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895A -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 Google Patents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895A
KR20070024895A KR1020050080490A KR20050080490A KR20070024895A KR 20070024895 A KR20070024895 A KR 20070024895A KR 1020050080490 A KR1020050080490 A KR 1020050080490A KR 20050080490 A KR20050080490 A KR 20050080490A KR 20070024895 A KR20070024895 A KR 2007002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cooking
steam outlet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796B1 (ko
Inventor
김중만
김형연
Original Assignee
김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만 filed Critical 김중만
Priority to KR102005008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7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냄비로 음식을 가열조리할 때 냄비 내에서 증기가 발생하면서 뚜껑과 냄비본체 사이의 틈으로 국물이 넘쳐흘러 냄비 외면, 버너, 식탁 및 취식자의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번번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작은 냄비에는 기존 냄비의 뚜껑의 증기배출구 대신 한 개의 증기배출구와 이에 부합하는 뚜껑을 형성하고, 큰 냄비에는 기존 냄비 뚜껑에 직경이 큰 증기배출구와 이에 부합되는 증기배출 뚜껑을 형성하고 이 증기배출뚜껑에 다시 증기배출구와 이에 부합되는 증기배출뚜껑을 형성하여 냄비를 구성함으로서, 국물 넘침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는 물론 균일한 열전도로 고른 조리효과와 열효율도 높일 수 있다.
냄비, 냄비뚜껑, 국, 국물 넘침

Description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The Pot lit for Preventing overflow}
도 1 작은 냄비용 뚜껑이 조합된 사시도
도 2 큰 냄비용 뚜껑이 조합된 사시도
도 3 기존 냄비 뚜껑의 사시도
도 4 도 2의 구성파트와 조합 순서도
도 5 도 2 냄비가 냄비본체에 덮인 상태의 사시도
도 6 도 5의 조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냄비본체 2. 제1 뚜껑 3. 제1 손잡이 4. 제1 작은 증기배출구
5.제2 큰 증기배출구 6. 제2 증기배출뚜껑 7.제2 손잡이
8. 제2 작은 증기배출구 9. 제3 큰 증기배출구 10. 제3 증기배출뚜껑
11. 제3 손잡이 12. 제3 작은 증기배출구
본 발명은 냄비의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냄비에서 조리할 때 국물 넘침을 방지하면서도 부분 개방 조리조건 에서 조리를 할 수 있어서 기존 냄비의 개방조리 조건보다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기존의 냄비 뚜껑은 도 3처럼 제1 작은 증기배출구(4)가 있거나 아예 없는 것도 있고, 있다 해도 냄비 크기에 비례적으로 구성되지 않고 작은 증기배출구에 음식찌꺼기라도 끼면 증기배출은커녕 위생적으로 좋지 한다.
냄비에서의 국물 조리 특성을 보면 냄비 내에서 증기발생량은 조리시간이 지속될수록 증가한다. 그 이유는 조리시간이 계속될수록 음식재료로부터 수용성 성분이 용출되어 나오고 수분이 지속적으로 증발되어 점점 국물의 용질 농도가 높아져 국물의 비점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기존의 냄비에서 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음식을 가열 조리하게 되면 제 1 뚜껑(2)과 냄비본체(1) 사이 틈으로 국물이 넘쳐흘러 냄비, 버너, 식탁 및 취식자의 옷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2가지 방법이 쓰이고 있다.
