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448Y1 -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 - Google Patents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448Y1
KR200485448Y1 KR2020140000269U KR20140000269U KR200485448Y1 KR 200485448 Y1 KR200485448 Y1 KR 200485448Y1 KR 2020140000269 U KR2020140000269 U KR 2020140000269U KR 20140000269 U KR20140000269 U KR 20140000269U KR 200485448 Y1 KR200485448 Y1 KR 200485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eight member
steam tube
sealing device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255U (ko
Inventor
앤드류 휴인스
니콜라스 깁스
앤드류 윈스텐리
Original Assignee
스트릭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릭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트릭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2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4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8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 A47J27/21066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thereof in or on the water boiling vessel
    • A47J27/21075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thereof in or on the water boiling vessel relating to the boiling sensor or to the channels conducting the steam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액체 가열 용기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증기 튜브의 밀봉 장치로서, 밀봉 장치는 밀봉 장치를 증기 튜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및 연결 수단에 대한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장착된 중량체 부재를 포함하고, 중량체 부재는 액체 가열 용기가 실질적으로 수직일 때 증기 튜브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액체 가열 용기가 수직으로부터 변위되는 결과로서 중량체 부재가 피봇되었을 때 중량체 부재의 상기 개구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의 정렬로부터 벗어나게 움직이는, 밀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Spill-proof liquid heating vessels}
본 고안은 우발적으로 넘어졌을 때에도 쏟아지지 않고 실질적으로 안전하게 유지되는 액체 가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주전자는 전세계적으로 물을 끓이는데 이요되고, 예를 들어 차를 끓이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주전자가 가볍고 휴대성이 좋아짐에 따라서, 주전자들은 예를 들어 그것을 넘어뜨리는 것과 같이, 더 변위되기 쉽게 된다. 현재 사용중이거나 또는 최근에 사용중인 주전자를 전복시키는 것은 뜨거운 물이 쏟아지게 할 수 있어서, 건강 및 안전을 위험하게 한다. 따라서 넘어진 주전자로부터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조치를 취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러한 소망은, 예를 들어 세계의 일부 국가에서, 차를 준비하는 동안 주전자들이 바닥에서 사용되는 국가에서 특히 널리 퍼져있다.
쏟아짐 방지로서 분류되기 위하여, 장치는 통상적으로 넘어졌을 때 10 초 안에 50 ml 보다 적은 액체가 손실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 동안에 물의 누설을 측정함으로써, 쏟아짐의 레벨이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물의 쏟아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예를 들어 뚜껑 및 주둥이와 같은 필요한 구멍들을 폐쇄시키는 가외의 장치를 추가하거나 또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주전자에 있는 그 어떤 간극들이나 또는 구멍들이라도 밀봉되는 것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주둥이는 디폴트(default)로써 폐쇄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물이 부어질 필요가 있을 때만 개방된다. 이것은 주전자가 전복된다면 물이 쏟아질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을 끓이도록 설계된 액체 가열 용기들은 통상적으로 증기 감지 스위치 메카니즘을 가져서, 일단 물이 끓으면 용기내의 히터에 전원이 차단된다. 증기 감지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주 챔버 밖에 위치되며, 따라서 물의 주 챔버로부터 증기 스위치로 증기를 이송시키는 증기 튜브가 필요하다. 따라서 그러한 증기 튜브는 만약 용기가 넘어지면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되며, 따라서 만약 용기가 쏟아짐 방지되도록 만들어진다면 밀봉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가 넘어졌을 때 쏟아짐이 방지되는 가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측면에서 비추어보면, 본 고안은 액체 가열 용기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증기 튜브의 밀봉 장치를 제공하며, 밀봉 장치는 밀봉 장치를 증기 튜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및 연결 수단에 대한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장착된 중량체 부재를 포함하고, 중량체 부재는 액체 가열 용기가 실질적으로 수직일 때 증기 튜브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액체 가열 용기가 수직으로부터 변위되는 결과로서 중량체 부재가 피봇되었을 때 중량체 부재의 상기 개구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의 정렬로부터 벗어나게 움직인다.
