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454A -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의 공기량을 하중에 따라 조절하기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의 공기량을 하중에 따라 조절하기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454A
KR20070037454A KR1020067027863A KR20067027863A KR20070037454A KR 20070037454 A KR20070037454 A KR 20070037454A KR 1020067027863 A KR1020067027863 A KR 1020067027863A KR 20067027863 A KR20067027863 A KR 20067027863A KR 20070037454 A KR20070037454 A KR 2007003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volume
value
vehicle
lim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732B1 (ko
Inventor
하이케 일리아스
우베 폴헤르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3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pneumati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50Pressure
    • B60G2400/51Pressure in suspension unit
    • B60G2400/512Pressure in suspension unit in spring
    • B60G2400/5122Fluid spring
    • B60G2400/51222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1Air spring system type
    • B60G2500/2014Clos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2Retarders, delaying means, dead zones, threshold values, cut-off frequency, time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85Speed of reg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 Y10T137/0379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폐쇄형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공기 동력식 펌프는, 공기 스프링에서 지지되는 차체가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해 목표하는 간격만큼 이격되는 정도로 높은 공기 압력이 각각의 공기 스프링 내에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부 내에 존재할 수 있을 만큼의 공기량을 소요에 따라 적어도 2개의 공기 스프링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부로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차량의 적재 상태가 상이하더라도 충분히 일정한 조절 속도를 실현할 뿐 아니라 공지된 시스템에서 통상적인 것보다 더욱 작은 압축 공기 저장부를 이용하기 위해, 공기 스프링 압력(P)이 공기 스프링들 중 적어도 2개의 공기 스프링에서 측정되며,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격 거리(HN, NN, TN)가 측정되며, 공기 스프링 압력(P)과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격 거리(HN, NN, TN)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차축의 축하중(AL)이 결정되며, 그리고 각각의 축하중(AL)에 따라, 공기 동력식 펌프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감압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실제 시스템 공기량이 설정되어야 하는 시스템 공기량의 설정값(PV_SOLL)이 결정된다.

Description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의 공기량을 하중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THE LOAD-DEPENDENT REGULATION OF THE AIR VOLUME IN A PNEUMATIC SPRING SYSTEM}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라 차량의 폐쇄형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점에 따르면, 자동차의 공기 스프링들은 주행로에 대향하여 차체의 높이를 조정할 뿐 아니라 차량 하중이 상이할 시에도 주행로에 대향하여 선택된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 스프링들은 적어도 하나의 차축에서 상기 차축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 공기 라인들을 통해 압축 공기 공급원과 연결된다. 각각의 공기 스프링의 조정은 적합한 센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 정보는 제어 및 조절 장치에 의해 압축 공기 라인들 내에 배치된 밸브들을 위한 제어 신호로 처리된다.
EP 0 779 167 B1으로부터, 차고 조절 장치와 관련하여 공기 스프링 벨로우즈들 내부의 공기량이 차축 위쪽의 차량 구조의 높이를 결정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공기량을 변경함에 따라 해당하는 이격 거리가 변경될 수 있는 점이 공지되었다. 가스의 압력, 부피 및 온도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가스 법칙을 바탕으로 상호 간에 결부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 공기 벨로우즈의 부피가 일정할 시에 벨로우즈 내 공 기량의 변화는 그 내부의 공기 압력을 변화시키며, 이는 차고를 변경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공보로부터 공지된 차고 조절 장치에 따르면, 특히 차고가 일정할 시에 공기 스프링 벨로우즈들 내에서 측정된 공기 압력이 차량의 하중에 대한 기준으로서 이용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차축의 공기 스프링들에서 측정된 압력 측정값들의 평균값이 이용된다.
상기 차고 조절 시스템은 부분적으로 공기 동력식 펌프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 저장부가 설정 공기 압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폐쇄형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폐쇄형 압축 공기 시스템의 경우, 공기 스프링들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은 통상적으로 압축 공기 저장부의 압축 공기 저장기로부터 이루어진다. 공기 동력식 펌프는 항시 시스템 공기량이 최소 한계값 이하로 내려갈 때에만 비연속적 작동으로 압축 공기 저장부를 충전한다.
