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181A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181A
KR20070028181A KR1020050083426A KR20050083426A KR20070028181A KR 20070028181 A KR20070028181 A KR 20070028181A KR 1020050083426 A KR1020050083426 A KR 1020050083426A KR 20050083426 A KR20050083426 A KR 20050083426A KR 20070028181 A KR20070028181 A KR 2007002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isplay means
open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540B1 (ko
Inventor
배성철
김주복
정원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540B1/ko
Priority to US11/473,775 priority patent/US20070052832A1/en
Priority to CNB2006101100619A priority patent/CN100568922C/zh
Publication of KR2007002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4Warning ind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수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라서 화면규격이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또는 촬영된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의 일부를 외부에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 개폐 부재와, 외부로부터 개방된 표시 수단의 크기에 맞추어 정해진 화면규격에 일치하는 형식의 신호를 표시 수단으로 입력하는 영상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개폐 부재가 이동한 상태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전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변형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10: 본체
115: 렌즈부 120: 표시 수단
121: 제1표시영역 122: 제2표시영역
130: 개폐 부재 130_1: 제1위치
130_2: 제2위치 139: 조작 부재
150: 영상 제어부 153: 개폐 센서
161, 261: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 162, 262: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
163, 263: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 164: 제4모드 화면규격 신호
165: 제5모드 화면규격 신호 180: 촬영 재생 정보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수단의 크기가 커서 촬영이나 재생시에 시인성이 우수한 동시에, 촬영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휴대 시 수납성 및 휴대성이 우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50)의 후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 본체(51)의 뒤쪽에는 LCD 등의 표시 수단(61)이 배치된다. 상기 본체(51)에는 표시 수단(61) 외에 조작부(71)가 배치된다. 이 조작부(71)는 복수의 조작 부재들이 구비되는데, 이 조작 부재들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확대 축소 버턴(72), 4방향키(73), 메뉴 버턴(74) 및 셀프-타이머 버턴(75) 등 촬영시 또는 재생시 또는 편집시에 필요한 기능을 하는 버턴들이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71)는 상기 표시 수단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 수단(61)의 크기가 작아질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촬영이나 재생시에 시인성이 우수하지 않게 된다. 여기에, 예를 들어 히스토그램(81), 건전지 잔량(82), 기능 표시(83), F-no(85), 셔터 스피드 등의 촬영, 재생, 편집 시에 영상에 대한 정보 또한 상기 표시 수단(61)에 표시되는데, 이런 촬영 재생 정보가 상기 촬영 이미지 또는 재생 이미지와 중복 표시됨으로써 상기 촬영 재생 정보가 쉽게 인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가, 촬영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61) 외에, 촬영 재생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표시 수단(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촬영 영상,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61)의 크기가 더욱 작아지게 되고, 복수의 표시 수단이 본체(51)에 실장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복수의 표시 수단(61, 80)들을 각각 제어하여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표시 수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이에 따라서 화면규격이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 정보가 인식되기 쉽도록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카메라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또는 촬영된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를 외부에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 개폐 부재와, 상기 외부로부터 개방된 표시 수단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화면규격에 일치하는 형식의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으로 입력하는 영상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위치, 및 상기 표시부의 전부가 상기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에 개방된 제1 표시영역과,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에 차폐된 제2표시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재생 영상은 제1표시영역 내에 표시되며,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은 상기 제1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1, 제2표시영역에 걸쳐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영역을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기준 영역 및 상기 촬영정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으며 상기 제1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더한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1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2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 하고, 영상 촬영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모드의 화면규격은 그 종횡(aspect)비가 4:3이고, 상기 제2모드의 화면규격은 그 종횡비가 16:9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및 촬영된 재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 개폐 부재와, 일정한 종횡비 및 상기 외부에 개방된 표시 수단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된 표시 영역을 가진 화면규격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영상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위치, 및 상기 표시부의 전부가 상기 외부에 개방된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표시영역과, 외부로부터 차폐된 제2표시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더한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제1표시영역에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 및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더한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걸쳐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는, 상기 주변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주변 영역에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표시 수단이 실장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본체에 슬라이드 되어 상기 표시 수단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이고, 상기 개폐 부재의 슬라이드 됨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촬영 가능 상태 및 촬영 불가능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 부재에는 복수의 조작 부재들이 실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영상 표시 방법은: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및 촬영된 재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에서, 제1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의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2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의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및 상기 제1, 2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규격의 종횡비를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일예인 디지털 카메라를 비스듬한 배면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개폐 부재를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10)와, 표시 수단(120)과, 개폐 부재(130)와, 영상 제어부(150; 도 7 참조)를 구비한다. 카메라 본체(110)는 카메라 바디로서, 예를 들어 정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110)는 정육면체 이외의 형상일 수도 있고, 정면 및 배면을 평면으로 한 원주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본체(110) 전면에는 렌즈부(115)가, 그 상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턴(114)이, 그 배면에는 재생 촬영 선택 버턴(116)이 실장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10)의 배면에는 표시 수단(12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표시 수단(120)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특히 유기 EL의 경우에는 개폐 부재 이동시 차폐된 부분의 EL 라이트를 소거할 수 있음으로써 전원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수단(120)은 상기 카메라 본체(110) 배면 크기에 육박하도록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수단(120)은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또는 촬영된 재생 영상을 표시한다.
