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353A - 육아기구 및 덮개 - Google Patents

육아기구 및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353A
KR20070033353A KR1020067026193A KR20067026193A KR20070033353A KR 20070033353 A KR20070033353 A KR 20070033353A KR 1020067026193 A KR1020067026193 A KR 1020067026193A KR 20067026193 A KR20067026193 A KR 20067026193A KR 20070033353 A KR20070033353 A KR 20070033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oth
skeleton
upper lay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조우 카사이
바루바라 스토루치
사치요 스즈키
후미코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이쿠지켄큐카이 아프리카 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덮개(1)는, 좌우 측면의 개구 상태를 각각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덮개(1)는, 덮개 본체(2)와, 덮개 본체(2)의 전방연에 접속되어 좌석의 전방을 덮는 앞 커버 부재(4)와, 앞 커버 부재(4)의 좌우의 측연에 접속되어 좌석의 좌우의 측면을 덮는 좌측면 커버 부재(5) 및 우측면 커버 부재(6)를 구비한다.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는, 앞 커버 부재(4)의 위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앞 커버 부재(4)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의 적층체(3)는, 덮개 본체(2)의 윗면상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육아기구 및 덮개{CHILD-CARE INSTRUMENT AND HOOD}
본 발명은, 아기 베드, 육아 의자, 유모차, 자동차용 아기 좌석 등의 육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육아기구에 있어서의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을 덮는 덮개(hood)에 관한 것이다.
일본 아프리카(주) 육아연구회 감수의 카탈로그 「2004년판 아프리카의 육아서 아기 행복의 책」에는, 여러가지의 육아기구가 게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99 내지 136페이지에 자동차용 아기 좌석이 게재되고, 제 137 내지 172페이지에 유모차가 게재되고, 제 173 내지 198페이지에 아기보호 띠(帶)가 게재되고, 제 198 내지 214페이지에 아기용 베드 및 의자가 게재되어 있다. 이들의 육아기구 중, 집밖에서 사용되는 유모차에 관해서는, 차양(해가림)을 위한 덮개가 장비되어 있다.
유모차에 부착되는 덮개는, 주로 좌석에 착좌한 아기를 강한 햇살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덮개는, 복수의 덮개 골격(hood bone)과, 이 덮개 골격상에 연재되는 덮개 천(hood cloth)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덮개를 구비한 유모차는, 시장에 많이 제공되어 있다. 그중에, 좌석 내에의 통풍을 확보하기 위해, 덮개 천에 통풍창을 구비한 것도 있다.
덥고 습기가 많은 날에는 통풍창을 개방함에 의해, 좌석 내에 청량감을 줄 수 있다. 한편, 추운 날이나 바람이 강한 날에는, 통풍창을 폐쇄하여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통풍창이 붙은 덮개를 갖는 경우, 창을 덮는 부드러운 천 등의 커버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덮개에 마련되는 창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통풍을 의도한 것과, 좌석 내의 아기의 모습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있다. 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덮개 천에 개구를 마련하고, 이 개구에 투명 필름을 부착하고 있다. 햇살은, 투명 필름을 통과하여 좌석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투명 필름의 창도 필요에 따라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을 덮는 부드러운 포(cloth)제 등의 커버 부재를 마련하는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특개2002-187554호 공보는, 덮개를 구비한 유모차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덮개는, 햇살의 입사 각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덮개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와, 덮개의 내측에 수용되는 위치가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차양 부재를 구비한다.
일본특개2002-187554호 공보에 개시된 덮개에서는, 차양 부재에 의해 덮개 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햇살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덮개의 측방의 환경 변화에 대해서는 특히 고안을 하고 있지 않다.
집 밖에서 사용되는 유모차에는, 주로 차양 및 풍진 방지의 관점에서, 덮개가 장비된 것이 많다. 그에 대해, 실내에서 사용된 육아기구의 경우, 햇빛이나 바 람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기 수납 공간의 상부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자는, 실내에서 사용된 육아기구에 있어서도, 아기 수납 공간의 상부를 덮을 필요성이 있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 1의 이유는, 눈의 발달이 충분하지 않은 유아에 관련되는 것이다. 생후 얼마 되지 않은 유아는 눈의 발달이 충분하지 않다, 한낮의 실내 밝기가 유아의 눈에 너무 강한 자극을 줄 우려가 있다. 마찬가지로, 실내의 조명기구의 조명 광도, 유아의 눈에는 너무 강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실내에서 사용된 육아기구에서도, 생후 얼마 되지 않은 유아를 빛의 자극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아기 수납 공간의 상부를 덮을 필요가 있다.
제 2의 이유는, 유아의 수면 환경을 갖추는 관점에서의 것이다. 근래, 유소아의 수면 환경은, 매우 나빠지고 있다. 이것은, 오로지 모친의 야형화(夜型化) 등에 기인한다. 모친은, 밤늦게까지 조명을 키고, 텔레비전을 보고 있고, 그 옆에서 유아가 자고 있는 경우가 있다. 조명광에 의해 밝게 된 분위기에서는, 유아는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내에서 사용된 육아기구에서도, 유아가 충분한 수면을 취하기 위해, 아기 수납 공간의 상부를 덮을 필요가 있다.
