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671B1 -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671B1
KR101130671B1 KR1020100049605A KR20100049605A KR101130671B1 KR 101130671 B1 KR101130671 B1 KR 101130671B1 KR 1020100049605 A KR1020100049605 A KR 1020100049605A KR 20100049605 A KR20100049605 A KR 20100049605A KR 101130671 B1 KR101130671 B1 KR 10113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torage tank
discharge
power generation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124A (ko
Inventor
유상석
조민제
한재영
윤진원
임석연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671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5/00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K25/08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 F01K25/14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special working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lants operating in closed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vapours using industrial or other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61Application for hydrogen and/or oxygen pro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저수지, 하부 저수지, 상부 저수지 및 하부 저수지 사이를 소통시키는 수로를 가진 발전플랜트 측에 설치되는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부 저수지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부 저장탱크; 상기 하부 저수지에 근접하여 위치한 하부 저장탱크; 상기 수로 상에 설치된 수력터빈;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 소통되게 연결된 전기분해유닛; 및 상기 전기분해유닛의 토출측에 연결된 연료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공급관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서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고온ㆍ고압의 수소 및 산소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수소 및 산소를 각각의 이송관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연료전지측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HYDRAULIC TURBINE AND FUEL CELL}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양수발전(pumping-up power generation)은 수력발전의 한 형태로서, 야간이나 전력이 풍부할 때 펌프를 가동해 아래쪽 저수지의 물을 위쪽 저수지로 퍼 올렸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방수하여 발전한다.
양수발전은 발전소의 아래와 위에 저수지를 만들고 발전과 양수를 반복하는 수력발전이다. 여름처럼 물이 많을 때나 야간에 풍부하게 남는 전력으로 펌프를 가동하여 아래쪽 저수지의 물을 위쪽 저수지로 퍼 올린다. 그리고 물이 부족해지는 시기나 주간처럼 전력이 많이 필요할 때 방수하여 발전한다. 일반적인 수력발전소의 연간 발전전력량은 연간 강수량과 자연유량(自然流量)에 제한을 받는다. 하지만 양수방식을 사용하면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양수발전을 위해서는 발전소보다 충분히 높은 위치에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자연호수 또는 인공호수가 있어야 한다.
최근에는 고유가로 유류난방수요가 전기난방으로 전환되면서 심야전력의 사용량이 급증하였고, 이에 심야전기의 수요가 양수발전의 발전용량을 초과할 뿐만 아니라 배전 및 송전설비 등이 추가로 요구됨에 따라 심야전력의 요금인상으로 인해 비효율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양수발전에서 생산된 전력은 물을 끌어올리는데 소비되는 전력의 약 70~75% 정도가 소비되므로 양수를 위한 전력량이 실제 생산되는 전력량 보다 더 많이 필요한 것임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양수발전시스템은 자체 기동발전시설이 아니고 발전을 위해서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는 정지상태시설이므로 즉각적인 수요조절을 위한 예비전력으로서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생산되는 발전량을 대폭 증대시킴과 더불어 물을 양수하는 데 소요되는 소내전력을 절감함으로써 전제 발전효율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저수지, 하부 저수지, 상부 저수지 및 하부 저수지 사이를 소통시키는 수로를 가진 발전플랜트 측에 설치되는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부 저수지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부 저장탱크;
상기 하부 저수지에 근접하여 위치한 하부 저장탱크;
상기 수로 상에 설치된 수력터빈;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 소통되게 연결된 전기분해유닛; 및
상기 전기분해유닛의 토출측에 연결된 연료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공급관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서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고온ㆍ고압의 수소 및 산소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수소 및 산소를 각각의 이송관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연료전지측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전지의 토출측에는 증기터빈이 연결되고, 상기 증기터빈의 토출측에는 응축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전지의 토출측에는 토출관이 접속되며, 상기 연료전지에서 토출되는 고온ㆍ고압의 배출가스는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증기터빈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증기터빈은 상기 연료전지에서 공급받은 고온ㆍ고압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증기터빈의 토출측에는 토출관이 접속되고, 상기 증기터빈에서 토출되는 배출가스는 토출관을 통해 상기 응축기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기터빈에서 토출되는 배출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물로 변환시키고, 상기 응축기의 토출측에는 토출관이 접속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부 저장탱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력터빈, 연료전지, 증기터빈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전량 및 발전효율이 대폭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에 의해 물(발전용수)를 하부 저수지에서 상부 저수지측으로 양수할 필요가 없이, 하측에 위치한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된 기체 상태의 수소 및 산소를 상측으로 이송함에 따라 압력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이에 물의 양수에 소요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내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력터빈 및 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이 실제 양수발전플랜트 측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력터빈 및 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발전시스템은 강, 호수, 바닷가 등에 시공되는 양수발전플랜트 측에 적용되고, 양수발전플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과 같은 구조물(10), 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저수지(11), 구조물(1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저수지(12), 상부 저수지(11) 및 하부 저수지(12) 사이를 소통시키는 수로(13)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전시스템은 상부 저수지(11)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부 저장탱크(21), 하부 저수지(12)에 근접하여 위치한 하부 저장탱크(22), 상부 저장탱크(21)와 하부 저장탱크(22) 사이의 수로(13) 상에 위치한 수력터빈(23), 하부 저장탱크(22)에 소통되게 연결된 전기분해유닛(24), 전기분해유닛(24)의 토출측에 연결된 연료전지(25), 연료전지(25)의 토출측에 연결된 증기터빈(26), 증기터빈(26)의 토출측에 연결된 응축기(27)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 저장탱크(21)는 상부 저수지(11)에 근접하여 구조물(10)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상부 저장탱크(21)는 수로(13)의 상부와 소통하게 연결되어 발전용수를 상부에서 일시 저장한다.
