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7740A -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 Google Patents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7740A
KR20070027740A KR1020077001832A KR20077001832A KR20070027740A KR 20070027740 A KR20070027740 A KR 20070027740A KR 1020077001832 A KR1020077001832 A KR 1020077001832A KR 20077001832 A KR20077001832 A KR 20077001832A KR 20070027740 A KR20070027740 A KR 20070027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veying
shredding
crushing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아키 구라오카
Original Assignee
도시아키 구라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아키 구라오카 filed Critical 도시아키 구라오카
Publication of KR2007002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5Feed means of conveyor belt and cooperating roll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83Feed mean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91Feed chut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89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Removing clips, pins or staples before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6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with compacting devices for the disintegr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용지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반송계와, 이 반송계의 반송속도보다도 빠른 주속도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계를 구비하고, 반송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와 파쇄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를 공통으로 하여, 반송계의 작용점과 파쇄계의 작용점을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또는 반송계에 연속하여 파쇄계를 배치한다. 이 슈레더장치는, 용지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반송계와 파쇄계가 일부의 요소를 공통으로 하여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으로, 반송계와 각각 독립의 작용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지 반송속도와 파쇄날의 회전속도의 속도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1회의 종이 통과만으로 확실히 종단까지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반송계, 파쇄계, 작용점

Description

도큐먼트 슈레더장치{Document shredder device}
본 발명은, 기밀유지의 목적으로 폐기하는 서류를 잘게 파쇄(破碎)하여, 그 내용을 읽을 수 없게 한 상태로 폐기하기 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document shredder device)에 관한 것이고, 특히 용지의 섬유를 절단하지 않고 길게 유지하여, 재생에 적합한 파쇄지를 제공할 수 있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로서는, 대향하고 서로 접해 회전하는 둥근 날(丸刃)로 용지를 재단(裁斷)하는 방식이 주류이다. 그러나 절단날(切斷刃)로 재단한 종이조각(紙片)은, 섬유가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지(再生紙)로서의 이용이 한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절단 후의 종이의 용도를 고려하여, 종이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찢음으로써 파쇄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회전축에 복수의 회전날(回轉刃)을 설치함과 동시에 한쪽 회전축의 속도를 다른 쪽보다 빠르게 하고, 또한 반송되는 종이에 대하여 번갈아 물리도록 배치함으로써, 속도차를 이용하여 종이를 찢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에서는, 종이의 단부(端部)가 처리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회전날의 직경을 크게 하여 종이를 유지하는 길이를 길게 취하여, 종이가 종단(終端)까지 처리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회전날의 직경을 크게 한 경우에는, 한 쌍의 회전날의 속도비를 크게 취할 수 없어, 속도비 만으로는 충분한 파쇄력을 얻기 어렵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처리 후의 종이를 재차 회전날과의 사이로 되돌려, 확실히 파쇄되도록 하고 있다. 회전날의 직경을 크게 하는 것, 또한 파쇄 후의 종이를 재차 파쇄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장치의 대형화로 이어진다. 더욱이 종래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에서는, 파쇄날로서 마모(磨耗)에 강한 재료가 요구되어, 높은 처리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인터넌스(maintenance)의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파쇄 후의 종이의 처리에 대해서는, 종래, 압축장치로서는, 통상부재(筒狀部材)의 내부에서 스크류(screw)를 회전시키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이 장치에 있어서, 통상부재는, 출구 끝을 향하여 내경(內徑)이 순차적으로 좁혀지고 있다. 분쇄(粉碎)된 오래된 종이조각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출구 끝을 향하여 이동하고, 출구 근방의 소경부(小徑部)의 내벽면(內壁面)에 눌려져 단단하게 압축되어, 압축물(壓縮物)이 출구 끝으로부터 배출된다. 특허문헌 2에서는, 통상부재의 소경부에 있어서 압축된 종이조각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소경부를 탄성이 있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하여, 소경부 벽면에 탄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압축장치는, 소경부를 향하여 종이조각을 밀어 넣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이조각은 소경부의 입구 부근의 벽면에 커다란 힘으 로 눌려져, 종이조각이 막히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막힘의 문제는, 벽면에 탄성을 갖게 함으로써 다소 개선할 수는 있지만, 근본적인 해소는 할 수 없다. 또한, 종이조각의 압축물은, 그것을 어떻게 재이용하는지에 따라서 압축물에 요구되는 압축정도(경도)가 상이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압축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압축정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탄성도(彈性度)를 변경할 필요가 있어, 용이하게 압축정도를 변경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13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13709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소형의 장치로서, 또한 용지 반송속도와 파쇄날의 회전속도와의 속도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1회의 종이 통과(paper passage)만으로 확실히 종단까지 파쇄하는 것이 가능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날로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 파쇄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메인터넌스 등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에 적합한 용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종이조각이 막히지 않고 단편의 압축, 배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용이하게 압축 정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용지를 파지(把持)하여 반송하는 반송계와, 이 반송계의 반송속도보다도 빠른 주속도(周速度)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계를 구비하여, 반송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와 파쇄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를 공통으로 하고, 반송계의 작용점과 파쇄계의 작용점을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또는 반송계에 연속하여 파쇄계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예를 들면, 제1 구동축, 제1 구동축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에 고정되어 용지를 보내기 위한 반송수단, 제2 구동축에 고정되어 용지를 찢기 위한 파쇄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1 구동축에, 상기 제2 구동축에 고정된 파쇄수단에 종동(從動)하여 회전하는 파쇄 보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예를 들면, 용지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수단과, 회전축 및 회전축에 고정되어 용지를 찢기 위한 파쇄날을 갖고, 상기 파쇄날을 상기 용지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회전시키는 파쇄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용지 반송수단의 일부와 맞물려, 파쇄날에 의한 종이의 찢는 동작 사이, 용지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로 용지를 보내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용지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수단과, 회전축 및 회전축에 고정되어 종이를 찢기 위한 파쇄날을 갖고, 상기 파쇄날을 상기 용지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회전시키는 파쇄수단을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로서, 상기 용지 반송수단은, 축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풀리(pulley)와, 상기 풀리의 바깥둘레면(外周面)에 압접(壓接)하여, 해당 바깥둘레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상(圓弧狀)의 압접부에서 종이를 협지(狹持)하는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압접부의 단부 근방에 상기 파쇄수단의 파쇄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에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파쇄수단과, 상기 한 쌍의 파쇄수단으로의 용지 공급측의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용지 반송용 톱니바퀴를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로서, 상기 구동축은 적어도 상기 파쇄수단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구동축의 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용지 반송용 톱니바퀴에 전달하는 전달 톱니바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지 공급장치는, 용지를 수납하는 용지 수납부, 용지를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에 반송하는 반송 벨트, 상기 반송 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용 용지 공급장치로서, 상기 용지 수납부는, 그의 저부(底部)에 용지와 상기 반송 벨트를 접촉시키기 위한 개구(開口)를 갖고, 상기 반송 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용지 수납부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상기 도큐먼트 슈레더장치가 처리 가능한 양으로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용지조각(用紙片) 압축장치는, 용지조각의 반입구(搬入口)와 배출구를 갖는 압축실(壓縮室)과, 상기 반입구에 배치된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를 갖고, 상기 압축실의 배출구에는, 개폐 가능한 압력벽(壓力壁)과, 상기 압력벽을 닫는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누름부재(押壓部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압축실은, 예를 들면, 내경(內徑)에 단차(段差)가 없는 통상부재로서, 반입실과 배출구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는, 상기 반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압력벽을 향하여 용지조각을 밀어 넣는 힘을 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지조각 압축장치는, 예를 들면, 용지조각의 반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압축실과, 상기 반입구에 배치된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를 갖고, 상기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는, 반입구의 개구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회전부재는 축상부재(軸狀部材)이고, 상기 축상부재에는, 1개 이상의 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는, 축상부재의 상기 개구면 내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축실 내의 용지조각의 압축물과 접촉하여, 압축실의 단면(端面) 상에서 구른다.
