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236A -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236A
KR20070028236A KR1020060084967A KR20060084967A KR20070028236A KR 20070028236 A KR20070028236 A KR 20070028236A KR 1020060084967 A KR1020060084967 A KR 1020060084967A KR 20060084967 A KR20060084967 A KR 20060084967A KR 20070028236 A KR20070028236 A KR 2007002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reel
braking
main body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174B1 (ko
Inventor
케이고 키타지마
히로카즈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02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낚시꾼이 제동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제동 부재(65)는, 본체 부재(65e)와, 장착 홈(2f)과 본체 부재(65e)의 사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개장(介裝)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장착 홈(2f)에 형성된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를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의 내주(內周) 측에 접촉하도록 착탈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피닝 릴, 로터 제동 장치, 본체 부재, 장착 홈, 오목부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좌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좌측면 단면도.
도 3은 제1 로터 암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제1 로터 암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제1 돌출 부재만을 장착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릴 보디의 정면도.
도 6은 상기 베일 반전 기구를 도시하는 상기 릴 보디의 저면 부분도.
도 7은 제1 베일 지지 부재의 부품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베일 암의 요동 시의 규제 상태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상기 제1 돌출 부재만을 장착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제동 부재 주변의 측면 단면 확대도.
도 11은 상기 제1 돌출 부재 및 제2 돌출 부재를 모두 장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2는 상기 제1 돌출 부재 및 상기 제2 돌출 부재를 모두 장착하고 있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
도 13은 상기 제1 돌출 부재 및 상기 제2 돌출 부재 2개를 장착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
도 17은 다른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
도 18은 다른 실시예의 도 12에 상당하는 도면.
도 19는 제2 실시예의 도 1에 상당하는 도면.
도 20은 제2 실시예의 릴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제2 실시예의 스풀 및 로터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22는 제2 실시예의 도 21의 XXII 단면도.
도 23은 제2 실시예의 도 21의 XXIII 단면도.
도 24는 제2 실시예의 제동 부재의 사시도.
도 25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502 : 릴 본체 2a, 502a : 릴 보디
2b, 502b : 덮개 부재 2c, 502c : 장대 장착 다리
2d, 502d : 플랜지부 2e, 502e : 원통부
2f, 502f : 장착 홈 2g, 302g, 402g : 제1 오목부
2h : 제2 오목부 2i : 간극
3 : 로터 17 : 베일 암
50 : 토글 용수철 기구 51 : 이동 부재
54, 254, 454, 554 : 로터 제동 장치 65, 165, 265, 565 : 제동 부재
65a : 제1 개장 부재 65b : 제2 개장 부재
65c, 165c, 265c, 565c : 마찰부 65d, 565d : 계합부
65e : 본체 부재 65f : 테이퍼부
81 : 제1 돌출 부재 81a : 선단부
381b : 수나사부 82 : 제2 돌출 부재
483 : 압압 부재 302j : 암나사부
본 발명은, 로터 제동 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의 로터에는, 낚싯줄을 스풀로 안내하기 위한 베일 암이 설치되어 있다. 베일 암은, 낚싯줄을 감을 때에 낚싯줄을 스풀 외주(外周)로 유도하는 줄 감기 자세와, 스풀로부터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줄 감기 자세로부터 넘어간 줄 개방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베일 암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는 것과 함께, 로터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하여, 로터에는 베일 반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베일 반전 장치는, 베일 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에 선단(先端)이 계지(係止)되고, 로터에 장착된 토글(toggle) 용수철과, 베일 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에 선단이 계지되고, 기단(基端)이 릴 본체를 향하여 전후 이동하는 봉상(棒狀)의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에 접촉하도록 릴 본체에 설치된 전환 돌기를 가지고 있다. 토글 용수철은, 베일 암을 2개의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고, 베일 암을 2개의 자세로 유지한다. 이동 부재는, 줄 개방 자세로 베일 암이 요동하면, 전환 돌기에 접촉하는 위치로 후퇴한다. 그리고 로터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환 돌기에 접촉하여 전진하고, 이 전진에 의하여 토글 용수철이 수축하며, 토글 용수철에 의하여 베일 암이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온다.
회전 전달 효율을 높인 스피닝 릴에서는 줄 감기 방향으로 간단하게 회전하기 쉽다. 로터가 회전하면, 캐스팅(casting)이나 서밍(thumbing)의 각각에 적합한 회전 위상으로 로터를 회전시켜도 회전 위상이 쉽게 벗어나는 일이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줄 개방 자세에서의 로터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릴 본체에 접촉하여 로터를 제동하는 제동 부재가 이동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부재는, 이동 부재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면, 릴 본체의 전면(前面)에 접촉하고 압축되어 로터를 제동한다. 이와 같이 베일 반전 시에 로터를 탄성적으로 제동하면, 로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필요에 따라 로터의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이동 부재에 장착된 제동 부재가 릴 본체에 접촉하여 압축되는 것에 의하여 로터를 제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작 오차나 장착 오차 등에 의하여 이동 부재의 접촉 위치가 전후로 변동하면, 제동 부재의 압축량이 변동한다. 압축량이 변동하면, 로터의 제동력이 변동하고, 로터를 안정되게 제동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탄성 수지제의 환상(環狀)의 제동 부재를 릴 본체에 장착하는 것과 함께, 이동 부재를 제동 부재의 압압(押壓)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동 부재의 단부로부터 외측면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동 부재에 접촉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이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일부분에서만 제동하게 되기 때문에, 제동력에 격차가 생겨, 제동력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제동력이 불안정하게 되면, 항상 소정의 제동력이 발휘되지 않아,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생긴다.