개폐 부재(130)는 상기 표시 수단(120)의 일부를 외부에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개폐 부재(130)는 통상 카메라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개폐 부재(130)가 이동함으로써, 외부로 개방되는 표시 수단 (120)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영상 제어부(150; 도 7 참조)는 상기 외부로부터 개방된 표시 수단(120)의 크기에 맞추어 정해진 화면규격에 일치하는 형식의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120)으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표시 수단(120)은 상기 개폐 부재(13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영역의 크기가 변경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또는 재생 영상을 더 큰 사이즈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개폐 부재(130)를 이동시켜 상기 표시 수단(120) 전체를 외부에 개방 시키고, 그럴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30)가 표시 수단 일부(122)를 외부로부터 차폐 시킴으로써, 표시 수단의 나머지 일부(121)만을 외부에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수단(120)이 특히 유기 EL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차폐된 부분의 EL 라이트를 소거할 수 있음으로써 전원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 카메라 본체(110)에 슬라이드 되어 상기 표시 수단(120)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 카메라 본체(110) 배면에만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의 하나의 예로서 통상 슬라이더형 핸드폰에 장착된 슬라이드 기구와 동일한 기구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30)가 상기 카메라 본체(110) 전면 및 배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카메라 본체(110) 배면 뿐만 아니라 카메라 본체(110) 전면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 부재(130)가 도 6a와 같이 표시 수단(120)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0)의 전면에 위치한 렌즈부(115)가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개폐 부재(13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고, 상기 개폐 부재(130)가 슬라이드 되어서 도 6b와 같이 표시 수단(120) 전부가 외부에 개방된 경우에는 렌즈부(115)가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부가 돌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폐 부재(13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서 촬영 가능 상태 및 촬영 불가능 상태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굴곡 광학계와 같이 렌즈부가 촬영 시 및 비 촬영 시에 본체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 굴곡 광학계를 덮을 경우에는 촬영 불가능 상태로 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 굴곡 광학계를 덮지 않은 경우에는 촬영 가능 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 카메라 본체(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수단(120)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도록 배치된 개폐 부재(130)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수단(120)의 전체가 외부에 개방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수단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부는 카메라 본체(110)의 일측 끝부의 상하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폐 부재(130)가 상기 표시 수단(120) 전부가 외부에 개방되도록 이동된 경우에, 카메라 본 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30)에는 복수의 조작 부재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상기 조작 부재(139)로 인하여 표시 수단(120)의 크기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 부재(139)들은 확대 축소 버턴(131), 4방향키(132), 메뉴 버턴(133) 및 셀프-타이머 버턴(134) 등 사용자가 촬영 시 또는 재생시 또는 편집 시에 필요한 기능을 하는 부재들을 뜻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디지털 카메라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6b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는 줌 렌즈(1), 아이리스(조리개)(2), 포커스 렌즈(3), 촬상 소자(CCD)(4), 줌 모터(5), 아이리스 모터(6), 포커스 모터(7), 및 CDS 및 AGC 회로(9)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1), 아이리스(2), 포커스 렌즈(3) 및 촬상 소자(4)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이루고 있다.