전체적으로 상기한 폐쇄형 압축 공기 시스템 내에서는 항시 비간섭 작동에서 일정한 것으로서 간주되는 소정의 시스템 공기량이 유지된다. 시스템 공기량의 변화는 예컨대 시스템의 누출 위치 및/또는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만일 시스템 공기량이 사전 지정된 설정값 이하로 내려가면, 이는 대개 압력 손실로서 인식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공기 동력식 펌프는, 재차 압축 공기 시스템 내에 시스템 공기량의 설정값이 달성될 때까지 활성화된다.
그런 다음 시스템 공기량의 설정값으로부터 약간의 편차가 발생할 때마다 전술한 조절 과정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기한 조절 방법은 공기량 허용대(tolerance band)를 지시하며, 이 공기량 허용대의 상한값 및 하한값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 템 공기량의 설정값과 마찬가지로 모든 차고 조절 및 차량 적재 상태에 대해 사전 지정된 상수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DE 101 22 567 C1으로부터 폐쇄형 차고 조절 시스템의 압축 공기 저장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었다. 이와 관련한 차고 조절 시스템은 컴프레셔와 압축 공기 저장부를 포함한다. 압축 공기 저장부는 주변 대기로부터 공기로 충전될 수 있고, 주변 대기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공기 스프링이 제공되되, 이 공기 스프링은, 압축 공기가 공기 스프링으로부터 압축 공기 저장부로 유도되거나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는 방식으로, 컴프레셔를 통해 압축 공기 저장부와 연결된다.
상기한 공보에 따르면, 기술된 차고 조절 시스템 내에서는 압축 공기 저장부의 저장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보장되는 점에 따르면, 저장부 압력은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며, 그리고 압축 공기 저장부는 대기로부터 압축 공기로 불필요하게 충전되지 않고, 대기로 압축 공기를 불필요하게 배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부 압력은 자동차의 소정의 상태에서 차량 구조의 신속한 승강을 보장하기 위해 소정의 영역에 위치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안되는 점에 따라, 압축 공기 저장부의 저장부 압력은 간접적으로 차고 조절 시스템의 공기량의 결정을 통해 조절된다. 이때 압축 공기 저장부는, 공기량이 한계값 이하이면, 대기로부터 공기로 충전되고, 공기량이 상한값 이상이면 대기로 공기를 배출한다. 이와 같은 조절은, 시스템 내 실제 공기량이 충전 혹은 배출 후에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의 작동 영역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그 외에도 상기한 공보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안되는 점에 따라, 공기량은 항시 소정의 작동 영역에서 유지되며, 그 결과 저장부 압력은 차량의 소정의 상태에서 역시 소정의 압력 영역에 위치한다. 이때 공기량에 대한 작동 영역의 선택은, 바람직하게 차량의 소정의 정상 상태에서 저장부 압력이 한 편으로는 차체의 신속한 상승이 가능하면서 다른 한 편으로 차량의 신속한 하강이 가능한 범위 내에 놓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 방법은 비록 기능적으로 효율적이긴 하지만, 특히 일정한 공기량 설정값뿐 아니라 모든 차고 및 적재 상태에 대해 지정된 공기량 허용대로 인해, 상이한 차고 및 적재 상태를 위해 요구되는 조절 시간에서 비교적 큰 차이가 확인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 외에도 '공차 하중에서의 하강 조절'과 '만차 하중에서의 상승 조절'과 같은 극한 상태를 조절할 시에 목표의 충돌이 발생한다. 종국에서 상기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조절 방법은 비교적 큰 압축 공기 저장부를 필요로 하며, 이는 일반적인 차고 조절 시스템의 제조 비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차량 적재 상태에서 일정한 조절 속도를 가능케 하는 차고 조절 시스템의 제어 및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가급적 작은 압력 저장부를 이용해서도 충분히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주요 청구항의 특징부를 통해 달성되며, 그에 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된 실시예 및 구현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제시된다.
본 발명은, 차고 조절 시스템의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이 차량의 적재 상태에 따라 그에 부합하게 변경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때 설정된 목적이 해결된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그리고 공기량 허용대의 한계값이 적재 하중에 따라 결정될 때 추가로 개선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폐쇄형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서 출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공기 동력식 펌프는, 공기 스프링에 지지되는 차체가 주행로 혹은 차체에 대해 목표하는 간격만큼 이격되는 정도로 높은 공기 압력이 각각의 공기 스프링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부에 존재할 만큼의 공기량을 소요에 따라 적어도 2개의 공기 스프링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부에 공급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기 스프링 압력이 차축의 공기 스프링들 중 적어도 2개의 공기 스프링에서 측정되고, 주행로 혹은 차체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격 거리가 측정되고, 공기 스프링 압력과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격 거리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차축의 축하중이 결정되며, 그리고 각각의 축하중 내지 차량 적재 상태에 따라, 공기 동력식 펌프의 작동 혹은 감압 밸브의 작동을 통해 실제 시스템 공기량이 설정되어야 하는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이 결정되는 방법이 추가로 제안된다.
