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526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526B1
KR102521526B1 KR1020220045610A KR20220045610A KR102521526B1 KR 102521526 B1 KR102521526 B1 KR 102521526B1 KR 1020220045610 A KR1020220045610 A KR 1020220045610A KR 20220045610 A KR20220045610 A KR 20220045610A KR 102521526 B1 KR102521526 B1 KR 102521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ver
kettle
liquid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가온
박민재
Original Assignee
박가온
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온, 박민재 filed Critical 박가온
Priority to KR102022004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유출관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고, 액체를 따르는 과정에서 액체가 흘러 넘치지 않도록 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Kettle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유출관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전자의 액체를 계량하는 보편적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11)을 통해 액체의 수위에 해당하는 용량표시부(12)의 눈금을 확인하여 계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주전자는 시각장애인이 투시창(11)을 통해 액체의 수위를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용량표시부(12)의 눈금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주전자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수위를 감지하고, 음성을 통해 시각 장애인에게 전달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수위를 감지하여 음성으로 전달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여전히 시각 장애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으며, 여전히 원하는 액체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72825호 (2021년 07월 05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유출관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계량할 수 있고, 액체를 따르는 과정에서 액체가 흘러 넘치지 않도록 따를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액체를 저장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출수구가 상기 수용공간에 저장되는 액체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는 유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출관은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액체가 설정양이 되면 유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유출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출관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일방향 회전시 상기 유출구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관은,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일방향 회전시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출구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는,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유출구와 이격되고,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출관은,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출구와 이격되고, 축방향 타측 이동시 상기 배출구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유출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유출구를 각각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유출관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고, 액체를 따르는 과정에서 액체가 흘러 넘치지 않도록 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형태나 사용법이 일반 주전자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전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는 액체를 저장하는 수용공간(102)이 형성된 몸체(100);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출수구(302)가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는 유출관(300);을 포함하되, 유출관(300)은 수용공간(102)에 채워지는 액체가 설정양이 되면 유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유출구(31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는 몸체(100), 손잡이(200), 유출관(300), 뚜껑(400) 및 커버(5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102)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02)의 상측에 액체를 투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유출관(300)이 결합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몸체(100)는 열원(미도시 됨)에 의해 가열될 때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높고 가격이 저렴함과 동시에 성형하기 용이하며 부식의 염려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몸체(100)는 가열 기구 위에 올려 사용하거나, 전기를 이용한 자체 가열 기능을 가진 전기 주전자(전기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부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코팅처리 되거나,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몸체(100)는 액체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시창(110)이 형성되고, 수위에 따른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용량표시부(112)가 형성된다.
손잡이(200)는 몸체(100)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실리콘, 고무 등으로 코팅처리 되거나,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200)의 형상 및 기능은 종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유출관(300)은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출수구(302)가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며, 수용공간(102)에 채워지는 액체가 설정양이 되면 유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유출구(310)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는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유출관의 유출구(310)로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유출구(310)는 용량에 따라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표시부(112)의 눈금과 동일한 위치에 유출구(310a, 310b, 310c, 310d)를 각각 형성하여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액체가 유출구(310)를 막고 있는 손가락 등의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계량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제1유출구(310a)를 500ml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제2유출구(310b)를 550ml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하며, 제3유출구(310c)를 600ml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제4유출구(310d)를 650ml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액체가 제2유출구(310b)를 막고 있는 손가락 등의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이 550ml임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뚜껑(400)은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가 주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의 온도를 보존하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의 형상 및 기능은 종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유출관(300)에 결합되어 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커버(500);를 더 포함한다.
커버(500)는, 일방향 회전시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유출구(310)와 연통되는 배출구(5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커버(500)는 유출관(30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유출관(300)과 동축을 이루며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배출구(510)는 커버(500)가 일방향 회전시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커버(500)가 반대방향 회전시 유출구(310)와 연통됨으로써, 유출구(3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출관(300)은,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20)이 형성되고, 커버(500)는, 일방향 회전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가이드홈(320)에 끼워져 가이드홈(3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5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커버(500)를 일방향 회전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가이드돌기(520)가 가이드홈(320)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는 가이드홈(320)의 원주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가이드돌기(520)가 접촉함에 따라 일정각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즉, 가이드홈(320)은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도록 커버(500)의 일방향 회전을 제한하고,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커버(500)의 반대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커버(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어 유출관(300)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유출구(310a, 310b, 310c, 310d)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출관(300) 및 커버(500') 외에 일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유출관(300) 및 커버(5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500')는 유출구(310)를 개폐시키기 위해 유출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500')는,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시 유출구(310)와 연통되는 배출구(5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커버(500')는 유출관(30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유출관(300)과 동축을 이루며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배출구(510)는 커버(500')가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커버(500')가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시 유출구(310)와 연통됨으로써, 유출구(3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유출관(300)은,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330)이 형성되고, 커버(500')는,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슬라이드홈(330)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돌기(5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커버(500')가 축방향 일측(도면상 하측)으로 이동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축방향 타측(도면상 상측) 이동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슬라이드홈(330)에 슬라이드돌기(530)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커버(500')는 축방향 타측(도면상 상측)으로 이동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축방향 일측(도면상 하측) 이동시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슬라이드홈(330)에 슬라이드돌기(530)가 끼워질 수도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는 슬라이드홈(33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슬라이드돌기(530)가 접촉함에 따라 일정거리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홈(330)은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이격되도록 커버(500')의 축방향 일측 이동을 제한하고, 배출구(510)가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커버(500')의 축방향 타측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커버(500, 500')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코팅처리 되거나,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는 피부에 닿아서 느껴지는 감각으로 유출관의 유출구로 배출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본체 내부에 채워진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고, 액체를 따르는 과정에서 액체가 흘러 넘치지 않도록 따를 수 있게 됨에 따라, 컵라면 등 각종 인스턴트식품에 필요한 물의 용량을 정확히 계량하여 끓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투시창
112 : 용량표시부
200 : 손잡이
300 : 유출관
302 : 출수구
310 : 유출구
320 : 가이드홈
330 : 슬라이드홈
400 : 뚜껑
500 : 커버
510 : 배출구
520 : 가이드돌기
530 : 슬라이드돌기

