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044A - 복합 발전설비 - Google Patents

복합 발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044A
KR20070043044A KR1020077005936A KR20077005936A KR20070043044A KR 20070043044 A KR20070043044 A KR 20070043044A KR 1020077005936 A KR1020077005936 A KR 1020077005936A KR 20077005936 A KR20077005936 A KR 20077005936A KR 20070043044 A KR20070043044 A KR 2007004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rbon dioxide
exhaust
cathode
gas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690B1 (ko
Inventor
이치 코다
후미히코 요시바
Original Assignee
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filed Critical 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7004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56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 H01M8/04164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with product water removal by condensers, gas-liquid separator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01M8/04022Heating by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4Fuel cells with fused electrolytes
    • H01M2008/147Fuel cells with molten carbon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2Combination of fuel cell with other electric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1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using a compressor turbine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40Fuel cell technologies in production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H2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O2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2)와, MCFC(2)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3)와, 연소기(3)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4)과, 가스터빈(4)의 배기 CO2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15)으로 이루어지며, 연료와 당량비의 O2만을 공급함으로써, 발전에 수반하여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전량을 회수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화제로서 CO2를 얻을 수 있는 폐 사이클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과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복합 발전설비로 한다.
연료전지, 가스터빈, 발전설비

Description

복합 발전설비{COMBINED POWER GENE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와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복합 발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는 예를 들면 니켈 다공질체의 연료극(애노드)과, 예를 들면 산화니켈 다공질체의 공기극(캐소드) 사이에, 전해질(탄산염)이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연가스 등의 연료로부터 수득된 수소(H2)를 애노드에 공급하는 동시에, 공기(O2)와 이산화탄소(CO2)를 캐소드에 공급함으로써 H2와 O2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진다. MCFC는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고효율로 CO2를 회수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영향이 적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수력, 화력, 원자력에 이은 발전 시스템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 MCFC는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배기를 가스터빈의 연소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MCFC와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복합 발전설비도 종래부터 제안되어 오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MCFC와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복합 발전설비로 하는 것에 의해, MCFC와 가스터빈으로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H11-135139호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는 MCFC와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MCFC에서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한 발전과 가스터빈의 구동에 의한 발전에 의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MCFC는 CO2의 농축 회수ㆍ분리가 가능하다는 등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가스터빈과 조합시켰을 경우에는 더 한층 고효율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차원으로의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 실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MCFC와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설비에 있어서, 고효율화와 이산화탄소의 회수의 용이화, 및 저코스트화,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1 항의 복합 발전설비는,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폐기 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연료와 당량비의 산소만을 공급함으로써 발전에 수반하여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전량을 회수해서 캐소드 가스의 산화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얻을 수 있는 폐 사이클의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게 되어,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는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순환계통에는 배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 분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연료와 당량비의 산소만을 공급함으로써 발전에 따라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전량을 회수해서 캐소드 가스의 산화제로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얻을 수 있는 폐 사이클의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게 되어,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는,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 있어서, 산화제로서 연료와 당량비의 산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기 중의 성분을 물과 이산화탄소만으로 하고 배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의 회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는, 청구범위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 있어서, 분리수단에서 얻은 이산화탄소의 캐소드 가스에 대한 혼합 상황을 조정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소와 탄산 가스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이산화탄소의 혼합 상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할 수 있고,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는, 청구범위 제 4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에 있어서, 캐소드 가스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과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는, 청구범위 제 1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 