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809A -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809A
KR20070043809A KR1020077002212A KR20077002212A KR20070043809A KR 20070043809 A KR20070043809 A KR 20070043809A KR 1020077002212 A KR1020077002212 A KR 1020077002212A KR 20077002212 A KR20077002212 A KR 20077002212A KR 20070043809 A KR20070043809 A KR 2007004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
hydroxyhydrocinnamate
bis
tri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3000B1 (ko
Inventor
왈리드 알-아크다르
로라 에프. 카핀
데이비드 엘리저 카산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10M129/76Esters containing free hydroxy or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20Thiols; Sulfides; Polysulfides
    • C10M135/22Thiols; Sulfides; Polysulfides containing sulfur atom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35/26Thiols; Sulfides; Polysulfides containing sulfur atom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carboxyl group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06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nitrogen-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1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phosphorus-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02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 C10M2205/0206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acyclic monomer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1Esters of (cyclo)aliphatic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2Esters of (cyclo)aliphatic o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3Esters of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8Esters
    • C10M2207/287Partial esters
    • C10M2207/289Partial esters containing f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15/04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containing hydroxy groups; Alkoxylate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8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14Containing carbon-to-nitrogen double bounds, e.g. guanidines, hydrazones, semicarbaz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18Containing nitrogen-to-nitrogen bonds, e.g. hydraz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0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0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 C10M2215/206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hydroxy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9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o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9Phos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4Detergent property or dispersant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8Resistance to extreme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10Semi-solids; greas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ubricant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산화적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윤활유 조성물은 성능 향상에 관여하는 기타 산화방지제와 조합된 특정 페놀 산화방지제를 함유한다.
산화적 성능, 윤활유 조성물, 산화방지제, 페놀 산화방지제

Description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Lubricating oil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은 산화적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WO 2000/22070호는 긴 수명의 가스엔진유 및 미량의 페놀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계를 개시한다.
미국특허 명세서 5,711,767호는 페놀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가솔린에서 검(gum)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화제 계를 개시한다.
Titova, T.F. et al. in Zhurnal Organicheskoi Khimii 1984, 20(9), 1899-905는 디메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의 합성을 개시한다.
특정 산화방지제를 함유하는 윤활유 조성물은 향상된 산화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I)의 1 이상의 입체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
b) 1 이상의 부가적 산화방지제 화합물; 및
c) 기액(base fluid)을 포함하는 산화적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1
식중에서,
R1 은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2 는 H 또는 R3 의 의미를 갖거나;
R3 은 -(CH2)x-COOR4 이고, 이때 x는 1 내지 10이며;
R4는 1 내지 24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거나 또는 부분 화학식(E)의 기이고;
n = 1 이면, E는 1 내지 24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며;
n = 2 이면, E는 2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이거나 또는 1 내지 5개 O 또는 S 원자에 의해 분단된 상기 알킬렌이고;
n = 3 이면, E는 3 내지 6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알칸트리일이며; 또
n = 4 이면, E는 펜타에리트리틸임.
상기 조성물에서 성분 a) + 성분 b)의 전체 중량에 대한 성분 a)의 중량%는 약 0.001% 내지 약 99.999% 이다.
알킬은 직쇄 또는 측쇄이며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n-헥실, n-헵틸, 3-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n-데실, 운데실, n-도데실, 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펜타데실, n-헥사데실, n-옥타데실, n-아이코실, 헵타데실, 2-에틸부틸, 1-메틸펜틸, 1,3-디메틸부틸, 1,1,3,3-테트라메틸부틸, 1-메틸헥실, 이소헵틸, 1-메틸헵틸, 1,1,3-트리메틸헥실 및 1-메틸운데실이다.
성분 a)의 특정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I)의 입체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을 포함한다:
디메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디이소옥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및
모노메틸-모노이소옥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성분 b)의 산화방지제 화합물은 페놀 산화방지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성분 b)의 바람직한 페놀 산화방지제는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3,6-디옥사옥타메틸렌 비스(3-메틸-5-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부틸-p-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1,3,5-트리스(2,6-디메틸-4-t-부틸-3-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2-(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3,5-디-(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메시톨,
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3,5-디(옥틸티오)-s-트리아진,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칼슘 비스(에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에틸렌 비스[3,3-디(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지드,
N,N'-비스[2-(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옥사미드,
2,6-디-t-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디-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N,N-디-(C14-C24알킬)-N-메틸아민 옥사이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및
N,N-디(수소화된 수지)히드록실아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성분 b)의 특히 바람직한 페놀 산화방지제는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에틸렌 비스[3,3-디(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지드,
2,6-디-t-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성분 b)의 더욱 바람직한 페놀 산화방지제는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본 발명에 따른 성분 c)에서 기액은 광유계 유체(API 그룹 I, II 및 III), 윤활유 베이스 스톡(base stock), 폴리-알파-올레핀-PAOs (API 그룹 IV), 에스테르 (API 그룹 V), 다른 합성 유체, 동물 또는 식물 기원의 천연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다. 기액은 엔진 오일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윤활유에서 유용하다. 현재의 윤활유는 예컨대 내부 연소 엔진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오일은 필요한 윤활 점도를 갖는다. 오일은 예컨대 광유이거나 합성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윤활유 베이스 스톡은 천연 윤활유, 합성 윤활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적합한 윤활유 베이스 스톡은 합성 왁스 및 슬랙 왁스(slack wax)의 이성질화에 의해 얻거나 조 오일의 방향족 및 극성 성분의 수소화분해(용매 추출이라기 보다는)에 의해 생성된 수소첨가분해물 베이스 스톡이다.
천연 윤활유는 동물유, 식물유(예컨대 평지씨유, 피마자유, 및 라아드유), 석유, 광유, 및 석탄이나 이판암으로부터 유도된 오일을 포함한다.