그래서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係合)하는 탄성 수지제의 환상의 마찰부와, 이동 부재의 돌출 부분이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를 가지는 제동 부재를 설치하고, 이동 부재의 돌출 부분이 계합부에 계합할 때 마찰부를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임)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이러한 종류의 제동 부재는, 예를 들어 대략 반원형상(半圓形狀)의 2개의 부재에 의하여 구성된 탄성 수지제의 환상 부재이고, 마찰부가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하도록, 예를 들어 릴 본체의 전단부(前端部) 외주에 형성된 장착 홈에 마 찰부의 모든 내주면(內周面)이 접촉하도록 측부 외주에 형성된 환상 홈에 장착된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압접(壓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마찰부의 전체 부분에 의하여 균등하게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483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8976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41144호 공보
상기 종래의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하는 로터 제동 장치에서는, 마찰부의 전체 부분에 의하여 균등하게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찰부의 제동력은, 탄성 수지의 종류나 용수철 부재의 압접력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종래의 구성에서는, 로터 제동 장치를 조립할 때에 미리 탄성 수지의 종류나 용수철 부재의 압접력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동력을 변경하려면 구성 부품을 통째로 교환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이고, 이동 부재와 제동 부재와 마찰력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 부재는, 베일 암에 연동하여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로터에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는, 릴 본체의 전단부 외주에 장착되는 환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주 측에 형성되고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하는 마찰부와, 본체부의 외주 측에 형성되고 제2 위치로 이동한 이동 부재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를 가지고 있다. 제동 부재는, 이동 부재가 계합부에 계합하였을 때, 마찰부를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시키는 부재이다. 마찰력 변경 수단은, 릴 본체와 제동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마찰부가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하였을 때에 생기는 마찰력의 크기를 변경하는 수단이다.
이 로터 제동 장치에서는, 릴 본체와 제동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마찰부가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할 때에 생기는 마찰력의 크기를 변경하는 마찰력 변경 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제동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구성 부품을 통째로 교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환상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마찰부가 릴 본체에 압접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제동 부재의 착탈(着脫)이 용이해지는 것과 함께,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대략 반원형상의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본체부의 외주 측에 형성된 환상 홈에 장착되는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마찰부가 릴 본체에 압접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제동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홈부에 용수철 부재를 삽입하여 제동 부재를 릴 본체에 압접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마찰력 변경 수단은, 릴 본체와 제동 부재와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마찰부를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시켰을 때에 생기는 마찰력의 크기를 변경한다. 이 경우, 제동 부재의 릴 본체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4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마찰력 변경 수단은, 릴 본체의 전단부 외주에 오목하게 패여 형성된 오목부와, 오목부에 선단부(先端部)가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고 선단부가 제동 부재의 내주 측에 접촉하여 마찰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시켰을 때에 생기는 마찰력을 변경하는 돌출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돌출량이 다른 돌출 부재를 교환하거나, 혹은 돌출 부재를 착탈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5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돌출 부재는 오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제조업자뿐만이 아니라, 릴을 사용하는 낚시꾼이 돌출 부재의 착탈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꾼이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5 또는 6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돌출 부재는, 오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감합(嵌合) 가능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나사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돌출 부재의 돌출량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5 또는 6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마찰력 변경 수단은, 돌출 부재를 제동 부재의 내주 측으로 압압하는 압압 부재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선단부가 돌출 부재의 기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오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감합 가능한 수나사부를 가지는 나사 부재이며,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나사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압압 부재가 돌출 부재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돌출 부재의 돌출량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5 내지 8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마찰력 변경 수단은, 릴 본체의 전단부 외주의 복수 개소에 오목하게 패여 형성되고, 복수의 돌출 부재가 장착 가능한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동 부재의 압접력을 한층 더 세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5 내지 9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마찰력 변경 수단은, 선단부의 오목부로부터의 돌출량이 다른 복수의 돌출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돌출 부재의 돌출량에 따라 제동 부재의 압접력을 변경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 내지 10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릴 본체와 본체부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략 원통상(圓筒狀)의 마찰 저항이 작은 합성 수지제의 개장(介裝) 부재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본체부를 마찰 저항이 큰 우레탄(urethane)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하였을 때, 마찰 저항이 큰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에 비하여 마찰 저항이 작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POM, ployacetal)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개장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적절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1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개장 부재는, 대략 반원통상의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개장 부재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발명 13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 내지 12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는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stainless)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이동 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14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 내지 13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릴 본체를 향하여 일부가 돌출하고, 제동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이동 부재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계합부와의 계합이 간단해진다.
발명 15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 내지 14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이동 부재는, 선단이 베일 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을 향하여 요동 축심을 따르도록 굴곡하여 베일 암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되고, 후단(後端)이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하여 굴곡하여 로터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계지되며, 그 사이가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배치된 봉상 부재이다. 이 경우, 베일 암의 요동 운동을 이동 부재의 돌출 부분의 전후 직선 운동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다.
발명 16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2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는, 본체부가 탄성체제의 환상 부재이고, 복수의 계합부를 상기 이동 부재의 진입 측과 역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계합부에 이동 부재(51)가 계지되는 제동 시에 탄성체제의 제동 부재가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발명 17에 관련되는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5 내지 16 중 어느 한 발명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보디와, 릴 보디의 공간을 덮기 위하여 릴 보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를 가지고, 오목부에는, 덮개 부재의 로터에 근접하는 측에 설치되고 덮개 부재를 릴 보디에 나사 멈춤 고정하기 위한 판상부(板狀部)가 배치되며, 돌출 부재는, 판상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덮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오목부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오목부에 돌출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로터에 근접하는 전측(前側)의 고정 부분이 돌출 부재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제동 부재로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된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앞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핸들(1)이 릴 본체(2)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1)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보디(2a)와, 릴 보디(2a)의 공간을 덮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상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장착 다리(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의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아내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전단에는, 원형의 플랜지부(2d)와, 플랜지부(2d)보다 소경(小徑)이고 선단이 개구(開口)하는 원통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e)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상으로 노치(notch)된 장착 홈(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홈(2f)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측이 개구하도록 오목하게 패인 제1 오목부 (2g) 및 제2 오목부(2h)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는, 플랜지부(2d)의 중심선과 교차하는 직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3개소에서 릴 보디(2a)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2d)에 있어서,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전환 부재(5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축(10)과,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1)와, 이 페이스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71)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본체(16)와, 로터 본체(16)의 선단에 줄 개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17)과,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리기 위하여 로터 본체(16)에 장 착된 베일 반전 기구(18)를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16)는, 릴 보디(2a)에 스풀축(15)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양 로터 암(31, 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앞부분에는 전벽(前壁, 33)이 형성되어 있고,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을 피니언 기어의 앞부분(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33)의 앞부분에 로터(3) 고정용의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원통부(30)의 후면(後面)은 제3 커버 부재(30a)에 의하여 덮여 있다.
