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870A -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870A
KR20070026870A KR1020077002184A KR20077002184A KR20070026870A KR 20070026870 A KR20070026870 A KR 20070026870A KR 1020077002184 A KR1020077002184 A KR 1020077002184A KR 20077002184 A KR20077002184 A KR 20077002184A KR 20070026870 A KR20070026870 A KR 2007002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air
corrugated
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203B1 (ko
Inventor
šœ 요시오카
슈지 이케가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77Tube with heat transfer means
    • Y10T29/49378Finned tu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77Tube with heat transfer means
    • Y10T29/49378Finned tube
    • Y10T29/4938Common fin traverses plurality of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냉매 등의 유체와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통풍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핀의 표면적을 확대시키며, 그 성능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열교환기(60)의 핀으로서 골판 핀(70)을 이용한다. 이 골판 핀(70)은 골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골판 핀의 앞단 및 뒷단과 직교한다. 열교환기(60)에서는,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복수의 골판 핀(70)이 일정 피치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와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매 등의 유체와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으며, 공기조화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핀을 전열관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배치한 형식의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이 형식의 열교환기에서는, 전열(傳熱)관 내를 냉매 등의 유체가 유통하는 한편, 소정 피치로 배치된 서로 인접하는 핀 사이를 공기가 통과하여, 유체와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2001-304783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책으로는, 핀의 표면적, 즉 공기측의 전열 면적을 확대시키는 방책이 효과적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평판형의 핀과 전열관을 조합시킨 열교환기에서, 핀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인접하는 핀의 피치를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열교환기에서는, 핀 상호간의 피치가 짧아지면, 이에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부분이 좁아져, 통풍저항이 증대해간다. 이 때문에, 핀 피치의 단축에 의한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냉매 등의 유체와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에서, 통풍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핀의 표면적을 확대시키고, 그 성능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고성능의 열교환기를 사용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발명은,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며,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열교환기의 전면(前面)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이 골판 핀(70)의 피치와 동등하다.
제 3 발명은,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며,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열교환기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골판 핀(70)은, 이 골판 핀(70)의 양 옆에 위치한 평판 핀(65)과 접촉한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은,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66, 75)을 구비한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평판 핀(65)에는 관통공(66)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1 접관(collar)부(67)가, 골판 핀(70)에는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2 접관부(67)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관부(76)에 상기 제 1 접관부(67)가 삽입되고 이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에 이 제 1 접관부(67)의 외주 면이 밀착되는 한편, 상기 제 1 접관부(67)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고 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전열관(61)의 외주 면이 밀착된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평판 핀(65)에는 관통공(66)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1 접관부(67)가, 골판 핀(70)에는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2 접관부(67)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관부(67)에 상기 제 2 접관부(76)가 삽입되고 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이 제 2 접관부(76)의 외주 면이 밀착되는 한편, 상기 제 2 접관부(76)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고 이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에 전열관(61)의 외주 면이 밀착된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평판 핀(65)은,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66)을 구비하며 이 관통공(66)에 삽입 통과된 전열관(61)과 밀착되는 한편, 골판 핀(70)은, 그 양 옆에 위치한 1 쌍의 평판 핀(65) 사이에 유지된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골판 핀(70)에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과 직교하는 측부를 따라 평탄한 평탄부(78)가 형성된다.
제 10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골판 핀(70)에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과 직교하는 측부를 따라 평탄한 평탄부(78)가 형성된다.
제 11 발명은, 상기 제 1∼제 10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받는다.
제 12 발명은, 상기 제 3∼제 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중, 어느 한쪽 표면에만,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받는다.
제 13 및 제 14 발명은, 현열(顯熱)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온도조절부(55)와, 잠열(潛熱)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습도조절부(56, 57)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조절부(55)가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함과 더불어, 상기 습도조절부(56, 57)가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냉방제습운전을 적어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56, 57)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도조절부(55)는, 상기 냉방제습운전 중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로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것으로,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을 상기 핀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제 1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56, 57)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도조절부(55)는, 상기 냉방제습운전 중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로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것이고,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을 상기 핀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에는,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제 15, 제 16, 및 제 17 발명은, 열교환기(60)와, 이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또는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매체회로(40)를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동작과,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으로부터 이탈된 수분을 공기에 부여하는 동작을 교대로 실행하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제습된 공기와 이 열교환기(60)에서 가습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제 15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기(60)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핀 상호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 한편, 상기 열교환기(60)에는,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60)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한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핀 상호 간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 한편, 상기 열교환기(60)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제 17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기(60)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한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것이고,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을 상기 핀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며,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평판 핀(65)과 상기 골판 핀(70) 중, 어느 한쪽 표면에만,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 핀(65)과 상기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받는다.
[작용]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골판 핀(70)이 연교환기(60)에 핀으로서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60)에서 복수의 골판 핀(70)은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열교환기(60)에서는, 서로 인접한 골판 핀(70) 사이를 열교환기(60)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공기가 통과한다. 골판 핀(70)에서는,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된다. 또, 골판 핀(70)에서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즉,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은, 열교환기(60)의 공기 통과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골판 핀(70)은 골판형으로 형성되며, 동일 크기의 평판형으로 형성된 핀에 비해, 그 표면적이 크다. 이 골판 핀(70)을 열교환기(60)에 핀으로서 설치하면, 골판 핀(70)의 피치를 좁히지 않아도, 공기와의 전열면적이 증대한다.
상기 제 2 발명에서, 골판 핀(70)의 파형 진폭은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골판 핀(70)의 피치와 동등하다.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열교환기(60)에 핀으로서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60)에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은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사이를 열교환기(60)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공기가 통과한다. 골판 핀(70)에서는,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된다. 또, 골판 핀(70)에서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한다. 즉,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은 열교환기(60)의 공기 통과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골판 핀(70)은 골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동일크기의 평판형으로 형성된 핀에 비해 그 표면적이 크다. 이 골판 핀(70)을 열교환기(60)에 핀으로서 설치하면, 골판 핀(70)의 피치를 좁히지 않아도 공기와의 전열면적이 증대한다.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골판 핀(70)이 그 양 옆에 위치한 평판 핀(65)과 접촉한다. 즉, 골판 핀(70) 중, 파형의 피크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인접하는 한쪽 평판 핀(65)과 접촉한다. 또, 골판 핀(70) 중, 파형의 저부에 위치하는 부분은, 인접하는 다른 쪽 평판 핀(65)과 접촉한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각각에 관통공(66, 75)이 형성된다.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이나 골판 핀(70)의 관통공(66, 75)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어, 평판 핀(65)과 골판 핀에 전열관(61)이 관통된 상태로 된다.
