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883A - 마늘 박피기 - Google Patents

마늘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883A
KR20070039883A KR1020067027026A KR20067027026A KR20070039883A KR 20070039883 A KR20070039883 A KR 20070039883A KR 1020067027026 A KR1020067027026 A KR 1020067027026A KR 20067027026 A KR20067027026 A KR 20067027026A KR 20070039883 A KR20070039883 A KR 20070039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peeler
peeling element
peeling
fric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091B1 (ko
Inventor
사이몬 하이모프
오페르 하이모프
Original Assignee
사이몬 하이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몬 하이모프 filed Critical 사이몬 하이모프
Publication of KR2007003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4Machines for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4Machines for peeling
    • A47J17/18Machines for peeling with scraping discs or r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4Machines for peeling
    • A47J17/20Machines for peeling with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0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 A23N4/04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for peaches, plums, aprico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2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skinning nut kern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를 포함한 마늘을 기계적으로 박피하는 박피기를 제공하되, 비연마 방식으로 마늘을 예쁘고 상처입지 않게 껍질을 벗기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는 작동과 세척이 간단하고 쉽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벽이 달린 마늘 수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마찰벽에 인접해 있는 박피면을 갖고 하우징에 대응하는 형상의 박피요소; 및 마찰벽과 박피요소를 움직이기 위한 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마찰벽과 박피요소의 박피면중의 둘다 또는 하나가 탄성재를 갖추거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마늘 박피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늘 박피기{GARLIC PEELER}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마늘이나 과일, 건조 양파와 같은 야채, 땅콩이나 아몬드와 같은 견과류 등의 껍질을 얇게 벗겨내는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야채의 껍질은 건조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건조하지 않고 단단히 들러붙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껍질이 한층이기도 하고(견과류의 경우), 어떤 경우에는 껍질층이 여러층이되 몇개 층은 건조상태이고 몇개 층은 촉촉한 상태이며 가장 안쪽 층은 과육 등에 단단히 붙어있다(구체적으로 마늘, 양파 등).
편의상 모든 과일과 야채를 대표하여 마늘을 예로 들겠지만, 본 발명은 마늘 이외의 다른 과일이나 야채의 껍질을 벗기는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마늘은 양파와 비슷하게, 수천년동안 경작되었으며 모두 식품과 약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널리 경작되고 있다. 마늘은 다음과 같이 성경에도 언급되어 있다: "우리가 애굽에 있을 때에는 값없이 생선과 외와 수박과 부추와 파와 마늘들을 먹은 것이 생각나거늘" (민수기 11:5).
이와 같은 식물의 소비증가는 껍질을 벗기는 방법과 장치의 필요성도 제기하 였는데, 특히 손으로 껍질을 벗길 경우 강한 냄새를 내는 식물의 경우 더 그렇다. 따라서, 여러가지 마늘 박피장치가 몇년에 걸쳐 도입되었다.
첫번째 종류의 마늘박피기는 Beverldge의 영국특허 2315990에 소개된 것으로서, 쪽마늘 몇개를 집어넣는 크기의 탠성재로 된 튜브 형태의 수동식 기구에 관한 것이고, 튜브의 내면은 거친면이다. 쪽마늘을 튜브 안에 넣고 손으로 튜브를 평면에 대고 누르면서 굴리면 마늘 껍질이 벗겨진다.
다른 종류의 마늘박피기는 기계식이나 전기식 장치로서 아래 자료에 소개되어 있다:
Yip의 미국특허 5,996,483에 소개된 박피기는 마늘이나 땅콩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위가 트이고 원통형 마찰 벽면을 갖는 하우징이 있는데, 벽면에는 4개의 돌출부가 있으며, 하우징 상단부를 닫는 뚜껑도 있다. 이 박피기는 벽면으로 둘러싸여 회전하도록 지지된 회전날이 중앙에 있다. 마늘이나 땅콩을 예각으로 돌출부 표면에 부딪치게 하도록 비터를 회전시키는 핸들이 있어, 회전날을 계속 돌리면 마늘이나 땅콩 껍질을 깨뜨릴 수 있다.
