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293A -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293A
KR20070045293A KR1020077004563A KR20077004563A KR20070045293A KR 20070045293 A KR20070045293 A KR 20070045293A KR 1020077004563 A KR1020077004563 A KR 1020077004563A KR 20077004563 A KR20077004563 A KR 20077004563A KR 20070045293 A KR20070045293 A KR 20070045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trol signal
voltage
control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439B1 (ko
Inventor
미르코 쉰들러
덴 붐 안드레아스 판
헬무트 슈마허
프란쯔-요세프 베버
라이너 파우펠
Original Assignee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45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공급 제어부(10)와 잠금 어셈블리부(20)를 포함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잠금 어셈블리부(20)는 접지와 관련된 전압이 존재할 때, 이는 상기 점화가 스위치 오프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전력 공급 제어부(10)에 의해 공급 전압 및 접지를 공급받는다. 잠금 어셈블리부(20)는 잠금 모터를 포함하고 잠금 모터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고 접지-제공 스위칭부를 통해 접지를 제공한다. 접지-제공 스위칭부(23)는 제어 회로(24)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 회로(24)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를 구비한다.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유도된 제어 신호가 상기 부가적인 입력 연결부에 존재한다. 그 후 제어 회로(24)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26)가 스위치가 온(on)된 전압을 나타내는 경우 접지-제공 스위칭부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Electronic steering lock}
본 발명은 전력 공급 제어부와 잠금 어셈블리부를 포함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공급 제어부는 접지 공급 라인과 전압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잠금 어셈블리부에 공급 전압을 제공한다. 잠금 어세블리부는 접지와 관련된 전압이 점화 공급 라인(터미널 15)에 존재할 때, 이는 상기 점화가 스위치 오프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전력 공급 제어부에 의해 공급 전압 및 접지를 공급만 받을 수 있고, 이 경우, 잠금 모터를 포함하는 잠금 어셈블리부는 잠금 모터에 공급 전압과 접지를 제공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는 점화 잠금 및 점화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회로에서 잠금 어셈블리부를 스위칭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구현은 일반적으로 운전 중인 경우에 일어난다. 회로에서 스티어링 잠금을 스위칭하는 회로는 예를 들어, 특허 명세서 DE 199 62 180 C1에 개시된 전력 공급 제어부에서 볼 수 있다. 공지된 회로 배열부는 두 개의 평행 작동 제어부들을 포함하고, 이 두 개의 작동 제어부는 스티어링 잠금 장치에 접지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회로와 스티어링 잠금 장치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들은 점화 개시 잠금부의 스위치의 입력 신호로 구성된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의 한 입력부는 터미널 15, 예를 들어 점화 공급 라인,라고 불리는 것에 연결된다. 제어부들은 공급 전압과 접지가 점화(터미널 15)가 스위치 오프되고(접지 상태) 점화 잠금이 스위치 오프된 조건인 경우에만 스티어링 잠금장치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잠금 장치의 잠금 모터를 회로상에서 스위칭함에 있어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접지 상태가 부주의로 인해 잠금 모터에 적용되어 손실 및 결함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개연성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에 따른 전자 스티어링 잠금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전자 스티어링 잠금 장치는 전력 공급 제어부와 잠금 어셈블리부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는 잠금 어셈블리에 대한 공급 전압을 접지 공급 라인 및 전압 공급 라인을 통해 제공한다.
주의할 것은 공급 라인(접지 및 전압 공급 모두)은 또한 복수개의 평행하거나 균일하게 제어되는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후 접지 관련 전압이 점화 공급 라인(터미널 15)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이는 점화 스위치가 오프(주로, 0V) 되었음을 나타낸다.
잠금 어셈블리부는 전력 공급 제어부로부터 공급 전압과 전압이 제공된다. 물론, 접지와 관련된 전압이 0V 가 아닌 경우도 존재할 수 있으며, 그렇더라도 이는 점화 스위치가 오프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기생 전압으로 인해 접지와 관련된 약간의 포텐셜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잠금 어세블리부는 잠금 모터를 포함하고 잠금 모터에 공급 전압과 접지를 제공한다. 잠금 모터는 전환가능한 작동부(actuator) 또는 로터(rotor)를 포함하는 모터일 수 있다. 모터는 일부 전송 장치 종류에 결합되어 스티어링이 잠기거나 또는 열려있음을 확실히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스티어링 칼럼에 기계 구조가 맞물려 있는지를 통해).
