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144A -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그것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 - Google Patents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그것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144A
KR20070046144A KR1020077004434A KR20077004434A KR20070046144A KR 20070046144 A KR20070046144 A KR 20070046144A KR 1020077004434 A KR1020077004434 A KR 1020077004434A KR 20077004434 A KR20077004434 A KR 20077004434A KR 20070046144 A KR20070046144 A KR 2007004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hair
graft
graft co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833B1 (ko
Inventor
유언 건
리오 쟈오칭 류
크리스띠앙 프리오
알비노 가비아넬리
스튜어트 앨리그잰더 워버턴
Original Assignee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8398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461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3/00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8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8F25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on to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 C08F291/1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on to irradiated or oxidised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HDERIVATIVE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H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flours, ker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와 그래프트 공중합된 다당류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다당류, 그래프트 공중합, 방사선, 모발, 계면활성제, 퍼스널 케어

Description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그것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 {POLYSACCHARIDE GRAFT COPOLYMERS AND THEIR USE IN PERSONAL CARE APPLICATIONS}
본 발명은 그래프트 코폴리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상기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많은 모발 관리용 제품들은 컨디셔닝제(conditioning agent), 볼륨감 형성제(volumizing agent), 및 스타일링제(styling agent)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제들은 일반적으로 모발 표면에 대해 고유한 인력을 가지는 고분자량 폴리머이다. 이들 폴리머는 합성 소스 또는 천연 소스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폴리머는 실리콘(silicone)과 같은 부가 활성제의 전달에서 보조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발 관리 효과를 제공하는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컨디셔닝 효과 및/또는 양호한 모발감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우수한 컨디셔닝 성능, 볼륨감 형성 성능, 또는 스타일링 성능을 제공하는 모발 컨디셔닝제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와 그래프트 공중합된 다당류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당류 폴리머와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를 혼합하는 단계; 및 얻어진 폴리머 혼합물에 전자 빔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그래프트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주쇄"란, 상기 그래프트 코폴리머 한 분자의 폴리머 주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그래프트 코폴리머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블록"이란, 상기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주쇄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구조적 또는 배치적 특징을 가지는, 상기 그래프트 코폴리머 분자의 일부를 의미한다.
아울러, "그래프트 코폴리머"란, 폴리머 주쇄에 측쇄로서 연결된 2개 이상의 폴리머 블록을 가지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그리고, 분자, 또는 분자의 일부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폴리머"란, 2개 이상의 구조적 반복 유닛("모노머 유닛")으로 이루어진 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는 다당류 폴리머 주쇄에 그래프트 공중합된,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 블록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다당류 폴리머는 다당류 반복 유닛을 포함하며, 이러한 다당류 폴리머를 예시하면, 폴리갈락토만난(polygalactomannan), 예컨대, 구아(guar), 잔탄(xanthan), 폴리프럭토스(polyfructose), 예컨대, 레반(levan), 전분, 전분 유도체, 예컨대, 아밀로펙틴, 셀룰로스,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갈락토만난은 단당류인 만노스와 갈락토스를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다당류이다. 상기 만노스 성분은 수 백 개의 (1,4)-β-D-만노피라노실 잔기로 이루어진 사슬을 형성하며, 상기 성분의 유래가 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1,6 결합된 D-갈락토피라노실 잔기를 가진다. 천연에 존재하는 갈락토만난은 구아 검(guar gum), 구아 스플리트(guar split), 로커스트 빈 검(locust bean gum), 및 타라 검(tara gum)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또한, 갈락토만난은 통상적인 합성 경로를 통해 얻을 수도 있고, 천연에 존재하는 갈락토만난을 화학적으로 개질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구아 검은 콩과의 식물인 사이아몹시스 테트라고놀로버스(Cyamopsis tetragonolobus)의 종자에 존재하는 점액으로 알려져 있으며, 분쇄된 구아 검을 "구아 곡분(guar flour)"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구아 검의 수용성 분획(85%)은 "구아란(guaran)"이라고 칭하며, 상기 구아란은 α-D-갈락토피라노실 유닛이 (1,6) 결합에 의해 결합된 (1,4)-β-D-만노피라노실 유닛의 선형 사슬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아란 중의 상기 D-갈락토스와 상기 D-만노스의 비율은 약 1:2이다. 상기 구아 검은 온수 또는 냉수에 분산될 수 있는 백색 계열의 분말(whitish powder) 형태일 수 있다. 천연에 존재하는 구아 검은 통상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0 돌턴(Dalton)과 5,000,000 돌턴 사이이다 (여기서, 1 돌턴= 1 g/몰임). 구아 검의 입수처를 예시하면, Rhodia, Inc.(미국 뉴저지 크랜베리에 소재), Hercules, Inc.(미국 델러웨어 웰밍턴에 소재), 및 TIC Gum, Inc.(미국 메릴랜드 벨캠프에 소재)를 들 수 있다.
구아 종자는 한 쌍의 단단한 배유(endosperm) 부분(이하, "구아 스플리트"라고 칭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구아 스플리트 사이에는 배아가 존재한다. 상기 구아 종자의 외피를 제거한 다음, 상기 종자를 쪼갠 후, 상기 배아(상기 종자의 43∼47%)를 선별하여 제거한 다음, 얻어진 구아 스플리트를 그라인딩한다. 그라인딩된 스플리트는 약간의 종자 외피 및 배아 잔류물을 비롯하여, 약 78∼82%의 갈락토만난 다당류, 및 미량 성분으로서, 단백질성 물질, 무기 염, 불수용성 검, 및 세포막을 포함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로커스트 빈 검, 또는 캐롭 빈 검(carob bean gum)은 구주 콩나무(Ceratonia siliqua) 종자의 배유를 정제하여 얻어진 것이다. 상기 로커스트 빈 검에서의 갈락토스와 만노스의 비율은 약 1:4이다. 이러한 로커스트 빈 검의 입수처를 예시하면, TIC Gum, Inc.(미국 메릴랜드 벨캠프에 소재), 및 Rhodia, Inc.(미국 뉴저지 크랜베리에 소재)를 들 수 있다.
상기 타라 검은 타라 나무(tara tree)의 정제된 종자 검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다. 타라 검에서 갈락토스와 만노스의 비율은 약 1:3이다. 타라 검은 미국에서는 상업적으로 제조되지 않지만, 미국 외의 다양한 공급처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 밖에 주목할 만한 갈락토만난을 예시하면, 카르복시메틸 구아, 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양이온성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알킬 구아(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부틸 구아, 및 고급 하이드록시알킬 구아), 카르복시알킬 구아(예컨대, 카르복시메틸 구아, 카르복시프로필 구아, 카르복시부틸 구아, 및 고급 알킬 카르복시 구아), 구아란의 하이드록시에틸화, 하이드록시프로필화 및 카르복시메틸화된 유도체, 카루빈(carubin)의 하이드록시에틸화 및 카르복시메틸화된 유도체, 및 계피-검(cassia-gum)의 하이드록시프로필화 및 카르복시메틸화된 유도체를 포함하는 개질된 갈락토만난을 들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잔탄으로서는 잔탄 검 및 탄잔 젤(xanthan gel)이 있다. 상기 잔탄 검은 자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thomonas campestris)에 의해 생성되는 다당류 검이며, 주요 헥소스 유닛으로서, D-글루코스, D-만노스, 및 D-글루쿠론산을 포함하고, 피루베이트산을 더 포함하며, 부분적으로 아세틸화된다.