아이리스 모터(6)는 아이리스(2)의 개도(開度)를 변경하는 조리개 가변부를 이루고 있다.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및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9)는 촬상 수단의 출력을 이루는 촬상 소자(4)의 출력에 대해 증폭도를 가변하는 게인 가변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아이리스 모터(6)와 CDS 및 AGC 회로(9)는, 촬상 수단에서의 노출 상태를 변경하는 노출 변경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줌 렌즈(1)의 위치는 줌 모터(5)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이리스 (2)의 개도는 아이리스 모터(6)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커스 렌즈(3)의 위치는 포커스 모터(7)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줌 렌즈(1), 아이리스(2) 및 포커스 렌즈(3)를 매개한 피사체 상광(象光)은 촬상 소자(4)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4)는 그 수광면에 결상된 피사체 상광을 광전 변환한다. 촬상 소자(4)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 소자, CMOS(Complementary MOS) 촬상 소자 등이 이용된다. 촬상 소자(4)의 전면에는 색필터가 배열되어 있다. 색 필터 배열의 구성으로는 R(적색), G(녹색), B(청색)의 원색계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와, Cy(시안), Mg(마젠타), Ye(노랑색)의 보색계 필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촬상 소자(4)는 도시되지 않으나 타이밍 발생기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디지털 카메라는 A/D 컨버터(10), 화상 입력 콘트롤러(11),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 화상 압축/신장 회로(13), 비디오 엔코더(14), 표시 수단(120), 모터 드라이버(16, 17, 18), CPU를 포함하는 영상 제어부(150), 조작 부재(139), 메모리(22), VRAM(23), 미디어 콘트롤러(24) 및 기록 미디어(25)를 갖고 있다.
영상 제어부(150)는 본 디지털 카메라 전체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영상 제어부(150)는 조작 부재(139) 등에 의한 설정 조건 및 촬상 소자(4)의 출력을 근거로 자동 노출 제어(AE) 및 자동 초점 제어(AF) 등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제어부(150)는 조작 부재(139)로부터 입력 신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CPU(19)로부터는 줌 렌즈(1)를 이동시키기 위한 줌 구동 신호, 포커스 렌즈(3) 를 이동시키기 위한 포커스 구동 신호, 아이리스(2)를 개폐시키기 위한 아이리스 구동 신호, CDS 및 AGC 회로(9)의 게인을 제어하기 위한 게인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촬상 소자(4)의 출력 신호는 CDS 및 AGC 회로(9)를 매개하여, A/D 컨버터(10)에 공급된다. A/D 컨버터(10)에서는 화상 신호가 디지털화 된다. A/D 컨버터(10)의 출력 신호는 화상 입력 콘트롤러(11)를 매개하여 영상 제어부(150)에 담겨지고, 일단 메모리(22a)에 기억된다.
또한 촬상 소자(4)의 출력 신호는 CDS 및 AGC 회로(9)를 매개하여 A/D 컨버터(10)에서 디지털화된 후에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에 공급된다.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에서는 감마 보정, 가장자리(edge) 강조, 화이트 밸런스 등의 화상 처리가 수행된다. 이 화상 신호는 비디오 엔코더(14)에 공급된다. 비디오 엔코더(14)에서 콤포넌스 칼라 비디오 신호가 형성되고, 이 칼라 비디오 신호가 VRAM(Video RAM)(23)에 전개된다. 이 칼라 비디오 신호가 LCD 등의 표시 수단(120)의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에 공급되며, 촬영중인 영상 등이 표출된다.
또한 영상 제어부(150)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 등을 제어하여 조리개, 셔터 스피드 등의 OSD 정보(촬영 정보)를 표시 수단(120)의 촬상 영상에 겹쳐서 또는 별도의 표시영역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a)에 들어간 1화면 분의 화상 신호는 화상 신호 처리 회로(12)에서 화상 처리가 시행된 후에 화상 압축/신장 회로(13)에 공급된다. 화상 압축/신장 회로(13)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한다.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가 이용된다. JPEG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화상 압축하기 위한 규격이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압축 방식은 JPEG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축 부호화된 화상 신호는 미디어 콘트롤러(24)를 매개로 기록 미디어(25)에 공급되며, 기록 미디어(25)에 기록된다. 기록 미디어(25)는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한 카드형의 탈착 가능한 메모리가 이용된다. 또한 기록 미디어(25)로는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불휘발성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재생시에는 기록 미디어(25)의 화상 파일이 열리고, 화상 데이터가 독출(讀出)된다. 기록 미디어(25)로부터 독출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압축/신장 회로(13)에 공급된다. 화상 압축/신장 회로(13)에 의해 화상 신호의 신장 처리가 수행된다. 화상 압축/신장 회로(13)의 출력이 비디오 엔코더(14)에 공급된다. 비디오 엔코더(14)의 출력 신호가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 중 하나 또는 전체에 공급되며, 재생 영상이 표출된다. 본 발명의 이상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여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30)는, 도시 되진 않으나 영상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른 모터 드라이버에 의하여 또는 손의 작동에 의하여 표시 수단(120)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개폐 시킨다. 이 경우 상기 개폐 부재(130)의 위치 변경에 따라서 개폐 센서(153)가 작동하거나, 이와 달리 수동으로 스위치 변경 또는 버튼을 눌러서, 영상 제어부(150)가 표시 수단(120)에 제1, 2, 3, 4, 5모드 화면규격 신호(161, 162, 163, 164, 165)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30)가 상기 표시 수단(12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위치(130_1, 도 8), 및 상기 표시 수단(120)의 전부가 상기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2위치(130_2, 도 9)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130_2)에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개폐 부재(130)가 돌출된 형상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 수단(120)은,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위치한 경우 외부에 개방된 제1표시영역(121)과,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에 차폐된 제2표시영역(12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 9와 함께 도 7을 참고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은 제1표시영역(121) 내에 표시되며,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130_2)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은 상기 제1표시영역(121) 또는 제1, 2표시영역(121, 122)에 걸쳐서 표시된다. 