Federight의 미국특허 4,768,429에 소개된 것은, 구동축과 결합된 식품가공용 보울 안에 배치된 회전기구에 수평하게 회전디스크가 달려있고, 디스크 윗면은 연마면으로서 쪽마늘의 건조하고 약한 외피를 신속히 벗겨낸다.
Holcomb의 미국특허출원 US20020153440은 아암이 달린 스핀들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갖는 휴대형 핸드파워 식품가공기를 소개했다. 아암은 칼날이거나 쇼어경도 80A~82A의 경도계를 갖는 탄성 아암일 수 있다. 아암은 스핀들에 의해 구동되고, 아암 단부 가까운 스핀들 부분에는 정지블록이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을 돌리면 식품가공기 내부의 식품 껍질을 문질러 벗겨낸다. 가공기의 뚜껑은 가공할 식품을 두기 쉽도록 평평하다.
손상되지 않은 쪽마늘은 냄새를 내지 않지만, 마늘 고유의 독한 냄새는 세포가 파괴될 때, 즉 마늘을 자르거나 쪼개거나 찧을 때 생기는 화학반응 때문에 생긴다고 알려졌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과일이나 야채를 포함한) 기계적 마늘 박피기를 제공하되, 비연마 방식으로 마늘을 예쁘고 상처입지 않게 껍질을 벗기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는 작동과 세척이 간단하고 쉽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벽이 달린 마늘 수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마찰벽에 인접해 있는 박피면을 갖고 하우징에 대응하는 형상의 박피요소; 및 마찰벽과 박피요소를 움직이기 위한 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마찰벽과 박피요소의 박피면중의 둘다 또는 하나가 탄성재를 갖추거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마늘 박피기가 제공된다.
이 박피기에서, 박피요소와 마찰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있는 쪽마늘은 회전하는 마찰벽이나 박피면과의 마찰로 인해 껍질이 벗겨지는데, 쪽마늘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껍질을 벗겨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단한 재질로 된 베이스를 갖춘 하우징이 제공되고, 베이스는 마늘수납실을 이루면서 그 내벽은 마찰벽을 이루며, 탄성 전구형 박피부재가 하우징 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우징 내벽과 박피요소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하면, 마늘수납실은 마찰벽을 이루는 내부라이너로 덮이고; 단단한 재질로 되어 베이스에 결합되고 박피요소를 지지하는 커버가 있으며, 커버나 베이스에는 운동 메커니즘이 연결되어 박피요소를 마찰벽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와 커버를 갖는 하우징을 갖춘 마늘박피기가 제공되는데, 커버는 마늘수납실을 구성하고, 마늘수납실은 커버의 박피면과 베이스의 마찰벽 사이에 형성되어 마늘을 넣는 간극부를 이루며, 박피면이나 마찰벽은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박피면과 마찰벽을 상대적으로 움직이면 간극부에 들어간 마늘의 껍질을 벗겨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마찰벽이나 박피요소는 그 사이에 쪽마늘이 있을 경우 변형될 수 있다. 박피요소는 마찰벽에서 간격을 두고 간극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피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운동 메커니즘은 마찰벽이나 박피요소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로서, 마찰벽이나 박피요소의 회전방향은 반대이다.
- 박피요소의 박피면과 마찰벽중의 하나나 둘다는 돌기나 융기나 강모와 같은 탄성 돌출부를 갖춘다.
- 박피요소의 박피면과 마찰벽은 서로 균일하게 떨어져 간극을 형성한다.
- 이 간극은 대개 5~15mm이다.
- 박피요소는 마찰벽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있다.
- 박피기의 모든 구성요소는 유지보수와 세척을 위해 쉽게 분해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요소를 식기세척기로 씻을 수 있다.
- 운동 메커니즘은 수동식으로 핸들로 작동되거나 커버나 베이스를 직접 손으로 돌리는 방식이거나, 전동식이다.
-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나 하나는 다른 종류의 과일이나 야채에 사용하기 위해 형상, 표면윤곽, 탄성율 등이 다른 요소로 교체될 수 있다.
- 마찰벽면은 마늘수납실을 이루는 단단한 하우징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나 하나는 실리콘고무 등의 고무로 이루어진다.
