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911A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911A
KR20070032911A KR1020060090360A KR20060090360A KR20070032911A KR 20070032911 A KR20070032911 A KR 20070032911A KR 1020060090360 A KR1020060090360 A KR 1020060090360A KR 20060090360 A KR20060090360 A KR 20060090360A KR 20070032911 A KR20070032911 A KR 20070032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hard disk
disk drive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히로 노나까
마사히로 오오우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4Reducing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e.g. temperature change, moisture, dust
    • G11B33/1493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or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shielding; grounding of 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9/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과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으로의 첩부에 의해, 정보 표시 기능을 발휘하고,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을 방지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은, 기재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정보 표시부 형성면과,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 라벨로서,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해당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전층은 금속박층 또는 금속 증착층이어도 되고, 도전성 점착제층은 금속 필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점착 라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도전성, 점착제

Description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PRESSURE-SENSITIVE ADHESIVE LABEL FOR HARD DISK DRIVE, AND HARD DISK DRIVE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BEL FOR HARD DISK DRIVE}
도 1은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시의 HDD용 점착 라벨을 점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HDD용 점착 라벨)
2:기재
3:정보 표시부 형성면
4:도전성 점착제층
5:도전층
6:박리 라이너
7:HDD용 점착 라벨
8a:알루미늄판
8b:알루미늄판
9a: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각 프로브
9b: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각 프로브
10a: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프로브(9a)의 선단을 붙이는 위치
10b: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프로브(9b)의 선단을 붙이는 위치
11:HDD용 점착 라벨
12: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12a:베이스
12b:구동 모터부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8-245932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2003-308016호 공보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공보 평4-17993호 공보
특허 문헌 4:일본 특허 공표 평4-503831호 공보
본 발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여 사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드디스크 드라이 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함으로써, 정보 표시 기능을 발휘함과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근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하는 기기(예를 들면, AV 기기, 소위 「MP-3 플레이어」 등)의 보급 대수와 함께, 그 생산 대수가 증대하고 있고, 더 한층의 소형화, 기록 밀도의 향상과 함께, 민생용 기기에 사용되는 점으로부터, 더 한층의 코스트 다운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통상, 자기 디스크, 자기 헤드, 구동 모터 등의 주요 부품이 케이스체 내에 수납되고, 그 케이스체 외부에 제어 기반이 부착된 구성을 갖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자기 테이프는 미약한 전류에서도 파괴되기 쉽다.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고용량화, 판독 고속화에 수반하여, 모터의 회전수의 고속화가 진행하고, 모터의 회전에 의한 마찰 정전기가 헤드 크래시를 일으키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그 때문에, 현상에서는, 구동 모터부와, 해당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하우징 본체)와의 사이에, 도전성의 접착제를 흘려 넣고, 모터로부터의 정전기를 베이스측에 도피시키고, 정전기에 의한 헤드 크래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전성의 접착제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또한, 베이스와 구동 모터부를 고정하는 용도의 접착제는, 별도 공정으로 도전성의 접착제가 흘러들어갈 필요가 있어, 공정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으로의 큰 과제 장해로 되어 있다.
한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정보 표시를 위해서,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점착 라벨(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의 점착은, 거의 필수로 되어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나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로서, 대전 방지 기능이 부여된 점착 테이프나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2 참조). 또한,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도전성 점착제)도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3∼4 참조).
그러나, 종래의 대전 방지 기능이 부여된 점착 테이프(대전 방지형 점착 테이프)나, 종래의 대전 방지 기능이 부여된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대전 방지형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은, 대전 방지형 점착 테이프 자신이나 대전 방지형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 자신의 대전 방지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대전 방지형 점착 테이프나 대전 방지형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을 점착하는 피착체 자신의 대전 방지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종래의 대전 방지형 점착 테이프나 대전 방지형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을 피착체에 점착하더라도, 피착체 자신의 대전을 방지할 수는 없다.
