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8593A - 전환설비 - Google Patents

전환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8593A
KR20070048593A KR1020060098402A KR20060098402A KR20070048593A KR 20070048593 A KR20070048593 A KR 20070048593A KR 1020060098402 A KR1020060098402 A KR 1020060098402A KR 20060098402 A KR20060098402 A KR 20060098402A KR 20070048593 A KR20070048593 A KR 20070048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rticle
switching
cam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336B1 (ko
Inventor
마사히로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7004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4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pushers transversally movable on the supporting surface, e.g. pusher-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6Pushing shoes o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Gyroscopes (AREA)
  • Amplifie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주 반송경로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을 분기 반송경로로 옮기거나 하는데 사용되는 전환설비에 있어서는, 전환수단에 의한 전환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전환수단의 전환안내부는 위쪽 안내체와 아래쪽 안내체를 갖고,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주 반송경로의 방향에서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 안내체를 전환 동작시키며, 전환동작의 후반시에 아래쪽 안내체를 일체형상으로 전환 동작시키도록 구성 했다. 이것에 의해 전환수단에 있어서의 전환안내 길이를 양 안내체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양 안내체를 통한 전환은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환설비{SWITCHING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 부분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전환설비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전환설비의 주요부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전환설비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전환설비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6은 동 전환설비의 왕로(往路)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전환설비의 복로(復路)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8은 동 전환설비의 안내장치군을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9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합류안내부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10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안내체 부분의 종단정면도이다.
도 11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안내체 부분의 주요부를 확대한 종단정면도이다.
도 12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분기안내부의 종단정면도 이다.
도 13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전환 직전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전환 중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부 전환수단의 전환 직후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주 반송경로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을, 이 주 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에 설치한 분기 반송경로로 옮기거나 하는데 사용되는 전환설비 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것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6-32446호 공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구성이 제공되어 있다. 즉, 짐을 횡이동시키는 푸셔(pusher)의 안내로가 형성되고, 이 안내로 중, 경사로가 X형상으로 교차하는 교차부에는 푸셔의 교차부에서의 원활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교차부 이송장치가 설치되며, 여기서 교차부 이송장치는 센터 캠이나 링크기구나 이음 레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셔측으로부터의 수직하강축에는 제2의 안내부가 부착됨과 아울러, 이 수직하강축의 하단은 제1의 안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교차부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안내 부가 센터 캠의 경사면, 곡면, 원호면으로 접촉 이동해서, 센터 캠을 피봇 축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링크기구를 통해 피봇 축과 함께 이음 레버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교차부 가이드판의 노치부에 끼워 장착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의 안내부를 교차부 가이드판으로부터 이음 레버로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에 의하면, 제1의 안내부가 센터 캠의 원호면으로부터 경사면으로 접촉 이동하고 있을 때나 경사면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이 센터 캠이 덜컹거려서 이음 레버가 교차부 가이드판의 노치부로부터 분리되는 상태, 즉 이음 레버가 교차부 가이드판에 대하여 세게 튀는 상태로 되고, 이로써 이음 레버에 의한 제1의 안내부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환수단에 있어서의 전환안내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환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환설비는 주 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 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바깥으로부터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가로밀기체가 설치되며, 상기 물품 가로밀기체의 하부측에는 피안내체가 부착되고, 본체 프레임측에는 상기 피안내체의 안내를 행하는 안내장치가 배치되며, 이 안내장치는 아래쪽측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내측 이동안내부와, 이들 내측 이동안내부의 종단에 전환수단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한 아래쪽측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수단은 양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피안내체를 수용하는 합류안내부와, 피안내체를 양 외측 이동안내부에 안내하는 분기안내부와, 합류안내부로부터의 피안내체를 양 분기안내부로 배분하는 전환안내부를 갖고, 이 전환안내부는 위쪽 안내체와 아래쪽 안내체를 갖고, 상기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주 반송경로의 방향에서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 안내체를 전환 동작시킴과 아울러, 이 전환동작의 후반시에 아래쪽 안내체를 일체형상으로 전환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 반송경로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상에 공급된 물품을 주 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피안내체를 내측 이동안내부에 의해 안내해서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전환수단을 통해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기고, 이 외측 이동안내부에 의해 안내해서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가로밀기체를 이동시켜서 물품을 가로밀기하고, 이로써 물품을 주 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내보낼 수 있다.
그때에, 전환안내부의 전환동작은 물품지지체측의 이동력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피안내체를 좌우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에 의해 안내해서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전환안내부를 통해서 타방측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기고 있을 때에 전환안내부는 위쪽 안내체 및 아래쪽 안내체 를 일방측으로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피안내체는 합류안내부, 위쪽 안내체, 아래쪽 안내체, 타방측의 분기안내부를 통과해서 타방측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겨지게 되고, 이로써 물품 가로밀기체군을 주 반송경로에 있어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횡단시킬 수 있다.