- 회전 메커니즘은 베이스나 커버에 연결된다.
- 마찰벽이나 박피요소는 한쪽은 오목한 형태이고 나머지는 볼록한 형태로서 서로 어울리는 형태이다.
- 마찰벽과 박피요소는 그 사이의 간극에 과일이 있을 경우 변형될 수 있다.
- 베이스와 커버를 포함한 하우징은 박피요소가 회전하는 동안 고정되어 있다.
- 모든 요소는 동축으로 조립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커터, 그라인더, 믹서, 슬라이서, 민서 등은 물론 마늘박피기와 같은 여러 액세서리를 갖는 식품가공기의 일부분인 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 장치는 대개 동력부에 연결된 축에 설치되는 수납실(보울), 커버 및 액세서리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수동식이나 전동식이고, 액세서리는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실(보울)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위에 커버가 결합되며, 전구 형태의 박피요소는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보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보울과 박피요소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보울에는 안쪽으로 돌출한 돌기가 달려있고, 보울의 내면과 박피요소 사이의 간극은 길이를 따라 크기가 달라, 하단부에서 가장 좁고 상단부에서 가장 넓다. 박피요소는 커버나 베이스에 설치된 동력부에 의해 회전되고, 베이스에서 축이 뻗어 박피요소를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가공기와 함께 사용하는 박피요소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넓은 개념에 의하면, 베이스와 커버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마늘박피기가 제공되고, 커버의 박피면과 베이스의 마찰벽면 사이에 쪽마늘 수납실이 형성되며, 이들 표면들은 서로 떨어져 간극을 유지하고, 이들 표면들의 적어도 하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이들 표면들을 서로에 대해 움직이면 상기 간극부에 넣은 쪽마늘의 껍질이 벗겨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기존의 믹서에 사용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하우징은 보울 형태로서 반구형 바닥부를 갖고, 박피요소는 반구형으로서 그 바닥부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며 크기와 형상은 보울에 끼워질 정도이고; 박피요소는 믹서의 척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자루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마늘박피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늘박피기의 전개사시도;
도 3은 도 1의 마늘박피기의 베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마늘박피기의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마늘박피기의 회전핸들에 연결된 박피조립부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조립부의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조립부의 박피요소의 사시도;
도 7A는 마늘수납부에 마늘을 넣은 상태의 박피기의 종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VII 표시부의 확대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요소의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마늘박피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마늘박피기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변형 마늘박피기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늘박피기의 전개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마늘박피기를 믹서에 설치한 작동상태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피 액세서리를 갖춘 식품가공기의 전개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식품가공기의 조립상태의 측면도;
도 16A-B는 도 14의 식품가공기의 보울안에 박피요소를 넣은 상태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20)는 통마늘(24)을 닮은 공 모양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평평한 지지대(30)가 달린 베이스(28)와 상부 커버(32)를 구비하는데, 이들의 자세한 구조는 도 3-4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 커버(32)는 베이스(28)와 맞물린다. 수동식 핸들(38)이 달려있는데, 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8)는 단단한 반구형 모양을 갖고,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된 라이너(42)를 베이스부재(28)에 헐겁게 끼울 수 있는데, 라이너는 마찰면을 이룬다. 경우에 따라서는, 라이너(42)를 베이스(28)에 일체로 성형하여 컬러풀한 다층 모양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도 1, 3, 8B, 9 참조). 그러나, 베이스(28)에 라이너(42)를 별도로 끼운 다음 스냅결합, 고정링 등(도시 안됨)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벽면인 라이너(42)를 갖춘 베이스(28)는 구근 수납실(46)을 형성한다(도 7A 참조).
커버(32) 역시 베이스(28)와 어울리는 단단한 반구형 모양으로 상단부에 구멍(48)이 뚫려있고(도 2 참조), 이 구멍에서부터 원통벽(50)이 아래로 뻗어있는데, 원통벽의 양단부는 트여있다. 박피조립체(52)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 루어진 반구형 박피면(56)으로 이루어진 박피요소(51)를 구비한다. 박피요소(51)의 외면에는 여러개의 돌기(58)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피요소(51)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링(60)에 지지되는데, 이때 링은 나사공(62)에 나사로 박피요소에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으로 박피요소에 접착된다. 링(60)의 안쪽면에 돌출한 방사상 탭(68)을 지지디스크(64)에 형성된 대응 홈(70)에 스냅결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링을 디스크에 결합한다.