첫째, 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냄비 뚜껑을 냄비 위에 비스듬히 놓아 개방정도를 최소로 줄여 조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냄비로부터의 증기 발생량은 조리 시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하기 때문에 조리중 증기발생량에 맞게 냄비 뚜껑을 차츰 많이 벗겨 개방시켜 주면서 조리하게 된다. 이 경우 조리 후기로 갈수록 뚜껑과 냄비 본체사이의 개방 넓이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문제가 생기고, 뚜껑의 무게 균형이 잡히지 않으면 뚜껑이 떨어지거나 국물 속에 빠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둘째, 조리 중에 국물이 넘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내용물이 끓기 시작하면 냄비 뚜껑을 완전히 벗겨내고 개방 조건에서 가열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뚜껑을 완전히 벗기고 조리하면 넘침 현상은 막을 수는 있으나 개방 상태에서 조리하는 조건이 된다. 이처럼 개방 조건에서 조리를 하게 되면 국물로부터 발생된 증기는 제한 없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열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위층에 놓인 음식재료의 조리가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조리 중 조리 내용물의 아래와 위를 서로 뒤집어 익혀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냄비로 음식을 조리할 때도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다.
지금까지 냄비의 국물 넘침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선행기술을 보면,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등록번호 : 20-0383124, 등록일자 : 2005-04-21), 냄비뚜껑(등록번호: 20-0232906, 등록일자 : 2001-05-22), 냄비뚜껑(등록번호 : 20-0304405, 등록일자 : 2003-02-04), 음식물 넘침 방지 냄비(등록번호: 20-0330301, 등록일자 : 2003-10-07), 넘침 방지용 냄비(등록번호 : 20-0366214, 등록일자: 2004-10-20) 등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방법으로 국물 넘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선행기술은 아직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냄비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국물이 넘치는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냄비 내의 증기 발생량이 조리 초기보다 조리 시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하게 되는 특성에 부응하게하며, 뚜껑의 개방면적을 최소화하는 부분개방 조리 조건을 유지하여 균일한 조리 효과와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냄비 뚜껑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상의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냄비 뚜껑을 도 1과 도2와 같이 구성하였는데 각각의 구성과 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구성
도 1은 작은 냄비에서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 냄비 제 1뚜껑(2)에 형성된 제 1작은 증기배출구(4) 자리에 제2 큰 증기배출구(5)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5)에 맞게 제 2 손잡이(7)와 제2 작은 증기배출구(8)가 형성된 제2 증기배출구뚜껑(6)을 형성하여 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큰 냄비에서 국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1의 제2 증기배출뚜껑(6)의 제2 작은 증기배출구(8) 자리에 제3 큰 증기배출구(9)를 형성하고 이 배출구(9)에 맞게 제3 작은 증기배출구(12)와 제3 손잡이(11)가 형성된 제3 증기배출구뚜껑(10)을 형성하여 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손잡이(3)와 제1 작은 증기배출구(4)가 형성된 기존 냄비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대표 도인 도 2의 구성 파트와 그의 냄비를 사용할 때의 조합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냄비 뚜껑이 냄비 본체(1)에 덮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도 5의 조감도이다.
한편 본 발명으로 구성된 냄비 뚜껑을 관리하는데 편리성을 위해서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제1 뚜껑에 제 2 증기배출뚜껑(6)을 부착하고 다시 제 2 증기배출뚜껑(2)에 제 3 증기배출뚜껑(10)을 부착하는데 젖혀 열수 있게 부착하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뚜껑의 형태는 원형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삼각형이나 사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냄비의 재료는 금속, 자기, 유리, 돌(석재) 등 모든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마이크로웨이브오븐에 사용할 냄비의 재질은 금속 외의 재질을 써야한다.
2. 사용 방법
도 1의 사용 방법은, 도 5의 냄비 본체(1)에 국 재료를 넣고 도 1과같이 구성된 제 1뚜껑(2)을 덮은 다음 가열한다. 가열하여 냄비 속의 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발생된 증기로 제 2 작은 증기배출구(8)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 때 제 2 증기배출구뚜껑(6)을 열어 국물 넘침을 막는다.
본 발명의 대표도인 도 2의 사용방법은, 도 5의 냄비본체(1)에 국 재료를 넣고 도 4의 순서대로 즉, 제 1뚜껑(2), 제2 증기배출구뚜껑(6), 제 3 증기배출구뚜껑(9)순으로 덮은 다음 가열한다.