이와 같은 처리 방법을 통해,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은 적재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그럼으로써 차량의 적재 상태가 상이할 시에도 대응하는 조절 속도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의 한 바람직한 변형예에서는, 각각의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에 공기량 허용대가 할당된다. 이 공기량 허용대의 상한값은 사전 지정된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그 하한값은 사전 지정된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 이하로 떨어지지도 않는다. 그 외에도 허용대는 차량의 각각의 적재 상대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압축 공기 시스템의 공기량이 최대 공기량을 초과하거나, 또는 그 최소 공기량 이하로 감소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과 허용대 상한값 사이의 차이뿐 아니라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과 허용대 하한값 사이의 차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방법 제어를 통해, 적재 하중에 따라 설정할 공기량 설정값에 대한 값은 시스템 공기량에 대해 전술한 최대값 혹은 최소값에 매우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소정의 제한을 통해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이 허용대 상한값 혹은 허용대 하한값과 일치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허용대는 오로지 한 방향으로만, 다시 말해 더욱 높아지거나 혹은 더욱 낮아지는 시스템 공기량 값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이와 무관하게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한 방향의 허용대가 비교적 작아야만 한다면, 허용대는 양방향으로 존재한다.
전술한 한계 조건 하에서 특별한 경우로서 제안되는 점에 따라,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은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 혹은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한계 조건 역시 포함한다. 이 처리 한계 조건에 따라, 작동 시에 발생하는 모든 차고 변경 과정에서 조절 속도가 정의된 속도 한계값 위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 및 허용대 상한값과 하한값이 선택된다.
또 다른 처리 한계 조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작동 시에 발생하는 모든 차고 변경 과정에서 공기 동력식 펌프의 최대 허용 전기 소모량이 초과되지 않는 방식으로,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뿐 아니라 허용대의 상한값과 하한값이 선택된다.
또 다른 처리 한계 조건은, 작동 시에 발생하는 모든 차고 변경 과정에서 압축 공기 저장부가 사전 지정된 최소 압력 이하로 감소하지 않으며, 그리고 압축 공기 저장부가 사전 지정된 최대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뿐 아니라 허용대의 상한값과 하한값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차축의 축방향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공기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지 차고 조절 시스템의 공기량을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한 소위 4 코너 차고 조절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행로에 대향하는 차체의 설정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외에도 상기한 시스템은 또한 차량의 적재 상태와 무관하게 차고의 조정을 달성한다.
또한, 오직 뒷차축의 축방향 단부 영역에만 배치되는 가변식 공기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지 차고 조절 시스템의 공기량을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하기 위해 본원의 조절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마지막 변형예에 따라, 실제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 및 공기량 허용대의 실제 한계값의 결정은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실행된다. 그럼으로써 일측 에서는 이와 결부된 제어 및 조절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계산 시간이 절감되며, 타측에서는 본 발명의 목표하는 성과가 감소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적재 및 적하 과정은 대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개시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공기 스프링 압력 측정은 주기적인 시스템 공기량 측정의 의미에서 주행 중에 실시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시스템 공기량이 공기량 허용대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이와 관련한 몇몇 구현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공기 스프링 압력이 차량의 축하중에 따라 기록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공기량이 차량의 적재 상태에 따라 도시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다이어그램의 경우, 차축의 축하중(AL)에 대한 공기 스프링 압력(P)의 의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고려되는 차량은 폐쇄형 공기 공급장치를 구비한 4 코너 공기 스프링 시스템을 탑재한 자동차이다. 이 4 코너 공기 스프링 시스템에서는, 적재 하중 보상 외에도 소정의 조정 영역 내에서 두 차축에 대향하는 차체의 차고 조정 역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조정 영역의 한계값은 차량의 정상 차고를 특징 짓는 직선(NN)에 대한 이격 거리로써 선택되며, 그리고 차량 상위 차고에 대한 직선(HN)과 차량 하위 차고에 대한 직선(TN)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들 내 공기 압력(P)은 차고가 직선으로 설정될 시에(직선 HN, NN 혹은 TN), 축하중(AL)에 따라 차량 공차 하중을 특징 짓는 값(LG)과 총 허용 하중을 나타내는 값(MG) 사이에서 가변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각의 공기 스프링 내 공기 압력(P)은 차량의 축하중(AL) 내지 적재 상태(BZ)에 따라 거의 선형으로 변경된다. 그에 따라, 두 차축의 단부에 위치하는 4개의 모든 공기 스프링에서 공기 스프링 압력을 측정하고, 예컨대 차체와 주행로 혹은 각각의 차축 사이의 이격 거리 측정의 의미에서 차고(HN, NN, TN)를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차축의 축하중(AL)이 추론될 수 있다.
