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93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936A
KR20070034936A KR1020060090536A KR20060090536A KR20070034936A KR 20070034936 A KR20070034936 A KR 20070034936A KR 1020060090536 A KR1020060090536 A KR 1020060090536A KR 20060090536 A KR20060090536 A KR 20060090536A KR 20070034936 A KR20070034936 A KR 2007003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crimping
absorber
elasticit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902B1 (ko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준 구도
치에미 하부
구미코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 방지 성능이나 장착성에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은 액 투과성 표면 시트부, 이면 시트부, 표면 시트부와 이면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탄력성을 가진 흡수체부, 및 표면 시트부 및 흡수체부를 압착하는 압착부(40)를 구비한 대략 직사각형의 흡수성 물품이다. 압착부(40)는 이 흡수성 물품(1)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U 자(41)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부(20)는 이 흡수체부(1)의 일부에 마련되며,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된 저탄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탄력부는 대략 U 자(41)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한 단부(60)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ABLE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흡수체부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흡수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형성된 압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과는 다른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물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변형 실시형태에서 흡수성 물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표면 시트부와 흡수체부를 압착 처리하였을 때 탄력 등의 발생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압착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의 압착 처리 공정을 도시한 도면, 및 압착 처리 공정으로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압착 처리된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시트부를 갖는 변형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시트부에서의 엠보스 압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표면 시트부와 제2 시트부를 접착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서의 측정 결과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수성 물품
10: 표면 시트부
20: 흡수체부
30: 이면 시트부
40: 압착부
41: 대략 U 자
60: 단부
70: 저탄력부
210: 중앙부
220: 후방부
400: 방액 홈
410: 대략 U 자
A: 영역 A
B: 영역 B
본 발명은, 방액 홈을 구성하는 압착부의 박리가 방지되고, 샘 방지 성능이나 장착성에 우수한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의 일반적인 구조는 흡수층, 이 흡수층의 피부측 표면을 덮는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층의 착의측 표면을 덮는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를 갖는 것으로서, 통상은 속옷의 크로치 부분의 천 내면에 상기 이면 시트가 감압 접착층을 통해 접착된 상태로 착용된다. 그리고, 일단 흡수한 체액의 확산을 억제하여 샘을 방지하는 동시에 장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표면 시트와 흡수층을 연속적으로 압착 처리하여 형성된 액 불투과성 방액 홈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방액 홈은 흡수층에 흡수된 액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이 흡수층에서의 소정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이 대략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방액 홈의 형상은 대략 타원 또는 이것을 변형한 형상이 된다. 그리고, 이 대략 타원 등의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측의 곡선은 급한 곡선이 되고, 이 곡선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선단부에 단부가 형성된다.
또한, 통상 흡수층은 탄력성을 갖는 재료이기 때문에, 압착부나 그 근방에는 흡수층이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회복되기 위한 회복력이 작용하고, 압착부를 박리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여기서, 방액 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에서는 복수 개의 방액 홈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표면 시트와 흡수층을 폭 방향에서 복수 점에서 압착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략 타원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단부에서는 실질적으로 1 점에서 이것을 압착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방액 홈에서의 압착부에 대하여 박리(뜸)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이 흡수성 물품의 장착감이나 원하는 방액 효과에 따라, 복수의 방액 홈을 형성한 흡수성 물품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방액 홈을 형성한 경우,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방액 홈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소정의 압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압착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방액 홈의 깊이가 얕아지고 또한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방액 홈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는 샘 방지 성능이나 장착성을 저하시킨다.
그래서, 예컨대 방액 홈이 폭 방향에서 2개 이하인 영역에서의 방액 홈의 폭을 넓히고, 폭 방향에서 3개 이상인 영역에서의 방액 홈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압착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압착부에 부가되는 압력을 충분한 것으로 하여 방액 홈의 깊이가 얕아지지 않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8971호 공보
그러나,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된 방액 홈에서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의 박리(뜸)가 방지된 흡수성 물품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방액 홈이 폭 방향에서 2개 이하인 영역에서의 방액 홈의 폭을 넓히고, 폭 방향에서 3개 이상인 영역에서의 방액 홈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압착 공정에 의해 형 성되는 압착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충분한 것으로 하여 방액 홈의 깊이가 얕아지지 않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압착부의 폭을 좁게 하면 표면 시트와 흡수층의 압착(접착)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압착력이 저하되어, 단부의 박리(뜸)가 발생하기 더 쉬워진다. 이 방액 홈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는 샘 방지 성능이나 장착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이들이 본 발명의 과제라고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샘 방지 성능이나 장착성에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된 방액 홈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단부 근방의 흡수층을 저탄력으로 함으로써, 이 돌출한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뜸)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하와 같은 흡수성 물품을 발명하였다.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 이면 시트부,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이면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탄력성을 가진 흡수체부, 및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부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대략 직사각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압착부는, 이 흡수성 물품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대략 U 자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흡수체부는, 이 흡수체부의 일부에 마련되며,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된 저탄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대략 U 자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하는 단부 근방에 마련되는 흡수성 물품.
