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529B1 -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529B1
KR100943529B1 KR1020090065883A KR20090065883A KR100943529B1 KR 100943529 B1 KR100943529 B1 KR 100943529B1 KR 1020090065883 A KR1020090065883 A KR 1020090065883A KR 20090065883 A KR20090065883 A KR 20090065883A KR 100943529 B1 KR100943529 B1 KR 10094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outlet
lid
opening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식
Original Assignee
김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식 filed Critical 김남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며 동시에 상기 증기의 압력변화에 따라 그 개방되는 정도가 변화하는 증기배출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증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로 이루어진 증기배출부 및 상기 증기의 압력에 의해 운동함으로써 상기 증기배출부의 일부 내지 전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할 때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환기구나 배기팬이 흡기하는데 용이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리시 발생하는 음식물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증기로 인한 화상의 염려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조리, 용기, 증기, 배출, 방지, 화상

Description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A COOK-POT CONTROLLABLE THE DIRECTION OF STEAM EXHAUST}
본 발명은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할 때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용기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배출되는 증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증기압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용기의 뚜껑에는 국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1개 또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용기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에는 이 배출구만을 통해서는 증기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뚜껑이 불규칙하게 들리면서 증기가 여러 방향으로 배출되거나 국물이 임의의 방향으로 흘러넘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698796호(2007년 03월 16일 등록)의 국물넘침방지용 냄비뚜껑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는 인형 속에 더 작은 인형이 계속 들어 있는 러시아 민속 인형인 마트료시카와 유사한 방식 즉, 냄비 뚜껑에 비교적 큰 배출구와 이 배출구를 덮는 또 다른 손잡이가 달린 작은 뚜껑을 형성하고, 이 작은 뚜껑에도 더 작은 뚜껑을 형성하여 냄비 내부의 압력에 따라 큰 뚜껑 전체를 열지 않고 작은 뚜껑을 차례대로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특허 제698796호는 발상 자체는 좋으나 뚜껑의 관리가 불편하고, 이들 뚜껑을 일일이 사람이 손으로 열어주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또한 특허 제698796호에는 조리 시 조리용기 뚜껑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요리시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높아지면 증기가 뚜껑과 용기 본체 사이의 여러 곳으로 배출되어 환기구나 배기팬이 아닌 쪽으로도 확산함에 따라서 실내에서 음식물 냄새가 진동하게 되는 것은 물론 실내의 커튼이나 침구류 및 의복 등에도 음식 냄새가 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식냄새의 잔류로 인하여 실내 공기의 질과 거주환경을 열악하게 하는 요인이 되어 왔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 시 끓어 넘치는 액체가 조리용기 상면부의 여러 곳으로 넘쳐서 조리용기 외부와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 상부면 등을 오염시키게 되며, 조리 후 이들을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유발하는 원인도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할 때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배출되는 증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증기압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순간적 압력의 급증으로 인해 뚜껑이 덜그럭 거리면서 열리는 경우는 있겠지만, 뚜껑이 열리기 직전에 용기 본체 내부의 증기압이 증가함에 따라 배출구가 순차적으로 개방되게 하여, 용기 본체 내부에 과도한 증기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는,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며 동시에 상기 증기의 압력변화에 따라 그 개방되는 정도가 변화하는 증기배출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와 뚜껑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증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로 이루어진 증기배출부 및 상기 뚜껑의 수평방향 회전은 고정되되 상기 증기의 압력에 의해 운동함으로써 상기 증기배출부의 일부 내지 전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증기배출부는 크기가 상이한 다수개의 배출구가 크기 순으로 순 차배열되며, 상기 개폐기구는 순차배열된 상기 배출구 중 크기가 큰 순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차폐하며 상기 증기의 압력증가시 차폐하고 있던 배출구를 크기가 작은 순으로 순차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증기배출부의 배출구는 장공의 형태로,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배출구의 일단에서 반대단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의 일부 내지 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증기의 압력증가시 차폐하고 있던 배출구를 상기 반대단에서 일단방향으로 순차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때, 상기 증기배출부의 배출구는 일단에서 반대단까지 너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의 장공이며,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배출구의 너비가 큰 일단에서 반대단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의 일부 내지 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증기의 압력증가시 차폐하고 있던 배출구를 너비가 작은 일단에서 반대단 방향으로 순차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뚜껑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덮개이며;