제1 및 제2 로터 암(31, 3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의 후부 외주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와,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로부터 각각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彎曲)하면서 전방(前方)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암부(31b, 32b)와, 양 접속부(31a, 32a)와 양 암부(31b, 32b)의 양 외방 부분을 각각 덮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c, 32c)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는, 원통부(30)와 둘레 방향으로 매끄럽게 각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암부(31b, 32b)는,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와 매끄럽게 연속하여 형성되고 원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암부(31b, 32b)는, 선단부로부터 원통부(30)와의 접속 부분을 향하여 매끄럽게 만 곡하고 있다. 양 접속부(31a, 32a)와 양 암부(31b, 32b)의 양 외방 부분에는, 개구(31d, 32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c, 32c)는, 개구(31d, 32d)를 각각 외주 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제1 커버 부재(31c)와 제1 접속부(31a) 및 제1 암부(31b)와의 사이에는, 수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암부(31b)의 선단의 외주 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암부(31b)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 반전 기구(18)의 이동 부재(51, 후술)를 전후로 안내하기 위한 가늘고 긴 가이드 홈(36)과, 베일 암(17)에 저항을 부여하기 위한 규제 기구(75, 도 8 참조)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37)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붙이의 보스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암부(32b)의 선단 내주 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암부(31b)의 보스부(38)에 나사 끼움된 장착 핀(39)에 의하여 제1 로터 암(31)에 장착된다. 이 장착 핀(39)은 걸림이 적은 육각 구멍붙이 볼트로 이루어져, 그 머리 부분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와, 라인 롤러(41)를 사이에 두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47)가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7)는, 선단이 뾰족한 변형 원추형상(圓錐形狀)이다. 고정축 커버(47)의 선단부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의 사이에는 선재(線材)를 대략 U자상(狀)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0, 42), 라인 롤러(41), 베일(43) 및 고정축 커버(47)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는 베일 암(17)이 구성된다. 베일 암(17)은, 도 3(a)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와, 도 3(b)에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로부터 반전한 줄 개방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제1 로터 암(31)의 수납 공간(48)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하여 복귀시키는 것과 함께, 양 자세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48) 내에서 제1 암부(31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용수철 기구(50)와, 수납 공간(48) 내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51)와, 이동 부재(51)에 접촉 가능하게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전환 부재(52)와, 로터(3)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 부재(65)를 가지는 로터 제동 기구(54)와, 줄 개방 자세에 있는 베일 암(17)의 줄 감기 자세로의 복귀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75)를 가지고 있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일 암(17)이 줄 감기 자세로 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 자세로 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1 로터 암(31) 내에 배치되고, 베일 암(17)을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일단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계 지되고, 타단이 제1 암부(31b)를 따라 연장되는 로드(rod, 55)와, 로드(55)를 진출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57)을 가지고 있다.
로드(5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에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계합 구멍(40a)에 계지되도록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향하여 꺾인 계지부(55a)를 가지고 있다. 또한, 로드(55)는, 중간부에 코일 용수철(57)의 선단부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돌기(55b)를 가지고, 후단부에 약간 만곡한 만곡부(55c)를 가지고 있다. 계지 돌기(55b)에는, 코일 용수철(57)의 선단이 접촉하는 와셔(washer, 56)가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57)의 선단부로부터 로드(55)로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코일 용수철(57)은, 제1 암부(31b)에 장착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안내 시트(34)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안내 시트(34)는, 코일 용수철(57)의 일측면을 안내하는 것과 함께 기단부를 계지하도록 꺾인 벽면부(34a)를 가지고 있다. 벽면부(34a)는, 코일 용수철(57)의 측부 및 기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코일 용수철(57)이 신축하기 쉬워지는 것과 함께, 코일 용수철(57)이 신축할 때에 제1 암부(31b)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코일 용수철(57)의 와셔(56)에 계지되는 선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코일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선단부 이외에서 코일 용수철(57)과 로드(55)의 사이에 큰 간극(間隙)이 생겨, 코일 용수철(57)의 내부에서 로드(55)가 자세를 바꾸어도 코일 용수철(57)이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덧붙여, 코일 용수철(57)의 기단부 내주면에 접촉하는 보스부나 기단부 외주면을 덮는 커버부 등을 설치하여 코일 용수철(57)의 기단부를 계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러한 보스부나 커버부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축과 평행한 축 둘레에 요동하도록 제1 암부(31b)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보스부의 기단면에 원호(圓弧)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제1 암부(31b) 내에 원호 볼록부에 계합하는 원호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보스부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요동축의 축심인 코일 용수철(57)과 기단의 중심 위치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 축심(O, 장착 핀(39)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하여,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에서 로드(55)의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대한 계지 위치가 다른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선분과 겹쳐지는 위치가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死點, 코일 용수철(57)이 가장 압축하는 위치)이다. 이것에 의하여,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베일 암(17)을 사점을 사이에 두고 양 자세로 나누어 압박하고 또한 양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은, 줄 개방 자세 측으로 편의(偏倚)하고 있다.
