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068B1 -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 Google Patents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068B1
KR101442068B1 KR1020130135318A KR20130135318A KR101442068B1 KR 101442068 B1 KR101442068 B1 KR 101442068B1 KR 1020130135318 A KR1020130135318 A KR 1020130135318A KR 20130135318 A KR20130135318 A KR 20130135318A KR 101442068 B1 KR101442068 B1 KR 10144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liquid
lid
spout
mista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현
Original Assignee
송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현 filed Critical 송진현
Priority to KR102013013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주전자 몸체(1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에 개방되도록 형성하는 뚜껑끼움부(60), 상기 뚜껑끼움부(60)의 내부에 탈착하는 뚜껑(5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에 형성하여 들어 옮기거나 기울일 때 잡고 사용하는 손잡이(2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하부주둥이(3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하부주둥이(30)의 입구방향으로 형성되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부주둥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세제액 또는 샴푸액 등과 같은 액체가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액체용기(110)에 있어서, 상기 액체용기(110)의 일측면에 샤워기(10)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걸이구(120)가 포함되는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주전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상황에 따라 액체를 따르는 속도가 달라지게 될 때 주둥이가 두 개가 달려 있게 되어서 빠르게 따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빠르게 따르게 될 때 주전자의 기울기를 과도하게 하더라도 위쪽의 주둥이에서 물이 나오게 되는 경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주전자를 더 이상 기울이지 않을 수 있도록 시각적 신호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과도하게 기울이게 되는 주전자의 사용에 있어서 경각심을 일으켜서 뚜껑과 본체 사이로 액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주전자 안쪽의 내용물을 쉽게 볼 수 없는 상황에서도 어느 정도가 주전자의 기울기 한계인지를 알 수 있어서 어떠한 재질로 주전자를 구성하든지 사용자로 하여금 실수를 줄여주는 기능을 갖는다. 주전자의 사용 부주의로 발생하는 내부의 액체가 흘러내리는 실수를 주부들이 하지 않게 되어서 주전자의 사용에 불쾌감 및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다. 주전자에 구성된 상부주둥이는 주전자를 이용해 물을 끓이게 될 때 발생하는 기체가 나오는 배출구로도 작동하게 되어서 뜨거운 기체에 의해서 화상을 입는 경우를 줄여줄 수 있다. 기존에 기체 배출구로 주전자의 뚜껑 이나 뚜껑의 손잡이 부분에 구성되어서 기체를 배출되는 주전자는 화상의 위험이 있었으나 주둥이의 방향이 곧 기체 배출구의 방향임을 알 수 있어서 특별한 주의를 하지 않아도 뜨거운 기체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다. 추가된 상부 주둥이 장치는 내부가 보이지 않는 주전자를 이용해 내부의 액체를 따르는 과정에서도 과도한 기울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투명한 유리주전자 장점을 보통의 불투명한 주전자도 갖게 되었다. 또한 보리차 등을 끓여 식수로 사용하고자 할 때 물통 등의 보관용기에 빠르게 따르고자 할 때에도 충분한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액체를 부을 수 있고 주둥이가 1개일 때 보다도 많은 양의 액체를 따를 수 있게 되어서 작업의 효율성도 높였다. 특히 주전자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급할 때 저지를 수 있는 물흘러내림 실수를 줄여주는 기능은 사용자들의 부주의에 의한 당연한 실수를 줄여주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주전자 내부에 많은 양의 액체가 들어 있을 때에도 주전자를 기울일 때 쉽게 그 기울임 한계를 알게 해 주어서 뜨거운 액체를 다룰 때에도 실수를 줄일 수 있어서 화상 발생을 줄여준다. 주전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수량의 다소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주전자가 과도하게 기울어졌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장치는 지금까지의 주전자 사용에 있어서 알 수 없었던 주전자의 기울임 주의 수준 정도를 시각적으로 알게 해 주는 수단이 되는 기능을 갖는다.