또한 피안내체를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 안내하도록 전환했을 때,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후단의 피안내체가 아래쪽 안내체의 부분에 도달했을 때,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전단의 피안내체는 합류안내부에 도달하고, 이 상태로부터의 물품지지체측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 안내체를 타방측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위쪽 안내체의 전환동작의 후반시에는 아래쪽 안내체를 일체형상으로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전단의 피안내체는 합류안내부, 위쪽 안내체, 아래쪽 안내체, 일방측의 분기안내부를 통과해서 일방측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겨지게 되고, 이로써 물품 가로밀기체군을 주 반송경로에 있어서 타방측으로부터 일방측으로 횡단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환수단에 있어서의 전환안내 길이를 위쪽 안내체와 아래쪽 안내체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위쪽 안내체와 아래쪽 안내체를 통한 전환은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선행하고 있는 물품 가로밀기체의 피안내체를 아래쪽 안내체가 안내하고 있을 때에, 후속의 물품 가로밀기체가 위쪽 안내체를 전환 동작시키는 개시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위쪽 안내체의 전환동작의 전반시에는, 위쪽 안내체만이 요동하고 아래쪽 안내체는 요동하지 않으므로, 위쪽 안내체를 요동시키면서도 아래쪽 안내체는 요동시키지 않고, 이로써 아래쪽 안내체에 의한 피안내체의 안내는 조금도 지장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전환안내부는 합류안내부에 위치되어 위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한 캠체와,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한 위쪽 안내체 및 아래쪽 안내체와, 캠체와 위쪽 안내체 사이에 설치된 요동 연동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체는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이동력에 의해 좌우 요동되며, 이 캠체의 좌우 요동에 연동해서 위쪽 안내체가 전환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환안내부의 전환동작은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이동력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피안내체를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에 의해 안내해서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전환안내부를 통해서 타방측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기고 있을 때에, 이 전환안내부는 캠체를 위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타방측으로 요동시키고 있고, 그리고 위쪽 안내체 및 아래쪽 안내체를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일방측으로 요동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피안내체를 합류안내부, 위쪽 안내체, 아래쪽 안내체, 타방측의 분기안내부를 통과해서 타방측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길 때에,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이동력을 캠체에 작용시키는 일 없이 통과시킬 수 있고, 이로써 위쪽 안내체나 아래쪽 안내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안내체를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 안내하도록 전환했을 때,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후단의 피안내체가 아래쪽 안내체의 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전단의 물품 가로밀기체는 합류안내부에 도달하여, 캠체에 근접(접촉)한 위치로 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이동하면,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이동력이 캠체에 작용하고, 이 이동력에 의해 캠체를 일방측으로 밀기 작용시켜서 위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일방측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때 캠체의 요동을 요동 연동기구를 통해서 위쪽 안내체에 전달하고, 이 위쪽 안내체를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타방측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그때에 위쪽 안내체의 전환동작의 전반시에는 위쪽 안내체만이 요동하고 아래쪽 안내체는 요동하지 않으므로, 위쪽 안내체를 타방측으로 요동시키면서도 아래쪽 안내체는 타방측으로 요동시키지 않고, 이로써 아래쪽 안내체에 의한 최후단의 피안내체의 안내는 조금도 지장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하는 물품 가로밀기체측의 이동력에 의해 캠체를 더욱 일방측으로 계속해서 밀기 작용하여, 요동 연동기구 등을 통해서 위쪽 안내체를 하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더욱 타방측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쪽 안내체의 전환동작의 후반시에는, 즉 이후에 있어서는 위쪽 안내체와 아래쪽 안내체를 일체형상으로 해서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요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가로밀기체의 하부측에는 지지축이 늘어뜨려져 설치됨과 아울러, 이 지지축에 피안내체가 부착되고, 합류안내부로 이동해 온 피안내체측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 안내체를 전환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환안내부의 전환동작은 피안내체측의 이동력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가로밀기체의 하부측에는 지지축이 늘어뜨려져 설치됨과 아울러, 이 지지축에 피안내체가 부착되고, 캠체는 이동해 온 지지축의 이동력에 의해 좌우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피안내체를, 합류안내부, 위쪽 안내체, 아래쪽 안내체, 타방측의 분기안내부를 통과해서 타방측의 외측 이동안내부로 옮길 때에, 캠체의 부분을 이동하는 피안내체는 그 지지축을 캠체에 접촉시키지 않고 통과할 수 있고, 이로써 위쪽 안내체나 아래쪽 안내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피안내체를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 안내하도록 전환했을 때,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후단의 피안내체가 아래쪽 안내체의 부분에 도달했을 때에, 타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로부터의 최전단의 피안내체는 합류안내부에 도달하고, 그 지지축을 캠체에 근접(접촉)시킨 위치로 할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이동하면 지지축이 캠체에 접촉하고, 이 지지축의 이동력에 의해 캠체를 일방측으로 밀기 작용해서 위쪽측의 지축 축심의 둘레에 일방측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전환안내부의 전환동작은 지지축의 이동력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5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동해 온 지지축이 캠체의 종단부분에 도달했을 때, 이 지지축에 부착된 피안내체가 위쪽 안내체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5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지지축이 캠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의 충격 등으로 캠체가 덜컹거려서, 위쪽 안내체가 변위하고자 하는 것을 피안내체에 의해 저지할 수 있고, 이로써 피안내체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도 8에 있어서 부호 1은 본체 프레임이고, 양측에 각각 상하 한쌍으로 배치된 프레임재(10, 20)와, 상하 및 좌우의 프레임재(10, 2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부재(2)와, 하위 프레임재(20)로부터 하방으로 연이어 설치된 다리체(3)군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2)는 종연결재(4)나 횡연결재(5)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상위 프레임재(10)는 알루미늄의 성형품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중앙부에 상방으로의 기립부(11)를 형성해서 이 기립부(11)의 상부 외측에 노치형상의 단차부(12)를 형성하고, 또 기립부(11)의 상부 내측에 상향 홈형상의 윤활유 수용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위 프레임재(10)에는 기립부(11)의 위치에 외측방향 도브테일홈(14)이, 외측의 단차부(12)의 위치에 상향 도브테일홈(15)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내측 하향 도브테일홈(16)과 외측 하향 도브테일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위 프레임재(10)에는 내측의 윤활유 수용부(13)보다 조금 하방의 위치로부터 안쪽으로 왕로측 안내레일부(18)가 돌출되고, 이 왕로측 안내레일부(18)는 물품지지체(후술함)의 지지안내용으로 된다. 여기 서 왕로측 안내레일부(18)의 부분에는 하향 도브테일홈(19)이 형성된다. 또한, 윤활유 수용부(13)나 도브테일홈(14~17, 19)이나 왕로측 안내레일부(18) 등은 상위 프레임재(10)의 성형시에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상의 부호 11~19 등에 의해 상위 프레임재(1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하위 프레임재(20)는 알루미늄의 성형품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단에 내측 상향 도브테일홈(21)과 외측 상향 도브테일홈(22)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 내측 하향 도브테일홈(23)과 외측 하향 도브테일홈(24)이 형성된다. 또 하위 프레임재(20)에는 중간부의 내측에 상향 홈형상의 윤활유 수용부 (25)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쪽으로 복로측 안내레일부(26)가 돌출되고, 이 복로측 안내레일부(26)는 물품지지체의 지지안내용으로 된다. 여기서 복로측 안내레일부(26)의 부분에는 하향 도브테일홈(27)이 형성된다. 또 복로측 안내레일부(26) 등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28)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단 연장부(29)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써 상단 연장부(29)의 내측면에 의해 횡방향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브테일홈(21~24, 27)이나 복로측 안내레일부(26), 상단 연장부(29) 등은 하위 프레임재(20)의 성형시에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상의 부호 21~29 등에 의해 하위 프레임재(2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2)는 상위 프레임재(10)의 양 하향 도브테일홈(16, 17)에 판형상의 너트체(6)를 위치시켜 두고, 그리고 중간 프레임부재(2)의 종연결재(4)나 횡연결재(5)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7)를 너트체(6)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위 프레임재(10)와 일체화되며, 또 하위 프레임재(20) 의 양 상향 도브테일홈(21, 22)을 이용함으로써 상술과 마찬가지로 너트체(6)와 볼트체(7)에 의해 하위 프레임재(20)에 일체화된다. 이 중간 프레임부재(2)는 양 프레임재(10, 2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리체(3)는 하위 프레임재(20)의 하향 도브테일홈(23, 24)을 이용해서 너트체(6)와 볼트체(7)에 의해 하위 프레임재(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구성된 본체 프레임(1)의 시단부에는 좌우방향의 종동축(3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종단부에는 좌우방향의 구동축(3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종동축(30)이나 구동축(31)은 양 프레임재(10, 20) 사이에 배치된 좌우 한쌍의 지지부재(32)에, 각각 베어링장치(33)를 개재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1)에 연동 연결된 구동장치(34)는 전동기(35)와, 이것에 일체화된 감속기(36)로 이루어지고, 이 감속기(36)의 출력부가 상기 구동축(31)에 연동되어 있다.