합성유는 탄화수소유 및 할로-치환된 탄화수소유, 예컨대 중합된 및 내부중합된 올레핀, 알킬 벤젠, 폴리페놀, 알킬화된 디페닐 에테르, 알킬화된 디페닐 술피드 뿐만아니라 이들의 유도체, 유사체 및 동족체 등을 포함한다. 합성 윤활유는 또한 알킬렌 옥사이드 중합체, 이들의 내부 중합체, 공중합체 및 유도체를 포함하며, 말단 히드록시 기가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등에 의해 변성되었다. 합성 윤활유의 다른 적합한 유형은 디카르복시산과 다양한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합성유로서 유용한 에스테르는 또한 C5 내지 C12 모노카르복시산과 폴리올 및 폴리올 에테르로부터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폴리알킬-, 폴리아릴, 폴리알콕시 또는 폴리아릴옥시-실옥산유 및 실리케이 트유와 같은 실리콘-계 오일은 다른 유용한 종류의 합성 윤활유를 포함한다. 다른 합성 윤활유는 인-함유 산, 중합성 테트라히드로푸란, 폴리알파올레핀 등의 액체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윤활유는 미정제, 정제, 재정제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미정제유는 천연 공급원 또는 합성 공급원(예컨대 석탄, 이판암 또는 타르 및 역청)으로부터 직접 추가의 정제나 처리없이 얻는다. 미정제유의 예는 레토르트 작업으로부터 직접 얻은 이판암 오일, 증류로부터 직접 얻은 석유 또는 에스테르화 공정으로부터 직접 얻은 에스테르유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추가의 처리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정제유는 정제유가 1회 이상 정제 공정으로 처리되어 1 이상의 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미정제유와 유사하다. 적합한 정제 수법은 증류, 수소 처리, 왁스제거, 용매 추출, 산 또는 염기 추출, 여과, 및 침출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재정제유는 정제유를 정제유를 얻기 위해 사용된 것과 유사한 공정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얻는다. 이들 재정제유는 재생유 또는 재가공유로도 공지되어 있으며 소비한 첨가물 및 오일 파손 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법으로 부가적으로 가공된다.
왁스의 수소이성질화(hydroisomerization)로부터 유도된 윤활유 베이스 스톡은 단독으로 또는 상술한 천연 및/또는 합성 베이스 스톡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왁스 이성질화된 오일은 천연 또는 합성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수소이성질화 촉매 상에서 수소이성질화처리함으로써 생산한다.
천연 왁스의 예는 광유의 용매 왁스제거에 의해 회수한 슬랙(slack) 왁스이 고; 합성 왁스는 피셔-트로쉬 공정에 의해 생성한 왁스이다. 생성한 이성질화된 생성물은 용매 왁스제거 및 분별증류처리되어 특정 점도 지수의 다양한 분획을 얻으며, 일반적으로 적어도 1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5의 VI를 가지며 왁스제거후에 약 -20℃ 이하의 유동점(pour point)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하는 왁스 이성질화된 오일의 생산은 미국특허 명세서 4,049,299호 및 미국특허 4,158,67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스(grease) 또는 고체 윤활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이다.
합성 탄화수소유는 세탄과 같은 장쇄 알칸 및 옥탄과 데칸의 삼중합체 및 사중합체와 같은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 합성유는 1) 약 2 내지 20개 탄소원자를 갖는 모노카르복시산의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유, 2) 폴리글리콜 에테르, 3) 폴리아세탈 및 4) 실옥산 액체와 혼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유용한 합성 에스테르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일가 알코올로부터 제조된 것이다. 예컨대, 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이들과 디- 및 트리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액체 및 1 내지 20개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 또는 이러한 산의 혼합물이다. 다른 예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1 내지 20개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 또는 이러한 산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에스테르 액체이다.
본 발명의 윤활유는 조(crude) 오일, 공업 윤활유, 절삭유, 금속가공유 및 그리스이다.
연료는 본 발명에 따른 기액, 예컨대 윤활특성이 필요한 특정 항공 연료 등 이다. 이러한 연료는 예컨대 모터 가솔린, 디젤 연료 또는 연료유와 같은 탄화수소성 석유 증류물이다. 알코올, 에테르, 유기-니트로 화합물 등(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디에틸 에테르, 메틸 에틸 에테르, 니트로메탄)과 같은 비-탄화수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연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옥수수, 알파파, 이판암 및 석탄과 같은 식물 또는 광물 기원으로부터 유래한 액체 연료이다. 1 이상의 탄화수소성 연료 및 1 이상의 비-탄화수소성 물질의 혼합물인 연료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의 예는 가솔린 및 에탄올의 조합물 및 디젤 연료와 에테르의 조합물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오일에 대하여 극압, 내마모 및 마찰감소 특성을 제공하며, 연소시 자동차에서 통상의 촉매 변환장치에 무해하다.
성분 a) + 성분 b)의 전체 중량에 대한 성분 a)의 중량%는 예컨대 약 0.001 내지 약 99.999% 이다. 예컨대 성분 a) + 성분 b)의 전체 중량에 대한 성분 a)의 중량%는 약 0.05% 내지 약 90.0%, 약 0.1% 내지 약 50.0% 또는 약 1.0% 내지 약 10.0% 이다.
본 발명의 첨가제 혼합물, 성분 a) 및 성분 b)의 조합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0.0 중량%의 총량으로 오일 조성물에 존재한다. 예컨대,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하여 약 0.05% 내지 약 15.0%, 약 0.1% 내지 약 10.0%, 약 0.2% 내지 약 5.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컨대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내지 약 20.0%, 약 0.1% 내지 약 15.0% 또는 약 0.1% 내지 약 5.0중량%로 존재한다.
해양 디젤 엔진용 윤활 조성물과 같은 극히 유해한 조건하에서 작동되는 윤활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첨가제는 윤활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약 30.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연료를 기준하여 약 1 ppm 내지 약 50 000 ppm 수준으로 연료 조성물에 존재한다. 예컨대 상기 첨가제는 연료 중량을 기준하여 약 4 ppm 내지 약 5 000 ppm 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분 a) 및 성분 b)의 조합물을 기준한 산화방지제 혼합물이다.