여기서, 상기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덮개가 개폐하는 증기배출부의 각 배출구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덮개는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각 덮개는 상기 뚜껑에 형성된 배출구와 동심원 상으로 직경이 각각 서로 상이한 배출구를 가지며 동일 힌지축에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뚜껑에 마련된 회전구멍의 일단에서 뚜껑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체이며,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회전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뚜껑에 마련된 승강구멍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체이며,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승강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한편,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뚜껑에 구비된 돌기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돌기체에 승강가능하게 씌워지는 승강캡이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개폐기구는 상기 뚜껑의 하부로 연장된 테두리부로 용기 본체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테두리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할 때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게 한다. 즉 증기의 배출구가 일 방향만을 향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방향으로 증기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기구나 배기팬이 흡기하는데 용이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리시 발생하는 음식물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음식물 조리시 발생할 수 있는 증기로 인한 화상의 염려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배출되는 증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증기의 배출방향을 고정하면서도 동시에 배출되는 증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인바, 종래에 증기의 배출량 변동에 의해 배출방향이 고정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증기의 배출량 변동에 맞추어 용기의 증기배출수단이 배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부의 증기압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게 하여 음식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에너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용기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 조리가 보다 잘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의 뚜껑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200)에 증기배출부의 배출구(41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뚜껑(200)의 외측에는 상기 배출구(410)를 개폐하는 덮개(510)가 힌지축(51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이 덮개(510)는 일단이 뚜껑(20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용기 본체(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들리면서 배출구(410)가 개방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배출구(410)는 덮개(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증기배출수단의 차폐기구는 덮개(510)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41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출구(410)는 덮개(510)의 힌지축(512)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510)의 하면에는 각 배출구(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 배출구(410)의 형태와 동일한 끼움돌기(5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410)는 덮개(5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410)로 배출되는 증기가 덮개(510)의 저면에 부딪치면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510)는 선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돌기(511) 간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증기배출부의 배출구(410)는 덮개(510)에 의해 덮일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인데, 이때에도 덮개(510)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도 배출구(41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510)의 하면에 상기 배출구(410)에 대응되는 끼움돌기(511)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덮 개(5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추가 배출구(410)가 상기 뚜껑(200)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배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배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되기만 하면 그 위치는 무관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조리 용기는 용기 본체(100)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기구 위에 올려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용기 본체(100) 내부의 증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배출구(410)만을 통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용기 본체(100) 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할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배출구(410)만으로는 배출되는 양에 한계가 있으므로 과잉의 증기압이 상기 덮개(510)를 밀어올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배출구(410)를 개방시킴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상태 이상이 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가열기구의 열기를 줄이게 되면 용기 본체(100) 내부의 증기압이 떨어지면서 상기 덮개(510)는 다시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410)와 덮개(510)의 설치위치 및 형태와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출구(410)의 크기와 형성위치 등은 조리용기의 형태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덮개(510)의 힌지축(512)에는 상기 덮개(510)가 과도한 증기에 의해 반대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증기압이 낮아지면 상기 덮개(510)의 자중에 의하여 배출구(410)가 닫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뚜껑(200)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 즉, 증기배출부가 뚜껑(200)에 형성되고 뚜겅에 개폐기구(500)로 덮개(510)가 구비된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나, 상기 덮개(510)에 덮이는 배출구(410)는 덮개(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배출구(4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너비를 갖는 단순한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배출구(410)의 너비는 덮개(510)의 힌지축(512)에서 멀어질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410)에 대응되는 끼움돌기(511)도 배출구(410)의 형태와 같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장 작은 배출구(410)는 덮개(5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 배출구(410)는 없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추가 배출구는 통상의 조리용기 뚜껑에 적용하는 증기배출구의 기능을 하며 덮개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배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되기만 하면 그 위치는 무관하다.