이 때, 일부 전송 장치 종류는 모터로 제어된다. 이러한 잠금은 모터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 열리거나 잠기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된다. 잠금 어셈블리부는 일반적으로 관련 제어 장치(예, 마이크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개입된 스위칭 장치를 통해 공급 전압 및 접지를 구비한 잠금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스티어링 장치에서, 잠금 모터에 접지를 공급하는 것은 접지 공급 스위칭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잠금 어셈블리부는 접지 공급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를 포함하고, 부가된 입력 연결부로 점화 공급 라인(터미널 15)에서 유도된 제어 신호가 적용된다. 관련 입력 연결부(예, 유도된 제어 신호)에서 전압이 점화 스위치가 온 상태임을 나타낼 경우, 제어 회로는 점지 공급 스위칭부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잠금 모터는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전력 공급제어부에서 잠금 어셈블리부로 접지를 제공한다. 이 접지 공급은 잠금 모터상에서 전달되지 않는다.
부가된 제어 회로는 유도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스티어링 잠금 장치의 전압/접지 공급의 스위칭이 오프되었을 때 부가적인 안전을 제공한다. 점화 공급라인에서 유도된 제어 신호를 잠금 어셈블리부로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전력 공급 제어부의 구현을 보다 간단히 하고 그 결과로 부가적인 안전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제어부 내에 두 개의 부가적인 제어부 대신(예를 들어, 이전에 사용되던 이상에서 언급된 공지된 배열부) 단지 하나의 제어부만이 사용된다면 이는 전체적인 어셈블리의 가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 잠금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점화 공급 라인에서 유도된 제어 신호가 보다 낮은 전압 레벨인 경우, 예를 들어 접지 상태인 경우, 점화 공급 라인은 높은 전압 레벨, 예를 들어 12V 이다. 따라서, 제어 회로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가 낮은 전압 상태일 때 접지 제공 스위칭부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점화 공급 라인에서 제어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전환 회로(inverting circuit)을 이용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유도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에 연관된 라인이 부주의로 인해 접지 포텐셜에 있거나 잠금 모터로 접지 공급이 차단된 경우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일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가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오픈된 경우 접지 제공 스위칭부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는 접지 회로에서 입력 연결부가 유도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라인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되고 또한 잠금 모터의 접지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제어를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지 제공 스위칭부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는 부가된 입력 신호가 높은 전압 레벨일 때, 예를 들어 12V인 경우에만, 마지막에 언급된 실시예에서 생성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된 실시예에서 보다 발전된 실시예로서, 유도된 제어 신호는 최대 전압 레벨(예, 12V)이 아니라 점화 스위치가 오프되어, 예, 터미널 15가 접지 포텐셜 상태인 경우, 접지와 최대 전압 레벨 사이에 놓여 있을 때에 생성된다.
이 경우, 부가된 입력 연결부에 연결된 제어 회로의 입력 회로는 점화 스위치가 오프되었음을 나타내는 전압이(예, 6V) 부가된 입력 연결부에 나타나는 때에만 접지 제공 스위칭부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최대 전압(예, 12V까지)에 입력 연결부가 부주의하게 단락되는 경우에도 부주의하게 접지 제공 연결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류-제한 장치들이 제어 신호와 연관되고 손실이 발생할 경우 기설정된 값까지 제어 신호 전류를 제한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스티어링 잠금 장치의 추가적인 안전이 획득된다. 제한된 전류는 잠금 모터가 개시되는 것을 허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이와 대응되는 장치들이, 예를 들어, 제어 신호 경로 내의 원하는 위치에서 회로와 같은 장치를 본 발명에서는 또한 통합될 수 있다. 전류-제한 스위칭 회로는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제어부의 뒤에 직접적으로 또는 잠금 어셈블리부의 앞에(예, 입력 터미널에)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류-제한 회로는 제어 회로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기 스티어링 잠금장치(electronic steering lock, ESL)의 블락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기 스티어링 잠금장치(electronic steering lock, ESL)의 블락 회로도를 도시한다.