지지디스크(64)에 형성되어 위로 돌출하는 원통부(74)는 외면(76)이 매끈하고 커버(32)의 원통벽(50) 안에 들어가 자유롭게 회전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반면, 원통부(74)의 내면에는 여러개의 돌기(78)가 상하로 뻗어있고, 이들 돌기는 각각 핸들(38)의 축의 오목부(82)에 스냅결합되어 회전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었다(도 1, 5, 7A 참조).
도 3, 4, 7A-B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32)는 베이스(28)와 맞물린다. 이를 위해, 베이스(28)의 상연부(88)에는 원주 림(90)이 형성되고, 커버(32)에는 이것에 맞는 홈(92)이 안쪽면에 형성됨은 물론, 베이스(28)에 형성된 여러개의 잠금돌기(94)는 커버(32)에 형성된 홈(96)에 대응하여 맞물린다. 이런 구성에서, 커버(92)를 베이스(28)에 잠금결합하여 사용중에 장치가 부주의하게 열리지 않도록 한다.
도 7A에 가장 잘 나타나 있지만, 결합상태에서 박피요소(51)와 라이너(42) 사이의 간극(46)은 5~10mm 정도로서 평균적으로 쪽마늘(100)의 크기보다 작아, 박피요소(51)가 쪽마늘(100)과 확실히 접촉하면서 마찰할 수 있다. 핸들(38) 손잡 이(39)를 돌리면 박피요소(51)가 회전하여, 간극(46)에 있는 마늘(100)의 껍질을 문질러 벗기면서도, 마늘을 깊이 벗기거나 표면에 상처를 내거나 짓이기는 등 마늘을 파손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예쁘게 껍질을 벗긴 마늘을 얻게되면서도, 영양소는 보존하고 심지어 마늘냄새를 없애기도 한다.
이상의 설명과 특허청구범위의 주장도 마늘에 대해서 하지만, 양파나, 아몬드, 땅콩 등의 견과류와 같은 다른 야채나 과일의 껍질을 벗기는데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간극의 크기, 즉 베이스(28)의 라이너(42)와 박피요소(51)의 박피면(56) 사이의 간격을 껍질을 벗길 대상ㅇ 맞게 조정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박피요소를 움직여 간극을 조정한다.
또, 본 발명의 박피기는 세척과 유지관리를 위해 쉽게 분해결합 가능하고, 심지어는 식기세척기로도 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박피기의 모든 구성요소는 세척이 용이하면서 어떤 냄새나 색소도 흡수하지 않는 플라스틱과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도 8A에는 링(60)에 결합된 박피요소(112)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박피요소의 박피면에는 마늘과의 마찰력 증가를 위해 돌기(114)가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도 8B에서는, 베이스(122)의 라이너(120)에 마찬가지로 마늘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다수의 탄성 강모(124)가 붙어있다. 베이스의 라이너와 박피요소의 박피면은 매끄러울 수도 있고 또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강모가 붙어있거나 또는 이들 둘이 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과일이나 야채에 맞게 박피요소를 교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9의 박피기(130)는 수동식 핸들(38) 대신 전기모터(132)를 갖추고 있다. 전기모터(132)는 온/오프 스위치를 가는데, 커버(138)에서 아래로 이어진 원통부의 공간에 모터와 배터리를 끼울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마늘박피기(15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박피기의 하우징은 완전히 단단한 하우징(152)으로서 수직으로 배치된 원통형 마찰벽인 라이너(156)가 하우징(152)과 동축으로 배열되고 탄성재로 구성된다. 조립상태에서 하우징(152)의 베이스(166)에 있는 축방향 돌출부(164)에 의해 하단부(16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단단한 코어(160)에 회전식 핸들(158)이 연결된다. 코어(160)는 박피면을 이루는 탄성 슬리이브(170)로 덮이고, 탄성 슬리이브(170)와 라이너(156) 사이에 마늘을 넣는 간극(174)이 생긴다. 이 간극(174)은 대개 평균 마늘(178)의 크기보다 좁으므로, 핸들(158)을 돌리면 마늘(178)의 껍질이 벗겨진다.
