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212A - 바인딩 기구 - Google Patents
바인딩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46212A KR20070046212A KR1020077008799A KR20077008799A KR20070046212A KR 20070046212 A KR20070046212 A KR 20070046212A KR 1020077008799 A KR1020077008799 A KR 1020077008799A KR 20077008799 A KR20077008799 A KR 20077008799A KR 20070046212 A KR20070046212 A KR 200700462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binding member
- substrate
- operation lever
- c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7/00—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 B42F17/02—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in which the cards are stored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of their containers
- B42F17/08—Construction of the containers, e.g. trays or drawers
- B42F17/16—Construction of the containers, e.g. trays or drawers with card-retain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3—Resiliently biased including means to open or close fastener
- Y10T24/204—Pivotally mounted on pint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5—One piece
- Y10T24/206—Mounted on support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서류 등의 피철물의 철해 넣는 위치에서 동작하는 바인딩 부재를 갖는 바인딩 기구에 있어서, 피철물이 빠지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바인딩 기구를 얻는다.
바인딩 기구(20)는, 베어링판(24)을 갖는 기판(22)을 포함한다. 베어링판(24)과 컷업부(38)에 통과된 축에, 스프링 부재(50) 및 조작 레버(60)를 부착한다. 기판(22)에 형성한 컷업부(30,34)의 관통구멍(32,36)에, 바인딩 부재(70)의 돌출편(72)을 삽입통과시킨다. 스프링 부재(50)의 일단측(50b)을 조작 레버(60)에 고정하고, 타단측(50c)을 바인딩 부재(70)의 선단의 절곡부(74)의 관통구멍(78)에 끼워 넣는다. 조작 레버(60)를 닫음으로써, 양단의 돌출편(72)을 연결하는 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바인딩 부재(70)가 회전이동하고, 기판(22) 상에 놓여진 서류를 누름부(76)가 누른다. 이 때, 스프링 부재(50)의 타단측(50c)이, 절곡부(74)를 누름으로써, 누름부(76)가 가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인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컨대, 서류 등의 피철물을 끼워 넣어 파일에 철하기 위한 바인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인딩 기구로서, 예컨대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바인딩 기구(1)는, 기판(2)을 포함하고, 기판(2)의 폭방향의 일단측에 베어링판(3)이 직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판(3)에는, 기판(2)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조작 레버(4)가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4)의 회전이동과 연동하여 기판(2)에 대해서 접근 이간하는 누름판(5)이 설치된다. 누름판(5)과 조작 레버(4) 사이에는, 조작 레버(4)를 조작했을 때에, 누름판(5)을 기판(2)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6)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크랭크(7)가 부착된다. 크랭크(7)는, 베어링판(3)과 누름판(5) 사이에 걸쳐지고, 누름판(5)이 기판(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자세로 기판(2)에 접근 이간하도록 하고 있다. 누름판(5)은, 역 U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갖고, 폭방향의 양측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을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인딩 기구(1)에서는, 조작 레버(4)를 조작함으로써, 누름판(5)이 베어링판(3)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판(2)방향으로 변위하고, 서류 등의 피철물을 끼워넣어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바인딩 기구(1)에서는, 누름판(5)이 베어링판(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서류 등의 피철물의 단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서류 등의 피철물의 철해 넣는 위치를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인딩 기구가 고려되었다. 이 바인딩 기구(8)에서는, 크랭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2개의 암부(9)에 연결된 회전축부(9a)에, 누름판(5)이 회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암부(9)의 단부는, 베어링판(3)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누름판(5)은, 베어링판(3)으로의 부착부와 회전축부(9a)의 2축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바인딩 기구(8)에서는, 조작 레버(4)를 조작함으로써, 누름판(5)과 베어링판(3)이 평행한 상태에서, 베어링판(3)과 암부(9)의 설치부 및 회전축부(9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하면서, 누름판(5)이 기판(2)측에 눌러진다. 따라서, 서류 등의 피철물의 철해 넣는 위치에 있어서 누름판(5)이 이동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철해 넣는 위치를 맞출 수 있다(특허문헌1 참조).
또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끼움판(10)을 기판(2)상의 축지지부(11)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축지지부(11)의 일방측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을 철해 넣도록 한 바인딩 기구(12)가 있다. 이 바인딩 기구(12)에서는, 끼움판(10)의 축지지부(11)의 타방측이, 스프링 부재(6)에 의해 가압되고, 끼움판(10)의 축지지부(11)의 일방측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이 끼워 넣어진다(특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7-246794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49-76714호 공보
그러나, 도 33이나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인딩 기구에서는, 단면 역 U자 형상의 누름판의 폭방향의 양측부분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을 누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에 의한 힘이 분산되어, 철해 넣은 서류 등의 피철물이 빠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인딩 기구에서는, 끼움판의 축지지부의 일방측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을 끼워 넣고, 축지지부의 타방측을 스프링 부재로 가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파일에 부착되는 바인딩 기구 전체의 크기를 생각하면, 축지지부로부터 바라봐서 스프링 부재측보다 철해 넣은 측쪽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끼움판의 철해 넣는 측에 있어서의 힘이, 스프링 부재에 의한 가압력보다 작아져, 철해 넣은 서류 등의 철물(綴物)이 빠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서류 등의 피철물의 철해 넣는 위치에서 동작하는 바인딩 부재를 갖는 바인딩 기구에 있어서, 피철물이 빠지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바인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형상의 기판과, 기판 상에 있어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레버와, 기판 상에 있어서 피철물을 눌러서 유지하는 누름부가 선단측에 형성된 1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인딩 부재와, 조작 레버에 연결됨과 아울러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에 연결되고,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바인딩 부재는,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누름부의 반대측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하는 바인딩 기구이다.