있어서,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을 구비하며, 열 회수수단에는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의 예열을 실시하는 예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가스터빈의 배기열을 사용하여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를 적절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는, 청구범위 제 6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 있어서, 탄화수소계 연료를 애노드 가스로 개질하는 전치 개질기를 구비하고, 열 회수수단에는 개질용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열기가 구비되며, 과열기에서 발생한 증기가 전치 개질기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7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가스터빈의 배기의 현열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연료의 개질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의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는, 탄화수소계 연료를 애노드 가스로 개질하는 전치 개질기와,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순환계통에는 배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 분리수단이 구비되는 동시에, 순환계통에는 분리수단에서 얻은 이산화탄소의 캐소드 가스에 대한 혼합 상황을 조정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하는 조정수단이 구비되고, 열 회수수단에는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의 예열을 실시하는 예열수단, 및 전치 개질기에서의 개질용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분리수단에서 이산화탄소를 얻은 후의 응축수가 이송되는 과열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8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연료와 당량비의 산소만을 공급함으로써 발전에 수반하여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전량을 회수해서 캐소드 가스의 산화제로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얻는 할 수 있는 폐 사이클의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게 되고,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혼합 상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할 수 있고,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가스터빈의 배기열을 사용하여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를 적절에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터빈의 배기의 현열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연료의 개질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의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9 항에 기재의 복합 발전설비는,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에너지에 의해 탄화수소계 연료를 애노드 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와,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순환계통에는 배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 분리수단이 구비되는 동시에, 가압된 산소에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계통이 구비되고, 열 회수수단에는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가압 산소를 예열하여 캐소드 가스로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이송하는 캐소드 가스 예열기가 구비되고, 열 회수수단에는 분리수단에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후의 물이 이송되어 가스터빈의 배기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기가 구비되며, 또한, 증기 발생기로부터의 증기가 연료와 함께 예열하여 애노드 가스로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이송되는 애노드 가스 예열기가 구비되고, 분리수단에서 얻은 이산화탄소의 캐소드 가스에 대한 혼합 상황을 조정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9 항에 기재된 복합 발전설비에서는, 연료와 당량비의 산소를 가압해서 공급함으로써 발전에 수반하여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회수해서 캐소드 가스의 산화제로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얻을 수 있는 폐 사이클의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게 되고,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과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여,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로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변환 효율이 높고, 가스터빈 측의 연소기에 이송되는 연소용 가스 중의 산소가 과잉이 안되므로,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아, 가스터빈 측의 냉각구조 등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본 발명의 복합 발전설비는 고효율화와 이산화탄소의 회수의 용이화, 및 저코스트화,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로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예에 따른 복합 발전설비의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예에 따른 복합 발전설비의 구체적인 계통도이다.
도 3은 효율을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4는 다른 실시형태 예에 따른 복합 발전설비의 구체적인 계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복합 발전설비 2;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3; 연소기 4; 가스터빈
5; 발전기 6; 열 회수수단
7; 냉각수단 8; 수 분리수단
9; 조정수단 10; 압축기
11; 연료극(애노드) 12; 공기극(캐소드)
13;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 14; 캐소드 가스 예열수단
15; 순환계통 21; 전치 개질기
22; 과열기 23; 증발기
24; 하류 절탄기 25; 연료 예열기
26; 하류산소 예열기 27; 팽창터빈
28; 상류산소 예열기 29 상류 절탄기
30; CO2 예열기 31, 44; 드레인 분리 냉각기
32; 공기 예열기 33; 펌프
40; 블로어 41; 개질기
42; 증기 발생기 43; 캐소드 가스 예열기
45; 압축기 46; 애노드 가스 예열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예에 따른 복합 발전설비의 개략계통, 도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예에 따른 복합 발전설비의 구체적인 계통, 도 3에는 효율을 설명하는 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는 복합 발전설비의 구체적인 계통의 다른 실시형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의거하여 복합 발전설비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예의 복합 발전설비(1)에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2)가 구비되고, MCFC(2) 의 출구가스(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기(3)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3)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켜서 구동하는 가스터빈(4)이 구비되고, 가스터빈(4)에는 발전기(5)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터빈(4)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5)가 작동하여 발전이 이루어진다.
가스터빈(4)의 하류에는 가스터빈(4)에서 일을 마친 배기(배기가스)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6)이 구비되고, 열 회수수단(6)에서 열 회수 된 배기가스는 냉각수단(7)에서 냉각되어 수 분리수단(8)에서 응축수로서의 물(H2O)이 분리되어 비응축 가스로서의 이산화탄소(CO2)가 수득된다. 수 분리수단(8)에서 분리된 H2O는 배수되는 동시에, 일부가 연료 개질용의 증기(H2O)로서 사용된다. 즉, 냉각수단(7) 및 수 분리수단(8)에 의해 분리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수 분리수단(8)에서 H2O가 분리된 CO2는 조정수단(9)에 의해 계외(系外)로 회수되는 량(회수 CO2)과 계내(系內)에 순환되는 량이 조정된다. 계내에 순환되는 CO2는 압축기(10)에서 승압되어 MCFC(2) 측으로 이송된다.