슬리이브나 마찰벽의 박피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강모를 다는 등 다른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박피기(180)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베이스(182)에 탄성 박피요소(184)가 격벽 형태로 구비되어 있고, 커버(186)에 회전식 핸들(188)이 달려있으며, 핸들은 디스크(190)를 지지하고, 디스크는 탄성재로 된 마찰면(191)으로 덮여 있어, 박피요소(184)와 마찰면(191) 사이에 마늘을 넣는 간극(192)이 형성되며, 이 간극부가 마늘을 넣는 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런 구성에서, 핸들(188)을 돌리면 디스크(190)가 회전하여 간극(192)에 있는 마늘(196)의 껍질을 벗기게 된다.
도 12-13의 박피기(200)는 도 13의 믹서(204)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다. 이 박피기(200)는 반구형 바닥면(208)을 갖는 보울(206)을 구비하며, 마찰벽 역할을 하는 탄성 라이너(210)가 바닥면(208)을 덮는다. 보울은 믹서를 위해 교환형으로서, 믹서의 지지면(216)에 고정되는 베이스(212)를 구비한다. 반구형 바닥부(226)가 탄성재로 이루어진 전구(222)가 달린 박피요소(220)의 크기와 형상은 보울(206)에 끼워질 정도이다. 박피요소(220)의 자루(230)는 믹서(236)의 척에 결합되어 척과 함께 회전한다.
이 경우, 마늘박피기(200)를 기존의 믹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 보울(206)은 믹서(204)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박피요소의 회전운동은 믹서(204)의 모터로부터 생긴다. 보울과 박피요소(220) 사이의 간극(239)은 믹서의 아암(241)의 높낮이를 조정해 조정되고, 회전속도는 컨트롤러(245)에 의해 조정된다.
자루(230)는 도면과 같은 모양을 가질 수 있지만, 기존의 믹서에 사용되는 혼합기구일 수도 있고, 이곳에 박피요소를 연결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도 14-16에 도시된 것은 또다른 박피기이다. 음식물 가공기(250)는 베이스(254)에 지지되어 음식물을 담는 보울(252)과, 어댑터(260)를 통해 보울(252)에 끼워지는 커버(258)로 이루어진 하우징을 갖는다. 전선(262)에 의해 전원에 연결되고 스위치(264)로 작동되는 전기모터(도시 안됨)는 커버(258) 안에 설치된다.
교환 가능한 액세서리가 많이 있지만, 도면에는 그중 2개만 보인다. 액세서리의 예를 들면 커터, 그라인더, 슬라이서, 민서(mincer), 믹서 등이 있다. 도 14의 경우 모터에 연결된 자루(268)에 연결되는 액세서리는 커터(266)이다. 다른 액세서리는 탄성을 갖는 전구 모양의 박피요소(272)가 지지자루(274)에 달려있는 마늘박피기(270)로서, 지지자루(274)는 모터의 자루(268)에 연결되고, 조립 상태에서 박피요소(272)는 보울(252) 안에 들어가며, 박피요소의 하단부(278)는 보울(252) 내부의 받침대(280)에 지지되어 회전한다(도 15 참조).
또, 보울(252)에는 안쪽으로 오목한 오목부(284)가 여러개 형성되고, 보울(252)의 내면과 박피요소(272) 사이의 간극은 길이를 따라 달라지는데, 예컨대 바닥부에서는 좁아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진다.
전구모양의 박피요소(272)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균질한 기구이거나, 자체 형상을 유지하는 밀봉된 풍선일 수도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박피요소가 공기를 채운 풍선으로서 자루(274)에서 분리되기도 한다.
사용시 건조한 마늘을 보울(252)에 넣고 어댑터(260)와 커버(250)를 닫는다. 스위치(264)로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면, 박피요소(272)가 보울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마늘을 움직이고, 보울(252)의 내면(273)과 박피요소(272) 사이의 마찰 때문에 마늘 껍질이 벗겨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어디까지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을 명심해야 한다.