이와 같은 바인딩 기구에 있어서, 바인딩 부재는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누름부는 판재의 선단부에 의해 직선상 또는 직선상의 복수 개소에서 피철물을 누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는,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을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측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는,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을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측을 향해 굴곡시키고, 또한 기판측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은, 기판에 형성된 컷업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바인딩 부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와 바인딩 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해도 되고,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이동해도 된다.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에 누름부가 형성되고, 그 누름부의 반대측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바인딩 부재가 회전이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서류 등의 피철물의 철해 넣는 위치에 있어서 바인딩 부재의 누름부가 변위한다. 또한,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이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직접 가압되므로, 피철물에 스프링 부재에 의한 힘이 직접 가해져, 서류 등의 피철물이 바인딩 기구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바인딩 부재를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하고, 직선상 또는 직선상의 복수 개소에서 피철물을 누르는 누름부로 함으로써, 스프링 부재에 의한 가압력이 분산되지 않아, 피철물이 더욱 빠지기 어려워진다.
판형상의 바인딩 부재의 선단부를 회전중심측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철물이 바인딩 기구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졌을 때, 누름부가 피철물에 가해지는 빠짐 방향의 힘에 저항하여, 피철물이 바인딩 기구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기판의 컷업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바인딩 부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면, 회전축 등을 이용하여, 그 주위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바인딩 기구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와 바인딩 부재가 회전이동하는 방향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서류 등의 피철물의 철해 넣는 위치에서 동작하는 바인딩 부재를 갖는 바인딩 기구에 있어서, 피철물이 빠지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바인딩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누름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누름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누름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를 철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로 적은 서류를 철했을 때의 누름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로 많은 서류를 철했을 때의 누름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5는 다른 누름부를 갖는 바인딩 부재로 적은 서류를 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인딩 부재로 많은 서류를 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누름부를 갖는 바인딩 부재로 많은 서류를 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8은 다른 누름부를 갖는 바인딩 부재로 서류를 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9(A)(B)는, 바인딩 부재의 폭과 바인딩 부재가 열렸을 때의 어긋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이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바인딩 기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25는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도 26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바인딩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바인딩 부재 및 스프링 부재의 작 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9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바인딩 부재 및 스프링 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9(A)는 정단면 도해도이고, 도 29(B)는 일부분의 측면 도해도이다
도 30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로 적은 서류를 철했을 때의 누름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1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의 바인딩 부재 및 스프링 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1(A)는 정단면 도해도이고, (B)는 일부분의 측면 도해도이다
도 32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인딩 기구로 많은 서류를 철했을 때의 누름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3은 종래의 바인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바인딩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5는 종래의 바인딩 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20 : 바인딩 기구 22,222 : 기판
24,224 : 베어링판 26,226 : 관통구멍
28,228 : 고정용 볼록부 30,34,38,230,234,238 : 컷업부
32,36,40,232,236,240 : 관통구멍 42 : 볼록부
44 : 관통구멍 46,246 : 축
50,250 : 스프링 부재 50a,250a : 권선부
50b,250b : 일단측 50c,250c : 타단측
50d,250d : 세워올림부 50e,250e : 걸침부
50f,250f : 걸림부 60,260 : 조작 레버
62,262 : 관통구멍 64,264 : 절곡편
66,266 : 관통구멍 70,270 : 바인딩 부재
270a : 세워올림부 270b : 걸침부
270c : 굴곡부 72,272 : 돌출편
74,274 : 절곡부 76,276 : 누름부
78,278 : 관통구멍 80,280 : 리브
290 : 용전(用箋) 정렬부 100 : 피철물
도 1은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바인딩 기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고, 도 4는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바인딩 기구(20)는, 금속제 박판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22)을 포함한다. 기판(22)의 폭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직선상 길이 끝 가장자리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2)에 대하여 직립하는 베어링판(2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은, 기판(22)의 길이방향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 근방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의 길이방향의 일단측(후방측)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6)이 형성되고, 베어링판(24)의 길이방향의 타단측(바로앞측)에는, 후술의 조작 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록부(28)가 형성된다. 고정용 볼록부(28)는, 예컨대 베어링판(24)에 4각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의 상방부분을 기판(22)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 형성부의 후방측 근방에 있어서, 베어링판(24)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기판(22)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의 코너부가 잘려 올려져, 컷업부(30)가 형성된다. 컷업부(30)의 주면은, 베어링판(24)의 주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이 컷업부(30)에는, 원형의 관통구멍(3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용 볼록부(28)의 바로앞측 근방에 있어서, 컷업부(30)의 주면에 평행한 면을 갖는 별도의 컷업부(34)가 형성된다. 컷업부(34)는, 기판(22)에 U자 형상의 컷팅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컷업부(34)에는, 원형의 관통구멍(36)이 형성된다. 이들 컷업부(30)와 컷업부(34)는 대향하고, 그 관통구멍(32,36)을 연결하는 선은, 베어링판(24)의 기판(22)측의 주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들 컷업부(30,34)의 사이로서, 컷업부(30)의 관통구멍(32)과 컷업부(34)의 관통구멍(36)을 연결하는 선보다 베어링부(24)로부터 떨어지는 측에 있어서, 베어링판(24)의 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컷업부(38)가 형성된다. 