하부 저장탱크(22)는 하부 저수지(12)에 근접하여 구조물(1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하부 저장탱크(22)는 수로(13)의 하측과 소통하게 연결되어 발전용수를 하부에서 일시 저장한다.
상부 저장탱크(21)와 하부 저장탱크(22)는 수로(13)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수로(13) 상에는 수력터빈(23)이 설치되며, 수로(13)를 통해 발전용수가 상부 저장탱크(21)로부터 하부 저장탱크(22)로 이송됨에 따라 생성되는 위치에너지의 차이를 통해 수력터빈(23)을 돌려 전력을 발생시킨다.
하부 저장탱크(22)의 일측에는 공급관(22a)이 접속되고, 이 공급관(22a)을 통해 발전용수를 전기분해유닛(24)측으로 공급한다.
전기분해유닛(24)은 하부 저장탱크(22) 내의 발전용수를 전기분해하여 고온ㆍ고압의 수소 및 산소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수소 및 산소를 각각의 이송관(24a, 24b)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연료전지(25)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양수발전시스템은 펌프에 의해 수로(13)를 통해 물을 양수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물이 양수되는 도중에 압력손실이 심하게 발생하고, 이에 물의 양수에 소요되는 소내전력의 낭비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수로(13)를 통해 물을 하부 저수지(11)에서 상부 저수지(12)측으로 양수하지 않고, 전기분해유닛(24)에 의해 생성된 기체 상태의 수소 및 산소를 상측의 연료전지(25)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기분해유닛(24)에 의해 생성된 수소 및 산소는 기체 상태이므로 액체상태의 물에 비해 그 밀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이송관(24a, 24b)을 통해 이송되는 도중에 발생하는 압력손실이 현저히 감소하고, 이로 인해 종래의 양수발전시스템에 비해 소내전력의 낭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연료전지(25)는 전기분해유닛(24)으로부터 공급받은 수소 및 산소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반응을 수행하여 소정의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연료전지(25)의 토출측에는 토출관(25a)이 접속되며, 연료전지(25)에서 토출되는 고온ㆍ고압의 배출가스는 토출관(25a)을 통해 증기터빈(26)측으로 공급된다.
증기터빈(26)은 연료전지(25)에서 공급받은 고온ㆍ고압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증기터빈(26)의 토출측에는 토출관(26a)이 접속되며, 증기터빈(26)에서 토출되는 배출가스는 토출관(26a)을 통해 응축기(27)측으로 공급된다.
응축기(27)는 증기터빈(26)에서 토출되는 배출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물로 변환시키고, 응축기(27)의 토출측에는 토출관(27a)이 설치되며, 응축기(27)에서 토출되는 물은 토출관(27a)을 통해 상부 저장탱크(21)측으로 이송되어 순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부 저장탱크(21)로부터 하부 저장탱크(22)측으로 이송되면서 수력터빈(23)을 돌려 1차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고, 하부 저장탱크(22) 내의 물(발전용수)이 전기분해유닛(24)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기체상태의 수소 및 산소를 생성하고, 이러한 수소 및 산소가 연료전지(25)측으로 공급되어 연료전지(25)의 전기화학적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키며, 연료전지(25)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배출가스에 의해 증기터빈(26)을 돌려 3차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키고, 증기터빈(26)을 통해 토출된 가스는 응축기(27)를 통해 물로 변환된 후에 다시 상부 저장탱크(21)측으로 이송됨으로써 물이 순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력터빈(23), 연료전지(25), 증기터빈(26)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전량 및 발전효율이 대폭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펌프에 의해 물(발전용수)를 하부 저수지(11)에서 상부 저수지(12)측으로 양수할 필요가 없이, 하측에 위치한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생성된 기체 상태의 수소 및 산소를 상측으로 이송함에 따라 압력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이에 물의 양수에 소요되는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내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21: 상부 저장탱크 22: 하부 저장탱크
23: 수력터빈 24: 전기분해유닛
25: 연료전지 26: 증기터빈
27: 응축기

Claims (4)

  1. 상부 저수지, 하부 저수지, 상부 저수지 및 하부 저수지 사이를 소통시키는 수로를 가진 발전플랜트 측에 설치되는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부 저수지에 근접하여 위치한 상부 저장탱크;
    상기 하부 저수지에 근접하여 위치한 하부 저장탱크;
    상기 수로 상에 설치된 수력터빈;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 소통되게 연결된 전기분해유닛; 및
