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259B1 - 마늘박피기 - Google Patents

마늘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259B1
KR101273259B1 KR1020110073282A KR20110073282A KR101273259B1 KR 101273259 B1 KR101273259 B1 KR 101273259B1 KR 1020110073282 A KR1020110073282 A KR 1020110073282A KR 20110073282 A KR20110073282 A KR 20110073282A KR 101273259 B1 KR101273259 B1 KR 10127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pedestal
resin
support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853A (ko
Inventor
이의진
Original Assignee
이의진
주식회사 리빙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진, 주식회사 리빙휴 filed Critical 이의진
Priority to KR102011007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2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14Machines for peeling
    • A47J17/18Machines for peeling with scraping discs or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고, 구성이 복잡하지 않으며, 용기로 겸용할 수 있고, 박피성능이 뛰어난 마늘 박피기가 개시된다. 상기 마늘 박피기는 표면이 탄성력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수지표면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받침대 및 표면이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제2수지표면부와 상기 제2수지표면부를 저부에 지지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1수지표면부 상에 올려진 마늘을 상기 제2수지표면부로 누르면서 상기 제1수지표면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마늘이동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마늘박피기{Device for removing the coats of garlic}
본 발명은 마늘의 껍질을 까는 데 사용되는 마늘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마늘의 껍질을 까는 데 사용되는 기존의 마늘박피장치는 마늘을 롤러들 사이로 통과시키거나 용기 내에 마늘을 넣고 회전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마늘의 껍질을 까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기존의 마늘박피장치는 마늘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롤러나 회전판 등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부품이 많이 소요되고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늘박피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물을 많이 사용하는 일반 가정의 주방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즉, 기존의 마늘박피장치는 마늘껍질을 대량으로 까는 사업장에는 적합하지만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가정의 주방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늘박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개수가 적고 박피되는 마늘의 손상이 적게 발생되는 마늘박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늘의 껍질을 까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음식을 담는 용기로도 사용될 수 있는 마늘박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늘의 박피성능이 우수한 마늘박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박피기는 표면이 탄성력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수지표면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받침대; 및 표면이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제2수지표면부와 상기 제2수지표면부를 저부에 지지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1수지표면부 상에 올려진 마늘을 상기 제2수지표면부로 누르면서 상기 제1수지표면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마늘이동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마늘에서 벗겨진 껍질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여주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떨어지는 마늘 껍질을 수용하기 위한 껍질수용부를 가지는 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받침대는 수지체결합부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수지체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수지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체결합부들은 각각 직선으로 배치된 것을 포함하고, 그 연장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의 외벽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여주기 위한 받침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저면에는 상기 받침대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가 측방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지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의 내부는 상기 받침대 지지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 지지부 내측의 공간과 상기 받침대 지지부 외측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지표면부와 상기 제2수지표면부는 TPR 또는 연질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제2수지표면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선형부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부들은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것과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하는 선형부들 사이에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박피기는 모터, 기어 등의 전기 및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는 단가가 저렴하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박피기는 사용하기가 간편하고 필요에 따라 용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는 특히 마늘의 껍질에 선형의 탄성적인 집중하중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마늘박피 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받침대를 용기에 장착한 상태와 마늘이동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과 2에 나타낸 마늘이동구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받침대를 용기에 장착한 상태와 마늘이동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과 2에 나타낸 마늘이동구의 저면도이다.
도 1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는 받침대(110)를 구비한다. 이 받침대(110)는 상면에 표면이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수지표면부(110a)를 구비한다. 이러한 받침대(110)는 플라스틱 등의 강성이 있는 재료로 된 지지체(111)와 이 지지체(111)의 상면에 결합된 수지체(116)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11)의 재료로는 PP가 적당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지지체(111)에는 바람직하게 수지체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체결합부(112)는 수지체(116)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단이 쐐기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체결합부(112)들은 구역별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같은 구역의 수지체결합부(112)들은 각각 간격을 두고 선형부(LP)를 이루며 배치되어 있고, 이웃하는 두 선형부(LP) 사이에는 마늘에서 벗겨진 껍질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114)들이 형성되어 있다. 뒤에서 설명되는 수지체(116)도 바람직하게 지지체(111)와 동일모양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받침대(110)에 마늘에서 벗겨진 껍질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114)들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선형부(LP)는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형부(LP)들은 그 구역에 따라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것과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각 구역별 수지체결합부(112)들은 그 연장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부분을 가진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마늘이동구(130)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마늘에 큰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생기도록 하여준다.