(1)의 발명에 의하면,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U 자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된 방액 홈을 구성하는 압착부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쉬운 단부 근방에,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된 저탄력부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부 근방에 발생하는 흡수체부의 탄력에 의한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단부에서의 압착 유지 지수가 80 이상인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부에서의 압착 유지 지수가 80 이상이기 때문에 압착된 측의 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압착부가 떠 있지 않다고 느껴진다. 여기서, 압착 유지 지수(k)란, 압착부의 두께가 0.5 mm 이하인 압착부의 폭(b)을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압착 형성부(예컨대, 압착 롤부에 형성된 볼록부)의 폭(a)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이며, 후술하는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3) 상기 저탄력부는 이 저탄력부와 인접하는 상기 흡수체부에서의 인접부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의 발명에 의하면, 저탄력부는 저탄력부와 인접하는 흡수체부에서의 인접부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회복력인 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 근방에 발생하는 흡수체부의 탄력에 의한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4)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10 mm 내지 50 mm인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의 발명에 의하면, 저탄력부를 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10 mm 내지 50 mm인 대략 원형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흡수체부의 체적을 비효율적으로 줄이지 않고 저탄력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흡수체부는 적합하게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 방지와 흡수체부에서의 액체의 흡수성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5)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4 mm 떨어진 위치에서의 두께가 2.5 mm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의 발명에 의하면, 저탄력부를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4 mm 떨어진 위치에서의 두께가 2.5 mm 이하가 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부 근방에 발생하는 회복력(탄력)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저탄력부는, 이 저탄력부에서의 상기 흡수체부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의 양을 상기 인접부에서의 상기 흡수성 재료의 양에 대하여 적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의 발명에 의하면, 저탄력부를 이 저탄력부에서의 흡수체부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의 양을 인접부에서의 흡수성 재료의 양에 대하여 적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단부에서의 압착부 근방에 발생하는 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저탄력부는, 이 저탄력부의 단위 중량이 상기 흡수체부의 평균 단위 중량에 대하여 0.8 이하인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의 발명에 의하면, 저탄력부는 이 저탄력부의 단위 중량이 흡수체부의 평균 단위 중량에 대하여 0.8 이하가 되도록 하여, 흡수성 재료의 사용량을 적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부에서의 압착부 근방에 발생하는 탄력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저탄력부는 상온 또는 가열 상태에서의 압압에 의해 형성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의 발명에 의하면, 저탄력부를 상온 또는 가열 상태에서의 압압에 의해 형성하기 때문에, 이 저탄력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 두께로 압축한 경우에서의 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에서의 압착부 근방에 발생하는 탄력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9)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액 투과성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시트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시트부는 상기 단부 근방에 복수의 엠보스 압축부가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9)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액 투과성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시트부를 더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2 시트부는 단부 근방에 복수의 엠보스 압축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단부 근방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에서의 압착부 근방에 발생하는 탄력을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10) 상기 압착부는, 상기 대략 U 자와는 별도로, 상기 단부의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의 폭 방향의 외주측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0)의 발명에 의하면, 압착부는 대략 U 자와는 별도로 단부의 이 흡수성 물품에서의 폭 방향의 외주측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통상, 단부 근방의 압착부의 폭은 좁아진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단부 근방에 저탄력부를 마련함으로써,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흡수체부를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a)부터 4(e)는 도 3의 흡수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형성되는 압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도 1과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a)부터 7(f)는 변형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a)부터 8(d)는 표면 시트부와 흡수체부를 압착 처리하였을 때 탄력 등의 발생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압착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의 압착 처리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b)는 압착 처리 공정으로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압착 처리된 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시트부를 갖는 변형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시트부에서의 엠보스 압축부를 도 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표면 시트부와 제2 시트부를 접착하는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서의 측정 결과 및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흡수성 물품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10), 이면 시트부(30), 표면 시트부와 이면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탄력성을 가진 흡수체부(20), 및 표면 시트부(10) 및 흡수체부(20)를 압착하는 압착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면 시트부(30)에는 속옷 등에 점착시키는 점착부(50)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부(10), 이면 시트부(30), 흡수체부(20)는 각각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된다.
압착부(40)는 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U 자(41)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압착부(40)는 이 대략 U 자(41)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부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타원형으로 연속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략 타원형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된 압착부(40)는 흡수체부(20)에 흡수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액 홈(400)을 구성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부(20)는 이 흡수체부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으면서,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저탄력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저탄력부(70)는, 예컨대 흡수체부(20)에서의 중앙부(210)나 후술하는 인접부(80)를 소정 두께까지 압축한 경우에 발생하는 회복력(탄력)에 비해 그 회복력(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탄력부(70)는 압착부(40)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U 자(41)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한 단부(60) 근방에 마련된다. 단부(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상품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그어진 중심선 상에 형성되는 것이 많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단부(60) 근방이란, 단부(60)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이며, 예컨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부(60)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는 영역 A에 포함되는 범위에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된 방액 홈(400)으로서의 압착부(40)는 표면 시트부(10)와 흡수체부를 폭 방향에서는 양측 2 점에서 압착 고정하고 있지만, 단부(60)에서는 실질상 1 점에서 압착 고정하고 있다. 즉,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는 다른 부분에서의 압착부(40)에 대하여 박리(뜸)가 발생하기 쉽다. 이 박리(뜸)가 발생하기 쉬운 단부(60) 근방에 저탄력부(70)를 배치하여 압착부(40) 근방에 발생하는 흡수체부(20)에 발생하는 탄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를 압착 유지 지수(k)를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압착 유지 지수(k)가 80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압착은 충분하며, 압착된 측으로부터 본 인상도 압착부(40)가 떠 있지 않다고 느껴진다.
도 5에 의한 압착 유지 지수(k)란, 압착부의 두께가 0.5 mm 이하인 압착부의 폭(b)을,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압착 형성부[예컨대, 도 10의 압착 롤부(310)에 형성된 볼록부(45)]의 폭(a)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값이며, 하기 (식 1)로 구해진다.