상기한 압력 측정은 대개 차량의 모든 차고 위치에서 그리고 주행 중에도 실시할 수 있다. 압력 측정은, 바람직하게는 오로지 차량의 적재가 실제로 개시될 때에만 차량 적재 상태 내지 각각의 축하중(AL)을 결정하기 위해 실행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 해당한다.
적재 하중에 따른 개별적인 공기 스프링 압력(P)은 도 1에 도시한 함수 연관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축 별로 축하중으로 합산된다. 이러한 축 하중은 차량의 적재 상태(BZ)와 등가이다. 왜냐하면, 제1 라인에서 적재 하중 변화는 뒷차축의 압력에서 알 수 있기 때문에, 4 코너 공기 스프링 시스템의 경우 대개 뒷차축의 공기 스프링들만을 고려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앞차축의 압력값들은 개연성 점검을 위해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현재 적재 상태(BZ)에 대한 값으로부터, 설계 공기량 내지 공기량 설정값(PV_SOLL)이 결정된다. 이는 이와 관련한 제어 및 조절 장치 내에 저장 된 값 도표 혹은 수학적 함수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수학 함수는 도 2에 따라 선형 의존성을 갖는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차량의 적재 상태는 본 실시예에 따라 "공차 하중(EMPTY)", "현재 하중(CURRENT)" 및 "만차 하중(FULL)"이 포함되는 정량값으로 지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량값들 대신에, 적재 상태(BZ)는 차량 전체 하중에 의해 지시될 수 있되, 적재되지 않고 승차 인원이 없으면서 연료는 충전된 상태의 차량 중량이 최소값으로서 지시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최대값은 최대한 허용되는 차량 총 하중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결정된 차량의 적재 상태(BZ)를 이용하여, 동일한 적재 상태에 대해 실제로 최적화된 공기량 설정값이 결정된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차량은 적재 하중에 따른 공기량 설정값(PV_SOLL)이 할당되는 "현재 하중(CURRENT)"의 값으로써 적재 상태를 지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공기량 설정값(PV_SOLL)은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모든 차고 및 적재 상태에 대해 일정한 상수값이 아니다. 오히려 상기 공기량 설정값은 차량의 적재 상태(BZ)에 따라 달라지며, 그리고 초과되거나 그 이하로 감소해서는 안 되는 공기량 최대 한계값(PV_MAX) 혹은 공기량 최소 한계값(PV_MI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공기량 설정값(PV_SOLL)에는 상한값(PV_OG) 및 하한값(PV_UG)을 포함하는 허용대(TL)가 할당된다. 상기 상한값 및 하한값은 공기량 설정값(PV_SOLL)으로부터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는다. 두 한계값(PV_OG 및 PV_UG)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방법에 따라 측정된 차량 적재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두 한계값(PV_OG 및 PV_UG)의 경우 공기량 설정값(PV_SOLL)에 대해 동일한 이 격 거리가 강제적으로 지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공기량 한계값(PV_SOLL)이 공기량 최대 한계값(PV_MAX)을 갖는 전술한 경우에, 허용대(TL)의 상부 절반부는 영(0)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허용대(TL)의 하부 절반부는 여전히 그대로 유지된다. 공기량 설정값(PV_SOLL)이 공기량 최소 한계값(PV_MIN)과 동일한 점에 한해서, 그에 따라 허용오차 하한값(PV_UG)은 영(0)의 값을 갖는다.