Claims (65)

  1. 마찰벽이 달린 마늘 수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마찰벽에 인접해 있는 박피면을 갖고 하우징에 대응하는 형상의 박피요소; 및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를 움직이기 위한 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의 박피면중의 둘다 또는 하나가 탄성재를 갖추거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와 마찰벽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이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이 마늘을 넣기에 딱맞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크기가 다른 과일이나 야채에 맞게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메커니즘이 수동식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메커니즘이 하우징 안에 설치되는 전기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9. 제1항에 있어서, 모든 구성요소를 플라스틱을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의 하나나 둘다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돌기나 융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의 하나나 둘다에 탄성 강모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베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와 베이스 둘다 다단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커버는 마찰벽을 마주보는 박피요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메커니즘이 마찰벽에 대해 박피요소를 회전시키도록 커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커버가 서로 상보적인 반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이 베이스의 내부 라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이 베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이 베이스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커버에 연결된 링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를 커버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의 둘중 하나나 둘다 그 사이에 마늘을 맞게 끼울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통마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수납실이 원통형 마찰벽과 동축 박피요소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이 하우징 내에 단단히 고정되고 박피요소는 하우징과 맞물리는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가 박피요소에 연결된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6. 제1항에 있어서,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 회전하되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크기가 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마찰벽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수납실의 간극 크기를 조정해 다른 과일이나 야체를 수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0. 제28항에 있어서,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나 하나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1. 제1항에 있어서,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나 하나를 실리콘고무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2. 제1항에 있어서, 마찰벽과 박피요소가 서로 결합되는 반구형 부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커버가 박피요소 회전중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5. 제1항에 있어서, 마찰벽 역할을 하는 반구형 바닥부를 갖는 보울과, 이 보울에 맞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탄성재로 된 반구형 바닥부를 갖는 박피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박피요소가 믹서의 척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자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반구형 바닥부가 탄성 라이너를 갖추거나 탄성 라이너로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자루에 연결되는 전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 형태의 박피요소가 자루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가 기존의 믹서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0. 내부 마찰벽이 형성된 마늘수납실과, 마늘수납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박피요소를 구비한 하우징; 및
    박피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나 하나가 탄성재를 갖추거나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전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4. 제40항에 있어서, 박피요소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마늘수납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박피요소와 마늘수납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수납실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7. 제45항에 있어서, 마늘수납실 내면과 박피요소 사이의 간극이 길이를 따라 달라 하단부에서 가장 좁고 상단부에서 가장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8. 제40항에 있어서, 커버나 베이스에 구비된 동력장치에 의해 박피요소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베이스에서 축이 연장하여 박피요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기.
  49. 내부 마찰벽이 형성된 마늘수납실과, 마늘수납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박피요소를 구비한 하우징; 및
    박피요소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벽과 박피요소 둘다나 하나가 탄성재를 갖추거나 탄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전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박피요소가 마늘수납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박피요소와 마늘수납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수납실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5. 제49항에 있어서, 마늘수납실 내면과 박피요소 사이의 간극이 길이를 따라 달라 하단부에서 가장 좁고 상단부에서 가장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6. 제49항에 있어서, 커버나 베이스에 구비된 동력장치에 의해 박피요소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베이스에서 축이 연장하여 박피요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57. 내부 마찰벽을 갖는 마늘수납실과 동력 메터니즘을 구비한 하우징을 갖춘 식품가공기에 사용되고 상기 마늘수납실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 액세서리.
  58. 제57항에 있어서,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 액세서리.
  59. 제57항에 있어서, 전구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박피 액세서리.
  60.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마늘 박피기.
  61.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마늘 박피기.
  62.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식품가공기.
  63.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식품가공기.
  64.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쪽마늘.
  65.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것과 같은 쪽마늘.