이동 부재(5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제의 선재의 양단을 90도 다른 방향으로 꺾어 형성된 부재이다. 이동 부재(51)는, 도 3(a)에 도시하는 제1 위치(이반(離反) 위치)와 도 3(b)에 도시하는 제2 위치(접촉 위치)에, 제1 암부(31b)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51)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51a)가 외주 측으로 꺾이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형성된 대략 선형(扇形)의 계합 오목홈(40b)에 계지되어 있다. 중간부(51b)는, 로드(55)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서 제1 암부(31b)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51c)는, 가이드 홈(36)을 관통하고, 로터 제동 기구(54)를 구성하는 제동 부재(65)에 약간 서로 겹쳐지는 위치까지 내방(內方)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홈(36)의 폭은, 이동 부재(51)의 직경과 거의 같은 치수이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의 직경 방향 내측은, 베일 암(17)의 요동에 연동하여 가이드 홈(36)을 따라 전후로 안내된다. 중간부(51b)와 후단부(51c)의 굴곡 부분의 외주 측은, 안내 부재(67)에 의하여 전후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안내 부재(67)는 제1 커버 부재(31c)에 고정되어 있고, 후단부(51c)가 끼워지도록 만곡한 오목홈(67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67)에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압압 용수철(68)을 장착 가능한, 예를 들어 원기둥상의 장착 구멍(67b)이 오목홈(67a)에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압 용수철(68)은, 압축 상태로 오목홈(67a)에 장착되어 있고,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를 압압하는 것으로 후단부(51c)를 제동 부재(65)를 향하여 압박하고 있다. 압압 용수철(68)의 선단에는,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의 외주면에 계합하도록 반원호상(半圓弧狀)의 오목부(69a)가 형성된 압압 부재(69)가 장착되어 있다. 압압 부재(69)는, 이동 부재(51)의 중간부(51b)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압압 용수철(68)의 압박력을 중간부(51b)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동 부재(51)의 계합 오목홈(40b)에서의 계지단은,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후단부(51c)와 베일 암(17)의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보다 줄 감기 자세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접촉 위치(도 3(b))에 있을 때의 후단부(51c)의 축심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분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제1 위치(이반 위치)와 제2 위치(접촉 위치)에서 제1 베일 지지 부재(40)로의 계지 위치가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전환 부재(52)에 의하여 압압되었을 때,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줄 감기 자세 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제2 위치(접촉 위치)에 있을 때, 후단부(51c)의 단면은, 제동 부재(65)의 전단면보다 안쪽에서 외주면보다 약간 내방으로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1)의 이동량이 약간 변동하여도 항상 같은 제동력이 얻어진다.
전환 부재(52)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서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는, 직사각형의 노치(53)가 형성되어 있다. 전환 부재(52)는, 2개의 경사면(60a, 60b)을 가지는 산형(山形)의 캠부(60)와, 캠부(60)와 일체 형성된 축소부(61)와, 테두리부(62)를 가지고 있다. 경사면(60a)은, 도 6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로터(3)의 줄 감기 회전 방향의 하류 측이 상류 측보다 로터(3)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b)은, 경사면(60a)의 돌출 부분으로부터 줄 감기 회전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하 는 경사면이다. 경사면(60a, 60b)의 가장 돌출한 돌출단(60c)의 돌출량은, 경사면(60a)에 후단부(51c)가 접촉한 이동 부재(51)가 베일 암(17)을 줄 감기 자세를 향하여 압압하였을 때에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도록 설정되어 있다.
축소부(61)는, 노치(53)에 끼워 넣어지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2d)의 두께와 대략 같은 치수의 간극을 캠부(60)와 테두리부(62)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테두리부(62)는, 축소부(61)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있고, 플랜지부(2d)의 이면(裏面)에 접촉한다. 이 경사면(60b)을 설치하면,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무리하게 역전(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가해져 이동 부재(51)가 전환 부재(52)에 접촉하여도, 베일 반전 기구(18)의 이동 부재(51)가 경사면(60b)에서 전환 부재(52)로 매끄럽게 안내된다.
로터 제동 기구(54)는, 줄 개방 자세로 베일 암(17)이 요동하였을 때 로터(3)를 제동하는 것이고, 이동 부재(51)와, 원통부(2e)의 기단부 측에 형성된 장착 홈(2f)에 장착된 제동 부재(65)를 가지고 있다. 즉 이동 부재(51)는, 베일 반전 기구(18)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로터 제동 기구(54)도 구성한다.
제동 부재(65)는,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있을 때,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6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의 본체 부재(65e)와, 장착 홈(2f)과 본체 부재(65e)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대략 반원통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를 가지고 있다.
본체 부재(65e)는, 마찰 저항이 큰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 부재이며, 탄성에 의하여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의 외주부를 압접하여 고정되어 있다. 본체 부재(65e)의 외주부에는,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65d)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65d)는, 제동 부재(65)의 외주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후단부(51c)가 계합하는 계합 홈이다. 또한, 본체 부재(65e)에는, 계합부(65d)를 향하여 경사하는 테이퍼(taper)부(65f)가 복수 개소에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65f)는, 후단부(51c)를 계합부(65d)로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 경사면이다.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는, 마찰 저항이 큰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에 비하여 마찰 저항이 작은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대략 반원통상의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의 내주부에는, 장착 홈(2f)에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하는 마찰부(65c)가 설치되어 있다. 마찰부(65c)는, 본체 부재(65e)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가 장착 홈(2f)에 압접되는 것에 의하여 마찰력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로터 제동 기구(54)에서는, 도 5,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홈(2f)에 형성된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를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의 내주 측에 접촉하도록 착탈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선, 도 5 및 도 10에서는, 제1 오목부(2g)에 제1 돌출 부재(81)가 1개 장 착되어 있다. 제1 돌출 부재(81)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2g)에 선단부(81a)가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돌출 부재(81) 장착 부분 근방의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간극(2i)이 생성된다. 그러면,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제1 돌출 부재(81)의 돌출량만큼 외방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증가하여,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증가한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가 1개도 장착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는,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간극(2i)이 생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외방으로 신장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도 5 및 도 10의 경우에 비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감소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 2개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도 5 및 도 10의 경우에 비하여 넓은 간극(2i)이 생성된다. 그러면,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의 돌출량만큼 외방으로 크게 신장되기 때문에,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크게 증가하고,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도 5 및 도 10의 경우에 비하여 증가한다.