제 3의 이유는, 유아의 수면 및 각성의 리듬에 관련되는 것이다. 유아는, 일정한 주기로 수면과 각성을 규칙 바르게 반복한다. 이 리듬은 서커디언 리듬(circadian rhythms)이라고 불리고, 체온 변화에 의해 초래되고 있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인간의 체온 리듬이 정확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하면, 체온은, 오후 4 내지 7시에 가장 높고, 밤이 됨에 따라 저하되고, 이른 아침의 오전 4 내지 7시에 최 저로 되고, 재차 상승하는 경향이 보인다. 유아에 대한 규칙 바른 생체 리듬을 고려하면, 수면시에 있어서도 주야의 구별을 확실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밤에 자고 있는 때에는 육아기구의 아기 수납 공간을 가장 어둡게 하고, 낮잠일 때에는 육아기구의 아기 수납 공간을 너무 어둡게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고려된다. 이들의 관점에서, 실내에서 사용된 육아기구에 있어서도, 규칙 바른 생체 리듬을 지키기 위해, 아기 수납 공간의 상부를 덮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건전한 발육을 촉진할 수 있는 육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아기구의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의 측방의 환경 변화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육아기구의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의 육아기구는, 아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을 덮도록 본체에 부착되는 덮개를 구비한다. 덮개는,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으로 넓어지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덮개부는, 각각이 투과광의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의 덮개부가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을 갖고있기 때문에, 각 조도 조절 영역을 투과하는 광의 조도를 조절함에 의해,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를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은, 좌우로 나누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육아기구의 좌우의 외부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투과광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은, 전후 좌우로 나누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조도 조절 영역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시트와, 내측 시트상에 겹치는 외측 시트를 포함한다. 외측 시트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시트는, 메시천(mesh cloth)이다. 또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시트는, 자외선의 투과를 차단하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는, 본체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와, 그 하단부가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덮개 골격과,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그 하단부가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덮개 골격을 포함한다. 덮개부는,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제 1 덮개 골격과 제 2 덮개 골격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제 2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를 포함한다. 덮개부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가, 각각,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을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는, 각각,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중간 영역과, 이 중간 영역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측부 영역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덮개는, 덮개부의 후방부의 하단연(下端緣)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단부가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덮개 골격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육아기구의 덮개는, 좌우 측면의 개구 상태를 각각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어야 할 육아기구의 한 예로서 유모차를 생각하면, 이 유모차 덮개의 본래 기능은, 햇살을 차단하는 데 있다. 한편, 덮개의 존재는, 좌석의 통기성을 저해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좌우 측면의 개구 상태를 독립하여 조정함에 의해, 좌우의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부터의 햇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통기성을 적당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덮개의 좌측방으로부터의 햇살을 차단하면서 좌석의 통기성을 확보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덮개의 좌측면의 개구를 닫고, 우측면의 개구를 개방한다. 또한, 좌우 측방으로부터의 햇살의 입사가 없고, 충분한 통기성이 필요할 때에는, 좌우 측면의 개구를 개방한다. 또한, 좌석 내의 아기를 바람이나 먼지로부터 지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우 측면의 개구를 닫는다.
또한, 덮개의 기능으로서, 좌석 내의 밝기를 조정하는 기능도 갖게 하고 싶다. 생후 얼마 되지 않은 유소아에 있어서, 날씨가 좋은 날의 집 밖의 밝기는 너무 눈부실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도, 좌우의 측면의 개구 상태를 조정함에 의해, 좌석 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육아기구의 덮개는, 덮개 본체와, 덮개 본체의 전방연(前方緣)에 접속되어 좌석의 전방을 덮는 앞 커버 부재와, 앞 커버 부재의 좌우의 측연(側緣)에 접속되어 좌석의 좌우 측면을 덮는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는 앞 커버 부재의 위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 또한, 앞 커버 부재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의 적층체는, 덮개 본체의 윗면상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덮개에 의하면, 이하의 4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1) 좌석의 전방 및 좌우 측면의 전부를 개방하는 상태.
(2) 좌석의 전방을 닫고, 좌우 측면을 개방하는 상태.
(3) 좌석의 전방 및 좌측면을 닫고, 우측면을 개방하는 상태.