MCFC(2)는 예를 들면 니켈 다공질체의 연료극(애노드)(11)과, 예를 들면 산화니켈 다공질체의 공기극(캐소드)(12) 사이에, 전해질(탄산염)이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연가스 등의 연료(f)로부터 얻을 수 있은 수소(H2)를 애노드(11)에 공급하는 동시에, 공기(O2)와 CO2를 캐소드(12)에 공급함으로써 H2와 O2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이 이루어진다.
연료(f)로서, 예를 들면 메탄을 개질하여 애노드 가스(H2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로 하는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13)이 구비되고,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13)로부터의 애노드 가스가 MCFC(2)의 애노드(11)로 이송된다.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13)에는 수 분리수단(8)에서 분리된 H2O가 개질용의 증기로서 도입된다. 또 O2를 예열하는 동시에 압축기(10)에서 승압된 CO2가 혼합되는 캐소드 가스 예열수단(14)이 구비되고, 캐소드 가스 예열수단(14)에서 예열된 O2 및 CO2(캐소드 가스)가 MCFC(2)의 캐소드(12)로 이송된다. 그리고 MCFC(2)의 배기가스가 연소기(3)에 도입되게 되어 있다.
즉,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동시에 H2O의 분리를 실시하고, H2O가 분리된 CO2를 승압하여 캐소드 가스 예열수단(14)으로 이송하는 경로 가,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의 CO2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되어 있다.
MCFC(2)의 배기가스는 연소기(3)에서 미연소물이 완전 연소되어 가스터빈(4)을 구동시키고,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의 열이 회수(가스 예열, 개질 열원 등)되어, 냉각수단(7)에서 냉각되어 수 분리수단(8)에서 응축수(H2O)와 비응축 가스(CO2)로 분리된다. 이들 중, 전지반응 및 연소로 발생한 H2O와 CO2는 계외로 배출ㆍ회수하고, 나머지 H2O는 연료 개질용의 증기로서 사용하는 동시에, 나머지 CO2는 승압시켜 캐소드 가스로서 순환 사용한다.
이 때문에, 연료(f)와 당량비의 O2만을 공급함으로써 발전에 수반하여 발생한 CO2의 전량을 회수해서 캐소드 가스의 산화제로서 CO2를 고농도롤 얻을 수 있는 폐 사이클의 시스템을 구축 가능하게 되고,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1)로 할 수 있다. 또, 가스터빈(4)의 배기열을 사용하여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를 적절에 승온시킬 수 있다.
또, 애노드(11)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서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13) 측으로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연료 개질용의 증기를 감소 또는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13)의 일부 혹은 전부를 생략할 수가 있다.
즉, 내부 개질의 경우,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연료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료전지의 입구 측으로 재순환하는 것에 의해, 내부 개질의 경우, 연료가스의 예열로 이용하는 열을 삭감하는 동시에, 개질 반응에 필요한 증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개질의 경우,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연료 배기가스의 일부를 연료전지의 입구 측으로 재순환하는 것에 의해, 개질에 필요하게 되는 증기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2에 의거하여 상기한 복합 발전설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복합 발전설비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비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부재와 대응하는 동일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CFC(2)의 상류측에는 전치 개질기(21)가 배치되고, MCFC(2)의 출구가스(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3)가 설치되어 있다. 연소기(3)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켜서 구동하는 가스터빈(4)이 구비되고, 가스터빈(4)에는 발전기(5)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는 열원으로서 전치 개질기(21)로 이송되고, 전치 개질기(21)에서 열 회수 된 배기가스는 과열기(22), 증발기(23), 하류 절탄기(24), 연료 예열기(25), 하류산소 예열기(26)로 차례로 이송되어 열 회수된다.