상기 제 6 및 제 7 발명에서는, 평판 핀(65)에 제 1 접관부(67)가, 골판 핀(70)에 제 2 접관부(76)가 각각 형성된다. 평판 핀(65)에서 제 1 접관부(67)는, 관통공(66)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골판 핀(70)에서 제 2 접관부(76)는,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6 발명에서,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에는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가 삽입되며,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에는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된다. 열교환기(60)에서는 전열관(61)의 외주 면에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이 밀착됨으로써, 전열관(61)에 평판 핀(65)이 고정된다. 또, 열교환기(60)에서는, 제 1 접관부(67)의 외주 면에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이 밀착됨으로써, 평판 핀(65)에 골판 핀(70)이 고정된다.
상기 제 7 발명에서,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에는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가 삽입되며,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에는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된다. 열교환기(60)에서는, 전열관(61)의 외주 면에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이 밀착됨으로써, 전열관(61)에 골판 핀(70)이 고정된다. 또, 열교환기(60)에서는, 제 2 접관부(76)의 외주 면에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이 밀착됨으로써, 골판 핀(70)에 평판 핀(65)이 고정된다.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평판 핀(65)에 관통공(66)이 형성된다.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의 관통공(66)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며, 평판 핀(65)에 전열관(61)이 관통된 상태로 된다. 평판 핀(65)은, 그 관통공(66)에 삽입 통과된 전열관(61)과 밀착된다. 한편, 골판 핀(70)은, 그 양옆에 배치된 1 쌍의 평판 핀(65) 사이에 유지된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60)에서 골판 핀(70)은, 전열관(61)에 고정된 평판 핀(65)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유지된다.
상기 제 9 및 제 10 발명에서는, 골판 핀(70)에 평탄한 평탄부(78)가 형성된다. 골판 핀(70)에서 평탄부(78)는,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과 직교하는 측부를 따라 형성된다. 골판 핀(70)에서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과 직교하는 2개 측부의 한쪽을 따라 평탄부(78)가 형성되어도 되며, 2개의 측부 각각을 따라 평탄부(78)가 1개씩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11 발명에서는, 핀의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즉, 열교환기(60)에 골판 핀(70)이 설치된 경우는, 골판 핀(70)의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또, 열교환기(60)에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양쪽이 설치된 경우는, 평판 핀(65)의 표면과 골판 핀(70)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60)에서는, 서로 인접한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흡착층과 접촉하며, 이 공기와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다. 예를 들어,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면, 흡착층에 대한 공기 중, 수분의 흡착이 촉진된다. 또,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면, 흡착층으로부터의 수분 이탈이 촉진된다.
상기 제 12 발명에서는,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의 양쪽이 설치된 열교환기(60)에 있어서, 평판 핀(65)의 표면과 골판 핀(70) 표면 중, 어느 한쪽에만 흡착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흡착층과 접촉하며, 이 공기와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다. 예를 들어,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면, 흡착층에 대한 공기 중 수분의 흡착이 촉진된다. 또,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면, 흡착층으로부터의 수분 이탈이 촉진된다.
상기 제 13 및 제 14 발명에서는, 공기조화장치(10)에 온도조절부(55)와 습도조절부(56, 57)가 설치된다. 온도조절부(55)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한다. 습도조절부(56, 57)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한다. 이 공기조화장치(10)는, 적어도 냉방제습운전을 실행한다. 냉방제습운전 중에는, 온도조절부(55)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며, 습도조절부(56, 57)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습한다.
이들 발명의 온도조절부(55)는, 제 1∼제 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60)로 이루어진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에 의해 구성된다. 즉, 이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는, 골판 핀(70)이 설치된 열교환기(60)로 구성된다. 공기조화장치(10)의 냉방제습운전 중에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가 공급되어,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를 통과할 때에 공기가 냉각된다. 한편, 습도조절부(56, 57)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량을 조절한다. 공기조화장치(10)의 냉방제습운전 중에, 습도조절부(56, 57)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흡착제와 접촉시켜, 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흡착제에 흡착시킨다.
여기서,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 내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는 상태에서는, 핀 표면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핀 표면에 발생한 응축수(drain water)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반해, 제 10 발명의 열교환기(60)에서는 핀 표면의 흡착층에 공기 중, 수분이 흡착되므로, 전열관(61) 내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는 상태에서도, 핀 표면에 드레인(응축)수가 생성되는 일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또, 이들 제 13 및 제 14 발명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습도조절부(56, 57)가 공기의 습도조절에 의해 잠열부하를 처리하므로, 온도조절부(55)는 오로지 현열부하만 처리하면 된다. 따라서, 온도조절부(55)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에서는, 전열관(61) 내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핀 표면에 드레인(응축)수가 거의 또는 전혀 생성되지 않는다. 골판 핀(70)을 구비한 제 1∼제 9 발명의 열교환기(60)는, 이와 같은 드레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에 적합하다.