[식 1]
k=(b/a)×100
[2] 저탄력부
저탄력부(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저탄력부(70)는, 예컨대 흡수체부(20)에서의 중앙부(210)나 후술하는 인접부(80)를 소정 두께까지 압축한 경우에 발생하는 회복력(탄력)에 비해 그 회복력(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력부(70)는, 예컨대 저탄력부(70)와 인접하는 인접부(80)에 대하여 얇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얇게 함으로써, 소정 두께까지 압축한 경우에 발생하는 회복력(탄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이 얇게 형성된 저탄력부(70)가 단부(60) 근방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가 흡수체부(20)가 압축됨으로써 발생하는 회복력(탄력)에 의해 박리(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탄력부(70)는 인접부(80)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는 동시에, 흡수체부(20)의 평균 두께에 대하여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력부(70)는 단부(60)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10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40 mm, 더 바람직하게는 25 mm 내지 35 mm인 대략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대략 원형이란, 원형 및 원형을 기초로 흡 수성 물품(1)이나 흡수체부(20)의 형상에 따라 변형시킨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저탄력부(70)를 단부(60)를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10 mm 내지 50 mm 등인 대략 원형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흡수체부(20)의 체적을 비효율적으로 줄이지 않고 저탄력부(70)를 형성할 수 있다. 흡수체부(20)는 적합하게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 방지와 흡수체부(20)에서의 액체의 흡수성과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의해 저탄력부(70)는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로부터의 거리(c)가 4 mm인 경우에, 흡수체부(20)의 두께(e)가 2.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8 mm 이하가 되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다. 저탄력부(70)를 이와 같이 단부(60) 근방에서 얇아지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부(60) 근방에 발생하는 회복력(탄력)은 약해진다. 이에 따라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뜸)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탄력부(70)는 사용하는 흡수성 재료의 양을 인접부(80)에서 사용하는 흡수성 재료의 양에 대하여 적게 함으로써 탄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저탄력부(70)에서의 흡수성 재료를 저밀도로 한 경우라도 흡수성 재료의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저탄력이 되고, 또한 후술하는 압압 처리를 함으로써,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저탄력부(70)의 단위 중량을 흡수체부(20) 전체의 평균 단위 중량에 대하여 0.8 이하,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6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의해 예컨대 중앙부(210)의 단위 중량을 500 g/m2(gsm) 내지 600 g/m2, 후방부(220)에서의 단위 중량을 300 g/m2 내지 400 g/m2로 하고, 이에 대한 저탄력부(70)의 단위 중량을 150 g/m2 내지 250 g/m2로 할 수 있다. 흡수체부(20)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나, 전체적으로는 얇지만 단부(60) 근방이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균 단위 중량이 아니라 인접부나 중앙부 등의 단위 중량에 대하여 적어지도록 저탄력부(70)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저탄력부를 상온 또는 가열 상태에서 압압 처리함으로써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압압 처리는 상온 상태에서도 가열 상태에서도 저탄력부(70)를 육박화할 수 있지만, 보다 얇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흡수성 재료가 변성 등을 하지 않는 정도의 가열 상태로 압압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후술하는 표 2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단위 중량이라도 얇게 형성된 경우가 높은 압착 유지 지수가 된다. 즉, 압압 처리함으로써 저탄력부(70)를 얇게 하는 것은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뜸) 방지에 기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3] 압착부 및 방액 홈
[3. 1] 실시형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40)는 표면 시트부(10)와 흡수체부(20)를 압착한다. 압착부(40)는, 예컨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볼록부(45)가 표면에 형성된 압착 롤부(310)와 평면 롤(320) 사이를 압박되면서 통과함으로써, 압착 롤부(310)와 접촉하는 표면측에 형성된다. 이 압착부(4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열 및 가압 상태로 압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압착 롤부(310)의 온도를 95도(368.15 K), 압력을 25 kgm/s2(N)으로 한 상태에서 압착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압착부(40)를 형성하기 위한 압착 형성부인 볼록부(45)의 폭은 각종 제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2.5 mm 폭으로 형성된 볼록부(45)에 의해 압착 처리할 수 있다.
도 8(a)부터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40)는 표면 시트부(10)와 흡수체부(20)가 적층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표면 시트부(10) 측으로부터 볼록부(45)가 압박됨으로써 형성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45)가 압박되어 압착부(40)가 형성될 때에는 압착부(40) 근방의 흡수체부(20)에도 압압력(F1)이 부가되어, 압착부(40) 근방의 흡수체부(20)는 압축된다. 계속해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45)에 의한 압박이 해제된 경우에는 단부(60) 근방의 압축된 흡수체부(20)가 회복하는 회복력(탄력)(F2)이 발생하고, 압착부(40)를 박리(뜸)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부가된다. 또한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45)에 의한 압착으로 인장된 표면 시트부(10)가 원래로 복귀하기 위한 힘(F4)이 발생하기 때문에, 압착부(40)에는 압착부(40)를 박리(뜸)하는 방향의 힘(F3)이 더 부가된다. 즉, 압착부(40)에는 항상 이것을 박리(뜸)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40)는 압착부의 폭(b), 압착부의 두께(d) 가 되도록 압착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40)에는 이것을 박리(뜸)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 힘이 압착부(40)를 유지하는 힘을 웃돌면, 압착부(40)가 박리되고 표면 시트부(10)가 뜬 상태가 된다. 특히,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에는 다방향으로부터의 힘이 부가되고 있기 때문에 박리(뜸)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에서는, 단부(60) 근방에 저탄력부(70)를 마련하고, 압착부(40)를 박리시키는 힘을 약하게 하기 때문에,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는 적합한 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착 유지 지수(k)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되도록,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를 형성한다. 도 5에 의해 압착 유지 지수(k)는 압착부의 두께(d)가 0.5 mm 이하인 압착의 폭(b)을 압착부(4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볼록부(45)의 폭(a)으로 나눠, 이에 100을 곱한 값이며, 상기 (식 1)로 나타낸 식으로 산출된다. 이 압착 유지 지수가 80 이상인 경우, 압착부(40)의 압착은 충분하며, 압착 처리한 표면측으로부터 본 경우라도 압착부(40)가 떠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즉,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40)는 확실히 압착된 상태가 된다.