여기에서는,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가 1개도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작은 제동력(도 11 및 도 12 참조)과, 제1 오목부(2g)에 제1 돌출 부재(81)만을 장착하였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큰 제동력(도 5 및 도 10 참조)과,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 2개가 장착되어 있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한층 더 큰 제동력(도 13 참조)을 제조업자나 낚시꾼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덧붙여, 도 5 및 도 10에 있어서 제1 오목부(2g)에 제1 돌출 부재(81)만을 장착하였지만,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는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2 오목부(2h)에 제2 돌출 부재(82)만을 장착하여도 도 5 및 도 10과 같은 크기의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얻어진다.
규제 기구(75)는, 베일 암(17)과 로터(3)의 제1 암부(31b) 사이의 대향 부분에 설치되고,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에 배치되어 있을 때, 베일 암(17)이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오는 것을 규제하는 것과 함께, 베일 암(17)이 줄 감기 자세로 요동할 때,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경사면(60a)의 돌출단(60c)에 도달할 때까지 규제를 해제하는 기구이다. 규제 기구(75)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암부(31b)의 장착 구멍(37)에 장착된 규제 핀(76)과, 규제 핀(76)을 베일 암(17) 측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77)과,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설치된 압압부(78)를 가지고 있다.
규제 핀(76)은, 대경(大徑)의 접촉부(76a)와 소경의 용수철 장착부(76b)를 가지는 금속제의 핀이다. 이 접촉부(76a)와 용수철 장착부(76b)의 단차 부분에 코 일 용수철(77)의 선단이 접촉한다. 코일 용수철(77)은, 용수철 장착부(76b)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고, 규제 핀(76)을 제1 베일 지지 부재(40)를 향하여 압박한다. 압압부(78)는, 2개의 경사면(78a, 78b)을 가지고, 제1 암부(31b)를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78)는,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요동할 때,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경사면(60a)의 돌출단(60c)에 도달할 때까지 규제 핀(76)을 통과하여 규제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부(78)는, 줄 개방 자세일 때 규제 핀(76)보다 화살표로 도시하는 줄 감기 자세로의 요동 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 자세로의 요동 중에 토글 용수철 기구(50)가 사점에 이를 때까지 규제 핀(76)을 통과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베일 반전 기구(18)에서는, 토글 용수철 기구(50)는, 도 3(a)에 도시하는 제1 위치와, 도 3(b)에 도시하는 제2 위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위치는, 베일 암(17)의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베일 암(17)의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이동 부재(51)는, 도 3(a)에 도시하는 제1 위치(이반 위치)와, 도 3(b)에 도시하는 제2 위치(접촉 위치)의 사이에 후단부(51c)가 가이드 홈(36)으로 안내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이 제1 위치(이반 위치)가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접촉 위치)가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한다. 제2 위치(접촉 위치)에서는,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제동 부재(65)의 계합부(65d)에 계합한다. 이때, 로터 제동 장치(54)에서는, 로터(3)와 함께 제동 부재(65)가 회전하면, 마찰부(65c)는 장착 홈(2f)과 마찰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3)가 제동된다.
또한, 제2 위치(접촉 위치)에서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전환 부재(52)의 경사면(60a)에 충돌하여 회전하고, 이동 부재(51)는 제1 위치(이반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압압되며,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은 시점에서 베일 암(17)은,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한다. 이때, 규제 기구(75)의 규제 핀(76)에 의한 규제는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을 때까지 해제되어 있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전을 금지, 해제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7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70)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를 가지고 있고, 원웨이 클러치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하여, 로터(3)의 역전을 금지, 해제한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랙 기구(71)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卷絲)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스팅 시에는 역전 방지 기구(70)에 의하여 로터(3)를 역전 금지 상태로 하여 손으로 베일 암을 잡아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 재(42)는 후방(後方) 측으로 넘어가고, 베일 반전 기구(18)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2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규제 기구(75)에서는, 토글 용수철 기구(50)의 사점을 넘으면 압압부(78)가 규제 핀(76)을 통과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넘어간 상태에서는, 스풀(4)로부터의 낚싯줄을 용이하게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줄 감기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 토글 용수철 기구(50)에서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회전에 의하여 로드(55)가 도 3(a)에 있어서 서서히 후퇴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3(b)에 도시하는 제2 위치에 이른다. 이때, 사점을 넘을 때까지는 후퇴한다. 사점을 넘으면, 로드(55)가 코일 용수철(57)의 압박력에 의하여 진출하여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 측으로 전환하는 것과 함께 그 자세로 유지한다. 이 사점을 넘으면, 규제 기구(75)의 압압부(78)가 규제 핀(76)을 지나 베일 암(17)의 줄 감기 자세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것과 함께, 압압부(78)가 규제 핀(76)을 통과한 시점에서 규제 핀(76)이 급격하게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충돌하여 발음한다.
베일 암(17)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이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는 제동 부재(65)의 계합부(65d)에 계합한다. 그리고 로터(3)와 함께 제동 부재(65)가 회전하면, 마찰부(65c)는 장착 홈(2f)과 마찰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3)가 제동된다.