또한 반입구의 바깥쪽에는 용지조각을 받는 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에는 코일형상의 선재(線材)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형상의 선재는,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용지조각을 상기 반입구에 반송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슈레더장치는, 용지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반송계와 파쇄계가 일부의 요소를 공통으로 하여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이고, 또한 반송계와 각각 독립의 작용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지 반송속도와 파쇄날의 회전속도와의 속도비를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반송계에 의해서 용지의 종단까지 확실히 파지되면서 파쇄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1회의 종이 통과만으로 확실히 종단까지 파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및 용지조각 압축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의 전체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는, 불필요한 용지를 수납함과 동시에 그의 적량(適量)을 분리 공급하는 용지 공급부(100)과, 용지 공급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지(P)를 파쇄처리하는 파쇄부(100)와, 파쇄부(200)에서 파쇄된 후의 용지조각(P')를 압축하는 압축부(300)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 공급부(1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기용지를 대량으로 한데 모아 수납할 수 있는 용지 수납부(110), 용지 수납부(110)으로부터 적당한 매수의 용지(P)를 분리하여 꺼내기 위한 용지 분리기구(120), 벨트(131) 및 풀리(132)로 되는 용지 반송기구(130)을 구비하고 있다. 벨트(131)은, 용지의 폭방향(도면에 수직인 방향)에 복수열(複數列) 설치되어 있다.
용지 수납부(110)은, 상자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폐기용지를 겹쳐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의 저부는 일부 개방되어, 수납된 용지의 하단(下端)이 용지 반송부(130)의 벨트(131)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지 수납부(110)의 용지 배출측도 용지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반송기구(130)은, 복수의 풀리(132), 이들 풀리에 둘러진 벨트(131), 용지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용지 가이드(135)로 된다. 복수의 풀리의 하나는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 풀리(132)가 회전함으로써, 벨트(131)은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 수납부(110)의 하단에서 벨트(131)과 접촉하는 용지를 도면 중 왼쪽방향으로 배출한다. 또한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용지 반송기구(130)은, 후속(後續)의 파쇄부(200)의 반송계도 겸하고 있어, 후술하는 파쇄날을 고정한 롤러 등이 반송기구(130)에 설치되어 있다.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용지 공급부(100)과 파쇄부(200)의 용지 반송계는 서로 독립되어 있어도 된다.
용지 분리기구(120)은, 용지 수납부(110)의 용지 배출측 하단에 설치된 분리부재(121), 용지 수납부(110)으로부터 배출된 용지의 앞쪽 끝(先端)을 검출하는 센서(122), 센서(122)로부터의 용지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偏心) 캠(cam)(123), 편심 캠(123)에 의해 구동되어 용지의 반송을 제한하는 리프터(lifter)(124)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부재(121)은, 표면이 고마찰계수(高摩擦係數)의 재료로 되고, 벨트(131)과의 간극(間隙)이 용지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용지 격납부(110)으로부터 나오려고 하는 용지의 매수를 1, 2매로 제한한다. 분리부재(121)은, 예를 들면 한방향 클러치(clutch)를 내장(內藏)한 고무 롤러로 구성되어,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용지의 반송방향으로는 그의 회전이 잠기지만 역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여 용지걸림이 발생했을 때 용지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리프터(124)는, 벨트(131)을 사이에 두고 용지 수납부(110)의 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편심 캠(123)의 일회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인다. 리프터(124)와 벨트(131)은 용지의 폭방향(도면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조금 벗어난 위치에 있어, 리프터(124)의 상하 움직임이 벨트(131)과 간섭(干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프터(124)의 용지와 접촉하는 면의 한쪽 끝에는 고마찰계수의 재료로 되는 돌기(125)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122)가, 용지의 앞쪽 끝을 검출함으로써 편심 캠(123)이 회전하면, 리프터(124)가 상승하고, 먼저 돌기(125)가 배출되지 않고 남은 용지의 하단부에 접촉하여, 그 반송을 멈춘다. 또한 리프터(124)가 상승하면, 리프터(124)가 용지 전체를 들어올려 벨트(131)과의 접촉을 끊어, 남겨진 용지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용지 공급부(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풀리(132)가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벨트(131)이 회전하면, 용지 수납부(110)에 수납된 용지 중, 벨트(131)에 접하고 있는 최하단부의 용지가 용지 수납부(110)으로부터 꺼내어진다. 이 때, 용지 수납부(110)의 배출측 개구와 벨트(131)의 사이에 설정된 간극에 상당하는 매수가 용지 수납부(110)으로부터 반송되어 밖으로 나온다. 용지가 분리부재(121)에 도달하면, 그의 테이퍼(taper)에 상부의 용지로부터 접촉되어 진행을 멈추고, 최종적으로는 1, 2매만이 분리부재(121)을 통과한다.
분리부재(121)을 통과한 용지의 앞쪽 끝이 용지 센서(122)에 검출되면, 이에 따라 2개의 편심 캠(123)이 회전하여, 리프터(124)를 위로 들어올린다. 먼저 리프터(124)의 돌기(125)가 수납부(110)에 남겨진 용지와 접촉하여 그 반송을 멈추고, 추가로 리프터(124)가 상승함으로써 용지 전체를 들어올려, 벨트(131)과의 접촉을 분리한다. 이에 따라서 후속 용지의 반송은 중단된다. 후속 용지에 돌기(125)가 접촉된 후 용지 전체가 들어올려질 때까지의 시간차에, 분리부재(121)을 통과한 용지는,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수납부(110)으로부터 배출되어, 파쇄부(200)에 반송된다. 편심 캠(123)이 추가로 회전함으로써, 리프터(124)는 벨트(131)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되돌아오고, 그 때, 용지 수납부(110)에 있어서 하단이 된 용지가 반송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용지 공급부(100)은, 용지 수납부(110)으로부터 제한된 매수의 용지만을 분리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용지 수납부(110)에 남은 용지의 이동을 확실하게 제한함으로써, 잼의 발생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적은 매수의 용지를 파쇄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지 수납부(110)의 단부에 단일(單一) 분리부재(121)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재(121)은 복수(121a, 121b)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후단(後段)의 분리부재(121b)와 벨트(131)의 간극을 용지 1매 정도의 간극이 되도록 조정해둠으로써, 전단(前段)의 분리부재(121a)에서 2~3매 정도로 분리하고, 최종적으로 1매만을 분리하여, 파쇄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재(121)의 형상으로서는, 용지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벨트와의 간극이 좁아지면 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롤러뿐만 아니라 테이퍼 형상의 부재여도 된다.
용지 공급부(10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4 및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용지 공급부(100)은, 기본적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지만, 용지 막힘(잼)을 해소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기구로서, 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용지 수납부(110)의 용지 출구와는 반대쪽 근방에 위치하는 풀리(132)의 축(137)에 편심 롤러(140)이 설치되어 있다. 풀리(132)는 축(137)에 대하여 자유회전(自由回轉)하고, 벨트에 종동 회전하는 것에 대하여, 편심 롤러(140)은 축(137)에 고정되어, 축(137)을 구동함으로써 벨트 반송계와는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축(137)은, 예를 들면 용지 막힘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편심 롤러(140)은, 표면이 고마찰재료로 되고, 그의 일부가 축(137)에 대하여 볼록형상(凸刑狀)을 가지고 있다. 편심 롤러(140)의 축(137) 방향의 위치는, 벨트(131)과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 편심 롤러(140)이 회전함으로써, 그의 볼록부(凸部)가 용지의 아래쪽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시계방향으로 마찰력에 의해 용지 단부를 감아올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용지가 호치키스(Hotchkiss)가 박혀 있거나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용지 수납부(110)의 출구 또는 분리부재(121)의 바로 앞에서 막히면, 수납부 저면의 용지 유무 센서가 용지를 검지(檢知)하고, 분리부와 파쇄부의 사이에 있는 용지 통과 센서가 일정시간 용지를 검지하지 않으면 용지 막힘으로 인식하여, 축(137)이 회전하고, 편심 롤러(1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편심 롤러(140)의 볼록부가 용지의 단부(E)를 급히 들어올려, 용지와 편심 롤러(140)과의 접촉압(接觸壓)이 급격하게 증가한 상태에서 용지를 앞쪽으로 보낸다. 이 때문에, 용지의 가장 말단은 만곡(彎曲)되어 불룩해지고, 그 압력으로 벨트와의 접촉압도 증가하여, 용지의 단부는 벨트에 의해 감아올려져 뒤집힌 상태에서 앞쪽으로 반송된다. 용지의 단부가 반송되어, 좁아진 출구까지 오면, 막혀 있는 용지의 아래부터 반송되기 때문에 분리 롤에 접촉되지 않고 삽입되고, 또한 구김살 등에 의해 일부 두꺼워져 있는 부분이 있었다고 해도, 분리 롤 및 벨트가 좌굴(坐屈)되어, 결과적으로, 정지력(停止力) 보다도 반송력이 커, 용지는 출구를 통과하여, 파쇄부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용지가 호치키스가 박혀 있거나 클립이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박혀 있는(끼워져 있는) 단부를 용지 반송방향 선두부(先頭部)에 세팅함으로써, 용지는 한 장 한 장 감겨져 호치키스가 박힌 부분부터 떼내어지기 때문에, 출구에서 막히지 않고 파쇄부에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용지 공급부(100)은, 기본적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지만, 벨트의 연삭기구(硏削機構)(15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벨트 반송계의 풀리(132)의 근방에, 지점(支点)(151)에서 회전 가능한 암(arm)(152)가 설치되어 있고, 그의 한쪽 끝에는 벨트 연삭을 위한 숫돌(砥石)(153)이 고정되며, 다른 쪽 끝에는 암(1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驅動源), 예를 들면 전자 솔레노이드(electromagnetic solenoid)(154)와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155)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용지 처리매수의 카운터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는, 예를 들면, 용지의 앞쪽 끝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나 풀리에 설치된 엔코더(encoder)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용지 처리매수를 카운트하고, 그것이 일정한 매수에 도달하면 전자 솔레노이드(154)에 통전(通電)된다.
