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80U - 밀폐용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80U
KR20170002580U KR2020160000164U KR20160000164U KR20170002580U KR 20170002580 U KR20170002580 U KR 20170002580U KR 2020160000164 U KR2020160000164 U KR 2020160000164U KR 20160000164 U KR20160000164 U KR 20160000164U KR 20170002580 U KR20170002580 U KR 201700025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ding
handle
bent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태
서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에스
Priority to KR2020160000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580U/ko
Publication of KR20170002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용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이나 밀폐를 위해 밀폐용기의 뚜껑과 본체 각각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는, 뚜껑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단면구조의 홀딩핀과; 상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 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홀딩핀이 삽입되어 홀딩되는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홀딩홈이 형성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힌지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홀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상측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에 삽입된 상기 홀딩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의 분리시 및 밀폐시에 회전되는 핸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 잠금장치{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본 고안은 밀폐용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폐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밀폐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밀폐용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솥이나 찜기는 음식물 조리시 용기의 내부를 고압, 고온의 상태로 유지하여 음식을 보다 빠르고 부드럽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조리결과를 얻도록 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구이다. 특히, 이와 같은 압력솥은 고압,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당한 두께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법랑제 등으로 제작되고 뚜껑에 압력조절장치, 안전판 등이 설치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압력솥은 조리시 내부의 고압에 의해 뚜껑이 용기에서 이탈되지않고 견고한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밀폐용기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0515호(2011.11.30.)에는 본체와 뚜껑을 밀폐결합시키기 위한 밀폐장치의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0515호(2011.11.30.)에서는 연결부재에 의해 손잡이와 고정후크가 상호 연결되어, 뚜껑을 본체에 올려놓은 후 손잡이를 하측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뚜껑이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손잡이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고정후크의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뚜껑을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밀폐용기 잠금장치의 경우는 밀폐기능을 수행하는 고정후크와 손잡이의 연결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대단히 취약하며, 장기간 사용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고정후크가 헐거워져 본체와 뚜껑의 밀폐결합력이 낮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밀폐용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밀폐력이 우수하고 밀폐 및 분리가 용이한 밀폐용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솥이나 찜기의 밀폐를 위해 간편하게 사용가능한 밀폐용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진공이나 밀폐를 위해 밀폐용기의 뚜껑과 본체 각각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는,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단면구조의 홀딩핀과; 상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 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홀딩핀이 삽입되어 홀딩되는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홀딩홈이 형성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힌지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홀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상측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에 삽입된 상기 홀딩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의 분리시 및 밀폐시에 회전되는 핸들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홀딩핀의 가압시 상기 홀딩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이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과 상기 유동방지홈 사이에 상기 홀딩핀이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핸들은 반원형 또는 "U" 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손잡이로 기능하고, 상기 핸들은 밀폐시에는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뚜껑의 장착 또는 분리시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밀폐용기의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의해 용기의 밀폐가 가능하고, 뚜껑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 잠금장치가 용기에 부착되어 밀폐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가 본체와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밀폐용기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밀폐용기 잠금장치의 동작 상태도들이고,
도 6은 도 1의 밀폐용기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 잠금장치(100)가 밀폐 용기(10,20)에 부착되어 밀폐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10,20)가 본체(20)와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밀폐용기 잠금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특히 도 3의 경우에는 밀폐용기 잠금장치(100)의 형상을 명확히 파악하도록 하기 위해 도면상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밀폐용기 잠금장치(100)의 분해상태를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밀폐용기 잠금장치(100)가 적용되는 밀폐 용기는 압력솥이나 찜기를 포함하여 본체(20)와 뚜껑(10)의 밀폐가 필요하거나 진공용으로 사용되는 모든 용기에 적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간단히 용기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 잠금장치(100)는 홀딩핀(110), 홀딩유닛(130) 및 핸들(150)을 구비한다.
상기 밀폐용기 잠금장치(100)는 상기 용기(10,2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구성의 밀폐용기 잠금장치(100)가 2곳에 배치되는 것이나, 중복의 제거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한 곳에 배치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100) 만이 설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20)는 뚜껑(10)과 본체(20)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10)은 상기 본체(20)를 덮는 기능을 하고, 상기 본체(20)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수용공간을 가지는 속이 빈 원통형 또는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10)의 가장자리 하단부분 또는 상기 본체(20)의 가장자리 상단부분에는 밀폐링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홀딩핀(110)은 용기의 뚜껑(10)의 가장자리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단면구조의 돌기 형상을 가진다.