상기 종동축(30)과 구동축(31)의 양단에서 상대향부 사이에는, 스프로킷(링체의 일례)(38, 39)을 개재해서 무단체인(무단회동체의 일례)(4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로킷(38, 39)은 상기 지지부재(32)의 내측에 배치되어서 종동축(30)이나 구동축(31)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무단체인(40)은 링크(41)와 연결핀(42)으로 이루어지고, 왕로측에 있어서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되며, 또한 복로에 있어서 윤활유 수용부(25)의 상방에서 단차부(28) 내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무단체인(40) 사이에 물품지지체(50)가 다수 부착되어 있다. 그때에 상기 연결핀(42)군 중, 소정 피치 간격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장척의 연결핀(42)이 물품지지체(50)의 부착에 사용된다.
상기 물품지지체(50)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무단체인(40)의 이동방향으로 되는 주 반송경로(45)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을 길이방향(51)으로 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물품지지체(50)는 상면에 길이방향(51)을 따른 볼록형상부(52)를 주 반송경로(45)의 방향에서 3조(복수 조)로 형성한 편평형상의 물품적재판부(53)와, 이 물품적재판부(53)의 하면중간부(이면중간부분)로부터 상기 주 반송경로(45)의 방향에서 한쌍으로 연결되고 또한 길이방향(51)을 따른 다리판부(54)와, 물품적재판부(53)의 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55)와, 물품적재판부(53)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56) 등에 의해 틀 레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양 다리판부(54)의 하단은 안쪽으로 돌출됨으로써 후육부에 형성되고, 이로써 양 다리판부(54) 사이에서 또한 물품적재판부(53)의 하면중간부 사이에 상대향하는 측에서 개방되는 홈형상의 안내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양 다리판부(54)의 하단에는 하방에서 개방되는 홈형상의 나사결합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부호 52~58 등에 의해 물품지지체(5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에는,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이 삽입 결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들 사이드 브래킷(61)은 철제로 이루어지고, 주 반송경로(45)의 방향에서 긴 본체부(62)의 내면측의 상부에서 전후의 2개소에, 안쪽으로 돌출되는 판형상의 삽입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62)에 있어서의 중간의 하부에는 안쪽으로의 돌출편이 접혀 구부러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사이드 브래킷(61)의 외면측에서 앞부의 1개소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통형상체(63)가 용접함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사이드 브래킷(61)은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53)와 전판부(55) 또는 후판부(56)에 의해 형성된 전후 한쌍의 공간부에 한쌍의 삽입부를 끼워넣고, 이어서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를 나사결합부(54A)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체(63)측의 삽입구멍에 대하여 상기 무단체인(40)측으로부터의 장척의 연결핀(42)의 돌출부분을 외측으로부터 꽂아넣어서 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서 무단체인(40)에 연결 할 수 있고, 이로써 좌우 한쌍의 무단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지지체(50)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통형상체(63)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피안내부재의 일례이고, 베어링 형식이나 롤러 형식 등으로 이루어짐)(64)가 바깥으로부터 끼워지고, 이들 회전체(64)는 상기 본체 프레임(1)측의 양 안내레일부(18, 26)의 상향 지지면에 지지 안내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62)의 돌출편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롤러(피안내부재의 일례)(65)가 종축(66)을 통해서 여유있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사이드 롤러(65)는 상기 왕로측 안내레일부(18)의 횡방향 안내면에 안내된다.
각 물품지지체(50)에는 이 물품지지체(50)에 바깥으로부터 끼워져서 안내됨으로써 길이방향(51)으로 이동 가능한 물품 가로밀기체(70)가 설치되고, 이들 물품 가로밀기체(70)는 하위의 직사각형 통형상부분(71)과 상위의 가로밀기 작용부(7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직사각형 통형상부분(71)은 상기 물품적재판부(53)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편평형상의 상판재(72)와, 이 상판재(72)의 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전판부(55)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73)와, 상기 상판재(72)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후판부(56)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74)와, 전판재(73)와 후판재(74)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7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재(72)의 상면측(상방)에 가로밀기 작용부(76)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로밀기 작용부(76)는 상판재(72)의 상방을 덮는 천정판재(77)와, 이 천정판재(77)에 있어서의 양측의 횡방향 경사면의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가로밀기 접촉부재(78)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횡방향 경사면은, 예를 들면 평면에서 봐서 경사각도(θ)를 30°로 해서 전체가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가로밀기 접촉부재(78)는 고무판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가로밀기 접촉면이 평면에서 봐서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판재(75)의 상면측에는 양 다리판부(54)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 돌출형상의 피끼워맞춤부(79)가 연이어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물품 가로밀기체(70)는 피끼워맞춤부(79)를 통해서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안내부(58) 사이에서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재(72)측의 하면에는 상기 물품지지체(50)의 물품적재판부(53)에 형성된 볼록형상부(52)에 상방으로부터 대향되는 3개의 오목홈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부호 71~80 등에 의해 물품 가로밀기체(7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물품 가로밀기체(70)는 가로밀기 접촉부재(78) 를 제외하고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하부측에는 상기 피끼워맞춤부(79)를 이용해서 피안내체가 부착된다. 즉 상기 피끼워맞춤부(79)의 중앙부로부터 롤러축(지지축의 일례)(85)이, 그 상부를 매립성형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늘어뜨려 설치되고, 이 롤러축(85)의 돌출하부에 안내 롤러(피안내체의 일례)(86)가 여유있게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로써 안내 롤러(86)는 물품 가로밀기체(70)의 이면 바깥쪽에 위치된다. 그때에 롤러축(85)은 안내 롤러(86)에 대하여 소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중간 프레임부재(2)에 있어서의 상위의 횡연결재(5)에는 상기 안내 롤러(86)의 안내를 행하는 왕로 안내장치(안내장치의 일례)(90)가 배치되고, 또 하위의 횡연결재(5)에는 복로 안내장치(96)가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의 분기부에는 왕로측의 상부 전환수단(110)과 복로측의 하부 전환수단(105)이 배치되고, 또 왕로측의 시단 근처에는 좌우 한쌍의 배분수단(106A, 106B)이 배치된다.
상기 왕로 안내장치(90)는 시단부의 양측에 각각 좌우 한쌍으로 설치한 시단안내부(91A, 91B)와, 이들 시단안내부(91A, 91B)의 종단에 상기 배분수단(106A, 106B)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한 아래쪽측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와, 이들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의 종단에 상기 상부 전환수단(110)을 통해서 대향하며, 또 아래쪽측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와, 이들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의 종단에 대향해서 설치된 각각 좌우 한쌍의 종단안내부(94A, 94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로 안내장치(96)는 아래쪽측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내측 이동안내부(97A, 97B)와, 이들 내측 이동안내부(97A, 97B)의 종단에 상기 하부 전환수단(105)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한 아래쪽측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외측 이동안내부(98A, 98B)로 이루어진다.