이에 따라 전자 솔레노이드(154)는 줄어들고, 암(152)를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숫돌(153)을 회전 중의 벨트(131)에 접촉시킨다. 숫돌(153)과 접촉함으로써 벨트(131)의 표면이 연삭되어, 재차 고마찰상태로 되돌아온다. 전자 솔레노이드(154)로의 통전은, 예를 들면 타이머 제어로 행하여지고, 일정시간 후 통전이 종료되도록 되어 있다. 통전이 끝나면 복귀 스프링(155)의 힘으로 암(152)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숫돌(153)도 벨트(131)로부터 떨어져 연삭은 종료된다.
이어서 파쇄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의 파쇄부(200)은, 용지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반송계와, 이 반송계의 반송속도보다도 빠른 주속도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계를 구비하고, 반송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와 파쇄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를 공통으로 하여, 반송계의 작용점과 파쇄계의 작용점을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또는 반송계에 연속하여 파쇄계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벨트 반송계와 풀리를 조합시킨 것(제1 태양), 톱니바퀴를 사용한 것(제2 태양) 등이 있다. 이하, 각 태양의 파쇄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1 태양
도 6 및 도 7은, 벨트 반송계와 풀리를 사용한 파쇄부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파쇄부(200)은, 풀리 및 벨트로 되는 반송계(230), 용지를 파쇄하기 위한 기구, 파쇄 후의 종이를 배출하는 호퍼(hopper)(240)을 구비하고 있다. 용지를 파쇄하기 위한 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접속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축(210) 및 제2 축(220), 제1 축(210)에 고정된 평판상(平板狀)의 파쇄날(211), 제2 축(220)에 고정되어, 파쇄날(211)과 같이 작용하여 용지의 파쇄(찢음)를 행하는 평판상의 파쇄날(221)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계(230)은, 전술한 용지 공급부(100)의 용지 반송계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반송계(230)은, 3개의 풀리(232a, 232b, 232c), 풀리(232)에 둘러진 벨트(231), 프레스 롤러(press roller)(234), 용지 가이드(235)로 된다. 벨트(231)은, 예를 들면, 표면을 고마찰계수로 하기 위해, 고마찰계수의 재료(고무)이거나 또는 작은 요철상(凹凸狀)으로 가공되어 있다. 벨트(231)은, 용지의 폭에 맞추워 폭 넓은 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용지의 폭방향으로 복수 개의 벨트를 병치(竝置)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3개의 풀리의 하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접속된 구동 풀리로서, 벨트(231)을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송계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풀리(232a)의 아래쪽에는, 파쇄를 행하기 위한 기구가 고정되어 있다.
파쇄기구를 구성하는 2개의 축(210, 220)은, 축(210)이 시계방향, 축(220)이 반시계방향으로, 반송계에 의한 용지의 반송속도보다도 빠른 주속도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축(210, 220)에 고정된 파쇄날(211, 221)이 용지에 꽂혀, 찢는 동작을 행한다. 파쇄날(211, 22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부재 의 양쪽 단부에 예리한 날을 형성한 것으로서, 2매로 축을 사이에 끼우도록 축(210, 220)에 고정되어 있다. 파쇄날은 축을 사이에 끼우는 2매를 한 세트로 하여, 복수 세트가 축(210, 220)의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 세트의 파쇄날은, 각각 풀리(231)의 축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벨트(231)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파쇄날(211)과 파쇄날(221)은, 양쪽 파쇄날의 회전직경(回轉徑)이 서로 겹쳐지고 또한 90도의 위상차(位相差)가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양쪽 파쇄날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에 날이 꽂히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축(210)에는, 복수 세트의 파쇄날(211) 사이에, 축(210)에 대하여 자유회전하는 돌기상 호일(213)과, 돌기상 호일(213)에 고정된 롤러(214)가 장착되어 있다. 롤러(214)는, 벨트(231)에 압접(壓接)하고, 이에 따라 롤러(214)와 벨트(231)의 사이에서 용지를 끼워 반송한다. 돌기상 호일(213)은, 바깥둘레에 예리한 돌기상의 날이 형성된 원반상(圓盤狀)의 부재로, 복수의 벨트 사이에 배치된다. 돌기상 호일(213)은, 롤러(214)와 벨트(231)로 사이에 끼워진 용지에 구멍을 뚫으면서 용지를 반송하여, 파쇄날에 의해 발생하는 용지로의 커다란 인장력(引張力)에 대향하여 유지력(保持力)을 가져, 용지가 마지막까지 파쇄되는 것을 돕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파쇄부(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레스 롤러(234)와 벨트(231)에 의해 반송된 용지가, 풀리(232a)와 롤러(214)의 사이에 도달하면 돌기상 호일(213)의 날이 용지에 꽂혀 용지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파쇄날(211, 221)의 사이에 보낸다. 이 때 돌기상 호일(213)이 없으면 용지는 그의 강성(剛性)에 의해 용지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직진하려고 하지만, 돌기상 호일(213)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호일을 따라 이동하여, 확실히 파쇄날(211, 221)의 사이에 보낼 수 있다. 파쇄날(211, 221)은, 풀리(232a)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돌기상 호일(213)에 대하여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상 호일(213)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용지에 대하여 찢는 힘이 부여되어, 용지는 용지조각으로 되어 파쇄날(211, 221)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240) 내로 낙하(落下)한다. 용지는 돌기상 호일(213)에 의해 뒤쪽 끝까지 동일한 반송속도로 반송되어, 마지막까지 파쇄날에 의한 찢음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용지의 단부가 직선상으로 남는 경우가 없어, 1회의 파쇄동작으로 용지 전체가 확실히 파쇄된다. 호퍼(240)로 모아진 용지조각(P')는, 다음 공정의 압축부(300)으로 보내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향 배치되어,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날 축의 한쪽에, 축에 대하여 자유회전하여 용지를 유지, 반송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반송속도와 파쇄날의 회전속도와의 차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용지의 찢음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양자의 작용점이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기 때문에, 용지의 종단까지 확실히 파쇄를 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벨트 반송계와 풀리를 사용한 파쇄부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이 파쇄부는, 파쇄기구로서, 축(250)에 대해서 자유회전하는 풀리(251)과 파쇄날(211)이 고정된 축(210)을 구비하고 있다. 풀리(251)은 용지 반송계의 벨트(231)에 압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벨트(231)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며, 이에 따라 벨트(231)과의 사이에 용지를 끼워 반송한다. 벨트(231)은 용지의 폭방향(풀리의 축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여 풀리(251)도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250)에는, 그의 축방향으로 풀리(251)과 번갈아 누름 링(252)가 장착되어 있다.