    상기 전기분해유닛의 토출측에 연결된 연료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저장탱크의 일측에는 공급관이 접속되고,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하부 저장탱크에서 공급받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고온ㆍ고압의 수소 및 산소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수소 및 산소를 각각의 이송관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연료전지측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토출측에는 증기터빈이 연결되고, 상기 증기터빈의 토출측에는 응축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토출측에는 토출관이 접속되며, 상기 연료전지에서 토출되는 고온ㆍ고압의 배출가스는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기 증기터빈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증기터빈은 상기 연료전지에서 공급받은 고온ㆍ고압의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증기터빈의 토출측에는 토출관이 접속되고, 상기 증기터빈에서 토출되는 배출가스는 토출관을 통해 상기 응축기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증기터빈에서 토출되는 배출가스를 응축시켜 액체 상태의 물로 변환시키고, 상기 응축기의 토출측에는 토출관이 접속되며, 상기 응축기에서 토출되는 물은 상기 토출관을 통해 상부 저장탱크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터빈 및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KR1020100049605A 2010-05-27 2010-05-27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KR10113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05A KR101130671B1 (ko) 2010-05-27 2010-05-27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605A KR101130671B1 (ko) 2010-05-27 2010-05-27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24A KR20110130124A (ko) 2011-12-05
KR101130671B1 true KR101130671B1 (ko) 2012-04-02

Family

ID=4549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605A KR101130671B1 (ko) 2010-05-27 2010-05-27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56B1 (ko) * 2013-06-27 2015-02-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열 회수 발전 시스템
KR101527785B1 (ko) 2013-08-21 2015-06-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위치에너지 기반 발전 시스템
KR101453046B1 (ko) 2013-09-10 2014-10-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삼중발전에 의한 에너지 공급 시스템
ES2934878A1 (es) * 2021-08-27 2023-02-27 De Castro Paz Jose Luis Procedimiento y sistema de bombeo reversible hidrógeno-agu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462A (en) 1980-03-31 1981-10-29 Hitachi Ltd Pumping-up power accumulation system
KR880009203A (ko) * 1987-01-16 1988-09-14 류경열 윤회 에너지 발전 발생장치
JPH0385378A (ja) * 1989-08-30 1991-04-10 Toshiba Corp 水車の取水装置および取水方法
KR20070043044A (ko) * 2004-10-19 2007-04-24 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복합 발전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462A (en) 1980-03-31 1981-10-29 Hitachi Ltd Pumping-up power accumulation system
KR880009203A (ko) * 1987-01-16 1988-09-14 류경열 윤회 에너지 발전 발생장치
JPH0385378A (ja) * 1989-08-30 1991-04-10 Toshiba Corp 水車の取水装置および取水方法
KR20070043044A (ko) * 2004-10-19 2007-04-24 자이단호징 덴료쿠추오켄큐쇼 복합 발전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124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06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nergy using a hydrogen cycle
US8400007B2 (en) Hydroelectric power system
KR101527785B1 (ko) 위치에너지 기반 발전 시스템
KR20050083728A (ko) 수력발전을 이용한 수소 생산
CN101852164A (zh) 一种利用废弃矿井储贮电能的方法
JP2016502635A (ja) 複合加熱冷却機を備える熱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および熱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使用方法
Kucukali Municipal water supply dams as a source of small hydropower in Turkey
KR101130671B1 (ko) 수력터빈과 수소연료전지를 결합한 하이브리드발전시스템
CN112593249A (zh) 一种新能源制氢平台
CN116696646B (zh) 潮汐电站和海水抽水蓄能电站的联合电站及其调度方法
KR20100088106A (ko)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이지에스 지열발전소 운용시스템 및 방법
Margeta et al. Innovative approach for achieving sustainable urban water supply system by using solar photovoltaic energy
CN210974885U (zh) 利用水电站冷却供水系统余压发电制氢装置
CN109970119B (zh) 一种清洁能源储能蓄能与海水淡化联产系统及方法
CN108758586B (zh) 一种清洁能源储能蒸汽发生系统
KR20220161836A (ko) 에너지 복합생산 시스템
CN218216700U (zh) 一种稳定的光伏发电系统
CN220622064U (zh) 发电系统
CN217159288U (zh) 一种分布式风光互补水储的发电系统
KR20050108668A (ko) 수력 발전
Behal Hydropower Generation: Overcoming System Limitations [In My View]
CN221032916U (zh) 一种利用小型水电站尾水的氢电蓄能系统
CN110878739B (zh) 一种盐梯度太阳池发电装置
CN117307393A (zh) 一种具有储能功能的循环冷却水的系统和方法
CN209929411U (zh) 一种基于固体氢技术的燃料电池的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