상기 레반은, β-2,1 결합에 의해 분지화되고 β-2,6 결합에 의해 결합된 복수의 5원환(5-membered ring)을 포함하는 폴리프럭토스이다. 레반은 유리 전이 온도가 138℃이며, 입자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상기 레반의 분자량이 백만 내지 2백만인 경우, 조밀하게 충전된 구형 입자의 직경은 약 85 ㎚이다.
상기 개질된 셀룰로스는 하이드록시기, 하이드록시카르복시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예컨대, 하이드록시메틸기, 하이드록시에틸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또는 하이드록시부틸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셀룰로스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그래프트 공중합된 블록은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즉, 인간의 모발에 대해서 극성 인력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모발과 이러한 결합이 가능한 폴리머로서는 모발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중성인 폴리머를 비롯하여, 양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되며,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경우에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의 양이온성 영역이 모발의 음전기성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중성인 폴리머는 음전기성 영역, 및/또는 모발의 음전기성 영역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수소 원자가 공유 결합된 반복 유닛, 예컨대, 유레이도기(ureido group)를 포함하며, 상기 유레이도기는 모발의 수소 원자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프트될 폴리머는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폴리머로부터 유래된 폴리머 블록을 포함하고, 인간의 모발에 반드시 결합 가능하지는 않아도 되는, 그 밖의 하나 이상의 폴리머로부터 유래된 폴리머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2종류의 상대적인 양을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모발에 대한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친화성을 조정할 수 있는 잠재성, 및 상기 그래프트 코폴리머에 그 밖의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잠재성이 제공된다.
상기 인간의 모발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중성인 폴리머를 예시하면, 폴리아미드 폴리머, 폴리우레탄 폴리머, 및 폴리유레이도 폴리머(polyureido polymer)를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로서는 질소 함유 천연 또는 합성 폴리머의 양이온성 유도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질소 함유 폴리머"란, 상기 폴리머 주쇄 중에, 또는 펜던트 치환기(pendant substituent group)에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를 예시하면, 질소 함유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예컨대, 폴리알킬렌아민, 폴리알킬렌이민, 폴리(비닐 피리딘); 또는 이러한 질소 함유 모노머와 그 밖의 공중합성 코모노머의 코폴리머, 예컨대, 폴리(비닐 피리딘-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 피리딘-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의 양이온성 유도체는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의 모든 또는 일부의 질소 원자의 아민염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의 모든 또는 일부의 질소 원자를 4급화(quaternization)하여, 4급 암모늄염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의 모든 또는 일부의 질소 원자를 산화하여, N-옥사이드기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질소 함유 폴리머의 질소 원자와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아민염"이란, 공유 결합되어, 1개 내지 3개의 유기 기를 형성하며, 음이온과 결합하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질소 함유 폴리머의 질소 원자와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4급 암모늄염"이란, 질소 원자에 4개의 유기 기가 공유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질소 원자가 음이온과 결합하는 폴리머의 모노머 유닛을 의미한다.
상기 양이온성 천연 폴리머를 예시하면, 4급화된 구아 검, 4급화된 로커스트 빈 검, 4급화된 잔탄 검, 4급화된 덱스트린, 및 4급화된 전분과 같은 4급화된 다당류 검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합물과 관련하여 사용된 "4급화"는 적어도 분자 당 4급화된 암모늄염을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합성 폴리머는 질소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에서 유래된 유닛을 포함하는 부가중합 폴리머로서, 질소를 함유하지 않는 에틸렌성 불포화 코모노머와 선택적으로 병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의 질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를 유기 기, 예컨대, 알킬기, 디알킬 설페이트기, 폴리(알켄옥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로 치환하여, 상기 질소 함유 폴리머를 개질함으로써, 상기 폴리머를 4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합성 폴리머는 3차 또는 2차 하이드록시알킬아민(예컨대, 트리(하이드록시에틸)아민, 또는 메틸-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 또는 디(하이드록시알킬) 작용기를 가지는 4급 암모늄 화합물(예컨대, 디메틸-디(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디알킬렌트리아민(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과, 디카르복시산, 예컨대, 숙신산, 말레산, 또는 프탈산, 또는 해당 산의 할라이드 또는 무수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축합 폴리머이며, 상기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는 상기 폴리머 주쇄의 모든 또는 일부의 질소 원자와 알킬 할라이드 또는 디알킬 설페이트의 반응에 의해 양이온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합성 폴리머는 주쇄의 질소 원자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4급화된 폴리아민, 또는 N-옥사이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산화된 폴리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합성 폴리머는 트리올 또는 고급의 다가 알코올과 디카르복시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된 양이온성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포함하며, 이러한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의 잔류 하이드록시기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양이온성 기,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4급화된 질소 함유 기,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N-옥사이드로 산화된 질소 함유 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반응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이다. 상기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의 예로서는, "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Fourth Edition, J. M. Nikitakis 등, Editors,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가 공개함, 1991에 기재된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폴리쿼터늄-1 (CAS 넘버: 68518-54-7), 폴리쿼터늄-2 (CAS 넘버: 63451-274), 폴리쿼터늄-4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와 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코폴리머), 폴리쿼터늄-5 (CAS 넘버: 26006-224), 폴리쿼터늄-6 (CAS 넘버: 26062-79-3), 폴리쿼터늄-7 (CAS 넘버: 26590-05-6), 폴리쿼터늄-9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메틸 브로마이드로 4급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10 (트리메틸 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시킨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의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12 (CAS 넘버: 68877-50-9), 폴리쿼터늄-13 (CAS 넘버: 68877-47-4), 폴리쿼터늄-14 (CAS 넘버: 27103-90-8), 폴리쿼터늄-15 (CAS 넘버: 35429-19-7), 폴리쿼터늄-16 (메틸비닐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및 비닐피롤리돈으로부터 생성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17 (디클로로에틸 에테르와 반응시킨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과 아디프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성 4급염), 폴리쿼터늄-18 (디클로로에틸 에테르와 반응시킨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과 아젤라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성 4급염), 폴리쿼터늄-19 (2,3-에폭시프로필아민과 폴리비닐 알코올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20 (폴리비닐 옥타데실 에테르와 2,3-에폭시프로필아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22 (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산의 코폴리머), 폴리쿼터늄-24 (라우릴 디메틸 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시킨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의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27 (폴리쿼터늄-2와 