파쇄날(215) 및 축(210)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2매의 파쇄날을 한 세트로 하여 축(210)의 축방향으로 복수 세트가 고정되어 있다. 단, 파쇄날(215)는, 그의 회전이 누름 링(252)와 간접하지 않기 위해, 양쪽 끝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갖는 2개의 돌기상의 날이 형성되어 있다. 축(210)은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에 접속되어 있어, 벨트(231)에 의한 용지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파쇄날(215)를 회전시킨다. 복수 세트의 파쇄날(215)는, 벨트(231) 및 풀리(251)과 번갈아 배치되어 있고, 또한 그의 중앙에 누름 링(252)가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파쇄날의 2개의 돌기상의 날과 누름 링이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파쇄날(215)는, 용지와의 접촉부가 벨트(231)과 풀리(251)과의 접촉 중심점(압력 최대점)보다 조금 아래쪽으로 벗어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지가 파쇄될 때, 벨트에 의한 용지 유지의 영향을 없애, 띠형상(帶狀)으로 남는 경우가 없고, 종이의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찢겨 잘리고 남음이 없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본 실시형태의 파쇄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용지(P)가 용지 가이드(237)을 거쳐 풀리(251)과 벨트(231)의 접촉부에 유도되면, 용지는 풀리(251)과 벨트(231)의 사이에 끼워지고, 유지되어 풀리(251)의 곡률(curvature)에 따라서 호상(弧狀)의 상태로 구부려져 반송된다. 용지의 앞쪽 끝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파쇄날(211)의 회전 반경 내에 오면, 파쇄날의 예리한 앞쪽 끝이 용지에 꽂혀, 벨트(231)과의 주속의 차로 용지는 찢겨져 파쇄가 시작된다. 이 때, 용지는 누름 링(252)에 의해 파쇄날로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파쇄날에 의한 찢음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용지는 호의 상태로 구부려져,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파쇄날이 꽂히기 쉽고, 또한 파쇄시의 소음이 크게 감소한다.
용지의 종단에 가까워지면 파쇄날(211)의 강한 장력이 폭이 좁아진 용지에 작용하기 때문에, 용지는 벨트(231)로 눌려 있는 부분 이외에는 찢기고, 마지막으로 벨트(231)에 끼워진 부분이 남아, 작은 용지조각으로서 풀리(251)로부터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날을, 반송용 풀리에 의한 용지 유지부의 바로 뒤에 설치함과 동시에, 파쇄시에 용지를 눌러 파쇄를 보조하는 누름 링을 반송용 풀리에 설치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용지의 종단까지 확실하게 용지를 파쇄할 수 있다.
도 10은, 벨트 반송계와 풀리를 사용한 파쇄부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의 파쇄날(215)와 동일한 축에 벨트 반송계를 구성하는 제2 풀리(238)을 설치함과 동시에, 풀리(251)과 동일한 축에 설치되는 누름 링(252)에 대신하여 파쇄날(216)을 장착한 것이 특징이다. 즉, 파쇄날(215)가 고정되는 축(210)에는, 파쇄날(215)의 회전 반경(半徑)보다 반경이 작은 복수의 풀리(238)이, 파쇄날(215)와 번갈아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풀리(238)은 각각 반송계의 벨트(231)과 접촉하여, 벨트(231)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한편, 풀리(251)은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그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되고, 각 풀리의 사이에는 파쇄날(215)와 동일한 구조의 파쇄날(216)이 고정되어 있다. 풀리(251)은, 축(250)에 대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벨트(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용지는 먼저 풀리(251)과 벨트(231)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 상태에서 벨트(231)의 속도로 반송된다. 용지가 풀리(251)과 벨트(231)의 접촉 중심부를 어느 정도 지났을 때 파쇄날(215)과의 접촉이 시작되고, 벨트에 의한 반송속도와 파쇄날(215)의 주속도와의 차에 의해, 찢음동작이 개시된다. 한편, 파쇄날(216)의 회전직경은 풀리(251)보다도 조금 작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용지와 접촉하는 경우는 없지만, 일단 파쇄날(215)에 의한 파쇄가 시작되면 파쇄날(216)쪽으로 밀려지는 용지를 파쇄하거나, 용지를 파쇄날(215)쪽으로 되밀어 파쇄날(215)에 의한 파쇄를 돕도록 작용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용지는 종단까지 확실히 풀리(251)과 벨트(231)로 유지된 상태에서 파쇄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종단을 남기지 않고 1회의 파쇄동작으로 파쇄를 행할 수 있다.
제2 태양
이어서 톱니바퀴를 사용한 파쇄부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복수의 톱니바퀴를 이용한 제4 실시형태와 그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의 파쇄부는, 복수의 톱니바퀴군을 사용함으로써 동력원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용지의 반송계에 대하여 파쇄계의 작용점을 조금 뒤로 벗어나게 하고, 용지에 작용하는 파쇄 장력을 안정화시켜, 용지의 종단까지 확실히 파쇄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용지의 반송계에 톱니바퀴를 사용함으로써, 파쇄계로 진행하는 용지를 미리 주름형상(皺狀)으로 하기 때문에, 파쇄날이 걸리기 쉬워 찢음이 용이해진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제4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옆에서 본 도면, 위에서 본 도면이다. 이 파쇄부(500)은, 용지의 반송계인 제1 및 제2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 파쇄계인 제1 및 제2 톱니바퀴 축(521, 522), 톱니바퀴 축(521, 522)에 각각 고정된 파쇄날(531, 532)로 된다.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 및 파쇄날(531, 532)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지의 폭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에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는, 동일한 형상으로서 바깥둘레에 바깥톱니(外齒)(512a), 안쪽 주위(內周)에 안쪽톱니(內齒)(512b)가 형성된 링형상 부재로, 서로의 바깥톱니가 맞물림과 동시에, 각각의 안쪽 톱니에 톱니바퀴 축(521, 522)가 맞물려 있다. 톱니바퀴 축(521, 522)는, 바깥 주위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파쇄날(531, 532)가 2매를 한 세트로 하여 복수 세트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톱니바퀴 축(521, 522)의 파쇄날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바깥둘레에는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21)과 맞물리기 위한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바퀴 축(521, 522)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접속되어 있어, 톱니바퀴 축(521)이 시계방향, 톱니바퀴 축(5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톱니바퀴 축(521, 522)의 회전에 의해, 이들에 고정된 파쇄날(531, 532)가 회전한다. 파쇄날(531)의 회전직경과 파쇄날(532)의 회전직경은 서로 겹쳐지고, 이에 따라 이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를 파쇄한다. 툽니바퀴 형상 호일(511, 512)의 바깥톱니끼리가 맞물리는 위치는 파쇄날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조금 위(약 1~2 ㎝ 위)로 벗어난 곳에 설정된다.
