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394U -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 Google Patents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394U
KR20210000394U KR2020190003312U KR20190003312U KR20210000394U KR 20210000394 U KR20210000394 U KR 20210000394U KR 2020190003312 U KR2020190003312 U KR 2020190003312U KR 20190003312 U KR20190003312 U KR 20190003312U KR 20210000394 U KR20210000394 U KR 202100003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rotating body
rotating
peel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안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노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노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노네트웍스
Priority to KR2020190003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394U/ko
Publication of KR202100003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체가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다수의 회전몸체, 특히 표주박 형태로 구성되어, 원심분리와 같이 까진 마늘은 밑으로, 마늘 껍질은 위로 올려 마늘과 껍질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며, 회전 몸체에 원기둥 형태 및 타원기둥 형태의 서로 다른 형태와 길이의 돌기를 통하여 다양한 크기의 원심력과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마늘 박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Apparatus For Mincing Food With Function of Garlic Peeling}
본 고안은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의 껍질을 박피하고, 야채 등의 식재료를 다질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강한 향으로 비린 내를 없애며 음식의 맛을 좋게 하여, 많은 요리에서 양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요리할 때 마늘은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식재료이다.
그런데, 마늘은 한 쪽의 크기가 작고 껍질을 까는 것이 번거로워, 깐 마늘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껍질을 까놓은 마늘의 출처 등이 불분명하여 믿음이 안가거나 비싸서, 집에서 일일이 손으로 마늘 껍질을 벗겨 사용하는 가정이 많은데, 크기가 작고 많이 사용되는 마늘의 껍질을 손으로 까는 것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42379호는 회전 봉을 모터 회전축에 장착하여 마늘의 껍질을 박피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에 개시된 구조는 회전봉이 막대인, 봉 형태의 직선 구조로서, 회전체의 단면의 범위가 작아 원심력과 마찰력이 매우 한정적으로 작용하여 마늘의 박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체의 모양을 단순하한 막대의 봉이 아닌 반지름이 서로 다른 다수의 회전체로 구비하게 하고, 회전체에 돌기의 길이와 형태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방향과 세기가 다양한 원심력이 작용하여 마늘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박피가 이루어져, 어떠한 조건에서라도 확실하게 박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를 제안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는, 내부의 벽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바닥 중앙에 회전체의 축을 고정하는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10)와, 상기 고정부(11)에 끼워져 회전하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30) 및 뚜껑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의 내부 벽면에 구비된 요철은 등간격으로 4개 혹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0)는 용기(10)의 고정부(11)에 끼워지는 회전축(21)과 회전축을 둘러싸되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다수의 회전몸체(23)로 구성되고, 회전몸체에는 그 모양과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23)는 바람직하게는 표주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주박 형태는 껍질이 까진 마늘은 밑으로, 마늘 껍질은 위로 올리는 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회전몸체(23)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회전 몸체는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24)는 바람직하게는 총40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돌기는 올록볼록한 단순 요철이 아닌, 마치 손가락이 마늘의 껍질을 비비는 듯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며, 타원기둥 형태도 함께 구비되어 마늘이 부딪히는 면적을 넓게하고 마찰력과 원심력이 다양한 크기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체(20)가 모터와 연결되는 모터연결부(22)는 십자형태로 되어 있어, 회전체의 공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20)는 칼날으로 대체되어 다지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에 있어서 회전 몸체의 재료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실리콘 넘버는 NE-9150으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위생, 내구성,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상기 모터부(30)는 회전체(20)의 회전축(22)의 상단과 결합되어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지기 겸용 박피기는, 회전체가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갖는 다수의 회전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몸체의 반지름의 차이에 따라 원심력의 세기가 다르게 작용하여 마늘의 무게에 따라 층이 나뉘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 까진 껍질이 자연스레 위로 떠올라 분리되어 마늘과 껍질이 뒤엉켜 마늘의 껍질이 제대로 박피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몸체에 서로 다른 길이와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힘이 작용되고 마치 손가락이 마늘껍질을 비비는 효과를 가져오며, 또한 마늘을 타격하는 각도가 다양해져서 마늘의 껍질이 확실하게 박피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회전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회전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는, 내부의 벽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바닥의 중앙에는 회전체의 축을 고정하는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구성하는 용기(10)와, 상기 고정부(11)에 끼워져 회전하는 회전체(20)와,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어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30)및 뚜껑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다지려는 야채 등의 재료를 담거나, 껍질을 제거하려는 마늘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되는데, 바닥 중앙에는 회전체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1)가 형성되고, 내부 벽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내부 용기에 담긴 재료들의 회전 및 마찰을 증가시켜 더욱 잘 다져지거나 껍질이 잘 벗겨지도록 한다.
도2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체(20)는, 용기의 바닥면 중앙에 위치한 고정부(11)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모터부(30)와 결합하여 회전될 수 있는 모터연결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20)는, 회전몸체(23)로 둘러싸여지는데 회전몸체(23)는 두 개 이상의 반지름이 다른 회전몸체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원운동의 회전체에게서 발생되는 원심력의 크기가 다르게 작용하여 마늘에 다양한 크기의 힘이 가격되고 원심분리기의 효과와 같이 가벼운 마늘 껍질은 위로, 무거운 마늘은 아래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회전체(23)는 표주박 형태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23)의 최하단부는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어 원심력이 최대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체(23)에는 다수개의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는 회전봉의 회전 운동에 따라 함께 움직여 마늘을 가격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돌기는 총40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치 손가락이 마늘의 껍질을 비비는 듯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원기둥의 형태로 구성되며, 타원 기둥 형태도 함께 구비되어 마늘이 부딪히는 면적을 넓게 하고 마찰력과 원심력이 다양한 크기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20)는 칼날으로 대체되어 다지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몸체의 재질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실리콘 넘버 NE-9150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위생, 내구성,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상기 뚜껑부(40)는 용기(10) 상단에 안착되며 중앙에 회전체(20)의 모터연결부(22)가 모터부(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천공되어 있다.
상기 모터부(30)는 하단에 회전체(20)의 모터연결부(22)와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10: 용기
11: 고정부
20: 회전체
21: 끼움부
22: 모터연결부
23: 회전몸체
24: 돌기
30: 모터부
40: 뚜껑부