따라서 중량체 부재는 진자로서 작용하여, 용기의 방위와 함께 움직인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피봇 장착의 결과로서, 중량체 부재는 대략 수직의 방위로 유지되어, 용기가 넘어졌을 때 증기 튜브에 대하여 그것이 움직이게 한다. 용기가 수직으로 있는 동안 증기 튜브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 정렬된 중량체 부재의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용기는 정상으로서 작동되어, 증기가 가열 챔버로부터 증기 튜브를 통해 증기 스위치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용기가 수직으로부터 변위된다면, 중량체 부재는 증기 튜브에 대하여 피봇되어, 개구를 정렬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움직여서 증기 튜브를 폐쇄시키고, 용기가 넘어져 있는 동안 물이 증기 튜브로 진입하여 용기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증기 튜브는 액체 가열 용기의 주 동체로부터 증기 센서로 증기를 이송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그 어떤 형태라도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냅 작용 바이메탈(snap-acting bimetal)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의 한 세트에서, 밀봉 장치는 증기 튜브로의 영구 연결을 위하여 설계된다. 따라서 연결 수단은 증기 튜브에 오버 몰딩(over-moulding)되거나 또는 다르게 접합된 밀봉 장치의 부분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의 세트들에서, 밀봉 장치는 증기 튜브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단순하게 증기 튜브의 단부에 마찰 끼움(friction-fitted)될 수 있거나, 스냅 끼움(snap fitted)될 수 있거나,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증기 튜브의 단부에 대한 끼움에 의한 경우에, 여기에 설명된 밀봉 장치는 그 어떤 다른 현저한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또는 재가공(re-tooling)의 필요성 없이 현존하는 용기의 디자인에 용이하게 추가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탄성적일 수 있어서, 예를 들어 고무로부터 형성될 수 있어서, 용이하게 증기 튜브로 끼워질 수 있다.
중량체 부재는 금속으로부터 만들어지거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안에 매립된(encased) 금속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량체 부재의 개구는 증기 튜브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원형 단면을 가진 증기 튜브에 대하여, 중량체 부재의 개구는 증기 튜브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뒤집힘이 발생될 때 증기 튜브가 신속하게 폐쇄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증량체 부재의 그 어떤 회전도 증기 튜브의 폐쇄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물이 튜브 안으로 쏟아지기 시작할 수 있는 각도에 용기가 도달할 때, 증기 튜브가 충분히 폐쇄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량체 부재는 증기 튜브를 폐쇄하기 위한 복수개의 패드(pad)들을 포함한다. 이들 패드들은 증기 튜브로의 개구 둘레에 배치될 수 있어서, 용기가 수직일 때 증기 튜브가 개방되고, 용기가 넘어졌을 때 증기 튜브가 폐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증기 튜브에 인접하게 배치된 2 개의 패드들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량체 부재는 개구 위에서 개구로부터 이격된 덮개를 포함한다. 이것은 뚜껑으로부터 응축에 의해 방울로 떨어지거나 또는 용기를 채우는 동안에 액체가 증기 튜브로 직접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용기가 넘어졌을 때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오직 하나의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주전자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주전자의 내측 디자인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를 도시한다.
도 4 는 밀봉 장치 구성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도 3 의 밀봉 장치의 상부 부분을 도시한다.
도 6 은 주전자가 넘어졌을 때 밀봉 장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 은 도 6 의 구성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8 은 대안의 밀봉 장치가 이용되는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은 주전자(2) 형태의 예시적인 액체 가열 용기를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밀봉 장치는 주전자에서 이용될 수 있다. 주전자(2)는 둥근 뚜껑(6)을 가진 실질적으로 실린더형의 동체(4)를 가진다. 핸들(8)은 뚜껑(6)에 대한 연결부에 인접하여, 동체(4)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핸들(8)의 반대편 측부에는 주둥이(10)가 있으며, 주둥이로부터 액체가 부어질 수 있다.