또한, 종래의 도전성 점착제를, 단순하게, 점착 테이프나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에 적용하여도, 피착체 자신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종래, 피착체에 점착함으로써, 정보 표시 기능을 발휘시키면서, 피착체 자신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종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 정보 표시용 점착 라벨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함으로써 정보 표시 기능을 발휘함과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로서, 특정의 층 구성을 가짐과 함께, 특정의 특성을 갖는 것을 이용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함으로써, 정보 표시 기능을 발휘함과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재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정보 표시부 형성면과,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 라벨로서,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해당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전층은, 금속박층 또는 금속 증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은, 금속 필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백색을 띠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로서는, 도전성 점착제층이, 실리콘계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은, 구동 모터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해당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 라벨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점착 라벨이 첩부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서, 점착 라벨로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은, 구동 모터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해당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점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 브용 점착 라벨(「HDD용 점착 라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 라벨로서,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재와, 기재의 편면(한쪽 면)에 형성된 정보 표시부 형성면과, 기재의 타면(다른 쪽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있고, 또한,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도전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해당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평면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전기 저항값은, 작을수록 도전성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서, 1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HDD용 점착 라벨), 2는 기재, 3은 정보 표시부 형성면, 4는 도전성 점착제층, 5는 도전층, 6은 박리 라이너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HDD용 점착 라벨(1)은, 기재(2)의 편면(배면)에 정보 표시부 형성면(3)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기재(2)의 타면에 도전층(5)을 통해 도전성 점착제층(4)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고, 또한,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4)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4)의 표면(점착면)은, 박리 라이너(6)에 의해 보호되어 있고, 해당 박리 라이너(6)는, HDD용 점착 라벨(1)의 사용시에 벗겨진다(즉, 도전성 점착제층(4)은, HDD용 점착 라벨(1)의 사용시까지 박리 라이너(6)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전성 점착제층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함으로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대전을 방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의 점착 라벨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정보를 표시시키는 기능만 발휘시킬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정보를 표시시키는 기능과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대전을 방지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을 이용함으로써, 종래는, 도전성 접착제와, 점착 라벨이라고 하는 2개의 부재에 의해 달성하였던 구성을, 동일한 부재(1개의 부재)로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란,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전기 저항값(Ω)이다.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 방법)
우선, HDD용 점착 라벨을, 폭:30㎜, 길이:50㎜의 사이즈로 재단하다. 피착체로서, 2매의 알루미늄판(폭:40㎜, 길이:35㎜, 두께:2.5㎜)을 준비한다. 온도:25℃, 습도:65%RH의 분위기 하에서, HDD용 점착 라벨을,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2매의 알루미늄판 사이를 다리로 연결한 형태로(알루미늄판 사이의 간격:20㎜), 각 알루미늄판에, 폭 방향에 평행한 한쪽의 단부로부터 15㎜의 길이로 맞붙이고, 핸드 롤러를 이용하여 5㎏ 이상의 힘을 가하여, 충분히 압착시킴으로써 점착한다. 압착 후, 즉시, 전기 저항값 측정기(장치명 「HIOKI3540 밀리옴 하이테스터」 히오키덴키(주) 제조)의 각 프로브의 선단을, 각각, 각 알루미늄판 상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길이 방향에 평행한 각 단부로부터 20㎜의 위치) 및 HDD용 점착 라벨이 점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폭 방향에 평행한 단부로부터 10㎜의 위치로 되는 위치에 붙이고(전극간 거리:70㎜), 그대로 10초간 정치시킨 후, 전기 저항값(Ω)을 판독한다.
또한, 전기 저항값 측정기(장치명 「HIOKI3540 밀리옴 하이테스터」 히오키덴키(주) 제조)의 측정시의 설정은, 오토 설정으로 한다. 이 오토 설정에서는, 인가 전압, 측정 전류는,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관계 또는 조건에 의한 설정으로 되어 있고, 측정 대상물(이 경우, HDD용 점착 라벨에 의해 다리로 연결된 2매의 알루미늄판)의 전기 저항값에 의해 자동적으로 측정 전류, 인가 전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측정 레인지 30(mΩ) 300(mΩ) 3(Ω) 30(Ω) 300(Ω) 3(㏀) 30(㏀)
측정 전류 100(㎃) 1(㎜A) 10(㎂)
최대 인가 전압 3.5(㎷) 35(㎷) 3.5(㎷) 35(㎷) 350(㎷) 35(㎷) 350(㎷)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에서는,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으로서는, 5Ω 이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HDD용 점착 라벨에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으로서는, 3Ω 이하(특히 1Ω 이하, 그 중에서도 0.5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을 초과하고 있으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을 방지할 수 없고,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크래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도 2는,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시의 HDD용 점착 라벨을 점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서, 7은 HDD용 점착 라벨, 8a, 8b는, 각각, 알루미늄판, 9a, 9b는, 각각, 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각 프로브, 10a는 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프로브(9a)의 선단을 붙이는 위치, 10b는 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프로브(9b)의 선단을 붙이는 위치이다. HDD용 점착 라벨(7)은, 폭:30㎜, 길이:50㎜의 사이즈이다. 알루미늄판(8a, 8b)은, 모두, 폭:40㎜, 길이:35㎜의 사이즈(두께:2.5㎜)이다. 알루미늄판(8a, 8b) 상에, 각각, 40㎜ 폭의 한쪽의 단부측에, HDD용 점착 라벨(7)이, 30㎜ 폭으로 또한 15㎜ 길이로, 알루미늄판(8a, 8b)의 40㎜ 폭의 중앙에 위치하는 형태로, 점착되어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판(8a, 8b)은, HDD용 점착 라벨(7)에 의해 다리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알루미늄판(8a, 8b) 사이의 간격은, 20㎜로 되어 있다.
또한, 전기 저항값을 측정할 때에는, 전기 저항값 측정기의 각 프로브(9a, 9b)의 선단을, 각각, 위치(10a), 위치(10b)에 붙여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10a, 10b)는, 각각, 각 알루미늄판(8a, 8b) 상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위치(즉, 길이 방향에 평행한 각 단부로부터 20㎜의 위치)임과 함께, HDD용 점착 라벨이 점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폭 방향에 평행한 단부로부터 10㎜의 위치인 위치로 되어 있다.