제1수지표면부(110a)에 선형부(LP)를 형성하는 경우, 연질의 수지로된 선형부(LP)는 그 표면이 접촉되는 마늘의 표면굴곡에 따라 변형되면서 마늘과 접촉되기 때문에 마늘과 국부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커지고 이에 따라 마늘의 껍질이 쉽게 벗겨진다. 이는 본 발명의 큰 특징 중 하나이며, 뒤에서 설명되는 마늘이동구(130)의 제2수지표면부(130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수지표면부(110a)에는 선형부(LP) 대신에 점상의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으나, 그렇게 하는 경우 마늘과의 접촉부분이 점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껍질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껍질을 벗기는 효율이 선형부(LP)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에 비해 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체(111)는 중앙의 원형구멍(111a)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6개의 연장부(113)들이 형성되고, 이 연장부(113)에서 바깥쪽으로 선형부(LP)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형부(LP)들은 그 연장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는 작업자가 어느 방향으로 마늘이동구(130)를 이동시키더라도 마늘의 껍질이 쉽게 벗겨질 수 있도록 한다. 중앙의 원형구멍(111a)은 받침대(110)를 손으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러한 지지체(111)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홈 형태의 지지결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결합부(115)는 뒤에서 설명되는 받침대 지지부(151)의 상단에 결합되어 받침대(110)가 측방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결합부(115)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받침대 지지부(151)의 형상에 따라 돌기형태 등으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지체(116)는 지지체(111)와 유사한 평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수지체결합부(1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쐐기형상의 오목홈(117)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체(116)는 지지체(111)보다 연질의 수지로 만들어진다. 수지체(116)의 재료로는 TPR(Thermo Plastic Rubber) 또는 연질우레탄이 적당하다. 탄력성이 있는 기타의 고무도 사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지지체(111)와 수지체(116)를 갖는 받침대(110)는 이중사출방식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는 용기(150)를 더 구비한다. 이 용기(150)는 받침대(110) 하부에 설치되어 받침대(110)를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관통구(114)를 통해 떨어지는 마늘 껍질을 수용하기 위한 껍질수용부를 형성한다.
이 용기(150)의 내부에는 받침대 지지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침대 지지부(151)는 용기(150) 내부에서 용기(150)의 외벽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대 지지부(151)는 받침대(110)를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받침대(110)가 결합되어 측방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받침대(110) 저면에는 홈 형태의 지지결합부(115)가 형성된다. 물론, 받침대 지지부(151)가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지지결합부(115)는 돌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받침대 지지부(151)와 지지결합부(115)는 각각 돌기와 홈이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 지지부(151)에 의해 용기(150)의 내부 공간은 2중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데, 받침대(110) 하부의 공간은 받침대(110)에 형성된 관통공(114)을 통해 작은 마늘 껍질들이 떨어져 수용되는 부분이고, 받침대 바깥쪽의 공간은 관통공(114)으로 떨어지지 않은 큰 껍질들이 떨어져서 수용되는 부분이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용기(150)는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받침대(110)를 용기(150)가 아닌 바닥에 깔고 뒤에서 설명되는 마늘이동구(130)를 이용해 마늘의 껍질을 깔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받침대(110)의 저부에는 받침대(110)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줄 수 있는 다리가 형성될 수 있는 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는 마늘이동구(130)를 구비한다. 이 마늘이동구(130)는 받침대(110) 상에 껍질을 까기 위한 마늘을 올려놓고 이를 누르면서 이동시켜 마늘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저부에 표면이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제2수지표면부(130a)와 이 제2수지표면부(130a)를 저면부에 지지하고 사람이 손으로 잡아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2)를 구비한다. 손잡이(132) 저면에는 제2수지표면부(130a)를 가지는 수지체(130b)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 형태의 결합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제2수지표면부(130a)는 제1수지표면부(110a)와 마찬가지로 TPR이나 연질우레탄으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지표면부(130a)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선형부(LP)들을 가지도록 그리고 서로 교차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선형부(LP)들 사이에 홈(134)들이 형성된다. 이 홈(134)은 그 위치에 따라 깊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마늘을 가압하는 탄성력이 마늘이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변화가 생기고 마늘의 껍질이 보다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수지표면부(130a)는 TPR이나 연질우레탄으로 성형한 것을 뒤에서 설명되는 손잡이(132) 저면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늘이동구(130)는 제1수지표면부(110a) 상에 올려진 마늘을 제2수지표면부(130a)로 누르면서 제1수지표면부(110a)를 따라 전, 후, 좌, 우 또는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마늘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132)의 상단에는 마개(135)를 장착하여 그 개구를 차단하고 사람이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32)와 마개(135)는 PP 등의 플라스틱으로 만들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마늘이동구(130)는 TPR이나 연질우레탄으로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는 바람직하게 뚜껑(170)을 더 구비한다. 