폴리쿼터늄-17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블록 코폴리머), 폴리쿼터늄-28 (비닐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모노머로 구성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29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키토산을 반응시킨 다음,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이용하여 4급화하여 얻어진 생성물), 폴리쿼터늄-39 (아크릴산과 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43 (아크릴아미드와, 아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와, 2-아미도프로필아크릴아미드 설포네이트와,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DMAPMA") 모노머의 코폴리머), 폴리쿼터늄-44 (비닐 피롤리돈 및 4급화된 이미다졸린 모노머에서 유래된 반복 유닛으로 구성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46 (비닐카프로락탐 및 비닐 피롤리돈과 메틸비닐이미다졸륨의 중합에 의해 생성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 폴리쿼터늄-47 (아크릴산과 메틸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의 중합 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머성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48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과,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로일 에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코폴리머), 및 폴리쿼터늄-49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과, PEG-9 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로일 에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코폴리머)가 포함된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와 상기 다당류 폴리머를 그래프트 공중합하는 대신, 전구체 폴리머와 상기 다당류 폴리머를 그래프트 공중합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얻어진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그래프트 공중합된 전구체 폴리머 부분에 양이온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4급화되지 않은 질소 함유 폴리머와 상기 다당류 폴리머를 그래프트 공중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얻어지는 그래프트 코폴리머에서 그래프트 공중합된 질소 함유 폴리머 부분의 일부 또는 모든 질소 원자를 4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분자량이 약 600 내지 약 1,000,000 g/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0 내지 약 500,000 g/몰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50,000 g/몰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20℃에서 0.5 중량% 이상의 폴리머가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전하 밀도가 통상적으로 약 0.01 내지 약 2 meq/g(milli-equivalent per gra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 meq/g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0.2 meq/g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는, 상기 다당류 폴리머와 불포화 모노머, 통상적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혼합물에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얻어진 그래프트 코폴리머에 예를 들면, 전술한 방법 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양이온성을 부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될 모노머는 단독 모노머일 수도 있고, 모노머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될 모노머는, 상기 모노머 분자 당,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질소 함유 작용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된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노머, 예컨대,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아크릴아미도디메틸 프로판 황산, 비닐 피리딘, 비닐 피리디늄 할라이드, 비닐 피롤리딘, 비닐 카프롤락탐, N-알킬화된 아크릴아미드, 및 (N,N-디메틸 아미노)-2-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다당류, 및 상기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모노머 또는 폴리머는 상기 다당류와 상기 모노머 또는 폴리머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함께 그래프트 공중합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적 반응은 상기 다당류와 상기 모노머 또는 폴리머의 혼합물에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 예컨대, 전자 빔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적 반응은 화학적 개시제, 예컨대, 벤조일 퍼옥사이드, 큐멘 퍼옥사이드(cumene peroxide), ter-부틸-퍼벤조에이트,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같은, 유기 과산화물, 또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hydroperoxide), 또는 아조-유도체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빔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다당류 폴리머의 해중합 반응(depolymerization)을 제어 하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수행 시 얻어지는 해중합도는 처리되고 있는 폴리머의 분자량, 및 해중합된 생성물의 분자량에 따라 달라진다. 구아 검은 분자량이 2,000,000 돌턴 이상이며, 통상적으로 2,000,000 내지 5,000,000 돌턴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수행 시, 상기 다당류 폴리머는 소정의 해중합도, 통상적으로는 약 700,000 돌턴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000 돌턴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0,000 돌턴 미만의 해중합도로 해중합될 수 있다.
상기 다당류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고상(solid phase)으로 반응이 수행된다. 상기 "고상"으로서는 분말, 과립, 플레이크(flake), 입자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먼저,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될 성분인, 상기 다당류와 상기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함께 혼합한다. 그런 다음, 고상에서 상기 다당류와 상기 모노머 또는 폴리머의 혼합물에 직접 방사선을 조사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폴리머가 제조 라인의 연속 벨트상의 트레이 상에서 직접 방사선을 조사한다. 개질할 다당류를 해중합하면서, 또는 해중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에너지 전자 빔이 상기 고상 물질을 완전히 투과할 수 있는 두께 이하로 상기 물질을 용기, 예컨대, 트레이에 둔다. 전자 빔이 상기 반응물을 완전히 투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진 그래프트 코폴리머 생성물의 다분산도(polydispersity)가 감소하므로, 다분산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한 경우라면, 고에너지 전자 빔에 노출되는 고상 물질층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져야만 한다. 안전을 고려하여, 상기 반응 혼합물을 방사선 투과성의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생성될 폴리머의 개질 수준에 따라, 소정의 조사율로 상기 혼합물에 고에너지 전자 빔을 조사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조사 공정은 상기 반응 혼합물이 수용된 용기를 예컨대, 컨베이어에 의해 방사선 체임버(radiation chamber)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전술한 방사선 조사 공정에서 조사량(dose)은 상기 목표 물질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량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조사량의 단위는 그레이(gray) 또는 메가 라드(mega rad)로서 정의된다. 1 킬로그레이(kilogray)는 1,000 J/㎏이다. 1 메가 라드는 1,000,000 erg/g이다. 따라서, 1 메가 라드는 10 킬로그레이이다. 방사선 조사량은 통상적으로 약 0.5 내지 약 20 메가 라드, 또는 약 5 내지 약 200 킬로그레이(kGy)이며, 이러한 조사량은 15 milliamp에서 작동되는 4.5 MeV 발생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생기는 미국 뉴욕 플레인뷰에 소재한 E-Beam Services, Inc.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조사율(dose rate)은 상기 모노머 또는 폴리머와 상기 다당류의 그래프트 공중합에 필요한 조사량을 제공하는 데,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머를 소정의 분자량으로 해중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양이다. 이러한 조사율은 소정의 조사량을 조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길이에 대한 직접적인 생산량, 즉, 상기 폴리머에 소정량의 이온화 방사선을 조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고전력 전자 빔은 빠른 속도로 다량의 방사선을 조사한다. 