상기 왕로 안내장치(90)의 시단안내부(91A, 91B)나 종단안내부(94A, 94B), 및 상기 복로 안내장치(96)의 외측 이동안내부(98A, 98B)는 상위의 횡연결재(5)에 고정된 브래킷(100)과, 이 브래킷(100)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부착된 한쌍 또는 편측의 안내체(101)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서 안내체(101)는 알루미늄의 압출 또는 인발 성형품이나 수지제품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안내체(101) 사이나, 안내체(101)와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 또는 외측 이동안내부(98A, 98B)의 상대향면 사이에 안내 롤러(86)가 위치된다. 또, 종단안내부(94A, 94B)에 있어서의 안내체(101)는 안내 롤러(86)의 안내측에 수지성형 부재가 설치된 구성이나, 이 안내체(101)의 전부가 수지성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왕로 안내장치(90)의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나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 및 상기 복로 안내장치(96)의 내측 이동안내부(97A, 97B)는 상기 안내체(101)를 하위의 횡연결재(5)에 대하여 직접 고정함으로써 구성되고, 이 안내체(101)의 측면에 의해 안내 롤러(86)가 안내된다. 또, 시종의 반전부에서 안내 롤러(86)의 안내를 행하도록, 양 축(30, 31)의 부분에는 안내 롤러(86)의 끼워맞춤을 허락하는 반전안내체(107A, 107B, 108A, 108B)가 부착되어 있다.
도 1, 도 9~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전환수단(110)은 양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로부터의 안내 롤러(86)를 수용하는 합류안내부(116)와, 안내 롤러(86)를 양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에 안내하는 분기안내부(117A, 117B)와, 합류안내부(116)로부터의 안내 롤러(86)를 양 분기안내부(117A, 117B)로 배분하는 전환안내부(120)를 갖고 있다.
상기 상부 전환수단(110)의 본체로 되는 직사각형 링형상의 베이스 판체(111)가 횡연결재(5)상에 적재되어 고정되고, 이 베이스 판체(111)상에는 합류안내부(116)나 분기안내부(117A, 117B)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즉, 후부 경사면(112a)과 전부 경사면(112b)을 갖는 상태에서, 평면에서 봐서 산형상으로 형성된 측부형성 부재(112)가, 그 산정상부를 상대향시킨 상태에서 좌우로 나뉘어 배치됨과 아울러, 평면에서 봐서 삼각형상의 후부형성 부재(113)가 그 좌우의 경사면(113a)을 후부 경사면(112a)에 상대향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그때에 측부형성 부재(112)의 외측부분과 후부형성 부재(113)의 후단부분은 하측으로 돌출된 후육부(112c, 113c)에 형성되고, 이들 후육부(112c, 113c)가 스페이서(114)와 고정구(115)를 통해서 베이스 판체(111)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부형성 부재(112)에 있어서의 후육부(112c)의 내측부분과 후부형성 부재(113)에 있어서의 후육부(113c)의 위쪽부분은 노치형상의 단차부(112d, 113d)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부형성 부재(112)의 산정상부분에는 직선형상의 단차형상 수용면(112e)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부형성 부재(112)의 전부 경사면(112b) 사이에 V홈형상의 합 류안내부(116)가 형성되고, 또 측부형성 부재(112)의 후부 경사면(112a)과 후부형성 부재(113)의 좌우의 경사면(113a) 사이에 곧은 홈형상의 분기안내부(117A, 117B)가 좌우 분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때에 곧은 홈형상의 분기안내부(117A, 117B)는 안내 롤러(86)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합류안내부(116)의 중앙부분에는 평면에서 봐서 타원형상의 규제부재(118)가 배치되고, 이 규제부재(118)의 위쪽부분은 하측으로 돌출된 후육부(118a)에 형성되며, 이 후육부(118a)가 스페이서(114)와 고정구(115)를 통해서 베이스 판체(111)상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부재(118)의 좌우의 규제면(타원형상 측면)(118b)과 전부 경사면(112b) 사이에서 안내 롤러(86)가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규제부재(118)에 있어서의 후육부(118a)의 아래쪽부분은 노치형상의 단차부(18c)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환안내부(120)는 합류안내부(116)에 위치되어서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한 캠체(121)와,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한 위쪽 안내체(126) 및 아래쪽 안내체(128)와, 캠체(121)와 위쪽 안내체(126) 사이에 설치된 요동 연동기구(13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캠체(121)는 그 위쪽측부분(전반부분)이 상기 규제부재(118)의 단차부(118c) 내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배치되고, 베이스 판체(111)상에 고정된 지축체(122)에 위쪽측부분이 바깥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체(121)의 양 측면은 캠면(121a)에 형성되고, 여기서 캠면(121a)은 안내 롤러(86)가 안내되는 규제부 재(118)의 규제면(118b)에 대하여 하방에 위치되며, 이로써 롤러축(85)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때에 캠면(121a)은 캠체(121)가 좌우 요동했을 때, 요동한 측과는 반대측을 이동해 온 롤러축(85)은 캠면(121a)에 접촉하는 일 없이 통과하고, 요동한 측을 이동해 온 롤러축(85)은 캠면(121a)에 접촉해서 반대측으로 밀기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캠체(121)는 이동해 온 롤러축(85)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의 둘레에 좌우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캠체(121)의 위쪽측부분에서 하부로부터는 측방(좌측)으로 직각형상으로 신장되는 암부(121b)가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부형성 부재(113)의 단차부(113d) 내에는 장척 링크체(125)와 단척 링크체(127)가 장척 링크체(125)를 하위로 해서 포갠 상태로 배치되고, 이들 링크체(125, 127)는 베이스 판체(111)상에 고정된 공통의 지축체(129)에 아래쪽측부분이 바깥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각각 따로 좌우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지축체(129)의 상단부분은 후부형성 부재(113)에 끼워맞춰져 있다.