전술하였지만, 압착부(40)는, 예컨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볼록부(45)가 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압착 롤부(310)와 평면롤(320) 사이를 압압하면서 통과함으로써, 압착 롤부(310)와 접촉한 표면측에 형성된다. 흡수성 물품(1) 등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압착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40)는 압착 롤부(310)에 형성된 볼록부(45) 의 패턴에 따라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압착부(40)가, 예컨대 대략 타원형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부(20)에 흡수된 액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액 홈(400)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대략 중앙에 대략 타원형으로 마련된 압착부(40)는 흡수체부(20)에서의 중앙부(2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타원에서의 단부(60)는 압착부(40)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대략 U 자(41)에서의 가장 돌출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 단부(60)는 폭 방향에서 흡수체부(20)를 실질적으로 1 점에서 압착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는 박리(뜸)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단부(6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 A를 기준으로하여, 저탄력부(7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압착부(40)의 형성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압착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대략 U 자(41)의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 근방에 저탄력부(70)를 형성함으로써, 박리(뜸)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저탄력부(7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부(6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 A를 기준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3. 2] 변형 형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의 대략 중앙부에 대략 타원형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마련된 압착부(40) 외측에, 대략 U 자(410)를 형성하도록 압착부(40)를 연속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역 B에서는 내측의 대략 U 자(41)에서의 단부(60)의 폭 방향으로 외측의 대략 U 자(410)를 형성하는 압착 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외측의 대략 U 자(410)를 형성하는 압착부(40)는 내측의 대략 U 자(41)의 단부(60)로부터 폭 방향으로 그은 선과 교차하고, 직선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영역 B는 폭 방향으로 3개 이상의 압착부(40)가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방액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영역 B에서의 압착부(40)는 압착 공정에서 가해지는 압착력이 약해져 압착이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박리(뜸)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압착 롤부(310)로부터의 압력[연속하는 볼록부(45)로부터의 선압]이 분산되고, 각 압착부(40)에 부가되는 압력(선압)이 저하되어 압착력이 약해진다. 특히, 내측의 대략 U 자(41)의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는 박리(뜸)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단부(6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 A를 기준으로 하여 저탄력부(70)를 형성하고, 이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뜸)를 적합하게 방지하고 있다.
도 7(a)부터 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압착부(40)의 형성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압착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대략 U 자(41)의 돌출부인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 근방에 원형의 영역 A를 기준으로 하여 저탄력부(70)를 형성함으로써, 박리(뜸)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측에 대략 U 자(410)로 형성된 압착부(40)가 마련되어 있는 단부(60) 근방에 저탄력부(70)를 형성하는 경우, 박리(뜸) 방지의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4] 각 구성 요소
표면 시트부(10)는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 다수의 메쉬를 갖는 네트형 시트, 액 투과성 부직포 또는 직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 필름이나 네트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합성 수지 섬유 등으로부터 형성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상기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재로서 폴리젖산, 키토산, 폴리알긴산 등의 생분해성이 가능한 천연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실리콘계나 불소계의 발수성 유제를 도포하여, 그 외면에 체액이 잘 부착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단위 중량은 15 g/m2 내지 100 g/m2이 바람직하고, 20 g/m2 내지 50 g/m2가 보다 바람직하다. 0.4 mm 내지 2.0 mm의 부피를 가지며, 또한 부직포 섬유의 코어-시스 구조의 코어부에 산화티탄이 1.0%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 중 꺼짐이 적고, 흡수체부(20)와의 거리를 벌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부(10) 자체도 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수성 섬유를 30%까지 넣음으로써 표면 시트부(10)의 확산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발수 섬유를 블렌드함으로써 흡수체부(20)로부터의 액체의 흡입력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단위 중량이 15 g/m2 이하이면 표면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사용 중에 찢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100 g/m2 이상인 경우, 과도한 뻣뻣함이 발현되고, 사용 중에 위화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밀도는 0.12 g/cm3 이하에서 액 투과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다. 밀도가 이 이상인 경우, 표면 시트의 섬유 간을 원활하게 투과하는 것이 어렵다. 경혈의 경우, 뇨 등에 비해 점성이 높고, 밀도가 대단히 낮은 것이 좋다.