[기재]
HDD용 점착 라벨에서의 기재로서는, 한쪽 면에, 각종 방법에 의해 정보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플라스틱 기재, 비플라스틱 기재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플라스틱 기재와 비플라스틱 기재의 복합재이어도 된다. 플라스틱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시트;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시트;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시트,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필름 또는 시트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시트; 폴리스티렌 필름 또는 시트; 폴리아미드 필름 또는 시트; 폴리염화비닐 필름 또는 시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시트; 폴리아세트산비닐 필름 또는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시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필름 또는 시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또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기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재는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한편, 비플라스틱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제 기재(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동박, 은박, 금박 등), 지제 기재, 포제 기재, 섬유제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비플라스틱 기재를 구성하는 비플라스틱재는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기재로서는, 내구성, 사용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플라스틱 기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비용, 강도, 내구성, 안정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시트(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가 바람직하다.
기재로서는,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형성된 정보 표시부의 보기 편함 또는 시인성, 바코드 등의 판독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백색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가 백색을 띠고 있는 경우, 기재의 백색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 이상(그 중에서도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백색도는, JIS L1015에 준하여 측정된다.
기재를 백색으로 띠고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백색계 착색제를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 중에 반죽해 넣는 방법, 기재의 표면에 백색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표면에 백색층을 형성하는 경우, 통상, 기재에서의 정보 표시부 형성면측의 표면에 백색층이 형성되는데, 기재가 투명성이 높은 기재(예를 들면,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인 경우에는, 기재에서의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대하여 반대측 면측의 표면에 백색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백색을 띠고 있는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백색을 띠고 있는 플라스틱재(예를 들면,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 등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시트 등)에 의해 형성된 기재, 백색계 착색제(예를 들면, 산화티탄 등의 백색계 안료 등)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기재, 백색계 착색제를 함유하는 백색 잉크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백색층(백 인쇄층)을 표면에 갖는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연화제, 착색제, 충전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는, 단층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고, 적층된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의 표면에는, 공지 내지 관용의 표면 처리(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밑칠 처리 등)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양호한 강성을 유지하는 관점 등으로부터, 예를 들면, 10㎛ 이상(예를 들면, 1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00㎛이다.
[정보 표시부 형성면, 정보 표시부]
HDD용 점착 라벨은, 기재의 표면(배면)이 정보 표시부 형성면으로 되어 있고, 해당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는 정보 표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에서는, 기재의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형성되는 정보 표시부는, 미리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필요한 때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 표시부로 표시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사용상의 주의 사항」이나 「접속 방법」, 「제품명·제조자명 등의 인식·식별 사항」 등을 들 수 있다. 정보 표시부는, 공지의 인쇄 수단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 형성면은, 기재의 편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정보 표시부 형성면은, 기재의 편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형성되는 정보 표시부는,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정보 표시부는,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점착제층]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에서는, 기재의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대하여 반대측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도전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적어도 갖고 있다. 따라서, HDD용 점착 라벨은, 점착제층으로서, 필요에 따라, 점착면으로서 이용되지 않는 다른 점착제층(간단히 「다른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다른 점착제층은, 도전성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비도전성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점착제)
도전성 점착제층은,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도전성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 점착제층은,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점착제 조성물(비도전성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점착제 조성물이나 비도전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점착제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천연 고무계 점착제, 합성 고무계 점착제 등),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핫 멜트형 점착제이어도 된다. 점착제는, 에멀션계, 용제계, 올리고머계, 고계 등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의 점착제이어도 된다. 점착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이온성 불순물의 함유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점, 점착 설계의 용이성, 내구성 등의 면으로부터,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공지의 아크릴계 점착제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데, 탄소수 4∼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머(베이스 폴리머)로 구성되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탄소수 4∼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2-에틸헥실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운데실기, 라우릴기, 미리스틸기, 이소미리스틸기 등의 탄소수 4∼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소수 4∼14의 알킬기는, 물론,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알콕시카르보닐기에서의 알킬기이다.