따라서, a) 1 이상의 화학식(I)의 입체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식중, R1, R2, R3, R4 및 E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및 b) 1 이상의 부가적 산화방지제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조성물도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e) 산화적, 열적 또는 광 유도 분해의 유해영향을 받기 쉬운 1 이상의 유기 물질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상술한 조성물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산화적, 열적 또는 광 유도 분해되기 쉬운 성분 e)에 유기 물질 및 성분 a)에 수록된 1 이상의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성분 b)에 수록된 1 이상의 산화방지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산화적, 열적 또는 광 유도 분해되기 쉬운 성분 e) 중의 유기 물질에 성분 a)에 수록된 1 이상의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성분 b)에 수록된 1 이상의 산화방지제 화합물을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 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방지제의 혼입에 의한 도움을 받을 성분 e) 중의 유기물질은 중합체, 예컨대 합성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성분 e) 중의 특히 바람직한 유기물질은 폴리올레핀 및 스티렌 공중합체, 예컨대 미국특허 명세서 5,478,875호, 항목 1 내지 3 및 항목 6 및 7에 언급된 것이다. 성분 e) 중의 특히 바람직한 유기 물질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ABS 및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성분 e) 중의 유기 물질이 합성 유기 중합체 또는 이러한 중합체의 혼합물, 특히 폴리올레핀 또는 스티렌 공중합체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b)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 b)에 따른 1 이상의 산화방지제 화합물; 및
c) 기액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1 이상의 화학식(I)의 성분 a)의 화합물을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윤활유 조성물에서 산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안정화된 윤활유는 부가적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 다른 첨가제, 성분 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들 제제의 기본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부가된다; 이러한 첨가제는 다른 산화방지제, 금속 탈활성화제, 녹 방지제, 부식 억제제, 점도 지수 향상제, 극압제, 유동점 강하제, 고형 윤활제, 분산제, 세제, 소포제, 색 안정화제, 다른 극압 첨가제, 분리제(demulsifier), 마찰 조절제 및 내마모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윤활유를 기준하여 각 경우 약 0.01% 내지 10.0 중량% 범위의 통상적인 양으로 부가된다. 이러한 부가적 첨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산화방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들어 2,6-디-t-부틸-4-메틸페놀, 2-t-부틸-4,6-디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2,6-디-t-부틸-4-n-부틸페놀, 2,6-디-t-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 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에서 분지된 노닐페놀 예컨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크-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크-1'-일)-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
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또는 2,6-디-도데실티오메틸- 4-노닐페놀;
3)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 예를들어 2,6-디-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t-부틸-히드로퀴논, 2,5-디-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또는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놀, β-토코페놀, γ-토코페놀, δ-토코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비타민E);
5)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들어 2,2'-티오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sec-아밀페놀) 또는 4,4'-비스 (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술피드;
6)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들어 2,2'-메틸렌비스(6-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부틸-2-메틸페놀),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 (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또는 1,1,5,5-테트라(5-t-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3,5,3',5'-테트라-t-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t-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술피드 또는 이소옥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머캅토아세테이트;
8)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t-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또는 디[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9)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들어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3, 5,6-테트라메틸벤젠 또는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10)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 -t-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또는 1,3,5-트리스 (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 벤질 포스포네이트, 예를들어 디메틸-2,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t-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 포스포네이트 또는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12) 아실아미노페놀, 예를들어 4-히드록시라우르아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르아닐리드 또는 옥틸 N-(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13) 1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글리세롤 또는 코코넛유, 평지씨유, 해바라기유 또는 평지유와 같은 천연 트리글리세리드를 기본한 에스테르교환반응 생성물과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β-(5-t-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 β-(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 또는 β-(5-t-부틸-4-히드록시페 닐)-3-티아부티르산의 에스테르;
14)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들어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피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또는 N,N'-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오피오닐)히드라진;
상기 항목 1) 내지 14)에 수록된 내용은 종래 기술에 잘 공지된 페놀 산화방지제의 예를 함유한다; 또
15)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16) 아민형 산화방지제, 예컨대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술폰아미도)-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t-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컨대, p,p'-디-t-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난오일아미노-페놀, 4-도데칸오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칸오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t-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 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t-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t-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노닐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t-부틸/t-옥틸페노타이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t-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또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및
17)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포스파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 또는 티오디아세트산의 에스테르, 또는 디티오카르밤산 또는 디티오인산의 염, 2,2,12,12-테트라메틸-5,9-디히드록시-3,7,1-트리티아트리데칸 또는 2,2,15,15-테트라메틸-5,12-디히드록시-3,7,10,14-테트라티아헥사데칸.
금속 탈활성제, 특히 구리에 대한 탈활성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벤조트리아졸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4- 또는 5-알킬벤조트리아졸 (예컨대 톨루트리아졸) 및 이들의 유도체, 4,5,6,7-테트라히드로벤조트리아졸, 5,5'-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 1-(디(2-에틸헥실)아미노메틸)톨루트리아졸 및 1-(디(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과 같은 벤조트리아졸 또는 톨루트리아졸의 만니히 염기; 알콕시알킬벤조트리아졸, 예컨대 1-(노닐옥시메틸)-벤조트리아졸, 1-(1-부톡시에틸)-벤조트리아졸 및 1-(1-시클로헥실옥시부틸)-톨루트리아졸;
2) 1,2,4-트리아졸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3-알킬(또는 아릴)-1,2,4-트리아졸, 1,2,4-트리아졸의 만니히 염기, 예컨대 1-(디(2-에틸헥실)아미노메틸)-1,2,4-트리아졸; 알콕시알킬-1,2,4-트리아졸, 예컨대 1-(1-부톡시에틸)-1,2,4-트리아졸; 아실화된 3-아미노-1,2,4-트리아졸;
3) 이미다졸 유도체, 예컨대 4,4'-메틸렌비스(2-운데실-5-메틸-이미다졸), 비스(N-메틸)이미다졸-2-일)카르비놀 옥틸 에테르;
4) 황-함유 헤테로고리 화합물, 예컨대 2-머캅토벤조트리아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2,5-디머캅토벤조티아디아졸 및 이들의 유도체; 3,5-비스(디(2-에틸헥실)아미노메틸)-1,3,4-티아디아졸린-2-온; 및
5) 아미노 화합물, 예컨대 살리실리덴프로필렌디아민, 살리실아미노구아니딘 및 이들의 염.