열 회수 된 배기가스는 팽창터빈(27)에서 동력이 회수된 후에, 상류 산소 예열기(28), 상류 절탄기(29), CO2 예열기(30)로 이송되어 열 회수된다. 예를 들면 과열기(22), 증발기(23), 하류 절탄기(24), 연료 예열기(25), 하류산소 예열기(26)로 하나의 열 교환기가 구성되고, 상류산소 예열기(28), 상류 절탄기(29), CO2 예열 기(30)로 다른 열 교환기가 구성되어 있다. 양쪽 열 교환기에 의해, 도 1에서 나타낸 열 회수수단(6)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의 일부가 분기되어 공기 예열기(32)로 이송되어 열 회수 되고, 과열기(22)의 하류 측에서 배기가스에 합류된다.
CO2 예열기(30)에서 열 회수된 배기가스는 드레인 분리 냉각기(31)에서 응축수(HO2)와 비응축 가스(CO2)로 분리된다. 즉, 도 1에서 나타낸 냉각수단(7) 및 수 분리수단(8)이 드레인 분리 냉각기(31)에 상당한다. 드레인 분리 냉각기(31)에서 분리된 CO2는 조정수단(9)에 의해 계외로 회수되는 량(회수 CO2)과 계내로 순환되는 량이 조정된다.
즉, 조정수단(9)에서, 캐소드(12)로 이송되는 O2에 대한 CO2의 혼합 상황이 조정되게 되어, CO2의 혼합 상황이 조정되는 것에 의해, O2와 CO2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할 수 있고, MCFC(2)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2와 CO2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로 되어 있다. O2와 CO2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로 함으로써, 출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MCFC(2)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과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또, O2와 CO2의 비율은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1 대 3 등, 다른 비율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내로 순환되는 CO2는 CO2 예열기(30)에서 예열되어 압축기(10)에서 압축되고, 공기 예열기(32)에서 예열되어 캐소드(12)로 이송된다. 또한 O2가 상류산소 예열기(28), 하류산소 예열기(26)에서 예열되어 압축기(10)의 하류측에서 CO2에 혼합된다.
또한, 연료(f)가 연료 예열기(25)에서 예열되어 전치 개질기(21)로 이송된다. 한편, 드레인 분리 냉각기(31)에서 분리된 응축수(H2O)의 일부가 상류 절탄기(29)에서 예열되어, 펌프(33)에 의해 하류 절탄기(24)로 압송되어 예열된다. 또한 증발기(23)에서 증발된 후, 과열기(22)에서 과열 증기가 되어 전치 개질기(21)의 상류측의 연료에 혼합되고, 전치 개질기(21)에서 연료(f)가 개질된다. 이 때문에, 가스터빈(4)의 배기의 현열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연료(f)의 개질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MCFC(2)의 출구 측의 배기가스 온도와의 밸런스에 의해, 전치 개질기(21)를 바이패스시켜서 과열 증기가 혼합된 연료(f)를 애노드(11)로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과열기(22), 증발기(23), 하류 절탄기(24), 연료 예열기(25), 하류산소 예열기(26)로 하나의 열 교환기가 구성되고, 상류산소 예열기(28), 상류 절탄기(29), CO2 예열기(30)로 다른 하나의 열 교환기가 구성되며, 양쪽 열 교환기에 의해, 도 1에서 나타낸 열 회수수단(6)이 구성되어 열 회수수단(6)에 의해 애노드 가스 예열수단(13) 및 캐소드 가스 예열수단(14)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복합 발전설비(1)에서는, MCFC(2)에서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한 발전과, 가스터빈(4)의 구동에 의한 발전기(5)에서의 발전이 수행된다. 그리고 가스터빈(4)의 배기가 열 회수되는 동시에, 배기 CO2가 순환되어 MCFC(2)의 캐소드 가스로서 사용된다. 이 때문에,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1)로 할 수 있다.