이 컷업부(38)도, 기판(22)에 U자 형상의 컷팅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컷업부(38)에는, 원형의 관통구멍(40)이 형성되고,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과 컷업부(38)의 관통구멍(40)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컷업부(30)의 관 통구멍(32)과 컷업부(34)의 관통구멍(36)을 연결하는 선과,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과 컷업부(38)의 관통구멍(40)을 연결하는 선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판(22)의 폭방향의 타단측에는, 2개의 볼록부(42)가 형성된다. 이들 볼록부(42)는, 기판(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2)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바인딩 기구(20)를 파일 등에 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44)이 후방측과 바로앞측에 1쌍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과 컷업부(38)의 관통구멍(40)에는, 축(46)이 삽입통과되고, 축(4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50) 및 조작 레버(60)가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50)는, 권선부(50a)를 갖고, 권선부(50a)의 일단측(50b)이 베어링판(24)의 면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권선부(50a)의 타단측(50c)이 기판(22)의 폭방향이며 베어링판(2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조작 레버(60)는, 금속판 등에 의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횡단면 대략 L자 형상 또는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 레버(60)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수직측벽에는, 원형의 관통구멍(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축(46)이, 조작 레버(60)의 관통구멍(62)과 스프링 부재(50)의 권선부(50a)에 삽입통과하도록 하여, 베어링판(24) 및 컷업부(38)에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50)의 일단측(50b)은, 조작 레버(6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고, 조작 레버(60)의 수직측벽의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시킨 절곡편(6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60)의 수직측벽에는, 베어링판(24)의 고정용 볼록부(28)에 대 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관통구멍(66)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66)에 고정용 볼록부(28)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조작 레버(60)가 베어링판(24)에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60)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22) 상에는, 평면으로부터 바라봐서 대략 직사각형상의 바인딩 부재(70)가, 기판(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어링판(24)과 평행하게 부착된다. 바인딩 부재(70)는, 예컨대 1장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다. 바인딩 부재(70)는, 예컨대 컷업부(30,34)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고, 폭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볼록하도록 만곡하는 형상(단면 반원호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인딩 부재(70)의 폭방향의 베어링판(24)측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양측에 돌출하는 추축인 돌출편(72)이 형성된다. 이들 돌출편(72)이, 추축 받이인 컷업부(30)의 관통구멍(32) 및 컷업부(34)의 관통구멍(36)에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바인딩 부재(70)는, 2개의 돌출편(72)을 연결하는 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72)의 강도를 높이고, 관통구멍(32,36) 내에서 돌출편(72)이 회전하기 쉽도록, 돌출편(72)은 폭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인딩 부재(7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72)을 컷업부(30,34)의 관통구멍(32,36)에 끼워 넣음으로써, 별도의 부품인 회전축 등을 이용하여 바인딩 부재(70)를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인딩 부재(7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베어링판(24)의 반대측은, 상술 의 회전중심측(돌출편(72)측)을 향해 절곡되고, 절곡부(74)가 형성된다. 절곡부(74)는, 바인딩 부재(70)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74)의 선단측이 기판(22)측을 향해 절곡되고,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누르기 위한 누름부(76)가 형성된다. 누름부(76)는, 절곡부(74)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누름부(76)는, 바인딩 부재(70)가 기판(22)측으로 닫혀진 상태일 때에, 절곡부(74)로부터 기판(22)을 향함에 따라서, 바인딩 부재(70)의 회전중심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절곡부(74)와 누름부(7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이 누름부(76)에 의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1개의 직선상에 눌려진다. 여기서, 바인딩 부재(70)가 기판(22)측으로 닫혀진 상태일 때에, 절곡부(74)는 바인딩 부재(70)의 단부측으로부터 바인딩 부재(70)의 내측을 향해 상승한다.
스프링 부재(50)의 일단측(50b)은, 권선부(50a)의 베어링판(24)측에서 그 후방측의 상단보다 앞쪽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힘을 받지 않을 때는, 그 선단이 바로앞측으로 경사진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50c)은, 권선부(50a)의 컷업부(38)측에서 그 바로앞측의 하단으로부터 베어링판(24)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된 대략 L자 형상이며, 힘을 받지 않을 때는, 상방으로 연장된 세워올림부(50d)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걸침부(50e)가 연장되고, 걸침부(50e)의 자유단측에 수평방향으로 굴곡한 걸림부(50f)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74)에는, 직사각형의 관통구멍(78)이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50)의 타단측(50c)이 위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스프링 부재(50)의 타단측(50c)의 선단부가 절곡되어 관통구멍(78)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구멍(78)은, 바인딩 부재(70)의 전후단에 형성된 돌출편(72)의 사이에 있어서, 축(46)에 감겨진 권선부(50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76)에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눌렀을 때의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직선상의 리브(80)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0)의 선단부(걸림부(50f))는, 도 3 및 4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인딩 부재(70)가 닫힌 상태일 때와 열린 상태일 때 중 어느 때에나, 기판(2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바인딩 부재(70)가 철하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눌러서 조작 레버(60)를 고정용 볼록부(28)에 걸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50)의 타단측(50c)이 굴곡상태로부터 신장된 상태로 됨과 아울러 선단부(걸림부(50f))가 비틀어져 걸림부(50f)가 수평상태에서 하향으로 변형되지만, 이 스프링 부재(50)의 변형상태를 허용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78)이 절곡부(74)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76)에 의해 눌리는 부분은, 1개의 직선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76)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눌려도 된다. 이 경우, 누름부(76)의 선단에 있어서는,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76)의 길이방향의 복수 개소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직선상의 복수의 점에서 서류 등 피철 물(100)을 눌러도 된다. 또한, 직선상의 복수 개소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누를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이 아니라 선상으로 눌러도 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76)에서 누르는 부분은, 1개의 직선상이여도 되고, 직선상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점 또는 선상의 부분이어도 된다.