KR1020067027026A 2004-08-05 2005-08-02 마늘 박피기 KR100888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6336304 2004-08-05
IL163363 2004-08-05
PCT/IL2005/000826 WO2006013562A2 (en) 2004-08-05 2005-08-02 Garlic pee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883A true KR20070039883A (ko) 2007-04-13
KR100888091B1 KR100888091B1 (ko) 2009-03-11

Family

ID=35787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026A KR100888091B1 (ko) 2004-08-05 2005-08-02 마늘 박피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80072772A1 (ko)
EP (1) EP1773134B1 (ko)
JP (1) JP5303773B2 (ko)
KR (1) KR100888091B1 (ko)
CN (1) CN100558250C (ko)
AU (1) AU2005268426B2 (ko)
CA (1) CA2576120C (ko)
DE (1) DE05764342T1 (ko)
ES (1) ES2559050T3 (ko)
HU (1) HUE026103T2 (ko)
WO (1) WO200601356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259B1 (ko) * 2011-07-22 2013-06-11 이의진 마늘박피기
KR200471770Y1 (ko) * 2012-08-24 2014-03-14 (주)일렉토피아 마늘 박피기용 필러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6010A1 (en) 2009-02-05 2010-08-11 Rhodia Opérations Aqueous composition suitable as shampoo
CN101889814B (zh) * 2010-07-28 2012-07-25 李联明 半球形剥蒜机
US20140030408A1 (en) * 2012-07-24 2014-01-30 Chef'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peeling garlic
CN103169361A (zh) * 2013-03-18 2013-06-26 慈溪市附海镇界诺电器厂 一种大蒜去皮器
CN104055407A (zh) * 2013-03-22 2014-09-24 魏文龙 方便刨皮机
KR101511772B1 (ko) * 2013-09-17 2015-04-16 컨벡스코리아(주) 박피기능을 구비한 마늘 가공장치
WO2015116546A1 (en) * 2014-01-28 2015-08-06 Garlic Shaker, Inc. Produce shaker
CN104351919B (zh) * 2014-11-17 2016-08-24 上海电力学院 大蒜剥皮机
USD779291S1 (en) 2015-05-29 2017-02-21 Van M. Kassouni Interlocking cups for peeling garlic
KR101619755B1 (ko) * 2015-07-07 2016-05-12 장회식 구근류 박피기 및 상기 구근류 박피기에 적용되는 박피 칼날 부재
US20170181563A1 (en) * 2015-12-28 2017-06-29 Jared Waldner Garlic processor
CH712286A2 (de) * 2016-03-21 2017-09-29 Swizzzprozzz Ag Schälrotor für ein Gerät zum Bearbeiten von Lebensmitteln.
US10624485B2 (en) 2017-06-12 2020-04-21 Judith Ann Dudney Vegetable skin removal system and method
CN107319969B (zh) * 2017-08-15 2023-04-18 许子渊 一种多功能厨具
CN109938358B (zh) * 2017-12-21 2020-12-04 黄朝模 一种连续式自动果核分离机的中心定位夹持盘体
CN108185450A (zh) 2018-02-11 2018-06-22 青岛理工大学 热胀冷缩原理皮带输送热辐射核桃仁与红衣分离智能装置
CN108185474A (zh) * 2018-04-16 2018-06-22 马同金 轮胎槽式大蒜脱皮机
FR3093629B1 (fr) * 2019-03-14 2022-02-18 Seb Sa Accessoire pele-ail manuel
US11197569B2 (en) * 2019-07-09 2021-12-14 Richard Joseph Yribarren Food peeler
CN111012217B (zh) * 2019-12-11 2021-02-02 南京工程学院 一种手动电动组合式家用银杏去皮机
CN112120239B (zh) * 2020-10-06 2021-11-19 安徽佳洁面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花生加工的花生衣褪皮装置
CN113068988B (zh) * 2021-03-31 2022-08-3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食材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2562A (en) * 1932-01-25 1936-03-03 Joseph E Burns Citrous fruit tool
US2047819A (en) 1932-10-27 1936-07-14 Maitland C Boswell Process of separating sulphur dioxide from gaseous mixtures
US2407819A (en) * 1945-02-09 1946-09-17 Charles H Dolan Potato peeler
FR1249671A (fr) * 1960-03-01 1960-12-30 Appareil destiné à apprêter les aulx pour leur présentation marchande
