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245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245A
KR20070033245A KR1020060069652A KR20060069652A KR20070033245A KR 20070033245 A KR20070033245 A KR 20070033245A KR 1020060069652 A KR1020060069652 A KR 1020060069652A KR 20060069652 A KR20060069652 A KR 20060069652A KR 20070033245 A KR20070033245 A KR 2007003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distal end
leg
base
squa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919B1 (ko
Inventor
야스키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07003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mponent to be fastened, e.g. forming part of the sheet, plat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10T24/309Plastic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2Independent, headed, aperture pass-through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장착 부재의 일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사각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연장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향한 닻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 다리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 다리의 선단에는 상기 피장착 부재의 타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 다리의 폭은 각각 상기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진다.
클립

Description

클립{Clip}
도 1의 (a) ~ 도 1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의 (a)는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1의 (b)는 피장착 부재에 설치된 사각 구멍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의 (c)는 상기 클립을 상기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한 상태를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2의 (a) ~ 도 2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a)는 정면도, 도 2의 (b)는 우측면도, 도 3의 (c)는 저면도이다.
도 3의 (a) ~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피장착 부재의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의 (a)는 상기 클립의 스템부 및 걸림 다리를 삽입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의 (b)는 상기 클립을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의 (c)는 상기 삽입 고정한 상태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의 (a)는 정면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아래쪽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
도 6의 (a) ~ 도 6의 (c)는 도 5에 도시된 클립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6의 (a)는 정면도, 도 6의 (b)는 우측면도, 도 6의 (c)는 저면도이다.
도 7의 (a) ~ 도 7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피장착 부재의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의 (a)는 상기 클립의 스템부 및 걸림 다리를 사각 구멍에 삽입하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의 (b)는 상기 클립을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의 (c)는 상기 삽입 고정한 상태를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8의 (a) ~ 도 8의 (c)는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사각 구멍에 고정했을 때의 덜걱거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의 (a)는 폭이 넓은 걸림 다리를 갖는 비교예의 클립의 설명도, 도 8의 (b)는 도 8의 (a)보다도 폭이 좁은 걸림 다리를 갖는 비교예의 클립의 설명도, 도 8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패널 등의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배관이나 전선 등을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차체 패널 등의 피장착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나 클램프 등의 장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들 장착 부품에 일체로 장착되거나 끼워진 클립을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사각 구멍에 삽입하 여 고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클립은 피장착 부재의 일 면에서 사각 구멍에 걸리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상기 사각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연장되는 스템부와,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향한 닻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장착 부재의 타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걸림부가 끝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 다리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클립은 걸림 다리가 스템부에 연결된 기저부로부터 사각 구멍에 걸리는 말단부에 이르기까지 대체로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어 사각 구멍에 걸리기 때문에, 걸림 다리가 사각 구멍의 내 표면을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안쪽으로 휘어 삽입될 때 강한 압입력이 요구된다. 때문에 특히 날이 선 사각 구멍에 삽입할 때 끼워 넣기 힘들어 작업성이 저하된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1-245427호 공보에는 하네스 장착용 장착 시트(본체부)와, 이 장착 시트로부터 연장된 베이스부(스템부)와, 이 베이스부의 선단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돌출시킨 한 쌍의 걸림 아암(걸림 다리)을 가지며, 걸림 아암의 외 표면에 고체 피막 윤활층이 각각 형성된 하네스 장착 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245427호 공보에 개시된 클립에서는, 걸림 아암의 외 표면에 형성된 고체 피막윤활층에 의해 장착공으로의 삽입 저항이 줄어든다. 그러나, 제조 비용이 높다.