이 상태에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이때, 전 술한 바와 같이 베일 암(17)은, 규제 기구(75)에 의하여 규제되어,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기 자세로 되돌아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캐스팅 후에, 베일 암(17)을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한 채의 상태에서 핸들(1)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하여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일 암(17)이 베일 반전 기구(18)에 의하여 줄 감기 자세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로터 제동 장치(54)에서는, 베일 암(17)이 줄 감기 자세로부터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로터(3)에 설치된 이동 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제동 부재(65)의 계합부(65d)에 계합하고, 로터(3)와 함께 제동 부재(65)가 회전하면, 마찰부(65c)는 장착 홈(2f)과 마찰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3)가 제동된다. 여기에서는, 마찰부(65c)는 장착 홈(2f)과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일부분에서만 제동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부분에 의하여 균등하게 제동하기 때문에, 제동력을 안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 로터 제동 장치(54)에서는,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장착 가능한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가 1개도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작은 제동력(도 11 및 도 12 참조)과, 제1 오목부(2g)에 제1 돌출 부재(81)만을 장착하였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큰 제동력(도 5 및 도 10 참조)과,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에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 2개가 장착되어 있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한층 더 큰 제동력(도 13 참조)으로,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1)과, 핸들(5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502)와, 로터(503)와, 스풀(50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503)는, 릴 본체(50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50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고, 로터(503)의 앞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501)은 릴 본체(50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50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보디(502a)와, 릴 보디(502a)의 공간을 덮기 위하여 릴 보디(50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50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502)는, 릴 보디(502a) 및 덮개 부재(502b)의 후부를 덮는 커버 부재(526)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502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상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장대 장착 다리(502c)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502a)의 공간 내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은 로터 구동 기구와, 오실레이팅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502a)의 전단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플랜지부(502d)를 구성하는 대략 반원형의 제1 플랜지(502d1)와, 플랜지부(502d)보다 소경이고 선단이 개구하는 원통부(502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502d)의 상부에는, 커버 부재(526)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528)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502j)이 개구하고 있다. 이 장착 구멍(502j)은, 고정 볼트(528)에 의하여 커버 부재(526)를 장착한 후에 캡 (529)에 의하여 덮혀 있다. 원통부(502e)의 플랜지부(502d) 측의 기단부에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노치된 장착 홈(502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홈(502f)에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제동 기구(554)의 제동 부재(565)가 장착되어 있다.
덮개 부재(502b)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며,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로터(503)에 접근하는 전측의 2개소에서 고정 볼트(80)에 의하여 릴 보디(502a)에 고정되어 있는 것과 함께, 로터(503)로부터 이반하는 후측(後側)의 1개소에서 고정 볼트(90)에 의하여 릴 보디(502a)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고정 볼트(90)는, 커버 부재(526)에 의하여 커버되는 위치에서 덮개 부재(502b)를 릴 보디(502a)에 고정한다.
덮개 부재(502b)의 전단에는, 제1 플랜지(502d1)와 함께 원형의 플랜지부(502d)를 구성하는 대략 반원형의 제2 플랜지(502d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502d2)의 전면에는, 고정 볼트(80)가 관통하는 판상부(502i)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502i)는, 덮개 부재(502b)의 앞부분을 릴 보디(502a)에 고정 볼트(80)에 의하여 나사 멈춤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판상부(502i)는, 씰(seal) 부재(525)를 장착하기 위한, 대략 C자상(狀)의 씰 장착부(502h)의 외측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502i)는, 상하로 긴 판상의 부분이며, 그 양단에 고정 볼트(80)가 관통하는 1쌍의 관통공(502k)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02k) 형성 부분의 사이는, 관통공(502k) 형성 부분보다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다. 즉 판상부(502i)는, 양단이 대략 반원형으로 같은 두께로 돌출하고, 그 사이 가 관통공(502k)의 중심 위치보다 약간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제2 플랜지(502d2)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씰 부재(525)는, 합성 수지제의 C자상으로 형성된 부재이고, 덮개 부재(502d)와 릴 보디(502a)의 플랜지 분할 부분을 씰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릴 보디(502a)와 덮개 부재(502b)의 분할 부분에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환 부재(5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원통부(502e)의 장착 홈(502f) 형성 부분에는, 돌출 부재(581)가 장착되는 오목부(502g)가 오목하게 패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오목부(2g, 2h)에 2개의 돌출 부재(81, 82)를 설치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1개의 오목부(502g)에 1개의 돌출 부재(581)를 설치하고 있다. 오목부(502g)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70도 내지 100도 정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 부분으로부터 중심 측을 향하여 평탄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02g)는, 판상부(502i)의 윤곽을 따르도록 오목하게 패여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의 양 단부가 중간 부분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대략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패여 있다. 판상부(502i)는, 2개의 고정 볼트(80)에 의하여, 릴 보디(502a)의 오목부(502g)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502g)에는, 고정 볼트(80)가 나사 감합하는 나사 구멍(502m)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돌출 부재(581)는, 판상부(502i)에 접촉하는 형태로 오목부(502g)를 덮도록 오목부(502g)에 장착되어 있다. 돌출 부재(581)에는, 고정 볼트(80)의 머리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패임부(581e)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부재(581) 의 선단부(581a)의 돌출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로터 제동 기구(554)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부재(565)가 돌출 부재(581)의 외주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로터(503)가 원통부(502e)를 덮기 때문에, 덮개 부재(502b)의 전측(로터(503)에 근접하는 측)의 고정 부분이 외부로 노출하지 않게 된다.
덧붙여, 제2 실시예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565)는, 예를 들어, 우레탄 고무나 니트릴 고무 등의 탄성체제의 환상 부재이며, 장착 홈(502f)에 장착되어 있다. 이 제동 부재(565)에서는, 환상의 본체 부재(565e)의 내주부에 마찰부(56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동 부재(565)에는, 선단에 테이퍼부(565f)를 가지는 복수의 계합부(565d)를 이동 부재(51)의 진입 측과 역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565h)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부(565d)에 이동 부재(51)가 계지되는 제동 시에 탄성체제의 제동 부재(565)가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로터 제동 장치(554)의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 부재(526)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체를 맞추기 위한 패킹(527)을 통하여 장대 장착 다리(502c)를 포함하는 릴 보디(502a) 및 덮개 부재(502b)의 후부에 형성된 함몰부(502n)에 장착된다. 커버 부재(526)는, 제1 플랜지(502d1)로부터 삽입된 고정 볼트(528)에 의하여 릴 보디(502a)에 고정된다.