상기 제 15, 제 16, 및 제 17 발명에서는, 제 11 또는 제 12 발명의 열교환기, 즉 흡착층을 구비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의 전열관(61)에 접속되는 열매체회로(40)가 공기조화장치(10)에 설치된다. 이 공기조화장치(10)는, 열교환기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는 동작과, 열교환기의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한다. 열교환기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면, 흡착층에 대한 수분의 흡착이 촉진된다. 한편, 열교환기의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면, 흡착층으로부터의 수분 이탈이 촉진된다. 그리고 공기조화장치(10)는, 열교환기의 흡착층에 수분이 탈취되어 제습된 공기와, 열교환기의 흡착층으로부터 이탈된 수분이 부여되어 가습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조화를 실행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을 열교환기(60)에 핀으로서 설치한다. 이로써, 평판형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1매당 표면적이 큰 골판 핀(70)을 채용함으로써, 핀의 피치를 좁히는 일없이 열교환기(60)의 공기와의 전열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열교환기(60)에서,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은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므로, 열교환기(6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골판 핀(70)으로 저해되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60)에서의 통풍저항 증대를 억제하면서 공기와의 전열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열교환기(60)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상기 제 9 및 제 10 발명에서는, 골판 핀(70)의 측부를 따라 평탄부(78)를 형성하므로, 이 평탄부(78)에 의해 골판 핀(70)의 강성(rigidity)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판 핀(70)의 판 두께를 증대시키는 일없이 골판 핀(70)의 변형을 억제하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11 발명에서는, 핀의 표면에 흡착층을 형성하며, 공기 중의 수분을 흡탈착하는 기능을 열교환기(60)에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60)에 골판 핀(70)을 설치하므로, 흡착층의 면적도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층이 형성된 열교환기(60)의 수분 흡탈착성능을 향상시키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 13 및 제 14 발명에서는, 제 1∼제 9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열교환기(60)를 주로 현열부하 처리를 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로서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골판 핀(70)을 갖는 제 1∼제 9 발명의 고성능 열교환기(60)를 드레인 처리가 필요 없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로서 이용하므로, 공기조화장치(10)의 능력을 확보하면서 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5, 제 16, 및 제 17 발명에서는, 제 11 또는 제 12 발명의 열교환기(60)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골판 핀(70)을 갖는 제 11 또는 제 12 발명의 고성능 열교환기(60)를 이용하므로, 공기조화장치(10)의 조습능력을 확보하면서 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방제습운전의 제 1 동작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방제습운전의 제 2동작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난방가습운전의 제 1 동작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난방가습운전의 제 2 동작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제습냉각운전 시, 동작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제 1 동작을, (B)는 제 2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냉매회로 구성과 가습난방운전 시, 동작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제 1 동작을, (B)는 제 2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열교환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골판 핀 배치를 나타낸 열교환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골판 핀 배치를 나타낸 열교환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개략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조립 전의 상태를, (B)는 조립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골판 핀과 평판 핀의 배치를 나타낸 열교환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열교환기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조립 전의 상태를, (B)는 조립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골판 핀과 평판 핀의 배치를 나타낸 열교환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A)는 조립 전의 상태를, (B)는 조립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열교환기 개략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A)는 조립 전의 상태를, (B)는 조립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9는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골판 핀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20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골판 핀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1은 그 밖의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골판 핀의 개략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공기조화장치 40 : 냉매회로(열매체회로)
55 : 실내 열교환기(온도조절부, 온도조절용 열교환기)
56 : 제 1 흡착열교환기(습도조절부)
57 : 제 2 흡착열교환기(습도조절부)
60 : 열교환기 61 : 전열관(傳熱管)
65 : 평판 핀 66, 75 : 관통공
67 : 제 1 접관(collar)부 70 : 골판 핀
76 : 제 2 접관부 78 : 평탄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는, 열매체회로로서의 냉매회로(40)에서 냉매를 순환시키고 증기압축 냉동주기를 행하여, 실내의 현열(顯熱)부하와 잠열(潛熱)부하 양쪽을 처리한다.
[공기조화장치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이른바 분리형으로 구성되며, 실내유닛(11)과 실외유닛(12)을 구비한다. 실내유닛(11)은,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구비하며, 옥내에 설치된다. 이 실내유닛(11)은 이른바 벽걸이형으로 구성되며,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다. 한편, 실외유닛(12)은 실외 열교환기(54)를 구비하며, 옥외에 설치된다.
실내유닛(11)과 실외유닛(12)은, 가스측 연락배관(43) 및 액측 연락배관(44)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실외유닛(12)의 실외 케이싱(13)에는, 실외 열교환기(54) 외에 압축기(50)나 실외 팬(14)이 수납된다.
실내유닛(11)은,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된 실내 케이싱(20)을 구비한다. 실내 케이싱(20)에는, 그 전면(前面)에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케이싱(20)의 전면 상부에,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좌우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실내 케이싱(20)을 전면 쪽에서 본 상태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는 왼쪽에, 제 2 흡착열교환기(57)는 오른쪽에 각각 설치된다. 실내 케이싱(20)의 전면에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아래쪽에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로서의 실내 열교환기(55)가 배치되며, 실내 열교환기(55)의 아래쪽에는 토출구(26)가 개구된다.
실내 케이싱(20)의 내부공간은 전면측과 배면측으로 구획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배면측 공간은 배기통로(24)를 구성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전면측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이 전면측 공간 중, 하측 공간은 실내 열교환기(55)의 배면측에 위치하며, 급기통로(23)를 구성한다. 한편, 전면측 공간 중, 상측 공간은 다시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왼쪽 제 1 흡착열교환기(56)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쪽이 제 1 공간(21)을, 오른쪽 제 2 흡착열교환기(57)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쪽이 제 2 공간(22)을 각각 구성한다.
실내 케이싱(20) 내의 배기통로(24)에는 배기 팬(32)이 수납된다. 또, 배기통로(24)에는, 실외로 개구하는 배기덕트(25)가 접속된다. 한편, 급기통로(23)에는 실내 팬(31)이 수납된다. 이 급기통로(23)는 토출구(26)로 연통된다.
실내 케이싱(20)에는 개폐식 댐퍼(33∼36)가 4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공간(21)과 급기통로(23)의 구획에는 제 1 급기댐퍼(33)가, 제 1 공간(21)과 배기통로(24)의 구획에는 제 1 배기댐퍼(34)가 각각 설치된다. 또, 제 2 공간(22)과 급기통로(23)의 구획에는 제 2 급기댐퍼(35)가, 제 2 공간(22)과 배기통로(24)의 구획에는 제 2 배기댐퍼(36)가 각각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냉매회로(40)에는, 압축기(50)와 전동팽창밸브(53)가 1개씩 설치되며, 사방향선택밸브(51, 52)가 2개 설치된다. 또, 냉매회로(40)에는, 실외 열교환기(54)와 실내 열교환기(55)가 1개씩 설치되며, 흡착열교환기(56, 57)가 2개 설치된다.
상기 냉매회로(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압축기(50)는, 그 토출측이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의 제 1 포트에, 그 흡입측이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외 열교환기(54)는, 그 한끝이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의 제 3 포트에, 다른 끝이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의 제 1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실내 열교환기(55)는, 그 한끝이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의 제 4 포트에, 다른 끝이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의 제 2 포트에 각각 접속된다. 이 냉매회로(40)에서는,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의 제 3 포트부터 제 4 포트를 향해 차례로,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전동팽창밸브(53)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배치된다.
상기 냉매회로(40) 중, 압축기(50)와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와 실외 열교환기(54)가 설치된 부분은 옥외회로(41)를 구성하며, 실외 유닛(12)에 수납된다. 한편, 냉매회로(40) 중,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 와, 전동팽창밸브(53), 및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가 배치된 부분은 옥내회로(42)를 구성하며, 실내 유닛(11)에 수납된다. 옥내회로(42)의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 쪽 단부는, 옥외회로(41)의 실외 열교환기(54) 쪽 단부에 액측 연락배관(44)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옥내회로(42)의 실내 열교환기(55) 쪽 단부는, 옥외회로(41)의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 쪽 단부에 가스측 연락배관(43)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실외 열교환기(54), 실내 열교환기(55), 및 각 흡착열교환기(56, 57)는 모두 전열관(61)과 다수의 핀으로 구성된 크로스핀식 핀 튜브형의 열교환기이다.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는, 본 발명에 관한 열교환기(60)로 구성된다.