그러나 이미 최초에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스프링 시스템의 최적의 기능을 위해, 그리고 압축 공기 시스템 내 낮은 온도 변동 혹은 허용오차가 즉각적으로 공기량 보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항시 허용대는 공기량 설정값(PV_SOLL)의 양방향에 존재해야 한다.
도 2에 명시한 바와 같이, 공기량 설정값(PV_SOLL)과 허용대(TL)의 상한값(PV_OG) 내지 하한값(PV_UG)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적재 상태(BZ)가 "만차 하중(FULL)" 혹은 "공차 하중(EMPTY)"의 값에 도달한다고 할 때, 허용대(TL)의 상한값(PV_OG) 내지 하한값(PV_UG)이 공기량 최대 한계값(PV_MAX) 내지 공기량 최대 한계값(PV_MIN)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정된 적재 하중에 따른 공기량 설정값(PV_SOLL)뿐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허용대(TL)의 한계값들은 제어 및 조절 장치에 의해 예컨대 주기적으로 결정되고/되거나, 항시 차량이 정지 상태일 경우는 새로이 결정된다. 이때 실제 시스템 공기량이 현재 적재 상태(BZ)에 대한 허용대(TL) 외부에 위치한다고 하면, 이는 더욱 큰 온도 변화 및/또는 공기 누출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경우, 적재 하중에 따른 공기량 설정값(PV_SOLL)이 달성될 때까지, 압축 공기 시스템은 공기 동력식 펌프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받거나 감압 밸브의 작동에 의해 공기를 배출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폐쇄형 공기 공급 장치를 구비한 차고 조절 장치를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 차고 조절 장치의 경우에는, 오로지 일 회 설정된 차고의 유지를 위한 조절 기능만이 정상 차고 혹은 주행 차고의 의미에서 실현된다.
이와 같은 적용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차량의 모든 적재 상태에 대해 최소한 근접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조절 속도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외에도 제안된 처리 방법은 확고하게 정의된 공기량 설정값 및 공기량 허용대를 이용한 조절 방법과 비교하여 더욱 작은 압축 공기 저장부의 사용을 가능케 하며, 이는 상기 차고 조절 시스템을 제조할 시에 비용의 이점을 제공한다.
<도면 부호 목록>
AL: 축하중
BZ: 차량의 적재 상태
HN: 상위 차고, 주행로부터 차체의 이격 거리
LG: 공차 하중
MG: 최대 하중
NN: 정상 차고, 주행로부터 차체의 이격 거리
TN: 하위 차고, 주행로부터 차체의 이격 거리
P: 공기 스프링 압력
PV: 시스템 공기량
PV_MIN: 시스템 공기량 - 최소값
PV_SOLL: 시스템 공기량 - 설정값
PV_MAX: 시스템 공기량 - 최대값
PV_UG: 허용대의 상한값
PV_OG: 허용대의 하한값
TL: 공기량 허용대

Claims (11)

  1. 차량의 폐쇄형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방법으로서, 공기 스프링에 지지되는 차체가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해 목표하는 간격만큼 이격될 정도로 높은 공기 압력이 각각의 고압 스프링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부에 존재할 만큼의 공기량을 소요에 따라 공압식 펌프가 적어도 2개의 공기 스프링 및/또는 압축 공기 저장부에 공급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 스프링의 압력(P)은 공기 스프링들 중 적어도 2개의 공기 스프링에서 측정되고,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격 거리(HN, NN, TN)가 측정되고,
    상기 공기 스프링 압력(P)과 주행로 혹은 차축에 대향하는 차체의 이격 거리(HN, NN, TN)로부터 각각의 차축의 축하중(AL)이 결정되며,
    적어도 하나의 차축의 축하중(AL)에 따라, 상기 공기 동력식 펌프의 작동에 의해, 혹은 감압 밸브의 작동에 의해 실제 시스템 공기량이 설정되는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에 공기량 허용대(TL)가 할당되되, 이 허용대의 상한값(P_OG)은 사전 지정된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PV_MAX)을 초과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허용대의 하한값(P_UG)은 사전 지정된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PV_MIN) 이하로 감소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과 상기 허용대의 상한값(P_OG) 사이의 차이뿐 아니라 상기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과 상기 허용대의 하한값(P_UG) 사이의 차이는 상호 간에 상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은 상기 허용대의 상한값(P_OG)과 일치하거나, 혹은 상기 허용대의 하한값(P_UG)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은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PV_MAX)에 상응하거나, 혹은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PV_MIN)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시에 발생하는 모든 차고 변경 과정에서 조절 속도는 정의된 속도 한계값 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PV_MAX), 상기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PV_MIN)뿐 아니라, 상기 허용대의 상한값(P_OG)과 하한값(P_UG)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시에 발생하는 모든 차고 변경 과정에서 공기 동력식 펌프의 최대 허용되는 전기 소모량이 초과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PV_MAX), 상기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PV_MIN)뿐 아니라, 상기 허용대의 상한값(P_OG)과 하한값(P_UG)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시에 발생하는 모든 차고 변경 과정에서, 압축 공기 저장부가 사전 지정된 최소 압력 이하로 감소하지 않으며, 그리고 압축 공기 저장부가 사전 지정된 최대 압력을 초과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최대값(PV_MAX), 상기 시스템 공기량 최소값(PV_MIN)뿐 아니라, 상기 허용대의 상한값(P_OG)과 하한값(P_UG)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차축의 축방향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공기 스프링들을 구비한 공기 스프링 시스템 및/또는 차고 조절 시스템의 공기 스프링들을 위한 공기량이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뒷차축의 축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공기 스프링들을 구비한 공기 스프링 시스템 및/또는 차고 조절 시스템의 공기량이 동일한 방법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공기량 설정값(PV_SOLL) 및 상기 공기량 허용대(TL)의 한계값들(P_OG, P_UG)의 결정은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량 조절 방법.