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리용기에서는 덮개(510)의 하면에 형성된 끼움돌기(511)의 크기나 형태를 변형하여 배출구(410)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최소한의 개방상태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구멍을 따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51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살이 채워진 형태 외에도 테두리부(240)분만 돌출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덮개(510)가 과도하게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511)의 저면은, 배출 되는 증기가 부딪치면서 분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거나,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일부가 절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뚜껑(200)에 배출구(410)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410)에는 덮개(510)가 씌워지는데, 상기 덮개(510)는 하나의 힌지축(512)에 힌지결합된 복수의 동심원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다수개의 덮개(510)로 이들 덮개(510)에는 상기 뚜껑(200)에 형성된 배출구(410)과 동심원상으로 각각 배출구(410)가 형성되어 용기 본체(100) 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할 때 초기에는 배출구(41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부의 덮개(510)만이 개방되고 증기압이 상승하게 될 경우에는 배출구(41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부의 덮개(510)도 개방되어 다량의 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용기 본체(100) 내부의 증기압이 하강하게 되면 다시 상기의 역순으로 덮개(510)가 닫힘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각 덮개(510) 자체의 중량과 증기압력에 노출되는 덮개(510)의 면적을 상호 조정함으로써 각 덮개(510)가 해당 배출구(410)를 개방하는 일정 증기압력을 필요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가장 상부의 덮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구(410)를 개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돌기(511)가 각 덮개(510)마다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511)를 관통하는 배출구(41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끼움돌기(511)를 구 비하지 않아도 무방한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추가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 배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배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되기만 하면 그 위치는 무관하다. 다만 가장 상부에 형성된 덮개는 개폐수단에 의해 덮이지 않는 배출구로 추가 배출구의 기능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를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에는 회전구멍(210)이 형성되고, 이 회전구멍(210)의 일단에서 뚜껑(200)과 힌지축(521)에서 힌지결합되어 회전체(520)가 회전구멍(21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되 이 회전체(520)의 측면에는 배출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구(410)와 회전체(520)로 이루어지므로, 개폐기구(500)는 회전체(520)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체(52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4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520)의의 길이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되 회전체(520)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되어 있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 증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적은 각도 회동하여 회전체(520) 상부측의 작은 배출구(410)만이 개방되고, 증기압이 높아질수록 회전체(520)가 큰 각도 회동하면서 상승되면서 회전체(520) 하부측의 큰 배출구(410)로도 다량의 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체(52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4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것이 복수 개 형성되는 형태 외에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체(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도 3에 도시된 배출구(410)와 유사한 형태로 즉, 회전체(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비가 변화되도록 하나의 장공형태로 형성하되, 이 배출구(410)의 너비는 회전체(520)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추가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 배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배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되기만 하면 그 위치는 무관하다. 즉 회전체(520)에 형성되거나 뚜껑(200)에 형성되어도 좋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를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에는 승강구멍(220)이 형성되고, 이 승강구멍(220)에는 승강체(530)가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되 이 승강체(530)의 측면에는 배출구(410)가 형성되어 있다.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구(410)와 승강체(530)로 이루어지므로, 개폐기구(500)는 승강체(530)라고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구멍(220)에 끼워진 승강체(530)는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승강되도록 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구멍(220)의 둘레(221)에 회전방지돌기(22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돌기(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체(530)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돌기(222)가 끼워지는 회전방지홈(5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방지돌기(222)와 회전방지홈(531)은 쌍으로 형성되되 반대로 승강구멍(220) 둘레(221)에 회전방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홈(5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체(530)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방지돌기(222)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은 회전방지돌기(222)와 회전방지홈(531) 외에도 승강구멍(220)과 승강체(530)를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체(53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4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체(530)의 길이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되 승강체(530)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되어 있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 증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승강체(530)가 약간만 상승하여 승강체(530) 상부측의 작은 배출구(410)만이 개방되고, 증기압이 높아질수록 승강체(530)가 상승되면서 승강체(530) 하부측의 큰 배출구(410)로도 다량의 증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체(530)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4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것이 복수 개 형성되는 형태 외에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체(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히 도 3에 도시된 배출구(410)와 유사한 형태로 즉, 승강체(5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비가 변화되도록 하나의 장공형태로 형성하되, 이 배출구(410)의 너비는 승강체(530)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추가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 배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배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되기만 하면 그 위치는 무관하다. 