도 2 는 주전자(2)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주전자의 주 동체(4) 내부에는 증기 튜브(12)가 있다. 증기 튜브(12)는 일 단부에서 증기 스위치(13)를 포함하는 공간에 연결되는데, 증기 스위치는 물이 끓을 때 주전자(2)의 히터(heater)를 끈다. 증기 튜브(12)의 다른 단부에는 이후에 설명될 밀봉 장치(14)가 장착된다. 다른 밀봉 장치(16)는 주둥이(10)의 내측에 있을 수 있으며, 이것은 뒤집어졌을 때 물이 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 장치(14)는 도 3 및 도 4 에서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밀봉 장치(14)는 진자(pendulum)의 형태를 취하며, 중량체(16)들이 증기 튜브(12)의 양측에 매달려 있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들에서, 오직 하나의 중량체(16)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중량체들은 피봇(20)상에 장착된 요크 구성체(yoke arrangement, 18)에 의해 매달린다. 개구(22)는 요크(18)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이것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정상의 방위에서 마개(bung, 24)에 있는 대응 개구와 정렬되며, 마개는 증기 튜브(12)의 상부에 밀봉 장치(14)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증기가 정상 환경하에서 증기 튜브(12)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 는 밀봉 장치(14)의 상부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것으로부터 피봇(20)이 마개(24)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개는 증기 튜브(12)에 대한 마찰 맞춤 연결부이다. 이는 중량체(16) 및 요크(18)가 증기 튜브(12)의 상부 둘레에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개구(22)의 위에는 덮개(26)가 있다. 이것은 정상적인 이용중에 물이 증기 튜브(12) 안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은 주전자(2)가 우발적으로 넘어질 때 무엇이 발생되는지를 도시한다. 증기 튜브(12)는 주전자의 주 동체(4)에 대하여 고정되며, 이제 수직으로부터 경사진다. 결과적으로 밀봉 장치(14)는 피봇(20)의 둘레로 피봇됨으로써 개구(22)는 증기 튜브(12)에 있는 마개(24) 단부의 개구와 직선상으로 있지 않게 된다. 이것은 도 7 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여기에서 단면도는 증기 튜브(12)가 요크(18)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도시한다. 요크(18)는 증기 튜브(12)에 의해 정지되기 전에 60°내지 70°의 각도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튜브는 그것의 최대 회전 각도에 도달하였다). 이것은 물이 증기 튜브(12)에 진입하여 그곳으로부터 누설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주둥이 밀봉과 같은 다른 장치들과 함께, 주전자는 그 어떤 현저한 양의 물이라도 의도되지 않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은 2 개의 패드(28)들이 증기 튜브(12)를 폐쇄하도록 이용되는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패드(28)들은 정상의 이용시에 증기 튜브(미도시)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증기는 주전자(2)가 수식으로 있는 동안 튜브를 빠져나갈 수 있다. 그러나, 주전자(2)가 우발적으로 넘어진다면, 밀봉 장치(14')는 증기 튜브에 대하여 피봇되어, 패드(28)들중 하나가 증기 튜브의 마개(24') 단부에 있는 개구와 정렬되게 움직인다. 패드(28)들은 주전자(2)가 넘어졌을 때 증기 튜브가 충분하게 밀봉되도록 형상화된다. 패드(28)들의 형상은 밀봉 장치(14')의 과도 회전을 방지하도록 이용된다. 2 개의 패드(28)들을 이용함으로써, 패드(28)들과 마개(24') 사이의 마찰은 밀봉을 위한 요크(18)의 사용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이것은 패드(28)들이 마개(24')에 있는 구멍과 영구적으로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마개(24')와 패드(28)들 사이에 오직 가장자리 접촉(edge contact)만이 있어서, 주전자(2)가 수직으로 복귀했을 때 달라붙을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이것은 증기 튜브의 폐쇄를 위한 충분한 접촉을 제공하는 반면에, 주전자의 작동에 문제를 일으키는, 폐쇄 위치에서의 증기 튜브의 틀어 막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2. 주전자 4. 실린더형 동체
12. 증기 튜브 13. 증기 스위치
14. 밀봉 장치 16. 중량체

Claims (11)

  1. 액체 가열 용기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증기 튜브의 밀봉 장치로서, 밀봉 장치는 밀봉 장치를 증기 튜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 및 연결 수단에 대한 피봇 움직임을 위하여 장착된 중량체 부재를 포함하고,
    중량체 부재는 액체 가열 용기가 실질적으로 수직일 때 증기 튜브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액체 가열 용기가 수직으로부터 변위되는 결과로서 중량체 부재가 피봇되었을 때 중량체 부재의 상기 개구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의 정렬로부터 벗어나게 움직이는, 밀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증기 튜브는 액체 가열 용기의 주 동체로부터 증기 센서로 증기를 이송시키도록 이용되는, 밀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센서는 스냅 작용 바이메탈(snap-acting bimetal)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증기 튜브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밀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는 증기 