본 발명은 삽입 저항을 경감할 수 있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낮은 제조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피장착 부재의 일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사각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연장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향한 닻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 다리의 선단에는 상기 피장착 부재의 타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 다리의 폭은 각각 상기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클립이 제공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걸림 다리는 기저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걸림 다리를 피장착 부재의 사각 구멍에 삽입할 때, 사각 구멍의 내 표면과의 접촉 부분이 감소하여, 삽입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삽입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 다리의 말단부는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사각 구멍의 가장자리에 확실하게 걸려 클립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클립은 고가의 재료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폭은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의 폭보다 1.2 배 이상 넓게 형성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폭이 기저부의 폭에 비하여 1.2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므로, 사각 구멍에 삽입할 때의 삽입 저항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으며, 사각 구멍에 대한 결합 시에 클립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까지 대체로 일정한 폭으로 각각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 걸림 다리의 직선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게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외 측면은 상기 직선부의 외 측면보다도 상기 스템부 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걸림 다리의 확장부의 외 측면은 직선부의 외 측면보다도 스템부 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각 구멍에 대한 삽입 시에 직선부의 외 측면만이 사각 구멍의 내 표면과 접촉하게 되므로 삽입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적어도 일 측면은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저부와 대체로 동일한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사각 구멍에 클립이 끼워졌을 때 스템부의 기저부와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적어도 일 측면이 상기 사각 구멍의 내 표면의 측면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따라서, 클립을 고정했을 때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고, 중간 부분부터 상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걸림 다리의 기저부가 정해진 길이만큼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므로, 사각 구멍으로의 삽입 시에 사각 구멍의 내 표면과의 접촉 부분을 줄 일 수 있으며, 걸림 다리가 쉽게 휘어지기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저항을 더욱 더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a) ~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클립(10)은 호스밴드에 적용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밴드의 일 단이 본체부를 형성한다
도 1의 (a) ~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스템부(12)는 본체부(11)의 일 면으로부터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스템부(12)에서, 본체부(11)와 접하는 기저부(12a)의 폭은 상대적으로 넓고, 말단부(12b)의 폭은 상대적으로 좁다. 스템부(12)는 스템부(12)의 양 측면이 본체부(11)로 갈수록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이다. 스템부(12)의 기저부(12a)의 폭은 피장착 부재(30)에 형성된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폭과 일치된다.
한 쌍의 걸림 다리(13)는 스템부(12)의 말단부(12b)로부터 본체부(11)로 향한 닻 형상으로 연장된다. 각 걸림 다리(13)는 스템부(12)의 말단부(12b)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연장하는 직선부(14)와; 직선부(14)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직선부(14)의 길이방향의 중간 부분에서부터 폭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15)를 구비한다. 확장부(15)는 일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선부(14)의 중간 부분부터 시작된 삼각 형상이다. 확장부(15)는 확장부(15)의 외 측면이 직선부(14)의 외 측면에 대하여 스템부(12) 쪽으로 움푹 들어가도록, 직선부(14)보다 얇게 형성된다. 직 선부(14) 및 확장부(15)의 말단부는 걸림 다리(13)의 말단부(13b)를 이룬다.
도 2의 (a) ~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다리(13)의 말단부(13b)에는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걸리는 걸림부(16)가 형성된다. 걸림부(16)는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과 탄력적으로 맞닿는 박편(16a)과, 사각 구멍(31)의 배면 가장자리에 걸리는 걸림 턱(16b)을 갖는다. 그리고, 직선부(14)로부터 연장되는 박편(16a)과 확장부(15)로부터 연장하는 박편(16a)은 동일면을 이루며, 직선부(14)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턱(16b)과 확장부(15)로부터 연장되는 걸림 턱(16b)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 다리(13)가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에 걸린 상태에서는, 직선부(14) 및 확장부(15)의 선단들이 함께 사각 구멍(31) 내 표면에 걸려, 말단부(13b)의 폭 전체가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에 맞닿는다.
확장부(15)의 말단부의 폭 방향 단부는 스템부(12)의 기저부(12a)의 폭 방향 단부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스템부(12)의 기저부(12a)에서, 걸림 다리(13)의 확장부(15)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편 단부에는 스템부(12)에 대하여 대체로 직각으로 리브(17)가 돌출 형성된다.
클립(10)의 스템부(12) 및 걸림 다리(13)를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삽입했을 때, 확장부(15)의 말단부의 폭 방향 단부 및 스템부(12)의 기저부(12a)의 폭 방향 일 측은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일 측면에 맞닿고, 리브(17)는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타 측면에 맞닿아, 클립(10)이 사각 구멍(31)에 덜걱거리지 않게 장착된다.