또한, 바인딩 부재(70)는, 만곡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바인딩 기구(20)는, 예컨대 기판(22)에 형성된 관통구멍(44)에 설치용 부재 등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파일 등에 부착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60)를 조작함으로써, 바인딩 부재(70)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0)를 올림으로써, 스프링 부재(50)의 타방측(50c)이 바인딩 기구(20)를 들어 올려, 기판(22)과 바인딩 부재(70)의 누름부(76)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 간극에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삽입되고, 조작 레버(60)를 내림으로써, 바인딩 부재(70)가 닫혀서, 누름부(76)에 의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기판(22)을 향해 눌려진다. 즉, 조작 레버(60)를 내림으로써, 스프링 부재(50)의 권선부(50a)가 체결되고, 스프링 부재(50)의 타단측(50c)에 의해, 누름부(76)가 기판(22)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류 등의 피철물(100)에 대하여, 누름부(76)가 경사지게 눌려진다. 그리고,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뽑아내는 힘이 가해졌을 때, 누름부(76)의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이 가해짐과 아울러, 절곡부(74) 및 누름부(76)의 굴곡부분을 더욱 굴곡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절곡부(74) 및 누름부(76)의 변형이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누름부(76)로부터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에 대해 저항력으로 되는 힘이 가해져,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바인딩 기구(2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누름부(76)가 절곡부(74)로부터 기판(22)측을 향함에 따라 바인딩 부재(70)의 회전중심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두껍게 되더라도,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얇을 때와 비교해서 약간 서려는 경향으로는 되지만, 누름부(76)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로는 되기 어려워,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76)의 형상으로서는, 바인딩 부재(70)의 단부를 절곡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되는 판형상의 바인딩 부재(70)의 선단부를 누름부(76)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바인딩 부재(70)의 단면형상을 반원형 등의 형상으로 해 두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두께에 관계 없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면에 대한 누름부(76)의 각도에 그다지 변화는 없다. 그 때문에, 바인딩 부재(70) 전체에서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항할 수 있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그것에 대하여,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인딩 부재(70)의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으로 절곡된 형상인 경우,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두꺼워지면, 누름부(76)가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 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서류 등의 피 철물(100)이 빠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바인딩 부재(70)의 선단부를 절곡하지 않고 누름부(74)로 하는 경우, 바인딩 부재(70)의 단면형상은, 반원형 등과 같은 만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딩 부재(70)를 절곡하여 누름부(76)로 하는 경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만 바인딩 부재(70)의 선단부를 회전중심측으로 절곡하여 누름부(76)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절곡부(74)는 형성되지 않지만,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빼내는 힘이 가해졌을 때에, 누름부(76)의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이 가해져, 누름부(76)가 일어서도록 변형된다. 그 때문에, 누름부(76)의 변형이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에 의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에 대해 저항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5, 도 17, 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누름부(76)를 갖는 바인딩 기구(20)에 있어서도,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76)로 누르는 부분은, 1개의 직선상이여도 되고, 직선상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점 또는 선상의 부분이여도 된다.
바인딩 부재(70)를 열었을 때, 도 19(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2)으로부터의 누름부(76)의 높이(H)가 동일하면, 바인딩 부재(70)의 폭이 큰 쪽이, 기판(22)의 면상에 있어서, 닫았을 때의 위치와의 어긋남(X)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철할 때에, 바인딩 부재(70)가 열렸을 때의 누름부(76)의 위치로부터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철하는 위치까지의 오차가 적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철해 넣기를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딩 부재(70)의 폭을 크게 하기 위해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조작 레버(60)의 수직측벽을 베어링판(24)의 외면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용 볼록부(28)를 베어링판(24)의 외면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조작 레버(60)를 베어링판(24)의 외측을 향해 변위시킴으로써, 바인딩 부재(70)를 열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레버(60)를 바인딩 부재(70)측을 향해 변위시킬 필요가 없고, 바인딩 부재(70)를 베어링판(24)측에 가깝게 할 수 있어, 바인딩 부재(70)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바인딩 부재(7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컷팅부(82)가 형성되고, 컷팅부(8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기판(22)에 관통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컷팅부(82)를 통해서, 관통구멍(44)에 설치용 부재 등을 삽입통과시켜 파일에 바인딩 기구(20)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인딩 부재(70)의 회전이동 방향과 조작 레버(60)의 회전이동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바인딩 기구(20)에서는, 기판(22)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베어링판(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2)의 길이방향을 향해서, 베어링판(24)에 형성된 관통구멍(26)에 축(46)이 삽입통과된다. 이 축(46)에, 스프링 부재(50)의 권선부(50a) 및 조작 레버(60)가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50)의 일단측(50b)은, 기판(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조작 레버(60)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 부재(50)의 타단측(50c)은, 기판(2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바인딩 부재(70)의 절곡부(74)에 형성된 관통구멍(78)에 끼워 넣어진다. 이와 같은 바인딩 부재(20)는, 예컨대,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을 철할 경우 등에 이용된다. 이 경우, 바인딩 기구(20)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폭방향의 일단측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60)가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이 바인딩 기구(20)는, 금속제 박판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22)을 포함한다. 기판(22)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직선상 좌단 가장자리에는, 기판(22)에 대하여 직립하는 베어링판(2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은, 기판(22)의 폭방향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 근방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의 폭방향의 일단측(후방측)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6)이 형성되고, 베어링판(24)의 길이방향의 타단측(바로앞측)에는, 조작 레버(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록부(28)가 형성된다. 고정용 볼록부(28)는, 예컨대 베어링판(24)에 4각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의 상방부분을 기판(22)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 형성부의 근방에 있어서, 베어링판(24)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기판(22)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이 잘려 올려져, 컷업부(34)가 형성된다. 컷업부(34)의 주면은, 베어링판(24)의 주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 컷업부(34)에는 원형의 관통구멍(36)이 형성된다. 또한, 기판(22)의 우단측 근방에 있어서, 컷업부(34)의 주면에 평행한 면을 갖는 별도의 컷업부(30)가 형성된다. 컷업부(30)는, 기판(22)의 단부를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컷업부(30)에는 원형의 관통구멍(32)이 형성된다. 이들 컷업부(30,34)의 관통구멍(32,36)을 연결하는 선은, 베어링판(24)의 기판(22)측의 주면에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들 컷업부(30,34)의 사이에 있어서, 베어링판(24)의 면과 평행한 면 을 갖는 컷업부(38)가 형성된다. 이 컷업부(38)도, 기판(22)에 U자 형상의 컷팅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컷업부(38)에는, 원형의 관통구멍(40)이 형성되고,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과 컷업부(38)의 관통구멍(40)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컷업부(30)의 관통구멍(32)과 컷업부(34)의 관통구멍(36)을 연결하는 선과,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과 컷업부(38)의 관통구멍(40)을 연결하는 선이,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2)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바인딩 기구(20)를 파일 등에 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44)이 형성된다.