즉 승강체(530)에 형성되거나 뚜껑(200)에 형성되어도 좋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를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에는 돌기체(23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체(230)의 측면에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체(230)의 상부에는 용기 본체(100) 내부의 증기압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캡이 씌워진 조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구(410)와 돌기체(230) 및 승강캡(540)로 이루어지므로, 개폐기구(500)는 승강캡(540)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4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체(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되 돌기체(230)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체(230)의 상단은 개방되어 용기 내부의 증기가 상기 돌기체(230)의 상단을 통해 상기 승강캡(540)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각각 상기 돌기체(230)와 승강캡(54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231)와 고정홈(541)으로, 승강캡(540)이 돌기체(2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홈(541)과 고정돌기(231)는 쌍을 이루어 역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배출구(410)는 도 13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돌기체(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비가 변화되도록 하나의 장공 형태로 형성하되, 이 배출구(410)의 너비는 돌기체(230)의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배출구(410)를 단순한 직선형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추가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추가 배출구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수단의 배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되기만 하면 그 위치는 무관하다. 즉 승강캡(540)에 형성되거나 뚜껑(200)에 형성되어도 좋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제7실시예와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를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용 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테두리부(240)를 가지며, 이 테두리부(240)에는 뚜껑(200)의 들림에 의해 개방정도가 조절되는 배출구(4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배출구(410)는 뚜껑(200)의 테두리부(240)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되, 이 배출구(410)는 테두리부(24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증기배출수단은 상기 배출구(410)와 테두리부(240)로 이루어지므로, 개폐기구(500)는 테두리부(240)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상반되는 형태 즉, 상기 배출구(410)가 용기 본체(100)의 측면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되, 이 배출구(410)는 상부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으로 배출구(410)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 형성하는 대신 하나로 길게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단순한 직선형태보다는 장공의 너비가 변화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크기가 다른 복수개의 구멍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40)와 상기 테두리부(240)에 대응하는 본체(100) 상부에 상기 제5실시예와 유사한 회전방지돌기(222) 및 회전방지홈(531)을 형성함으로써 뚜껑(200)의 회전을 억제하여 증기가 일방향으로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개폐기구(500)는 개폐기 구(500) 자체의 중량과 증기압력에 노출되는 개폐기구(500)의 면적을 상호 조정함으로써 조리용기의 뚜껑이 열리기 전에 개폐기구(500)가 배출구(410)를 개방하는 일정 증기압력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내부 압력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반적으로 고압력을 이용하는 압력 조리 용기가 아닌 일반 조리 용기 적용되어 용기 본체(100) 또는 뚜껑(200)에 배출구(410)를 형성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방정도가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뚜껑(200)이 덜그럭거리면서 국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 또한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므로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확산되지 않고 환기구나 배기팬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절해줄 수 있으며, 증기의 배출방향을 사람 쪽을 피해서 맞추어줄 수 있으므로 증기로 인한 화상의 염려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증기배출수단을 구비하되 추가적으로 상기 조리 용기에 발생하는 일정 증기압력 이하에서 상기 뚜껑(200)의 회전을 막고 동시에 상기 뚜껑(200)의 끝단 일측이 상기 용기 본체(10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증기배출조절수단(미도시)이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기배출조절수단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로서, 하향 경사 측에서 상기 뚜껑(200)의 끝단이 상기 용기 본체(100)에 밀착 되도록 하거나,
상기 증기배출조절수단은 상기 뚜껑(200)의 중심외곽에 형성되며 일정 무게가 있는 무게부로서, 상기 무게부와 가까운 상기 뚜껑(200)의 끝단이 상기 용기 본체(100)에 밀착 되도록 하거나,
상기 증기배출조절수단은 상기 용기 본체(100)에 상기 뚜껑(200)의 일측이 임시 고정되게 하는 임시고정부로서, 상기 고정부와 가까운 상기 뚜껑(200)의 끝단이 상기 용기 본체(100)에 밀착 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상술한 실시예와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증기압의 상승시 뚜껑(200)의 개방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실시예들을 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며 각각의 실시예들을 상호 조합하는 것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의 뚜껑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출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덮개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7의 도4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회전체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승강체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 뚜껑의 확대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승강캡의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조리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본체
200 : 뚜껑 210 : 회전구멍
220 : 승강구멍 221 : 승강구멍 둘레
222 : 회전방지돌기
230 : 돌기체 231: 고정돌기
240 : 테두리부
410 : 배출구
500 : 개폐기구 510 : 덮개
511 : 끼움돌기 520 : 회전체
512, 521 : 힌지축
530 : 승강체 531 : 회전방지홈
540 : 승강캡 541 : 고정홈

Claims (11)

  1.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100)를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며 동시에 상기 증기의 압력변화에 따라 그 개폐되는 정도가 자동으로 변화하는 증기배출수단이 상기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증기배출수단은 증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410)로 이루어진 증기배출부 및 상기 뚜껑의 수평방향 회전은 고정되되 상기 증기의 압력에 의해 운동함으로써 상기 증기배출부의 일부 내지 전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는 크기가 상이한 다수개의 배출구(410)가 크기 순으로 순차배열되며,