가열하여 냄비 속의 국물이 끓기 시작하면 발생된 증기가 맨 먼저 제 3 증기배출구(12)를 통해서 배출되고 가장 무게가 가벼운 제 3 증기배출구뚜껑(10)이 진 동할 때 이 뚜껑(10)을 열어 국물 넘침을 막는다. 가열이 계속되어 국물의 비점이 높아지는 조리 중기에 접어들면 국물의 증기 발생량이 증가되고 다시 넘칠 상태가 되면 이 때 제2 증기배출뚜껑(6)을 열어 젖혀 부분개방상태에서 제2 큰 증기 배출구(5)로 증기를 배출시켜 국물 넘침 현상을 막아 준다.
이렇게 하면 국물 넘침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냄비를 사용할 때의 개방조리 조건에서 보다 냄비 내의 증기 밀도가 높게 유지됨으로서 냄비 내 기층의 온도가 조리되는 동안 높게 유지되어 조리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균일한 조리효과를 낼 수 있다.
실제로 기존 냄비(개방조건)와 본 발명의 냄비(부분개방 조건)에 된장과 호박을 넣고 조리하면서 국물 층과 냄비 내 기층 부위의 온도를 조사한 결과 표 1과 같다.
표 1 기존냄비(개방)와 본 발명의 냄비(부분 개방)에서 조리 중 국물과 기층 온도 비교
Figure 112005510760356-PAT00001
사용 온도계 CUSTOM thermometer CT-1310(Japan)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끓기 시작한 후 1분 후 기존냄비와 본 발명의 냄비중의 국물 속과 기층의 비점은 각각 100℃ 와 57.3 ℃, 100 ℃와 98.5℃로 국물의 경우 양 조건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기층의 온도에서는 현저하게 본 발명 의 냄비에서 높았고, 조리 20분에 각각 102℃와 58.2℃, 101.1℃와 99.2℃로 본 발명의 냄비의 경우 국물 속의 온도는 역시 기존 냄비와 비슷하였으나 기층의 온도는 본 발명의 냄비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냄비가 기존 냄비의 기층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은 냄비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냄비 밖으로 배출되는 양이 뚜껑의 부분개방으로 인해 감소되어 냄비 내의 기층의 증기 밀도가 높아지는 효과로 해석된다.
한편 기존 냄비(개방조건)와 본 발명의 냄비(부분개방 조건)에 된장과 호박을 넣고 조리시간 경과에 따라서 국물 잔존량을 비교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기존 냄비와 본 발명의 냄비에서 된장국 조리 시간별 국물의 잔존량 비교
Figure 112005510760356-PAT00002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된장국 원료를 각각 500 ml 씩을 기존 냄비와 본 발명의 냄비에 넣고 끓기 시작한 후 10 분과 30분에 각각 489 ml와 495 ml, 390 ml와 475 ml로 본 발명의 냄비가 국물 잔존량이 현저하게 많았다.
이런 결과는 완전 개방 조건인 기존 냄비에 비하여 부분개방 조리 조건인 본 발명의 냄비에서는 냄비 내에서 발생한 증기가 증발한 양이 적고, 또한 응축수로 다시 국물에 합류되는 양이 많기 때문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렇게 냄비 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자유스럽게 증발되는 것이 억제되어 응축수로 국물로 합류되는 효과는 냄비에서 국물을 오랜 동안 타지 않게 조리할 수 있 는 방법이 되고, 국물이 졸아서 염도가 높아져 짜지는 속도를 줄여 주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냄비 뚜껑은 조리 중 냄비 내에서 발생되는 증기량에 맞춰 개방 정도를 단계적으로 크게 하면서 냄비 내의 증기를 무리 없이 배출시켜 증기압을 조절하여 줄 수 있어서 일차적인 개발과제인 조리 중 국물이 넘치지 않게 조리할 수 있었고, 이러한 효과는 기존의 냄비에서는 아직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냄비뚜껑을 사용하여 부분 개방조리 조건으로 할 경우 기존 냄비의 개방조리 조건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냄비는 조리시 뚜껑의 개방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국물 넘침 현상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비의 열효율을 높이고, 조리 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균일한 조리효과를 낼 수 있다.