Claims (7)

  1. 액체를 저장하는 수용공간(102)이 형성된 몸체(100);
    상기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출수구(302)가 상기 수용공간(102)에 저장되는 액체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2)에 채워지는 액체가 설정양이 되면 유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유출구(310)가 하나 이상 형성된 유출관(300); 및
    상기 유출관(3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커버(5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500)는,
    일방향 회전시 상기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상기 유출구(310)와 연통되는 배출구(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300)은,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500)는,
    일방향 회전시 상기 배출구(510)가 상기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반대방향 회전시 상기 배출구(510)가 상기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홈(320)에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3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5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5. 액체를 저장하는 수용공간(102)이 형성된 몸체(100);
    상기 수용공간(102)에 저장된 액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고, 출수구(302)가 상기 수용공간(102)에 저장되는 액체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02)에 채워지는 액체가 설정양이 되면 유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유출구(310)가 하나 이상 형성된 유출관(300); 및
    상기 유출관(3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커버(5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500)는,
    상기 유출관(300)의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상기 유출관(300)의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유출구(310)와 연통되는 배출구(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300)은,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500)는,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구(510)가 상기 유출구(310)와 이격되고,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출구(510)가 상기 유출구(3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330)에 끼워지는 슬라이드돌기(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유출관(300)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유출구(310)를 각각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KR1020220045610A 2022-04-13 2022-04-13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KR10252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10A KR102521526B1 (ko) 2022-04-13 2022-04-13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10A KR102521526B1 (ko) 2022-04-13 2022-04-13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526B1 true KR102521526B1 (ko) 2023-04-14

Family

ID=8594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10A KR102521526B1 (ko) 2022-04-13 2022-04-13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5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555U (ja) * 1997-07-23 1998-02-03 美智子 前川 米計量取出用包装容器
JPH1156632A (ja) * 1997-08-21 1999-03-02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湯沸器用水位表示装置
KR200280600Y1 (ko) * 2002-04-01 2002-07-04 박희돈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20120006136U (ko) * 2011-02-24 2012-09-03 김민기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KR102272825B1 (ko) 2020-05-14 2021-07-05 장재용 액체를 계량할 수 있는 주전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555U (ja) * 1997-07-23 1998-02-03 美智子 前川 米計量取出用包装容器
JPH1156632A (ja) * 1997-08-21 1999-03-02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湯沸器用水位表示装置
KR200280600Y1 (ko) * 2002-04-01 2002-07-04 박희돈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20120006136U (ko) * 2011-02-24 2012-09-03 김민기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KR102272825B1 (ko) 2020-05-14 2021-07-05 장재용 액체를 계량할 수 있는 주전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45555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09592A (es) Ensamble de cierre de drenaje para bano.
KR10252152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CN106087369B (zh) 包括配备有排出孔的蒸汽发生器的熨烫家电设备
JP2012170707A (ja) 電気ケトル
JP2010131234A (ja) 電気貯湯容器
BR112018011201B1 (pt)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para preparo de uma bebida
GB249335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cological and Ergonomic Kettles
JP2012170706A (ja) 電気ケトル
CN211380877U (zh) 咖啡机
JP5936053B2 (ja) 液体加熱容器
CN105212736B (zh) 液体加热容器
CN109464004A (zh) 配备有至少两种倾倒流量的烧水壶
KR20140046841A (ko) 온도 측정 및 조절 기능을 갖춘 이중 냉온 보온물병
KR200485448Y1 (ko)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
CN104507368A (zh) 电水壶
CN209235787U (zh) 煮水容器
KR100221649B1 (ko) 취사기구의 수분수집장치
JP4088519B2 (ja) 炊飯器
CN217547819U (zh) 一种显示液温液高的保温壶
CN208859658U (zh) 电磁炉
CN217066092U (zh) 液体加热容器
CN208000284U (zh) 一种浓蒸器及使用该浓蒸器的铅的增加量检测装置
CN211432324U (zh) 便携式加热设备和电热水壶
JP3150851U (ja) 液体容器
US20150327714A1 (en) Hot Beverage Maker and Beverage Vessel with Beverage Level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