상기 장척 링크체(125)의 전단부분에는, 후부형성 부재(113)의 전방(위쪽)에 위치되어서 위쪽 안내체(126)가 기립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쪽 안내체(126)는 평면에서 봐서 전단측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그 양 측면에 의해 위쪽 안내면(12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쪽 안내체(126)는 장척 링크체(125)와 함께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좌우 요동(전환동작)되고, 그때에 어느 일방의 위쪽 안내면(126a)이 측부형성 부재(112)의 단차형상 수용면(112e)에 접촉됨으로써 타방(반대측)의 위쪽 안내면(126a)이 일방(접촉했음)측의 전부 경사면(112b)에 직선형상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척 링크체(125)의 아래쪽측부분에서 하부로부터는, 측방(좌측)으로 직각형상으로 신장되는 암부(125b)가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이 암부(125b)와, 상기 캠체(121)의 암부(121b)의 여유단 사이가 요동 연동기구(13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요동 연동기구(131)는 암부(121b, 125b)의 여유단에 종축체 등을 통해서 상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암형상체(132, 133)와, 이들 암형상체(132, 133) 사이에 나사결합된 로드형상체(134)에 의해 연동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합류안내부(116)로 이동해 온 롤러축(85)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캠체(121)를 좌우 요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캠체(121)의 좌우 요동에 요동 연동기구(131)를 통해 연동해서 위쪽 안내체(126)가 전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척 링크체(127)의 전단부분에는 후부형성 부재(113)의 전방(위쪽)에서 또한 위쪽 안내체(126)의 후방(아래쪽)에 위치되어서, 아래쪽 안내체(128)가 기립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아래쪽 안내체(128)는 평면에서 봐서 전단측이 짧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그 전단면은 상기 위쪽 안내체(126)의 후단면에 접근되고 또한 양 측면에 의해 아래쪽 안내면(12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 안내체(128)는 단척 링크체(127)와 함께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좌우 요동되고, 그때에 아래쪽 안내체(128)의 좌우 요동(전환동작)은 상기 위쪽 안내 체(126)의 전환동작의 후반시에 일체형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장척 링크체(125)의 중간부분에서 양측에는, 상방 및 측방에서 개방된 오목부(125c)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 오목부(125c) 사이의 잔부에 의해 스토퍼부(125d)가 형성되어 있다. 또 단척 링크체(127)의 전단부분에서 양측에는, 하방 또한 측방으로의 볼록부(127c)가 형성됨과 아울러, 볼록부(127c)의 내면 사이에 상기 스토퍼부(125d)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127d)가 형성되어 있다. 그때에, 볼록부(127c)의 내면 사이의 거리인 끼워맞춤부 폭(127w)에 대하여 스토퍼부 폭(125w)는 설정 길이(L)만큼 짧고, 즉 [127w-125w=L]로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위쪽 안내체(126)의 전환동작의 전반시에는 설정 길이(L)만큼 장척 링크체(125)만이 요동하며, 그리고 스토퍼부(125d)가 볼록부(127c)에 접촉한 후의 위쪽 안내체(126)의 전환동작의 후반시에는 장척 링크체(125)와 단척 링크체(127)가 일체형상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체형상으로 요동해서 어느 일방의 위쪽 안내면(126a)이 측부형성 부재(112)의 단차형상 수용면(112e)에 접촉되었을 때, 위쪽 안내체(126)의 타방(반대측)의 위쪽 안내면(126a)에 대해서, 아래쪽 안내체(128)의 타방(반대측)의 아래쪽 안내면(128a)이 직선형상으로 연속함과 아울러, 이 아래쪽 안내면(128a)이 후부형성 부재(113)의 경사면(113a)에 직선형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행하고 있는 안내 롤러(86)를 아래쪽 안내체(128)가 안내하고 있을 때에, 후속의 안내 롤러(86)가 위쪽 안내체(126)를 전환 동작시키는 개시위치로 되도록, 주 반송경로(45)의 방향에 있어서의 물품지지체(50)의 피치에 상당하는 피안 내체 피치(P)나, 위쪽 안내체(126) 및 아래쪽 안내체(128)의 위치, 형상(길이)이나, 캠체(121)의 위치, 형상(길이)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고 있는 안내 롤러(86)를 아래쪽 안내체(128)가 안내하고 있을 때에, 후속의 안내 롤러(86)를 지지하고 있는 롤러축(85)이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보다 조금 아래쪽에 있어서 캠체(121)의 캠면(121a)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해 온 롤러축(85)이 캠체(121)의 종단부분, 즉 캠면(121a)의 종단부분에 도달했을 때, 이 롤러축(85)에 부착된 안내 롤러(86)가 위쪽 안내체(126)의 위쪽 안내면(126a)에 대향하도록, 캠체(121)와 위쪽 안내체(126)의 상대의 위치나 안내 롤러(86)의 지름 등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분기안내부(117A, 117B)의 시단부분에는 위쪽 안내체(126) 및 아래쪽 안내체(128)의 전환요동을, 충격(소음)을 적게 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게 하기 위한 완충 규제수단(136)이 설치되어 있다. 즉, 베이스판(111)상에는 U자형 프레임형상의 유지부재(137)가 고정되고, 이 유지부재(137)에 있어서의 좌우의 입판부의 내측면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13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요동시에 있어서, 장척 링크체(125)의 양 측면이나 단척 링크체(127)의 볼록부(127c)가 완충부재(138)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위 프레임재(10)(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서, 무단체인(40)을 배치함과 아울러 왕로측 안내레일부(18)를 형성한 부분에 무단체인(40)이나 회전체(70)의 상방을 폐쇄형상으로 하기 위한 커버체(체인 커버)(140)가 배치된다. 이 커버체(140)는 측판부와, 이 측판부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각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진 상판부에 의해 단면으로 역L자형상의 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140)는 측판부를 기립부(11)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촉시킨 상태에서 측판부의 하단부분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를 외향 홈부(14) 내에 미리 위치시킨 너트체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위 프레임재(10)의 기립부(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바깥쪽에는 주 반송경로(45)에 대하여 바깥쪽 또한 아래쪽측으로 경사진 분기경로(145A, 145B)를 형성하는 분기 컨베이어(146A, 146B)가 설치된다. 이들 분기 컨베이어(146A, 146B)는 컨베이어 프레임에 다수의 롤러를 지지시킴으로써 구성되고, 그때에 컨베이어 프레임이나 롤러는 그 단부를 상위 프레임재(10)의 단차부(12) 내에 위치시키며, 또한 커버체(140)의 측판부에 충분히 접근시킨 상태에서 배치된다. 또 상위 프레임재(10)의 상향 도브테일홈(15) 등을 분기 컨베이어(146A, 146B)와의 연결에 이용해도 된다. 부호 150은 물품을 나타낸다.
이하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150)의 반송, 분기작용을 설명한다.