전기 스티어링 잠금장치는 잠금 모터(locking motor)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계 구성요소와 잠금 모터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 요소 중 주로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기계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기계 구성요소는 종래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칼럼에서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들은 전력 공급 제어부 및 실제 잠금 어셈블리부(locking assembly)의 회로를 포함한다. 잠금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구성요소, 좁은 의미의 ESL로 일반적으로 불리는 구조부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전력 공급 제어부(10)는 잠금 어셈블리부(20)에 배선 용구(30) 내에 함께 감겨있을 수 있는 복수 개의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전력 공급 제어부(10)는 접지 라인(31)과 전압 공급 라인(32)을 통해 잠금 어셈블리부(20) 내의 모든 구성요소에 공급 전력을 제공한다.
특정한 동작 조건하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스티어링 잠금 장치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아야 할 경우(예를 들어, 주행하는 동안), 전력 공급 제어부(10)는 접지 또는 공급 전력 어느 것도 각각의 접지 라인(31) 이나 전력 공급라인(32) 통해 잠금 어셈블리부(20)로 공급 전력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확실히 보증해야 한다.
접지나 공급 전력이 다른 경로를 통해서는 잠금 어셈블리부 (20)에 확실히 닿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전력 공급 제어부(10)에서 나오는 공급 라인들은 잠금 어셈블리부 (20)로 향하는 공급 라인만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2)는 접지 및 작동 전압 (일반적으로 12V)를 받아 접지 라인(31)과 전압 공급 라인(32)으로의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2)는 일반적으로 다른 제어 신호에 따라 접지 라인(31)과 전압 공급 라인(32)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점화-개시 잠금부와 "터미널 15(terminal 15)"로 불리는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나오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제어부(10)는 점화 공급 라인(11)(터미널 15)을 받아 그곳에서 나오는 제어 신호로서, 라인(33) 상의 출력이 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13)를 또한 포함한다.
라인(33)으로 유도된 제어 신호 출력은 점화 공급 라인이 접지되어(점화 스위치가 오프됨) 높은 제어 전압 (예를 들어, 12V)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점화 공급 라인(11)이 높은 전압인 경우(특히, 12V 인 경우) 낮은 전압(바람직하게, 0V)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유도된 제어 신호는 이에 따라 논리적으로 터미널 15에서 전환된 신호를 구성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터미널 15가 점화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음(접지 상태)을 나타낼 때 유도된 제어 신호는 평균레벨(예를 들어, 6V) 상태이다.
잠금 어셈블리부(20)는 두 개의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두 개의 입력 단자에서 잠금 어셈블리부(20)는 전력 공급 제어부(10)로부터 접지 및 공급 전압을 받게 된다. 잠금 어셈블리부(20)는 또한 모터 어셈블리부(27)를 포함한다. 모터 어셈블리부(27)는 작동부(actuator)(21)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 제어부(10)에서 받은 접지 및 공급 전압은 모두 잠금 어셈블리부(20) 내의 모터 어셈블리부(27)로 전달된다. 이 전달 과정은 스위치 장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모터의 움직임이 차단될 경우, 접지 및 공급 전압을 구비한 모터(21)의 공급부는 스위치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 1 에서, 접지가 접지 라인의 입력 연결부에서 스위치를 통해 모터 어셈블리부(27)로 전달되는 동안, 모터 어셈블리부(27)에 입력 연결부 전압 공급 라인은 잠금 어셈블리부(20)의 입력 연결부에서 직접적으로 모터 어셈블리부(27)에 연결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스위칭 장치들은 물론 접지/공급 전압 입 력 연결부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단지 접지 공급 스위칭 장치(23)만이, 닫힌 조건하에서, 모터 어셈블리부(27)에 라인(22)를 통해 잠재적 접지로서 역할한다.
잠금 어셈블리부(20)는 모터 어셈블리부(27)를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제어부를 포함한다. 잠금 어셈블리부(20)는 또한 스위칭 장치(23)를 위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24)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24)는 마이크로 제어부(25)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회로(24)의 기설정된 조건을 나타내는 신호를 마이크로 제어부로 출력하기 위해 복수 개의 라인을 통해 마이크로 제어부에 연결된다.