이러한 고전력 빔을 이용함으로써, 그래프트 코폴리머 생성물의 생성 속도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머에 고전압 전자 빔을 조사하는 공정은 실온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MeV의 고에너지 전자 빔 발생기는 상기 물질 내로 깊숙히 투과하므로, 두꺼운 물질층에 대한 방사선 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상기 고에너지 전자 빔 발생기를 이용한다. 10 MeV보다 높은 에너지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고에너지의 Z 원소로부터 방사능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고전압 전자 빔 발생기의 입수처를 예시하면, Electron Solutions Inc., Science Research Laboratory(미국 매사추세츠주 소머빌에 소재), Ion Beam Applications, Louvain-la-Neuve(벨기에), 및 The Titan Corporation(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이고에 소재)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에너지 전자 빔 발생기(150 kV∼1 MeV)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물질은 상기 빔을 통과할 때, 층의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조사 공정은 상기 물질을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분말로 분쇄한 다음에 수행한다. 이러한 저에너지 전자 빔 발생기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며, 콘크리트 차폐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저전압 전자 빔 발생기를 예시하면, Energy Sciences, Inc.(미국 매사추세츠주 윌밍턴에 소재)에서 제조한 EZCure, Radiation Dynamics Inc.(미국 뉴욕주 엣지우드에 소재)에서 제조한 Easy E-beam, Electron Solutions Inc.(미국 매사추세츠주 소머빌에 소재)에서 제조한 EB-ATP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종래에 표면 방사선 조사에 의한 경화(surface irradiation curing)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저에너지(1.3 MeV) 및 고전력(>100 ㎾)을 가지는 전자 빔을 다당류 그래프트 공중합/해중합 반응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전력 등급이라면, 15 Mrad로는 2400 ㎏/시간의 조사율로, 또는 3 Mrad로는 12,000 ㎏/시간의 조사율로 다당류 그래프트 공중합/해중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얻어진 그래프트 코폴리머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의 운반체(carrier)로서는, 본 발명의 그래프트 폴리머가 모발에 전달되도록 상기 그래프트 폴리머와 혼합 가능하며, 모발 또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치지 않는 액상 또는 고상 비히클(vehicle)이 적절하다. 상기 액상 운반체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물, 유기 용매, 예컨대, 알칸올, 아세톤, 및 이소파라핀, 및 알킬에테르 디올, 전술한 유기 용매의 혼합물, 및 물과 혼화성이 있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칸올로서는 통상적으로 (C1∼C18) 알칸올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적절한 알칸올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가 알칸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벤질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 및 다가 알칸올, 예컨대, 2-부톡시에탄올, 및 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 알칸올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에테르 디올로서 적절하게 이용되는 것을 예시하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운반체로서 물을 포함하는 수계 시스템(aqueous system)이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을 예시하면, 샴푸, 컨디셔너(conditioner), 및 스타일링용 크림, 젤, 및 무스(mousse)와 같은 스타일링 제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pbw: parts by weight)를 기준으로, 약 0.01 pbw 내지 약 10 pb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pbw 내지 약 5 pbw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약 90 내지 약 99.99 pb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5 내지 약 99.95 pbw의 운반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젤, 무스, 또는 스프레이 형태의 모발 스타일링용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에 의해, 예컨대, 손으로, 또는 분무에 의해 모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물, (C2∼C6)알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선택적인 성분으로서, 증점제를 포함하는 모발 스타일링용 젤이다. 상기 증점제로서 적절하게 이용되는 것을 예시하면, 아크릴산 폴리머, 및 코폴리머, 예컨대, Carbomer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스"란, 적용 시 거품 형태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가압 용기 내에 수용된 모발 스타일링용 무스이며,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운반체, 및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조성물의 공급 시, 상기 조성물을 발포시키기에 적절한 추진제(propellant)를 포함한다. 상기 추진제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액화 가능한 가스, 예컨대,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질소,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및 1,2-디플루오로에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물, (C2∼C6)알칸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기계적 분무기가 장착된 용기로부터 분무 적용하기에 적절한 모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가압 용기로부터 분무 적용하기에 적절한 에어로졸형 모발 스프레이용 조성물이며,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운반체, 통상적으로는 (C1∼C6)알칸올 또는 (C7∼C10)이소파라핀 운반체; 및 상기 모발 스프레이용 조성물을 모발에 에어로졸 형태로 전달하기에 적절한 추진제를 포함한다. 상기 추진제로서 적절한 예는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의 일 구현예인 모발 스타일링용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샴푸 조성물 또는 컨디셔닝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 화합물은 하나의 분자에 친수성 기와 소수성 기를 모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계면활성제 화합물로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surfactant),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 pbw를 기준으로, 약 0.01 pbw 내지 약 10 pb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pbw 내지 약 5 pbw의 본 발명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약 0.01 pbw 내지 약 25 pb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5 pbw의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약 65 내지 약 99.98 pbw,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99.9 pbw의 운반체를 포함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과 관련된 음전하를 가지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는, 소정의 최종 용도로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적절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알킬 설포네이트, 아릴 설포네이트, 알카릴 설포네이트(alkaryl sulfonate),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알콕시 설페이트, 알킬 알콕시 카르복실레이트,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 아크릴사르코시네이트(acrylsarcosinate), 및 아미도설포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소듐 트리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도데실 벤젠 설포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트리에틸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틸아민 라우레스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스 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레스 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라우레스 설페이트, 라우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소듐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포타슘 라우릴 설페이트, 포타슘 라우레스 설페이트, 암모늄 코실 설페이트(ammonium cocyl sulfate), 암모늄 라우로일 설페이트, 소듐 코실 설페이트, 소듐 라우로일 설페이트, 포타슘 코실 설페이트, 포타슘 라우릴 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코실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라우릴 사르코신, 및 코실 사르코신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과 관련된 양전하를 가지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는, 소정의 최종 용도로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적절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1
(상기 일반식 (I)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유기 기를 나타내되,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수소가 아니며,
X-는 음이온임).
상기 일반식 (I)에서의 음이온으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메토설페이트(methosulfate), 에토설페이트, 락테이트, 사카리네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I)에서, R1, R2, R3, 및 R4 기 중 1개 내지 3개의 기가 수소인 경우, 상기 화합물은 아민염일 수 있다. 양이온성 아민염의 예로서는 폴리에톡실화 (2) 올레일/스테아릴 아민, 에톡실화 탈로우 아민, 코코알킬아민, 올레일아민, 및 탈로우 알킬 아민을 들 수 있다.
