수신 영역(202)으로 들어가, 방송국 B(211)가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402)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A(201)가 선국되고(403), 수신 가능하면 채널을 스캔하지 않고 방송국 A(201)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수신 대역을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는 것, 서비스 정보나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방송국 정보 축적부(107)에 보존한 이들 정보를 판독하여 즉시 프로그램표(EPG)나 로고 데이터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방송국의 지역을 등록한 경로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보존/소거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통과하는 빈도가 높은 지역의 방송국 정보를 우선하여 보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은, 방송국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을 재차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에, 재차 채널 스캔하여 그 방송국을 찾지 않고 선국 정보로부터 즉시 선국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로그램 정보를 재취득하지 않고 즉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고, 디지털 방송을 이동하여 수신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Claims (19)

  1.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선국 정보를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선국을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었을 경우, 그 방송국이 시청자의 자택 지역의 방송국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하고 있는 방송국의 상기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국 정보는 적어도 물리 채널과 방송국을 특정하는 ID와 영역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이 자택 지역의 방송국인지의 판정은, 방송국이 송출하는 영역 코드와 자택 지역의 영역 코드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를 소거하지 않는 방송국으로서 시청자가 설정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정보를 소거하지 않는 방송국으로서 시청자가 설정하고 있는지 여부를 근거로 해서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되어 있는 방송국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서의 선국 정보를 보존하는 영역이 가득하지 않으면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과 동시에 정보를 보존하고,
    가득하면 수신할 수 없게 된 시각이 가장 오래된 정보를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소거하고 나서 보존하도록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로부터 취득한 현재 위치가 그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을 지역인지 여부를 근거로 해서 선국 정보를 그대로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상기 현재 위치가 그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에 인접하는 지역인지 여부를 근거로 해서 선국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는 GPS 정보 수신부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는 위도와 경도에 관련하여 정의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는 휴대 전화부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는 휴대 전화의 기지국의 장소에 관한 정보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고, 네비게이션 단말과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그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 중에,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의 등록 정보 축적부에 등록되어 있는 목적지가 있는지 여부를 근거로 해서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에 상기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은, 방송국이 송출하는 영역 코드와 상기 목적지가 포함되는 지역의 영역 코드를 근거로 해서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가 실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제어되고, 네비게이션 단말과 접속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그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의 등록 정보 축적부에 등록되어 있는 경로가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근거로 해서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되어 있는 선국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수신할 수 없게 된 방송국을 수신할 수 있는 지역 내를 통과하는 경로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은, 방송국이 송출하는 영역 코드와, 경로상의 주요한 통과점이 포함되는 지역의 영역 코드를 근거로 해서 실행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7.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서비스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정보의 적어도 한쪽을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상기 정보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적어도 서비스 구성과 서비스 명칭과 로고 데이터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정보는 적어도 프로그램명과 영상·음성 종별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19.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복원된 선국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를 축적하는 방송국 정보 축적부와,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보존할지 소거할지를 판정하는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와,
    상기 방송국 정보 축적부에 보존된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선국을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방송국 정보 보존/소거 판정부는, 방송을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보 존하고 있는 정보 중, 아직 미래의 프로그램 정보가 보존되어 있으면 정보를 그대로 보존하고, 프로그램 정보가 전부 과거의 것으로 되면 정보는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소거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KR1020077006041A 2004-09-16 2005-09-16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KR101142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9594 2004-09-16
JPJP-P-2004-00269594 2004-09-16
PCT/JP2005/017537 WO2006030974A1 (ja) 2004-09-16 2005-09-16 デジタル放送受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669A true KR20070049669A (ko) 2007-05-11
KR101142700B1 KR101142700B1 (ko) 2012-05-10