아크릴계 점착제에서는,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대하여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 성분(공중합성 모노머)이 이용되어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에 대하여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 성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 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아미드계 모노머; (메타)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N, 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아미노알킬계 모노머;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모노머; 이소프렌, 부타디엔,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계 모노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염소 원자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성 모노머는 1종만 이용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는, 점착성 성분(베이스 폴리머) 등의 폴리머 성분 등 외에, 점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가교제, 점착 부여제, 연화제, 노화 방지제, 안료, 염료, 충전제, 가소제 등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전성 재료)
도전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용되고 있는 도전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지의 도전성 필러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전성 필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계 도전성 재료(금속 필러), 탄소계 도전성 재료, 수지계 도전성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필러는, 분말상, 섬유상, 입자상 등의 고형상의 형태이라면,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전성 필러 등의 도전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계 도전성 재료는, 금속 원소 단독이나 합금 등의 금속 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금속 원소와 함께 비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각종 금속계 화합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원소 단체로 이루어진 금속 재료에서의 금속 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등의 주기표 1족 원소;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의 주기표 2족 원소; 스칸듐, 이트륨, 란타노이드 원소(란탄, 세륨 등), 악티노이드 원소(악티늄 등) 등의 주기표 3족 원소;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주기표 4족 원소; 바나듐, 니오브, 탄탈 등의 주기표 5족 원소;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주기표 6족 원소; 망간, 테크네튬, 레늄 등의 주기표 7족 원소; 철, 루테늄, 오스뮴 등의 주기표 8족 원소; 코발트, 로듐, 이리듐 등의 주기표 9족 원소; 니켈, 팔라듐, 백금 등의 주기표 10족 원소; 구리, 은, 금 등의 주기표 11족 원소; 아연, 카드뮴, 수은 등의 주기표 12족 원소; 알루미늄, 갈륨, 인듐, 탈륨 등의 주기표 13족 원소; 주석, 납 등의 주기표 14족 원소; 안티몬, 비스무트 등의 주기표 15족 원소를 들 수 있다. 한편,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구리-니켈 합금, 진유, 니켈-크롬 합금, 철-니켈 합금, 아연-니켈 합금, 금-구리 합금, 주석-납 합금, 은-주석-납 합금, 니켈-크롬-철 합금, 구리-망간-니켈 합금, 니켈-망간-철 합금, 땜납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원소 단체나 합금 등의 금속 원소만으로 이루어진 합금 재료로서는, 구리, 금, 은, 니켈, 알루미늄, 철, 크롬, 티탄, 코발트, 몰리브덴, 백금, 텅스텐, 탄탈, 니오브, 팔라듐, 스테인리스, 땜납 합금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원소와 함께 비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각종 금속계 화합물로서는, 상기에 예시한 금속 원소나 함금을 포함하는 도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계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티탄, 산화철, 산화주석, 산화카드뮴주석 등의 금속 산화물; 황화동 등의 금속 황화물이나 금속 복합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탄소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성 탄소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천연 그래파이트, 인조 그래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계 도전성 재료는,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피롤계 도전성 폴리머, 폴리아닐린계 도전성 폴리머, 폴리아세틸렌계 도전성 폴리머, 폴리티오펜계 도전성 폴리머, 폴리페닐렌비닐렌계 도전성 폴리머, 폴리아센계 도전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재료로서는, 금속계 도전성 재료, 탄소계 도전성 재료나 수지계 도전성 재료 등의 도전성 재료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금속 재료, 금속계 화합물, 도전성 탄소 재료, 도전성 폴리머 등)에 의해 피복된 입자나 섬유이어도 된다.
도전성 재료로서는, 도전성의 관점 등으로부터, 금속계 도전성 재료, 탄소계 도전성 재료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계 도전성 재료이고, 특히, 금속 원소 단체나 합금 등의 금속 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된 금속계 도전성 재료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도전성 점착제층은, 금속계 도전성 재료(금속 필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금속 원소 단체나 합금 등의 금속 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된 금속계 도전성 재료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재료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도전성 등에 부합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40중량부(바람직하게는 3∼3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35중량부)이다. 도전성 재료의 비율이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보다 적으면, HDD용 점착 라벨의 도전성이 저하하고, 한편, 40중량부보다 많으면, 도전성 점착제층에 의한 점착성이 저하한다.
점착제층(도전성 점착제층, 다른 점착제층)은, 공지의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성 점착제층은, 점착제, 도전성 재료, 및 필요에 따라 용매나 그 외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정의 면 위에 도포하는 방법(도포법), 적당한 세퍼레이터(박리지 등) 상에 상기 혼합물을 도포하여 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소정의 면 상에 전사(이착)하는 방법(전사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점착제층은, 단층의 형태, 다층의 형태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다른 점착제층을 갖고 있는 경우, 해당 다른 점착제층은, 단층의 형태, 다층의 형태 중 어느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전성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 성능을 발휘시키는 관점으로부터는, 10㎛ 이상(바람직하게는 15∼100㎛)이다. 