즉, 구동장치(34)의 전동기(35)를 작동시켜, 감속기(36)에 연동한 구동축(31)을 통해서 스프로킷(39)을 강제 회전시킴으로써 양 무단체인(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양 무단체인(40)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50)군을, 회전체(64)를 통해서 양 안내레일부(18, 26)의 상향 지지면에 지지 안내시킴과 아울러, 사이드 롤러(65)를 통해서 안내레일부(18)나 상단 연장부(29)의 횡방향 안내면에 안내시킴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때에 복로측에 있어서는, 회전체(64)의 상방에 상단 연장부(29)가 위치함으로써 이 회전체(64)의 부상을 저지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지지체(50)군을 상하에서 덜컹거리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50)군이 순환 이동하므로, 시단부의 물품지지체(50)군상에 공급한 물품(150)을 주 반송경로(45)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반송시에 있어서, 왕로에서의 양 무단체인(40)의 이동은 커버체(140)의 하방에서 또한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서 행해지고, 또 복로에서의 양 무단체인(40)의 이동은 상단 연장부(29)의 하방에서 또한 윤활유 수용부(25)의 상방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반송을 행할 때에, 물품지지체(50)군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물품 가로밀기체(70)는 그 안내 롤러(86)가 안내장치(90, 96)군에 안내됨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에 왕복 이동하거나, 물품지지체(50)와 함께 주 반송경로(45)를 따라 직선형상으로 이동하거나 한다. 그때에 물품 가로밀기체(70)의 왕복이동은 피끼워맞춤부(79)를 통해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안내부(58)에 끼워맞춰져 안내되는 상태에서, 즉 바람직한 미끄럼접촉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덜컹거림 없이, 또한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는 일 없이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일방측의 시단안내부(91A)에 안내되고 있는 안내 롤러(86)는 배분수단(106A)이 직선형상 배분자세의 때에 직진 안내되고, 그리고 안내작용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직진한 후 종단안내부(94A)에 안내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밀기체(70)는 물품(150)에 작용하지 않고, 이 물품(150)은 주 반송경로(45)상을 직진형상으로 반송된다. 또 반대측도 마찬가지로서, 시단안내부(91B)의 안내 롤 러(86)는 배분수단(106B)으로부터 종단안내부(94B)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일방측의 시단안내부(91A)에 안내되고 있는 안내 롤러(86)는 배분수단(106A)이 경사형상 배분자세의 때에 내측으로 경사 안내되고, 그리고 내측 이동안내부(92A)에 안내되어서 내측으로 이동된 후, 상부 전환수단(110)을 통해 외측 이동안내부(93B)로 옮겨지며, 이 외측 이동안내부(93B)에 안내되어서 외측으로 이동된 후 종단안내부(94B)에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밀기체(70)군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 반송경로(45)를 횡단하게 되고, 이로써 가로밀기 작용부(76)가 타측의 가로밀기 접촉부재(78)를 통해서 물품(150)에 가로밀기 작용하여, 이 물품(150)을, 그 방향을 바꾸면서, 주 반송경로(45)에 대하여 경사형상으로 분기 이동시키고, 타방의 분기 컨베이어(146B)에 건네 주게 된다.
또한 반대측도 마찬가지로서, 시단안내부(91B)의 안내 롤러(86)는 배분수단(106B), 내측 이동안내부(92B), 상부 전환수단(110), 외측 이동안내부(93A), 종단안내부(94A)와 안내되고, 물품 가로밀기체(70)군의 가로밀기 작용부(76)가 일측의 가로밀기 접촉부재(78)를 통해 물품(150)에 가로밀기 작용해서, 이 물품(150)을 일방측의 분기 컨베이어(146A)에 건네 주게 된다.
이렇게 해서 종단안내부(94A, 94B)의 단부에 도달한 안내 롤러(86)는 반전안내체(108A, 108B)에 안내되어서 반전한다. 그리고 복로 안내장치(96)에 있어서는, 우선 내측 이동안내부(97A, 97B)에 안내되어서 중앙부로 이동되고, 이어서 하부 전환수단(105)에 의해 좌우로 분리된 후, 외측 이동안내부(98A, 98B)의 안내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에, 반전안내체(107A, 107B)에 안내되어서 반전한 후, 시 단안내부(91A, 91B) 중 어느 하나로 옮겨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롤러(86)를 경사형상 배분자세의 배분수단(106A, 106B)에 의해 내측으로 경사 안내하고, 그리고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에 의해 안내해서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부 전환수단(110)을 통해 외측 이동안내부(93B, 93A)로 옮기며, 이 외측 이동안내부(93B, 93A)에 의해 안내되어서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 종단안내부(94B, 94A)에서 안내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밀기체(70)군을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 반송경로(45)를 횡단시키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로밀기 작용부(76)를 물품(150)에 가로밀기 작용시켜서 이 물품(150)을 분기 이동시키고, 분기 컨베이어(146A, 146B)로 나누어서 건네 줄 수 있다.
그때에, 상부 전환수단(110)의 전환동작은 롤러축(85)의 이동력을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안내 롤러(86)를 일방측의 내측 이동안내부(92A)에 의해 안내해서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부 전환수단(110)을 통해 외측 이동안내부(93B)로 옮기고 있을 때에, 이 상부 전환수단(110)은 도 9~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체(121)를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의 둘레에 타방측(우측)으로 요동시키고 있고, 그리고 위쪽 안내체(126) 및 아래쪽 안내체(128)를 장척 링크체(125) 및 단척 링크체(127)와 일체형상으로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일방측(좌측)으로 요동시키고 있다.