즉, 외부에 개폐되는 표시 수단(120)의 크기에 따라서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표시 수단(120)의 외부에 개방된 영역이 커짐에 따라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의 크기 및 그 비율을 조정할 수 있음으로써 영상을 확인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있는 경우, 도 8에 도시 되진 않으나 상기 제1표시영역(121)이,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기준 영역 및 상기 촬영정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상기 영상 제어부(150)가 제어할 수 있다. 즉,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표시 수단(120)의 외부로 개방된 영역이 작게 되며 따라서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과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이 겹치도록 배치하게 되면, 촬영정보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영상을 서로 분리 표시함으로써, 촬영정보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제어부(150)는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161)와 제2모드의 화면규격 신호(162)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할 수 있다. 제1모드의 화면규격 신호(161)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상기 제1표시영역(121)에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이고, 제2모드의 화면규격 신호(162)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영상이 상기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에 걸쳐서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표시영역(121)이 4:3의 종횡비를 가지고, 제1 및 제2표시영역을 거친 영역이 16:9의 종횡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1모드 화면규격의 종횡비가 4:3일 수 있고, 제2모드 화면규격의 종횡비가 16:9일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있는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161)으로 상기 표시 수단(12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제1표시영역(121) 전체에 걸쳐서 표시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130_2)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150)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2모드 화면규격의 신호(162)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수단의 전체 표시영역에 걸쳐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제어부(150)는 상기 제2표시영역(122)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2표시영역(122)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163)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130_2)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150)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161)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하고, 촬영 재생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163)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은 상기 제1표시영역(121)에서 표시되도록 하고, 촬영 재생 정보(180)는 제2표시영역(122)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서 상기 촬영 재생 정보(180)가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과 서로 겹쳐서 표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촬영 재생 정보(180)란, 히스토그램(81), 건전지 잔량(82), 기능 표시(83), F-no(85), 셔터 스피드, 섬네일(thumnail) 이미지 등의 촬영, 재생, 편집 시에 영상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한편, 상기 촬영 재생 정보(180)가 제2표시영역(122)에 표시되지 않고, 상기 제1표시영역(121)에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제어부가 제4모드 화면규격 신호 및 제5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표시수단에 입력시킬 수 있다. 제4모드 화면규격 신호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으며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걸쳐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제5모드 화면규격 신호는 상기 제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1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4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고, 촬영 재생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5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 제어부와 이들과 다른 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표시수단에 입력시킬 수 있으며, 이들 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프리뷰, 재생 영상과 함께 촬영 재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200)의,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배면을 도시하고, 도 13는 도 12에서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의 배면을 도시하며, 도 1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2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200)에 구비된 영상 제어부(150)는, 상기 외부에 개방된 표시 수단(120)의 크기에 따라서, 동일한 종횡비를 가진 다른 화면규격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120)에 표시하도록 한다.