마이크로제어부(25)는 잠금 및 열림 작동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도 1에 도시 안됨)를 수신한다. 데이터 신호로도 언급되는 이러한 제어 신호들은 암호화되어 열림/잠금 작동들은 데이터 신호를 바르게 코딩한 경우에만 개시된다. 또한, 마이크로제어부는 출력 신호를 산출하고 미리 설정된 잠금 조건을 나타내는 잠금 어셈블리부(20)로부터의 출력을 산출할 수 있다.
스티어링 잠금 장치가 잠겨있거나 또는 열려있는 동안의 마이크로제어부(25)와 모터 어셈블리의 협동 작업은 본 발명의 이해에 있어 중요하지 않으므로 여기서 상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 회로(24)는 추가적인 입력 연결부(26)를 포함한다. 라인(33)이 적용되고 전력 공급 제어부(10) 내의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유도된 입력 연결부(26)로 제어 신호가 적용된다. 입력 연결부(26)는 따라서 마이크로제어 부(25)에 연결된 제어 회로(24)의 일반적인 입력 연결부에 덧붙여지는 부가적인 연결부가 된다.
제어 회로(24)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26)에서 전압이 고 전압 상태가 아닌 경우, 이는 점화 스위치가 오프(off) 되었음을 나타낸다, 스위치 장치(23)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회로(24)는 그 후 라인(33)을 통해 접지 상태가 입력 연결부(26)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 (점화 스위치가 온(on) 상태임을 나타낸다) 또는 부주의하게 입력 연결부가 접지로 단락되거나 또는 공급되는 전력이 없음을 나타낼 때 스위칭 장치(23)를 오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회로(24)의 일 실시예로서, 이는 트랜지스터 입력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어 회로 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입력 연결부(26)에 연결됨으로써 트랜지스터는 스위치를 온(on)한다. 이 경우, 스위치가 온 될 때 입력 연결부(26)는 원하는 하이 포텐셜(high potential) 상태이고 충분히 높은 입력 전류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제어 회로(24)의 트랜지스터 입력 단계는 그 후 예를 들어 추가적인 트랜지스터 단계에서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스위칭 장치(23) 내의 스위칭 필드 이펙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연결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로 제어부(25)의 출력 신호만이 아니라 유도된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회로(23) 내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위한 제어 신호를 라인(33) 상에서 생성할 수 있는 제어 회로(24)와 관련한 다수의 실시예 들을 상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어 회로(24)는 스위칭 장치(23)를 닫는 제어 신호만을 생성함으로써 모터 어셈블리부(27)를 위한 접지 공급을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고전압 상태의 입력 연결부(26)와 마이크로제어부(25)에서의 올바른 제어 신호가 존재하고 이에 더하여 제어 회로의 트랜지스터 구성 성분들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제어 회로(24)의 입력 회로는 과전압 보호기 및 입력 전류 제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전력 공급 제어부(10)와 잠금 어셈블리부(20)를 포함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로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10)는 접지 공급 라인(31)과 전압 공급 라인(32)을 통해 상기 잠금 어셈블리부(20)에 공급 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잠금 어세블리부(20)는 접지와 관련된 전압이 점화 공급 라인(11)(터미널 15)에 존재할 때, 이는 상기 점화가 스위치 오프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전력 공급 제어부(10)에 의해 공급 전압 및 접지를 공급만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잠금 어셈블리부(20)는 잠금 모터(21)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모터에 공급 전압과 접지를 제공하고, 상기 잠금 모터(21)의 상기 접지 공급(22)은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잠금 어셈블리부(20)는 상기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24)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제어 회로(24)는 부가된 입력 연결부(26)를 포함하며, 상기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유도된 제어 신호가 상기 부가적인 입력 연결부에 존재하고, 상기 제어 회로(24)는 상기 부가된 입력 연결부(26)에 걸린 전압이 점화 스위치가 온(on) 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를 오픈 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공급 라인(11)이 고 전압 레벨(high voltage level)일 때, 예를 들어 12V, 상기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유도된 상기 제어 신호는 낮은 전압 레벨(low voltage level)로서, 바람직하게 접지되며,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24)는 상기 부가된 입력 연결부(26)가 낮은 전압일 때 상기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를 오픈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24)는 또한 상기 부가된 입력 연결부(26)가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오픈 상태일 때 상기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를 오픈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유도된 상기 제어 신호가 접지부터 최대 전압 사이에 놓여있는 기설정된 레벨이고, 이 때 상기 점화 공급 라인은 접지 상태이고 상기 제어 회로(24)는 상기 부가된 입력 연결부가 상기 기설정된 레벨인 경우에만 