도 3의 (a) ~ 도 3의 (c)는 클립(10)을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 도 3의 (c)에서, 도 3의 (a)는 클립(10)의 스템부(12) 및 걸림 다리(13)의 하단부를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삽입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b)는 클립(10)의 스템부(12) 및 걸림 다리(13)를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완전하게 삽입하여 걸어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c)는 걸어 고정한 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클립(10)의 스템부(12) 및 걸림 다리(13)를 사각 구멍(31)에 삽입할 때, 걸림 다리(13)의 직선부(14)의 외 측면이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에 슬라이드 접촉하고 걸림 다리(13)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스템부(12) 및 걸림 다리(13)가 사각 구멍(31)에 밀어 넣어진다. 이때, 확장부(15)의 외 측면은 직선부(14)의 외 측면보다도 스템부(12) 측으로 움푹 들어간 지점에 위치하므로,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에 슬라이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립(10)의 삽입 시의 삽입 저항이 경감되어, 밀어 넣는 작업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확장부(15)는 스템부(12)의 말단부(12b)로부터 연장된 직선부(14)의 중간 부분에서 일 측면 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연장되므로, 걸림 다리(13)의 기저부(13a)에서의 단면적이 더 줄어들어, 걸림 다리(13)가 쉽게 휘어진다. 이런 이유로, 삽입 저항이 더욱더 경감된다.
스템부(12) 및 걸림 다리(13)를 사각 구멍(31)에 완전하게 삽입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6)의 박편(16a)이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과 맞 닿고, 걸림 턱(16b)이 사각 구멍(31)의 배면 가장자리에 걸려 결합된다. 따라서, 사각 구멍(31)을 통하여 피장착 부재(30)의 일 면에는 본체부(11)가 맞닿고, 타 면(즉 배면)에는 걸림 다리(13)의 걸림부(16)가 맞닿는다. 이런 이유로 클립(10)은 피장착 부재(30)에 고정된다.
이때,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12)의 일 측면과 걸림 다리(13)의 확장부(15)의 폭 방향 단부가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일 측면에 맞닿고, 리브(17)가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반대 측면에 맞닿는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리브(17)의 길이 방향 단부는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다른 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클립(10)은 사각 구멍(31)에 대하여 움직임없이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는 도 1의 (c)에도 나타나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10)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의 클립(10a)은 기본적으로 도 1 ~ 도 3에 도시된 클립(1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전술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확장부(15)의 형상에 있다. 전술된 실시예의 클립(10)에서는 직선부(14)와 확장부(15)의 경계부가 층을 이루고, 확장부(15)가 직선부(14)와 평행하다. 반면, 본 실시예의 클립(10a)에서는 확장부(15)가 직선부(14)에 대하여 폭 방향 단부를 향해 점차 얇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이다(도 4의 (b) 참조).
본 실시예의 클립(10a)에 따르면, 확장부(15)가 클립(10a)의 삽입 시에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에 슬라이드 접촉하지 않으며, 걸림 다리(13)의 두께를 최대한 두껍게 하여 걸림 다리(1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의 클립(10b)은 걸림 다리(13)의 직선부(14)의 양 측면에 확장부(15)가 형성된다는 점이 전술된 실시예들과 다르다. 즉, 스템부(12)의 말단부(12b)로부터 직선부(14)가 연장되고, 확장부(15)가 직선부(14)의 중간 부분에서 양측 방향으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직선부(14) 및 확장부(15)의 말단부는 박편(16a) 및 걸림 턱(16b)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6)를 형성한다. 각각의 확장부(15)의 폭 방향 단부는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양 측면에 맞닿는 너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클립(10b)에서는 전술된 실시예들과 달리 리브(17)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7의 (a) ~ 도 7의 (c)에서, 도 7의 (a)는 본 클립(10b)을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삽입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 및 도 7의 (c)는 클립(10b)을 사각 구멍(31)에 완전하게 삽입하여 걸어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클립(10b)에서는 걸림 다리(13)의 양 확장부(15)의 말단부가 사각 구멍(31)의 내 표면의 양 측면과 맞닿아 움직임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 다리(13)의 걸림부(16)가 사각 구멍(31)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므로, 결합력과 움직임 방지력이 더욱더 향상된다.
도 8의 (a) ~ 도 8의 (c)에 도시된 3가지 형태의 클립을 준비하여, 각각의 클립을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끼웠을 때의 움직임 크기를 비교하였다. 도면에서 전술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도 8의 (a)의 클립(21)에서는, 걸림 다리(13)가 걸림 다리의 기저부에서부터 말단부까지 대체로 동일한 폭으로 넓게 형성된다.