녹 방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유기 산, 이들의 에스테르, 금속 염, 아민 염 및 무수물, 예컨대 알킬- 및 알케닐숙신산 및 이들과 알코올, 디올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부분 에스테르, 알킬- 및 알케닐숙신산, 4-노닐페녹시아세트산, 알콕시- 및 알콕시에톡시카르복시산의 부분 아미드, 예컨대 도데실옥시아세트산, 도데실옥시(에톡시)아세트산 및 이들의 아민 염, 및 또한 N-옥레오일사르코신,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납 나프테네이트, 알케닐숙신산 무수물, 예컨대 무수 도데실숙신산, 2-(2-카르복시에틸)-1-도데실-3-메틸글리세롤 및 이들의 염, 특히 나트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염;
2) 질소-함유 화합물, 예컨대:
i) 일급, 이급 또는 삼급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아민 및 유기산 및 무기산의 아민 염, 예컨대 지용성 알킬암모늄 카르복실레이트, 및 또한 1-(N,N-비스(2-히드록시에틸)아미노)-3-(4-노닐페녹시)프로판-2-올;
ii)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예컨대 치환된 이미다졸린 및 옥사졸린, 2-헵타데세닐-1-(2-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
3) 인-함유 화합물, 예컨대 인산 부분 에스테르 또는 포스폰산 부분 에스테르의 아민 염,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4) 황-함유 화합물, 예컨대 바륨 디노닐나프탈렌-술포네이트, 칼슘 석유술포네이트, 알킬티오-치환된 지방족 카르복시산, 지방족 2-술포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 및 그의 염; 및
5) 글리세롤 유도체, 예컨대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1-(알킬페녹시)-3-(2-히드록시에틸)글리세롤, 1-(알킬페녹시)-3-(2,3-디히드록시프로필)글리세롤, 2-카르복시알킬-1,3-디알킬글리세롤.
유용한 점도 지수 향상제는 가공처리된 오일에 향상된 점도 특성을 부여하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약 2 000 내지 1 000 000, 바람직하게는 약 50 000 내지 200 000 범위의 분자량 Mw을 갖는 탄화수소계 중합체이다. 점도 지수 향상제 중합체는 올레핀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폴리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스타(star)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부텐,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에테르를 포함한다. 점도지수 향상제는 일작용성 또는 다작용성일 수 있으며, 예컨대 분산성, 유동점 강하와 같은 2차 윤활 특성을 제공하는 치환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유동점 강하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킬화 나프탈렌 유도체.
분산제/계면활성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폴리부테닐숙신아미드 또는 -이미드, 폴리부테닐-포스폰산 유도체, 및 염기성 마그네슘, 칼슘 및 바륨 술포네이트, 페놀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
소포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실리콘유 및 폴리메타크릴렌.
분리제는 예컨대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디노닐나프탈렌 술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마찰 개질제는 예컨대 지방산 및 이들의 유도체 (즉, 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와 같은 지방산의 천연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및 아민 (즉, 올레일아민), 황 함유 유기 몰리브덴 디티오카르바메이트, 황-인 함유 유기 몰리브덴 디티오포스페이트, 분산제를 기본한 황-질소 함유 유기 몰리브덴 화합물, 몰리브덴 카르복실 레이트 염, 몰리브덴 아민 복합체, 몰리브덴 아민/알코올/아미드 복합체 및 몰리브덴 클러스터 화합물, TeflonTM 및 몰리브덴 디술피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내마모 첨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황- 및/또는 인- 및/또는 할로겐-함유 화합물, 예컨대 황화된 올레핀 및 식물유, 아연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염소화된 파라핀, 알킬 및 아릴 디- 및 트리술피드, 모노- 및 디알킬 포스페이트의 아민 염, 디-(2-에틸헥실)-아미노메틸톨릴 트리아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의 유도체, 에틸(비스이소프로필옥시포스피노티오일)티오프로피오네이트, 트리페닐 티오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트리스(알킬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및 그의 혼합물, 예컨대 트리스(이소노닐페닐)포스포로티오에이트, 디페닐모노노닐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이소부틸페닐 디페닐 포스포로티오에이트, 3-히드록시-1,3-티아포스페탄 3-옥사이드의 도데실아민 염, 트리티오인산 5,5,5-트리스-이소옥틸 2-아세테이트, 2-머캅토벤조티아졸의 유도체, 예컨대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2-머캅토-1H-1,3-벤조티아졸 및 에톡시카르보닐 5-옥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금속이 알루미늄, 납, 주석 망간, 코발트, 니켈, 아연 또는 구리인 디히드로카르빌 디티오포스페이트 금속 염. 아연 염(아연 디알킬 디티오포스페이트)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2
식중에서,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C1-C20 알킬, C3-C20 알케닐, C5-C12 시클로알킬, C7-C13 아르알킬 또는 C6-C10 아릴이며, 예컨대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12 알킬이다.
적합한 내마모 첨가제는 미국특허 명세서 4,584,021호, 5,798,321호, 5,750,478호, 5,801,130호, 4,191,666호, 4,720,288호, 4,025,288호, 4,025,583호 및 WO 095/20592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폴리아민과 같은 아민, 예컨대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 펜타아민, 펜타에틸렌 헥사아민, 노나에틸렌 데실아민 및 아릴 아민은 미국특허 명세서 4,267,06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아민 포스페이트의 염은 스폐셜티 아민 및 혼합된 일산 및 이산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며; 일산 및 이산 포스페이트 아민은 다음 화학 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3
식중에서,
R27 은 수소, 비치환되거나 또는 1 이상의 C1-C6 알콕시 기, 포화 비환식 또 는 지환식 기에 의해 치환된 C1-C25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아릴이고;
R28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1 이상의 C1-C6 알콕시 기, 포화 비환식 또는 지환식 기에 의해 치환된 C1-C25 직쇄 또는 측쇄 알킬, 또는 아릴이며;
R29는 수소, C1-C25 직쇄 또는 측쇄 알킬, 포화 또는 불포화 비환식 또는 지환식 기, 또는 아릴이고; 또 수소 또는 C1-C12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또
R30 및 R31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25 직쇄 또는 측쇄 알킬, 포화 또는 불포화 비환식 또는 지환식 기, 또는 아릴임. 바람직하게는, R27 및 R28은 직쇄 또는 측쇄 C1-C12 알킬이고; 또 R29, R30 및 R31은 직쇄 또는 측쇄 C1-C18 알킬임.
Irgalube® 349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는 엄중한 군사용 성능 제원을 만족하도록 기유(base oil)의 마모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아주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IRGALUBE 349는 하기 화학식에 상응한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4
식중에서,
R33 은 n-헥실이고, R34 는 C11-C14 측쇄 알킬이며, 또 x =1 이면 y는 2이고; x=2이면 y는 1임.
다른 통상의 내마모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5
식중에서,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C3-C18 알킬, C5-C12 시클로알킬, C5-C6 시클로알킬메틸, C9-C10 비시클로알킬메틸, C9-C10 트리시클로알킬메틸, 페닐 또는 C7-C24 알킬페닐이거나 또는 합쳐져서 (CH3)2C(CH2)2 이고 또 R3 은 수소 또는 메틸임.