각 흡착열교환기(56, 57)에는 그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나 실리카겔 등이 이용된다. 핀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흡착층의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다. 각 흡착열교환기(56, 57)는, 실내의 잠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공기 중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구성한다.
실외 열교환기(54) 및 실내 열교환기(55)는, 각각의 핀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지 않으며,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만 행한다. 실외 열교환기(54)에서는 실외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실내 열교환기(55)에서는 실내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실내 열교환기(54)는, 실내의 현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6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7에 나타낸 상태)로 바꾸어진다. 한편, 상기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6의 (A) 및 도 7의 (B)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서로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서로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6의 (B) 및 도 7의 (A)에 나타낸 상태)로 바꾸어진다.
[열교환기의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5),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는, 본 발명에 관한 열교환기(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열교환기(60)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60)는, 곧은 관 형상의 전열관(61)과, 골판형의 골판 핀(70)을 복수 개씩 구비한다. 열교환기(60)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판형 내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그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공기가 통과한다.
열교환기(60)에서 전열관(61)은, 거의 수평인 자세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열교환기(60)에서는, 인접하는 전열관(61)의 끝단부가 U자형 관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1개 또는 복수의 패스가 형성된다.
한편, 골판 핀(70)은, 그 핀 면이 전열관(6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자세로,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치된다. 골판 핀(70)은 산부(71)와 골부(72)가 일정주기로 교대로 형성된 골판형상이다. 즉, 이 골판 핀(70)의 파형은 삼각파 형상이며, 도 8의 상하방향으로 산부(71)와 골부(72)가 일정주기로 교대로 형성된 형상이다. 여기서, 도 8의 우측 앞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산부(71)로 하며, 도 8의 좌측 뒤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골부(72)로 한다.
골판 핀(70)에서는, 공기흐름의 상류 쪽에 위치하는 측면이 앞단(73)이며, 그 하류 쪽에 위치하는 측면이 뒷단(74)이다. 즉, 골판 핀(70)에서는, 그 앞단(73)이 열교환기(60)의 전면 쪽에, 뒷단(74)이 열교환기(60)의 배면 쪽에 각각 위치한다.
골판 핀(70)에는,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75)이 형성된다. 또, 골판 핀(70)에는,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접관부(76)가 돌출 형성된다. 도 8에서 접관부(76)는, 골판 핀(70)의 핀 면으로부터 우측 앞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접관부(76)에는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며, 접관부(76)의 내주 면이 전열관(61)의 외주 면과 밀착된다. 또, 접관부(76)의 돌출된 끝이, 인접하는 골판 핀(70)에 닿음으로써, 골판 핀(70)의 상호간 간격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60)에서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전열관(61)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된다. 또,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은, 골판 핀(70)의 앞단(73) 및 뒷단(74)과 직교한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골판 핀(70)에 대해 각각의 파형 주기가 일치한다. 또,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의 파형 진폭(W)이, 골판 핀(70) 상호간의 피치(FP)와 동등하다. 그리고 열교환기(60)에서는, 일정 피치로 배열된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골판 핀(7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된다.
제 1,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이용되는 열교환기(60)에는, 골판 핀(70)의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의 열교환기(60)에서는, 일정 피치로 배열된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골판 핀(7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됨과 동시에, 골판 핀(70)의 표면에 형성된 흡착층과 접촉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55)로서 이용되는 열교환기(60)에서, 골판 핀(70)의 표면에 흡착층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55)로서의 열교환기(60)에서는, 일정 피치로 배열된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골판 핀(7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냉방제습운전과 난방가습운전이 이루어진다.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 실내 팬(31) 및 배기 팬(32)을 운전하면, 실내 열교환기(55), 제 1 흡착열교환기(56), 및 제 2 흡착열교환기(57) 각각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된다. 또, 실외 팬(14)을 운전하면, 실외 열교환기(54)로 실외공기가 유입된다.
<냉방제습운전>
냉방제습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가 제 1 상태로 설정됨과 동시에, 전동팽창밸브(53)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며, 실외 열교환기(54)가 응축기로 되고, 실내 열교환기(55)가 증발기로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5)에서 냉각된 실내공기가 급기통로(23)를 통해 토출구(26)로부터 실내로 회송되는 한편, 실외 열교환기(54)에서 냉매로부터 흡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냉방제습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54)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며, 전동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7)와 실내 열교환기(55)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여, 압축기(50)로 흡입 압축된다. 그 제 1 동작 중에는, 고압냉매가 가열용 열매체로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로 공급되고, 저압매체가 냉각용 열매체로서 제 2 흡착열교환기(57)로 공급된다.
제 1 동작 중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이탈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배기댐퍼(34)를 지나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급기댐퍼(35)를 지나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54)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고, 전동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실내 열교환기(55)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하여, 압축기(50)로 흡입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는, 고압냉매가 가열용 열매체로서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공급되며, 저압냉매가 냉각용 열매체로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공급된다.
제 2 동작 중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 기댐퍼(36)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제습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급기댐퍼(33)를 지나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로부터 이탈된 수분은, 실내공기와 함께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배기댐퍼(36)를 지나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흡착열교환기(56, 57)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적인 공기조화장치에서, 냉방운전 시의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증발온도는, 실내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은 값(예를 들어, 5℃ 정도)으로 설정된다. 이는 실내 열교환기로 실내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제습하기 위함이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 냉방제습운전에서는,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 실내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므로, 실내 열교환기(55)에서는 실내공기를 제습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이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냉방제습운전 중의 실내 열교환기(55) 냉매증발온도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경우보다 약간 높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냉방제습운전 중의 실내 열교환기(55) 냉매증발온도가, 실내 열교환기(55)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로써 실내 열교환기(55)에서는 냉방제습운전 중이라도 응축(드레인)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 냉방제습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동작 중은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된다. 증발기로 되는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층에 흡착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하여 전열관(61) 내의 냉매가 증발한다. 즉, 증발기로 되는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이곳을 통과하는 실내공기의 절대습도가 저하되어가는 한편, 그 온도는 그다지 저하되지 않는다. 이로써, 증발기로 된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 골판 핀(7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난방가습운전]
난방가습운전 중의 동작에 대해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40)에서는, 제 1 사방향선택밸브(51)가 제 2 상태로 설정됨과 더불어 전동팽창밸브(53)의 개방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며, 실내 열교환기(55)가 응축기로 되고 실외 열교환기(54)가 증발기로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55)에서 가열된 실내공기가 급기통로(23)를 통해 토출구(26)로부터 실내로 회송되며, 실외 열교환기(54)에서 냉매에 방열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난방가습운전 중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응축기로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기로 되는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재생동작과,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대한 흡착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중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1 흡착열교환기(56)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며, 전동팽창밸브(53)로 감압된 후, 제 2 흡착열교환기(57)와 실외 열교환기(54)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되어, 압축기(50)로 흡입 압축된다. 이 제 1 동작 중에는, 고압냉매가 가열용 열매체로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공급되며, 저압냉매가 냉각용 열매체로서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공급된다.
