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600Y1 -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600Y1
KR200280600Y1 KR2020020009748U KR20020009748U KR200280600Y1 KR 200280600 Y1 KR200280600 Y1 KR 200280600Y1 KR 2020020009748 U KR2020020009748 U KR 2020020009748U KR 20020009748 U KR20020009748 U KR 20020009748U KR 200280600 Y1 KR200280600 Y1 KR 200280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d
hole
steam discharge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돈
Original Assignee
박희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돈 filed Critical 박희돈
Priority to KR2020020009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600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용기(냄비, 솥 등) 뚜껑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를 제공하여 조리물이 용기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키이(3a)가 돌출되며 중앙으로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5)이 천공된 고정구(3)를 뚜껑(2)과 면접부에 내열성 패킹(6)이 위치되도록 키홈(2b)이 형성되게 뚜껑(2)에 천공된 결합구멍(2a)의 하측에서 결합하고, 고정구(3)의 나사부(4)에는 측방으로 약 170° 각도로 증기배출공(8)이 형성된 증기배출부재(7)를 나사 결합하되, 나사부(4) 외주에는 증기배출부재(7)에 의해 뚜껑(2)에 밀착되는 커버(9)가 결합하며, 증기배출부재(7)에는 증기배출공(8)과 연통되는 증기조절공(11)이 형성되고 증기조절공(11)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12)가 형성된 캡(10)을 회동 가능하게 씌우고, 캡(10)의 중앙에는 결합공(10a)을 천공하여 증기배출부재(7)에 고정볼트(13)로 고정한 것으로서, 조리용기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를 극히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Stream discharge apparatus of kitchen utensil lid}
본 고안은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용기(냄비, 솥 등) 뚜껑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를 제공하여 조리물이 용기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 뚜껑에는 용기 내부의 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목적으로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에 형성되는 증기배출공의 경우 뚜껑에 단순히 구멍을 천공한 구성으로 조리물을 투입하여 조리를 시작하는 시점(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조리물이 끓기 시작하는 시점(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에서는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조리물이 조리용기 외부로 넘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증기배출공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고안을 안출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장치가 부가되도록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를 개량하여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이 증기 압력에 의해 조리용기 외부로 넘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주방의 청결성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로서 증기배출공의 개방 전 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로서 증기배출공의 개방 후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증기배출장치 2:뚜껑
3:고정구 3a:키이
4:나사부 5:배출공
6:패킹 7:증기배출부재
8:증기배출공 9:커버
10:캡 10a:결합공
11:증기조절공 12:손잡이
13:고정볼트 14:부싱
15:스토퍼 16:리벳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조리용기 뚜껑의 중앙에는 뚜껑을 들어 올릴 수 있게 손잡이가 마련된다. 본 고안에서는 뚜껑(2)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증기배출장치(1)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증기배출장치(1)는 상단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키이(3a)가 돌출되며 중앙으로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5)이 천공된 고정구(3)를 뚜껑(2)과 면접부에 내열성 패킹(6)이 위치되도록 키홈(2b)이 형성되게 뚜껑(2)에 천공된 결합구멍(2a)의 하측에서 결합하고, 상기 고정구(3)의 나사부(4)에는 측방으로 약 170° 각도로 증기배출공(8)이 형성된 증기배출부재(7)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구(3)의 배출공(5)을 통해 상승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되, 고정구(3)의 나사부(4) 외주에는 증기배출부재(7)에 의해 뚜껑(2)에 밀착되는 커버(9)가 결합한다.
상기 증기배출부재(7)에는 증기배출공(8)과 연통되는 증기조절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증기조절공(11)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는 캡(10)을 씌우고 캡(10)의 중앙에는 결합공(10a)을 천공하여 증기배출부재(7)에 고정볼트(13)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때 결합공(10a)에는 고정볼트(13)를 축으로 하여 보다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부싱(14)을 결합함이 바람직하며, 증기배출부재(7)의 증기배출공(8) 외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5)를 형성하여 캡(10)의 회동정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증기배출부재(7)에 씌워지는 캡(10)을 리벳(16)으로 고정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캡에 씌워지는 마개를 도시한 것이며, 마개(17)의 표면에는 증기배출공(8)의 개방 정도를 식별할 수 있게 표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의 뚜껑(2)에 적용하여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이 구비되는 조리용기(1)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가열원에 의해 내부의 음식물이 가열됨에 따라서 음식물이 열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가 고정구(3)의 배출공(5)과 증기배출부재(7)의 증기배출공(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부재(7)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배출공(8)을 캡(10)으로 막은 상태로 조리를 시작한 후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양이 증가하여 뚜껑(2)이 조금 움직이기 시작할 때 손잡이(12)를 잡고 캡(10)을 회동시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부재(7)의 증기배출공(8)과 캡(10)의 증기조절공(11)이 연통되도록 하여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면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리의 시작시점에서는 증기의 배출을 막고 조리 완성 시점에서는 증기배출공(8)을 개방하여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게되므로 음식물을 신속히 익힐 수 있고, 또 증기배출공(8)을 임의로 조절하여 증기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어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각 구성부재가 분해 조립식으로 결합 구성되어 있으므로 뚜껑(2)을 세척시 고정볼트(13)를 풀어 캡(10)을 증기배출부재(7)에서 분리하고, 고정구(3)의 나사부(4)에 나사 결합되어 증기배출부재(7)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뚜껑(2)에 증기배출공(8)이 형성되어 있는 증기배출부재(7)를 결합하고 그 외측으로 증기조절공(11)이 형성된 캡(10)을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적당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이 적용된 조리용기를 사용할 경우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조리용기에서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주방의 청결성을 보장할 수 있고, 캡(10)의 회동 정도에 따라 증기배출공(8)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신속하게 음식물을 익힐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실용성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키이(3a)가 돌출되며 중앙으로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5)이 천공된 고정구(3)를 뚜껑(2)과 면접부에 내열성 패킹(6)이 위치되도록 키홈(2b)이 형성되게 뚜껑(2)에 천공된 결합구멍(2a)의 하측에서 결합하고,