또한, 표면 시트부(10)가 전술한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필름 등인 개공 필름인 경우, 주름 선을 걸치는 영역의 개공 직경은 0.2 mm 이상 5 mm 이하 범위 내, 피치는 0.2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 내, 개공 면적률은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이며, 주름 선을 걸치는 영역 이외의 개공 직경은 0.05 mm 이상 3 mm 이하의 범위 내, 피치는 0.2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 내, 개공 면적률은 3%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법으로서는, 미리 개공 조건을 변화시킨 패턴 드럼에 필름을 통과시키고, 석션 흡인함으로써 개공하는 소위 PFW 법이나, 균일한 개공 조건을 갖는 PFW 법으로 얻어진 표면측 시트의 주름 선을 걸치는 영역에 핀 엠보스 가공에 의해 개공을 더 부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개공의 배열은 지그재그형, 격자형, 파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개공의 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개공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밸브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개공이 밸브로 잘 막히지 않기 때문에, 특히 주름 선을 걸치는 영역의 개공부의 밸브 높이가 주름 선을 걸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밸브의 높이보다 낮게 한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개구 필름은 부직포 자재에 비하여 신장하지 않기 때문에, 개구 필름으로 형성되는 압착부(40)는 박리하기 쉽다.
이면 시트부(30)는 흡수체부(20)에 흡수된 배설물이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투습성 소재로 함으로써, 장착 시의 짓무 름을 저감시킬 수 있고, 장착 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체로 한 액 불투과성 필름, 통기성 필름, 스펀 본드 등의 부직포의 한쪽 면에 액 불투과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 불투과성 필름은 착용감을 손상하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한 후에 밀도가 0.900 g/cm3 내지 0.925 g/cm3의 범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주체로 한 단위 중량 15 g/m2 내지 40 g/m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부(10)와 흡수체부(20) 사이에 액 투과성 시트(13 및 15)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제2 시트부(17)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제2 시트부(17)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표면 시트부(1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 다수의 메쉬를 갖는 네트형 시트, 액 투과성 부직포 또는 직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 필름이나 네트형 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합성 수지 섬유 등으로 형성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 상기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시트부(17)는 흡수체부(20)의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다 하고, 흡수체부(20)에 유연성과 형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 시트부(17)로서, 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 20 g/m2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의 편심 타입의 코어-시스형 복합 열가소성 섬유(4 데니어×50 mm)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께 가 1.0 mm 내지 2.0 mm에서 밀도가 0.015 g/cm3 내지 0.01 g/cm3인 경우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트부(17)는 단부(60) 근방에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엠보스 압축부(500)를 마련할 수 있다. 엠보스 압축부(500)는 엠보스 가공됨으로써 단부(60) 근방에 배치되는 소정 영역을 얇게 하여 이 영역을 저탄력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뜸) 방지에 기여한다.
제2 시트부(17)는 소정의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표면 시트부(10)와 접합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트부(17)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가늘게 연장되는 복수의 선을 형성하도록 핫멜트 접착제가 도공된다. 이 핫멜트 접착제는, 예컨대 하기 표 1에 나타낸 패턴으로 도공된다. 패턴 2에 의하면, 패턴 1에 비해 표면 시트부(10)와 제2 시트부(17)가 확실히 접합되어 보다 더 박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의 박리 방지에는 크게 기여하는 것이 아니지만, 흡수체부(20)에 형태 안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압착부(40)의 박리 방지 효과에 기여한다. 또한, 표면 시트부(10)와 제2 시트가 얇아지도록 접착됨으로써, 단부(60)에서의 압착부(40) 박리 방지 효과에 기여하는 경우도 있다.
A부 B부
도공부 크기×열 수 간격 도공부 크기×열 수 간격
패턴 1 0.75 mm×각 6열 0.7 mm 0.5 mm×18열 1.0 mm
패턴 2 0.75 mm×각 6열 0.7 mm 0.5 mm×21열 0.8 mm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부(20)는 표면 시트부(10)측에 배치되는 쿠션부(21)와 흡수체(23)로 구성된다. 흡수체(23)로 사용되는 흡수성 재료는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부피가 크며, 형태가 잘 붕괴되지 않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흡수성 폴리머, 섬유형 흡수성 폴리머, 합성 섬유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어레이드 펄프나, 흡수성 섬유가 포함된 부직포(스펀 레이스, 스루에어법 등) 등의 흡수성 시트가 사용된다. 쿠션부(21)로서는, 예컨대 액 투과성 종이나 셀룰로오스 시트가 사용된다. 쿠션부(21)와 흡수체(23)가 조합된 흡수체부(20)의 일례로서, 펄프는 단위 중량 200 g/m2, 폴리머는 단위 중량 4 g/m2(폴리머는 전체에 분산되어 있음)로, 펄프와 폴리머가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 혼합체를 단위 중량 15 g/m2의 티슈로 싼 것을 들 수 있다.
흡수체부(20)의 형상 및 구조는 필요에 따라 바꿀 수 있지만, 흡수체(23)의 전체 흡수량은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설계 삽입량 및 원하는 용도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흡수체(23)의 사이즈나 흡수 능력 등은 유아부터 어른까지의 착용자에 대응하여 변동된다.
상기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흡수체(23)는 탄력성을 갖는 흡수성 재료를 이용한다. 압착부(40)는 표면 시트부(10)와 흡수체부(20)를 일체화하기 위해 형성되지만, 흡수체부(20)를 구성하는 흡수체(23)가 탄력성을 갖기 때문에, 압착부(40)의 박리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을 갖는 물품에 공통의 문제이며,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탄력부(70) 등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부(20)는 흡수성 물품(1)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타원 또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 흡수체부(20)는 경혈 등의 액체를 주로 흡수하는 중앙부(210)와, 단부(60) 근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저탄력부(70)를 구비한다. 중앙부(210)는 도 4(b) 및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크게(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도 4(b) 및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210)의 주위부(215)도, 흡수체부(20)에서의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 방향으로 부피가 크게(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저탄력부(70)는 도 4(a) 및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얇게 형성된다.