4급 암모늄 화합물의 경우, 상기 일반식 (I)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기 기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R1, R2, R3, 및 R4 기는 질소 원자에 결합된 그 중 다른 하나의 기와 융합되어, 헤테로사이클 고리(heterocyclic ring)를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각각의 기는 수소는 아니다. 상기 유기 기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알킬, 알콕시, 하이드록시알킬, 및 아릴을 들 수 있고, 이들 각각은 그 밖의 유기 기로 더 치환될 수 있다. 상기 4급 암모늄 화합물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모노알킬 아민 유도체, 디알킬 아민 유도체, 및 이미다졸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모노알킬 아민 유도체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CETAB 또는 세트리모늄 브로마이드로서도 알려져 있음),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로서도 알려져 있음), 마이리스틸 트리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myris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마이르트리모늄 브로마이드 또는 쿼터늄-13으로서도 알려져 있음), 스테아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스테아랄코늄 클로라이드로서도 알려져 있음), 올레일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올레알코늄 클로라이드로서도 알려져 있음), 라우릴/마이리스트릴 트리메틸 암모늄 메토설페이트(코코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로서도 알려져 있음), 세틸-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암모늄 디하이드로젼 포스페이트(하이드록시에틸 세틸디모늄 포스페이트로서도 알려져 있음), 바수아미도프로필코늄 클로라이드(bassuamidopropylkonium chloride), 코코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 맥아-아미도프로팔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옥틸디모늄 메토설페이트, 이소스테아라미노프로팔코늄 클로라이드,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EG-5 리놀레아미늄 클로라이드, PEG-2 스테아르모늄 클로라이드, 쿼터늄 18, 쿼터늄 80, 쿼터늄 82, 쿼터늄 84,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디세틸 디모늄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 메토설페이트, 탈로우 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베헨아미도프로필 에틸 디모늄 에토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알킬 아민 유도체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디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 디세틸 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 옥틸디모늄 메토설페이트, 2개의 수소가 첨가된 팔모일에틸 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디팔미토일에틸 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디올레오일에틸 하이드록시에틸모늄 메토설페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다졸린 유도체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이소스테아릴 벤질이미도늄 클로라이드, 코코일 벤질 하이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 코코일 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 PG-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쿼터늄 32, 및 스테아릴 하이드록시에틸이미도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분자에 2개의 이온성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합물로서, 주위 매질의 pH에 따라서, 하나의 분자에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가지거나, 또는 음전하와 양전하 둘 다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는, 소정의 최종 용도로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지방족 2차 및 3차 아민의 유도체로서, 상기 유도체에서의 지방족 라디칼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는 약 8개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음이온성의 수용성 기를 가진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들면, 알킬 이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알킬 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및 알킬 암포프로필설포네이트, 예컨대,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코코암포프로필 설포네이트 카프로암포디아세테이트, 카프로암포아세테이트, 카프로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및 스테아로암포아세테이트 외에도, 알킬 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암포카르복시프로피오네이트, 알킬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 알킬 암포글리시네이트, 및 알킬 암포프로피오네이트의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또는 치환된 아모늄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분자에 2개의 이온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2개의 이온성 영역 중 하나의 영역은 주위 매질의 pH와는 상관없이 양전하를 가지고, 또 다른 하나의 이온성 영역은 주위 매질의 pH에 따라서 양전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는, 소정의 최종 용도로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지방족 4급 암모늄, 포스포늄, 및 설포늄 화합물의 유도체로서, 상기 유도체에서의 지방족 라디칼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상기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는 약 8개 내지 약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카르복실,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성의 수용성 기를 가진다. 적절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알킬 베타인, 예컨대, 코코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 디메틸 카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카르복시 메틸 베타인, 스테아릴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카르복시메틸 베타인, 올레일 디메틸 감마-카르복시프로필 베타인, 및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알파-카르복시에틸 베타인,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알킬 설타인(alkyl sultaine), 예컨대, 코코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 설포프로필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설포에틸 베타인, 라우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설포프로필 베타인, 및 알킬아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 설타인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온으로 해리되지 않으며 전하를 띠지 않는 계면활성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는, 소정의 최종 용도로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절하게 이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예시하면, 지방족 또는 알킬 방향족일 수 있는 소수성 유기 화합물과 알킬렌 옥사이드기(친수성)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적절한 것을 예시하면, 알킬 페놀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축합체, 지방산 아미드 계면활성제,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 계면활성제,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 알킬 에톡실레이트 계면활성제, 알카노일 글루코스 아미드 계면활성제, 알칸올아미드 계면활성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및 지방족 알코올과 약 1 내지 약 2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절하게 이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알칸올아미드, 예컨대, 코카미드 DEA, 코카미드 MEA, 코카미드 MIPA, PEG-5 코카미드 MEA, 라우라미드 DEA, 및 라우라미드 MEA; 알킬 아민 옥사이드, 예컨대, 라우라민 옥사이드(lauramine oxide), 코카민 옥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 및 라우라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및 에톡시화된 소르비탄 에스테르, 예컨대,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디스테아레이트,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20, 및 폴리소르베이트-80;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및 PEG-150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코올 또는 에톡시화된 지방산 알코올, 예컨대, 라우릴 알코올, 라우레스-4(laureth-4), 라우레스-7, 라우레스-9, 라우레스-40, 트리데세스 알코올(trideceth alcohol), C11-15 패레스-9(pareth-9), C12-13 패레스-3, 및 C14-15 패레스-11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그 밖의 성분, 예를 들면, 방부제, 예컨대, 벤질 알코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및 이미다졸리디닐 요소(imidazolidinyl urea); 증점제 및 점도 개질제(viscosity modifiers), 예컨대,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폴리머, 전해질, 예를 들면, 소듐 클로라이드, 소듐 설페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및 에틸 알코올; pH 조정제, 예컨대, 시트르산, 숙신산, 인산,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및 소듐 카르보네이트; 향료, 염료, 그 밖의 조정제, 예컨대, 실리콘 검(silicone gum), 폴리유기실록산 유체, 및 실리콘 수지, 즉, 가교된 폴리유기실록산 시스템을 포함하는 유기실리콘 물질, 활성 성분, 예컨대, 비듬 방지제 (아연 파이리티온(zinc pyrithion)), 비타민, 또는 비타민의 유도체(예를 들면, 비타민 B 아세테이트,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및 금속이온 봉쇄제(sequestering agent), 예컨대, 디소듐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발 관리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라서, 상기 조성물 100 pbw를 기준으로, 그리고 각각의 성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약 10 pbw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0.5 pbw 내지 약 5.0 pbw의 양으로 전술한 기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은 모발에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이용된다.