Description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Kettle with two pipes}
본 발명은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전자를 사용해 물을 따르는 과정에서 빠르게 따르고자 과도하게 주전자를 기울일 경우에 물은 쉽게 따라지면서도 뚜껑부분으로 물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전자는 물을 끓이거나 액체를 담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다량의 물이나 액체 등을 보관하고 있다가 주둥이를 통해서 여타의 다른 용기에 옮겨 담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전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사용하는 상황의 여건에 따라서 액체를 따르는 속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빠르게 따르기 위해서는 주둥이 부분을 과도하게 아래쪽으로 기울이게 됨으로써 뚜껑부분으로 액체가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주전자 안쪽의 내용물을 쉽게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어느정도 까지 주전자를 기울여야 물이 새지 않을 것인지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주전자를 자주 사용하고 있는 주부들도 종종 물을 뚜껑 쪽으로 흘러내리는 경우까지 기울여 뚜껑 부분으로 물이 새는 불편함을 경험한다.
특히 종래에는 사용자가 주전자의 내용물을 보기 위해서 주전자의 뚜껑을 열어 놓고 주전자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열려진 뚜껑 부분으로 손잡은 부분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으며 주전자 내부의 액체의 열기에 주전자 손잡이를 잡은 손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품으로 투명한 유리로 된 주전자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충격에 약하며 내용량의 한계가 있어서 지금도 내부가 보이지 않는 쇠, 스테인레스 등으로 내부가 보이지 않는 주전자가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종래에는 내부가 보인다고 할 지라도 물을 빠르게 따르기 위한 장치가 주전자에 특별히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물을 빠르게 따르기 위해서는 주전자를 많이 기울여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결국 주전자를 과도하게 기울이게 되는 상황을 초래해 내부의물이 외부로 흘러넘치게 되는 불편함을 주게 된다.
특히 주전자의 내용물을 컵, 그릇 등 옮겨 담아서 바로 먹는 경우 외에 보리차등을 끓여서 식힌 후 다른 용기에 담아 보관하기 위한 과정을 거치는 경우에는 주전자의 내용물을 빠르게 옮겨 담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반영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다.
따라서 주전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수량의 다소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주전자가 과도하게 기울어졌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장치를 통해 수량의 흐름이 고정된 문제점을 해결해 사용상의 편리성과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238611호(2001.10.1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9086호(2003.10.0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329086호(2003.10.04.) 한국등록특허 제10-0614252호(2006.08.25.)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주전자의 기존 주둥이의 상측 방향으로 뚜껑끼움부분 바로 아래에 위치한 추가 주둥이를 구성해 달아서 수량조절과 주전자를 과도하게 기울이는 실수를 줄여주는 기능을 갖는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는,
내부에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주전자 몸체(1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에 개방되도록 형성하는 뚜껑끼움부(60),
상기 뚜껑끼움부(60)의 내부에 탈착하는 뚜껑(5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에 형성하여 들어 옮기거나 기울일 때 잡고 사용하는 손잡이(2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하부주둥이(3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하부주둥이(30)의 입구방향으로 형성되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부주둥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전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상황에 따라 액체를 따르는 속도가 달라지게 될 때 주둥이가 두 개가 달려 있게 되어서 빠르게 따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빠르게 따르게 될 때 주전자의 기울기를 과도하게 하더라도 위쪽의 주둥이에서 물이 나오게 되는 경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주전자를 더 이상 기울이지 않을 수 있도록 시각적 신호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과도하게 기울이게 되는 주전자의 사용에 있어서 경각심을 일으켜서 뚜껑과 본체 사이로 액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주전자 안쪽의 내용물을 쉽게 볼 수 없는 상황에서도 어느 정도가 주전자의 기울기 한계인지를 알 수 있어서 어떠한 재질로 주전자를 구성하든지 사용자로 하여금 실수를 줄여주는 기능을 갖는다.
주전자의 사용 부주의로 발생하는 내부의 액체가 흘러내리는 실수를 주부들이 하지 않게 되어서 주전자의 사용에 불쾌감 및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갖는다.
주전자에 구성된 상부주둥이는 주전자를 이용해 물을 끓이게 될 때 발생하는 기체가 나오는 배출구로도 작동하게 되어서 뜨거운 기체에 의해서 화상을 입는 경우를 줄여줄 수 있다.
기존에 기체 배출구로 주전자의 뚜껑 이나 뚜껑의 손잡이 부분에 구성되어서 기체를 배출되는 주전자는 화상의 위험이 있었으나 주둥이의 방향이 곧 기체 배출구의 방향임을 알 수 있어서 특별한 주의를 하지 않아도 뜨거운 기체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다.
추가된 상부 주둥이 장치는 내부가 보이지 않는 주전자를 이용해 내부의 액체를 따르는 과정에서도 과도한 기울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투명한 유리주전자 장점을 보통의 불투명한 주전자도 갖게 되었다.
또한 보리차 등을 끓여 식수로 사용하고자 할 때 물통 등의 보관용기에 빠르게 따르고자 할 때에도 충분한 기울기를 유지하면서 액체를 부을 수 있고 주둥이가 1개일 때 보다도 많은 양의 액체를 따를 수 있게 되어서 작업의 효율성도 높였다.
특히 주전자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급할 때 저지를 수 있는 물흘러내림 실수를 줄여주는 기능은 사용자들의 부주의에 의한 당연한 실수를 줄여주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주전자 내부에 많은 양의 액체가 들어 있을 때에도 주전자를 기울일 때 쉽게 그 기울임 한계를 알게 해 주어서 뜨거운 액체를 다룰 때에도 실수를 줄일 수 있어서 화상발생을 줄여준다.
주전자를 사용함에 있어서 수량의 다소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주전자가 과도하게 기울어졌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장치는 지금까지의 주전자 사용에 있어서 알지 못했던 주전자의 기울임 주의 수준 정도를 알게해 주는 수단이 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물 또는 보리차 등과 같은 액체가 담길 수 있도록 형성된 주전자 몸체(10)에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하부주둥이(30)와 하부주둥이(30)의 직선상위에 구성된 상부주둥이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주둥이(30)은 주전자 몸체(10)의 일부분에 일체형, 또는 연결방식으로 구성된 상부주둥이(40)가 함께 구성되어서 주전자 몸체(10) 내부의 액체의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때 상부주둥이(40)의 형상은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주둥이(40)은 하부주둥이(30)와 뚜껑기움부(50) 사이에 위치하는데 이는 주전자의 기울임으로 인해 뚜껑부분으로 액체가 넘치는 상황이 발생하기 직전에 상부주둥이(40)로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부주둥이(40)는 주전자 몸체(10)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해서 주전자를 화기 등으로 가열하였을 경우 내부의 액체가 기체로 변해 배출려고 할 때 기체의 배출방향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상부주둥이(40)의 발생 기체 유도 기능은 물이 끓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주전자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내부의 기체가 주전자 손잡이(20)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하부주둥이(30)의 방향이 상부주둥이(40)의 방향과 일치해서 시각적으로 내부 기체의 배출방향을 쉽게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전자를 사용해 액체를 끓이거나 내부의 액체를 다른 용기에 나누어 담을 때 배출하는 액체의 양 조절이 가능하며 주전자 몸체(10)의 기울임 한계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하는 상부주둥이(40)가 구성되어 있어서 뚜껑(60)과 뚜껑끼움부(50)사이로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내부 액체의 배출량을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주전자 몸체
20: 손잡이
30: 하부주둥이
40: 상부주둥이
50: 뚜껑끼움부
60: 뚜껑