또한, 도 4(a) 및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력부(70)에는 인접하는 인접부(80)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력부(70)는 폭 방향에서 인접부(80)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력부(70)는 길이 방향에서 인접부(80)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인접부(80)에서의 형상에 대하여 연속성이 없는 경사가 급한 전방측 측면(71)이 형성되고, 전방측 측면(71)의 바닥부측에 저탄력부(70)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측으로부터는 후방부(220)[인접부(80)]에서의 형상에 대하여 연속성이 없는 경사가 급한 후방측 측면(73)이 형성되고, 후방측 측면(73)의 바닥부측에 저탄력부(7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저탄력부(70)에는 전방측 측면(71) 및 후방측 측면(73) 등의 측면이 포함될 수도 있다.
흡수체부(20)에서의 다른 구성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서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후방부(220)를 구비한다. 도 4(c)부터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220)는 흡수체부(20)에서 두께가 가장 얇은 부위 중 하나이다. 또한,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부(20)의 폭 방향에서의 단부의 두께도 후방부(220)와 마찬가지로 얇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탄력부(70)는 후방부(220)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점착부(50)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 외에, 피부에 밀착하여 접착력을 발휘하는 셀룰로오스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젤라틴, 폴리글루타민산, 폴리리신 등의 폴리아미노산 겔을 이용할 수도 있다.
[5] 실시예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서의 압착부의 박리 방지 효과를 여러 가지의 저탄력부를 형성하여 검토하였다. 그 검토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1) 조건
표면 시트부: 하기 조성의 필름에 개공 처리를 한 개공 필름
조성 :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15 g/10분, 밀도 0.915 g/cm3) 68%
: 저밀도 폴리에틸렌(MFR 7 g/10분, 밀도 0.917 g/cm3) 28%
: 산화 티탄 3.8%
: 친수제 0.2%
단위 중량 : 25 g/m2
개공률 : 25%
표면 시트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체로 하는 필름
조성 :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00 g/cm3 내지 0.925 g/cm3) 87 내지 99%
: 산화티탄 2.6% 내지 3.2%
: 착색료 미량
단위 중량 : 23.5 g/m2
흡수체부 : 티슈·펄프·티슈로 구성(펄프를 티슈 사이에 둔 것)
저탄력부 형상 : 도 3의 저탄력부(70)에 도시한 형상(원형 영역 A를 기준으로 형성)
크기 : 원형 영역 A의 직경은 30 mm[단부(60)를 중심으로 함]
펄프의 단위 중량 : 표 2에 기재된 조건
프레스 처리 유무 : 표 2에 기재
압력 : 25 kg/s2(N)
온도 : 95도(368.15K)
압착 조건 : 압착 롤에 의한 압착 처리
압력 : 25 kg/s2(N)
온도 : 95도(368.15K)
볼록부의 폭: 2.5 mm
(2) 측정 및 평가
상기 조건으로 형성된 단부(60)에서의 압착부를 길이 방향으로 그어진 중심선을 따라서 절단하고, 하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지점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측정 결과 등에 기초하여 압착 상태의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측정 결과 및 평가 결과를 표 2 및 도 14에 나타낸다.
<측정>
압착부 : 두께가 0.5 mm 이하인 압착부의 폭을 측정
[도 5에서, 압착부의 두께(d)가 0.5 이하인 경우의 압착부의 폭(b)]
압착부 근방 : 압착부 단부로부터 4 mm 떨어진 위치의 두께를 측정
[도 5에서, c=4 mm의 경우의 두께(e)]
측정 방법 : 현미경(키엔스사제)으로 무가압 상태에서 측정
<압착 상태의 평가>
압착 유지 지수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압착 유지 지수는, 상기 측정 결과를 기초로 식 1에 의해 산출하였다. 이 압착 유지 지수의 값에 따라 하기와 같이 압착 상태를 평가하였다.