KR1020067027863A 2004-07-10 2005-05-24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의 공기량을 하중에 따라 조절하기위한 방법 KR101142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33524.9 2004-07-10
DE200410033524 DE102004033524A1 (de) 2004-07-10 2004-07-10 Verfahren zur beladungsabhängigen Luftmengenregelung in einem Luftfedersystem
PCT/EP2005/052358 WO2006005645A1 (de) 2004-07-10 2005-05-24 Verfahren zur beladungsabhängigen luftmengenregelung in einem luftfeder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454A true KR20070037454A (ko) 2007-04-04
KR101142732B1 KR101142732B1 (ko) 2012-05-04

Family

ID=3496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863A KR101142732B1 (ko) 2004-07-10 2005-05-24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의 공기량을 하중에 따라 조절하기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31203B2 (ko)
EP (1) EP1768862B1 (ko)
JP (1) JP4896878B2 (ko)
KR (1) KR101142732B1 (ko)
AT (1) ATE468239T1 (ko)
DE (2) DE102004033524A1 (ko)
WO (1) WO20060056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66B1 (ko) * 2007-04-09 2008-07-22 다이모스(주) 버스의 에어쿠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6989B8 (de) * 2006-04-11 2011-12-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Verfahren zur Niveauregulierung eines Fahrzeugaufbaus durch Regelung der Luftmasse in den Luftbälgen
DE102006054976A1 (de) * 2006-11-22 2008-05-29 Wabco Gmbh Verfahren zur Niveauregelung eines pneumatisch gefederten Fahrzeuges
WO2011026076A2 (en) 2009-08-31 2011-03-03 Dr. Reddy's Laboratories Ltd.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a steroid
JP6349950B2 (ja) * 2014-05-19 2018-07-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高調整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6475179B2 (ja) 2016-03-14 2019-02-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高制御システム
JP6378228B2 (ja) 2016-03-14 2018-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高調整システム
DE102019205426B3 (de) * 2019-04-15 2020-09-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Ermittlung/Überwachung des Beladungszustandes eines mit einem Luftfedersystem versehenen Fahrzeuges
CN113320348A (zh) * 2021-06-23 2021-08-31 浙江万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电控空气悬架系统及载荷识别方法
DE102022204914B3 (de) 2022-05-18 2023-11-02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r beladungsabhängigen Anpassung einer Systemluftmenge in einer Luftfeder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CN115817094B (zh) * 2022-11-16 2024-05-0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空气弹簧气压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817092B (zh) * 2023-01-03 2024-05-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悬架补气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37Y2 (ja) * 1979-08-20 1984-04-19 トキコ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US4423993A (en) * 1981-10-22 1984-01-03 Hardinge Brothers, Inc. Retractable bar stock feeder
JPH0635710Y2 (ja) * 1987-04-20 1994-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4858895A (en) * 1987-06-09 1989-08-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luid suspension circuit with equalized supply and discharge speeds