상기 홀딩핀(110)은 상기 뚜껑(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 장착되며, 상기 뚜껑(10)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홀딩핀(110)은 상기 뚜껑(10)의 가장자리 측면이 외주면에 장착되므로, 수평방향(또는 법선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홀딩유닛(130)은 장착부(132), 절곡부(134) 및 홀딩부(136)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132)는 상기 본체(20)의 상단 외주면에 용접이나 기타 결합방식에 의해 장착되기 위한 장착면을 구비한다.
상기 절곡부(134)는 상기 장착부(132)의 상측 단부에서 외부수평방향(또는 법선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34)는 상기 장착부(132)와 상기 홀딩부(136)가 하나의 평면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홀딩부(136)가 상기 본체(20)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방향이 아닌 경사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홀딩부(136)는 상기 절곡부(134)의 외측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135)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홀딩핀(110)이 삽입되어 홀딩되는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홀딩홈(136a)이 형성된다.
상기 홀딩유닛(130)은 상기 본체(20)에 장착되므로 유동이나 회전이 불가하며 본체(20)와 함께 일체화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핸들(150)은 상기 홀딩유닛(130)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뚜껑(10)의 장착 또는 분리시 및 밀폐시에 회전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핸들(150)은 힌지부(152), 가압부(154) 및 손잡이부(156)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부(152)는 상기 제1체결공(135)에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힌지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155)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공(15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홀딩부(136)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힌지부(152)는 상기 핸들(150)의 단부를 구성한다.
상기 가압부(154)는 상기 힌지부(152)의 상측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136a)에 삽입된 상기 홀딩핀(110)을 가압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154)에는 상기 홀딩핀(110)의 가압시 상기 홀딩핀(1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154a)이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54)는 상기 홀딩핀(110)이 상기 홀딩홈(13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50)이 회전하는 경우에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홀딩핀(110)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홀딩핀(110)이 가압되면 상기 홀딩핀(110)이 장착된 뚜껑(10)이 가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154)는 상기 홀딩핀(110)이 상기 홀딩홈(136a)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홀딩핀(110)의 상부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홈(154a)은 상기 가압부(154)의 하부에서 상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10)의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136a)과 상기 유동방지홈(154a) 사이에 상기 홀딩핀(110)이 삽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56)는 상기 가압부(154)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원형 또는 "U" 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핸들(150)은 상기 뚜껑(10)의 분리시 및 밀폐시에 회전되는 구성으로, 상기 뚜껑(10)의 분리시에는 상기 핸들(15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10)의 밀폐시에는 상기 핸들(150)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150)은 전체적으로 반원형 또는 "U" 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단부 부분을 구성하는 힌지부(152) 및 가압부(154)가 상기 뚜껑(10)의 밀폐를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부분인 손잡이부(156)는 상기 밀폐용기(10,20)의 손잡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핸들(150)은 용기 밀폐시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중심부가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뚜껑(10)을 장착하거나 분리시에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원주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술한 밀폐장치(100)의 동작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용기(10,20)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며, 뚜껑에 장착되는 홀딩핀(110)의 경우에는 점선으로 표시하여 구분하였다. 도 4는 본체(20)에 뚜껑(10)을 장착하거나 본체(20)에서 뚜껑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의 상기 밀폐용기 잠금장치(100)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본체(20)에 뚜껑(10)을 장착한 상태에서 밀폐를 하고자 하는 경우의 상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1의 밀폐용기 잠금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용기 잠금장치(100)는 용기(10,20)의 본체(20)에 뚜껑(10)을 장착하거나 본체(20)에서 뚜껑(1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핸들(150)이 상하방향으로 놓인 상태인 도 1의 상태에서 90도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놓인 상태인 도 2의 상태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핸들(150)은 상기 본체(20)의 원주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우선 뚜껑(10)의 장착을 위해 상기 핸들(150)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게 되면, 상기 핸들(150)의 가압부(154)가 상기 홀딩핀(110)에서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뚜껑(10)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뚜껑(10)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장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10)을 상기 본체(20)에 장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뚜껑(10)에 