(4) 좌석의 전방 및 우측면을 닫고, 좌측면을 개방하는 상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덮개 본체는, 그 윗면 부분에 개구창을 갖고 있고, 앞 커버 부재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의 적층체는, 개구창을 덮도록 절첩되는 것이다. 육아기구의 한 예로서의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는 모친 등은, 좌석 내의 유소아의 모습을 눈으로 관찰할 수 있으면 안심할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덮개 본체의 윗면 부분의 개구창을 개방함에 의해, 모친 등은 좌석 내의 유소아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덮개 본체의 개구창에는, 메시천이가 붙어 있다. 메시천은, 밝기를 완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좌석 내의 밝기 조정을 세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개구창은 덮개 본체의 전방연측을 저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앞 커버 부재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의 적층체는, 덮개 본체의 전방연측을 저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 개구창을 덮도록 절첩된다. 이와 같은 형태라면,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육아기구의 덮개는, 좌우 측면에 각각 개구창을 갖는 덮개 본체와, 좌측면의 개구창을 덮는 좌측면 커버 부재와, 우측면의 개구창을 덮는 우측면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에 의하면, 이하의 3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1) 좌우의 측면의 개구창을 개방하는 상태.
(2) 좌측면의 개구창을 닫고, 우측면의 개구창을 개방하는 상태.
(3) 우측면의 개구창을 닫고, 좌측면의 개구창을 개방하는 상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좌우 측면의 개구창에, 각각 메시천이 붙어 있다. 메시천을 붙임에 의해, 좌석 내의 밝기 조정을 세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있어서의 덮개는,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육아기구 본체에 지지되는 제 1 덮개 골격과,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덮개 천과,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덮개 천을 구비한다. 제 1 덮개 천은, 제 1 하층포와, 이 제 1 하층포상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1 상층포를 포함한다. 제 1 상층포는, 제 1 하층포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1 좌측부 상층포와, 제 1 하층포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1 우측부 상층포를 포함한다. 제 2 덮개 천은, 제 2 하층포와, 이 제 2 하층포상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2 상층포를 포함한다. 제 2 상층포는, 제 2 하층포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좌측부 상층포와, 제 2 하층포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우측부 상층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좌측부 상층포, 제 1 우측부 상층포, 제 2 좌측부 상층포 및 제 2 우측부 상층포의 개폐 상태를 조절함에 의해,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를 수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 조절에 의해, 유아가 건전한 발육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는, 제 2 덮개 천의 후방연을 지지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육아기구 본체에 지지되는 제 2 덮개 골격과, 제 2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3 덮개 천을 구비한다. 제 3 덮개 천은, 제 3 하층포와, 이 제 3 하층포상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3 상층포를 포함한다. 제 3 상층포는, 제 3 하층포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좌측부 상층포와, 제 3 하층포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우측부 상층포를 포함한다.
덮개는, 또한, 제 3 덮개 천의 후방연을 지지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육아기구 본체에 지지되는 제 3 덮개 골격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덮개는, 제 1 덮개 골격, 제 2 덮개 골격 및 제 3 덮개 골격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지주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 지주는, 육아기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덮개 천의 재질에 주목하면, 예를 들면, 각 하층포는 메시천으로 형성되고, 각 상층포는, 광차단 효과가 높은 천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하층포는, 위로 감아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하층포를 위로 감아올리면, 아기 수납 공간의 전방은 크게 개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를 측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앞 커버 부재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전방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앞 커버 부재를 전방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앞 커버 부재 및 좌측면 커버 부재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앞 커버 부재 및 우측면 커버 부재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앞 커버 부재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를 전개한 상태의 도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우측면 커버 부재를 절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덮개에 있어서, 앞 커버 부재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를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덮개에 있어서, 좌측면 커버 부재를 절첩한 개구창을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기 베드의 덮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기 베드의 덮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기 베드의 덮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기 베드의 덮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7은 제 1 덮개 골격, 제 2 덮개 골격 및 제 3 덮개 골격의 기단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덮개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덮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한 덮개의 상층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해도.
도 28은 덮개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적 측면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덮개의 덮개부의 도해적 평면도.
본 발명이 적용되어야 할 육아기구는, 아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을 덮도록 본체에 부착되는 덮개를 구비한다. 덮개는,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으로 넓어지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이 덮개부는 각각이 투과광의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을 포함한다.
육아기구로는, 아기 베드, 육아 의자, 유모차, 자동차용 아기 좌석 등이 있지만, 도 1 내지 도 12에는 육아기구의 한 예로서의 유모차를 도시하고, 도 13 내지 도 27에는 육아기구의 다른 예로서의 실내용 아기 베드를 나타내고, 도 28 및 도 29에는 육아기구의 한 예로서의 유모차의 덮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각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1)를 도시하고 있다. 덮개(1)는, 좌우 측면의 개구 상태를 각각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덮개(1)는, 덮개 본체(2)와, 덮개 본체(2)의 전방연에 접속되어 좌석의 전방을 덮는 앞 커버 부재(4)(도 4 참조)와, 앞 커버 부재(4)의 좌우의 측연에 접속되어 좌석의 좌우의 측면을 덮는 좌측면 커버 부재(5)(도 5 참조) 및 우측면 커버 부재(6)(도 6 참조)를 구비한다.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는, 앞 커버 부재(4)의 위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도 3 참조). 또한, 앞 커버 부재(4)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의 적층체(3)는, 덮개 본체(2)의 윗면상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다(도 1 및 도 2 참조).