JP2639691B2 (ja) 1988-05-19 1997-08-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H06344907A (ja) * 1993-06-11 1994-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への乗車人数予測方法並びに車両用空気圧縮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H0752629A (ja) * 1993-08-17 1995-02-28 Toyota Motor Corp 流体圧式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DE19546728A1 (de) * 1995-12-14 1997-06-19 Wabco Gmbh Niveauregeleinrichtung
DE19603593C1 (de) * 1996-02-01 1997-04-30 Daimler Benz Ag Pneumatisches bzw. hydropneumatisches Federungssystem
GB9724444D0 (en) * 1997-11-19 1998-01-14 Dunlop Ltd Vehicle suspension gas supply system
DE19813672C1 (de) * 1998-03-27 1999-05-20 Daimler Chrysler Ag Luftfederungsanlage für Fahrzeuge
DE19853126B4 (de) * 1998-11-18 2005-03-03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zur Niveauregelung und Radfahrzeug mit einem Niveauregelsystem
US6173974B1 (en) * 1999-09-28 2001-01-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tecting jacking or hoisting of a vehicle having a suspension system that includes gas levelers
DE19959556C1 (de) * 1999-12-10 2000-12-14 Continental Ag Geschlossene Niveauregeleinrichtung für Fahrzeuge
DE10006024C1 (de) * 2000-02-11 2001-10-25 Continental Ag Verfahren zum Auffüllen einer Druckmittelkammer einer Niveauregelanlage aus einem Druckmittelspeicher
DE10122567C1 (de) 2001-05-10 2002-11-21 Continental Ag Verfahren zur Regelung des Speicherdruckes in einer geschlossenen Niveauregelanlage
US6959932B2 (en) * 2002-11-04 2005-11-01 Volvo Trucks North America, Inc. Electronic height control
US7192012B2 (en) * 2003-08-18 2007-03-20 Haldex Brake Corporation Air suspension system with supply air restriction valve
US6935625B2 (en) * 2003-08-18 2005-08-30 Haldex Brake Corporation Air suspension system with air shut off valve
KR100579453B1 (ko) * 2004-07-22 2006-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66B1 (ko) * 2007-04-09 2008-07-22 다이모스(주) 버스의 에어쿠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732B1 (ko) 2012-05-04
DE502005009603D1 (de) 2010-07-01
US7731203B2 (en) 2010-06-08
DE102004033524A1 (de) 2006-02-16
ATE468239T1 (de) 2010-06-15
WO2006005645A1 (de) 2006-01-19
EP1768862A1 (de) 2007-04-04
JP2008505793A (ja) 2008-02-28
EP1768862B1 (de) 2010-05-19
JP4896878B2 (ja) 2012-03-14
US20070251575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732B1 (ko) 공기 스프링 시스템 내의 공기량을 하중에 따라 조절하기위한 방법
EP1484204B1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system
US6845988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quantity of air in a vehicle level control system
EP0286072B1 (en) System supplying a hydraulic pressure variable with the operating condition of an automotive vehicle
US7624994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 a closed air supply system for a chassis
US6173974B1 (en) Detecting jacking or hoisting of a vehicle having a suspension system that includes gas levelers
RU2304524C1 (ru) Система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подвески со стопорным клапаном
US6983201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system
JP2003054236A (ja) 閉鎖されたレベル調整設備内の貯蔵部圧力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
US6648308B2 (en) Spring apparatus
JP2007534549A (ja) 車両用の密閉式高さ制御装置
CN112976981A (zh) 用于运行空气悬架系统的方法和空气悬架系统
WO1989009701A1 (en) Height adjustment system for a vehicle with air suspension
JP2007536156A (ja) 車両用空気給排装置における圧縮空気量調節方法
US4673193A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US7967301B2 (en)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 level control system
CN209813662U (zh) 一种气源自循环利用的乘用车电子悬架系统
US4815751A (en) Level and inclination regulation for a vehicle
US20230373262A1 (en) Method for the loading-dependent adaptation of a system air volume in an air suspension system of a motor vehicle
JP2004316809A (ja) 流体作動機器の制御装置
JPH0379416A (ja)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KR101194808B1 (ko) 안전형 공기현가장치
CN116653517A (zh) 一种板簧气囊复合悬架系统及车辆
JP2005053276A (ja) 車両懸架装置
JPH0487817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