대표적인 화합물은 Irgalube® 353 (시바 스폐셜티 케미컬스), 디알킬 디티오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CAS Reg. No. 268567-32-4 이다.
윤활유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첨가제 이외에 다른 공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테트라알킬 납 화합물과 같은 항 녹킹제(antiknocking agent), 할로알칸(예컨대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및 에틸렌 디브로마이드)와 같은 납 파괴화합물, 트리알 포스페이트와 같은 침적물 방지제 또는 개질제, 염료, 세탄 향상제, 2,6-디-t-부틸-4-메틸페놀과 같은 산화방지제, 알킬화 숙신산 및 그 무수물과 같은 녹 방지제, 세균발육억제제, 검 억제제, 금속 탈활성화제, 분리제, 상부 실린더 윤활제 및 빙결 방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공지된 방식으로 윤활유에 도입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오일에서 쉽게 용해될 수 있다. 이들은 윤활유에 직접 부가될 수 있거 나 또는 실질적으로 불활성, 정상적으로 액체 유기 희석제, 예컨대 나프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또는 정상적인 액체 오일 또는 연료에 의해 희석되어 첨가제 농축물 또는 마스터뱃치를 형성한다. 이들 농축물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약 90 중량%의 첨가제를 함유하며 또 1 이상의 다른 부가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첨가제 팩키지의 일부로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1: 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실시예 2-13: 산화방지제 조성물
실시예 14-18: 적용 실시예
실시예 1: 옥틸 3,5-디-t-부틸-4- 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56.0 g, 0.88몰) 및 이소옥탄올 (133.0 g, 0.91 몰)을 필요한 보조 장치를 구비한 실험실용 반응기에 부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0.04 바아의 감압하에서 85℃로 가열하였다. 15분 후,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77 g, 0.0087 몰, 론-폴렝, Manalox® 130)을 부가하였다. 이 반응 덩어리를 0.1 바아의 감압하에서 130℃로 가열하였다. 2시간 후, 0.04 바아의 감압하에서 1시간 동안 반응 덩어리를 165℃로 가열하였다. 과량의 이소옥탄올을 165℃ 에서 감압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표제 화합물(331.0 g, 97% 수율)을 담황색 오일로서 얻으며, 검량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판단된 바와 같이 97%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산화방지제 조성물
페놀 산화방지제 및 포스파이트는 예컨대 메탄올 및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유기 용매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이들 용매 기류를 서로 혼합하고 용매는 증류에 의해 회수하였다. 용매 증류후 잔류하는 잔류물은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2,6-디-t-부틸페놀 5.4 중량%; 2,4-디-t-부틸페놀 0.35 중량%;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1.2 중량%; 화합물 A: 29.0 중량%;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3.7 중량%;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2 중량%;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5.9%;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4.3 중량%;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4.2 중량%;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3 중량%을 함유한다.
화합물 A는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6
: 디메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이다.
실시예 3: 산화방지제 조성물
페놀 산화방지제는 이들을 제조하는 동안 증류에 의해 정제하였다. 잔류하는 증류 잔류물은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2,6-디-t-부 틸페놀 42.3 중량%; 2,4-디-t-부틸페놀 0.85 중량%;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9.0 중량% 및 화합물 A(실시예 2 중의 구조식) 27.9 중량%를 함유하였다.
실시예 4: 산화방지제 조성물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조성물(80.0 g, 0.21 몰), 실시예 2(20.0 g) 및 메탄올 (2.8 g, 0.088 몰)을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수분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 까지 증류를 계속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옅은 호박오일로서 얻었다(99.0 g).
실시예 5: 산화방지제 조성물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조성물(90.0 g, 0.23 몰), 실시예 2(10.0 g) 및 메탄올 (1.4 g, 0.044 몰)을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수분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증류를 계속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옅은 호박오일로서 얻었다(98.0 g).
실시예 6: 산화방지제 조성물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조성물(95.0 g, 0.24 몰), 실시예 2(5.0 g) 및 메탄올 (0.7 g, 0.022 몰)을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수분 및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일정한 중량이 얻어질 때 까지 증류를 계속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은 옅은 호박오일로서 얻었다(99.0 g).
실시예 7: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54.0 g, 0.87 몰), 이소 옥탄올 (142.5 g, 1.09 몰, Exxon이 제조한 Exxal 8) 및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 (51.0 g)을 반응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85℃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5.0 g, 0.025 몰, 론-폴렝, MANALOX 130)을 일부분씩 부가하였다. 130℃로 가열하면서 감압을 인가하였다. 7시간 후, 온도를 3시간 동안 165℃로 증가시켰다. 과량의 이소옥탄올은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을 옅은 호박오일로서 수득(380.2 g)하며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이소옥틸 에스테르 87.6 중량%(혼합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8: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25.0 g, 0.43 몰), 이소옥탄올 (75.0 g, 0.58 몰, Exxon이 제조한 Exxal 8) 및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 (30.3 g)을 반응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87℃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0.78 g, 0.004 몰, 론 폴렝, MANALOX 130)을 일부분씩 부가하였다. 150℃로 가열하면서 0.13 바아의 감압을 인가하였다. 2시간 30분 후, 과량의 이소옥탄올은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을 옅은 호박오일로서 수득(187.3 g)하며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이소옥틸 에스테르 88.2 중량%(혼합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9: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0.224 g, 34.97 몰), 이소옥탄올 (6002.0 g, 46.1 몰, Exxon이 제조한 Exxal 8) 및 실시예 3에 따른 조성 물 (1139.0 g)을 반응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244.2 g, 1.25 몰, 론 폴렝, MANALOX 130)을 부가하였다. 150℃로 가열하면서 감압을 인가하였다. 1시간 후, 온도를 3시간 동안 165℃로 증가시켰다. 과량의 이소옥탄올은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을 옅은 호박오일로서 수득(15.164 g)하며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이소옥틸 에스테르 90.8 중량%(혼합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0: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8640 g, 29.5 몰), 이소옥탄올 (5339.0 g, 41 몰, Exxon이 제조한 Exxal 8) 및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 (2229.0 g)을 반응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20.0 g, 0.62 몰, 론 폴렝, MANALOX 130)을 부가하였다. 150℃로 가열하면서 감압을 인가하였다. 