톱니바퀴 축(521, 522)의 회전에 의해, 그들과 안쪽 톱니가 맞물려 있는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도 톱니바퀴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의 회전속도는, 톱니바퀴 축(521, 522)의 회전속도에 대하여, 톱니바퀴 축의 톱니수와 안쪽 톱니의 톱니수와의 비율로 결정되는 감속비로 감속된 느린 속도로 된다. 예를 들면 파쇄날과 톱니바퀴형상 호일과의 회전속도비는, 파쇄날의 일회전으로 톱니바퀴형상 호일은 용지를 4 ㎝ 정도 보내도록 설정되고, 보낸 용지 약 1 ㎝마다 파쇄날의 톱니가 번갈아 용지에 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계인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와 파쇄계인 톱니바퀴 축(521, 522)의 사이에 속도차가 형성되어, 파쇄날에 의한 찢음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의 안쪽에는, 톱니바퀴 축에 고정된 파쇄날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호일의 회전을 안정하게 하기 위해 톱니바퀴(541, 54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반송계(용지 공급부)로부터 가이드(550)을 거쳐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의 사이에 반송된 용지는, 먼저 바깥톱니에 물려 주름형상으로 변형되고, 그 직후 파쇄날(531, 532)로 파쇄된다. 톱니바퀴형상 호일(511, 512)가 용지를 보내는 속도에 대하여, 파쇄날(531, 532)는 빠른 주속도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용지에 장력이 부여되어, 안정한 찢음동작이 행하여져, 마지막까지 파쇄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계의 톱니바퀴와,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계의 축을 유성(遊星) 톱니바퀴로 함으로써, 동일한 구동계에서 반송과 파쇄를 행할 수 있고, 또한 반송계의 작용점에 연속하여 파쇄계의 작용점을 배치할 수 있으며, 용지의 종단까지 확실히 파쇄를 행할 수 있다. 추가로 반송계에 의해 용지를 주름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파쇄날이 꽂히기 쉬워 효율적으로 파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톱니바퀴군을 이용한 파쇄부는, 전술의 실시형태 외에, 톱니바퀴의 조합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바퀴형상 호일(561, 562)의 바깥쪽에 바깥톱니와 맞물리는 동력 전달용 톱니바퀴(571, 572)를 설치하여, 톱니바퀴형상 호일(561, 562)의 구동을, 파쇄날의 구동과는 별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톱니바퀴형상 호일(561, 562)는, 그의 두께보다 두꺼운 홀더(holder)(581, 582)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홀더(581, 582)는 2개의 지지기둥(支柱)(590)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파쇄날이 고정된 축(511, 512)는, 홀더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있어, 톱니바퀴형상 호일(561, 562)보다 빠른 주속도로 회전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톱니바퀴형상 호일의 작용점과 파쇄날의 작용점이 근접하고, 또한 톱나바퀴 형상 호일에 의해 용지를 주름형상으로 하여 파쇄날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용지의 파쇄를 행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변경예는, 파쇄날을 고정한 축(600)에 파쇄날과 번갈아 고정된 톱니바퀴(610), 이 톱니바퀴(610)과 맞물리는 톱니바퀴(620), 및 톱니바퀴(620)과 동일한 축으로 회전하는 톱니바퀴(630)에 의해, 축(600)의 회전을 감속시켜 톱니바퀴 호일(640)에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파쇄날 및 톱니바퀴(610)을 고정한 축(620)과, 톱니바퀴(620) 및 톱니바퀴(630)을 고정한 축(650)은, 오일 함유 합금(含油合金) 등으로 되는 베이스(660)에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660)은, 톱니바퀴형상 호일(640)의 축(670)에 대해서는 베어링이 되어 있다. 톱니바퀴(610)과 톱니바퀴(630)은, 베이스(660)의 동일한 쪽에 있어, 다른 부재와 거리를 두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톱니바퀴형상 호일의 작용점과 파쇄날의 작용점이 근접하고, 또한 톱니바퀴형상 호일에 의해 용지를 주름형상으로 하여 파쇄날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용지의 파쇄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톱니바퀴를 사용한 파쇄부로서, 반송계의 작용점과 파쇄계의 작용점이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고, 제2 태양에 비하여 적은 톱니바퀴 수로 효율적으로 용지의 파쇄를 가능하게 한 파쇄부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파쇄부(700)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용지 반송방향의 옆에서 본 도면, 도 16은 위에서 본 도면이다. 이 파쇄부는, 평행한 2개의 구동축(710, 720), 구동축(710)에 고정된 반송용 톱니바퀴(711), 구동축(720)에 고정된 파쇄용 톱니바퀴(721), 구동축(710)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고, 파쇄용 톱니바퀴(721)과 맞물려 종동하기 위해서 종동 톱니바퀴(713)과, 구동축(720)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며, 반송용 톱니바퀴(711)과 맞물려 종동하기 위해 종동 톱니바퀴(723)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용 톱니바퀴(711)은, 용지(P)의 장력이 집중되어, 그곳으로부터 파쇄되기 쉬워지도록 다른 톱니바퀴에 비하여 톱니 폭을 작게 하고 있다.
구동축(710, 720)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접속되어, 각각 상이한 속도로 회전한다. 파쇄용 톱니바퀴(721)이 고정된 구동축(720)은, 반송용 톱나바퀴(711)이 고정된 구동축(710)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각 구동축에 있어서, 반송용 톱니바퀴 또는 파쇄용 톱니바퀴와 종동 톱니바퀴는 서로 번갈아 복수 배열되고, 구동축(710)에 고정된 반송용 톱니바퀴(711)과 구동축(720)에 고정된 종동 톱니바퀴(723)이 맞물려, 구동축(720)에 고정된 파쇄용 톱니바퀴(721)과 구동축(710)에 고정된 종동 톱니바퀴(713)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톱니바퀴 사이에는 부하(負荷) 스프링(731, 732)가 장착되어 있다. 부하 스프링(731, 732)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종동 톱니바퀴(713, 723)에 적당한 회전 부하 토크(torque)를 부여하는 것으로, 그에 따라 2개의 톱니바퀴가 맞물려 접촉하는 부분에서 용지 유지압력이 높아지고, 반송용 톱니바퀴 및 파쇄용 톱니바퀴에 물리는 용지의 유지력, 반송력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용지(P)가 반송용 톱니바퀴(711)과 종동 톱니바퀴(723)과의 맞물림부에 오면, 용지는 두 개의 톱니바퀴에 의해 물려져 주름형상으로 되면서 반송된다. 동시에 파쇄용 톱니바퀴(721)과 종동 톱니바퀴(713)의 사이에서도 용지의 반송이 시작된다. 이 때, 파쇄용 톱니바퀴(721)에 의한 반송속도가 반송용 톱니바퀴(711)에 의한 반송속도보다도 빠르기 때문에, 양쪽 톱니바퀴 사이의 용지에 부분적으로 큰 인장력이 발생하여, 반송용 톱니바퀴의 용지 유지부에 장력이 집중하는 결과, 그 부분으로부터 용지는 찢겨 파쇄되어 작은 용지조각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구동축과 그들에 설치된 반송용 톱니바퀴와 종동 톱니바퀴의 세트 및 파쇄용 톱니바퀴와 종동 톱니바퀴의 세트라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한 용지 유지력과 파쇄력을 부여할 수 있고, 용지의 종단까지 확실히 또한 효율적으로 파쇄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경예로서 제6 실시형태를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서로 회전방향, 회전속도가 상이한 2개의 구동축(710, 720)에, 반송용 톱니바퀴(711), 파쇄용 톱니바퀴(721)이 고정되는 점은 제5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반송용 톱니바퀴(711)과 맞물려 반송계를 구성하는 종동 톱니바퀴는, 구동축(72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프레스 톱니바퀴(740)이 파쇄계의 작용점과는 상이한 위치, 여기에서는 반송용 톱니바퀴(711)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스 톱니바퀴(740)은 톱니 폭을 비교적 넓게 하고, 한편, 반송용 톱니바퀴(711)은, 그의 제조과정에서 전이계수(轉移係數)를 조정하여, 톱니의 앞쪽 끝이 예리하게 뾰족해지도록 가공되어 있다. 또한 반송용 톱니바퀴(711)은, 종동 톱니바퀴(713)보다도 직경이 크고, 파쇄용 톱니바퀴(721)과 종동 톱니바퀴(713)이 맞물리는 위치에 있어서, 그의 중심보다도 파쇄용 톱니바퀴(721)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반송용 톱니바퀴(711)과 프레스 톱니바퀴(740)의 사이에 용지가 물리면, 용지는 프레스 톱니바퀴(740)에 의해 강하게 반송용 톱니바퀴(711)쪽으로 밀리고, 그 톱니에 꽂혀 구멍이 뚫린 상태에서 반송되어, 파쇄 톱니바퀴(721)과 종동 톱니바퀴(713)의 사이로 보내어진다. 용지의 단부가 파쇄 톱니바퀴(721)과 종동 톱니바퀴(713)의 맞물림부에 물리면, 용지는 톱니바퀴끼리의 톱니압에 의해 단단하게 유지된 채 반송용 톱니바퀴(711)의 반송속도보다 고속으로 보내어지기 때문에, 반송용 톱니바퀴(711)과 파쇄용 톱니바퀴(721)의 사이에서 용지에 커다란 찢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 파쇄용 톱니바퀴(721)의 톱니의 위치는 반송용 톱니바퀴(711)의 톱니의 위치보다 반송용 톱니바퀴(711)이 고정된 축(710)쪽으로 튀어나온 위치에 있기 때문에, 찢음 파쇄가 보다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용지에는 이미 프레스 톱니바퀴(740)과 반송용 톱니바퀴(711)에 의해 꽂혀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지에 가해지는 장력은 이미 구멍에 집중되어, 비교적 약한 장력일지라도 용지의 찢음이 시작되어 작은 용지조각으로 파쇄된다.