베어링판(24)의 관통구멍(26)과 컷업부(38)의 관통구멍(40)에는, 축(46)이 삽입통과되고, 축(4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50) 및 조작 레버(60)가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50)는 권선부(50a)를 갖고, 권선부(50a)의 일단측(50b)이 베어링판(24)의 면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권선부(50a)의 타단측(50c)이 기판(22)의 폭방향이며 베어링판(2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조작 레버(60)는, 금속판 등에 의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단면 대략 L자 형상 또는 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 레버(60)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수직측벽에는, 원형의 관통구멍(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60)의 관통구멍(62)과 스프링 부재(50)의 권선부(50a)에 삽입통과하게 해서, 베어링판(24) 및 컷업부(38)에 축(46)이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50)의 일단측(50b)은, 조작 레버(6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고, 조작 레버(60)의 수직측벽의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편(6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60)의 측벽에는, 베어링판(24)의 고정용 볼록부(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관통구멍(66)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66)에 고정용 볼록부(28)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조작 레버(60)가 베어링판(24)에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60)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22) 상에는, 평면으로부터 바라봐서 대략 직사각형상의 바인딩 부재(70)가, 기판(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바인딩 부재(70)의 길이방향이 베어링판(2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부착된다. 바인딩 부재(70)는 예컨대 1장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다. 바인딩 부재(70)는, 예컨대 컷업부(30,34)의 거리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폭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볼록하도록 만곡되는 형상(단면 반원호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인딩 부재(70)의 폭방향의 축(46)측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72)이 형성된다. 이들 돌출편(72)이, 컷업부(30)의 관통구멍(32) 및 컷업부(34)의 관통구멍(36)에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바인딩 부재(70)는, 2개의 돌출편(72)을 연결하는 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72)의 강도를 높이고, 관통구멍(32,36) 내에서 돌출편(72)이 회전하기 쉽도록, 돌출편(72)은 폭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인딩 부재(7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72)을 컷업부(30,34)의 관통구멍(32,36)에 끼워 넣음으로써, 회전축 등을 이용하여 바인딩 부재(70)를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인딩 부재(7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축(46)의 반대측은, 상술의 회전중심측을 향해 절곡되어, 절곡부(74)가 형성된다. 절곡부(74)는, 바인딩 부재(70)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74)의 선단측이 기판(22)측을 향해 절곡되고,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누르기 위한 누름부(76)가 형성된다. 누름부(76)는, 절곡부(74)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누름부(76)는, 바인딩 부재(70)가 기판(22)측으로 닫혀진 상태일 때에, 절곡부(74)로부터 기판(22)을 향함에 따라서, 바인딩 부재(70)의 회전중심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절곡부(74)와 누름부(7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이 누름부(76)에 의해서,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1개의 직선상에 눌려진다. 여기서, 바인딩 부재(70)가 기판(22)측으로 닫혀진 상태일 때에, 절곡부(74)는 바인딩 부재(70)의 단부측으로부터 바인딩 부재(70)의 내측을 향해 상승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부재(50)의 바인딩 부재(70)로의 고정측의 단부(50c)가, 베어링판(24)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었지만, 누름부(76)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절곡부(7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50)의 바인딩 부재(70)로의 고정측의 단부(50c)가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바인딩 기구(20)에서는, 바인딩 부재(70)가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철되는 위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서류의 소정의 위치에서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 부재에 의해, 바인딩 부재(70)의 선단측의 누름부(76) 근방이 가압되기 때문에, 조작 레버(60)를 조작함으로써 힘이 효율적으로 누름부(76)에 가해져,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여러가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도 9~도 1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인딩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이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4는 바인딩 기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고, 도 25는 바인딩 기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도해도이다.
바인딩 기구(220)는, 금속제 박판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222)을 포함한다. 기판(222)의 폭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직선상 길이방향 끝 가장자리에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22)에 대하여 직립하는 베어링판(22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베어링판(224)은, 기판(222)의 길이방향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 근방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베어링판(224)의 길이방향의 일단측(후방측)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26)이 형성되고, 베어링판(224)의 길이방향의 타단측(바로앞측)에는, 후술의 조작 레버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록부(228)가 형성된다. 고정용 볼록부(228)는, 예컨대 베어링판(224)에 4각형의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의 상방부분을 기판(222)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형성된다.