(실시예 1)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Cellosize HEC QP 100M-H, Dow)를 메타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MAPTAC, 50% 수용액 형태, Degussa)와 함께, 표 1에 기재된 활성 성분의 중량비에 따라서 혼합기에 분무한 다음, 완전히 혼합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MAPTAC가 팽윤된 셀룰로스를 공중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3∼15 중량%이 되도록 한 다음, 분말 형태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각각의 샘플을 플래스틱 비닐 백에 약 3 ㎝ 미만의 샘플 두께로 각각 충전하였다. 상기 각각의 백을 트레이에 둔 다음,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방사선 체임버 내로 수송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트레이의 정상부 표면 위에 위치한 4.5 MeV 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빔을 소정의 조사량으로 상기 각각의 샘플에 조사하였다. 이 때, 상기 컨베이어 및/또는 상기 전자 빔의 전류의 선속도를 조정하여, 원하는 조사량으로 조정하였다. 잔류하는 MAPTAC의 양을 더 저하시키기 위해, 상기 조사된 각각의 샘플에, 상기 조사된 샘플 50 중량부 당, 물/메탄올(혼합비= 1:1) 중에 10%의 소듐 메타비설파이트가 용해된 용액 1 중량부를 분무한 다음, 65∼70℃의 진공 오븐 중에 서 2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방사선 조사 후(표 1), 및 후경화 처리(post cure treatment) 후(표 2)의 각각의 샘플에 대해, 상기 샘플 중에 잔류하는 MAPTAC의 양을 HPLC에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램(칼럼, 일련의 Supelco Progel-TSK G3000PWXL 및 G6000PWXL; 이동상, 55 mM Na2SO4, 0.02% NaN3; 유속: 0.6 ml/분; 검출기, Waters 410 Refractive Index; 주입 부피: 200 ㎕; 온도: 40℃)에 의해, 방사선 조사 및 후경화된 각각의 샘플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각각의 샘플을 이동상 중에 용해함으로써, 0.025 중량%의 용액이 얻어졌다. 분자량이 667 돌턴인 스타키오스(stachyose)와 분자량이 각각 58,000 돌턴 및 2,000,000 돌턴인 2개의 구아 샘플을 이용하여, 보정 곡선을 작성하였다. 표 3은 각각의 샘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 GPC 분석 결과, MAPTAC의 호모폴리머는 거의 또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임의의 호모폴리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크로마토그램의 저분자량 부분에서 특정 피크가 관찰되었다. 또한, 아세톤을 이용한 침전에 의해 메탄올 수용액으로부터, 그래프트 공중합된 폴리머를 분리할 수 있다.
표 1: 방사선 조사된 각각의 샘플 중의 MAPTAC의 함유율(%)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2
표 2: 후경화 처리된 각각의 샘플 중의 MAPTAC의 함유율(%)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3
표 3: GPC 분석에 의해 측정된 샘플의 분자량("Mw")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4
전술한 각각의 샘플에 있어서, MAPTAC의 그래프트 중합률이 85%보다 큰 것으로 보아, 대부분 정량적인 전환률이 얻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Jaguar 8000, HP 140 또는 105, Rhodia, Inc.(미국 뉴저지주 크랜베리에 소재)에서 제조)를 MAPTAC(50% 수용액 형태, Degussa)와 함께, 표 4에 기재된 중량비에 따라서 분무한 다음, 완전히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얻어진 각각의 습윤한 혼합물이 표 4에 기재된 수분 함량을 가지도록, 50∼70℃의 진공 오븐 중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각각의 샘플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HPLC 분석에 의해, 반응하지 않은 MAPTAC의 양 을 측정하여, MAPTAC의 전환률, 즉, 폴리머로 전환된 MAPTAC의 퍼센트를 평가하였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그래프트 공중합된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GPC에 의해 측정하였다. 메탄올을 이용하여 상기 MAPTAC 호모폴리머를 속슬레 추출(Soxhlet extraction)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샘플을 정제한 다음, 상기 다당류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소화시킨 후, H-NMR 분석에 의해 그래프트 중합률을 분석하였다.
표 4의 결과로부터, 높은 전환률은 수분 함량이 8 내지 25% 사이인 경우에만 일관되게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분 함량이 13%보다 큰 경우, 대부분 정량적인 그래프트 중합률이 얻어졌다. 아울러, 수분 함량이 증가할 수록, 해중합도가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수분 함량이 Jaguar HP 140 및 HP 105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그래프트 공중합에 미치는 영향 (표면 조사량: 3 Mrad)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5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한 경우, MAPTAC의 전환률은 증가하였으나, 상기 분자 량은 감소하였다. 바람직한 수분 함량에서는 낮은 조사량에서도 양호한 전환률이 얻어졌다(표 5 참조).
표 5: 방사선 조사량이 Jaguar HP 140 및 105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그래프트 공중합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6
실시예 3 및 실시예 4, 및 비교예 C1
샴푸 조성물 100 pbw를 기준으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그래프트 코폴리머(50 중량% HEC/50 중량% MAPTAC) 0.3 pbw, 14 pbw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2 pbw의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6 pbw의 전해질(NaCl), 0.5 pbw의 살생물제(biocide)(Kathon CG),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혼합한 다음, 얻어진 혼합물의 pH를 시트르산 및/또는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이용하여 6.0 내지 6.5의 범위로 조정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실시예 3의 샴푸 조성물로서 이용하였다.
샴푸 조성물 100 pbw를 기준으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그래프트 코폴리머(50 중량% HEC/50 중량% MAPTAC) 0.3 pbw, 38.5 pbw의 계면활성제 블렌드(물,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소듐 트리데세스 설페이트, 글리세린, 소듐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PEG-150 디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레스-13 카르복실레이트, 시트르산, 쿼터늄-15, 및 테트라소듐 EDTA, Miracare® BC27(Rhodia, Inc.에서 제조)를 포함함),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혼합한 다음, 얻어진 혼합물의 pH를 시트르산 및/또는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이용하여 6.0 내지 7.0의 범위로 조정하여, 얻어진 조성물을 실시예 4의 샴푸 조성물로서 이용하였다.
한편, 실시예 3의 샴푸 조성물에서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대신,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Jaguar C17, Rhodia, Inc.에서 제조)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된 조성물을 비교예 1의 샴푸 조성물로서 이용하였다.
중간 브라운(medium brown) 색상으로 염색된, 무게 2.0 gm의 모발을 폭 2.54 ㎝×길이 16 ㎝의 샘플로 제작한 다음, 상기 모발 샘플을 수돗물로 적신 후,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C1의 샴푸 조성물을 각각 0.2 ml씩 적용한 다음, 세정하였다. 그런 다음, Dia-Stron 미니어쳐 인장 테스터를 이용하여, 세정 후의 젖은 모발을 빗질하는 데 필요한 일량(work)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처리 조건에 대해 각각 6개의 모발 샘플을 이용하였다. 표 6은 전술한 테스트의 결과로서, 각각의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 및 95% Biferroni 인터벌값을 나타낸다.