제6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벨트 반송계를 구비한 용지 공급부(100)과 연결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 19에 나타낸다.
용지 수납부에 수납된 용지(P)는, 반송 벨트(131)이 회전하면 용지 수납부(110)과 반송 벨트(131) 사이의 간극보다 용지 수납부(110)의 외부로 보내어지고, 분리 롤러(121)에 의해 예를 들면 1매만이 분리되어, 가이드 롤러(139) 및 가이드(135)에 안내되고, 파쇄부(700)의 반송용 톱니바퀴로 운반된다. 프레스 톱니바퀴(740)과의 맞물림부에서 반송용 톱니바퀴(711)의 톱니에 꽂혀 반송되고, 가이드(135)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용 톱니바퀴(721)의 맞물림부에 유도된다. 파쇄용 톱니바퀴(721)은 반송용 톱니바퀴(711)보다 반송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에서 용지의 찢는 힘이 발생하여 용지는 작게 파쇄되고, 호퍼를 매개로 하여 압축부에 모여진다.
이어서, 압축부(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축부(300)은, 파쇄부(200)에서 파쇄된 용지조각(312)를 소정의 압축력으로 눌러굳혀, 한 덩어리의 압축물로서 배출한다.
먼저, 압축부(300)의 구조를, 그의 상면도(上面圖)인 도 20, A-A 단면도(斷面圖)인 도 21, 측면도인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압축부(300)은, 상부로부터 용지조각(312)가 투입되는 격납부(格納部)(307), 그에 연결된 압축실(壓縮室)(304), 격납부(307)과 압축부(304)의 사이에 배치된 압축기구부(331)을 갖는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압축실(304)와 압축기구부(331)의 일부를 절결(切缺)하여 나타내고 있다.
격납부(307)은, 도 21에 그의 외형(外形)을 파선(破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상부재를 U자형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본체와, 그의 한쪽 끝에 배치된 판상부재인 측면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U자형 본체의 개구는, 용지조각(12)의 투입구로서 위쪽으로 향해 있다. U자형 본체의 다른 쪽이 개방된 측면부는, 압축기구부(331)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실(304)는, 4매의 판상부재를 조합시켜 구성한, 통상(筒狀)의 압축실 본체와, 2매의 압력벽(309)를 포함한다. 통상의 압축실 본체는, 내부실 사이의 단면형상이 사각형이고, 그의 직경은, 축방향으로 일정하여, 좁혀져 있는 개소는 없다. 따라서, 압축된 용지조각(312)가 통상의 압축실 본체의 축방향의 특정 개소에 눌려지는 경우는 없다. 통상의 압축실 본체의 개구는, 한쪽이 용지조각의 반입구, 다른 쪽이 배출구가 된다.
2매의 판상 압력벽(309)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구배(句配)를 갖도록, 즉 주평면이 이루는 각이 180°보다도 작아지도록, 한쪽 끝을 맞붙여, 통상의 압축실 본체의 배출구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 끝은 각각 힌지(hinge)(321)에 의해 통상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력벽(309)는, 양쪽 열림 문과 같이 개폐 가능하게 압축실 본체의 개구를 막고 있다. 또한, 2매의 압력벽(309)가 맞붙여진 단부에는, 각각 돌기(322)가 설치되고, 돌기(322)에는 각각 스프링(310)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310)의 다른 쪽 끝은, 압축실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323)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스프링(310)은, 2매의 압축벽(309)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압축부(304) 내부의 용지조각(312)는, 압력벽(309)에 눌려짐으로써 압축된다. 용지조각(312)의 덩어리(용지 덩어리(311))가 압력벽(309)를 안쪽으로부터 미는 힘이, 스프링(310)이 압력벽(309)를 닫는 방향으로 부여하는 힘을 초과한 경우에는, 용지 덩어리(311)이 압력벽(309)를 밀어서 열어, 외부로 용지 덩어리(311)이 배출된다.
압축기구부(331)은, 격납부(307)과 압축실(304)의 반입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프레임(313), 격납부(307)과 압축실(304)의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축(302), 압축 롤러(301), 구동축(306), 코일 스프링(305)를 구비하고 있다.
축(302)는, 복수의 압축 롤러(301)의 회전 중심으로 삽입되어, 압축 롤러(301)이 축(30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동시에, 축(302)의 중심에는, 구동축(306)이 수직으로 삽입되어 있다. 구동축(306)의 반대쪽 단부는, 격납부(307)을 관통하여, 격납부(307)의 반대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원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축(306)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축(302)는, 격납부(307)과 압축실(304)와의 경계면(연직면(鉛直面)) 내에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압축 롤러(301)은, 격납부(307)과 압축실(304)와의 경계면에서 구동축(306)을 중심으로 동심원(同心圓)을 그리듯이 회전한다. 이 때, 압축 롤러(301)은, 압축실(304) 내에 용지조각(312)가 가득 차 있는 경우에는, 용지조각(312) 덩어리의 단면을 눌러 부수도록, 축(302)를 중심으로 자전(自轉)하여, 용지조각(312)를 압축한다.
축(302)의 양쪽 끝은, 프레임(313)의 내부에 배치된 링형상의 지지체(303)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체(303)은,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308)을 매개로 하여, 프레임(313)에 강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실(304) 내의 용지조각(312)의 압축정도가 높아져, 압축 롤러(301)에 큰 압력이 가하여지는 경우일지라도, 지지체(303)에 작용하는 반력(反力)은, 라디알 하중(radial load)과 스러스트 하중이 받아들여지는 베어링(308)을 통하여, 프레임(313)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다란 압축력이 발생했을 때에도, 압축 롤러(301)은 안정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축(302)에 가해지는 커다란 힘을 프레임(313)으로 확실히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低)토크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05)는, 적절한 송신 피치(pitch)가 설정된 나선(螺旋) 반송기구로서, 격납부(307)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그의 양쪽 끝은 구동축(306)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306)이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305)도 격납부(307)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여, 격납부(307) 내에 퇴적(堆積)된 용지조각(312)를 압축실(304)쪽으로 이동시키는 반송기구로서 동작한다.
이어서, 압축부(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용지 파쇄부(200)에서 파쇄된 용지조각(312)는, 격납부(307)의 상부 개구로부터 연속 투입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306)이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305)는, 격납부(307)에 퇴적된 용지조각(312)를 압축실(304)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용지조각(12)는, 회전하는 축(302)의 옆쪽 공간을 통과하여, 압축실(304)의 내부공간으로 반입된다. 압축실(304)가 압축실(304)와 격납부(307)과의 경계면까지 용지조각(312)로 가득차면, 경계면에서 회전하고 있는 축(302)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 롤러(301)은, 용지조각(12) 덩어리의 단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원궤도(圓軌道)를 그리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용지조각(12)는 압축실(304)쪽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눌러 부숴져 압축된다. 추가로 연속적으로 격납부(307)로부터 압축실(304)로 반송되어 오는 용지조각(312)는, 압축 롤러(301)에 의해 눌러 부숴져, 다져지도록 압축실(304)로 밀어넣어진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305)에 의한 반송 및 압축 롤러(301)에 의한 압축동작은, 구동축(306)의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진행되고, 압축실(304) 내부에서는 용지조각의 압축이 연속하여 행하여져, 용지조각(312)는, 용지 덩어리(311)이 된다.
압축실(304)의 용지 덩어리(311)이 압력벽(309)를 미는 압력이,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용지 덩어리(311)이 압력벽(309)를 밀어서 열어, 압축되어 한 덩어리가 된 용지 덩어리(311)이 압축실(304)로부터 한 덩어리인 채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압축부(300)의 구조에서는, 압축실(304)의 통상 본체의 직경을 일정하게 하여, 압축실(304)에서의 용지조각(312)의 압축에 의해 가장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앞쪽 끝(배출구)의 압력벽(309)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압력벽(309)를 탄성력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여는 배출구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압축된 용지 덩어리(311)에 막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310)으로서 목적의 탄성력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용지 덩어리(311)의 압축력을 목적의 압축력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2매의 압력벽(309)의 맞대는 구배에 의해서도, 압축률을 조정할 수있다.