제 1 동작 중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급기댐퍼(33)를 통해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배기댐퍼(36)를 통해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열교 환기(57)에 대한 재생동작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중은,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사방향선택밸브(52)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55)와 제 2 흡착열교환기(57)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응축되며, 이어서 전동팽창밸브(53)에서 감압된 후, 제 1 흡착열교환기(56)와 실외 열교환기(54)를 차례로 통과하는 사이에 증발되어, 압축기(50)로 흡입 압축된다. 이 제 2 동작 중에는, 고압냉매가 가열용 열매체로서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 공급되며, 저압냉매가 냉각용 열매체로서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 공급된다.
제 2 동작 중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배기댐퍼(34) 및 제 2 급기댐퍼(35)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급기댐퍼(33) 및 제 2 배기댐퍼(36)가 폐쇄상태로 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실내공기가 제습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56)에서 수분이 탈취된 실내공기는, 제 1 공간(21)으로부터 제 1 배기댐퍼(34)를 통해 배기통로(24)로 유입되어, 배기덕트(25)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는, 냉매로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이탈되며, 이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57)에서 가습된 실내공기는, 제 2 공간(22)으로부터 제 2 급기댐퍼(35)를 통해 급기통로(23)로 유입되어, 토출구(26)를 통해 실내로 회송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 난방가습운전에서, 제 1 동작 중은 제 2 흡착열교환기(57)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동작 중은 제 1 흡착열교환기(56)가 증발 기로 된다. 이 난방가습운전 중에도, 증발기로 되는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는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층에 흡착되며, 이 때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하여 전열관(61) 내의 냉매가 증발한다. 따라서, 냉방제습운전 중과 마찬가지로 난방가습운전 중에도, 증발기로 되는 흡착열교환기(56, 57)의 골판 핀(70)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골판 핀(70)을 구비한 열교환기(60)를 채용했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1 매당 표면적이 큰 골판 핀(70)을 채용하므로, 골판 핀(70)의 피치를 좁히는 일없이, 열교환기(60)의 공기와의 전열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 이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이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도록 골판 핀(70)을 배치했다. 이로써, 열교환기(6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골판 핀(70)으로 저해되는 일은 없으며, 공기가 열교환기(60)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순조롭게 통과해간다. 따라서,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열교환기(60)를 채용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에서의 통풍저항 증대를 억제하면서 공기측의 전열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를 대폭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60)에 있어서, 골판 핀(70) 위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 생성된 응축수(드레인수)가 흘러내리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는 말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서는, 실내 열교환기(55)와 흡착열교환기(56, 57) 중, 증발기로 되는 것에 있어서, 골판 핀(70)의 표면에 공기 중, 수분이 응축되는 일은 거의 혹은 전혀 없다. 이로써, 상기 공기조화장치(10)의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골판 핀(70)을 구비한 상기 열교환기(60)는 매우 적합하며, 이 열교환기(60)를 채용함으로써 실내유닛(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채용한 열교환기(60)에 있어서, 인접한 골판 핀(70)의 파형 주기가 일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골판 핀(70) 각각의 파형 주기가 반 주기만 달라도 된다. 이 경우, 열교환기(60)에서는, 인접한 골판 핀(70)의 한쪽 산부(71)와 다른 쪽 골부(72)가 서로 접촉하며, 인접하는 골판 핀(70)으로 둘러싸인 사각형 단면의 공간을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채용되는 열교환기(6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 이 열교환기(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는, 곧은 관 형상의 전열관(61)과, 평판형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의 골판 핀(70)을 복수 개씩 구비한다. 열교환기(60)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판형상 내지 편평한 입방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그 전면부터 배면을 향해 공기가 통과한다.
열교환기(60)에서 전열관(61)은, 거의 수평인 자세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열교환기(60)에서는, 인접한 전열관(61)의 끝단부가 U자형 관으로 서로 접속되며, 1개 또는 복수의 패스가 형성된다.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은 각각의 핀 면이 전열관(6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자세로,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교대로 배치된다.
평판 핀(65)은 세로로 긴 평탄한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평판 핀(65)에는,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66)이 형성된다. 또, 평판 핀(65)에는, 관통공(66)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1 접관부(67)가 돌출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제 1 접관부(67)는, 평판 핀(65)의 핀 면으로부터 오른쪽 앞방향으로 돌출된다.
골판 핀(7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이 골판 핀(70)은, 산부(71)와 골부(72)가 일정주기로 교대로 형성된 골판형상이며,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골판 핀(70)의 앞단(73)이나 뒷단(74)과 직교한다. 또, 골판 핀(70)에는,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75)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2 접관부(76)가 돌출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에서, 이 제 2 접관부(76)는, 골판 핀(70)의 핀 면으로부터 우측 앞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에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가 삽입되며,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된다. 즉, 이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의 관통공(66, 75)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된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전열관(61)을 확대시킴으로써, 전열관(61)의 외주 면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밀착되며, 제 1 접관부(67)의 외주 면이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에 밀착된다. 또, 이 열교환기(60)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골판 핀(70)의 파형 주기가 일치한다.