표 6
Figure 112007016190480-PCT00007
상기 표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상기 HEC/MAPTAC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의 샴푸 조성물은, 젖은 상태에서의 빗질(wet combing) 및 컨디셔닝 면에서 Jaguar C17 컨디셔닝 폴리머를 포함하는 비교예 C1의 샴푸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성능에 필적할 만한 성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0)

  1.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와 그래프트 공중합된 다당류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폴리머 주쇄에 그래프트 공중합된,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 블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3. 제2항에 있어서,
    (a) 다당류 폴리머, 및
    (b) 하기 (b)(i)성분 내지 (b)(iii)성분 중 하나 이상의 성분:
    (b)(i)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 또는
    (b)(ii)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의 폴리머 전구체, 또는
    (b)(iii)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의 불포화된 모노머 전구체 중 하나 이상의 모노머 전구체
    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에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 반응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트 공중합 반응 후, 상기 폴리머 전구체 또는 상기 모노머 전구체에서 유래된 블록은 양이온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모노머 분자 당,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질소 함유 작용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폴리머 주쇄가,
    폴리갈락토만난, 잔탄(xanthan), 폴리프럭토스(polyfructose), 전분, 전분 유도체, 셀룰로스, 세룰로스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폴리머 주쇄가,
    그래프트 공중합되기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2,000,000 내지 5,000,000 g/몰인 구아 검(guar gum)에서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8. 제2항에 있어서,
    인간의 모발에 결합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의 다당류 폴리머 주쇄에 그래프트 공중합된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가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가,
    폴리아미드 폴리머, 폴리우레탄 폴리머, 및 폴리유레이도 폴리머(polyureido 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실질적으로 중성인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가,
    4급화된 다당류 검 중에서 선택되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가,
    양이온성 부가중합 폴리머 및 양이온성 축합 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양이온성 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가 폴리머성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14. 다당류 폴리머와, 인간의 모발에 결합 가능한 폴리머를 혼합하는 단계; 및
    얻어진 폴리머 혼합물에 전자 빔 방사선(electron beam irradiation)을 조사함으로써, 그래프트 코폴리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그래프트 코폴리머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혼합물에 0.5 내지 약 20 mega rad의 조사량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6. 제1항 기재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운반체(carrier)를 포함하는 모발 관리 용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체가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샴푸 조성물,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모발 스타일링용 조성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이, 모발 스타일링용 젤, 모발 스타일링용 무스, 및 모발 스타일링용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되는 모발 스타일링용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 관리용 조성물이 샴푸 조성물, 또는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이고,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7004434A 2004-08-03 2005-08-03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그것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 KR101257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854804P 2004-08-03 2004-08-03
US60/598,548 2004-08-03
PCT/US2005/027597 WO2006017589A2 (en) 2004-08-03 2005-08-03 Polysaccharide graft copolymers and their use in personal car e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144A true KR20070046144A (ko) 2007-05-02
KR101257833B1 KR101257833B1 (ko) 2013-04-30

Family

ID=3583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434A KR101257833B1 (ko) 2004-08-03 2005-08-03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그것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60029561A1 (ko)
EP (1) EP1890670B1 (ko)
JP (1) JP2008509250A (ko)
KR (1) KR101257833B1 (ko)
CN (1) CN101111224B (ko)
AT (1) ATE514412T1 (ko)
AU (1) AU2005271488A1 (ko)
BR (1) BRPI0514120A (ko)
CA (1) CA2575960C (ko)
ES (1) ES2368842T3 (ko)
IL (1) IL181138A0 (ko)
MX (1) MX2007001524A (ko)
RU (1) RU2007107949A (ko)
WO (1) WO20060175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5877A2 (en) * 2004-11-19 2006-05-26 Rhodia Inc. Derivatized polysaccharide polymer
US7666963B2 (en) * 2005-07-21 2010-02-23 Akzo Nobel N.V. Hybrid copolymers
NO20073821L (no) * 2006-07-21 2008-01-22 Akzo Nobel Chemicals Int Bv Podede kopolymerer med lav molekylvekt
NO20073834L (no) * 2006-07-21 2008-01-22 Akzo Nobel Chemicals Int Bv Sulfonerte podede kopolymerer
JP5246463B2 (ja) * 2007-09-13 2013-07-2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セルロース及びセルロース誘導体の改質方法とその装置
JP5582517B2 (ja) 2008-03-13 2014-09-03 ハイモ株式会社 毛髪化粧料用添加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
FR2934268B1 (fr) * 2008-07-24 2012-12-07 Oreal Polymeres a greffons polysaccharidiques, compositions cosmetiques et procede de traitement.
UA109772C2 (uk) * 2009-07-02 2015-10-12 Агент для підвищення гідрофільності ґрунту і способи й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CN102574961B (zh) 2009-07-31 2015-09-23 阿克佐诺贝尔股份有限公司 混杂共聚物组合物
FR2955255B1 (fr) * 2010-01-15 2012-02-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saccharide greffe hydrophile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US8841246B2 (en) 2011-08-05 2014-09-23 Ecolab Usa Inc.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accharide hybr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s of improving drainage
US8679366B2 (en) 2011-08-05 2014-03-25 Ecolab Usa Inc.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accharide graft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s of controlling hard water scale
US8636918B2 (en) 2011-08-05 2014-01-28 Ecolab Usa Inc.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accharide hybr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s of controlling hard water scale
US8853144B2 (en) 2011-08-05 2014-10-07 Ecolab Usa Inc. Clea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saccharide graft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s of improving drainage
CN103087262B (zh) * 2011-10-28 2015-04-08 江南大学 海藻酸纳-聚苯乙烯共聚物的超声方法合成
BR112014008874A2 (pt) 2011-11-04 2017-04-25 Akzo Nobel Chemicals Int Bv composição de copolímero híbrido de dendrito
WO2013064648A1 (en) 2011-11-04 2013-05-10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Graft dendrite copolym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8945314B2 (en) 2012-07-30 2015-02-03 Ecolab Usa Inc. Biodegradable stability binding agent for a solid detergent
CN103938441B (zh) * 2014-03-31 2016-06-15 许昌恒源发制品股份有限公司 人发假发滑爽剂及其制备工艺以及对假发整理的方法
US9365805B2 (en) 2014-05-15 2016-06-14 Ecolab Usa Inc. Bio-based pot and pan pre-soak
WO2018017390A1 (en) * 2016-07-18 2018-01-25 Isp Investments Llc A hair care composition,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3549160A (zh) * 2021-07-12 2021-10-26 江苏海洋大学 一种多功能聚季铵盐在制备高阳离子度交联淀粉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5891A (en) * 1957-05-15 1959-07-21 Gen Electric Cellulosic materials
US3461052A (en) * 1967-01-03 1969-08-12 Atlas Chem Ind Process for producing graft copolymers using radiation