2시간 30분 후, 과량의 이소옥탄올은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을 옅은 호박오일로서 수득(13,497 g)하며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이소옥틸 에스테르 88.1 중량%(혼합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1: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3909.0 g, 30.5 몰), 이소옥탄올 (4999.0 g, 38.4 몰, Exxon이 제조한 Exxal 8) 및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 (1815.0 g)을 반응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174 g, 0.89 몰, 론 폴렝, MANALOX 130)을 일부분씩 부가하였다. 130℃로 가열하면서 감압을 인가하였다. 7시간 후, 온도를 3시간 동안 165℃로 증가시켰다. 과량의 이소옥탄올은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을 옅은 호박오일로서 수득(13,834 g)하며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이소옥틸 에스테르 89.0 중량%(혼합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2: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00 kg), 이소옥탄올 (62.9 kg, Exxon이 제조한 Exxal 8) 및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 (30.7 kg)을 반응 플라스크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이소프로폭사이드 (650.0 g, 3.3 몰, 론 폴렝, MANALOX 130)을 부가하였다. 150℃로 가열하면서 0.2 바아의 감압을 인가하였다. 산화방지제 조성물을 옅은 호박오일로서 수득(356.9 lbs)하며 검량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바와 같이 이소옥틸 에스테르 85.9 중량%(혼합물로서)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13: 산화방지제 조성물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탄올 및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을 반응기에 부가하고 감압하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감압을 제거하고 MANALOX 130을 부가하였다. 150℃로 가열하면서 0.2 바아의 감압을 인가하였다. 2시간 30분 후, 과량의 이소옥탄올은 감압하에서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이들 반응 조건하에서, 디메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및 모노 메틸-모노이소옥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인화점 시험
휘발성, 인화성 성분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화점 시험을 실시하였다. 샘플들을 Erdco Rapid Tester Model RT-1을 이용하여 22.2℃, 60.6℃ 및 92.8℃ 상에서 시험하였다. 결과를 하기에 수록한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7
이 결과는 상기 조성물이 휘발성, 인화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5: TGA 분석
일부 대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열중량 분석(TGA)를 실시함으로써 승온에서 이들의 휘발성을 평가하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른 샘플의 중량 손실을 확인하고 10% 및 50% 중량 손실이 생기는 온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를 하기에 수록한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8
상기 데이터는 상기 조성물이 종래 기술에 공지된 화합물인 실시예 1에 따른 화합물에 비하여 휘발성이 덜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6: 고온 침적 시험
승용차 모터 오일 및 디젤 엔진 오일 제제와 같은 윤활유에서 침적물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성물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강철 컵 상의 오일의 박막을 시간 경과되는 동안 Alcor Micro Carbon Residue Tester 중, 230℃에서 가열하였다. 각 시간 간격 후 컵을 헥산으로 세척하고 남겨진 잔류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기본 제제에 의해 형성된 침적물 %의 차이는 기본 제제 + 안정화제에 의해 형성된 침적물 %와 비교하였다. 침적물 형성에서 효과적인 감소 크기는 성능 지수(PI)로 표시되는 비율로 평가하였다. PI 값이 더 높을 수록 샘플이 침적물 형성을 제어하는데 더 효과적인 것을 나타낸다. 각 제제는 충분히 제제화된 SAE 5W-30 승용차 모터 오일, 0.05 중량%의 인을 갖는 GF-4형 제제에서 1.5 중량%이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09
실시예 17: 뜨거운 관( tube ) 시험
오일 샘플의 침적물 형성 경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조성물을 평가하였다. 이 시험에서, 오일 방울은 248℃로 가열된 유리 모세관내 압축 공기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시험 오일은 16시간 동안 시험관 상부로 스며들어 시험관의 내벽 상에 래커를 형성한다. 시험의 말기에 시험관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며 0 내지 10 기준(0: 더러움, 10: 청결)으로 청결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각 제제는 충분히 제제화된 SAE 5W-30 승용차 모터 오일, 0.05중량% 인을 갖는 GF-4형 제제에서 1.5 중량%의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데이터를 하기에 수록하며 2개 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10
실시예 18: HPDSC 시험
고압 미분 주사 열량측정법(HPDSC)은 다양한 기질에서 첨가제의 산화적 성능을 평가하는 분석 수법이다. TA Instrument Model 2920을 평가에 사용하였다. 이 시험은 평가할 물질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한 압력하에서 실시하였다. 이 평가에서, 알루미늄 팬 중의 샘플을 공기에 의해 0.519 바아로 가압된 셀 중, 210℃에서 등온적으로 가열하였다. 발열 반응이 생길 때까지 걸린 시간(산화 유도 시간)을 측정하였다. 산화 유도 기간이 길수록 샘플이 더 안정하다.
각 제제는 충분히 제제화된 SAE 5W-30 승용차 모터 오일, 0.05중량% 인을 갖는 GF-4형 제제에서 1.5 중량%의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데이터를 하기에 수록하며 2개 시험의 평균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08657614-PCT00011

Claims (9)

  1. a) 하기 화학식(I)의 1 이상의 입체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
    b) 1 이상의 부가적 산화방지제 화합물; 및
    c) 기액(base fluid)
    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
    Figure 112007008657614-PCT00012
    (I)
    식중에서,
    R1 은 1 내지 4개 탄소원자의 알킬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R2 는 H 또는 R3 의 의미를 갖거나;
    R3 은 -(CH2)x-COOR4 이고, 이때 x는 1 내지 10이며;
    R4는 1 내지 24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거나 또는 부분 화학식(E)의 기이고;
    n = 1 이면, E는 1 내지 24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며;
    n = 2 이면, E는 2 내지 12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이거나 또는 1 내지 5개 O 또는 S 원자에 의해 분단된 상기 알킬렌이고;
    n = 3 이면, E는 3 내지 6개 탄소원자의 직쇄 또는 알칸트리일이며; 또
    n = 4 이면, E는 펜타에리트리틸임.
  2.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a)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태된 화학식(I)의 입체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디메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디이소옥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및
    모노메틸-모노이소옥틸 α-(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글루타레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b)의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3,6-디옥사옥타메틸렌 비스(3-메틸-5-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부틸-p-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1,3,5-트리스(2,6-디메틸-4-t-부틸-3-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2-(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3,5-디-(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메시톨,
    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디-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3,5-디(옥틸티오)-s-트리아진,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칼슘 비스(에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에틸렌 비스[3,3-디(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지드,
    N,N'-비스[2-(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옥사미드,
    2,6-디-t-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디-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N,N-디-(C14-C24 알킬)-N-메틸아민 옥사이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및
    N,N-디(수소화된 수지)히드록실아민.