제 1, 제 2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이용되는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의 표면과 골판 핀(70)의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의 열교환기(60)에서, 일정 피치로 교대로 배열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는,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되는 동시에,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의 표면에 형성된 흡착층과 접촉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55)로서 이용되는 열교환기(60)에서,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의 표면에 흡착층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55)로서의 열교환기(60)에서는, 일정 피치로 교대로 배열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 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여기서, 본 변형예의 열교환기(60)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 돌출방향과,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 돌출방향이 역방향으로 된다. 이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에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가 삽입되며, 골판 핀(70)의 제 2 접관부(76)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된다. 즉, 이 열교환기(60)에서는,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의 관통공(66, 75)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이 열교환기(60)에서는, 전열관(61)을 확관시킴으로써, 전열관(61)의 외주 면이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에 밀착되며, 제 2 접관부(76)의 외주 면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밀착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에서, 서로 인접하는 골판 핀(70)의 파형 주기가 일치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핀(65)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1 쌍의 골판 핀(70)에 대해, 각각의 파형 주기가 반 주기만큼 달라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 흡착열교환기(56, 57)를 구성하는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의 표면에만 흡착층이 형성되어도 되며, 이와 반대로 평판 핀(65)의 표면 에만 흡착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공기조화장치(10)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55)나 흡착열교환기(56, 57)로서 채용되는 열교환기(6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 이 열교환기(60)의 구성에 대해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의 구성이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구성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골판 핀(70)에는 복수의 벤자리(notch)부(77)가 형성되며, 제 2 접관부(76)는 설치되지 않는다. 이 벤자리부(77)는 골판 핀(70)의 일부분을 뒷단(74) 측부터 앞단(73)을 향해 소정의 폭에 걸쳐 절삭함으로써 형성된다. 벤자리부(77)의 폭은,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 바깥지름과 거의 동등하거나, 그 바깥지름보다 약간 넓다. 또, 골판 핀(70)의 벤자리부(77) 피치는,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 피치와 동등하다.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에서는, 전열관(61)이 평판 핀(65)의 제 1 접관부(67)에 삽입 통과되며, 전열관(61)을 확관시킴으로써 전열관(61)의 외주 면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밀착된다. 골판 핀(70)은 전열관(61)에 고정된 평판 핀(65) 사이에 삽입되고, 그 양 옆에 위치하는 평판 핀(65) 사이에 개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에서는, 서로 인접한 2매의 평판 핀(65) 사이에 골판 핀(70)이 삽입되고, 이 골판 핀(70)이 양 옆의 평판 핀(65) 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열교환기(60)로 흡착열교환기(56, 57)를 구성할 경우는, 평판 핀(65)의 표면과 골판 핀(70)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된다. 또, 이 열교환기(60)로 실내 열교환기(55)를 구성할 경우는, 평판 핀(65)의 표면과 골판 핀(70) 표면에 흡착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들 점은,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60)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여기서, 본 변형예의 열교환기(60)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의 열교환기(60)에서는, 일정 피치로 배치된 평판 핀(65) 사이에 골판 핀(70)이 2개씩 삽입된다. 이 골판 핀(70)의 폭(LW)은, 평판 핀(65)의 폭보다 짧다. 구체적으로, 골판 핀(70)의 폭(LW)은, 평판 핀(65) 중, 제 1 접관부(67)보다 앞단(73) 쪽 부분의 폭(LF)과 동등하다. 또, 이 평판 핀(65)에서는, 제 1 접관부(67)보다 뒷단(74) 쪽 부분의 폭도 LF이다. 그리고 이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이 그 양 옆에 위치하는 평판 핀(65) 사이에 유지된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 흡착열교환기(56, 57)를 구성하는 열교환기(60)에서는, 골판 핀(70)의 표면에만 흡착층이 형성되어도 되며, 이와 반대로 평판 핀(65)의 표면에만 흡착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제 1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60)의 골판 핀(70)에 평탄부(78)를 형성해도 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골판 핀(70)에서는, 그 앞단(73)을 따른 부분과 뒷단(74)을 따른 부분 각각에, 비교적 폭이 좁고 평탄한 평탄부(7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평탄부(78)를 골판 핀(70)에 형성하면, 골판 핀(70)의 강성(剛性)이 확보되어, 핀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골판 핀(70)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 골판 핀(70)에서 평탄부(78)는, 앞단(73)을 따른 부분에만 형성되어도 되며, 뒷단(74)을 따른 부분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60)의 골판 핀(70) 파형을 3각 파형상으로 하였지만, 골판 핀(70) 파형은 3각 파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판 핀(70)의 파형은 볼록형상의 원호와 오목형상의 원호가 교대로 반복되는 곡면파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또, 골판 핀(70)의 파형을 곡면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골판 핀(70)의 파형은 원호면이 반복되는 곡면파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파형이 사인파 형상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골판 핀(70)의 파형을 곡면파 형상으로 하면, 골판 핀(70)으로 구획된 공간의 단면이 원형에 가까워져, 이 공간을 통과할 때의 공기 압력손실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판 핀(70)의 파형은 볼록형상의 사다리꼴 과 오목형상의 사다리꼴이 교대로 반복되는 구형파(矩形波)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골판 핀(70)의 파형을 구형파 형상으로 한 경우,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골판 핀(70)만을 구비한 열교환기(60)에서는, 서로 인접한 골판 핀(70)의 접촉면적이 증대하며, 인접하는 골판 핀(70) 상호 간에서 이동하는 열량이 증대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같은 골판 핀(70)과 평판 핀(65)을 구비한 열교환기(60)에서는, 서로 인접한 골판 핀(70)과 평판 핀(65)의 접촉면적이 증대하며, 서로 인접한 골판 핀(70)과 평판 핀(65) 사이에서 이동하는 열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열교환기(60)에 설치된 핀의 온도를 평균화할 수 있으며, 핀 효율을 향상시켜 열교환기(60)의 성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열교환기(60)의 골판 핀(70)에서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골판 핀(70)의 앞단(73) 및 뒷단(74)과 직교하지만, 그 파형의 능선방향과 골판 핀(70)의 앞단(73) 및 뒷단(74)이 이루는 각도가 정확하게 90°일 필요는 없다. 즉,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을 앞단(73) 및 뒷단(74)과 거의 직교시킨 이유는, 열교환기를 전면에서 배면을 향해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골판 핀(70)에 의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는다면, 골판 핀(70)의 파형 능선방향과 앞단(73) 및 뒷단(74)이 이루는 각도가 정확하게 90°에서 다소 벗어나도(예를 들어, 당해 각도가 90°에서 ±5°정도 벗어나도), 파형의 능선방향이 앞단(73) 및 뒷단(74)과 거의 직교한다고 표현해도 지장이 없다.
[제 4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습도조절부를 2개의 흡착열교환기(56, 57)로 구성하였지만, 이 습도조절부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를 습도조절하는 것이라면 되며, 흡착열교환기(56, 5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회전식 제습기 등에 이용되는 흡착 회전기에 의해 습도조절부가 구성되어도 된다. 이 흡착 회전기에는, 벌집형상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베이스재료와, 그 베이스재료의 표면에 형성된 흡착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를 그대로 흡착 회전기로 보내면, 흡착 회전기를 통과하는 사이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층에 흡착되어 공기가 제습된다. 또, 가열기 등으로 가열시킨 공기를 흡착 회전기로 보내면, 흡착 회전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가열된 흡착층으로부터 수분이 이탈되어, 이 이탈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매 등의 유체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및 이 열교환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에 대해 유용한다.

Claims (17)

  1. 전열관(傳熱管)(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한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로서,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열교환기의 전면(前面)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는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이 골판 핀(70) 상호 간의 피치와 동등한, 열교환기.