또한, 열 회수수단(6)의 계통은 일례이며, 각 기기의 배치나 적용 등은 주변 설비와의 관련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을 병설시키고 있는 컴바인드 사이클의 설비에 적용하였을 경우, 증기터빈을 구동하기 위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기로서 열 회수수단(6)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 에너지나 동력 등을 유효하게 회수하기 위해서, 내연기관이나 터빈 등을 적당하게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복합 발전설비(1)에서 계외부로 배출되는 열의 대부분은 드레인 분리 냉각기(31)에 있어서의 냉각열이며, 이 대부분이 배기가스 중의 수분의 잠열이다. 이 때문에, 순환시키는 물의 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면, 한층 더 효율화의 도모가 가능하게 되고, O2와 CO2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로 하였다. 가스터빈(4)의 입구온도가 저하되어 가스터빈(4) 및 주변기기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MCFC(2)와 가스터빈(4)을 조합시킨 설비에서, 캐소드(12)에서의 반응에 필요하게 되는 CO2를 고농도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발전에 수반하여 발생한 CO2의 전량을 용이하게 회수하기 위해서, 산화제로서 연료(f)와 당량비의 O2만을 공 급하는 것에 의해,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의 성분을 CO2와 H2O만으로 할 수 있다. 또 CO2와 H2O만으로 이루어지는 배기가스를 냉각해서 H2O를 응축시켜서 분리해서 승압하고, O2와 혼합시켜서 캐소드(12)로 공급함으로써, 정상운전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 CO2의 공급없이 O2와 CO2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의 캐소드(12)에 대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MCFC(2)와 가스터빈(4)을 조합시키고, 당량비의 연료(f)와 O2만을 공급함으로써, CO2의 회수가 가능해져서 발전 효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설비로 할 수 있다. 또 MCFC(2)의 출력밀도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고,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입열 450 MW에서 발전단 출력이 351 MW의 출력이 수득되어, 78%의 발전율이 된다. 그리고 펌프 동력, 산소 제조 동력 등의 소비 출력이 합계 36 MW 필요하며, 송전단 출력은 315 MW가 된다. 이 때문에, 연료 입열의 70%의 송전단 효율을 얻을 수 있고, 발전 효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설비로 할 수 있다.
도 4에 의거하여 복합 발전설비의 다른 실시형태 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복합 발전설비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비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부재와 대응하는 동일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CFC(2)의 출구 가스(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3)가 설치되고, 연소기(3)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켜서 구동하는 가스터빈(4)이 구비되고, 가스터빈(4)에는 발전기(5)가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터빈(4)의 배기가스는 열원으로서 개질기(41)로 이송되고, 개질기(41)에서 열 회수된 배기가스는 증기 발생기(42), 캐소드 가스 예열기(43)로 차례로 이송되어 열 회수된다. 또한 MCFC(2)의 캐소드(12)측의 배기가스의 일부는 필요에 따라서 블로어(40)에 의해 캐소드(12)의 입구측으로 순환된다.
캐소드 가스 예열기(43)에서 열 회수된 배기가스는 드레인 분리 냉각기(44)에서 응축수(H2O)와 비응축 가스(CO2)로 분리된다. 드레인 분리 냉각기(44)에서는, 계외로 회수되는 량(회수 CO2)과 계내로 순환되는 량이 조정되어 분리된다. 즉 드레인 분리 냉각기(44)에서는 배기가스가 응축수(H2O)와 비응축 가스(CO2)로 분리되는 동시에, O2와 CO2의 혼합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이 되도록 CO2가 계외로 분리된다. 즉, 도 1에서 나타낸 냉각수단(7), 수 분리수단(8) 및 조정수단(9)이 드레인 분리 냉각기(44)에 상당한다.
O2와 CO2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로 함으로써, 출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MCFC(2)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과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계내로 순환되는 CO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O2와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된 상태에서 압축기(45)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가스는 캐소드 가스 예열 기(43)에서 예열되어 캐소드(12)로 이송된다. 드레인 분리 냉각기(44)에서 분리된 응축수(H2O)는 증기 발생기(42)로 이송되어 증기로 되어, 연료(f)와 혼합되어 애노드 가스 예열기(46), 개질기(41)를 거쳐서 MCFC(2)의 애노드(11)로 이송된다.