도전성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충분한 점착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도전 성능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른 점착제층을 갖고 있는 경우, 다른 점착제층의 두께는,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의 두께와 마찬가지로, 점착 성능을 발휘시키는 관점으로부터, 10㎛ 이상(바람직하게는 1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층]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에서는,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금속박층, 금속 증착층, 도전재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전층으로서는, 도전성의 관점 등으로부터, 금속박층, 금속 증착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박층이나 상기 금속 증착층은, 통상, 금속 원소 단체나 합금 등의 금속 원소만으로 이루어진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금속박층이나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재료에서의 금속 원소(금속 원소 단체나, 합금 등)로서는,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의 항에서, 금속계 도전성 재료에 관한 금속 원소(금속 원소 단체나, 합금 등)로서 예시되어 있는 것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금속박층이나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금속 재료로서는, 구리, 금, 은, 니켈, 알루미늄, 철, 크롬, 티탄, 코발트, 몰리브덴, 백금, 텅스텐, 탄탈, 니오브, 팔라듐, 스테인리스, 땜납 합금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금속박층으로서는, 알루미늄박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재층은, 도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전재는, 통상, 도전성 필러가 바인더 성분 중에 분산된 형태를 갖고 있다. 도전재 중에 함유되어 있는 도전성 필러로서는,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의 항에서 예시되어 있는 도전성 필러(금속계 도전성 재료, 탄소계 도전성 재료, 수지계 도전성 재료 등)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바인더 성분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전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도전층의 종류 등에 따라, 공지의 방법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층이 금속박층인 경우, 접착제나 점착제를 이용한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면 상에 금속박을 적층시킴으로써, 금속박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전층이 금속 증착층인 경우, 증착법에 의해, 소정의 면 상에 금속 재료를 증착시킴으로써, 금속 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이 도전 재료인 경우, 소정의 면 상에 도전재를 도포함으로써, 도전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을 소정의 면 상에 적층시킬 때에 이용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서는, 도전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HDD용 점착 라벨의 도전성을 높이는 관점으로부터는, 도전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박을 소정의 면 상에 적층시킬 때에 이용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서는, 도전성을 갖는 접착제, 또는,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은, 도전성 점착제층 중에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HDD용 점착 라벨은, 기재 상에, 도전층을 내부에 갖는 도전성 점착제층 [도전성 점착제층/도전층(금속박층 등)/도전성 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 도전성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전층은, 단층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층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전층의 종류나, 도전층 중의 도전 성분(금속 재료나, 도전성 필러 등)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전층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100㎚(0.1㎛)∼100㎛(바람직하게는 0.1∼50㎛, 더 바람직하게는 1∼35㎛)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에서는,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을 사용시까지 보호하기 위한 박리 라이너가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공지 내지 관용의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라이너로서는, 예를 들면, 그 자체가 박리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 선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 외에,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필름; 테프론(등록 상표)제 필름 등]에 의한 박리 라이너나, 각종 지지체(기재)의 편면에, 상기 박리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의 소재에 의한 박리층을 형성한 구성의 박리 라이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종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외에, 금속 증착 플라스틱 필름; 일본 종이, 서양 종이, 글라싱 페이퍼 등의 종이류; 부직포, 천 등의 섬유질 재료에 의한 기재;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편면에 형성되는 박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한 폴리올레핀계 필름; 테프론(등록 상표)제 필름을, 상기 지지체 상에, 라미네이트 또는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로서는, 박리 처리제로 이루어진 박리 처리제층이 박리 라이너용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박리 라이너를 이용할 수도 있다.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불소계 폴리머(불소계 박리제),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머(장쇄 알킬계 박리제), 실리콘 폴리머(실리콘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라이너용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금속 증착 플라스틱 필름; 일본 종이, 서양 종이, 글라싱 페이퍼 등의 종이류; 부직포, 천 등의 섬유질 재료에 의한 기재;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펀칭 가공성이나, 점착 라벨 가공시의 장력에 대한 변형이 적은 등의 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지지체로 하고, 이 지지체의 편면에 박리층(또는 박리 처리제층)을 형성한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전체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30∼200㎛ 정도이다.
박리 라이너로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정밀 전자 기기에서의 실리콘 성분에 기초한 접점 장해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점착제층 표면에 전사(이행)하는 실리콘 성분량이 적은 박리 라이너, 또한, 나아가서는, 박리제로서 실리콘계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박리 라이너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박리제로서 실리콘계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박리 라이너로서는, 불소계 박리제나 장쇄 알킬계 박리제 등의 실리콘계 박리제 이외의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제층을 기재 표면에 형성한 박리 라이너,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필름 등의 그 자체가 박리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30∼200㎛ 정도이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가 30㎛ 미만이면, 하프 컷 등의 가공이 어려워지고, 한편, 200㎛를 초과하면, 핸들링성이 저하한다.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을 보호하고 있는 박리 라이너는, HDD용 점착 라벨을 사용할 때에 벗겨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은, 기재와, 정보 표시부 형성면과,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형성된 도전층을 갖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특성을 갖고 있으면, 본 발명의 작용이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HDD용 점착 라벨의 점착면으로서 이용되지 않는 점착제층(도전성 점착제층, 비도전성 점착제층) 외에, 기재 상에 형성되는 밑칠층, 정보 표시부 형성면 상에 형성되는 오버 코트층(또는 톱 코트층) 등을 들 수 있다.