이 뚜껑(170)은 마늘껍질을 까는 작업을 하지 않을 때 용기(150)를 닫아 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를 이용하는 마늘껍질을 까는 작업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대(110)를 용기(150)의 받침대 지지부(151)에 장착한 상태에서 통마늘을 쪼갠 쪽으로 분리된 마늘들을 받침대(110)의 제1수지표면부(110a) 상에 올리고 마늘이동구(13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1수지표면부(110a)를 통해 마늘들을 살짝 가압하는 상태로 전후, 좌우 또는 원형으로 이동시키면서 마늘을 제1수지표면부(110a)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마늘들은 제1수지표면부(110a)와 제2수지표면부(130a) 사이에서 이동되면서 또는 구르면서 제1 및 제2수지표면부(110a, 130a)와의 마찰에 의해 껍질이 벗겨진다. 이렇게 벗겨진 작은 껍질들은 관통구(114)를 통해 그 하부의 껍질수용부로 떨어지고 큰 껍질들은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받침대 지지부(151) 바깥쪽의 껍질수용부로 떨어진다.
이러한 과정으로 마늘 껍질을 깐 후에, 껍질이 벗겨진 마늘은 분리하여 다른 용기에 담고, 받침대(110)를 들어올린 후 용기(150)에 남아있는 껍질들은 버린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를 사용 후에는 마늘이동구(130)를 중앙의 껍질수용부에 담고, 받침대(110)를 받침대 지지부(151)에 장착한 상태에서 뚜껑(170)을 닫아서 필요한 장소에 보관한다.
경우에 따라 용기(110)는 반찬 등을 담는 그릇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받침대(110)의 저면에 다리(118)를 형성하여 용기(150)의 바닥에 직접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150)의 바닥부(155)에 다리(118)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는 지지홈(157)을 형성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받침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용기의 상단에 걸릴 수 있는 결합부(115a)를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구멍을 없애고 원형부(111b)를 형성하고 그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다리(118)를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늘 박피기(100)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받침대(110)의 가장자리에는 관통구(114)를 크게 형성하여 작은 껍질은 내측의 작은 관통구(114)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고 큰 껍질은 외측의 큰 관통구(114)를 통해 하부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은 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받침대(110)에 형성되는 선형부(LP)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된 것, 곡선으로 형성된 것,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된 것 등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받침대(110)에 형성되는 선형부(LP)는 곡선으로만 또는 지그재그 모양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마늘뿐만 아니라 마늘과 유사한 형태의 껍질을 갖는 뿌리식물의 껍질을 벗기는 장치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마늘 박피기 110: 받침대
110a: 제1수지표면부 111: 지지체
112: 수지체결합부 115: 지지결합부
116: 수지체 130: 마늘이동구
130a: 제2수지표면부 150: 용기
151: 받침대 지지부 170: 뚜껑
LP: 선형부

Claims (9)

  1. 표면이 탄성력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 제1수지표면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받침대; 및
    표면이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제2수지표면부와 상기 제2수지표면부를 저부에 지지하는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제1수지표면부 상에 올려진 마늘을 상기 제2수지표면부로 누르면서 상기 제1수지표면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마늘이동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마늘에서 벗겨진 껍질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여주고 상기 관통구를 통해 떨어지는 마늘 껍질을 수용하기 위한 껍질수용부를 가지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의 외벽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여주기 위한 받침대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저면에는 상기 받침대 지지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가 측방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지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의 내부는 상기 받침대 지지부에 의해 상기 받침대 지지부 내측의 공간과 상기 받침대 지지부 외측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박피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수지체결합부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수지체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보다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수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박피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결합부들은 각각 직선으로 배치된 것을 포함하고, 그 연장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박피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표면부와 상기 제2수지표면부는 TPR 또는 연질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박피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지표면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선형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박피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부들은 제1방향으로 배치된 것과 상기 제1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하는 선형부들 사이에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박피기.