상기 구성의 복합 발전설비(1)에서는, MCFC(2)에서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한 발전과, 가스터빈(4)의 구동에 의한 발전기(5)에서의 발전이 수행된다. 그리고 가스터빈(4)의 배기가 열 회수되는 동시에, 배기 CO2가 순환되어 MCFC(2)의 캐소드 가스로서 사용된다. 또한 O2와 CO2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로 함으로써, 연료 에너지를 발전에 사용하는 비율이 높아져서 출력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MCFC(2)의 에너지변환 효율의 향상과 출력밀도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차원으로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복합 발전설비(1)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와 가스터빈을 조합시킨 복합 발전설비의 산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2.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순환계통에는 배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 분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제로서 연료와 당량비의 산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기 중의 성분을 물과 이산화탄소만으로 하고 배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에서 얻은 이산화탄소의 캐소드 가스에 대한 혼합 상황을 조정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소와 탄산 가스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캐소드 가스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이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된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을 구비하며, 열 회수수단에는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의 예열을 실시하는 예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계 연료를 애노드 가스로 개질하는 전치 개질기를 구비하고, 열 회수수단에는 개질용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과열기가 구비되며, 과열기에서 발생한 증 기가 전치 개질기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8. 탄화수소계 연료를 애노드 가스로 개질하는 전치 개질기와,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순환계통에는 배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 분리수단이 구비되는 동시에,
    순환계통에는 분리수단에서 얻은 이산화탄소의 캐소드 가스에 대한 혼합 상황을 조정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소정의 상태로 하는 조정수단이 구비되고,
    열 회수수단에는 애노드 가스 및 캐소드 가스의 예열을 실시하는 예열수단, 및 전치 개질기에서의 개질용의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분리수단에서 이산화탄소를 얻은 후의 응축수가 이송되는 과열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9. 수소를 포함하는 애노드 가스 및 산소를 포함하는 캐소드 가스의 전기화학반 응에 의해 발전을 실시하는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와,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의 배기가스가 도입되어 연소되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팽창시키는 가스터빈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에너지에 의해 탄화 수소계 연료를 애노드 가스로 개질하는 개질기와, 
    가스터빈의 배기의 열 회수를 실시하는 열 회수수단과, 
    가스터빈의 배기의 이산화탄소를 캐소드 가스에 혼합하는 순환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순환계통에는 배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얻는 분리수단이 구비되는 동시에, 
    가압된 산소에 이산화탄소를 혼합하는 계통이 구비되고,  
    열 회수수단에는 이산화탄소가 혼합된 가압 산소를 예열하여 캐소드 가스로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이송하는 캐소드 가스 예열기가 구비되며,  
    열 회수수단에는 분리수단에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후의 물이 이송되어 가스터빈의 배기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발생기가 구비되고,  
    또한, 증기 발생기로부터의 증기가 연료와 함께 예열하여 애노드 가스로서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로 이송되는 애노드 가스 예열기가 구비되며,  
    분리수단에서 얻은 이산화탄소의 캐소드 가스에 대한 혼합 상황을 조정하여 캐소드 가스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율을 1 대 2에 근사하는 값으로 조정하는 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설비.