상기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를 오픈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공급 라인(11)에서 유도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10)와 상기 접지 공급 라인(31) 내에서 생성되고, 상기 전압 공급 라인(32) 및 상기 유도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라인(33)은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10)에서 상기 잠금 어셈블리부(20)로 배선 용구(30) 내에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24)는 상기 잠금 어셈블리(20)의 제어부(25)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는 상기 부가된 입력 연결부(26)에서 상기 제어 신호로부터 유도되며, 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24)는 상기 부가된 입력 연결부(26)상에 과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류-제한부가 상기 제어 신호에 연결되고, 상기 전류 제한 장치는 결함을 방지하도록 기설정된 전류량까지 제어 신호 전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 부는 상기 제어 회로(24)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제공 스위칭부(23)는 제어 신호가 적용될 때 차단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에 연관되는 상기 제어 신호는 접지 포텐셜(ground potential) 지역 내에 있을 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KR1020077004563A 2004-08-27 2005-07-01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KR101195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41869A DE102004041869A1 (de) 2004-08-27 2004-08-27 Elektronische Lenkungsverriegelung
DE102004041869.1 2004-08-27
PCT/EP2005/007116 WO2006024336A1 (de) 2004-08-27 2005-07-01 Elektronische lenkungsverriege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293A true KR20070045293A (ko) 2007-05-02
KR101195439B1 KR101195439B1 (ko) 2012-10-30

Family

ID=3497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563A KR101195439B1 (ko) 2004-08-27 2005-07-01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82984B2 (ko)
EP (1) EP1784323B1 (ko)
KR (1) KR101195439B1 (ko)
CN (1) CN100457514C (ko)
AT (1) ATE389568T1 (ko)
DE (2) DE102004041869A1 (ko)
WO (1) WO2006024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62315A1 (de) * 2006-12-27 2008-07-0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 Lenkungsverriegelung mit einer zusätzlichen Entriegelungsmöglichkeit bei aktivem Sicherheitsabschaltsignal
DE102007033365A1 (de) * 2007-07-16 2009-0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ine ein temperaturabhängiges Signal liefernde Watchdog-Schaltung für einen Mikrocontroller einer ELV
KR100992713B1 (ko) * 2007-10-04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컬럼 잠금장치의 데드 록 장치
JP5512087B2 (ja) * 2008-02-01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342822B2 (ja) * 2008-07-24 2013-11-13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01342889B (zh) * 2008-08-18 2011-09-2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新型电动方向轴锁控制电路
DE102008048771B4 (de) * 2008-09-24 2018-10-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Lenkungsverriegelung
FR2948083B1 (fr) * 2009-07-17 2011-08-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electrique de vehicule pour executer une action de maniere securitaire
DE102009045224A1 (de) * 2009-09-30 2011-03-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ahrzeug-Lenkungsverriegelungsbaugruppe mit einer ein Verriegelungs-Freigabesignal empfangenden Sicherheitsschaltung
DE102009054748A1 (de) * 2009-12-16 2011-06-2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Elektronische Steuervorrichtung für eine Sperrvorrichtung sowie Lenkradsperre
CN102941836B (zh) * 2012-12-04 2016-01-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电子转向柱锁控制装置以及汽车
DE102013111894A1 (de) * 2013-10-29 2015-04-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tellantriebs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Stellantriebsanordnung
DE102014211440A1 (de) 2014-06-16 2015-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onische Lenkverriegelung
JP6685703B2 (ja) * 2015-11-25 2020-04-22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IT201600117298A1 (it) * 2016-11-21 2018-05-21 Pizzato Elettrica Srl Interruttore di sicurezza con cpu differenziate