또 장시간 조리할 때 수분 증발량이 적어 국이 타는 시점에 도달하는 시간과 국물이 짜지는 시간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 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냄비의 재질을 금속외의 재질로 만든 본 발명의 냄비는 마이크로웨이브오븐에서 가열 조리할 때도 앞서 기술한 효과를 기대 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냄비 뚜껑 구성에서, 기존 냄비의 제 1 뚜껑(2)의 제1 작은 증기배출구(4)에 제 2 큰 증기배출구(5)를 형성한 것에 부합되게 제2 손잡이(7)와 제2 작은 증기배출구(8)가 형성된 제2 큰 증기배출구뚜껑(6)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냄비용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증기배출 뚜껑(2)의 제2 작은 증기배출구(8)에 다시 제 3 큰 증기배출구(9)를 형성한 것에 부합되게 제 3 작은 증기배출구(12)와 제 3 손잡이(11)가 현성된 제 3 증기배출뚜껑(10)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큰 냄비용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KR1020050080490A 2005-08-29 2005-08-29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KR10069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490A KR100698796B1 (ko) 2005-08-29 2005-08-29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490A KR100698796B1 (ko) 2005-08-29 2005-08-29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895A true KR20070024895A (ko) 2007-03-08
KR100698796B1 KR100698796B1 (ko) 2007-03-22

Family

ID=380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490A KR100698796B1 (ko) 2005-08-29 2005-08-29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7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7121A (zh) * 2015-08-05 2015-12-16 刘金松 防扑锅盖
CN106264113A (zh) * 2015-05-28 2017-01-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和电烹饪器的加热控制方法
CN108968722A (zh) * 2017-06-05 2018-12-1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豆浆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29B1 (ko) 2009-02-02 2010-02-22 김남식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KR101321129B1 (ko) 2011-03-03 2013-10-23 오재탁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CN103705129A (zh) * 2012-09-28 2014-04-09 青岛蔚蓝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煮饭的锅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0436U (ko) * 1990-11-27 1992-07-1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113A (zh) * 2015-05-28 2017-01-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器和电烹饪器的加热控制方法
CN105147121A (zh) * 2015-08-05 2015-12-16 刘金松 防扑锅盖
CN108968722A (zh) * 2017-06-05 2018-12-1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豆浆机
CN108968722B (zh) * 2017-06-05 2021-06-01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豆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796B1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796B1 (ko)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JPH0668641U (ja) 油料理鍋の水切りリング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JP2022010420A (ja) 炊飯器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KR1013818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WO2013015239A1 (ja) 加熱容器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JP2011161034A (ja) 調理鍋
KR200388274Y1 (ko)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130098513A (ko) 다용도 조리기구
JP2002238738A (ja) 蒸し料理が出来る土鍋
JP2011041781A (ja) Co2削減低温蒸し調理鍋(シリコン鍋)
KR200323687Y1 (ko) 이중뚜껑을 갖는 도자기 또는 돌 밥솥
JPH10225368A (ja)
JP2000201809A (ja) 炊飯器具
KR101888011B1 (ko) 다용도 냄비 어셈블리
JP2010268929A (ja) 炊飯調理具
KR200279277Y1 (ko) 개량된 찜기
JPH0213728A (ja) グリル調理器
RU2715544C1 (ru) Графитовый горш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11115518A (ja) 分離操作式調理容器
KR200357106Y1 (ko) 넘침방지용 냄비뚜껑장치
KR20180006002A (ko) 바닥면에 단열공간이 형성된 뚝배기
JP2016105835A (ja) 加熱容器、この加熱容器を用いた加熱方法及び電子レンジを用いた炊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