덮개 본체(2)는, 그 윗면 부분에 개구창(7)을 갖고 있고, 이 개구창(7)에 메시천이 붙어 있다(도 3 내지 도 6 참조). 메시천이 붙은 개구창(7)은, 덮개 본체(2)의 전방연측을 저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앞 커버 부재(4)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의 적층체(3)는, 덮개 본체(2)의 전방연측을 저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서 개구창(7)을 덮도록 절첩된다.
도 7은 덮개 본체(2)의 개구창(7)과, 앞 커버 부재(4)와, 좌측면 커버 부 재(5)와, 우측면 커버 부재(6)를 전개한 상태의 도해도이고, 도 8은 우측면 커버 부재(6)를 앞 커버 부재(4)상에 겹치도록 접철한 상태의 도해도이다. 접철하는 바와 같이 앞 커버 부재(4)는, 덮개 본체(2)의 개구창(7)에 대해 거의 대칭적인 삼각형의 천(4a)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작은 삼각형의 메시천(4b)을 포함한다. 좌측면 커버 부재(5)는, 앞 커버 부재(4)의 메시천(4b)에 접속된 작은 삼각형의 메시천(5b)과, 그 옆에 접속된 작은 삼각형의 천(5a)을 포함한다. 우측면 커버 부재(6)는, 앞 커버 부재(4)의 메시천(4b)에 접속된 작은 삼각형의 메시천(6b)과, 그 옆에 접속된 작은 삼각형의 천(6a)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2)의 개구창(7)에 메시천을 붙이는 것에 더하여, 앞 커버 부재(4) 및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가 부분적으로 메시천을 갖음에 의해, 좌석의 밝기 및 통기성을 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면 커버 부재(6)를 절첩한 때에는, 앞 커버 부재(4)의 한쪽의 메시천(4b)을 천(4a)상에 겹치고, 또한 우측면 커버 부재(6)의 메시천(6b)을 앞 커버 부재(4)의 메시천(4b)상에 겹치고, 또한 우측면 커버 부재(6)의 천(6a)을 메시천(6b)상에 겹친다. 좌측면 커버 부재(5)의 절첩 동작도 마찬가지이다.
각 커버 부재 및 각 부분의 절첩 상태의 형태를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절첩시에 대면하는 부위에 면 파스너 등의 접합 수단을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각 형태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적층체(3)가 덮개 본체(2)의 개구창(7)을 덮도록 위치하고 있다. 좌석의 전방 및 좌우 측면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적층체(3)를 전방으로 늘어뜨려서 덮개 본체(2)의 개구창(7)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유모차의 앞 가드 부재(8)와 앞 커버 부재(4)를 면 파스너 등의 접합 수단을 통하여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덮개 본체(2)의 윗면의 개구창(7)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유모차를 이동 조작하는 모친 등은, 이 개구창(7)을 통하여 아기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부로부터 햇살이 입사하는 경우라도, 그 햇살은 개구창(7)에 붙은 메시천을 통과하기 때문에 광강도가 완화된다. 또한,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에 더하여, 앞 커버 부재(4)의 메시천(4b)도 절첩되어 앞 커버 부재(4)의 천상에 겹쳐 있기 때문에, 좌석의 좌우 측면은 크게 개방된다.
도 4는, 앞 커버 부재(4)의 메시천(4b)을 옆으로 열고,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5, 6)를 앞 커버 부재(4)의 아래에 겹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도, 좌석의 좌우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방으로부터 햇살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이 덮개의 형태가 채용된다.
도 5는, 앞 커버 부재(4) 및 좌측면 커버 부재(5)를 전개 상태로 하고 우측면 커버 부재(6)를 앞 커버 부재(4)의 아래에 겹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좌석의 우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좌석의 좌측방으로부터 햇살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이 덮개의 형태가 채용된다.
도 6은, 앞 커버 부재(4) 및 우측면 커버 부재(6)를 전개 상태로 하고 좌측면 커버 부재(5)를 앞 커버 부재(4)의 아래에 겹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좌석의 좌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좌석의 우측방으로부터 햇살이 입사하는 경우에는, 이 덮개의 형태가 채용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10)를 도시하고 있다. 덮개(10)는, 윗면에 메시천이 붙은 개구창(12)을 갖는 덮개 본체(11)와, 개구창(12)을 덮도록 마련된 적층체(13)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창(12) 및 적층체(13)는, 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체(13)는, 한 변이 덮개 본체(11)에 접속된 사각형의 앞 커버 부재(14)와, 한 변이 앞 커버 부재(14)에 접속된 사각형의 좌측면 커버 부재(15)와, 한 변이 앞 커버 부재(14)에 접속된 사각형의 우측면 커버 부재(16)를 구비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도, 주위의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덮개의 형태를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모차의 덮개(20)를 도시하고 있다. 돔 형상의 덮개(20)는, 좌우 측면에 각각 개구창(22)을 갖는 덮개 본체(21)와, 좌측면의 개구창(22)을 덮는 좌측면 커버 부재(23)와, 우측면의 개구창을 덮는 우측면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측면의 개구창(22)에 메시천이 붙어 있다. 또한, 좌측면 커버 부재(23)의 양측변과 덮개 본체(24)는, 슬라이드 파스너(24)를 통하여 이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 로, 우측면 커버 부재의 양측변과 덮개 본체(24)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통하여 이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좌측면 커버 부재(23)가 덮개 본체(21)의 좌측면의 개구창(22)을 덮고, 우측면 커버 부재가 덮개 본체의 우측면의 개구창을 덮고 있다. 이 형태는, 예를 들면, 좌석 내의 유소아를 바람이나 먼지로부터 지키려고 할 때나, 좌석 내를 어둡게 하려고 할 때에 채용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좌측면 커버 부재(23)가 덮개 본체(21)의 윗면에 겹치도록 절첩되고, 좌측면의 개구창(22)이 개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우측면 커버 부재는 덮개 본체의 우측면의 개구창을 덮은 상태이다. 이 형태는, 예를 들면, 우측방으로부터의 햇살의 입사를 차단하면서, 좌석 내에 어느 정도의 통기성을 유지하려고 할 때에 채용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메시천이 붙은 한쪽의 측면 개구(22)가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좌석은 약간 밝아진다.