HDD용 점착 라벨은, 기재의 한쪽 면을 정보 표시부 형성면으로 하고, 기재의 도전성 점착제층 형성면측의 면(즉,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대하여 반대측 면)에, 도전층, 도전성 점착제층을, 이 순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미리 정보 표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재의 정보 표시부 형성면측의 면에 정보 표시부를 형성하고, 기재의 도전성 점착제층 형성면측의 면에, 도전층, 도전성 점착제층을, 이 순으로 형성함으로써, HDD용 점착 라벨을 제작할 수 있다. 정보 표시부의 형성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인쇄 방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의 형성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나 점착제를 이용한 라미네이트법(특히,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법), 증착법, 도포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형성시에는, 도포법이나 전사법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HDD용 점착 라벨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여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HDD용 점착 라벨을 첩부함으로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점착 라벨로서의 각종 정보 표시 기능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대전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HDD용 점착 라벨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모터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해당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하우징 본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여 이용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시에, 구동 모터부의 모터 회전에 의해, 마찰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HDD용 점착 라벨이 상기 마찰 정전기를 베이스에 효과적으로 도피시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크래시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점착 라벨에 의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 방지를 행할 수 있고, 특히, 구동 모터부의 모터 회전에 의해 마찰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헤드 크래시의 방지를 행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점착 라벨이 첩부되어 있고, 해당 점착 라벨로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즉, 한쪽 면이 정보 표시부 형성면으로 되어 있는 기재와, 기재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고 또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형성된 도전층을 갖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특성을 갖고 있는 HDD용 점착 라벨)이 이용되고 있고,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로서는, 통상,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정보 표시부가 형성된 형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즉, 기재와, 기재의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형성된 정보 표시부와, 기재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고 또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형성된 도전층을 갖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특성을 갖고 있는 HDD용 점착 라벨)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될 때에는,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정보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정보 표시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첩부된 후에, 정보 표시부 형성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즉, 기록 디스크, 자기 헤드, 구동 모터 등이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체)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HDD용 점착 라벨이 첩부되어 있으면 되는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록 디스크, 자기 헤드, 구동 모터 등이 수용되어 있는 케이스체의 외면에서, 구동 모터부의 외면 중 적어도 베이스측 부근의 부분과, 해당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의 외면 중 적어도 구동 모터부측 부근의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에, HDD용 점착 라벨이 첩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서, 11은 HDD용 점착 라벨, 1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12a는 베이스, 12b는 구동 모터부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12)는, 구동 모터부(12b)가 베이스(12a)에 부착되어 고정된 형태를 갖고 있고, 케이스체(12)의 한쪽 측의 외면은, 구동 모터부(12b)의 외면과, 베이스(12a)의 외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HDD용 점착 라벨(11)은, 구동 모터부(12b)의 외면의 형상(대략 원형상)보다 큰 형상(대략 원형상)을 갖고 있고, 구동 모터부(12b)의 외면 전체와, 베이스(12a)의 외면 중 구동 모터부(12b) 부근의 외면을 포함하는 부분에 첩부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부(12b)의 외면과, 베이스(12a)의 외면은, HDD용 점착 라벨(11)에 의해, 다리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고, 구동 모터부(12b)의 외면 및 베이스(12a)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도전성 점착제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의 기재측의 면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도전층에 의해, 구동 모터부(12b)의 외면으로부터 베이스(12a)의 외면에 도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동 모터부(12b)의 모터 회전에 의해, 구동 모터부(12b)에 마찰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마찰 정전기는, HDD용 점착 라벨(11)을 통해 베이스(12a)에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의 제조예 1)
아크릴산:2중량부, 아크릴산부틸:100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200중량부를, 삼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시킨 후, 과산화벤조일:0.1중량부를 첨가하고, 80℃로 승온시켜,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만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응액에, 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100중량부에 대하여, 도전성 필러로서의 니켈계 도전성 필러(니켈 입자;평균 입경:3㎛)를 3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시켰다. 그 후, 추가로,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트계 가교제(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고교사 제조)를, 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전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도전성 점착제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조제하였다.
(점착제의 제조예 2)
도전성 필러로서, 니켈계 도전성 필러 대신에, 탄소계 도전성 필러(카본 필러, 상품명 「#376M」 미쿠니시키소사 제조)를, 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100중량부에 대하여 30중량부의 비율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의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전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도전성 점착제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조제하였다.
(점착제의 제조예 3)
카본 함유 점착제(상품명 「535D」 소켄카가쿠사 제조)에, 점착제의 고형분:100중량부에 대하여, 도전성 필러로서의 니켈계 도전성 필러(니켈 입자;평균 입경:3㎛)를 1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도전성을 갖는 점착제(「도전성 점착제 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조제하였다.