즉,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 부재(130)가, 상기 표 시 수단(120)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위치(130_1), 및 상기 표시 수단(120)의 전부가 상기 외부에 개방된 제2위치(130_2)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표시 수단(120)은,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위치한 경우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표시영역(121)과, 외부로부터 차폐된 제2표시영역(1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150)는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261) 및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262)를 표시 수단(120)에 입력할 수 있다.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261)는 상기 제1 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을 더한 영역(120)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제1표시영역(121)에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262)는 상기 제1 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을 더한 영역(120)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에 걸친 영역에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표시수단의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을 더한 영역이 16:9의 종횡비를 가지고, 제1표시영역(121)이 4:3의 종횡비를 가진다고 가정하고 이를 설명하면, 제2모드 화면규격은 상기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을 더한 영역에 맞춰진 종횡비를 가지므로 그 종횡비가 16:9 이다. 따라서,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16:9의 종횡비를 가지고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에 걸쳐서 표시된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위치될 경우에는 프리뷰 영 상 또는 재생 영상이 16:9의 종횡비, 즉 개폐 부재(130)가 제2위치(130_2)에 위치할 경우와 동일한 종횡비를 가지고 제1표시영역(121)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은 동일한 종횡비를 가지고 확대, 축소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개폐 부재(130)의 이동과 함께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표시영역(121)은 4:3를 종횡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130)가 제1위치(130_1)에 위치될 경우, 제1표시영역(121)에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121a) 이외의 주변 영역(121b)을 가진다. 이런 상기 제1표시영역(121) 중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261)를 입력 받아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121b)에는 촬영 재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영상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영역(121b)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주변 영역(121b)에 표시하는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263)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받은 표시 수단(120)은 주변 영역(121b)에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을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과 겹쳐져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표시 수단(120)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촬영 정보 및 프리뷰, 재생 영상과 함께 촬영정보 영상을 선명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은, 도 3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및 촬영된 재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120)에서, 제1표시영역(121)을 외부에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표시영역(121)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121)에 맞는 종횡비의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표시 수단(120)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121) 및 제2표시영역(122)을 외부로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2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의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120)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표시 수단(120)의 표시영역이 커짐에 따라서 이와 연동하여 화면규격이 증대하게 되고, 표시 수단(120)의 표시영역이 작아짐에 따라서 이와 연동하여 화면규격이 작아지게 된다. 물론 상기 화면규격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수동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121)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및 상기 제1, 2표시영역(121, 122)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규격의 종횡비를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표시영역(121)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121)으로부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앞에 상세히 설명한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수단을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그 크기를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 수단의 크기에 따라 이에 표시되는 각종 영상이 커지게 되어서, 프리뷰 영상 및 재생 영상에 대한 심인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별도의 표시 영역에 촬영 재생 정보와 프리뷰, 재생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촬영 재생 정보가 잘 확인된다.
또한, 하나의 표시 수단을 분할하여 별도의 표시 영역을 나눌 수 있음으로써 제조비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또는 촬영된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를 외부에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 개폐 부재; 및
    상기 외부로부터 개방된 표시 수단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 화면규격에 일치하는 형식의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으로 입력하는 영상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 개방된 제1위치, 및 상기 표시부의 전부가 상기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에 개방된 제1 표시영역과,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에 차폐된 제2표시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및 재생 영상이 제1표시영역 내에 표시되며,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상기 제1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걸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은,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기준 영역과, 촬영정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정보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으며 상기 제1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더한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1 및 2표시영역에 걸쳐 영상을 표시하는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2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고, 촬영 재생 정보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3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의 화면규격은 그 종횡(aspect)비가 4:3이고,
    상기 제2모드의 화면규격은 그 종횡비가 16: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으며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걸쳐서 영상을 표시하는 제4모드 화면규격 신호 및 상기 제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갖고 상기 제1표시영역에 영상을 표시하는 제5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고,
    상기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에 대하여 상기 제4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고, 촬영 재생 정보에 대하여 상기 제5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및 촬영된 재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된 개폐 부재; 및
    일정한 종횡비 및 상기 외부에 개방된 표시 수단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된 표시 영역을 가진 화면규격으로,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영상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표시 수단의 일부가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위치, 및 상기 표시부의 전부가 상기 외부에 개방된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 외부로부터 개방된 제1표시영역과, 외부로부터 차폐된 제2표시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영상 제어부는,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더한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제1표시영역에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 및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에 걸친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에 걸쳐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2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영역 중 상기 제1모드 화면규격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는, 상기 주변 영역에 맞는 종횡비를 가지고 상기 주변 영역에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을 표시하는 제3모드 화면 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이 실장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부재는 본체에 슬라이드 되어 상기 표시 수단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이고,
    상기 개폐 부재가 슬라이드 됨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촬영 가능 상태 및 촬영 불가능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에는 복수의 조작 부재들이 실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14. 촬영하는 프리뷰 영상 및 촬영된 재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제1표시영역을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의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수단에서, 상기 제1표시영역 및 제2표시영역을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2표시영역에 맞는 종횡비의 화면규격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및 상기 제1, 2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규격의 종횡비를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표시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영역이 외부에 개방된 경우, 상기 제1표시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리뷰 영상 또는 재생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촬영 재생 정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표시방법.