도시하지 않지만, 우측면 커버 부재를 덮개 본체(21)의 윗면에 겹치도록 절첩하고, 우측면의 개구창을 개방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형태에서는, 덮개 본체(21)의 좌측면의 개구창(22)은, 좌측면 커버 부재(23)에 의해 덮인 상태이다. 이 형태는, 예를 들면, 좌측방으로부터의 햇살의 입사를 차단하면서, 좌석 내에 어느 정도의 통기성을 유지하려고 할 때에 채용된다.
도 13 내지 도 16은, 육아기구의 다른 예로서의 실내용 아기 베드(200)를 도시하고 있다. 아기 베드(200)는, 베드형상의 형태와 의자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 하다. 아기 베드(200)의 아기 수납 공간의 상부는, 덮개(100)에 의해 덮여 있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100)는, 아기 수납 공간을 간극 없이 덮는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덮개(100)은,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아기 베드(200)에 지지되는 제 1 덮개 골격(101)과, 제 1 덮개 골격(101)보다도 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덮개 천(110)과,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덮개 천(120)과, 제 2 덮개 천(120)의 후방연을 지지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아기 베드(200)에 지지되는 제 2 덮개 골격(102)과, 제 2 덮개 골격(102)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3 덮개 천(130)과, 제 3 덮개 천(130)의 후방연을 지지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아기 베드(200)에 지지되는 제 3 덮개 골격(103)을 구비한다.
도 17은, 제 1 덮개 골격(101), 제 2 덮개 골격(102) 및 제 3 덮개 골격(103)의 기단부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덮개 골격(101, 102, 103)의 기단부는, 축(105)을 통하여, 베이스 지주(支柱)(10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지주(104)는, 아기 베드(200)에 고정되어 있는 통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덮개 골격간 사이 전개(展開)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덮개 골격은, 임의의 각도의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덮개 천(110)은, 섬세하고 치밀한 메시천으로 형성된 제 1 하층포(111)와, 제 1 하층포(111)의 위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1 상 층포(112a, 112b)를 포함한다. 제 1 상층포는, 제 1 하층포(111)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1 좌측부 상층포(112a)와, 제 1 하층포(111)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1 우측부 상층포(112b)를 포함한다. 제 1 좌우측부 상층포(112a, 112b)는, 예를 들면, 광차단 효과가 높은 천으로 형성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하층포(111)의 전방 영역은, 상층포(112a, 112b)에 의해 덮여 있지 않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하층포(111)는, 위로 감아 올려서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아기 수납 공간의 전방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다.
제 1 덮개 골격(101)과 제 2 덮개 골격(10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덮개 천(120)은, 메시천의 제 2 하층포(121)가 붙은 창(도 20 및 도 21 참조)과, 이 창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상층포(122)를 포함한다. 제 2 상층포(122)는, 예를 들면, 광차단 효과가 높은 천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상층포(122)는, 제 2 하층포(121)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와, 제 2 하층포(121)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우측부 상층포(122b)를 포함한다.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와 제 2 우측부 상층포(122b)는 슬라이드 파스너(123)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상층포(122)는, 예를 들면 면 파스너를 통하여, 제 2 하층포(121)로 이루어지는 창의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된다.