(점착제의 제조예 4)
아크릴산:7중량부, 아크릴산부틸:100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200중량부를, 삼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시킨 후, 과산화벤조일:0.1중량부를 첨가하고, 80℃로 승온시켜, 6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만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응액에,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콜로네이트 L」 닛폰폴리우레탄고교사 제조)를, 아크릴계 폴리머의 고형분: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비도전성 점착제 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점착 라벨용 기재로서의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25㎛)의 한쪽 면에, 알루미늄박(두께:7㎛;스미케이알루미늄박(주) 제조)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법에 의해 적층시켜서, 도전층을 형성시켰다. 그 후, 상기 도전층 상에, (점착제의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도전성 점착제 A를, 도포하고, 건조 내지 경화시켜서, 도전성 점착제층(두께:25㎛)을 형성시켰다. 또한, 박리 라이너로서, 상품명 「MRF38」(미츠비스카가쿠사 제조;「박리 라이너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이용하고, 해당 박리 라이너 A를,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 A의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제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맞붙여서, 점착 라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점착 라벨용 기재로서의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25㎛)의 한쪽 면에, 알루미늄 증착막(두께:50㎚)을, 금속 증착법에 의해 형성시켜서, 도전층을 형성시켰다. 그 후, 상기 도전층 상에, (점착제의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도전성 점착제 A를, 도포하고, 건조 내지 경화시켜서, 도전성 점착제층(두께:25㎛)을 형성시켰다. 추가로, 박리 라이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50㎛)의 한쪽 면 상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에 의해 적층된 구성을 갖고 있는 박리 라이너(박리층:저밀도 폴리에틸렌층, 지지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라이너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하고, 해당 박리 라이너 B를,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 B의 박리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맞붙여서, 점착 라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도전성 점착제로서, 도전성 점착제 A 대신에, (점착제의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도전성 점착제 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라벨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도전성 점착제로서, 도전성 점착제 A 대신에, (점착제의 제조예 3)에 의해 얻어진 도전성 점착제 C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라벨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점착 라벨용 기재로서의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25㎛)의 한쪽 면 상에, (점착제의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도전성 점착제 A를, 도포하고, 건조 내지 경화시켜서, 도전성 점착제층(두께:25㎛)을 형성시켰다. 추가로, 박리 라이너로서, 박리 라이너 A(상품명 「MRF38」 미츠비스카가쿠사 제조)를 이용하고, 해당 박리 라이너 A를,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 A의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제층과, 도전성 점착제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맞붙여서, 점착 라벨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점착 라벨용 기재로서의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25㎛)의 한쪽 면에, 알루미늄박(두께:7㎛;스미케이알루미늄박(주) 제조)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법에 의해 적층시켜서, 도전층을 형성시켰다. 그 후, 상기 도전층 상에 (점착제의 제조예 4)에 의해 얻어진 비도전성 점착제 D를, 도포하고, 건조 내지 경화시켜서, 점착제층(두께:25㎛;비도전성 점착제층)을 형성시켰다. 추가로, 박리 라이너로서, 박리 라이너 A(상품명 「MRF38」 미츠비스카가쿠사 제조)를 이용하고, 해당 박리 라이너 A를,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에, 박리 라이너 A의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제층과, 점착제층이 접촉하는 형태로, 맞붙여서, 점착 라벨을 제작하였다.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도전성의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에 관한 점착 라벨에 대하여, 하기의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 방법)에 의해,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하고, 점착 라벨의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도전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측정된 전기 저항값은, 표 2에 나타냈다.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의 측정 방법)
점착 라벨을, 폭:30㎜, 길이:50㎜로 재단하고, 25℃, 65%RH의 분위기 하에서, 2매의 알루미늄판(폭:40㎜, 길이:35㎜, 두께:2.5㎜)에,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형태로 맞붙인다. 맞붙일 때에는, 핸드 롤러를 이용하여 5㎏ 이상의 힘을 가하여, 충분히 압착시킨다. 압착 후, 즉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 저항값 측정기(장치명 「HIOKI3540 밀리옴 하이테스터」 히오키덴키(주) 제조)의 각 프로브의 선단을 각 알루미늄판 상에 붙이고, 10초 후의 전기 저항값(Ω)을 판독한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전기 저항값(Ω) 0.1 3 5 0.1 측정 불가(30㏀ 이상)
표 2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 관한 점착 라벨은,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로 되어 있고,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도전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1∼2에 관한 점착 라벨은,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측정 불가(30㏀ 이상)로 되어 있고, 점착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도전성이 매우 낮아져 있다.
본 발명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점착함으로써, 정보 표시 기능을 발휘함과 함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대전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기재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정보 표시부 형성면과, 기재의 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 라벨로서, 점착제층으로서 표면이 점착면으로서 이용되는 도전성 점착제층을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도전성 점착제층에서의 기재측의 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도전성 점착제층의 표면의 2차원 방향에서의 전기 저항값이 5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도전층이, 금속박층 또는 금속 증착층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3.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점착제층이, 금속 필러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4. 제1항에 있어서,
    기재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5. 제1항에 있어서,
    기재가, 백색을 띠고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6. 제1항에 있어서,
    도전성 점착제층이, 실리콘계 박리제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박리 라이너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7.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모터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 라벨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8.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점착 라벨이 첩부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서, 점착 라벨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9. 제8항에 있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구동 모터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구동 모터부가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케이스체 외면에 첩부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60090360A 2005-09-20 2006-09-19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200700329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1365 2005-09-20