    상기 고정구(3)의 나사부(4)에는 측방으로 약 170° 각도로 증기배출공(8)이 형성된 증기배출부재(7)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나사부(4) 외주에는 증기배출부재(7)에 의해 뚜껑(2)에 밀착되는 커버(9)가 결합되며,
    상기 증기배출부재(7)에는 증기배출공(8)과 연통되는 증기조절공(11)이 형성되고 증기조절공(11)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12)가 형성된 캡(10)을 회동 가능하게 씌우고,
    상기 캡(10)의 중앙에는 결합공(10a)을 천공하여 증기배출부재(7)에 고정볼트(13)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재(7)의 증기배출공(8) 외측에는 스토퍼(15)를 형성하여 캡(10)의 회동정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은 리벳(14)에 의해 증기배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결합공(10a)에는 캡(10)이 보다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부싱(14)을 개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2020020009748U 2002-04-01 2002-04-01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200280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48U KR200280600Y1 (ko) 2002-04-01 2002-04-01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48U KR200280600Y1 (ko) 2002-04-01 2002-04-01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600Y1 true KR200280600Y1 (ko) 2002-07-04

Family

ID=7312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48U KR200280600Y1 (ko) 2002-04-01 2002-04-01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600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29B1 (ko) * 2009-02-02 2010-02-22 김남식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KR101020601B1 (ko) 2009-08-03 2011-03-09 유재풍 넘침방지 냄비용 뚜껑
KR200454391Y1 (ko) 2009-08-18 2011-07-05 양성원 조리용기의 뚜껑
KR101131001B1 (ko) 2009-09-14 2012-04-12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101327359B1 (ko) 2011-12-09 2013-11-11 문제구 조작이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101325785B1 (ko)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가능한 밀폐냄비
KR101343151B1 (ko) 2013-02-28 2013-12-20 양원준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101382468B1 (ko) * 2012-07-19 2014-04-08 김용경 넘침 방지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뚜껑
KR101506497B1 (ko) 2014-02-20 2015-03-30 주식회사 로이첸 하나의 밸브로 냄비의 일정압력 유지와 진공유도를 위한 밸브가 장착된 조리용 냄비
KR200480005Y1 (ko) 2013-12-18 2016-04-04 오재탁 진공압력조리용기용 뚜껑
KR101738479B1 (ko) 2015-08-24 2017-05-2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KR101877539B1 (ko) * 2017-02-02 2018-08-09 김차식 이중 구조 뚜껑을 구비한 이중 조리용기
KR102521526B1 (ko) * 2022-04-13 2023-04-14 박가온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29B1 (ko) * 2009-02-02 2010-02-22 김남식 증기배출방향의 설정이 가능한 조리용기
KR101020601B1 (ko) 2009-08-03 2011-03-09 유재풍 넘침방지 냄비용 뚜껑
KR200454391Y1 (ko) 2009-08-18 2011-07-05 양성원 조리용기의 뚜껑
KR101131001B1 (ko) 2009-09-14 2012-04-12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101327359B1 (ko) 2011-12-09 2013-11-11 문제구 조작이 용이한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101382468B1 (ko) * 2012-07-19 2014-04-08 김용경 넘침 방지용 손잡이가 구비된 냄비뚜껑
KR101343151B1 (ko) 2013-02-28 2013-12-20 양원준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101325785B1 (ko) 2013-08-08 2013-11-20 주식회사 로이첸 압력변화가 용이한 뚜껑을 구비한 진공가능한 밀폐냄비
KR200480005Y1 (ko) 2013-12-18 2016-04-04 오재탁 진공압력조리용기용 뚜껑
KR101506497B1 (ko) 2014-02-20 2015-03-30 주식회사 로이첸 하나의 밸브로 냄비의 일정압력 유지와 진공유도를 위한 밸브가 장착된 조리용 냄비
KR101738479B1 (ko) 2015-08-24 2017-05-23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KR101877539B1 (ko) * 2017-02-02 2018-08-09 김차식 이중 구조 뚜껑을 구비한 이중 조리용기
KR102521526B1 (ko) * 2022-04-13 2023-04-14 박가온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600Y1 (ko)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US9351606B2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KR101131001B1 (ko)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391165Y1 (ko)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KR100660823B1 (ko) 찜구이기
KR20090056973A (ko) 조리 기구
KR200350556Y1 (ko) 냄비 뚜껑 거치대
KR100863249B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102299434B1 (ko) 조리 장치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439944Y1 (ko) 냄비 손잡이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20090069688A (ko)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KR20170002580U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20070114087A (ko)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160125206A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29603Y1 (ko) 개폐구 및 개폐구 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383133Y1 (ko) 덮개형 주걱
KR101414488B1 (ko)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KR200429602Y1 (ko) 회전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70114088A (ko)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KR200357106Y1 (ko) 넘침방지용 냄비뚜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