제 2 덮개 골격(102)과 제 3 덮개 골격(103)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덮개 천(130)은, 메시천의 제 3 하층포(131)가 붙은 창(도 24 및 도 25 참조)과, 이 창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상층포(132)를 포함한다. 제 3 상층포(132)는, 예를 들면, 광차단 효과가 높은 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3 상층포(132)는, 제 3 하층포(131)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좌측부 상층포(132a)와, 제 3 하층포(131)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우측부 상층포(132b)를 포함한다. 제 3 좌측부 상층포(132a)와 제 3 우측부 상층포(132b)는 슬라이드 파스너(133)를 통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3 상층포(132)는, 예를 들면 면 파스너를 통하여, 제 3 하층포(131)로 이루어지는 창의 주위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된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를,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수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광차단 효과가 높은 각 상층포(112a, 112b, 122a, 122b, 132a, 132b)가 각각 하층포(111, 121, 131)를 덮고 있기 때문에, 아기 수납 공간은 가장 어두워진다. 이 상태에서도, 아기 수납 공간의 전방 영역은, 제 1 상층포(112)에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모친은 메시천의 하층포(111)를 통과하여 베드(200) 내의 아기를 관찰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하는 메시천의 하층포(111)만을 위로 감아올려서 지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아기 수납 공간의 전방 영역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전폐 상태에 비하여 아기 수납 공간은 밝아진다.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1 우측부 상층포(112b)만을 위로 감아올려서 제 1 하층포(111)의 우측부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 상태의 아기 수납 공간은, 도 13에 도시하는 전폐 상태에 비하여 약간 밝다.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를 우측방으로 감아올려서 제 2 하층포(121)의 좌측부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 상태의 아기 수납 공간은, 도 13에 도시하는 전폐 상태에 비하여 약간 밝다.
도 2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2 상층포(120)의 슬라이드 파스너(123)를 열고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와 제 2 우측부 상층포(122b)를 분리하고 있다. 또한,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를 좌측방으로 감아올려서 제 2 하층포(121)의 중앙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 상태의 아기 수납 공간은, 도 13에 도시하는 전폐 상태에 비해 약간 밝다.
도 2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다시 제 2 우측부 상층포(122b)를 우측방으로 감아올리고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 및 제 2 우측부 상층포(122b)를 각각 중앙측으로 절첩함에 의해, 제 2 하층포(121)의 좌우의 측부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3 좌측부 상층포(132a) 및 제 3 우측부 상층포(132b)를 각각 중앙측으로 절첩함에 의해, 제 3 하층포(131)의 좌우의 측부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제 3 상층포의 슬라이드 파스너(133)를 열고 제 3 좌측부 상층포(132a)와 제 3 우측부 상층포(132b)를 분리하고 있다. 또한, 제 3 좌측부 상층포(132b) 및 제 3 우측부 상층포(132a)를 각각 좌우의 측방으로 절첩함에 의해, 제 3 하층포(131)의 중앙 영역을 노출시키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좌측부 상층포(112a), 제 1 우측부 상층포(112b), 제 2 좌측부 상층포(122a), 제 2 우측부 상층포(122b), 제 3 좌측부 상층포(132a) 및 제 3 우측부 상층포(132b)의 개폐 상태를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아기 베드(200)의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를 수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덮개(100)의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1개의 덮개 골격은 필요하지만, 제 2 덮개 골격(102) 및 제 3 덮개 골격(103)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덮개는, 제 1 덮개 골격(101)과, 그 전후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덮개 천(110, 120)을 갖는 만큼의 것으로 된다.
도 26 및 도 27은, 덮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이다. 반원형의 하층포(301)상에 겹치도록, 4분의1 원 형상의 좌측 상층포(302) 및 우측 상층포(303)가 마련되어 있다. 하층포(301)는, 메시천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상층포(302)의 거의 중앙에는, 끈(紐)(304)이 통과되고 있다. 이 끈(304)의 선단은 좌측 상층포(302)의 하단연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상층포(303)의 거의 중앙에는, 끈(305)이 통과되고 있다. 이 끈(305)의 선단은 우측 상층포(303)의 하단연에 연결되어 있다.
도 26은, 좌우의 상층포(302, 303)에 의해 하층포(301)의 전면(全面)을 덮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끈(304 및 305)을 상방으로 끌어당기면, 좌우의 상층포(302 및 303)의 하단연는 상방을 향하고 끌어 올려지고, 최종적으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상층포(302 및 303)는 리본 형상의 형태로 절첩되어 하층포(301)를 노출한다. 이와 같이 상층포(302 및 303)를 리본 형상으로 개는 구조는, 디자인적인 흥미를 끄는 것으로 된다.