KR1020050083426A 2005-09-07 2005-09-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KR101134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426A KR101134540B1 (ko) 2005-09-07 2005-09-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US11/473,775 US20070052832A1 (en) 2005-09-07 2006-06-23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CNB2006101100619A CN100568922C (zh) 2005-09-07 2006-08-04 数字图像处理设备和显示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426A KR101134540B1 (ko) 2005-09-07 2005-09-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181A true KR20070028181A (ko) 2007-03-12
KR101134540B1 KR101134540B1 (ko) 2012-04-13

Family

ID=3782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426A KR101134540B1 (ko) 2005-09-07 2005-09-07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52832A1 (ko)
KR (1) KR101134540B1 (ko)
CN (1) CN10056892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931A (ja) 2005-12-28 2007-07-12 Samsung Techwin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US20080231740A1 (en) * 2007-03-21 2008-09-25 Mcintyre Dale F Camera with multiple displays
US20080231741A1 (en) * 2007-03-21 2008-09-25 Mcintyre Dale F Camera with multiple displays
USD609714S1 (en)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4986175B2 (ja) * 2007-12-28 2012-07-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75411B2 (ja) * 2008-12-17 2011-04-2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5361546B2 (ja) * 2009-06-03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GB2531971B (en) * 2010-11-15 2016-08-17 Edesix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KR20120085476A (ko) * 2011-01-24 201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재생 방법, 영상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8811032B2 (en) 2011-08-05 2014-08-19 Blackberry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US9160923B1 (en) * 2013-07-15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information display using optical data
KR102166832B1 (ko) * 2014-01-28 2020-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69829A (ja) * 2014-03-07 2015-09-2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55908B2 (ja) * 2014-08-07 2016-07-20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電子機器
JP6727989B2 (ja) * 2016-08-31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9146221A1 (ja) * 2018-01-23 2019-08-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筆支援装置、自筆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910A (ja) * 1992-04-21 1994-03-04 Nec Corp 携帯電話装置
USD370673S (en) * 1995-02-21 1996-06-11 Kabushiki Kaisha Toshiba Handheld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rminal
JPH09230464A (ja) * 1996-02-20 1997-09-05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3606498B2 (ja) * 1996-04-26 2005-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US6567120B1 (en) * 1996-10-14 2003-05-20 Nik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hotographic mode and a memo input mode
JP2000029095A (ja) * 1998-07-09 2000-01-28 Minolta Co Ltd カメラ
US6322259B1 (en) * 1998-08-06 2001-11-27 Nikon Corporation Camera provided with slide cover
JP2001128035A (ja) * 1999-10-26 2001-05-11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2044202A (ja) 2000-07-24 2002-02-08 Tookado:Kk 携帯電話機の画像表示装置
US6571063B2 (en) * 2001-09-13 2003-05-27 Eastman Kodak Company Cover for a camera for protecting image capture lens and electronic image display
DE60127838D1 (de) * 2001-09-28 2007-05-24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r Kommunikationsterminal
JP2003295291A (ja) 2002-03-29 2003-10-15 Konica Corp カメラ
KR20050017772A (ko) * 2003-08-08 2005-02-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듀얼 결합형 와이드 엘씨디 휴대폰
US20050054397A1 (en) * 2003-09-08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US8340733B2 (en) * 2007-11-26 2012-12-25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having selective touch sensitive display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540B1 (ko) 2012-04-13
US20070052832A1 (en) 2007-03-08
CN100568922C (zh) 2009-12-09
CN1929553A (zh)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54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JP4977363B2 (ja) 表示装置
JP476114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91165B2 (ja) カメラ
JP5243691B2 (ja) カメラ
US20060051070A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layback method
JP200413502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96529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10267A1 (en) 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JP4258098B2 (ja) 電子カメラ
JP2008236489A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781158B1 (ko) 카메라 및 촬영방법
JP2004032524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080044132A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방법
JP2008109221A (ja) 撮像装置
JP4434449B2 (ja) 電子カメラ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4210914B2 (ja) 撮像装置
JP4753101B2 (ja) 電子カメラ
KR101058028B1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US20150049236A1 (en) View finder device and camera including the same
JP4912680B2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および外部フラッシュ
JP200402363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815224B2 (ja) カメラ
JP2004118033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