JP2005271365A JP2007087438A (ja) 2005-09-20 2005-09-20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および該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が用いられた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11A true KR20070032911A (ko) 2007-03-23

Family

ID=3768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360A KR20070032911A (ko) 2005-09-20 2006-09-19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65620A1 (ko)
EP (1) EP1775119A3 (ko)
JP (1) JP2007087438A (ko)
KR (1) KR20070032911A (ko)
CN (1) CN100552747C (ko)
SG (1) SG131066A1 (ko)
TW (1) TW200720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748A (zh) * 2016-08-15 2019-12-13 南通立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固化型耐热全息防伪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6692A (ja) * 2005-05-24 2007-01-11 Nippon Densan Corp 記録ディスク駆動用スピンドルモータを備えた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US8021732B2 (en) * 2006-11-03 2011-09-20 Skinit, Inc. Fishing lures and adhesive covers for same
CA2668202A1 (en) * 2006-11-03 2008-05-15 Skinit, Inc. Order fulfillment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8110268B2 (en) * 2006-11-03 2012-02-07 Skinit, Inc. Adhesive cover for consumer devices
US8613992B2 (en) * 2007-02-16 2013-12-24 Fu Yi Hsu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8029644B2 (en) * 2007-11-15 2011-10-04 The Beoing Company Controlled temperature scrap removal for tape process
US20110143134A1 (en) * 2008-08-19 2011-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materials
JP5314999B2 (ja) * 2008-10-23 2013-10-16 アキレス株式会社 導電性粘着剤の製造方法、導電性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剥離シート付き導電性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0080567A2 (en) 2008-12-19 2010-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articles
AU2010228419B2 (en) * 2009-03-24 2012-11-08 Lintec Corporation Package material for adhesive bandage and packaged adhesive bandage
CN102782070B (zh) * 2010-03-03 2014-07-09 日东电工株式会社 导电性粘合带
JP2012007093A (ja) * 2010-06-25 2012-01-12 Nitto Denko Corp 導電性粘着テープ
US9815318B1 (en) * 2014-03-10 2017-11-14 Joseph Steimann Method of creating weathering effects on models
JP2017014458A (ja) * 2015-07-06 2017-01-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用導電性粘着テープ
JP2017132874A (ja) * 2016-01-27 2017-08-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貼付用アースラベル
JP6888010B2 (ja) * 2016-07-28 2021-06-16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付補強用フィルム
JP6882491B2 (ja) * 2017-01-20 2021-06-02 アベリー・デニソン・コーポレイションAvery Dennison Corporation 静電気放電ポリイミドラベル
WO2018218500A1 (en) * 2017-05-31 2018-12-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bel
CN110211483B (zh) * 2019-05-24 2021-05-28 深圳昌茂粘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打印面胶双抗静电标签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1091801A (ja) * 2019-12-11 2021-06-17 Dic株式会社 導電性粘着シート
KR20210121799A (ko) * 2020-03-31 2021-10-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도전성 필름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097B2 (ja) * 2000-04-04 2006-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及び該粘着ラベルを使用した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駆動時発生音低減方法
JP2001323228A (ja) * 2000-05-15 2001-11-22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CN1214391C (zh) * 2001-04-23 2005-08-10 日东电工株式会社 用于硬盘驱动器的压敏粘性标签
JP2003308016A (ja) * 2002-04-16 2003-10-31 Nitto Denko Corp 表示用粘着ラベル
JP2004117700A (ja) * 2002-09-25 2004-04-15 Nitto Denko Corp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粘着ラベル
US6903893B2 (en) * 2002-11-27 2005-06-07 Riospring, Inc. Energy storage for use in emergency head retraction in disk drives
US7081288B2 (en) * 2003-07-24 2006-07-25 Brady Worldwide, Inc. Tamper-evident, heat resistant cast label sto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0748A (zh) * 2016-08-15 2019-12-13 南通立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固化型耐热全息防伪膜
CN110570750A (zh) * 2016-08-15 2019-12-13 南通立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热固化型耐热全息防伪膜
CN110570748B (zh) * 2016-08-15 2021-03-05 南通立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光固化型耐热全息防伪膜
CN110570750B (zh) * 2016-08-15 2021-03-05 南通立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热固化型耐热全息防伪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5119A2 (en) 2007-04-18
JP2007087438A (ja) 2007-04-05
CN1937009A (zh) 2007-03-28
US20070065620A1 (en) 2007-03-22
CN100552747C (zh) 2009-10-21
SG131066A1 (en) 2007-04-26
EP1775119A3 (en) 2007-05-23
TW200720395A (en) 200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2911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점착 라벨 및 해당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점착 라벨이 이용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JP5795472B2 (ja) 導電膜貼付用粘着剤及び導電膜貼付用粘着シート
JP6124905B2 (ja) 不織布接着剤テープ及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物品
JP5396073B2 (ja) 導電性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50650A (ja)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KR20130024775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터치패널용 적층체
JP6677644B2 (ja) 両面粘着テープ
KR10203494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WO2010110094A1 (ja) 接着材リール
JP2019527283A (ja) 伸縮性導電性接着テープ
JPH11166170A (ja) 静電気散逸ラベル
TWI507496B (zh) 黏著劑及使用其之黏著片之用途、以及觸控面板用構件
JP3992360B2 (ja) 導電性接着テープ
JP3420809B2 (ja) 導電性粒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異方導電接着剤
JP2002038111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貼着体
US20080026215A1 (en) Print-receptive electrostatic dissipating label
WO2017104665A1 (ja) 導電性粘着テープ
JP2007323100A (ja) 非接触通信媒体のアンテナの端子部の形成方法およびアンテナ形成用の金属蒸着層転写シート
KR102306299B1 (ko) 도전성 점착제 조성물 및 도전성 점착 테이프
KR20130027481A (ko) 도전성 점착 테이프
JP2001341239A (ja) 帯電防止フィルム及び該帯電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用剥離フィルム並びに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20045550A1 (ja) シート状発熱体および発熱装置
CN216550231U (zh) 一种胶带
JP2012079927A (ja) 半田付け可能な導電性構造物
JP2008297398A (ja) 導電性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