베어링판(224)의 관통구멍(226) 형성부의 후방측 근방에 있어서, 베어링 판(224)과 적절한 간격을 두고 기판(222)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의 코너부가 잘려 올려져, 컷업부(230)가 형성된다. 컷업부(230)의 주면은, 베어링판(224)의 주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이 컷업부(230)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32)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용 볼록부(228)의 바로앞측 근방에 있어서, 컷업부(230)의 주면에 평행한 면을 갖는 별도의 컷업부(234)가 형성된다. 컷업부(234)는, 기판(222)에 U자 형상의 컷팅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컷업부(234)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36)이 형성된다. 이들 컷업부(230)와 컷업부(234)는 대향하고, 그 관통구멍(232,236)을 연결하는 선은, 베어링판(224)의 기판(222)측의 주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들 컷업부(230,234)의 사이로서, 컷업부(230)의 관통구멍(232)과 컷업부(234)의 관통구멍(236)을 연결하는 선보다 베어링부(224)로부터 떨어지는 측에 있어서, 베어링판(224)의 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컷업부(238)가 형성된다. 이 컷업부(238)도, 기판(222)에 U자 형상의 컷팅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이 컷업부(238)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40)이 형성되고, 베어링판(224)의 관통구멍(226)과 컷업부(238)의 관통구멍(240)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컷업부(230)의 관통구멍(232)과 컷업부(234)의 관통구멍(236)을 연결하는 선과, 베어링판(224)의 관통구멍(226)과 컷업부(238)의 관통구멍(240)을 연결하는 선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판(222)의 폭방향의 타단측에는, 2개의 볼록부(242)가 형성된다. 이들 볼록부(242)는, 기판(22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기판(222)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바인딩 기구(220)를 파일 등에 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244)이 후방측과 바로앞측에 1쌍 형성된다.
베어링판(224)의 관통구멍(226)과 컷업부(238)의 관통구멍(240)에는, 축(246)이 삽입통과되고, 축(24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250) 및 조작 레버(260)가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250)는, 권선부(250a)를 갖고, 권선부(250a)의 일단측(250b)이 베어링판(224)의 면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권선부(250a)의 타단측(250c)이 기판(222)의 폭방향이며 베어링판(22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 부재(250)의 일단측(250b)은, 권선부(250a)의 베어링판(224)측에서 그 후방측의 상단으로부터 바로앞측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힘을 받지 않을 때는, 그 선단이 바로앞측으로 경사진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250c)은, 권선부(250a)의 컷업부(238)측에서 그 바로앞측의 하단으로부터 베어링판(224)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된 대략 L자 형상이며, 힘을 받지 않을 때는, 상방으로 연장된 세워올림부(250d)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걸침부(250e)가 연장되고, 걸침부(250e)의 자유단측에 수평방향으로 굴곡한 걸림부(250f)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260)는, 금속판 등에 의해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횡단면 대략 L자 형상 또는 횡단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 레버(260)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수직측벽에는, 원형의 관통구 멍(2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축(246)이, 조작 레버(260)의 관통구멍(262)과 스프링 부재(250)의 권선부(250a)에 삽입통과되도록 하여, 베어링판(224) 및 컷업부(238)에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250)의 일단측(250b)은, 조작 레버(26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고, 조작 레버(260)의 수직측벽의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편(264)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260)의 수직측벽에는, 베어링판(224)의 고정용 볼록부(2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관통구멍(266)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266)에 고정용 볼록부(228)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조작 레버(260)가 베어링판(224)에 고정된다. 또한, 조작 레버(260)의 길이방향의 타단측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222) 상에는, 평면으로부터 바라봐서 대략 직사각형상의 바인딩 부재(270)가, 기판(2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어링판(224)과 평행하게 부착된다. 바인딩 부재(270)는 예컨대 1장의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다. 바인딩 부재(270)는, 예컨대 컷업부(230,234)의 거리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폭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볼록하도록 굴곡되는 형상(단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인딩 부재(270)의 폭방향의 베어링판(224)측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추축인 돌출편(272)이 형성된다. 이들 돌출편(272)이, 추축 받이인 컷업부(230)의 관통구멍(232) 및 추축 받이인 컷업부(234)의 관통구멍(236)에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바인딩 부재(270)는, 2개의 돌출편(272)을 연결하는 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272)의 강도를 높이고, 관통구멍(232,236) 내에서 돌출편(272)이 회전하기 쉽도록, 돌출 편(272)은 폭방향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인딩 부재(27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272)을 컷업부(230,234)의 관통구멍(232,236)에 끼워 넣음으로써, 별도의 부품인 회전축 등을 이용하여 바인딩 부재(270)를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바인딩 부재(27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베어링판(224)의 반대측은, 상술의 회전중심측(돌출편(272)측)을 향해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20° 절곡되어, 절곡부(274)가 형성된다. 절곡부(274)는, 바인딩 부재(270)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274)의 선단측이 기판(222)측을 향해 절곡되고,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누르기 위한 누름부(276)가 형성된다. 누름부(276)는, 절곡부(274)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형성된다. 누름부(276)는, 바인딩 부재(270)가 기판(222)측으로 닫혀진 상태일 때에, 절곡부(274)로부터 기판(222)을 향함에 따라서, 바인딩 부재(270)의 회전중심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절곡부(274)와 누름부(276)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이 누름부(276)에 의해서,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1개의 직선상에 눌려진다. 여기서, 바인딩 부재(270)가 기판(222)측으로 닫혀진 상태일 때에, 절곡부(274)는 바인딩 부재(270)의 단부측으로부터 바인딩 부재(270)의 내측을 향해 상승한다.