Family

ID=3606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041A KR101142700B1 (ko) 2004-09-16 2005-09-16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84074B2 (ko)
EP (1) EP1802122A1 (ko)
JP (1) JP4333742B2 (ko)
KR (1) KR101142700B1 (ko)
CN (1) CN100571373C (ko)
WO (1) WO2006030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2150A (ja) * 2006-05-19 2007-11-29 Sony Corp デジタルテレビ放送の受信機
JP4315170B2 (ja) * 2006-06-26 2009-08-19 船井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チャンネル情報の更新方法
US20080022303A1 (en) * 2006-07-21 2008-01-24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ementing channel information
US20100169934A1 (en) * 2008-12-26 2010-07-01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user position via wireless signal characteristics
US20110102264A1 (en) * 2009-11-04 2011-05-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terior position us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
CN102082939A (zh) * 2009-11-30 2011-06-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视机及其节目表自动更新方法
JP5673311B2 (ja) * 2011-04-06 2015-02-1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62922B2 (ja) * 2011-04-07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574384B (zh) * 2017-02-10 2022-05-03 赫希曼汽车通讯有限公司 在车辆经过隧道行驶时的发射机识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979A (ja) 1989-09-25 1991-05-10 Casio Comput Co Ltd プリセットチャンネル表示方式
JPH06292097A (ja) 1993-03-31 1994-10-18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受信機
JP3538907B2 (ja) * 1994-08-19 2004-06-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移動体用の放送波受信装置
US6340997B1 (en) * 1998-04-08 2002-01-22 Microsoft Corporation Worldwide television tuning system with object-based tuning control modules
US7146627B1 (en) * 1998-06-12 2006-12-05 Metabyt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argeted video programming
ES2342593T3 (es) * 1998-07-17 2010-07-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istema de guia interactivo de programas de television que tienen multiples dispositivos dentro de una casa.
US6985190B1 (en) * 1999-06-16 2006-01-10 Thomson Licensing Real-time signal strength display of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signals
JP3732696B2 (ja) 1999-12-08 2006-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GB9930788D0 (en) * 1999-12-30 2000-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streams
JP2001237729A (ja) 2000-02-22 2001-08-31 Nec Microsystems Ltd 複数の受信装置を備えた受信機
JP3685677B2 (ja) * 2000-03-01 2005-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1285101A (ja) * 2000-03-30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7475418B2 (en) * 2000-07-28 2009-01-06 Sony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cating programs after relocation
CA2326368A1 (en) * 2000-11-20 2002-05-20 Adexac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content delivery, presentation, management, and reporting
KR100896725B1 (ko) * 2001-02-21 2009-05-11 유나이티드 비디오 프로퍼티즈, 인크. 복수의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프로그램 버퍼링 방법 및 시스템
US6947935B1 (en) * 2001-04-04 2005-09-20 Microsoft Corporation Training, inference and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caching of media content on local stores
JP2002359825A (ja) 2001-06-01 2002-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方法およびその受信装置
JP3976550B2 (ja) 2001-11-08 2007-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US7073189B2 (en) * 2002-05-03 2006-07-04 Time Warner Interactive Video Group, Inc. Program guide and reservation system for network based digital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storage and deli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700B1 (ko) 2012-05-10
JP4333742B2 (ja) 2009-09-16
CN100571373C (zh) 2009-12-16
US7784074B2 (en) 2010-08-24
WO2006030974A1 (ja) 2006-03-23
EP1802122A1 (en) 2007-06-27
CN101023665A (zh) 2007-08-22
JPWO2006030974A1 (ja) 2008-05-15
US20080016542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70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
JP3891174B2 (ja) 制御方法
JP4160591B2 (ja) 放送チャンネルを自動選局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90313008A1 (en) Information apparatus for use in mobile unit
KR20120068255A (ko)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스캔 방법 및 장치
JP5021989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611101B2 (ja) 放送受信装置
JP4066999B2 (ja) 移動端末、放送受信制御プログラム
CN101753899B (zh) 接收设备和接收方法
JPWO2006057386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330977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テレビチャネル切替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557805B2 (ja) 放送受信装置
US20070157270A1 (en) Receiving apparatus using non-volatile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0023180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JP5145883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及び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方法
JP2004312384A (ja) アナログ・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8259092A (ja) 放送受信端末
JP4716783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466592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チャンネルスキャン方法なら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07184679A (ja) モバイル通信端末
KR101165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주파수대역 제공 방법
US20060281402A1 (en) Radio 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radio signals
JP2007208463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074004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홈위치등록기와 방문자위치등록기를 이용한 이동 방송 채널의 자동 전환 방법 및 장치
JP5192662B2 (ja) 番組データ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