도 8의 (b)의 클립(22)에서는, 걸림 다리(13)가 전술된 실시예들의 직선부(14)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확장부(15)가 형상되지 않는다.
도 8의 (c)는 전술된 도 1 ~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다.
이들 3종류의 클립을 피장착 부재(30)의 사각 구멍(31)에 삽입하고, 클립을 한쪽으로 기울였을 때의 극간(G1)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극간(㎜)
G1
클립(21)(비교예) 0.470
클립(22)(비교예) 0.731
클립(10)(실시예) 0.470
표 1의 결과로부터 도면부호 21과 도면부호 10의 클립의 극간(G1)은 대체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것에 비하여, 도면부호 22의 클립의 극간(G1)은 다른 클립에 비하여 현저하게 큰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21의 클립을 밀어 넣을 때에는 도면부호 22와 도면부호 10의 클립을 밀어 넣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힘이 필요하므로, 도면부호 21의 클립의 삽입 작업성은 좋지 않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클립(10)은 비교적 적은 삽입력으로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사각 구멍(31)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의 움직임이 적다.
일본특허출원 제2005-273745호(2005. 9. 21 출원)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내용은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 다리는 기저부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걸림 다리를 피장착 부재의 사각 구멍에 삽입할 때, 사각 구멍의 내 표면과의 접촉 부분이 감소하여, 삽입 저항을 작게 할 수 있고 삽입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 다리의 말단부는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사각 구멍 가장자리에 확실하게 걸려 클립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클립은 고가의 재료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3)

  1. 피장착 부재에 형성된 사각 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클립으로서,
    상기 피장착 부재의 일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사각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연장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향한 닻 형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 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 다리의 선단에는 상기 피장착 부재의 타 면에서 상기 사각 구멍에 걸리는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 다리의 폭은 각각 상기 스템부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폭은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의 폭보다 1.2 배 이상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까지 대체로 일정한 폭으로 각각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 걸림 다리의 직선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 다 리의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게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외 측면은 상기 직선부의 외 측면보다도 상기 스템부 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적어도 일 측면은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의 기저부와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고, 중간 부분부터 상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말단부를 포함하는 스템부; 및
    상기 스템부에서 연장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본체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저부보다 넓게 형성되는 말단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걸림 다리로 구성되는 클립.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걸림 다리는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로부터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폭은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의 폭보다 1.2배 이상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걸림 다리의 기저부에서부터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까지 대체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직선부와;
    상기 걸림 다리의 직선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넓게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두께는 상기 직선부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의 말단부의 적어도 일 측면은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 의 기저부와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다리는 상기 기저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고, 중간 부분부터 상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스템부의 기저부와 직각을 이루는 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060069652A 2005-09-21 2006-07-25 클립 KR101045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73745A JP4625388B2 (ja) 2005-09-21 2005-09-21 クリップ
JPJP-P-2005-00273745 2005-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245A true KR20070033245A (ko) 2007-03-26
KR101045919B1 KR101045919B1 (ko) 2011-07-01

Family

ID=3700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652A KR101045919B1 (ko) 2005-09-21 2006-07-25 클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9295B2 (ko)