  4.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b)의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에틸렌 비스[3,3-디(3-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지드,
    2,6-디-t-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성분 b)의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n-옥타데실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이소옥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메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d) 다른 산화방지제, 금속 탈활성화제, 녹 방지제, 부식 억제제, 점도 지수 향상제, 극압제, 유동점 강하제, 고형 윤활제, 분산제, 세제, 소포제, 색 안정화제, 다른 극압 첨가제, 분리제(demulsifier), 마찰 조절제 및 내마모 첨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7. b)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 b)에 따른 1 이상의 산화방지제 화합물; 및
    c) 기액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에,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은 성분 a)의 1 이상의 화학식(I)의 화합물을 혼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윤활유 조성물에서 산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8. a) 1 이상의 화학식(I)의 입체장애 페놀 산화방지제 화합물(식중, R1, R2, R3, R4 및 E는 제 1항에 정의된 바와 같음); 및
    b) 1 이상의 부가적 산화방지제 화합물의 혼합물
    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e) 산화적, 열적 또는 광 유도 분해의 유해영향을 받기 쉬운 1 이상의 유기 물질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조성물.
KR1020077002212A 2004-08-18 2005-08-08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 KR101223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259304P 2004-08-18 2004-08-18
US60/602,593 2004-08-18
PCT/EP2005/053883 WO2006018403A1 (en) 2004-08-18 2005-08-08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with improved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809A true KR20070043809A (ko) 2007-04-25
KR101223000B1 KR101223000B1 (ko) 2013-01-16

Family

ID=34973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212A KR101223000B1 (ko) 2004-08-18 2005-08-08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531487B2 (ko)
EP (1) EP1776441A1 (ko)
JP (1) JP5078614B2 (ko)
KR (1) KR101223000B1 (ko)
CN (1) CN101006165B (ko)
AU (1) AU2005273923B2 (ko)
BR (1) BRPI0514457B1 (ko)
CA (1) CA2575502C (ko)
MX (1) MX2007001788A (ko)
TW (1) TWI383042B (ko)
WO (1) WO20060184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30B1 (ko) * 2010-10-07 2012-04-17 송원산업 주식회사 신규한 화합물의 산화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 아세탈 수지 조성물
US9920274B2 (en) 2015-02-09 2018-03-20 Moresco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use thereof and aliphatic ether compou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564A (ja) 2002-04-05 2005-07-28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マサチューセッツ ロウエル ポリマー抗酸化剤
CA2574581A1 (en) 2004-07-23 2006-02-09 Polnox Corporation Anti-oxidant macromonomers and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589855A1 (en) 2004-12-03 2006-06-08 Polnox Corporatio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polyalkylphenol antioxidants
US7902317B2 (en) 2004-12-03 2011-03-08 Polnox Corporation Synthesis of aniline and phenol-based antioxidant macromonomers and corresponding polymers
US7799948B2 (en) 2005-02-22 2010-09-21 Polnox Corporation Nitrogen and hindered phenol containing dual functiona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synthesis, performances and applications
WO2006104957A2 (en) 2005-03-25 2006-10-05 Polnox Corporation Alkylated and polymeric macromolecular antioxid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70106059A1 (en) * 2005-10-27 2007-05-10 Cholli Ashok 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and polymeric macromolecular antioxidants
US20070149660A1 (en) 2005-10-27 2007-06-28 Vijayendra Kumar Stabil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7705176B2 (en) 2005-10-27 2010-04-27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antioxidants based on sterically hindered phenols and phosphites
WO2007064843A1 (en) * 2005-12-02 2007-06-07 Polnox Corporation Lubricant oil compositions
US7928045B2 (en) * 2006-02-28 2011-04-19 Chemtura Corporation Stabilizing compositions for lubricants
EP2027235A1 (en) * 2006-05-23 2009-02-25 Ciba Holding Inc. Corrosion inhibiting composition for non-ferrous metals
WO2008005358A2 (en) 2006-07-06 2008-01-10 Polnox Corporation Novel macromolecular antioxidants comprising differing antioxidant moieties: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767853B2 (en) 2006-10-20 2010-08-03 Polnox Corporation Antioxid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1778893B (zh) * 2007-08-01 2012-11-28 巴斯夫欧洲公司 液体抗氧化剂混合物
TWI391480B (zh) * 2007-08-08 2013-04-01 Sanyo Chemical Ind Ltd 低硫磺燃料油用降低磨損劑
CN101397521B (zh) * 2007-09-28 2012-05-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压缩机油组合物
US7897552B2 (en) * 2007-11-30 2011-03-01 Afton Chemical Corporation Additives and lubricant formulations for improved antioxidant properties
AU2009228775B2 (en) * 2008-03-26 2012-06-1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Automotive fuel compositions
CN101851546B (zh) * 2009-03-31 2012-05-2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冷冻机油组合物
US20100292112A1 (en) * 2009-05-14 2010-11-18 Afton Chemical Corporation Extended drain diesel lubricant formulations
US8377856B2 (en) 2009-05-14 2013-02-19 Afton Chemical Corporation Extended drain diesel lubricant formulations
US8236204B1 (en) 2011-03-11 2012-08-07 Wincom, Inc. Corrosion inhibitor compositions comprising tetrahydrobenzotriazoles solubilized in activating solven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8236205B1 (en) 2011-03-11 2012-08-07 Wincom, Inc. Corrosion inhibitor compositions comprising tetrahydrobenzotriazoles and other triazol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2937581A (zh) * 2012-11-08 2013-02-20 中国人民解放军空军勤务学院 润滑脂高温抗氧化性能的快速评定方法