튜브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탄성적인, 밀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체 부재는 플라스틱 안에 매립된 금속 중량체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체 부재에 있는 개구는 증기 튜브로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 수단의 개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밀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체 부재는 연결 수단의 개구를 폐쇄시키는 하나 이상의 패드들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중량체 부재의 개구 양측에 배치된, 2 개의 패드들을 포함하는, 밀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체 부재는 중량체 부재에 있는 개구 위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된 덮개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
KR2020140000269U 2013-12-05 2014-01-13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 KR2004854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21501.7 2013-12-05
GB1321501.7A GB2520975A (en) 2013-12-05 2013-12-05 Spill-proof liquid heating vess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55U KR20150002255U (ko) 2015-06-15
KR200485448Y1 true KR200485448Y1 (ko) 2018-01-10

Family

ID=5000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269U KR200485448Y1 (ko) 2013-12-05 2014-01-13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89742U (ko)
KR (1) KR200485448Y1 (ko)
CN (1) CN203709810U (ko)
GB (1) GB25209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8349B1 (fr) * 2016-03-01 2018-03-02 Seb S.A. Bouilloire compacte munie d'ailettes
FR3055786B1 (fr) * 2016-09-13 2018-09-07 Seb S.A. Bouilloire compacte munie d'une paroi incline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81069U (zh) * 2009-08-04 2010-05-26 王凡江 防溢烧水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5770A1 (en) * 2008-10-07 2011-09-21 Strix Limited Liquid heating devices
CN201409801Y (zh) * 2009-04-22 2010-02-24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电热壶的安全密封装置
GB2489257A (en) * 2011-03-22 2012-09-26 Otter Controls Ltd Seal with ribbed fins to seal a heating element of a liquid heating vess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81069U (zh) * 2009-08-04 2010-05-26 王凡江 防溢烧水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9742U (ja) 2014-03-27
KR20150002255U (ko) 2015-06-15
CN203709810U (zh) 2014-07-16
GB201321501D0 (en) 2014-01-22
GB2520975A (en)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21686A (ru) Заварочный чайник с закрываемым разливным отверстием
RU2569787C2 (ru) Крышка емкости
JP5442006B2 (ja) 閉じることができる注液口を有するプランジャーフィルター飲料メーカー
RU2355614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US5133247A (en) Coffee maker
US4739898A (en) Closure for hot beverage container
US20170253396A1 (en) Dual drink mode lid assembly for a container
RU2015125892A (ru) Раздат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апитков
JP2012527379A (ja) 供給カップ
KR200475003Y1 (ko) 탈착식 티필터가 구비된 텀블러
RU23337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их напитков
KR200485448Y1 (ko) 쏟아짐이 방지되는 액체 가열용 용기
US5810210A (en) Measured fluid pour method and device
GB2189378A (en) Container for liquids
GB2499065A (en) Water heating vessel having a valve preventing liquid from being spilt when the vessel is tipped over
JP201201711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14233476A (ja) 電気ケトル
JP5936053B2 (ja) 液体加熱容器
EP2265151B1 (en) Lid assembly
JP6103101B2 (ja) 液体加熱容器
EP1810601A1 (en) Plug for carafes or the like provided with temperature sensor
JP7227489B2 (ja) 電気機器のシール構造
KR101442068B1 (ko)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EP3809921B1 (en) Tea preparation device for thermos jugs and vacuum mugs
RU27775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чая для термокувшинов и вакуумных круже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