이때에, 장척 링크체(125)의 측면이나 단척 링크체(127)의 볼록부(127c)는 완충부재(138)에 접촉되어 있다. 또 위쪽 안내체(126)의 일방(좌측)의 위쪽 안내면(126a)이 측부형성 부재(112)의 단차형상 수용면(112e)에 접촉함으로써 타방(우 측)의 위쪽 안내면(126a)을 일방(접촉됨)측의 전부 경사면(112b)에 직선형상으로 연속시키고, 그리고 위쪽 안내체(126)의 타방(우측)의 위쪽 안내면(126a)에 대하여 아래쪽 안내체(128)의 타방(우측)의 아래쪽 안내면(128a)을 직선형상으로 연속시킴과 아울러, 이 아래쪽 안내면(128a)을 후부형성 부재(113)의 경사면(113a)에 직선형상으로 연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일방측(좌측)의 내측 이동안내부(92A)로부터의 안내 롤러(86)는 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는 전부 경사면(112b), 위쪽 안내면(126a), 아래쪽 안내면(128a), 경사면(113a)을 통해서, 즉 수직홈형상의 분기안내부(117B)를 통과해서 외측 이동안내부(93B)로 옮기게 되고, 이로써 물품 가로밀기체(70)군을 주 반송경로(45)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횡단시키게 된다. 그때에, 도 13의 가상선(A)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체(121)의 부분을 이동하는 안내 롤러(86)는 전부 경사면(112b)과 규제면(118b)에 의해 규제 안내됨과 아울러, 그 롤러축(85)을 캠면(121a)에 접촉시키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고, 이로써 위쪽 안내체(126)나 아래쪽 안내체(128)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롤러(86)를 하부 전환수단(105)의 조작에 의해 타방측(우측)의 시단안내부(91B)로 안내하고, 배분수단(106B)으로부터 내측 이동안내부(92B)로 안내하도록 전환했을 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측(좌측)의 내측 이동안내부(92A)로부터의 최후단의 안내 롤러(86)가 아래쪽 안내체(128)의 아래쪽 안내면(128a)의 부분에 도달했을 때, 타방측(우측)의 내측 이동안내부(92B)로부터의 최전단의 안내 롤러(86)는 합류안내부(116)에 도달하여, 도 13의 실선(B)으로 나타내 는 바와 같이 그 롤러축(85)을 캠면(121a)에 근접(접촉)시킨 위치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물품지지체(50)군이 이동하면, 롤러축(85)이 캠면(121a)에 접촉하고, 이 롤러축(85)의 이동력에 의해 캠체(121)를 반대측(좌측)으로 밀기 작용하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체(121)를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의 둘레에 좌측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이때 캠체(121)의 요동은 암부(121b), 암형상체(132), 로드형상체(134), 암형상체(133), 암부(125b)를 통해 장척 링크체(125)에 전달되고, 이 장척 링크체(125), 즉 위쪽 안내체(126)를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우측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그때에 위쪽 안내체(126)의 전환동작의 전반시에는 끼워맞춤부 폭(127w)으로부터 스토퍼부 폭(125w)을 뺀 설정 길이(L)만큼 장척 링크체(125)만이 요동하고 단척 링크체(127)는 요동하지 않으므로, 위쪽 안내체(126)를 우측으로 요동시키면서도 아래쪽 안내체(128)는 우측으로 요동하지 않고, 이로써 아래쪽 안내체(128)에 의한 최후단의 안내 롤러(86)의 안내는 조금도 지장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지지체(50)군이 더욱 이동하면, 롤러축(85)의 이동력에 의해 캠체(121)를 반대측(좌측)으로 계속해서 밀기 작용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요동 연동기구(131) 등을 통해 위쪽 안내체(126)를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더욱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설정 길이(L)는 흡수되어서(설정 길이(L)분만큼 장척 링크체(125)가 요동해서) 스토퍼부(125d)가 볼록부(127c)에 접촉하고 있고, 따라서 위쪽 안내체(126)의 전환동작의 후반시에는, 즉 이후에 있어서는 장척 링크체(125)와 단척 링크체(127)를 일체형상으로 해서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 의 둘레에 요동시키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 안내체(126)의 타방(우측)의 위쪽 안내면(126a)이 측부형성 부재(112)의 단차형상 수용면(112e)에 접촉함으로써, 일방(좌측)의 위쪽 안내면(126a)을 타방(접촉된)측의 전부 경사면(112b)에 직선형상으로 연속시키고, 그리고 위쪽 안내체(126)의 일방(좌측)의 위쪽 안내면(126a)에 대하여 아래쪽 안내체(128)의 일방(좌측)의 아래쪽 안내면(128a)을 직선형상으로 연속시킴과 아울러, 이 아래쪽 안내면(128a)을 후부형성 부재(113)의 경사면(113a)에 직선형상으로 연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타방측(우측)의 내측 이동안내부(92B)로부터의 최전단의 안내 롤러(86)는 직선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는 전부 경사면(112b), 위쪽 안내면(126a), 아래쪽 안내면(128a), 경사면(113a)을 통해서, 즉 수직홈형상의 분기안내부(117A)를 통과해서 외측 이동안내부(93A)로 옮기게 되고, 이로써 물품 가로밀기체(70)군을 주 반송경로(45)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횡단시키게 된다.
그때에, 이동해 온 롤러축(85)이 캠체(121)에 있어서의 캠면(121a)의 종단부분에 도달했을 때, 이 롤러축(85)에 부착된 안내 롤러(86)가 위쪽 안내체(126)의 위쪽 안내면(126a)에 대향하고 있음으로써 롤러축(85)이 캠면(121a)으로부터 떼어졌을 때의 충격 등으로 캠체(121)가 덜컹거려서, 위쪽 안내체(126)가 단차형상 수용면(112e)으로부터 분리되고자 하는 것을 안내 롤러(86)에 의해 저지할 수 있고, 이로써 안내 롤러(86)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전환수단(110)에 있어서의 전환안내 길이는 위쪽 안 내체(126)의 위쪽 안내면(126a)과 아래쪽 안내체(128)의 아래쪽 안내면(128a)을 연속시킴으로써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위쪽 안내체(126)와 아래쪽 안내체(128)를 통한 전환은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안내장치로서 왕로 안내장치(90)를 채용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복로 안내장치를 채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캠체(121)를 지지축(롤러축(85))의 이동력에 의해 요동시키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피안내체(안내 롤러(86))의 이동력에 의해 요동시키는 형식이나, 물품 가로밀기체(70)측으로부터의 다른 부재의 이동력에 의해 요동시키는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하부측에 본체 프레임(1)측의 안내장치(90, 96)에 안내되는 피안내체(안내 롤러(86))를, 그 상부를 피끼워맞춤부(79)의 중앙부에 메워넣어서 지지시킴으로써 늘어뜨려져 설치된 지지축(롤러축(85))의 돌출하부에 부착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하부로부터 일체형상으로 늘어뜨려져 설치된 지지축부에 피안내체를 부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무단회동체로서 무단체인(40)을 채용하고, 링크(41) 사이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42)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에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장척 연결핀에 의해 돌출부를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무단체인(40)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형식이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무단벨트를 채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로서 하면측 개방의 틀 레일 형상으로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개방되어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위 프레임재(10)와 하위 프레임재(20)의 별체화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하위 프레임재(20)를 측판, 측프레임형식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가로밀기 접촉부재(78)를 30°의 경사각도(θ)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부착하고 있지만, 이 경사각도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다.