KR1020077005936A 2004-10-19 2005-10-17 복합 발전설비 KR100907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4805 2004-10-19
JP2004304805 2004-10-19
PCT/JP2005/019008 WO2006043494A1 (ja) 2004-10-19 2005-10-17 複合発電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044A true KR20070043044A (ko) 2007-04-24
KR100907690B1 KR100907690B1 (ko) 2009-07-14

Family

ID=3620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936A KR100907690B1 (ko) 2004-10-19 2005-10-17 복합 발전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9345B2 (ko)
EP (1) EP1804322B1 (ko)
JP (1) JP5143427B2 (ko)
KR (1) KR100907690B1 (ko)
WO (1) WO200604349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333B1 (ko) * 2011-05-11 2012-03-06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 시스템
KR101130671B1 (ko) * 2010-05-27 2012-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KR101397092B1 (ko) * 2012-12-28 2014-05-19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발전 시스템
US9038579B2 (en) 2011-05-11 2015-05-2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Fuel cell-engine hybrid system
KR20150077229A (ko) * 2013-12-27 2015-07-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동력회수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연료전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861B2 (en) * 2006-01-06 2010-06-29 Delphi Technologies, Inc. Hybrid solid oxide fuel cell and gas turbine electric generating system using liquid oxygen
US7862938B2 (en) 2007-02-05 2011-01-04 Fuelcell Energy, Inc. Integrated fuel cell and heat engine hybrid system for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JP5294291B2 (ja) * 2007-05-15 2013-09-18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発電設備
JP5229772B2 (ja) * 2007-05-15 2013-07-03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発電設備
GB2491562A (en) 2011-05-23 2012-12-12 Alstom Technology Ltd Fossil fuel power plant with gas turbine and MCFC arrangements
CN102610838B (zh) * 2012-03-22 2014-10-15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燃料电池热管理系统、燃料电池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JP6109529B2 (ja) * 2012-10-31 2017-04-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発電システム
US9077008B2 (en) 2013-03-15 2015-07-0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fuel cells
US20140272614A1 (en) 2013-03-15 2014-09-1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arbon capture using fuel cells
CN105209379A (zh) 2013-03-15 2015-12-30 埃克森美孚研究工程公司 使用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集成发电
TW201444716A (zh) * 2013-05-21 2014-12-01 Nat Univ Tsing Hua 具有燃料電池及氣動引擎的動力混合式運輸設備
US9755258B2 (en) 2013-09-30 2017-09-05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tegrated power generation and chemical production using solid oxide fuel cells
US9556753B2 (en) 2013-09-30 2017-01-3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wer generation and CO2 capture with turbines in series
US9819042B2 (en) 2013-09-30 2017-11-1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integration with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US10473029B2 (en) * 2013-12-30 2019-11-12 William M. Conlon Liquid air power and storage
WO2016195968A1 (en) 2015-06-01 2016-12-08 Conlon William M Part load operation of liquid air power and storage system
WO2016195999A1 (en) 2015-06-03 2016-12-08 Conlon William M Liquid air power and storage with carbon capture
WO2016204893A1 (en) 2015-06-16 2016-12-22 Conlon William M Cryogenic liquid energy storage
WO2017069922A1 (en) 2015-10-21 2017-04-27 Conlon William M High pressure liquid air power and storage
KR102204609B1 (ko) * 2016-04-22 2021-01-18 퓨얼 셀 에너지, 인크 연료전지 시스템을 위한 플루 가스 오염물의 현장 모니터링
CN108301922A (zh) * 2017-01-12 2018-07-20 华北电力大学(保定) 基于燃气轮机和熔融碳酸盐燃料电池的混合供能系统
CN108301923A (zh) * 2017-01-13 2018-07-20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富氧燃烧与熔融碳酸盐燃料电池混合发电系统
DE102018201233A1 (de) 2017-04-18 2018-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mit einer Brennstoffzelle
DE102017221370A1 (de) 2017-11-29 2019-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rennstoffzellen Plug-in-Hybrid Fahrzeug mit Ladegerät für eine Batterieladung aus dem Netz
US10978723B2 (en) * 2018-09-05 2021-04-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uel cell secondary power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s
US11888187B2 (en) 2018-11-30 2024-01-30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WO2020112806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ayered cathod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WO2020112834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staging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O2020112895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forming catalyst pattern for fuel cell operated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WO2020112770A1 (en) 2018-11-30 2020-06-0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Regen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for deep co 2 capture
US11424469B2 (en) 2018-11-30 2022-08-23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Elevated pressure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enhanced CO2 utilization
KR102216464B1 (ko) * 2019-09-09 2021-02-17 (주)에프씨아이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A3162231A1 (en) 2019-11-26 2021-06-03 Exxonmobile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Operation of molten carbonate fuel cells with high electrolyte fill level
EP4066300A1 (en) 2019-11-26 2022-10-05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uel cell module assembly and systems using same
DE102020115659A1 (de) 2020-06-15 2021-12-16 Audi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zellenvorrichtung mit Abwärmenutz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US11978931B2 (en) 2021-02-11 2024-05-07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Flow baffle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300319A (ko) 1961-12-05 1900-01-01
JPH01187775A (ja) * 1988-01-22 1989-07-27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
JPH01246770A (ja) * 1988-03-28 1989-10-02 Hitachi Ltd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出力制御法
NL8901348A (nl) * 1989-05-29 1990-12-17 Turboconsult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wekken van electrische energie.