  3.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한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로서,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 며,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열교환기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는, 열교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골판 핀(70)은, 이 골판 핀(70)의 양 옆에 위치하는 평판 핀(65)과 접촉하는, 열교환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평판 핀(65) 및 골판 핀(70)은,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66, 75)을 구비한, 열교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평판 핀(65)에는 관통공(66)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1 접관(collar)부(67)가, 골판 핀(70)에는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2 접관부(67)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관부(76)에 상기 제 1 접관부(67)가 삽입되고 이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에 이 제 1 접관부(67)의 외주 면이 밀착되는 한편, 상기 제 1 접관부(67)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고 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전열관(61) 의 외주 면이 밀착되는, 열교환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평판 핀(65)에는 관통공(66)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1 접관부(67)가, 골판 핀(70)에는 관통공(75) 둘레에 연속되는 원통형의 제 2 접관부(67)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관부(67)에 상기 제 2 접관부(76)가 삽입되고 이 제 1 접관부(67)의 내주 면에 이 제 2 접관부(76)의 외주 면이 밀착되는 한편, 상기 제 2 접관부(76)에 전열관(61)이 삽입 통과되고 이 제 2 접관부(76)의 내주 면에 전열관(61)의 외주 면이 밀착되는, 열교환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평판 핀(65)은, 전열관(61)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66)을 구비하며 이 관통공(66)에 삽입 통과된 전열관(61)과 밀착되는 한편,
    골판 핀(70)은, 그 양 옆에 위치하는 1 쌍의 평판 핀(65) 사이에 유지되는, 열교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골판 핀(70)에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과 직교하는 측부를 따라 평탄한 평탄부(78)가 형성되는, 열교환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골판 핀(70)에는, 그 파형의 능선방향과 직교하는 측부를 따라 평탄한 평탄부(78)가 형성되는, 열교환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 열교환기.
  1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중, 어느 한쪽 표면에만,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평판 핀(65)과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받는, 열교환기.
  13. 현열(顯熱)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온도조절부(55)와, 잠열(潛熱)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습도조절부(56, 57)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조절부(55)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함과 더불어, 상기 습도조절부(56, 57)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냉방제습운전을 적어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습도조절부(56, 57)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도조절부(55)는, 상기 냉방제습운전 중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로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한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것이고,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을 상기 핀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는 공기조화장치.
  14. 현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온도조절부(55)와, 잠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습도조절부(56, 57)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조절부(55)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함과 더불어, 상기 습도조절부(56, 57)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냉방제습운전을 적어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습도조절부(56, 57)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수분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부(55)는, 상기 냉방제습운전 중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기와 열교환 시키는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로 구성되며,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 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것이며,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을 상기 핀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에는,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열교환기(60)와, 이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또는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매체회로(40)를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동작과,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으로부터 이탈된 수분을 공기에 부여하는 동작을 교대로 실행하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제습된 공기와 이 열교환기(60)에서 가습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열교환기(60)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 한편,
    상기 열교환기(60)에는, 골판형으로 형성된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열교환기(60)와, 이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또는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매체회로(40)를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동작과,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으로부터 이탈된 수분을 공기에 부여하는 동작을 교대로 실행하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제습된 공기와 이 열교환기(60)에서 가습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열교환기(60)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며,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핀의 표면에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 한편,
    상기 열교환기(60)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이 상기 핀으로서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60)에서는,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열교환기(60)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열교환기(60)와, 이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또는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매체회로(40)를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냉각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시키는 동작과, 상기 열교환기(60)의 전열관(61)에 가열용 열매체를 공급하여 이 열교환기(60)의 흡착층으로부터 이탈된 수분을 공기에 부여하는 동작을 교대로 실행하고, 상기 열교환기(60)에서 제습된 공기와 이 열교환기(60)에서 가습된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조화장치로서,
    상기 열교환기(60)는, 전열관(61)과, 이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 수의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전열관(61) 내를 흐르는 유체와, 서로 인접하는 상기 핀 사이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것이고, 평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평판 핀(65)과 골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골판 핀(70)을 상기 핀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으로 평판 핀(65)과 골판 핀(70)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골판 핀(70)은, 그 파형의 진폭방향이 상기 전열관(61)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그 파형의 능선방향이 상기 온도조절용 열교환기(55)의 전면 및 배면과 거의 직교하며,
    상기 열교환기(60)에는, 상기 평판 핀(65)과 상기 골판 핀(70) 중, 어느 한쪽 표면에만 흡착제로 이루어진 흡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평판 핀(65)과 상기 골판 핀(7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흡착층 사이에서 수분을 주고 받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77002184A 2004-06-30 2005-06-30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 KR100858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2589 2004-06-30
JP2004192589A JP3815491B2 (ja) 2004-06-30 2004-06-30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870A true KR20070026870A (ko) 2007-03-08
KR100858203B1 KR100858203B1 (ko) 2008-09-10

Family