이 릴 본체(502)에서는, 릴 보디(502a)에 덮개 부재(502b)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90)가 커버 부재(526)에 의하여 커버되고, 고정 볼트(80)가 제동 부재(565)에 의하여 커버되며, 나아가 로터(503)에 의하여 커버되기 때문에, 볼트류가 외부로부 터 보이지 않는다. 또한, 커버 부재(526)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 볼트(528)도 캡(529)에 의하여 덮여 있다. 이 때문에, 볼트류가 외부로 노출하지 않는 산뜻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드랙식의 스피닝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요동하는 베일 암을 줄 감기 자세로 복귀시키는, 리어 드랙식의 스피닝 릴이나 레버 브레이크식의 스피닝 릴 등의 모든 형식의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부재(65)는, 본체 부재(65e)와,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165)에 제1 개장 부재(65a) 및 제2 개장 부재(65b)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경우에는, 본체 부재(165e)의 내주부에 마찰부(165c)가 설치되기 때문에,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하여 본체 부재(165e)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 부재(65)의 본체 부재(65e)는, 1개의 환상 부재였지만,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동 부재(265)가 외주면에 계합부(265d)를 가지는 대략 반원형상의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265a, 265b)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 경우에는,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265a, 265b)의 외주 측에 형성된 환상 홈(265g)에 장착되는 용수철 부재(266)에 의하여, 마찰부(265c)가 장착 홈(2f)에 압접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 오목부(2g) 및 제2 오목부(2h)와, 2개의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를 설치하였지만, 이와 같은 개수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돌출 부재(81) 및 제2 돌출 부재(82)를 장착하는 개수에 따라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을 변경하였지만, 제1 돌출 부재(81)의 선단부(81a)의 돌출량이 같지 않은 다른 제1 돌출 부재(81)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제1 돌출 부재(81)의 돌출량만큼 외방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제1 돌출 부재(81)의 선단부(81a)의 돌출량이 큰 만큼,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커진다.
(f)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제동 장치(354)의 제1 돌출 부재(381)는, 외주부에 제1 오목부(302g)에 형성된 암나사부(302j)에 나사 감합 가능한 수나사부(381b)가 형성되고, 기단부에 육각 구멍(381c)이 형성된 육각 구멍붙이 멈춤 나사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육각 구멍(381c)에 선단부의 외형이 육각 형상인 지그(jig)를 계지하여 제1 돌출 부재(381)를 회전시키고, 암나사부(302j)에 수나사부(381b)를 나사 감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돌출 부재(381)를 제동 부재(65)의 내주부 방향으로 진퇴(進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 부재(381)의 선단부(381a)가,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간극(2i)이 생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 (65a)는, 외방으로 신장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감소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 부재(381)의 선단부(381a)가,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는,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간극(2i)이 생성되고,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외방으로 신장한다. 따라서,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커지기 때문에,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증대한다. 여기에서는, 제1 돌출 부재(381)의 선단부(381a)가,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작은 제동력(도 15 참조)과,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접촉하고 있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큰 제동력(도 16 참조)으로,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g)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제동 장치(454)의 제1 돌출 부재(481)를 제동 부재(65)의 내주 측으로 압압하는 압압 부재(48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압압 부재(483)는, 선단부(483a)가 제1 돌출 부재(481)의 기단부(481d)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오목부(402g)의 기단 측에 연통(連通)하여 형성된 암나사부(402k)에 나사 감합 가능한 수나사부(483b)가 외주부에 형성되고, 또한 기단부에 육각 구멍(483c)이 형성된 육각 구멍붙이 멈춤 나사이다. 여기에서는, 육각 구멍(483c)에 선단부의 외형이 육각 형상인 지그를 계지하여 압압 부재(483)를 회전시키고, 암나사부(402k)에 수나사부(483b)를 나사 감합시켜 압압 부재(483)를 제1 돌출 부재(481)의 기단부(481d)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에 의 하여, 제1 돌출 부재(481)를 제동 부재(65)의 내주부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 부재(483)를 제1 돌출 부재(481)의 기단부(481d)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고, 제1 돌출 부재(481)의 선단부(481a)가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약한 압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는,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간극(2i)이 생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외방으로 신장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감소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 부재(483)를 제1 돌출 부재(481)의 기단부(481d) 방향으로 많이 이동시켜, 제1 돌출 부재(481)의 선단부(481a)가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강한 압접력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는, 장착 홈(2f)과 제1 개장 부재(65a)의 사이에는 간극(2i)이 생성되고, 본체 부재(65e) 및 제1 개장 부재(65a)는 외방으로 신장한다. 따라서, 제1 개장 부재(65a)의 장착 홈(2f)에 대한 압접력이 커지기 때문에, 제동 부재(65)의 제동력이 증대한다. 여기에서는, 제1 돌출 부재(481)의 선단부(481a)가,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약한 압접력으로 접촉하고 있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작은 제동력(도 17 참조)과, 제동 부재(65)의 내주부에 강한 압접력으로 접촉하고 있을 때의 제동 부재(65)의 큰 제동력(도 18 참조)으로, 제동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와 제동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마찰부가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할 때에 생기는 마 찰력의 크기를 변경하는 마찰력 변경 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7)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감기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이고,
    상기 베일 암에 연동하여 줄 감기 자세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줄 개방 자세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설치된 이동 부재와,
    상기 릴 본체의 전단부(前端部) 외주(外周)에 장착되는 환상(環狀)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주(內周) 측에 형성되고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찰 계합(係合)하는 마찰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기 이동 부재가 계합하는 복수의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계합부에 계합하였을 때, 상기 마찰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摺動)시키는 제동 부재와,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제동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하였을 때에 생기는 마찰력의 크기를 변경하는 마찰력 변경 수단