Claims (1)

  1. 내부에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주전자 몸체(1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에 개방되도록 형성하는 뚜껑끼움부(60),
    상기 뚜껑끼움부(60)의 내부에 탈착하는 뚜껑(5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에 형성하여 들어 옮기거나 기울일 때 잡고 사용하는 손잡이(2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하부주둥이(30),
    상기 주전자 몸체(10)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하부주둥이(30)의 입구방향으로 형성되어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부주둥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KR1020130135318A 2013-11-08 2013-11-08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KR10144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18A KR101442068B1 (ko) 2013-11-08 2013-11-08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18A KR101442068B1 (ko) 2013-11-08 2013-11-08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068B1 true KR101442068B1 (ko) 2014-09-23

Family

ID=5176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18A KR101442068B1 (ko) 2013-11-08 2013-11-08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32A (ko) * 2019-05-02 2020-11-11 장재용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7561U (ko) * 1976-11-09 1978-06-07
JP3045211U (ja) * 1996-12-06 1998-01-27 英子 島田 ダブル急須
KR200157426Y1 (ko) * 1994-01-24 1999-10-01 안정오 주전자
JP2012179337A (ja) * 2011-03-01 2012-09-20 Shunsuke Sasaki 複数の注ぎ口がある急須及びやか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7561U (ko) * 1976-11-09 1978-06-07
KR200157426Y1 (ko) * 1994-01-24 1999-10-01 안정오 주전자
JP3045211U (ja) * 1996-12-06 1998-01-27 英子 島田 ダブル急須
JP2012179337A (ja) * 2011-03-01 2012-09-20 Shunsuke Sasaki 複数の注ぎ口がある急須及びやか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32A (ko) * 2019-05-02 2020-11-11 장재용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KR102186940B1 (ko) 2019-05-02 2020-12-04 장재용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AU2009267720A1 (en)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442068B1 (ko) 주둥이가 두 개인 주전자
KR20170095476A (ko) 음료의 출렁임 방지를 위한 컵 뚜껑
KR20120049591A (ko) 이중컵
JP2014233476A (ja) 電気ケトル
CN108348089B (zh)
CN201855112U (zh) 多功能防溢锅
TWI487647B (zh) The nozzle of a liquid container
CN208610468U (zh) 一种防止儿童烫伤的水杯
CN103300671B (zh) 一种饮料杯杯盖
CN204541565U (zh) 一种花茶壶
CN204889646U (zh) 一种自动煮茶炉
US1262699A (en) Tea-kettle.
CN211748853U (zh) 一种易用电热壶
RU53870U1 (ru) Стакан
KR200309090Y1 (ko) 국자용 부구
KR200475347Y1 (ko) 기능성 컵
CN209463768U (zh) 一种瓦罐
CN211432076U (zh) 防止溅水的茶壶
KR200414973Y1 (ko) 음료 용기
CN211049124U (zh) 出水角度可控的壶嘴
JP3187840U (ja) 液体注出用器具
CN209436953U (zh) 一种玻璃煮茶壶
CN209136067U (zh) 环滤泡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