ID=3578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84A KR100858203B1 (ko) 2004-06-30 2005-06-30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22408B2 (ko)
EP (1) EP1780488B1 (ko)
JP (1) JP3815491B2 (ko)
KR (1) KR100858203B1 (ko)
CN (1) CN100465569C (ko)
AT (1) ATE505704T1 (ko)
AU (1) AU2005258474B2 (ko)
DE (1) DE602005027467D1 (ko)
ES (1) ES2361088T3 (ko)
WO (1) WO2006004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7251B2 (ja) * 2006-07-26 2012-03-28 フルタ電機株式会社 エアブロー装置の放熱機構
JP4075950B2 (ja) * 2006-08-02 2008-04-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9006126A (ja) 2007-05-31 2009-01-15 Panasonic Corp 衣類乾燥装置
JP4311488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20090078393A1 (en) * 2007-09-21 2009-03-26 Ho-Jan Tsai Air conditioning operating on heat exchange between water supply system and ground enthalpy
JP5362537B2 (ja) * 2008-12-25 2013-12-11 三洋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冷却システム及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TW201103414A (en) * 2009-07-01 2011-01-16 Young Bright Technology Corp Heat dissipation module
KR20110083020A (ko) * 2010-01-13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 교환기
WO2012059735A2 (en) * 2010-11-03 2012-05-10 Power Fin Technologies Limi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block, spacer means therefor, and heat exchanger block
CN102135386B (zh) * 2011-04-21 2012-12-05 天津大学 自然对流型空调末端
WO2013001744A1 (ja) * 2011-06-29 2013-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WO2013018270A1 (ja) * 2011-08-01 2013-0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5772479B2 (ja) * 2011-10-13 2015-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8696802B2 (en) * 2012-03-02 2014-04-15 Hamilton Sunstrand Space System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US8702851B2 (en) * 2012-03-02 2014-04-22 Hamilton Sundstrand Space System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CN102878664B (zh) * 2012-10-26 2015-02-04 湖北靛蓝科技有限公司 机房精密空调及其一体式换热器
JP2013130389A (ja) * 2013-01-07 2013-07-04 Univ Of Tokyo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装置
CN104110991B (zh) * 2014-08-01 2016-04-06 兰州交通大学 椭圆管管翅式换热器流线型等波幅正/余弦形波纹翅片
CN104110988B (zh) * 2014-08-01 2016-04-06 兰州交通大学 圆管管翅式换热器流线型变波幅正/余弦形波纹翅片
CN104110990B (zh) * 2014-08-01 2016-04-06 兰州交通大学 圆管管翅式换热器流线型变波幅波纹翅片
WO2016015324A1 (zh) * 2014-08-01 2016-02-04 王良璧 管翅式换热器流线型波纹翅片
US10386100B2 (en) 2014-11-12 2019-08-20 Carrier Corporation Adsorption system heat exchanger
CN105066727A (zh) * 2015-07-31 2015-11-18 中国华电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颗粒凝并的换热器
CN105352229A (zh) * 2015-12-09 2016-02-24 浙江腾云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蒸发器的蒸发板
CN106052462B (zh) * 2016-06-24 2018-04-20 西安科技大学 一种矿井空冷器用波纹翅片换热结构及其设计方法
US11313630B2 (en) 2016-07-01 2022-04-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N106642339A (zh) * 2016-12-23 2017-05-10 江苏大学 一种小空间简易连续空气除湿装置
WO2018143619A1 (en) * 2017-02-03 2018-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7212412A1 (de) * 2017-07-19 2019-01-24 Weiss Umwelttechnik Gmbh Befeuchter und Verfahren zur Konditionierung von Luft
US11241932B2 (en) 2017-12-26 2022-02-0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dsorption system
CN108826754A (zh) * 2018-04-10 2018-11-16 安徽金环电气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低压成套设备用翅片式蒸发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5742A (en) 1930-11-28 1933-06-27 Manuf Generale Metallurg Sa Heat exchange apparatus
US3091289A (en) * 1959-09-30 1963-05-28 Slant Fin Radiator Corp Baseboard radiators and elements thereof
US3443634A (en) * 1967-04-06 1969-05-13 Peerless Of America Heat exchangers
US3796258A (en) * 1972-10-02 1974-03-12 Dunham Bush Inc High capacity finned tube heat exchanger
US3902551A (en) 1974-03-01 1975-09-02 Carrier Corp Heat exchange assembly and fin member therefor
FR2350167A1 (fr) 1976-05-06 1977-12-02 Chausson Usines Sa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changeurs de chaleur du type a tubes et dissipateurs et echangeur obtenu par ce procede
DE2721960A1 (de) 1976-05-26 1977-12-08 Sandoz Ag Polyamidaminverbindung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PH23829A (en) * 1985-03-07 1989-11-23 Mitsubishi Electric Corp Heat exchanger for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4705105A (en) * 1986-05-06 1987-11-10 Whirlpool Corporation Locally inverted fin for an air conditioner
US4923002A (en) * 1986-10-22 1990-05-08 Thermal-Werke, Warme-Kalte-Klimatechnik GmbH Heat exchanger rib
JPH0330062A (ja) 1989-06-27 1991-02-08 Canon Inc 文書処理装置
JPH0330062U (ko) * 1989-07-21 1991-03-25
US5056594A (en) * 1990-08-03 1991-10-15 American Standard Inc. Wavy heat transfer surface
JPH0599581A (ja) 1991-08-08 1993-04-20 Nippon Light Metal Co Ltd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318112A (en) * 1993-03-02 1994-06-07 Raditech Ltd. Finned-duct heat exchanger
KR100241795B1 (ko) * 1993-11-29 2000-03-02 시마가 테쭈오 흡착식 냉각장치 및 냉열출력 제어방법
JP3505786B2 (ja) * 1994-06-17 2004-03-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89444A (ja) 1994-06-23 1996-01-12 Nec Corp 移動体通信の呼出し制御方式
JP3030062U (ja) * 1996-04-11 1996-10-18 株式会社リーバン おもちゃ付き絵本
JPH10166088A (ja) * 1996-12-12 1998-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レート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H11347335A (ja) 1998-06-10 1999-12-21 Daikin Ind Ltd 吸着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脱臭装置
US6102107A (en) * 1998-12-11 2000-08-15 Uop Llc Apparatus for use in sorption cooling processes
JP2001227889A (ja) * 2000-02-17 2001-08-24 Hidaka Seiki Kk 熱交換器用フィン
JP2001304783A (ja) 2000-04-14 2001-10-31 Daikin Ind Ltd 室外熱交換器、室内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4085013A (ja) * 2002-08-23 2004-03-18 Daikin Ind Ltd 熱交換器
JP4220762B2 (ja) 2002-11-15 2009-0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固体充填タンク
TW557350B (en) * 2003-01-06 2003-10-11 Jiun-Guang Luo One-way airstream hollow cavity energy transfer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35321A1 (en) 2008-02-14
EP1780488B1 (en) 2011-04-13
US8322408B2 (en) 2012-12-04
CN100465569C (zh) 2009-03-04
DE602005027467D1 (de) 2011-05-26
AU2005258474A1 (en) 2006-01-12
JP3815491B2 (ja) 2006-08-30
CN1973173A (zh) 2007-05-30
EP1780488A1 (en) 2007-05-02
JP2006017316A (ja) 2006-01-19
EP1780488A4 (en) 2009-06-17
KR100858203B1 (ko) 2008-09-10
ES2361088T3 (es) 2011-06-13
AU2005258474B2 (en) 2009-02-26
ATE505704T1 (de) 2011-04-15
WO2006004009A1 (ja)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203B1 (ko) 열교환기 및 공기조화장치
JP4321650B2 (ja) 調湿装置
JP364923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11625B1 (ko) 공기조화장치
US7537050B2 (en) Heat exchanger
EP1450113A1 (en) Humidity controller
JP3891207B2 (ja) 調湿装置
AU2006229152B2 (en) Humidity control system
JP2004060954A (ja) 調湿装置
JP3807410B2 (ja) 吸着熱交換器
JP2005315463A (ja) 調湿装置
JP2010078246A (ja) 空調システム
JP3788468B2 (ja) 調湿装置
JP2010175108A (ja) 調湿装置
JP4529530B2 (ja) 調湿装置
JP2013137145A (ja) 吸着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