US3961418A (en) * 1975-07-23 1976-06-08 Neveu Michael J Lemon peeler
US4656936A (en) * 1986-02-19 1987-04-14 Bardon Aubrey C Fruit and vegetable peeler
US4768429A (en) * 1987-04-20 1988-09-06 Federighi George J Food processor attachment and apparatus for peeling garlic or the like
US5065672A (en) * 1990-10-29 1991-11-19 Federighi Sr George J Peeler for garlic or the like with centrifugal discharge
AU633241B3 (en) * 1992-04-24 1993-01-21 Chef'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produce such as garlic
JPH10174647A (ja) * 1996-12-16 1998-06-30 Kazuyoshi Higure ニンニクの皮剥き器
US5996483A (en) * 1999-01-08 1999-12-07 Yip; Chung Lun Peeler
US5950529A (en) * 1999-01-21 1999-09-14 Molloy; Lloyd T. Vegetable peeling device
US6131508A (en) * 2000-03-21 2000-10-17 Tsai; Chuan Yu Garlic surface membrane stripper
US20020153440A1 (en) * 2001-04-19 2002-10-24 Holcomb David A. Hand-held food processor
US6968778B2 (en) * 2003-08-28 2005-11-29 Siliconezone Usa, Llc. Garlic peeler
KR200335446Y1 (ko) 2003-08-30 2003-12-06 김운식 마늘 박피장치
KR200346869Y1 (ko) * 2004-01-20 2004-04-01 김운식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200415735Y1 (ko) 2005-11-21 2006-05-08 노영근 마늘 박피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259B1 (ko) * 2011-07-22 2013-06-11 이의진 마늘박피기
KR200471770Y1 (ko) * 2012-08-24 2014-03-14 (주)일렉토피아 마늘 박피기용 필러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26103T2 (en) 2016-05-30
KR100888091B1 (ko) 2009-03-11
CN100558250C (zh) 2009-11-11
EP1773134A2 (en) 2007-04-18
ES2559050T3 (es) 2016-02-10
AU2005268426B2 (en) 2011-09-29
CN101039590A (zh) 2007-09-19
CA2576120A1 (en) 2006-02-09
US20140352555A1 (en) 2014-12-04
US9510704B2 (en) 2016-12-06
JP2008508925A (ja) 2008-03-27
EP1773134A4 (en) 2009-11-11
EP1773134B1 (en) 2015-10-14
AU2005268426A1 (en) 2006-02-09
CA2576120C (en) 2013-09-24
DE05764342T1 (de) 2007-08-09
WO2006013562A3 (en) 2006-06-22
US20080072772A1 (en) 2008-03-27
WO2006013562A2 (en) 2006-02-09
JP5303773B2 (ja)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091B1 (ko) 마늘 박피기
JP5246957B2 (ja) 食材加工用装置
US5950529A (en) Vegetable peeling device
JP2019188391A (ja) 糠と胚芽の分離装置及び方法
ES2385131T3 (es) Aparato para prensar alimentos y procedimiento para triturar
US3677314A (en) Automatic vegetable peeler
JP3514988B2 (ja) 穀類用粉取り器とそのアタッチメント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200461306Y1 (ko) 곡물 세척기
KR200363273Y1 (ko) 전기식 과일 및 야채 표면 클리너/제거기
ES2293089T3 (es) Herramienta de trabajo para aparatos de cocina.
KR20150031945A (ko) 박피기능을 구비한 마늘 가공장치
KR200242379Y1 (ko) 마늘껍질 탈피기
CN211833876U (zh) 剥皮机
KR20020043731A (ko) 감자 깎는 기계
CN211432180U (zh) 剥皮机
KR20210000394U (ko)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AU2022318223A1 (en) Peeling device for a kitchen appliance and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the peeling device
TWI274555B (en) Peeling device for vegetable and fruit
JP2000218175A (ja) 穀粒処理装置とそのかき回し具
JP2000152886A (ja) 調理器
JP2000218177A (ja) 穀粒処理装置
JP2000218181A (ja) 穀粒処理装置
KR0139358Y1 (ko) 식품가공기의 커터장치
JP2024517369A (ja) 厨房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