    상기 개폐기구(500)는 순차배열된 상기 배출구(410) 중 크기가 큰 순으로 하나 이상의 배출구(410)를 차폐하며 상기 증기의 압력증가시 차폐하고 있던 배출구(410)를 크기가 작은 순으로 순차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의 배출구(410)는 장공의 형태로,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배출구의 일단에서 반대단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410)의 일부 내지 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증기의 압력증가시 차폐하고 있던 배출구(410)를 상기 반대단에서 일단방향으로 순차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의 배출구(410)는 일단에서 반대단까지 너비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의 장공이며,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배출구(410)의 너비가 큼 일단에서 반대단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410)의 일부 내지 전부를 차폐하며 상기 증기의 압력증가시 차폐하고 있던 배출구(410)를 너비가 작은 일단에서 반대단 방향으로 순차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뚜껑(200)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뚜껑(200)의 상면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덮개(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10)의 하면에는 상기 덮개(510)가 개폐하는 증기배출부의 각 배출구(410)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돌기(5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10)는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각 덮개(510)는 상기 뚜껑(200)에 형성된 배출구(410)와 동심원 상으로 직경이 각각 서로 상이한 배출구(410)를 가지며 동일 힌지축(512)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뚜껑(200)에 마련된 회전구멍(210)의 일단에서 뚜껑(200)과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회전체(520)이며,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회전체(520)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9.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뚜껑(200)에 마련된 승강구멍(220)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체(530)이며,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승강체(530)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는 상기 뚜껑(200)에 구비된 돌기체(230)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돌기체(230)에 승강가능하게 씌워지는 승강캡(5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500)는 상기 뚜껑(200)의 하부로 연장된 테두리부(240)로 용기 본체(100)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배출구(410)는 상기 테두리부(240) 또는 상기 테두리부(240)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KR1020090065883A 2009-02-02 2009-07-20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KR100943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93 2009-02-02
KR20090008193 2009-02-02
KR1020090016182 2009-02-26
KR20090016182 2009-02-26
KR20090020952 2009-03-11
KR1020090020952 2009-03-11
KR20090024247 2009-03-22
KR1020090024247 200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529B1 true KR100943529B1 (ko) 2010-02-22

Family

ID=4208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883A KR100943529B1 (ko) 2009-02-02 2009-07-20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5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4075A (zh) * 2013-07-02 2015-01-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饭煲
CN104274074A (zh) * 2013-07-02 2015-01-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饭煲
AT515971A1 (de) * 2014-03-11 2016-01-15 Karl Datl Deckel für ein Kochgefäß
CN111870115A (zh) * 2020-05-06 2020-11-03 茹朝贵 一种便于调节压力的高压锅用过滤排气阀
BE1028872B1 (de) * 2020-12-10 2022-07-12 Miele & Cie Deck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chgeschirrverbun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00Y1 (ko) * 2002-04-01 2002-07-04 박희돈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100698796B1 (ko) 2005-08-29 2007-03-22 김중만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KR100763338B1 (ko) 2007-05-08 2007-10-04 주식회사 세신산업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00Y1 (ko) * 2002-04-01 2002-07-04 박희돈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100698796B1 (ko) 2005-08-29 2007-03-22 김중만 국물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KR100763338B1 (ko) 2007-05-08 2007-10-04 주식회사 세신산업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4075A (zh) * 2013-07-02 2015-01-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饭煲
CN104274074A (zh) * 2013-07-02 2015-01-1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饭煲
AT515971A1 (de) * 2014-03-11 2016-01-15 Karl Datl Deckel für ein Kochgefäß
CN111870115A (zh) * 2020-05-06 2020-11-03 茹朝贵 一种便于调节压力的高压锅用过滤排气阀
CN111870115B (zh) * 2020-05-06 2022-01-28 茹朝贵 一种便于调节压力的高压锅用过滤排气阀
BE1028872B1 (de) * 2020-12-10 2022-07-12 Miele & Cie Deck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chgeschirrverbun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8084B2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KR100943529B1 (ko)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US10722074B2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ES2806402T3 (es) Aparato autónomo para cocinar alimentos y método correspondiente
DK2866623T3 (en) Grill
US20190174953A1 (en) Autonomous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corresponding method
AU2016386838A1 (en) Kamado style cooker with improved control means
US20050217659A1 (en) Outdoor cooker having improved heat and combustion gas controls
KR20160012486A (ko) 가스 구이기
KR100834805B1 (ko) 가마솥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135662B1 (ko) 구이용 불판
US20150351586A1 (en) Outdoor Barbecue Grill
CA2935170C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CN106998963B (zh) 用于电烤炉的烟扩散附件
KR20140134013A (ko) 통닭 구이기
KR200356403Y1 (ko) 직화 조리기
KR200169852Y1 (ko) 고기 구이 화로
KR200383230Y1 (ko) 로스터
KR200480379Y1 (ko) 숯불구이용 로스타
KR101773710B1 (ko) 증기압 조절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뚜껑용 손잡이
KR200238479Y1 (ko)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진 냄비
US20130255508A1 (en) Convective Cooking Apparatus
KR200359491Y1 (ko) 숯불구이장치
JPH09458A (ja) 風車付き網焼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