EP3071544B1 (en) 2013-11-22 2022-07-06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antioxidants based on dual type moiety per molecule: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4152214A (zh) * 2014-08-15 2014-11-19 天津利安隆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润滑油组合物
EP3298112B1 (en) * 2015-05-19 2023-05-10 Quaker Chemical Corporation Synthetic esters derived from high stability oleic acid
CN104987304B (zh) * 2015-06-19 2017-06-30 武汉轻工大学 N‑(4‑苯胺基苯基)‑酰胺基硫醚类化合物的抗氧剂
GB2549061B (en) 2015-09-03 2020-04-01 Si Group Switzerland Chaa Gmbh Stabilising Compositions
US20180251695A1 (en) 2017-03-01 2018-09-06 Polnox Corporation Macromolecular Corrosion (McIn) Inhibitors: Structu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3692098A4 (en) * 2017-10-03 2020-10-14 SI Group-Shanghai Co., Ltd. PHENOLIC RESINS MIXED WITH ANTIOXIDANTS
JP7061016B2 (ja) * 2018-05-18 2022-04-27 シェルルブリカンツジャパン株式会社 レシプロ型コンプレッサー油
US11499106B2 (en) 2018-11-26 2022-11-15 Shell Usa, Inc. Fuel compositions
JP7181778B2 (ja) * 2018-12-07 2022-12-01 シェルルブリカンツジャパン株式会社 難燃性油圧作動油
CN117568090B (zh) * 2023-11-16 2024-04-30 俄美达(武汉)有限公司 一种半导体合金靶材切削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84832A (ko) 1961-10-30
US3285855A (en) 1965-03-11 1966-11-15 Geigy Chem Corp Stabilization of organic material with esters containing an alkylhydroxy-phenyl group
US3637585A (en) * 1966-01-26 1972-01-25 Ethyl Corp Antioxidation of organic compositions
DE1947128B2 (de) 1969-09-18 1972-05-25 Advance Prod Gmbh Verwendung von (4-hydroxy-3,5-dialkylbenzyl)-tetracarbonsaeure-estern zum stabilisieren von polyolefinen und styrol-copolymerisaten
US4659863A (en) * 1985-09-12 1987-04-21 Ethyl Corporation Phenolic ester synthesis
US5523007A (en) 1987-07-01 1996-06-04 Ciba-Geigy Corporation Stabilized diesel engine oil
US5198130A (en) 1991-01-08 1993-03-30 Ciba-Geigy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s
JPH05238989A (ja) * 1992-02-28 1993-09-17 Dainippon Ink & Chem Inc アルキル−β−(3,5−ジアルキル−4−ヒドロキシフェニル)プロピオネートの製法
ES2101994T3 (es) * 1992-04-08 1997-07-16 Ciba Geigy Ag Antioxidantes liquidos como estabilizadores.
JP3510368B2 (ja) 1995-01-31 2004-03-29 東燃ゼネラル石油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US5744430A (en) 1995-04-28 1998-04-28 Nippon Oil Co., Ltd. Engine oil composition
AU701875B2 (en) * 1995-09-08 1999-02-11 Lubrizol Corporation, The Pour point depressants and their use
US6096695A (en) 1996-06-03 2000-08-01 Ethyl Corporation Sulfurized phenolic antioxidant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petroleum products containing same
US5711767A (en) 1996-07-11 1998-01-27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Stabilizers for the prevention of gum formation in gasoline
CA2237922C (en) 1997-05-20 2008-09-23 Paul Dubs Liquid multifunctional additives
US5840672A (en) 1997-07-17 1998-11-24 Ethyl Corporation Antioxidant system for lubrication base oils
US7166562B2 (en) 1998-10-13 2007-01-23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ong life gas engine oil and additive system
US6656887B2 (en) 2001-01-24 2003-12-02 Nippon Mitsubishi Oil Corporatio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WO2003033629A1 (fr) 2001-10-12 2003-04-24 Nippon Oil Corporation Composition d'huile de lubrification pour moteur thermique
JP4011967B2 (ja) 2002-05-07 2007-11-21 シェブロンジャパン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CN100497560C (zh) 2002-06-28 2009-06-10 新日本石油株式会社 润滑油组合物
US7667066B2 (en) * 2004-02-27 2010-02-23 Albemarle Corporation Preparation of sterically hindered hydroxyphenylcarboxylic acid est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30B1 (ko) * 2010-10-07 2012-04-17 송원산업 주식회사 신규한 화합물의 산화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 아세탈 수지 조성물
US9920274B2 (en) 2015-02-09 2018-03-20 Moresco Cor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use thereof and aliphatic ether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10053A (ja) 2008-04-03
US7531487B2 (en) 2009-05-12
TW200613542A (en) 2006-05-01
WO2006018403A1 (en) 2006-02-23
US20060040833A1 (en) 2006-02-23
CA2575502A1 (en) 2006-02-23
CN101006165A (zh) 2007-07-25
AU2005273923B2 (en) 2010-11-11
MX2007001788A (es) 2007-03-26
EP1776441A1 (en) 2007-04-25
CA2575502C (en) 2013-06-04
KR101223000B1 (ko) 2013-01-16
CN101006165B (zh) 2010-05-05
BRPI0514457B1 (pt) 2014-12-16
AU2005273923A1 (en) 2006-02-23
JP5078614B2 (ja) 2012-11-21
TWI383042B (zh) 2013-01-21
BRPI0514457A (pt)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000B1 (ko) 성능이 향상된 윤활유 조성물
JP4995086B2 (ja) アルキルアミノアセトアミド潤滑油添加剤
JP5080969B2 (ja) アルキル化されたpana及びdpa組成物
KR100624206B1 (ko) 노닐화디페닐아민
KR100274361B1 (ko) 디티오인산 유도체,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윤활 첨가제로서의 용도
KR101074725B1 (ko) 보레이트 에스테르 윤활 첨가제
KR20130028033A (ko) 윤활 조성물
EP2885384B1 (en) Lubricant composition comprising acyclic hindered amines
EP0819754A1 (de) Beta-Dithiophosphorylierte Propionsäure in Schmierstoffen
KR20090010041A (ko) 비철 금속에 대한 부식 억제 조성물
EP3212746B1 (en) Alkoxylated amides, esters, and anti-wear ag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JP2002105481A (ja) 5−第三ブチル−4−ヒドロキシ−3−メチルフェニル置換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潤滑剤
JP4602768B2 (ja) 液体フェノール系硫黄含有抗酸化剤
JP2008520784A (ja) ベンゾトリアゾール組成物
KR102124103B1 (ko) 개선된 마모방지 특성을 갖는 윤활제 조성물
US20190127526A1 (en) Antioxidant Polymeric Diphenylamine Compositions
KR100402709B1 (ko) (벤조)트리아졸라디칼과의화합물
KR20050046781A (ko) 부식 방지제로서 유용한 숙신산 반-아미드
EP0856574B1 (en) Liquid polyfunctional additives for improved fuel lubricity
JPH06199852A (ja) 無リン潤滑剤添加剤
JPH06199878A (ja) 耐摩耗添加剤としての新規ジチオホスフェ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