KR1020110073282A 2011-07-22 2011-07-22 마늘박피기 KR10127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82A KR101273259B1 (ko) 2011-07-22 2011-07-22 마늘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282A KR101273259B1 (ko) 2011-07-22 2011-07-22 마늘박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53A KR20130011853A (ko) 2013-01-30
KR101273259B1 true KR101273259B1 (ko) 2013-06-11

Family

ID=4784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282A KR101273259B1 (ko) 2011-07-22 2011-07-22 마늘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553A (ko) 2019-06-07 2020-12-16 박노정 마늘 박피기
US11197569B2 (en) 2019-07-09 2021-12-14 Richard Joseph Yribarren Food pee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468U (ko) * 1989-10-26 1991-06-26
KR19980012771U (ko) * 1996-08-29 1998-06-05 임중호 마늘 탈피 용구
KR20070039883A (ko) * 2004-08-05 2007-04-13 사이몬 하이모프 마늘 박피기
KR100762309B1 (ko) * 2006-09-18 2007-10-04 김계수 다용도 슬라이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468U (ko) * 1989-10-26 1991-06-26
KR19980012771U (ko) * 1996-08-29 1998-06-05 임중호 마늘 탈피 용구
KR20070039883A (ko) * 2004-08-05 2007-04-13 사이몬 하이모프 마늘 박피기
KR100762309B1 (ko) * 2006-09-18 2007-10-04 김계수 다용도 슬라이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553A (ko) 2019-06-07 2020-12-16 박노정 마늘 박피기
US11197569B2 (en) 2019-07-09 2021-12-14 Richard Joseph Yribarren Food pee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853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870B2 (en) Soap stand
CN201870268U (zh) 烹饪物品的碗
USD597739S1 (en) Six sided food container
KR101273259B1 (ko) 마늘박피기
US7025216B2 (en) Cap for household appliances
EP2774526B1 (en) Mop bucket
US2871615A (en) Utility device
CN202312787U (zh) 一种便捷榨汁机
USD500937S1 (en) Stainless steel bowl for stand mixer
KR20130002112U (ko) 접이식 주방용기
US20210186302A1 (en) Liquid drainage device
CN204541560U (zh) 一种中式带托盘的餐盘
CN205306822U (zh) 果蔬沥水篮
CN202567902U (zh) 一种不锈钢单柄大挂耳冲孔篮网
JP6884943B2 (ja) 料理載置台
CN205756874U (zh) 一种用于固定烤缸装置
KR101761659B1 (ko) 수저통
JP3183911U (ja) 製氷容器
CN211299662U (zh) 一种沥水篮
KR102232729B1 (ko) 유아용 식기 보관함
CN213605990U (zh) 新型净菜放置盒及放置装置
CN210842932U (zh) 放置结构、承载篮和家用电器套装
JP6453513B1 (ja) 軽量皿
JPH1052375A (ja) 食缶および食品用容器の蓋
KR200316638Y1 (ko) 식기세척용 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