바인딩 부재(270)는, 도 27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편(272)측으로부터 베어링판(224)과는 반대측의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된 세워올림부(270a)와, 세워올림부(270a)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진 하방(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22°)을 향해 연장된 걸침부(270b)와, 걸침부(270b)의 자유단에 형성된 절곡부(274) 및 누름부(276)를 구비하고, 상기 세워올림부(270a)와 걸침부(270b)와 절곡부(274) 및 누름부(276)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침부(270b)의 자유단에는, 바인딩 부재(270)의 바로앞측 끝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측 끝 가장자리에 걸쳐 경사진 하방(수직면에 대하여 대략 15°)을 향해 절곡되어, 굴곡부(270c)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270c)의 자유단에는, 절곡부(274)가 연이어 형성되고, 절곡부(274)는, 걸침부(270b)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고,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누를 때에 걸침부(270b)측으로 약간 휘면서 누름부(276)가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인딩 부재(270)의 세워올림부(270a)는, 조작 레버(260)를 고정용 볼록부(228)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베어링판(224)과의 사이가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사면(수직면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진 면)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50)는, 타단측(250c)이 바인딩 부재(270)의 내면에 근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250)의 세워올림부(250d)가 바인딩 부재(270)의 세워올림부(270a)의 내면 근방에 그리고 스프링 부재(250)의 걸침부(250e)가 바인딩 부재(270)의 걸침부(270b)의 내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바인딩 부재(270)의 내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절곡부(274)에는, 직사각형의 관통구멍(278)이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250)의 타단측(250c)이 걸침부(270b)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스프링 부재(250)의 타 단측(250c)의 선단부(걸림부(250f))가 절곡되어 관통구멍(278)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구멍(278)은, 바인딩 부재(270)의 전후단에 형성된 돌출편(272)의 사이에 있어서, 축(246)에 감겨진 권선부(250a)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276)에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눌렀을 때의 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선상의 리브(280)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50)의 선단부(걸림부(250f))는, 도 28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인딩 부재(270)가 닫힌 상태일 때와 열린 상태일 때 중 어느 때에나, 기판(22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그리고, 바인딩 부재(270)가 철하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눌러서 조작 레버(260)를 고정용 볼록부(228)에 걸었을 때에는, 스프링 부재(250)의 타단측(250c)이 굴곡상태로부터 신장된 상태로 됨과 아울러 선단부(걸림부(250f))가 비틀어져 걸림부(250f)가 수평상태에서 하향으로 변형되지만, 이 스프링 부재(250)의 변형 상태를 허용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278)이 절곡부(274)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판(222)은, 컷업부(234)의 돌출편(272)보다 외측에 있어서, 철하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끝 가장자리를 정렬하기 위한 베어링판(224)의 면과 평행한 면을 갖는 용전 정렬부(290)가 형성되어 있다.
용전 정렬부(290)도, 기판(222)에 U자 형상의 컷팅부를 형성하고, 이 부분을 잘라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컷업부(234)는, 베어링판(224)과는 반대측의 끝 가장자리가, 용전 정 렬부(290)의 베어링판(224)과는 반대측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상(想像) 상) 상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컷업부(234)의 끝 가장자리가 가이드로 되어, 용전 정렬부(290)에 철하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끝 가장자리를 접촉시켜 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인딩 기구(220)는, 예컨대 기판(222)에 형성된 관통구멍(244)에 설치용 부재 등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파일 등에 부착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260)를 조작함으로써, 바인딩 부재(270)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60)를 올림으로써, 스프링 부재(250)의 타방측(250c)이 바인딩 기구(220)를 들어 올려, 기판(222)과 바인딩 부재(270)의 누름부(276)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이 간극에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삽입되고, 조작 레버(260)를 내림으로써, 바인딩 부재(270)가 닫혀서, 누름부(276)에 의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기판(222)을 향해 눌려진다. 즉, 조작 레버(260)를 내림으로써, 스프링 부재(250)의 권선부(250a)가 체결되고, 스프링 부재(250)의 타단측(250c)에 의해, 누름부(276)가 기판(222)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때, 도 29 및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류 등의 피철물(100)에 대하여, 누름부(276)가 경사지게 눌려진다. 그리고, 서류 등의 피철물(100)을 빼내는 힘이 가해졌을 때, 누름부(276)의 경사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이 가해짐과 아울러, 절곡부(274) 및 누름부(276)의 굴곡부분을 더욱 굴곡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은 절곡부(274) 및 누름부(276)의 변형이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누름부(276)로부터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에 대해 저항력으로 되는 힘 이 가해져,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바인딩 기구(22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누름부(276)가 절곡부(274)로부터 기판(222)측을 향함에 따라 바인딩 부재(270)의 회전중심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 31 및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두껍게 되더라도, 서류 등의 피철물(100)이 얇을 때와 비교해서 약간 서려는 경향으로는 되지만, 누름부(276)는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로는 되기 어려워, 서류 등의 피철물(100)의 빠짐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 판형상의 기판;상기 기판 상에 있어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 