또한, 용지 덩어리(311)이 압력벽(300)에 부딪힐 때까지의 압축실(304) 본체는, 직경이 일정하기 때문에, 직경을 단계적으로 좁히기 위한 테이퍼부 등이 불필요하여, 압축실(304)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구부(331)은, 압축 롤러(301)을 용지 덩어리(311)의 단면(端面)에 접촉시켜, 단면 상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눌러 부수는 구성이기 때문에, 압축기구부(331)은, 롤러(301)부분의 두께면 되어, 소형의 압축기구부(33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구부(331)의 반송기구로서, 격납부(307)을 관통하는 구동축(306)에 의해 회전하는 코일 스프링(305)를 사용하고 있다. 별도 반송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압축기구부(331)의 회전구동축을 이용하여 용지조각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305)에 의한 반송 및 압축 롤러(301)에 의한 압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 덩어리(311)의 압축면이 연직면 방향이어도 반송 및 압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면을 연직방향으로 한 경우일지라도 반송 및 압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방향으로 자유도(自由度)가 높은 압축부(3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지조각 반송용 코일 스프링(305)는, 필요에 따라서 하나 내지 두개 이상으로 증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압축실(304)의 압력벽(309)를 스프링(310)의 인장력에 의해 닫는 구성이지만, 본 실시형태의 압축부(300)은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압력벽(309)와 도시하지 않은 기기류를 담는 상자형 용기(筐體)의 사이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압력벽(309)의 바깥쪽 벽면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을 가함으로써, 압력벽(309)를 닫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스프링을 눌러 축소시키는 힘에 거슬러, 용지 덩어리(311)은 압력벽(309)를 밀어 열고,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커다란 압축력으로 용지 덩어리(311)을 압축하려는 경우 등에 적합하다.
전술의 압축부(300)에 있어서는, 압축기구부(331)은, 압축 롤러(301)과 축(302)를 사용하여 용지 덩어리(311)을 압축하고 있지만, 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3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동축(306)에 장착된 프로펠러(propeller)(344)에 의해 용지 덩어리(311)을 압축할 수 있다. 프로펠러(344)가 회전함으로써, 프로펠러(344)의 압축실(304)쪽 면은, 용지 덩어리(311)의 단면과 접촉되어, 단면 상을 슬라이딩(sliding)한다. 이 슬리이딩에 의해, 용지 덩어리(311)은 눌러 부숴지고, 압축된다.
이 때, 프로펠러(344)의 압축실(304)쪽 면에, 프로펠러(344)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을 그리는 복수의 홈(溝)을 설치해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34)와 용지 덩어리(311)과의 동마찰력(動摩擦力)을 저감시킬 수 있고, 구동축(306)의 회전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용지 공급부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용지 공급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용지 공급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용지 공급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파쇄부를 화살표 A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파쇄부를 화살표 A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파쇄부를 윗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파쇄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파쇄부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파쇄부를 윗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의 파쇄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파쇄부를 윗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파쇄부를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압축부의 일부를 결실한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압축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22는, 압축부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압축기구부로서 프로펠러를 채용한 경우의 압축부를 나타내는 결실한 상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용지 공급부, 110…용지 수납부, 120…용지 분리기구, 121…분리부재, 130…용지 반송계, 200, 500, 700…파쇄부, 210, 220, 511, 521, 710, 720…축, 211, 215, 216, 221, 531, 532…파쇄날, 213…돌기형상 호일, 214…롤러, 231…벨트, 235…가이드, 252…누름 롤러, 300…압축부, 301…압축 롤러, 302…축, 303…지지체, 304…압축실, 305…코일 스프링, 306…구동축, 307…격납부, 308…스러스트 베어링, 309…압력벽, 310…스프링, 311…용지 덩어리, 312…용지조각, 313…프레임, 321…힌지, 322…돌기, 323…돌기, 331…압축기구부, 344…프로펠러, 711…반송용 톱니바퀴, 713, 723…종동 톱니바퀴, 721…파쇄용 톱니바퀴, 740…프레스 톱니바퀴

Claims (16)

  1. 용지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반송계와, 이 반송계의 반송속도보다도 빠른 주속도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계를 구비하고, 반송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와 파쇄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를 공통으로 하여, 반송계의 작용점과 파쇄계의 작용점을 용지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하거나, 또는 반송계에 연속하여 파쇄계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2. 제1 구동축, 제1 구동축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에 고정되어 용지를 보내기 위한 반송수단, 제2 구동축에 고정되어 용지를 찢기 위한 파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축에, 상기 제2 구동축에 고정된 파쇄수단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파쇄 보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3. 제2항의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로서,
    상기 제2 구동축에, 상기 제1 구동축에 고정된 반송수단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반송 보조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4. 용지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수단과, 회전축 및 회전축에 고정되어 용지를 찢기 위한 파쇄날을 갖고, 상기 파쇄날을 상기 용지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회전시키는 파쇄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자유자재로 지지되어, 상기 용지 반송수단의 일부와 맞물려, 파쇄날에 의한 종이의 찢음동작의 사이, 용지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로 용지를 보내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를 보내는 수단은, 바깥둘레에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원판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제1 회전축, 제1 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 이들 제1 및 제2 회전축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및 제2 파쇄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파쇄날은, 상이한 위상에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7. 용지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수단과, 회전축 및 회전축에 고정되어 종이를 찢기 위한 파쇄날을 가지고, 상기 파쇄날을 상기 용지 반송수단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주속도로 회전시키는 파쇄수단을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로서,
    상기 용지 반송수단은, 축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바깥둘레면에 압접하여, 해당 바깥둘레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호상의 압접부로 종이를 협지하는 반송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압접부의 단부 근방에 상기 파쇄수단의 파쇄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파쇄날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압접부에서 협지된 종이가 상기 파쇄날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9. 한 쌍의 구동축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파쇄수단과, 상기 한 쌍의 파쇄수단으로의 용지 공급측의 근방에 배치된 한 쌍의 용지 반송용 톱니바퀴를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로서,
    상기 구동축은 적어도 상기 파쇄수단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톱니바퀴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구동축의 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용지 반송용 톱니바퀴에 전달하는 전달 톱니바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10. 용지를 수납하는 용지 수납부, 용지를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에 반송하는 반송 벨트, 상기 반송 벨트를 주행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도큐먼트 슈레더장치용 용지 공급장치로서,
    상기 용지 수납부는, 그의 저부에 용지와 상기 반송 벨트를 접촉시키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반송 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용지 수납부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상기 도큐먼트 슈레더장치가 처리 가능한 양으로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장치.
  11. 용지조각의 반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압축실과, 상기 반입구에 배치된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를 갖고,
    상기 압축실의 배출구에는, 개폐 가능한 압력벽과, 상기 압력벽을 닫는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누름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조각 압축장치.
  12. 제11항의 용지조각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은, 내경에 단차가 없는 통상부재로, 반입실과 배출구는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는, 상기 반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압력벽을 향하여 용지조각을 밀어넣는 힘을 가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조각 압축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의 용지조각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벽은, 2매의 판상부재이고, 상기 2매의 판상부재는, 주평면이 이루는 각이 180°보다도 작아지도록, 단부를 맞닿게 하여 배치하고, 맞닿은 부분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압축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조각 압축장치.
  14. 용지조각의 반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압축실과, 상기 반입구에 배치된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를 갖고,
    상기 용지조각 압축기구부는, 반입구의 개구면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조각 압축장치.
  15. 제14항의 용지조각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축상부재로, 상기 축상부재에는 한 개 이상의 롤러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는, 축상부재의 상기 개구면 내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축실 내의 용지조각의 압축물과 접촉하여, 압축물의 단면상에서 구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조각 압축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의 용지조각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입구의 바깥쪽에는 용지조각을 받는 용기가 배치되고, 상기 용기 내에는 코일형상의 선재가 구비되며, 상기 코일형상의 선재는, 상기 구동축에 고정되어,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용기 내의 용지조각을 상기 반입구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조각 압축장치.