장착된 상기 홀딩핀(110)이 상기 홀딩유닛(130)의 홀딩부(136)의 상기 홀딩홈(136a)에 삽입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을 상기 본체(20)와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핸들(15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인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핸들(1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154)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홀딩유닛(130)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홀딩핀(110)이 상기 홀딩홈(13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15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154)가 상기 홀딩핀(11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딩핀(110)의 상부는 상기 가압부(154)의 유동방지홈(154a)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핸들(150)의 회전을 제한하고, 밀폐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밀폐가 완료된 후 상기 뚜껑(1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50)을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 후에 상기 뚜껑(10)을 분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핸들을 회전시킴에 의해 용기의 밀폐가 가능하고, 뚜껑의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핸들의 회전만을 이용해 밀폐가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홀딩핀 130 ; 홀딩유닛
150 : 핸들 10 : 뚜껑
20 : 본체

Claims (4)

  1. 진공이나 밀폐를 위해 밀폐용기의 뚜껑과 본체 각각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장착되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단면구조의 홀딩핀과;
    상기 본체의 상단 외주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상측 단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외측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홀딩핀이 삽입되어 홀딩되는 반구형 또는 반원형의 홀딩홈이 형성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홀딩유닛과;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도록 중심부에 힌지결합을 위한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홀딩부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상측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에 삽입된 상기 홀딩핀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상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뚜껑의 분리시 및 밀폐시에 회전되는 핸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홀딩핀의 가압시 상기 홀딩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홈이 내측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밀폐시에, 상기 홀딩홈과 상기 유동방지홈 사이에 상기 홀딩핀이 삽입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반원형 또는 "U" 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손잡이로 기능하고, 상기 핸들은 밀폐시에는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뚜껑의 장착 또는 분리시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잠금장치.
KR2020160000164U 2016-01-07 2016-01-07 밀폐용기 잠금장치 KR201700025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64U KR20170002580U (ko) 2016-01-07 2016-01-07 밀폐용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164U KR20170002580U (ko) 2016-01-07 2016-01-07 밀폐용기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80U true KR20170002580U (ko) 2017-07-17

Family

ID=5939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64U KR20170002580U (ko) 2016-01-07 2016-01-07 밀폐용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5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6902A (zh) * 2021-03-19 2021-06-15 北京市泰坦不锈钢厨具有限责任公司 一种燃气蒸柜
CN114291403A (zh) * 2021-12-29 2022-04-08 湖南省九嶷山丰利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观光农业的分体调节式果蔬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6902A (zh) * 2021-03-19 2021-06-15 北京市泰坦不锈钢厨具有限责任公司 一种燃气蒸柜
CN114291403A (zh) * 2021-12-29 2022-04-08 湖南省九嶷山丰利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观光农业的分体调节式果蔬篮
CN114291403B (zh) * 2021-12-29 2024-03-01 湖南省九嶷山丰利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适用于观光农业的分体调节式果蔬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910001036B1 (ko) 증기압력 조리용기
KR102231033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20170002580U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KR200280600Y1 (ko)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BR102019013220A2 (pt) panela de pressão provida de um batente para sua tampa
KR101648067B1 (ko) 밀폐용기 잠금장치
CN110840237A (zh) 烹饪器具
CN209863456U (zh) 一种使用安全的烹饪器具
JP6419387B2 (ja) 2つ内釜を有する新規な炊飯器
KR101583779B1 (ko) 취사용기용 돌솥뚜껑
CN210930845U (zh) 烹饪器具
KR20220090979A (ko) 압력 돌솥용 뚜껑
WO2021031490A1 (zh) 电饭煲
CN107374334B (zh) 易清理黏贴食物的锅具及电加热炊具
CN208286850U (zh) 烹饪器具
KR20170070600A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CN213551287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CN211408617U (zh) 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5687001U (zh) 上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148207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CN213551167U (zh) 烹饪器具
CN213605800U (zh) 一种电热烹饪装置
CN212394574U (zh) 锅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