압착 유지 지수가 80 이상 - 평가 ○: 표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압착부의 뜸이 없음
압착 유지 지수가 20 내지 80 - 평가 △: 표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압착부가 일부 떠 있음
압착 유지 지수가 20 이하 - 평가 ×: 표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압착부가 떠 있음
압착 상태의 평가 × ×
프레스 처리 × × ×
단위 중량(g/m2) 253 375 138 244 402 402 402 452 452 142 139 252 332
4 mm 위치의 평균 두께(mm) 4.17 2.96 2.83 2.94 2.90 3.06 2.73 2.70 2.95 1.81 2.47 1.82 2.11
(3) 검토
표 2 및 도 14에 표시된 측정 결과 및 평가 결과로부터, 저탄력부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뜸)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압착부의 단부로부터 4 mm 떨어진 위치의 흡수체부의 두께가 2.5 mm 이하가 되도록 저탄력부를 형성함으로써,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뜸)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부 근방에서의 흡수체부의 단위 중량을 적게 함으로써,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뜸)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위 중량을 줄임으로써 저탄력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레스 처리함으로써, 단부에서의 압착부의 박리(뜸)를 보다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단위 중량이더라도 프레스 처리한 경우에는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탄력성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탄력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액 홈을 구성하는 압착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기 때 문에, 샘 방지 성능이나 장착성에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부, 이면 시트부,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이면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탄력성을 가진 흡수체부, 및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부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구비한 대략 직사각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략 U 자를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부는, 상기 흡수체부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으면서, 소정 두께로 압축된 경우에 발생하는 탄력이 약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저탄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대략 U 자에서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가장 돌출한 단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에서의 압착 유지 지수는 80 이상인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저탄력부와 인접하는 상기 흡수체부에서의 인접부에 대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직 경이 10 mm 내지 50 mm인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4 mm 떨어진 위치에서의 두께가 2.5 mm 이하인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저탄력부에서의 상기 흡수체부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의 양을 상기 인접부에서의 상기 흡수성 재료의 양에 대하여 적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력부는, 상기 저탄력부의 단위 중량이 상기 흡수체부의 평균 단위 중량에 대하여 0.8 이하인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력부는 상온 또는 가열 상태에서의 압압(押壓)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부와 상기 흡수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액 투과성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2 시트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시트부에는, 상기 단부 근방에서 복수의 엠보스 압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대략 U 자와는 별도로, 상기 단부의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의 폭 방향의 외주(外周)측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060090536A 2005-09-26 2006-09-19 흡수성 물품 KR101300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8764A JP4913381B2 (ja) 2005-09-26 2005-09-26 吸収性物品
JPJP-P-2005-00278764 2005-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936A true KR20070034936A (ko) 2007-03-29
KR101300902B1 KR101300902B1 (ko) 2013-08-27

Family

ID=3789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536A KR101300902B1 (ko) 2005-09-26 2006-09-1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37012B2 (ko)
JP (1) JP4913381B2 (ko)
KR (1) KR101300902B1 (ko)
CN (1) CN1939241B (ko)
HK (1) HK1104206A1 (ko)
TW (1) TW2007301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068B1 (ko) * 2009-01-26 2015-05-2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447067B1 (en) 2003-02-12 200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and dry diaper
EP1447066B1 (en) 2003-02-12 2008-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JP4712376B2 (ja) * 2004-12-28 2011-06-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DE112008000011B4 (de) 2007-06-18 2013-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inwegabsorptionsartikel und dessen Verwendung
EP2157950B1 (en) 2007-06-18 2013-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JP5123583B2 (ja) * 2007-06-29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BRPI0910858A2 (pt) 2008-04-29 2018-03-2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núcleo absorvente com uma cobertura de núcleo resistente à estiramento
JP5197147B2 (ja) * 2008-05-15 2013-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1584392B1 (ko) * 2008-09-12 2016-01-11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JP5199040B2 (ja) * 2008-11-21 2013-05-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29930B2 (ja) * 2008-12-03 2013-10-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6573B2 (ja) * 2008-12-19 2013-11-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317685B2 (ja) * 2008-12-25 2013-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922875B2 (ja) * 2010-03-23 2016-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43847B2 (ja) * 2010-05-31 2014-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55856B2 (ja) 2010-09-01 2015-07-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11515B2 (ja) * 2010-12-14 2015-04-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RU2630211C1 (ru) 2011-06-10 2017-09-05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Одноразовые подгузники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A2838432C (en) 2011-06-10 2018-0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PL2532332T5 (pl) 2011-06-10 2018-07-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ieluszka jednorazowego użytku o zredukowanym połączeniu pomiędzy wkładem chłonnym a warstwą spodnią
PL2532328T3 (pl) 2011-06-10 2014-07-31 Procter & Gamble Sposób i urządzenie do wytworzenia struktur chłonnych z materiałem chłonnym
EP3287109B1 (en) 2011-06-10 2023-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MX348890B (es) 2012-11-13 2017-07-03 Procter & Gamble Artí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y señale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52B1 (en) 2012-12-10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PL3254656T3 (pl) 2013-06-14 2022-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i wkład chłonny tworzący kanały w stanie mokrym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MX2016002608A (es) 2013-08-27 2016-06-17 Procter & Gamble Articulos absorbentes con canale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0292875B2 (en) 2013-09-16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6080262B2 (ja)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US20150209468A1 (en) * 2014-01-24 2015-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giene article containing microorganism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USD738636S1 (en) * 2014-04-08 2015-09-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top sheet with a pattern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S2643577T3 (es) 2014-05-27 2017-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con diseño de material absorbente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JP5938438B2 (ja) * 2014-06-13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81422B2 (ja) * 2014-08-29 2017-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031668A1 (ja) * 2014-08-29 2016-03-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7405242A (zh) 2015-03-16 2017-11-28 宝洁公司 带有改善的芯的吸收制品