    을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환상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마찰부가 상기 릴 본체에 압접(壓接)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대략 반원형상(半圓形狀)의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 측에 형성된 환상 홈에 장착되는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상기 마찰부가 상기 릴 본체에 압접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변경 수단은,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제동 부재와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마찰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시켰을 때에 생기는 마찰력의 크기를 변경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변경 수단은, 상기 릴 본체의 전단부 외주에 오목하게 패여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선단부(先端部)가 외방(外方)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선단부가 상기 제동 부재의 내주 측에 접촉하여 상기 마찰부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마찰 접동시킬 때에 생기는 마찰력을 변경하는 돌출 부재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감합(嵌合) 가능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변경 수단은,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제동 부재의 내주 측으로 압압(押壓)하는 압압 부재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변경 수단은, 상기 릴 본체의 전단부 외주의 복수 개소에 오목하게 패여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돌출 부재가 장착 가능한 복수의 상기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변경 수단은, 상기 선단부의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돌출량이 다른 복수의 상기 돌출 부재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릴 본체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대략 원통상(圓筒狀)의 마찰 저항이 작은 합성 수지제의 개장(介裝) 부재를 더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장 부재는, 대략 반원통상의 2개의 합성 수지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릴 본체를 향하여 일부가 돌출하고, 상기 제동 부재의 상기 계합부에 계합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선단이 상기 베일 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을 향하여 요동 축심을 따르도록 굴곡하여 상기 베일 암에 회동 가능하게 계지(係止)되고, 후단(後端)이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하여 굴곡하여 상기 로터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계지되며, 그 사이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 배치된 봉상(棒狀) 부재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는, 상기 본체부가 탄성체제의 환상 부재이고, 상기 복수의 계합부를 상기 이동 부재의 진입 측과 역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17.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릴 보디와, 상기 릴 보디의 상기 공간을 덮기 위하여 상기 릴 보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를 가지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덮개 부재의 상기 로터에 근접하는 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 부재를 상기 릴 보디에 나사 멈춤 고정하기 위한 판상부(板狀部)가 배치되며,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판상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0060084967A 2005-09-07 2006-09-05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1293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8863 2005-09-07
JPJP-P-2005-00258863 2005-09-07
JPJP-P-2006-00205895 2006-07-28
JP2006205895A JP4851880B2 (ja) 2005-09-07 2006-07-28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236A true KR20070028236A (ko) 2007-03-12
KR101293174B1 KR101293174B1 (ko) 2013-08-12

Family

ID=3747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967A KR101293174B1 (ko) 2005-09-07 2006-09-05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34660B2 (ko)
EP (1) EP1762142B1 (ko)
JP (1) JP4851880B2 (ko)
KR (1) KR101293174B1 (ko)
CN (1) CN1926978B (ko)
AT (1) ATE398393T1 (ko)
DE (1) DE602006001493D1 (ko)
MY (1) MY138116A (ko)
SG (1) SG131022A1 (ko)
TW (1) TWI3664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0467A1 (en) * 2017-09-22 2019-03-28 Shimano Inc. Rotor braking device for spinning r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9300B2 (en) 2011-07-22 2013-06-25 Eastaboga Tacle Mfg. Co., Inc. Spinning reel
JP6831194B2 (ja) * 2016-09-01 2021-02-17 株式会社シマノ ロータ駆動部防水構造およ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6979785B2 (ja) * 2017-04-2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965063B2 (ja) * 2017-09-05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US10785970B1 (en) 2017-09-06 2020-09-29 Thomas Sandstrom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bi-directionally rotating rotor with drag control to prevent line twist
JP6976814B2 (ja) * 2017-10-30 2021-12-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869467B1 (en) 2017-12-13 2020-12-22 Thomas Sandstrom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bi-directionally rotating rotor and drag control to prevent line twist
JP7143116B2 (ja) * 2018-05-18 2022-09-2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
JP7320475B2 (ja) 2020-03-31 2023-08-0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14223624A (zh) * 2021-12-20 2022-03-25 安徽威尔玛渔具科技有限公司 一种触发式自动调节鱼线张力的鱼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80815A (ko) 1967-10-27 1969-09-12
JP3256123B2 (ja) * 1995-10-04 2002-02-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H104839A (ja) * 1996-06-20 1998-01-13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6200B2 (ja) * 1997-06-24 2004-05-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225635A (ja) * 1997-11-28 1999-08-24 Mamiya Op Co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41551A (ja) * 1998-07-29 2000-02-1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
JP2003189767A (ja) * 2001-12-25 2003-07-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4307881B2 (ja) * 2002-08-28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266719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SG110185A1 (en) 2003-09-11 2005-04-28 Shimano Kk Rotor for spinning reel
JP2005258863A (ja) 2004-03-12 2005-09-22 Fujikin Soft Kk ポイント付与システム
JP4561383B2 (ja) 2005-01-28 2010-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操舵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90467A1 (en) * 2017-09-22 2019-03-28 Shimano Inc. Rotor braking device for spinning reel
KR20190034065A (ko) * 2017-09-22 2019-04-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US10617103B2 (en) * 2017-09-22 2020-04-14 Shimano Inc. Rotor braking device for spinn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31022A1 (en) 2007-04-26
EP1762142A1 (en) 2007-03-14
EP1762142B1 (en) 2008-06-18
TWI366436B (en) 2012-06-21
US7234660B2 (en) 2007-06-26
KR101293174B1 (ko) 2013-08-12
US20070057104A1 (en) 2007-03-15
JP2007097581A (ja) 2007-04-19
CN1926978A (zh) 2007-03-14
CN1926978B (zh) 2011-10-12
MY138116A (en) 2009-04-30
ATE398393T1 (de) 2008-07-15
JP4851880B2 (ja) 2012-01-11
DE602006001493D1 (de) 2008-07-31
TW200715958A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US7137585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489241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6915974B2 (en) Level wind mechanism for a dual bearing reel
US7665683B2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KR10104872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US6857589B2 (en) Fishing reel component
JP43078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101060581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조정 손잡이
KR101031523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20030055176A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JP43244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42073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5176779A5 (ko)
JP37595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422124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37534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38189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33101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51307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205167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