전환수단에 있어서의 전환안내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하면서도 전환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주 반송경로(45)를 따라 배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40);
    이들 무단회동체(40)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 주 반송경로(45)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50);및
    이 물품지지체(50)에 바깥으로부터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가로밀기체(70)가 설치된 전환설비에 있어서:
    상기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하부측에는 피안내체(86)가 부착되고, 본체 프레임(1)측에는 상기 피안내체(86)의 안내를 행하는 안내장치(90)가 배치되며, 이 안내장치(90)는 아래쪽측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와, 이들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의 종단에 전환수단(110)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 아래쪽측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수단(110)은 양 내측 이동안내부(92A, 92B)로부터의 피안내체(86)를 수용하는 합류안내부(116)와, 피안내체(86)를 양 외측 이동안내부(93A, 93B)에 안내하는 분기안내부(117A,117B)와, 합류안내부(116)로부터의 피안내체(86)를 양 분기안내부(117A,117B)로 배분하는 전환안내부(120)를 갖고, 이 전환안내부(120)는 위쪽 안내체(126)와 아래쪽 안내체(128)를 가지며, 상기 물품 가로밀기체(70)측의 주 반송경로(45)의 방향에서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 안내체(126)를 전환 동작시킴과 아울러, 이 전환동작의 후반시에 아래쪽 안내체(128)를 일체형상으로 전환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선행하고 있는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피안내체(86)를 아래쪽 안내체(128)가 안내하고 있을 때에, 후속의 물품 가로밀기체(70)가 위쪽 안내체(126)를 전환 동작시키는 개시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전환안내부(120)는, 합류안내부(116)에 위치되어 위쪽측의 지축 축심(123)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한 캠체(121)와, 아래쪽측의 지축 축심(130)의 둘레에 좌우 요동 가능한 위쪽 안내체(126) 및 아래쪽 안내체(128)와, 캠체(121)와 위쪽 안내체(126) 사이에 설치된 요동 연동기구(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체(121)는, 물품 가로밀기체(70)측의 이동력에 의해 좌우 요동되고, 이 캠체(121)의 좌우 요동에 연동해서 위쪽 안내체(126)가 전환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하부측에는 지지축(85)이 늘어뜨려져 설치됨과 아울러, 이 지지축(85)에 피안내체(86)가 부착되고, 합류안내부(116)로 이동해서 온 피안내체(86)측의 이동력에 의해 위쪽 안내체(126)를 전환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물품 가로밀기체(70)의 하부측에는 지지축(85)이 늘어뜨려 져 설치됨과 아울러, 이 지지축(85)에 피안내체(86)가 부착되고, 캠체(121)는 이동해 온 지지축(85)의 이동력에 의해 좌우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이동해 온 지지축(85)이 캠체(121)의 종단부분에 도달했을 때, 이 지지축(85)에 부착된 피안내체(86)가 위쪽 안내체(126)에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KR1020060098402A 2005-11-04 2006-10-10 전환설비 KR101210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0240A JP4501843B2 (ja) 2005-11-04 2005-11-04 転換設備
JPJP-P-2005-00320240 2005-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593A true KR20070048593A (ko) 2007-05-09
KR101210336B1 KR101210336B1 (ko) 2012-12-10

Family

ID=3772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402A KR101210336B1 (ko) 2005-11-04 2006-10-10 전환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79986B2 (ko)
EP (1) EP1783071B1 (ko)
JP (1) JP4501843B2 (ko)
KR (1) KR101210336B1 (ko)
CN (1) CN1958416B (ko)
AT (1) ATE478023T1 (ko)
DE (1) DE602006016213D1 (ko)
ES (1) ES2350253T3 (ko)
PL (1) PL1783071T3 (ko)
TW (1) TWI3665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5943A1 (en) * 2007-04-20 2008-10-20 0788490 Bc Ltd. System and method for trimming wood blocks
JP5163866B2 (ja) * 2007-12-10 2013-03-13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バッファとその移設方法
JP4935714B2 (ja) * 2008-03-04 2012-05-23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NL2002729C2 (en) * 2009-04-08 2010-10-11 Riet Equipment B V Van Conveying device and pusher shoe for use in the device.
US8167116B2 (en) * 2009-05-26 2012-05-01 Dematic Corp. Reducing drag on the web of a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US8069972B2 (en) * 2009-05-26 2011-12-06 Baxley Equipment Co. Board lumber positioning fence
MX2016013484A (es) * 2014-04-16 2017-03-06 Dematic Corp Pre-angulado de articulos para clasificacion.
CN104444308B (zh) * 2014-11-22 2016-04-20 大同煤矿集团有限责任公司 可组合推拉式转载机全封闭装置
CN105923366A (zh) * 2016-05-31 2016-09-07 昆明昆船物流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分拣交叉轨道切换装置
WO2018165489A1 (en) 2017-03-08 2018-09-13 Advanced Technology & Research Corp. Package sorting transfer module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10532894B2 (en) 2017-03-10 2020-01-1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transfer units, systems, and methods
NL2018542B1 (nl) * 2017-03-17 2018-09-24 Vanderlande Ind Bv Inrichting,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sorteren van producten
AU2018372168A1 (en) 2017-11-22 2020-06-0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sortation units, systems, and methods
CN110683281A (zh) * 2018-07-06 2020-01-14 刘素华 一种全滚动摩擦链板托轮给料机
NL2021590B1 (nl) 2018-09-10 2020-05-01 Vanderlande Ind Bv Inrichting,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sorteren van producten
WO2020172251A1 (en) * 2019-02-19 2020-08-27 Aegis Sorta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dual density sorter
CN110589446A (zh) * 2019-09-30 2019-12-20 东方红光伏科技(乐清)有限公司 自动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247A (en) 1966-03-28 1968-01-02 Taylor & Gaskin Article sorting system and method
US4971190A (en) * 1989-09-29 1990-11-20 Automotion, Incorporated Conveyor cross switch
JPH03284529A (ja) * 1990-03-29 1991-12-16 Daifuku Co Ltd 転換装置
US5275273A (en) * 1990-10-31 1994-01-04 Rapistan Demag Corporation Track intersection pin guide
US5135100A (en) 1990-10-31 1992-08-04 Rapistan Corporation Track intersection pin guide
NL9100847A (nl) 1991-05-16 1992-12-16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US5333715A (en) * 1991-12-16 1994-08-02 Fki Industries, Inc. Sorting conveyor system and divert switch and crossover switch for said system
JPH0632446A (ja) * 1992-07-13 1994-02-08 Ace Seisakusho:Kk 仕分けコンベヤ
NL1010036C2 (nl) * 1998-09-09 2000-03-10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JP4057363B2 (ja) 2002-06-12 2008-03-05 ホクショー株式会社 自動仕分装置における切替制御装置
JP4355513B2 (ja) * 2002-12-03 2009-11-04 三機工業株式会社 クロスソータを備えた仕分コンベヤ
JP4311121B2 (ja) * 2003-08-05 2009-08-12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58416B (zh) 2011-07-13
TWI366544B (en) 2012-06-21
PL1783071T3 (pl) 2011-03-31
DE602006016213D1 (de) 2010-09-30
EP1783071B1 (en) 2010-08-18
US7779986B2 (en) 2010-08-24
JP4501843B2 (ja) 2010-07-14
TW200732234A (en) 2007-09-01
US20070102261A1 (en) 2007-05-10
ES2350253T3 (es) 2011-01-20
JP2007126250A (ja) 2007-05-24
EP1783071A1 (en) 2007-05-09
KR101210336B1 (ko) 2012-12-10
CN1958416A (zh) 2007-05-09
ATE478023T1 (de)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336B1 (ko) 전환설비
KR100942256B1 (ko) 전환설비
JPH1171024A (ja) ビン及びそれに類する物品を搬送するベルト上の装置用分離壁
JP2002505243A (ja) Iビームガイドレールを有するモジュラーリンク式コンベヤ
EP0559302B1 (en) Conveyor
JP3791391B2 (ja) 転換設備
JP4935714B2 (ja) 転換設備
JP4784326B2 (ja) 転換設備
JP4096648B2 (ja) 転換設備
JP5018562B2 (ja) 搬送設備
JP4742896B2 (ja) 転換設備
JP3826759B2 (ja) 転換設備
JP2001301957A (ja) 転換装置
JP2007238253A (ja) 転換設備
JPH06329225A (ja) 転換装置
JPH03284529A (ja) 転換装置
JP4973468B2 (ja) 転換設備
JP4967404B2 (ja) 搬送設備
JPH0333689Y2 (ko)
JP3044973B2 (ja) 転換装置
JP2610536B2 (ja) 転換装置
JP2003128237A (ja) 転換設備
JPH06329244A (ja) 転換装置
JPH04140221A (ja) 転換装置
JP2002104652A (ja) 補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