CN109204224A (zh) * 2018-10-17 2019-01-15 天合汽车零部件(苏州)有限公司 基于双核微控制器的电子转向柱锁控制系统
CN109763711B (zh) * 2019-03-07 2023-10-03 广东汇泰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门外对门锁进行断电上电的装置
FR3113024B1 (fr) * 2020-07-28 2022-08-26 Jtekt Europe Sas Procédé de freinage magnétique d’une colonne de direction inclus dans un système de direction d’un véhicule
DE102021114699A1 (de) 2021-06-08 2022-12-08 Assa Abloy Sicherheitstechnik Gmbh Steuerungsvorrichtung mit Überspannungsschutz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7545C2 (de) * 1992-10-30 1996-11-21 Kansei Kk Vorrichtung für die Diebstahlsicherung eines Fahrzeugs
GB9721777D0 (en) * 1997-10-15 1997-12-10 Jaguar Cars Immobilisat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DE19945867C2 (de) * 1999-09-24 2002-01-17 Daimler Chrysler Ag Elektrische Lenkungsverriegelungsvorrichtung
DE10006234A1 (de) * 2000-02-11 2001-08-23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r elektrischen Betätigungseinheit
DE10010450C2 (de) * 2000-03-03 2002-04-25 Audi Ag Fahrzeugverriegelungsvorrichtung
DE10012440C2 (de) * 2000-03-15 2002-04-11 Daimler Chrysler Ag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Lenkungen von Kraftfahrzeugen
DE10039090A1 (de) 2000-08-10 2002-02-21 Daimler Chrysler Ag Elektronische Starter- und Lenkungs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3851802B2 (ja) * 2001-02-09 2006-11-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式車両盗難防止装置
JP3851803B2 (ja) * 2001-02-09 2006-11-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式車両盗難防止装置
JP3571705B2 (ja) * 2002-04-01 2004-09-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DE10344415A1 (de) * 2002-10-10 2004-04-22 U-Shin Ltd. Elektrisch betätigte Lenkradschlos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89568T1 (de) 2008-04-15
KR101195439B1 (ko) 2012-10-30
CN101018695A (zh) 2007-08-15
DE502005003366D1 (de) 2008-04-30
DE102004041869A1 (de) 2006-03-02
WO2006024336A1 (de) 2006-03-09
CN100457514C (zh) 2009-02-04
EP1784323B1 (de) 2008-03-19
EP1784323A1 (de) 2007-05-16
US20070251280A1 (en) 2007-11-01
US7582984B2 (en)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439B1 (ko) 전기 스티어링 잠금 장치
CN110829375B (zh) 具有改进反向极性保护功能的电源输入电路
US7656116B2 (en) Power supply system with function of short circuit detection
KR101110102B1 (ko) 글로우 플러그 구동 장치
US11852695B2 (en) Arrangement and process for monitoring an electrical safety interlock
JP2002374619A (ja) マルチ電圧電源回路網を保護する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マルチ電圧電源回路網を保護する装置および方法の使用法
KR20160127804A (ko) 차량 내의 다전압 온-보드 전원 공급 시스템용 제어기
KR100753736B1 (ko) 차량용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차량용 시동기
CN109415029B (zh) 用于机动车的多电压控制装置,机动车及控制装置的运行方法
CN110505984B (zh) 车载用电子控制装置
KR101621973B1 (ko) 주행안전제어시스템의 엔진 컨트롤 유닛 모터 또는 fet의 단락시의 보호회로.
CN114765361A (zh) 一种过压保护驱动电路、电机驱动电路及车辆
KR100413657B1 (ko) 라인 결합 장치 및 버스 시스템에서의 라인 결합 장치의사용
US6441556B1 (en) Integrated fault protection for switched electronic systems for satellite applications
WO2021148495A1 (en) Electronic compu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a circuit, which is supplied with a voltage via a control device external to computing device, arrangement as well as method
EP0750112A2 (en) Tamper-resistant circuit and engine control system
JP2019160487A (ja) 電源供給回路
US6982631B2 (en) Automotive security system with self-biasing bypass immobilizer
US20220103047A1 (en) Electric motor system, fan module for a vehicle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080112704A (ko) 과전압 보호회로
JP7105635B2 (ja) 電力を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安全状態コントローラ
JP2007201728A (ja) 電力供給制御装置
JPH11136850A (ja) 過電流防止回路
JP4431055B2 (ja) 集積部品
US9790912B2 (en) Glow tim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