JP2819730B2 (ja) * 1990-02-15 1998-11-05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の運転方法
DE4032993C1 (ko) * 1990-10-15 1992-05-07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JPH0525660U (ja) 1991-09-17 1993-04-02 株式会社東芝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プラント
DK0787367T3 (da) * 1994-10-19 1999-01-18 Siemens Ag Brændstofcelleanlæg med varmeudnyttelse af katodespildegassen og fremgangsmåde til dets drift
US5541014A (en) * 1995-10-23 1996-07-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Indirect-fired gas turbine dual fuel cell power cycle
JPH1126004A (ja) * 1997-07-02 1999-01-29 Toshiba Corp 発電システム
JP3928675B2 (ja) 1997-10-28 2007-06-1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とガスタービンの複合発電装置
JP2001015134A (ja) * 1999-06-29 2001-0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燃料電池とガスタービンの複合発電装置
US7097925B2 (en) 2000-10-30 2006-08-29 Questair Technologies Inc. High temperature fuel cell power plant
WO2005050768A1 (en) * 2003-11-19 2005-06-02 Questair Technologies Inc. High efficiency load-following solid oxide fuel cell system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71B1 (ko) * 2010-05-27 2012-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KR101115333B1 (ko) * 2011-05-11 2012-03-06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 시스템
US9038579B2 (en) 2011-05-11 2015-05-26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Fuel cell-engine hybrid system
KR101397092B1 (ko) * 2012-12-28 2014-05-19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발전 시스템
WO2014104526A1 (ko) * 2012-12-28 2014-07-03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발전 시스템
KR20150077229A (ko) * 2013-12-27 2015-07-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동력회수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연료전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43494A1 (ja) 2008-05-22
JP5143427B2 (ja) 2013-02-13
US20070287046A1 (en) 2007-12-13
EP1804322A1 (en) 2007-07-04
KR100907690B1 (ko) 2009-07-14
EP1804322B1 (en) 2011-12-14
EP1804322A4 (en) 2009-11-11
WO2006043494A1 (ja) 2006-04-27
US8329345B2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90B1 (ko) 복합 발전설비
WO2013100490A1 (ko)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WO2001095409A3 (en) Joint-cycle high-efficiency fuel cell system with power generating turbine
EP1579520B1 (en) High-efficiency fuel cell power system with power generating expander
JPH11297336A (ja) 複合発電システム
US9825319B2 (en) Fossil fuel power plant with integrated carbon separation facility
EP3221916B1 (en) Fuel cell system with waste heat recovery for production of high pressure steam
JP4154680B2 (ja) アノード排ガスラインに蒸気注入する燃料電池発電装置
JPH06103629B2 (ja) 複合燃料電池発電設備
JPH10302819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5688777B2 (ja) 複合発電設備
JP3564812B2 (ja) 燃料電池発電設備
US20100285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uel cell in combination with an orc system
JP3865167B2 (ja) 炭酸ガス回収装置付燃料電池発電装置
JPH11162488A (ja) カソードへ蒸気注入する燃料電池発電装置
JP2002313375A (ja) 燃料電池発電設備及びタービン発電設備
JP3741288B2 (ja) 溶融炭酸塩型燃料電池発電設備のカソード温度制御方法及び装置
CN117108367A (zh) 一种耦合sofc和co2富集的循环发电系统及方法
JPH06215783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Marra et al. Study of a basic MCFC unit for modular Multi-MW systems
JPH11126627A (ja) 部分酸化により燃料改質する燃料電池発電装置
JPH0757755A (ja) 燃料電池発電装置の起動方法
JP2010067576A (ja) 燃料電池設備及び複合発電設備並びに燃料変成装置
JPH08241725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JPH0992313A (ja) 燃料電池発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