Claims (3)

  1. 박피될 마늘이 놓여지는 용기 내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의 중앙에 고정되며 모터부와 결합하여 회전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두 개 이상의 반지름이 다른 회전몸체로 둘러싸여 구성되어 서로 다른 원심력의 작용으로 마늘껍질과 마늘을 분리하면서 껍질을 벗기는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표주박 형태로 구성되고 회전몸체의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회전 몸체는 하단으로 갈 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원기둥의 형태와 타원형의 형태가 함께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마찰력과 원심력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KR2020190003312U 2019-08-09 2019-08-09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KR202100003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12U KR20210000394U (ko) 2019-08-09 2019-08-09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312U KR20210000394U (ko) 2019-08-09 2019-08-09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94U true KR20210000394U (ko) 2021-02-18

Family

ID=7471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312U KR20210000394U (ko) 2019-08-09 2019-08-09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39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704B2 (en) Garlic peeler
KR101188535B1 (ko) 식료품 처리용 장치
EP2645906B1 (en) Hand held masher device
US7114258B2 (en) Fruit stone remover
WO2012071628A1 (en) Tool for opening a coconut
ES2642771T3 (es) Aparato electrodoméstico de preparación culinaria que consta de un dispositivo pasapurés
CN107529810B (zh) 马铃薯削皮器
KR20210000394U (ko) 다지기 겸용 마늘 박피기
US10349730B2 (en) Juicer Brush
US6382089B1 (en) Cutting device for citrus fruit
US6446891B1 (en) Wet and dry food grinder
WO2003075728A1 (en) A covered kitchen utensil and a covering for a kitchen utensil
CN211833876U (zh) 剥皮机
CN211432182U (zh) 剥皮机
CN103381049A (zh) 包括捣菜泥装置的烹饪制备家电设备
RU2596467C2 (ru) Решетка картофелемялки и кухонный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набженный такой решеткой
CA2315764C (en) Cutting device for citrus fruit
EP3357655A1 (en) Cutter for fruits or vegetables
JPS6027996Y2 (ja) ゴム脚
AU2012216668A1 (en) Device for processing foodstuffs
JP2019092691A (ja) 調理器具
CH278228A (fr) Ustensile de cuisine à râper des ali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