도 28 및 도 29는, 덮개의 또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해도이다. 도 28에서는, 덮개부로서의 덮개 천(406)을 상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9는, 덮개부로서의 덮개 천(406)의 도해적 평면도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400)는, 유모차 등의 육아기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지지 부재(401)와, 그 하단부가 지지 부재(401)에 연결축(40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역U자 형상의 제 1 덮개 골격(403)과, 제 1 덮개 골격(403)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그 하단부가 지지 부재(401)에 연결축(40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역U자 형상의 제 2 덮개 골격(404)과, 제 2 덮개 골격(404)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그 전단부가 연결축(402)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역U자 형상의 제 3 덮개 골격(405)을 포함한다. 각 덮개 골격(403, 404, 405)과 지지 부재(401)의 맞닿는 부분에는, 예를 들면 연결축(402)을 둘러싸도록 래칫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덮개 골격(403, 404, 405)은, 임의의 각도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400)의 덮개부로서의 덮개 천(406)은, 제 1 덮개 골격(403)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410)와, 제 1 덮개 골격(403)과 제 2 덮개 골격(404)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411)와, 제 2 덮개 골격(404)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412) 를 포함한다. 덮개 천(406)의 전단연은, 예를 들면, 육아기구의 좌석의 전방 부분에 연결된다. 또한, 덮개 천(406)의 후단연을, 육아기구의 좌석의 후방 부분에 연결하도록 하면, 제 3 덮개 골격(405)을 생략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부(406)의 전방부(410), 중앙부(411) 및 후방부(412)가, 각각,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9의 도해적 평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406)의 전방부(410), 중앙부(411) 및 후방부(412)는, 각각,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중간 영역(410a, 411a, 412a)과, 이 중간 영역(410a, 411a, 412a)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측부 영역(410b, 411b, 412b)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이라면, 덮개(400)의 덮개부(406)를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9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아기 수납 공간의 밝기를 임의이며 또한 최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도 조절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구조의 한 예는, 각 영역의 덮개부를 2겹의 천으로 하여, 하층포를 메시천, 상층포를 자외선 투과 차단 기능을 갖는 소재로 한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아기 베드, 차내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아기 좌석, 집밖에서 사용되는 유모차 등의 육아기구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육아기구 또는 덮개로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아기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으로 넓어지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와, 그 하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덮개 골격과, 상기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덮개 골격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상기 제 1 덮개 골격과 상기 제 2 덮개 골격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제 2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가, 각각, 투과광의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복수의 조도 조절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전방부, 중앙부 및 후방부는, 각각,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중간 영역과, 이 중간 영역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조도 조절 기능을 갖는 측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부의 후방부의 하단연에 접속되고, 또한 그 전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덮개 골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
  4.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전방연에 접속되어 좌석의 전방을 덮는 앞 커버 부재와,
    상기 앞 커버 부재의 좌우의 측연에 접속되어 좌석의 좌우 측면을 덮는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는 상기 앞 커버 부재의 위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이고,
    상기 앞 커버 부재 및 상기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의 적층체는, 상기 덮개 본체의 윗면상에 겹치도록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본체는, 그 윗면 부분에 개구창을 갖고 있고,
    상기 앞 커버 부재 및 상기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의 적층체는, 상기 개구창을 덮도록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창에는 메시천이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창은 상기 덮개 본체의 전방연측을 저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앞 커버 부재 및 상기 좌우의 측면 커버 부재의 적층체는, 상기 덮개 본체의 전방연측을 저변으로 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고서 상기 개구창을 덮도록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8. 육아기구에 있어서의 아기 수납 공간의 상방을 덮는 덮개에 있어서,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육아기구 본체에 지지되는 제 1 덮개 골격과,
    상기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1 덮개 천과,
    상기 제 1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2 덮개 천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덮개 천은, 제 1 하층포와, 이 제 1 하층포상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1 상층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층포는, 상기 제 1 하층포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1 좌측부 상층포와, 상기 제 1 하층포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1 우측부 상층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덮개 천은, 제 2 하층포와, 이 제 2 하층포상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2 상층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층포는, 상기 제 2 하층포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좌측부 상층포와, 상기 제 2 하층포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2 우측부 상층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덮개 천의 후방연을 지지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육아기구 본체에 지지되는 제 2 덮개 골격과,
    상기 제 2 덮개 골격보다도 후방의 영역에 위치하는 제 3 덮개 천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덮개 천은, 제 3 하층포와, 이 제 3 하층포상에 개폐 가능하게 겹치는 제 3 상층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상층포는, 상기 제 3 하층포의 좌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좌측부 상층포와, 상기 제 3 하층포의 우측부 영역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제 3 우측부 상층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덮개 천의 후방연을 지지하도록 역U자 형상을 가지며, 그 양단이 육아기구 본체에 지지되는 제 3 덮개 골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 구의 덮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 골격, 제 2 덮개 골격 및 제 3 덮개 골격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지주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지주는, 육아기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층포는 메시천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상층포는 광차단 효과가 높은 천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층포는 위로 감아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기구의 덮개.