KR1020077001832A 2004-06-26 2005-06-24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KR20070027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6593 2004-06-26
JP2004216593 2004-06-26
JPJP-P-2004-00216596 2004-06-26
JPJP-P-2004-00216592 2004-06-26
JP2004216592 2004-06-26
JP2004216596 2004-06-26
JPJP-P-2004-00382278 2004-12-03
JP2004382278 2004-12-03
JPJP-P-2004-00382277 2004-12-03
JP2004382277 2004-12-03
JPJP-P-2005-00171588 2005-05-16
JP2005171588 2005-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740A true KR20070027740A (ko) 2007-03-09

Family

ID=3578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832A KR20070027740A (ko) 2004-06-26 2005-06-24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62248B2 (ko)
EP (1) EP1870161A4 (ko)
JP (2) JP5230937B2 (ko)
KR (1) KR20070027740A (ko)
WO (1) WO20060013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727A (ko) * 2017-05-22 2018-11-30 이보현 완충칩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7223B2 (en) 2007-07-13 2012-05-01 Fellowes, Inc. Shredder and auto feed system
US7828235B2 (en) * 2007-07-13 2010-11-09 Fellowes, Inc. Shredder auto feed system
JP5290602B2 (ja) * 2007-11-27 2013-09-18 Eco株式会社 繊維細片の圧縮固型化装置
US7871027B2 (en) * 2008-02-13 2011-01-18 Techko, Inc. Auto feed shredder apparatus and methods
DE102008012724B4 (de) * 2008-03-05 2011-03-10 Klaus Pavel Schredder
JP2011050938A (ja) * 2009-08-31 2011-03-17 M System Solutions:Kk シュレッダー
TWM396150U (en) * 2010-06-02 2011-01-11 Michilin Prosperity Co Ltd One-way drive mechanism of a paper sorter of a paper shredder
US9186678B2 (en) 2012-10-15 2015-11-17 Fellowes, Inc. Shredder auto feed system with paper stack separation mechanism
US9409182B2 (en) 2013-03-15 2016-08-09 Fellowes, Inc. Shredder with paper separation and advancement mechanism
US9669411B2 (en) 2013-09-30 2017-06-06 Fellowes, Inc. Shredder auto feed system
JP5967383B2 (ja) 2014-03-18 2016-08-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5013578B (zh) * 2015-08-18 2017-12-01 董怡君 一种针固定刀片式碎纸设备
CN107537652B (zh) * 2016-06-29 2020-10-27 上海震旦办公设备有限公司 具有清除卡纸功能的碎纸机
WO2018073861A1 (ja) * 2016-10-17 2018-04-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空気ばね及び台車
CN111804401A (zh) * 2020-07-21 2020-10-23 中国煤炭地质总局物测队 一种轻便式桌面碎纸机
CN112791809B (zh) * 2020-12-17 2022-11-11 池州盛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收垃圾回收处理装置
CN113663792A (zh) * 2021-07-30 2021-11-19 旭东机械(昆山)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入料机构的玻璃绞碎装置及玻璃绞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6914A (en) * 1966-03-15 1968-08-13 Centriblast Corp Machine for disintegrating paper and other waste materials
US4119277A (en) * 1975-10-28 1978-10-10 Snyder J Rush Apparatus for cutting scrap tires
US4059235A (en) * 1976-05-28 1977-11-22 Bryant-Poff, Inc. Shredding device
US4192467A (en) * 1977-05-06 1980-03-11 Takefumi Hatanaka Document shredder
JPS5567347A (en) * 1978-11-15 1980-05-21 Takeshi Hatanaka Automatic document shredder
JPS58132548A (ja) 1982-01-29 1983-08-06 ギユンテル・ホルスト・テツシユ 繊維で補強された面体の製造方法
JPS6028489Y2 (ja) * 1982-02-26 1985-08-29 マックス株式会社 シユレツダ−における紙案内装置
US4529134A (en) * 1983-02-03 1985-07-16 Williams Patent Crusher And Pulverizer Company Self-clearing shredd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S60141271A (ja) * 1983-12-27 1985-07-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裁刻機等における流量制御装置
JPS6391148A (ja) * 1986-10-02 1988-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文書細断機
DE3863657D1 (de) * 1987-03-04 1991-08-22 Sharp Kk Reisswolf.
JPS63296854A (ja) 1987-05-28 1988-12-02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細断機
JPH03143553A (ja) * 1989-10-30 1991-06-19 Karl Jimuki Kk シュレッダのカッター装置
DE4102486C2 (de) * 1991-01-29 1993-11-04 Hermann Schwelling Aktenvernichter mit schnittgut-transportband
JPH057789A (ja) * 1991-07-02 1993-01-19 Ace Denken:Kk 多量処理式シユレツダ
US5375775A (en) * 1993-08-20 1994-12-27 Keller; Mark E. Tire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
US5354003A (en) * 1993-10-15 1994-10-11 Stokes Ralph E Trash plant stem shredding apparatus
JPH07284682A (ja) * 1994-04-14 1995-10-31 Shinko Electric Co Ltd 古紙処理装置における古紙破断手段
JP3035221B2 (ja) * 1996-07-22 2000-04-24 富士ゼロック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古紙の処理装置
JPH11229284A (ja) 1998-02-16 1999-08-24 Seiho Kiko Kk 紙くず処理装置
US5954278A (en) * 1998-03-31 1999-09-21 Etc. Industries, Inc. Fiberglass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US6491245B1 (en) * 2000-04-05 2002-12-10 David E. Rajewski Mobile shredding system
JP2002028516A (ja) * 2000-07-14 2002-01-29 Yunikkusu:Kk シュレッダー屑の減容装置
JP2002175963A (ja) 2000-12-05 2002-06-21 Nikon Corp ステージ装置とその位置制御方法および露光装置並びに露光方法
JP3558610B2 (ja) * 2001-06-26 2004-08-25 富士ゼロック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古紙の処理装置
US6938844B2 (en) * 2001-12-26 2005-09-06 Charles A. Castronovo Zero-clearance cutting systems
PL204715B1 (pl) * 2002-05-08 2010-02-26 Int Tobacco Machinery Poland Krajarka do materiałów pochodzenia roślinnego, zwłaszcza do tytoniu
JP2004224566A (ja) * 2002-11-25 2004-08-12 Sankitekku:Kk スクリューコンベヤー
JP2004203606A (ja) * 2002-12-24 2004-07-22 Takayuki Nanba パイプコンベア
US20040188556A1 (en) * 2003-03-25 2004-09-30 Tom Jong Single cutter shredder
US7467755B2 (en) * 2003-07-01 2008-12-23 Inter-Source Recovery Systems, Inc. Parts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shred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727A (ko) * 2017-05-22 2018-11-30 이보현 완충칩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0161A1 (en) 2007-12-26
US8162248B2 (en) 2012-04-24
JPWO2006001370A1 (ja) 2008-04-17
WO2006001370A1 (ja) 2006-01-05
US20080179436A1 (en) 2008-07-31
JP2013091107A (ja) 2013-05-16
JP5230937B2 (ja) 2013-07-10
EP1870161A4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7740A (ko) 도큐먼트 슈레더장치
US7938347B2 (en) Shredder having a dual stage cutting mechanism
US8074912B2 (en) Auto-feed built-in a paper shredder
KR100699600B1 (ko) 문서 세단기
JP7349745B2 (ja) 容器減容装置
CN202479012U (zh) 固体废物破碎机
JP5199577B2 (ja) 空の容器を破砕するための装置
US4411391A (en) Document shredding machines
WO1995013139A1 (en) Container cutting assembly
EP2174716A1 (en) Grind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recyclable materials, with one or more couples of rollers
ITPA940004A1 (it) Trituratore a selezione di materiali con compattatore
KR20100106954A (ko) 문서 세단기의 급지롤러
JP3997541B2 (ja) ペットボトル用圧潰装置
JP2011156446A (ja) 石膏ボードの破砕装置
US4768432A (en) Office paper shredder and compactor
KR100705468B1 (ko) 칩 사이즈 변경기능을 가지는 문서 세단기
CN1976753A (zh) 文件粉碎机装置
CN209480905U (zh) 拉伸缠绕膜的边料回收装置
JP5290602B2 (ja) 繊維細片の圧縮固型化装置
EP2018956A1 (en) Apparatus for perforating and deforming containers
CN111016293A (zh) 一种纸张转换设备及控制方法
JP2005046827A (ja) シュレッダー装置の廃棄用紙供給装置
JP2001046901A (ja) 破砕機
CN2053539U (zh) 文件粉碎机
JP2944421B2 (ja) 古紙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