JP (1) JP4625388B2 (ko)
KR (1) KR101045919B1 (ko)
CN (1) CN1936402B (ko)
GB (1) GB24304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0259B2 (ja) * 2006-07-05 2011-02-0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US20100146883A1 (en) * 2008-12-17 2010-06-17 Benkel Friedrich K Muntin bar clip for foam spacer
DE112010002428T5 (de) * 2009-06-12 2012-08-23 Piolax Inc. Montageaufbau für einen Clip an einem montagefähigen Glied
US20120257924A1 (en) * 2011-04-06 2012-10-11 Jeffrey Andrews Molded attachment clip
CN106369032B (zh) * 2015-07-23 2019-04-16 特迈驰公司 载体上的紧固件夹具
JP2017077082A (ja) * 2015-10-14 2017-04-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ンドクリッ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0288099B2 (en) * 2015-12-0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ttachment feature for securing two parallel workpieces together
CN105655953A (zh) * 2016-01-15 2016-06-08 胡小青 一种电力楔形线夹
CN105552590A (zh) * 2016-01-15 2016-05-04 胡小青 改进型楔形线夹
CN105609973A (zh) * 2016-01-15 2016-05-25 胡小青 一种改进型楔形线夹
CN105680194A (zh) * 2016-01-15 2016-06-15 胡小青 一种改进型楔形电力线夹
CN105655949A (zh) * 2016-01-15 2016-06-08 胡小青 改进型楔形电力线夹
CN105610109A (zh) * 2016-01-15 2016-05-25 胡小青 楔形电力线夹
CN105742843A (zh) * 2016-01-15 2016-07-06 胡小青 一种楔形电力线夹
CN106099806A (zh) * 2016-05-02 2016-11-09 胡小青 一种新型楔形电力线夹
CN106058767A (zh) * 2016-05-02 2016-10-26 胡小青 一种高压楔形电力线夹
CN106099803A (zh) * 2016-05-02 2016-11-09 胡小青 楔形电力线夹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47Y2 (ja) * 1984-07-24 1994-05-02 北川工業株式会社 板材保持具
JPS62202510U (ko) * 1986-06-16 1987-12-24
DE9411165U1 (de) * 1994-07-09 1994-09-08 Panduit Gmbh Spreizanker
IT1267167B1 (it) * 1994-11-25 1997-01-28 Itw Fastex Italia Spa Elemento di fissaggio in platica, in particolare elemento fermapannello utilizzabile su veicoli
AU4249396A (en) * 1994-12-02 1996-06-19 Donnelly Corporation Mounting clip
US6042296A (en) * 1995-09-18 2000-03-28 Southco, Inc. Snap-in fastener for panels
US5758987A (en) * 1995-09-18 1998-06-02 Southco, Inc. Snap-in fastener for flush-mounted panels
JPH09308057A (ja) * 1996-05-15 1997-11-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クランプ
JPH10213113A (ja) * 1997-01-28 1998-08-11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JP2001245427A (ja) 2000-02-29 2001-09-07 Yazaki Corp ハーネス取付クリップ
KR20020003912A (ko) * 2000-06-24 2002-01-16 이계안 클립
US6581252B1 (en) * 2001-12-05 2003-06-24 Lacks Enterprises, Inc. Two-way snap-attach clip
GB0425096D0 (en) 2004-11-13 2004-12-15 Piolax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lips
US7549830B2 (en) 2005-04-15 2009-06-23 Illinois Tool Works Inc. Serviceable w-base fastener
US7401388B2 (en) * 2005-09-06 2008-07-22 Illinois Tool Works Inc. Rib clip
US7293824B2 (en) * 2005-09-13 2007-11-13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Visor attachment member
US7337505B1 (en) * 2007-03-13 2008-03-04 Illinois Tool Works Inc Panel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6402A (zh) 2007-03-28
GB2430465A (en) 2007-03-28
CN1936402B (zh) 2010-11-10
US20070065256A1 (en) 2007-03-22
KR101045919B1 (ko) 2011-07-01
JP2007085425A (ja) 2007-04-05
GB2430465B (en) 2010-05-12
GB0614761D0 (en) 2006-09-06
JP4625388B2 (ja) 2011-02-02
US7669295B2 (en)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919B1 (ko) 클립
US7401388B2 (en) Rib clip
JP5031904B2 (ja) 支持部材に取付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具、並びに該固定具を備えた固定装置
JP2007137424A (ja) 自動車の窓ガラスのためのワイパブレード
KR20060111378A (ko) 차량용 장척 트림재와 그 장착방법
JP2008035611A (ja) プロテクタ
JP2014177972A (ja) ジョイント構造
JP3010415B2 (ja) クリップ
JP4816959B2 (ja) フォグランプ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JP6076731B2 (ja) 樹脂爪構造
JP3022813B2 (ja) スナップ取付構造
JPH08334108A (ja) 内装部品の取付構造
JP2008068847A (ja) ルーフモール用キャップ及びその取付構造
JP2010168018A (ja) 内装部品のクッション材固定構造
JP3093082B2 (ja) 車両用部品取付クリップ
JP2007181363A (ja) 取付具
US20240025354A1 (en) Vehicle interior material
JP7480574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JP2012045961A (ja) 車両用のルーフモール及びその装着構造
JP3659559B2 (ja) 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JP4528169B2 (ja) クリップを用いた取付構造および取付用クリップ
JP6358174B2 (ja) 複合型クリップ
JP3715012B2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取付け構造
JPH0335643Y2 (ko)
JP2008032115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