KR1020067026193A 2004-07-09 2005-06-29 육아기구 및 덮개 KR20070033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03796 2004-07-09
JP2004203796 2004-07-09
JPJP-P-2005-00106226 2005-04-01
JP2005106226 2005-04-01
PCT/JP2005/011991 WO2006006405A1 (ja) 2004-07-09 2005-06-29 育児器具および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353A true KR20070033353A (ko) 2007-03-26

Family

ID=3578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193A KR20070033353A (ko) 2004-07-09 2005-06-29 육아기구 및 덮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66123A1 (ko)
EP (1) EP1769708A4 (ko)
JP (1) JPWO2006006405A1 (ko)
KR (1) KR20070033353A (ko)
TW (1) TW200610677A (ko)
WO (1) WO2006006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8890B2 (ja) * 2006-04-18 2012-08-22 株式会社リッチェル 乳幼児用シートのフレーム体及び乳幼児用シート
US7891732B2 (en) * 2006-05-05 2011-02-22 Orbit Baby, Inc. Extendable sunshade for child car seat
ITBO20110176A1 (it) * 2011-04-06 2012-10-07 Rosanna Mereu Culla per neonati
CN103373385B (zh) * 2012-04-17 2016-08-10 伍轮实业有限公司 顶篷装置及具有该顶篷装置的婴儿车
US20130292973A1 (en) * 2012-05-07 2013-11-07 Guillermo Bettancourt Loaiza Combined infant car seat cover and window shade
US20140132043A1 (en) * 2012-11-15 2014-05-15 Erika K Rodormer Stroller Blanket
JP5946397B2 (ja) * 2012-11-22 2016-07-06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幼児用座席の幌構造
US9215859B2 (en) * 2013-02-20 2015-12-22 Vermont Juvenile Furniture Mfg., Inc. Pet stroller with latchable canopy bar
US20150096603A1 (en) * 2013-10-07 2015-04-09 Keren Nadel Cover for Stroller or Car Seat
JP6189204B2 (ja) * 2013-12-18 2017-08-30 コンビ株式会社 手押し車用の幌及び乳母車
US20160324332A1 (en) * 2015-05-07 2016-11-10 Jennifer Jacobsen Child Receptacle Cover
JP2017206253A (ja) * 2017-07-20 2017-11-24 株式会社カーメイト 日除け付きチャイルドシートの制御システム
US10696316B1 (en) * 2018-05-08 2020-06-30 Douglas Parks Stair-climbing stroller
JP6957031B2 (ja) * 2018-11-16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カバー、乳母車用の収納袋付きカバー及び乳母車
USD955653S1 (en) * 2019-06-07 2022-06-21 Osnat Peleg Sunsha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6843A (en) * 1948-06-11 1951-03-27 Zigterman Nicholas Storm and insect netting shield for baby carriages
US2628862A (en) * 1949-12-29 1953-02-17 Packman Eugene Harold Ventilated baby carriage hood
US3011824A (en) * 1959-10-02 1961-12-05 Vassallo Onofrio Adjustable air vents and wind protector for infants' carriages
US5184865A (en) * 1991-12-13 1993-02-09 Mani Mohtasham Insect netting for baby stroller
GB9511505D0 (en) * 1995-06-07 1995-08-02 Kuester Stephen M Personal protection
EP0957730A1 (en) * 1996-01-29 1999-11-24 Warren E. Roh Protective cover for baby seats
US6139046A (en) * 1996-10-25 2000-10-31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improved features
GB2329156A (en) * 1997-09-16 1999-03-17 Ocean Triumph Limited Two part pushchair cover
US6217099B1 (en) * 1998-07-14 2001-04-17 Mckinney Brendan P. Multi-layer protective sheild for stroller
US6357461B1 (en) * 1998-07-21 2002-03-19 Quantum Auto (Hong Kong) Limited Sunshade
US6517153B1 (en) * 2000-03-03 2003-02-11 Marvelee Brewer All weather protective infant carrier cover/activity center
JP4489927B2 (ja) * 2000-10-11 2010-06-2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乳母車用の幌
US7284790B1 (en) * 2002-12-16 2007-10-23 Marvelee Johnson Brewer Baby seat cover diaper bag/activity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0677A (en) 2006-04-01
EP1769708A1 (en) 2007-04-04
JPWO2006006405A1 (ja) 2008-07-31
EP1769708A4 (en) 2007-10-17
WO2006006405A1 (ja) 2006-01-19
US20090066123A1 (en) 200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3353A (ko) 육아기구 및 덮개
JP2005329902A (ja) 幌を備えた育児器具
US6517153B1 (en) All weather protective infant carrier cover/activity center
US8534751B2 (en) Extendable sunshade for child car seat
US7213878B2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US20090049604A1 (en) Playard having shade device
US5975613A (en) Stroller shading device
US9079521B1 (en) Protective cover for child carrying device
US20110035877A1 (en) Cover for a bed
US20130292973A1 (en) Combined infant car seat cover and window shade
US20100186145A1 (en) Infant sleeping cap
KR200453145Y1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EP1310184A1 (en) Portable shade
WO2018074079A1 (ja) 蚊帳付き日除け、ベビーカー
JP4722334B2 (ja) ベビーカーの幌装置
CN1980585A (zh) 育儿器具及遮蓬
KR101516865B1 (ko) 햇빛 차양막
JP2006271858A (ja) 子守帯
JP2006271859A (ja) 子守帯
KR20140032115A (ko) 유모차 커버
US20240124044A1 (en) Canopy device and child carrier having the same
JP3102793U (ja) 乳母車用の補助日除け幌
KR200239880Y1 (ko) 유모차용 유아보호커버
JPH02141365A (ja) 乳母車の覆い
TW202408860A (zh) 兒童載具及其轉換兒童載具之頂篷裝置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