레버;상기 기판 상에 있어서 피철물을 눌러서 유지하는 누름부가 선단측에 형성된 1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바인딩 부재; 및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을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바인딩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누름부의 반대측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부재는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판재의 선단부에 의해 직선상 또는 직선상의 복수 개소에서 상기 피철물을 누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을 상기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측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바인딩 부재의 선단측을 상기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측을 향해 굴곡시키고, 또한 상기 기판측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부재의 회전중심은, 상기 기판에 형성된 컷업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상기 바인딩 부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바인딩 부재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바인딩 기구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308488 | 2004-10-22 | ||
JPJP-P-2004-00308488 | 2004-10-22 | ||
PCT/JP2005/000197 WO2006043341A1 (ja) | 2004-10-22 | 2005-01-11 | 綴じ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6212A true KR20070046212A (ko) | 2007-05-02 |
KR100890576B1 KR100890576B1 (ko) | 2009-03-25 |
Family
ID=3620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8799A KR100890576B1 (ko) | 2004-10-22 | 2005-01-11 | 바인딩 기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874758B2 (ko) |
JP (1) | JP4580393B2 (ko) |
KR (1) | KR100890576B1 (ko) |
CN (1) | CN100542829C (ko) |
WO (1) | WO20060433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45795B2 (ja) * | 2006-07-24 | 2013-02-20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耐摩耗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パーライト系レールの製造方法 |
US8425139B2 (en) * | 2009-11-02 | 2013-04-23 | Stephen Kwok Ki Chan | Sheet holder and edge pattern mak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
CN202213343U (zh) * | 2011-07-27 | 2012-05-09 | 吴荣耀 | 文件夹持器 |
CN102602193B (zh) * | 2012-01-20 | 2014-07-23 | 钱丰武 | 一种夹具 |
JP5551199B2 (ja) * | 2012-03-22 | 2014-07-16 | 株式会社Giテクノス | ペーパーホルダー |
WO2015041089A1 (ja) * | 2013-09-19 | 2015-03-26 | 株式会社リヒトラブ | 綴じ具 |
GB2515404B8 (en) * | 2014-06-24 | 2015-08-05 | Vip Weatherwriter Ltd | Clipboard |
CN110181968B (zh) * | 2019-05-28 | 2024-04-23 | 得力集团有限公司 | 夹具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2569A (en) * | 1903-05-21 | 1905-10-24 | Louis St J Johnson | Telephone-directory holder. |
JPS511856Y1 (ko) * | 1970-09-24 | 1976-01-20 | ||
JPS4888119U (ko) * | 1972-01-25 | 1973-10-24 | ||
JPS5114244Y2 (ko) * | 1972-06-03 | 1976-04-15 | ||
JPS4932712U (ko) * | 1972-06-21 | 1974-03-22 | ||
JPS5219626Y2 (ko) * | 1972-10-18 | 1977-05-06 | ||
JPS511856U (ko) | 1974-06-19 | 1976-01-08 | ||
JPS5238258Y2 (ko) | 1975-02-20 | 1977-08-31 | ||
JPS60132369U (ja) * | 1984-02-14 | 1985-09-04 | リヒト産業株式会社 | 綴り具 |
JPH0232458Y2 (ko) * | 1985-04-26 | 1990-09-03 | ||
JPH0140709Y2 (ko) * | 1985-04-26 | 1989-12-05 | ||
US4989298A (en) * | 1990-06-05 | 1991-02-05 | Wang Bor Jou | Structure of file clip |
JP2516918Y2 (ja) | 1993-04-02 | 1996-11-13 | 株式会社ライオン事務器 | スライドファイル |
JPH07246794A (ja) | 1994-03-09 | 1995-09-26 | Sekisei Kk | 綴じ具 |
US5472238A (en) * | 1995-02-28 | 1995-12-05 | Sato; Hisao | Paper binder |
-
2005
- 2005-01-11 WO PCT/JP2005/000197 patent/WO20060433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1-11 CN CNB2005800260968A patent/CN100542829C/zh active Active
- 2005-01-11 JP JP2006542231A patent/JP4580393B2/ja active Active
- 2005-01-11 KR KR1020077008799A patent/KR10089057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01-11 US US11/577,692 patent/US78747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124097A (zh) | 2008-02-13 |
CN100542829C (zh) | 2009-09-23 |
US20090067914A1 (en) | 2009-03-12 |
US7874758B2 (en) | 2011-01-25 |
KR100890576B1 (ko) | 2009-03-25 |
JPWO2006043341A1 (ja) | 2008-08-07 |
WO2006043341A1 (ja) | 2006-04-27 |
JP4580393B2 (ja) | 2010-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0576B1 (ko) | 바인딩 기구 | |
CN2909348Y (zh) | 卡扣装置 | |
JP6327847B2 (ja) | 布ガイド付き押え装置 | |
US20050235797A1 (en) | Decorative hole punch | |
JP4436277B2 (ja) | 綴じ具 | |
JP4436279B2 (ja) | 綴じ具 | |
JP4364163B2 (ja) | 綴じ具 | |
JP4755115B2 (ja) | 綴じ具 | |
JP4378469B2 (ja) | 綴じ部材 | |
JP4578347B2 (ja) | 固定機構 | |
JP3174149U (ja) | 綴じ金具 | |
US20110048208A1 (en) | Drive mechanism | |
CN217256185U (zh) | 一种高稳定性锁止永机弹片、具有该弹片的抽屉和工具箱 | |
CN217459840U (zh) | 缝纫机 | |
JP3610856B2 (ja) | 綴じ具 | |
JP6716840B2 (ja) | ハンガー | |
KR200463195Y1 (ko) | 스케치북 걸이용 게시판 | |
JP2003246177A (ja) | 綴じ具 | |
JP4196920B2 (ja) | 綴じ具 | |
JP3506141B2 (ja) | 綴じ具 | |
JP2007090819A (ja) |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ボード | |
JP4196921B2 (ja) | 綴じ具 | |
JP3561509B2 (ja) | 綴じ具 | |
JP3104014B2 (ja) | クリップボード用挟持具及びクリップボード | |
JP6075141B2 (ja) | 綴じ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