EP3270857B1 (en) 2015-03-16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US10736795B2 (en) 2015-05-12 2020-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US10543129B2 (en) 2015-05-29 2020-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US20160354507A1 (en) * 2015-06-07 2016-1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of commerce containing absorbent article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S2801925T3 (es) 2016-12-27 2021-01-14 Ontex Bv Núcleo absorbente, artículos que comprenden dicho núcleo, y métodos para fabricarlo
NL2020902B1 (en) * 2017-05-15 2019-07-12 Drylock Tech Nv Absorbent article with four channels
JP6355871B1 (ja) * 2018-03-09 2018-07-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923890A4 (en) * 2019-02-15 2022-09-0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US11696858B2 (en) * 2019-05-15 2023-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7304A (en) * 1956-05-24 1962-01-16 Personal Products Corp Absorbent fibrous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tion
FR2354753A1 (fr) * 1976-06-14 1978-01-13 Franco Pierre Garniture periodique externe a jeter
US4501586A (en) * 1980-11-17 1985-02-26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with reservoir
NZ205183A (en) * 1982-08-13 1987-01-23 Unilever Plc Wiping cloth includes a liquid"active material"
NZ206331A (en) * 1982-11-26 1986-05-09 Unilever Plc Liquid-permeable,flexible,sheet-like articles
US4624666A (en) * 1984-07-20 1986-11-25 Personal Products Company Channeled napkin with dry cover
US4585448A (en) * 1984-12-19 1986-04-2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having high-absorbency area
US4886697A (en) * 1988-04-29 1989-12-12 Weyerhaeuser Company Thermoplastic material containing absorbent pad or other article
US5486167A (en) * 1991-01-03 1996-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blended multi-layer absorbent structure with improved integrity
FI934518A (fi) * 1992-10-14 1994-04-15 Mcneil Ppc Inc Trosskydd
US5562650A (en) * 1994-03-04 1996-10-08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surge management
UY23988A1 (es) * 1994-06-30 1995-07-17 Productos Int Mabe S A De C V Pañal desechable con zonas de recepcion, distribucion, almacenamiento y anti- escurrimientos dentro de la matriz absorbente
US5507735A (en) * 1994-08-05 1996-04-16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moveable attachment means
US5545156A (en) * 1994-12-22 1996-08-1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eformed member
US5693037A (en) * 1995-04-21 1997-1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surfactant-treated hydrophilic topsheets
TW538745U (en) * 1997-05-29 2003-06-21 Kao Corp Absorbent article
US6140551A (en) * 1997-09-29 2000-10-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visually and tactilely distinctive outer cover
JPH11113955A (ja) * 1997-10-20 1999-04-27 Shiseido Co Ltd 体液吸収性物品
JP3568146B2 (ja) * 1998-07-03 2004-09-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6323388B1 (en) * 1998-11-04 2001-1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improved, wet-formed absorbent
JP3467429B2 (ja) * 1999-06-09 2003-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JP3986210B2 (ja) * 1999-06-30 2007-10-0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617490B1 (en) * 1999-10-14 2003-09-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molded cellulosic webs
US6361527B1 (en) * 1999-10-21 2002-03-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dimensional pocket garment
US6437214B1 (en) * 2000-01-06 2002-08-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absorbent structure with a zoned basis weight and a heterogeneous layer region
JP3865565B2 (ja) * 2000-04-18 2007-01-10 大王製紙株式会社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US6506961B1 (en) * 2000-07-24 2003-01-14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Light incontinent product
US7147628B2 (en) * 2000-10-02 2006-12-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liquid-handling ability
US6986932B2 (en) * 2001-07-30 2006-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wiping device
JP3922895B2 (ja) * 2001-06-29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971136B2 (ja) * 2001-07-12 2007-09-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33786B2 (ja) * 2001-12-14 2009-03-0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458959B2 (en) * 2001-12-20 2008-12-02 Sca Hygiene Products Ab Breathable absorbent article
JP3993452B2 (ja) * 2002-03-29 2007-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薄型の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06669B2 (ja) * 2002-06-11 2006-08-0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48825B2 (ja) 2002-08-30 2009-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80866B2 (ja)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復元部を有する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72864B2 (ja) * 2002-09-27 2009-06-03 大王製紙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7276054B2 (en) * 2002-10-18 2007-10-02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4390445B2 (ja) 2002-12-05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4323786B2 (ja) 2002-12-05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476563B2 (ja)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76611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7819852B2 (en) * 2003-06-20 2010-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clean body benefit
JP4421223B2 (ja) 2003-06-20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416490B2 (ja) * 2003-12-18 2010-02-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812213B2 (en) * 2003-12-29 2010-10-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through-slits surrounded by binding areas
US8715258B2 (en) * 2004-11-30 2014-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outwardly convex longitudinal central channels for improved protection
BRPI0611494A2 (pt) * 2005-06-02 2010-09-08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dotado de elemento de reforço transvers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068B1 (ko) * 2009-01-26 2015-05-20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9241B (zh) 2011-04-13
JP2007082956A (ja) 2007-04-05
CN1939241A (zh) 2007-04-04
KR101300902B1 (ko) 2013-08-27
TW200730142A (en) 2007-08-16
US20070073253A1 (en) 2007-03-29
US8237012B2 (en) 2012-08-07
JP4913381B2 (ja) 2012-04-11
TWI305142B (ko) 2009-01-11
HK1104206A1 (en)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02B1 (ko) 흡수성 물품
JP5065037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2409673B1 (en) Absorbent article
KR100971193B1 (ko)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JP4587947B2 (ja) 吸収性物品
JP5455363B2 (ja) 薄型吸収性物品
JP6169338B2 (ja) 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949020B2 (ja) 吸収性物品
EP1774935A1 (en) Paper diaper
KR20160052599A (ko) 흡수성 물품
KR20140031914A (ko) 흡수성 물품
WO2013154087A1 (ja) 吸収性物品
JP2015065980A (ja) 吸収性物品
JP6053123B2 (ja) 吸収性物品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EP3470039A1 (en) Absorbent article
JP5766253B2 (ja) 吸収性物品
WO2018051518A1 (ja) 吸収性物品
WO2017169391A1 (ja) 吸収性物品
WO2004021937A1 (ja) 吸収性製品
JP6073619B2 (ja) 吸収性物品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JP3224044U (ja) 吸収性物品
JP6605064B2 (ja) 吸収性物品
WO2015072502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