US3522158A (en) * 1968-10-21 1970-07-28 Unisearch Ltd Production of graft polymers or copolymers by the use of radiation
US4021355A (en) * 1970-12-14 1977-05-03 Halliburton Company Compositions for fracturing well formations
US3766031A (en) * 1972-04-10 1973-10-16 Garlock Inc Process for non-destructive radiation degradation of polytetrafluoroethylene
US4105665A (en) * 1974-03-20 1978-08-08 Bayer Aktiengesellschaft Monomethine dyestuffs
US3974077A (en) * 1974-09-19 1976-08-10 The Dow Chemical Company Fracturing subterranean formation
US4057509A (en) * 1976-10-26 1977-11-08 Celanese Corporation Polygalactomannan allyl ether gels
US4143007A (en) * 1977-10-31 1979-03-06 Celanese Corporation Thickening agent containing a polygalactomannan gum and a copolymer of an olefinically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 anhydride useful in hydraulic well-treating
US4169945A (en) * 1978-01-05 1979-10-02 Celanese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galactomannan ethers
US4803071A (en) * 1980-02-11 1989-02-07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oration Hair care compositions
US4505826A (en) * 1982-10-25 1985-03-19 Smith International Inc. Prepackaged crosslinked polymer
US4686052A (en) * 1985-07-08 1987-08-11 Dowell Schlumberger Incorporated Stabilized fracture fluid and crosslinker therefor
US4810567A (en) * 1985-08-21 1989-03-07 Uop Antimicrobial fabrics utilizing graft copolymers
US4657080A (en) * 1986-02-19 1987-04-14 Dowell Schlumberger Incorporated Method of fracturing a subterranean formation using delayed crosslinker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 titanium complexes
US4831097A (en) * 1988-03-21 1989-05-16 Gaf Corporation Heterocyclic containing cellulosic graft polymers
US5352277A (en) * 1988-12-12 1994-10-04 E. I. Du Pont De Nemours & Company Final polishing composition
US5366755A (en) * 1989-02-10 1994-11-22 Maritta Timonen Foodstuffs containing novel degraded cellulose derivatives
US5569483A (en) * 1989-02-10 1996-10-29 Alko Group Ltd. Degraded polysaccharide derivatives
US5807543A (en) * 1993-08-27 1998-09-15 The Procter & Gamble Co.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phobically modified nonionic polymer and unsaturated quaternary ammonium surfactant
WO1993008200A1 (en) * 1991-10-15 1993-04-29 Fmc Corporation β-1,3-GLUCAN POLYSACCHARIDES,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S
US5273767A (en) * 1992-09-09 1993-12-28 Merck & Co., Inc. Rapidly hydrating gums
GB9226392D0 (en) * 1992-12-18 1993-02-10 Cpc International Inc Gelling agent
US5801116A (en) * 1995-04-07 1998-09-01 Rhodia Inc. Process for producing polysaccharides and their use as absorbent materials
DE69617685T2 (de) * 1995-06-28 2002-06-13 Nen Life Science Prod Inc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radiomarkierten organischen verbindungen
CZ94599A3 (cs) * 1996-09-19 1999-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vivážní prostředek pro látky
US5756720A (en) * 1996-10-25 1998-05-26 Rhodia Inc. Derivatized guar gum composition including nonionic and cationic groups which demonstrate excellent solution clarity properties
US5916929A (en) * 1997-06-23 1999-06-29 E-Beam Services, Inc. Method for irradiating organic polymers
CA2296080C (en) * 1997-07-29 2005-02-01 Alcon Laboratories, Inc.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galactomannan polymers and borate
US6242035B1 (en) * 1998-11-23 2001-06-05 Cp Kelco U.S., Inc. Reduced molecular weight native gellan gum
US6649155B1 (en) * 1999-05-03 2003-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dandruff and conditioning shampoos containing certain cationic polymers
DE10009642C1 (de) * 2000-03-01 2001-06-13 Clariant Gmbh Verfahren zur sauer katalysierten, hydrolytischen Depolymerisierung von Celluloseethern und Verwendung einer emaillierten Drucknutsche zur Depolymerisierung von Celluloseethern
US6383344B1 (en) * 2000-07-19 2002-05-07 Genzyme Corporation Molecular weight reduction of polymer using irradiation treatment
CA2354836A1 (en) * 2000-08-25 2002-02-25 L'oreal S.A. Protection of keratinous fibers using ceramides and/or glycoceramides
FR2822060A1 (fr) * 2001-03-13 2002-09-20 Oreal Composition capillaire comprenant un polysaccharide greffe par un polysiloxane et un polymere fixant
JP4718834B2 (ja) * 2002-06-25 2011-07-06 ローディア インク. 電子ビームによる、グァーおよび他の多糖類のグラフト重合
MXPA05002996A (es) * 2002-10-10 2005-06-22 Procter & Gamble Composicion acondicionadora para el cabello que comprende un polimero espesante y un surfactante cationico.
US20050002892A1 (en) * 2003-06-06 2005-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cationic crosslinked thickening polymer and nonionic surfac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0670B1 (en) 2011-06-29
KR101257833B1 (ko) 2013-04-30
RU2007107949A (ru) 2008-09-10
MX2007001524A (es) 2007-07-13
ATE514412T1 (de) 2011-07-15
EP1890670A2 (en) 2008-02-27
AU2005271488A1 (en) 2006-02-16
ES2368842T3 (es) 2011-11-22
JP2008509250A (ja) 2008-03-27
CA2575960A1 (en) 2006-02-16
WO2006017589A2 (en) 2006-02-16
IL181138A0 (en) 2007-07-04
US20060029561A1 (en) 2006-02-09
WO2006017589A3 (en) 2006-03-30
CN101111224B (zh) 2012-11-14
EP1890670A4 (en) 2009-12-23
CN101111224A (zh) 2008-01-23
BRPI0514120A (pt) 2008-05-27
CA2575960C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833B1 (ko) 다당류 그래프트 코폴리머 및 그것의 퍼스널 케어용 용도
JP2008509250A5 (ko)
EP2039751B1 (en) Cleansing composition
US8821845B2 (en) Concentrated ingredient for treating and/or modifying surfaces, and use thereof in cosmetic compositions
EP0507272B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water soluble chitin derivative and a polyphenol
CN111278416A (zh) 含低无机盐的无硫酸盐个人清洁组合物
CN102958504B (zh) 毛发护理组合物
KR101824754B1 (ko) 오래 지속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케라틴 기재에 도포되는 개인 관리 조성물 첨가제
DE10002513A1 (de) Zusammensetzung für ein Haarbehandlungsmittel in Form eines Aerosol-Schaumes
JPH05186318A (ja) 角質洗浄および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US20230117582A1 (en) Hair oil formulation
US2010023951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on artificially colored hair
EP0231997B1 (en) Shampoo
US7528100B2 (en) Derivatized polysaccharide polymer
JP4459233B2 (ja) 両性コポリマーを含む化粧用組成物
US7341714B2 (en) Pearlescent hair care compositions
JP2013063996A (ja) 両性共重合体を含む化粧用組成物
US5900232A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of alkylgalactoside uronate type and at least one cationic polymer,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keratinous substances
EP3727309B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EP0863172B1 (en) Poly(N-acrylalkyleneimine) modified Organopolysiloxanes
KR100540615B1 (ko)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측쇄 블록 아크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사용하는 모발의 처리 방법
US7498022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at least one cationic polymer and at least one amphiphilic, branched block acrylic copolymer and method for treating hair using such a composition
JP2005314364A (ja) 加圧流体及びカチオン性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を使用するケラチン物質を処置するための化粧組成物の製造方法
WO2023114275A1 (en) Hair volumizing system using chitosan complex for long-lasting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